KR100327945B1 - 건설현장용 리프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건설현장용 리프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7945B1
KR100327945B1 KR1019990017480A KR19990017480A KR100327945B1 KR 100327945 B1 KR100327945 B1 KR 100327945B1 KR 1019990017480 A KR1019990017480 A KR 1019990017480A KR 19990017480 A KR19990017480 A KR 19990017480A KR 100327945 B1 KR100327945 B1 KR 100327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floor
code signal
building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7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3898A (ko
Inventor
송승헌
Original Assignee
송승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승헌 filed Critical 송승헌
Priority to KR1019990017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7945B1/ko
Publication of KR20000073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3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7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79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3/00Making metal objects by operations essentially involving machining but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23P13/02Making metal objects by operations essentially involving machining but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in which only the machining operations are import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5/00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1/00Bending wire other than coiling; Straightening wire
    • B21F1/02Straight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11/00Cutting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5/00Upsetting wire or pressing operations affecting the wire cross-section
    • B21F5/005Upsetting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HMAKING PARTICULAR METAL OBJECTS BY ROLLING, e.g. SCREWS, WHEELS, RINGS, BARRELS, BALLS
    • B21H3/00Making helical bodies or bodies having parts of helical shape
    • B21H3/02Making helical bodies or bodies having parts of helical shape external screw-threads ; Making dies for thread rolling
    • B21H3/04Making by means of profiled-rolls or die ro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목적: 설치,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구성으로 고장률도 적으며 협착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편의성도 향상된 건설현장용 리프트 시스템을 제공한다.
구성: 케이지에 장착된 무선수신기를 통해 수신된 코드신호에 따라 케이지에 설치된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여 호출층으로 케이지를 승강시키도록 구성된 통상적인 건설현장용 리프트 시스템에 있어서, 건물의 각 층마다 케이지 호출을 위한 버튼을 갖춘 조작패널과, 상기 조작패널의 조작신호에 따라 호출층의 정보를 실은 코드신호를 발생하는 코드신호 발생부를 설치하고, 케이지 방호울부 내의 고정 본체에는 상기 각층의 코드신호 발생부와 유선 연결되어 유선 전송된 코드신호를 상기 케이지의 무선수신기에서 수신 가능한 전파로 변조하여 송신하는 하나의 무선송신기를 설치하여서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설현장용 리프트 시스템 {Lift System in The Construction actual}
본 발명은 건설현장용 리프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설치 및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고장률이 적으며 협착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동작의 신뢰성 및 편의성도 향상된 건설현장용 리프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리프트는 케이지 혹은 호이스트카라고도 불리우는 승강기를 이용하여, 아파트나 고층건물의 신축시에 공사인부나 경량 자재를 적재함에 실어 운반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리프트 케이지는 케이지 내에 설치된 모터의 구동에 따라 신축건물의 상하로 세워진 마스트를 따라 각 층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모터의 구동에 의해 승강되는 리프트 케이지의 운행 제어는 케이지에 탑승한 운전자에 의해 이루어지는 수조작 방식과, 제어기의 관장하에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자동제어 방식이 있다.
수조작 방식은 케이지 내에 탑승한 운전자가 케이지 내에 설치된 무선송수신기를 통해 각 층에서의 무선 호출을 받고 케이지 내에 마련된 조작패널의 버튼조작에 의해 호출층으로 케이지를 운전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수조작 방식의 시스템은 호출신호에 대한 수신확인을 위해 케이지 측과 건물 측의 쌍방을 모두 송수신기로 구성하여야 하고, 운전자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던 바,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자동제어 방식의 시스템이 선보이게 된 것이다.
자동제어 방식은 건물측에는 송신기를, 케이지 측에는 수신기를 설치하고, 케이지의 운행을 운행층 감지센서 및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되는 제어기에 의해 이루어지게 한 것으로,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 제 158992호(1998, 8, 7일자)에 '호이스트카 제어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호이스트카 제어시스템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공사를 위해 설치되는 적재함(20) 내에 구비되며, 상기 적재함(20)을 승강 구동시키는 모터(27)가 구비된 호이스트카에 있어서, 건물(10)의 각 층에 설치되어 층별 고유코드신호를 변조하여 전파로 발신하는 각각의 송신기(11)와, 상기 적재함(20) 내에 설치되며 상기 각각의 송신기(11)의 전파신호를 수신복조하여 층별 호출신호로 도출하는 수신기(21)와, 상기 적재함(20)의 승강위치를 검출하는 센서부(22)와, 상기 센서부(22)의 검출신호에 의해 적재함(20)이 위치되는 층을 판별하고, 상기수신기(21)의 출력신호에 따라 각 층으로의 승강명령을 출력하는 제어부(23)와, 상기 제어부(23)의 출력에 따라 전원부(24)의 전원전류를 스위칭하여 상기 모터(27)로 공급하는 릴레이스위칭부(25)로 구성되고 있다. 이후의 설명에서는, 상기 적재함(20)은 케이지, 상기 센서부(22)는 케이지 위치검출용 센서로 명칭하기로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종래의 시스템은 케이지(20)의 수신기(21)로 호출신호를 송신하는 무선송신기(11)가 건물(10)의 각 층별로 설치되었기 때문에, 이 많은 무선송신기의 설치비용 및 유지보수 비용에 대한 부담이 컸으며, 전파장애나 송신기 자체의 고장빈도가 많아 운행이 중단되는 일이 잦게 되었다.
또, 종래의 구성에는 케이지(20)의 운행시 협착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별도의 수단이 마련되지 않았었기 때문에 사람의 신체부위나 거프집 등이 케이지(20)와 건물(10)의 구조물 사이에 끼게 되는 협착사고의 발생 우려가 있었다.
더욱이, 종래에는 협착사고를 포함한 각종 비상 상황의 발생시 운행중인 케이지(20)내에 탑승한 작업자가 이를 인식하기 전에는 각 층에서 작업중인 작업자가 이를 인식하더라도 각 층에서는 케이지(20)를 비상 정지시킬 수 있는 수단이 없었기 때문에 사고의 피해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케이지(20)의 승강위치를 검출하는 케이지 위치검출용 센서(22)로서, 도 2 의 도시와 같이 건물(10)측 마스트(M)에 형성된 래크기어(G1)에 치합된 케이지(20)측 피니언기어(G2)의 회전을 검출하는 근접센서(SR)가 사용되었는데, 이러한 구성은 장기 사용시, 래크기어(G1)와 피니언기어(G2)의 사이에 존재하는 윤활유 및 쇳가루 등에 의한 근접센서(SR)의 오염으로 층의 감지가 불가하게 되어 케이지(20)의 운행이 중단되거나 또는 정확하게 각 층에 정지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을 유발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윤활유는 케이지(20)의 승강 운동이 케이지(20) 자체에 설치된 구동용 피니언기어(G3)와 래크기어(G1)의 치합에 의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케이지(20)의 원만한 이동을 위해 도포되는 것이고, 상기 쇳가루는 케이지(20)의 이동시에 치합된 기어(G1,G2,G3)들이 소량씩 마모되면서 발생되는 것이다.
또한, 종래에는 케이지(20)의 승하강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았으므로, 건물 층의 대기자가 케이지(20)의 운행 상태를 확인하고자 케이지(20) 이동통로에 접근하다가 협착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었다.
이러한 제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각 층별 설치되는 다수의 무선송신기를 대체할 수 있는 간단한 구성의 호출용 수단을 마련하여 설치 및 보수비용의 부담과 고장 및 장애 빈도를 줄일 수 있도록 함에 두고 있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케이지의 승하강 이동시에 진행되는 방향에 장애물이 존재하면 케이지에 장애물이 끼이기 전에 케이지를 신속히 비상 정지시켜 협착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두고 있다.
이와 아울러,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비상의 상황에서 건물의 각 층에서도 케이지의 운행의 비상 정지를 조작할 수 있어 긴박한 비상 상황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하려는데 두고 있다.
본 발명의 제4 목적은 케이지 위치검출용 센서의 오염으로 인한 케이지의 운행 중단, 또는 각 층에 정확히 정지할 수 없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배제할 수 있는 구조로 개선하려는 데에 두고 있다.
본 발명의 제5 목적은 간단한 구성에 의해 신뢰성 있는 케이지의 승하강 감지 기능을 확보할 수 있고 이 감지신호에 의해 건물 각 층에서 케이지의 승하강 운행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건물 층의 대기자의 사고방지 및 편의성을 향상시키는데 두고 있다.
도 1 은 종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2 는 종래의 케이지 위치검출용 센서의 설치상태를 보인 개략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시스템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승하강 협착감지부의 구성을 보인 설치상태 전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케이지 비상정지 수단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6 및 도 7 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케이지 위치검출용 센서의 설치상태를 보인 외관도 및 부분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지 승하강 감지 수단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건물 105 : 고정 본체
110 : 조작패널 120 : 코드신호 발생부
130 : 무선송신기 152 : 비교판단부
200 : 케이지 204a,204b : 스위치 장착부재
210 : 무선수신기 240 : 승하강 협착감지부
262 : 케이지 위치검출용 센서 270 : 모터
276 : 회전부재 COM : 배선
CB : 호출버튼 EB : 비상버튼
LD1,LD2 : 장봉 LS1,LS2,LS3,LS4 : 리미트스위치
WR1,WR2,WR3 : 와이어 CT : 전류검출기
C1,C2 : 비교기 LED1,LED2 : 램프
이하,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1 실시예는, 도 3 의 도시와 같이, 케이지(200)에 장착된 무선수신기(210)를 통해 수신된 코드신호에 따라 케이지(200)에 설치된 모터(270)의 구동을 제어하여 호출층으로 케이지(200)를 승강시키도록 구성된 통상적인 건설현장용 리프트 시스템에 있어서, 건물(100)의 각 층마다 케이지 호출을 위한 콜버튼(CB)을 갖춘 조작패널(110)과, 상기 조작패널(110)의 조작신호에 따라 호출층의 정보를 실은 코드신호를 발생하는 코드신호발생부(120)를 설치하고, 미도시된 케이지 방호울부 내에 설치된 송신 유닛(105)에는 상기 각 층의 코드신호 발생부(120)와 유선 연결되어 유선 전송된 코드신호를 상기 케이지(200)의 무선수신기(210)에서 수신 가능한 전파로 변조하여 송신하는 하나의 무선송신기(130)를 구비시켜서 된 것이다. 도면에서, 건물(100)에 부호 표기된 F1은 지상층, F2는 2층이며, 상기 케이지 방호울부는 지상층 정도의 건물 일측에 마련되어 케이지 배전용 배전박스 등을 설치할 수 있는 울타리형 폐쇄 장소이다.
한편, 상기 케이지(200)는 무선수신기(210)의 신호에 의해 각 상태 표시를 행하는 표시부(222)가 마련되어 RS-232 드라이버(224)로 구현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부(230)로 연결되는 구성을 이루고 있고, 상기 제어부(230)는 탑승자 조작을 위한 케이지 내 조작패널(226)과, 케이지(200)의 승하강 운행시의 협착을 방지하기 위한 승하강 협착감지부(240)와, 전원부(Switching Mode Power Supply, 252)와, 운용 프로그래밍의 설정입력을 위한 프로그래밍 스위치(232)와, 케이지(200)의 동작상태 감시를 위한 각종 센서(262,264,266,268) 및 그에 연계된 센서회로(262a,264a,266a,268a)들과, 그리고 모터(270)의 전원 공급을 단속하는 릴레이 출력회로(254)가 연결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건물(100) 층의 대기자가 조작패널(110)의 호출버튼(CB)을 조작하여 호출한 경우, 건물(100) 각 층의 코드신호 발생부(120)에서 호출층의 정보를 실은 코드신호가 배선(COM)을 통해 방호울부 내의 송신 유닛(105)에 설치된 무선송신기(130)로 전송되고, 이 코드신호는무선송신기(130)에서 변조되어 고주파의 반송파에 실려서 송출된다. 상기 무선송신기(130)에서 송출된 무선 신호는 케이지(200)의 무선수신기(210)에서 수신 및 복조되고, 제어부(230)는 복조된 코드신호에 의해 호출층을 인식하여 제어 명령을 출력하고, 그 출력단에 연결된 릴레이 출력회로(254)는 상기 제어부(230)의 제어명령에 따라 구동전류를 스위칭하여 모터(270)에 공급하게 되므로, 케이지(200)는 모터(270)의 구동에 따라 이동하여 결국 호출층에 도달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 및 작동되는 제1 실시예는 건물 각 층에 설치된 조작패널(110)의 콜버튼(CB) 조작에 따라 코드신호 발생부(120)에서 층 정보를 담은 코드신호가 배선(COM)을 통해 송신 유닛(105)의 무선송신부(130)로 전송되게 한 것이므로 각 층의 호출정보를 전송하는데 1 회선의 배선으로 충분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코드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무선송신기(130)의 수량을 종래의 여러 대에서 1 대로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므로, 고가의 무선송신기를 건물(100)의 각 층마다 모두 구비시켜야 했던 종래에 비해 설비의 설치 및 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선으로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각층에 무선 송신기를 사용할 경우 발생될 수 있는 송수신 불량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2 실시예는 상기 케이지(200)에 구비된 승하강 협착감지부(240)를 구현하는 것으로, 이 승하강 협착감지부(240)는 케이지(200)의 승하강 운행시에 진행방향에 존재하는 장애물을 감지함으로써, 협착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제2 실시예에서는 상기 승하강 협착감지부(240)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지(200) 몸체 상부의 가이드(202)에 상부 방향으로 두 개의 장봉(LD1,LD2)을 이격 설치하고, 상기 상부 방향의 두 장봉(LD1,LD2)의 단부에 각각 리미트스위치(LS1,LS2)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두 리미트스위치(LS1,LS2)의 작동간(作動幹,LS1a,LS2a)을 와이어(WR1)로 상호간 연결하여서 구성한다. 이 경우에, 상기 두 리미트스위치(LS1,LS2)는 작동간(LS1a,LS2a)이 내부스프링(도시안됨)에 의해 탄지되는 것을 사용하고 상기 작동간(LS1a,LS2a)을 와이어(WR1)로 연결하여 설치한다. 상기 각각의 장봉(LD1,LD2)은 스프링(SP)에 의해 신축되는 두 개의 몸체(LD1a,LD1b)(LD2a,LD2b)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은 장애물에 의해 와이어(WR1)가 눌리거나 단선되면 리미트스위치(LS1,LS2)의 작동간(LS1a,LS2a)이 탄지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스위치 접점의 접속상태가 절환되게 한 것인데, 상기 와이어(WR1)의 눌림으로 작동간(LS1a,LS2a)이 당겨지는 것과 와이어(WR1)가 단선되는 것을 모두 감지하려면, 상기 리미트스위치(LS1,LS2)는 무접속 상태 포지션(P2)를 포함하여 모두 세가지 상태의 작동포지션(P1,P2,P3)을 가져야 함과 아울러 작동간(LS1a,LS2a)이 상기 세가지 상태 중 중간포지션(P2)으로 스프링 탄지되는 것이어야 한다.
또한, 본 제2 실시예는 케이지(200)의 하강시에 진행 방향에 존재하는 장애물을 감지하는 수단으로서, 케이지(200)의 하부에 판형으로 형성된 두 개의 스위치 장착부재(204a,204b)를 각각 이격 설치하고, 상기 두 스위치 장착부재(204a,204b)에는 리미트스위치(LS3,LS4)를 작동간(LS3a,LS4a)이 상부 방향을 향해 탄지되게 한상태로 배치하여 각각 설치하며, 상기 각각의 리미트스위치(LS3,LS4)의 작동간(LS3a,LS4a)에는 소정 길이의 와이어(WR2,WR3)를 통해 상기 두 작동간(LS3a,LS3a)의 탄지력을 합한 것보다 큰 하중을 가진 수평바(BA)를 매달아서 구성한다. 또한, 상기 리미트스위치(LS1,LS2)의 작동간(LS1a,LS2a)이 상기 수평바(BA)의 하중에 의해 작동범위 이상의 위치로 하강하여 파손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수평바(BA)는 케이지(200) 바디와 소정 길이의 체인(CN)으로 연결한다.
이때, 상기 리미트스위치(LS3,LS4)는 작동간(LS3a,LS4a)의 이동 포지션이 상하 두 포지션이면 충분하며, 상술한 세 포지션을 갖는 리미트스위치(LS1,LS2)도 사용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은 케이지(200)의 하강시에 진행 방향에 위치한 장애물에 부딪혀 수평바(BA)가 들려지는 경우, 수평바(BA)의 하중에 의해 상폐(또는 상개)접속의 위치로 있던 리미트 스위치(LS3,LS4)의 작동간(LS3a,LS4a)이 스프링 탄지 방향인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리미트스위치(LS3,LS4)의 접점 접속상태가 절환되도록 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같이 케이지(200)의 승강시나 하강시에 진행 방향에 존재하는 장애물을 신호로 검출할 수 있게 되면, 이 신호를 이용하여 케이지(200)의 모터(270)로 공급하는 전원을 차단함과 동시에 브레이크를 작동시킴으로써 케이지(200)를 비상 정지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신체나 거푸집 등의 장애물이 건물(100)의 구조물과 케이지(200)의 사이에 끼게 되는 협착 사고를 방지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술한 본 발명의 제3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3 실시예는, 비상정지 수단으로서, 도 5 의 도시와 같이, 건물(100)의 각 층에 구비된 조작패널(110)에 비상버튼(EB)을 설치하고, 건물(100) 측 방호울부 내에 설치한 송신 유닛(105)에는 상기 비상버튼(EB)의 조작에 따라 상기 케이지(200)의 메인 전원(AC) 공급을 차단하는 비상차단부(140)를 구비시켜서 된 것이다.
도면에서, 상기 비상차단부(140)는 비상버튼(EB)의 조작시에 턴온되어 상태를 유지하는 사이리스터(SCR) 및 상기 사이리스터(SCR)의 턴온에 따라 케이지(200)의 각 부로 공급되는 메인 전원(AC)을 차단하는 상폐 접점의 릴레이(K)로 구현되고 있다. RST는 사이리스터(SCR)를 턴오프시키기 위한 리셋스위치이다.
이러한 제3 실시예의 구성도,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구성에 포함시켜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비된 비상버튼(EB) 및 비상차단부(140)을 구비하면, 긴급을 요하는 비상상황에서 건물(100) 각 층의 비상버튼(EB) 조작에 의해 케이지(200)의 운행을 긴급 정지시킬 수 있으므로, 갑자기 닥쳐올 수 있는 각종 비상상황에 대한 사고 방지 및 그 피해 정도를 줄일 수 있다.
물론, 상기 케이지(200) 내에는 종래에도 탑승자가 케이지(200)의 운행을 비상 정지시키기 위한 비상스위치가 마련되어 있었으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와 같이 각 층마다 비상버튼(EB)가 구비되면, 탑승자 뿐 아니라 각층의 탑승 대기자 또는 작업자가 당면하거나 확인할 수 있는 각종 긴급 상황에 더욱 신속히 대처할 수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4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4 실시예는, 도 6 및 7 의 도시와 같이 케이지(200)를 승하강 구동하는 모터(270)에 구동축의 회전을 펄스신호로 검출하는 센서 수단을 구비시켜서, 케이지(200)의 운행층을 판단하기 위한 센싱 정보를 획득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센서 수단은 모터(270)의 구동축(270a) 상에 외주로 다수의 홈(276a)이 일정간격 형성된 회전부재(276)를 축결하고, 모터(270)의 구동축(270a)을 감싸는 커버(272)에 브래킷(274)을 이용하여 상기 회전부재(276)의 홈(276a)을 감지할 수 있는 케이지 위치검출용 센서(262)를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커버(272)는 통상적으로 모터(270) 바디와 후렌지 결합되어 고정되는 보호 및 커플링 부재로서, 그 후단으로는 도시 생략된 감속기 바디와 연계되어 있다.
상기 케이지 위치검출용 센서(262)는 감지 대상과의 거리 차에 따른 조건 변화를 감지하도록 광센서 혹은 근접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제4 실시예의 구성도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구성에 포함시켜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케이지(200)의 이동을 케이지 위치검출용 센서(262)에서 연속적인 펄스신호로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이에 따라 케이지(200) 내의 제어부(230)에서는 상기 센서(262)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의 펄스를 카운팅하여 미리 정해진 알고리즘에 따라 계산함으로써 케이지 운행층을 판단하여 표시부(222)를 통해 표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구성은 센싱 부위의 오염원에 대한 노출정도가 적으므로 윤활유나 쇳가루 등으로 인한 센싱 부위의 오염 우려가 큰 종래에 비해 신뢰성 있는 센싱 능력을 장수명으로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종래에 케이지의 위치검출용 센서에 구비되던 피니언기어와 센서의 구성을 개선하여 모터(256)측으로 이설한 것이므로 센서의 설치에 필요한 번잡한 구조를 간소화하게 개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5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5 실시예는, 도 8 의 도시와 같이, 케이지(200)의 모터(270)로 공급되어 소비되는 구동전류값을 전압 검출하는 전류검출기(CT)와, 상기 전류검출기(CT)의 신호에 의해 케이지(200)의 승, 하강 상태를 판단한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건물(100) 각 층의 조작패널(110)에 램프(LED1,LED2)로 표시하는 비교판단부(152)가 구비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들(CT,152)은 건물(100) 측의 방호울부에 설치된 송신 유닛(105)에 구비된다.
즉, 본 제5 실시예는 케이지(200)가 건물(100)의 저층에서 상층으로 승강할 때는 상층에서 저층으로 하강할 때에 비해 모터(270)에서 소비되는 전류값이 크게 되는 것을 바탕으로 한 것으로, 이를 구현하는 본 실시예의 회로 구성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터(270)의 계자권선 중 공통단자(T)측으로 연결된 전선을 전류검출기(CT)로 사용된 원형의 션트로 둘러싸서, 전선에 흐르는 구동전류값에 대응하는 전압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션트(CT)의 출력단은 브리지정류회로(BD)의 입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브리지정류회로(BD)의 출력단은 저항(R1,R2,R3)에 의해 기준전압이 설정된 두 개의 비교기(C1,C2)의 입력단에 분기 연결되어 구성됨으로써, 전선에 흐르는 전류값에 의해 제공되어 비교기(C1,C2)에 입력단에 인가되는 전압이, 저항(R1,R2)이 제공하는 제1 기준전압(V1)보다 높으면 케이지(200)의 상승상태를 표시하는 램프(LED1), 저항(R2,R3)가 제공하는 제2 기준전압(V2)보다 높고 상기 제1 기준전압(V1)보다 낮으면 케이지(200)의 하강상태를 표시하는 램프(LED2)를 점등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램프(LED1, LED2)는 건물(100) 각 층의 조작패널(110)에 설치되어, 송신 유닛(105)에 구비된 본 회로(152)로 배선 연결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본 실시예는 케이지(200)에 별도의 복잡한 승하강 감지장치를 설치하지 않고서도 방호울부의 배전장치(도시생략)에서 공급되어 케이지(200)의 모터(270)로 흐르는 전류값을 송신 유닛(105)에 구비시킨 션트(CT) 및 비교판단부(152)로 구성된 회로에 의해 처리하여 케이지(200)의 승하강 상태를 조작패널(110) 상에 정확히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건물 층의 대기자는 케이지(200)의 운행상태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어 협착사고 등의 예방에 유용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건물 각 층의 호출신호가 유선에 의해 조작패널로부터 송신 유닛의 무선송신기로 연결되어 무선 송출되도록 구성된 것이므로 고가의 무선송신기의 수량을 하나로 감축할 수 있어 설치 및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동시에 송수신 시스템의 고장 및 각층에서 무선 송신기를 사용할 경우 발생될 수 있는 송수신 불량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둘째, 케이지의 이동방향에 존재하는 장애물을 케이지 도달 이전에 감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신체나 거푸집 등이 건물과 케이지 사이에 끼이게 되는 협착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셋째, 비상상황에서 건물의 각층에서도 케이지의 이동을 비상 정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고의 방지 및 피해 정도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넷째, 케이지 위치검출용 센서의 구조를 오염방지에 적합하게 개선함으로써 케이지 위치감지 센서의 오염으로 인한 케이지의 운행 중단 및 동작 이상을 방지하여 케이지의 동작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섯째, 간단한 회로구성에 의해 케이지의 승하강 상태를 정확히 표시하게 한 것이므로 건물 각 층의 탑승 대기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고 대기자의 접근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협착사고의 방지에 유용하다.

Claims (5)

  1. 건설 자재 및 사용자를 적재하는 케이지를 수직으로 형성된 이송 가이드에 따라 건물의 각 층으로 승강시키는 건설현장용 리프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를 해당 호출층으로 호출하기 위한 버튼을 갖추며, 상기 건물의 각층마다 설치되는 다수의 조작 패널;
    상기 각 조작 패널의 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호출층의 정보를 실은 코드 신호를 각각 발생하는 다수의 코드신호 발생부;
    상기 다수의 코드신호 발생부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코드 발생부로부터 각각 전송되는 코드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조하여 송출하는 단일 무선송신기;
    상기 케이지 내에 설치되며, 상기 무선 송신기로부터 송출된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코드 신호를 검출하는 무선 수신부;
    상기 검출된 코드 신호에 따라 상기 케이지가 상기 호출층으로 승강 되도록 구동하는 모터;
    상기 케이지의 몸체에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케이지의 승강시에 상기 케이지의 진행 방향에 이물질이 감지되면 상기 모터의 동작을 중단시켜 상기 케이지를 정지시키는 장애물 감지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장애물 감지 수단은,
    상기 케이지 몸체 상부의 가이드에 상부 방향으로 각각 이격 설치된 두개의 장봉과, 상기 장봉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두개의 리미트 스위치 및 상기 리미트 스위치의 작동간을 상호 연결하는 와이어를 구비하여, 상기 케이지의 승하강 시에 상기 와이어에 장애물이 접촉되면 상기 리미트 스위치의 연결 접점이 절환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을 중단시키는 승하강 협착감지부;
    상기 케이지의 하부에 판형으로 이격 설치된 두개의 스위치 장착 부재와, 작동간이 상부 방향을 통하여 탄지되도록 상기 스위치 장착 부재에 각각 설치된 두개의 리미트 스위치와, 상기 두개의 리미트 스위치의 작동간의 탄지력을 합한 것보다 큰 하중을 가지며 상기 각 리미트 스위치의 작동간에 소정 길이어 와이어를 통하여 연결되는 수평바를 구비하여, 상기 케이지 하강 시에 진행 방향에 위치하는 장애물에 부딪혀 상기 수평바가 들려지면 상기 리미트 스위치의 작동간이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리미트 스위치의 접점이 절환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을 중단시키는 장애물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현장용 리프트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19990017480A 1999-05-15 1999-05-15 건설현장용 리프트 시스템 KR100327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7480A KR100327945B1 (ko) 1999-05-15 1999-05-15 건설현장용 리프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7480A KR100327945B1 (ko) 1999-05-15 1999-05-15 건설현장용 리프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3898A KR20000073898A (ko) 2000-12-05
KR100327945B1 true KR100327945B1 (ko) 2002-03-14

Family

ID=19585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7480A KR100327945B1 (ko) 1999-05-15 1999-05-15 건설현장용 리프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79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6032B1 (ko) 2018-10-26 2019-05-07 주승철 2칼라 led가 구비된 건설리프트 자동운행장치용 운행정보 및 오작동발생정보 표시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제어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628B1 (ko) * 2002-05-07 2005-02-21 주식회사 아이알에프제어 네트워크 기반의 건설용 리프트 카 원격 제어 시스템 및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6032B1 (ko) 2018-10-26 2019-05-07 주승철 2칼라 led가 구비된 건설리프트 자동운행장치용 운행정보 및 오작동발생정보 표시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제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3898A (ko) 2000-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2557B1 (ko)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EP2080725B1 (en) Elevator system
KR100440598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GB2128958A (en) Vertically movable working platform
EP1867594B1 (en) Elevator system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JP2006044844A (ja) エレベーターの運転制御装置
KR100327945B1 (ko) 건설현장용 리프트 시스템
US4011928A (en) Elevator system
KR100975758B1 (ko) 엘리베이터 구조운전 회로
JP6797103B2 (ja) エレベーターの乗り場ドア安全装置、エレベーターの乗り場ドア安全装置の駆動方法、およびエレベーター
KR101715330B1 (ko) 엘리베이터의 피트 전용 수동 운전리모컨
JP2000318948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6471202B1 (ja) エレベータの制御システム
JP7378258B2 (ja) エレベーターのピットアウト連絡支援方法、及びエレベーターのピットアウト連絡支援システム
US20190389695A1 (en) Elevator system
JPH0789680A (ja) 工事用エレベータ
KR101567507B1 (ko) 컨트롤 회로를 활용한 복합 기능성 호이스트
JP2021127210A (ja)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JP7308967B2 (ja) 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エレベーター制御方法及び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JPH09249360A (ja) エレベーターのリミットスイッチ動作点検装置
JP2001002340A (ja) エレベータのブレーキ解放装置
CN108792852B (zh) 电梯信号传输装置
JP6614445B2 (ja) 移載装置
JP2559468B2 (ja) エレベータの保守装置
JP3927268B2 (ja) エレベータかごの姿勢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2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