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5758B1 - 엘리베이터 구조운전 회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구조운전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5758B1
KR100975758B1 KR1020090092068A KR20090092068A KR100975758B1 KR 100975758 B1 KR100975758 B1 KR 100975758B1 KR 1020090092068 A KR1020090092068 A KR 1020090092068A KR 20090092068 A KR20090092068 A KR 20090092068A KR 100975758 B1 KR100975758 B1 KR 100975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rescue
safety
door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2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병국
박상원
Original Assignee
전병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병국 filed Critical 전병국
Priority to KR1020090092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57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5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57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7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o permit passengers to leave an elevator car in case of failure, e.g. moving the car to a reference floor or unlocking the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구조운전 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구조운전 회로는, 비상정지 스위치와 구조운전 전환용 키 스위치에 의해 RD(Rescue Device)구조운전이 되는 구조운전 시작부(140); 엘리베이터에 장착된 각종 안전회로로부터 각 안전회로의 이상 유무 정보가 감지되는 감지부(110);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정보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상승 또는 하강 운전의 신호가 결정되는 처리부(120); 및 상기 처리부로부터 내려지는 신호에 따라 엘리베이터가 상승 운전 또는 하강 운전되는 구동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120)는, 엘리베이터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안전회로 중에 어떤 안전회로가 이상을 발생하였는지 감지하는 감지제어부(128-1); 및 상기 감지제어부(128-1)로부터 확인되는 고장난 안전회로만 무효화하고 고장 나지 않은 안전회로는 유효화하여 구조운전 중에 추가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요인을 방지하도록 하는 비상(EM: Emergency)안전릴레이 처리부(12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승객 갇힘, 엘리베이터 사고, 구출운전, 구조운전, 층간 갇힘, 엘리베이터, 승강기, 안전회로, ARD, Rescue

Description

엘리베이터 구조운전 회로{Rescue Circuit of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구조운전 회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측과 하측 사이의 어중간한 위치에 엘리베이터 카가 멈추는 경미한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에 엘리베이터 카를 구동시켜 탑승자를 안전하게 구출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구조운전 회로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는 건물에 설치되어 수직방향으로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는 구조물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탑승자가 탑승하는 카(car: 1), 카를 승강 작동시키는 권상기(4), 가이드 레일(안내궤도), 권상기의 부하(負荷)를 경감시키기 위하여 카의 무게와 상대적으로 매달려 움직이는 균형추(카운터 웨이트: 5), 카(1)와 균형추(5)를 연결하여 권상기(4)의 도르래에 걸리는 와이어로프(wire rope), 및 상술한 엘리베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엘리베이터의 권상기에 인가하는 전원은 교류식과 직류식이 있고, 교류식은 3상 유도 전동기를 사용하며, 직류식은 엘리베이터 1대마다 전동발전기를 설치하여 직류전압을 권상기의 직류전동기에 공급하여 구동시키는 것이고, 본 발명에서는 교류식(인버터: VVVF)을 예로서 설명한다.
또한, 엘리베이터의 운전방식에 있어서는, 운전자에 의한 운전방식, 자동식, 평상시에는 운전자가 운전하고 한가할 때는 자동식으로 전환하는 방식, 평상시에는 자동운전하고 특별한 경우에 운전자가 운전하는 방식 등이 있고, 최근에는 전자동군관리(全自動群管理) 방식을 채택한 것도 있다.
엘리베이터에는 많은 안전장치가 구비되어 있지만, 종종 엘리베이터의 안전사고를 접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안전사고는 물리적으로 기계적 구성이 파손되지 않는 비교적 경미한 고장으로 인하여 카(1)가 임의의 위치에서 멈춰서는 것이 대부분이다.
엘리베이터에 장착된 여러 가지 안전장치 중에서도 특히 권상기에서 로프를 풀어주거나 되감아 줄 때에 규정 속도를 초과하게 되면 자동으로 스위치를 작동시켜 엘리베이터 카를 정지시키는 조속기가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에는 각종 안전스위치(리밋트 스위치)와 센서가 장착되어 카(1)가 최하층 또는 최상층에 도달하기 전에 이상을 검출하여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6)에 지령을 내리고 그 지령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카(1)가 속도를 줄여 멈추어 설 수 있도록 한다.
즉, 정상적인 운행 중에 예상하지 못한 이유로 여러 가지 안전장치의 리밋스위치 및 센서 중에 어느 하나가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시키면 엘리베이터의 카(1)는 무조건 정지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그 정지된 이유가 사소한 이유일 때가 대부분이고 이러한 경우 간단한 조작으로 엘리베이터를 정상가동 시킬 수 있지만 이는 보수업체 전문기술자만이 처리가 가능하여 구출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탑승객은 엘리베이터에 갇혀있는 경우가 대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의 카(1)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층과 하층 사이 중간에 멈춰서면 탑승객은 극도의 불안감을 느끼게 되고, 구출이 시간이 지연되면 갇힌 탑승객은 무리하게 탈출을 시도하다가 2차적인 사상 또는 추락사망 사고를 당하게 될 수 있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현재 설치된 엘리베이터 중에는 기계실이 없는 특수엘리베이터가 있고, 이러한 특수엘리베이터에는 발진제동장치라는 구조운전 장치가 설치되어있다.
작동방법은 주(MAIN)전원을 끄고(OFF), 커버나이프 스위치(발진제동스위치)를 전환함으로써 모터의 U, V, W 3상을 일반적(common)상태로 유지하며, 제동장치를 강제(수동레버 및 비상전원 배터리 사용) 개방하면 중력에 의해 무거운 쪽이 내려온다.
이때 속도는 일정하게 유지되지만 매우 느린 속도(3.6m/min이하)로 이동하며, 지속적으로 이동하지 않고 이동과 멈춤을 1초 내지 5초 간격으로 반복하며 작동하기 때문에 갇힌 승객이 극도의 공포감을 느끼는 것이다.
정상적으로 작동되더라도 구조되기까지 시간이 매우 오래 걸리며 엘리베이터 카와 균형추의 밸런스가 회사별로 차이가 있지만 승객이 몇 명 탑승했느냐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와 균형추의 밸런스가 비슷할 경우 정상작동이 안 되는 경우가 빈번하여 실질적인 구조운전을 수행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또 다른 한편으로, 엘리베이터의 안전사고의 형태가 경미하든 심각하든 상관없이 탑승자의 안전이 우선이므로, 구조요원은 물리적인 힘을 가하여 강제로 문을 개방하고 탑승자를 구출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무리하게 물리적인 힘을 엘리베이터에 가할 때에는 카의 외부 도어(3)와 카 도어(2)가 파손되어 복구하는데 비용손실 및 복구시간이 무척 오래 걸리고, 또한 물리적인 힘을 가할 때 발생하는 소음은 탑승객에게 더욱 위협적인 소음으로 전달되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물리적인 힘을 가하여 억지로 카(1)의 외부도어(3)와 카 도어(2)를 열었다 할지라도 층간 사이에 어중간하게 멈춰진 상태에서는 위층으로 탈출할지 아래층으로 탈출할지 애매모호하고, 구출하는 과정이 매우 위험천만한 것이다.
또 다른 한편으로, 한국 승강기안전 관리원에서 발표하는 자료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고장유형 중 96.0%는 중간에 멈추는 고장으로 알려져 있고, 엘리베이터 고장으로 카 안에 갇힌 승객을 구출하는 사람은 일반적으로 건물관리자(43.1%), 보수업체 전문기술자(35.7%), 119 구조대(11.9%), 구출자 없음(7.6%), 확인 안됨(0.9%), 탈출(0.7%) 순으로 알려져 있다.
건물관리자의 경우 구출절차 및 안전한 구출방법을 숙지하지 못하면 구출과 정에서 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부득이한 경우를 제외하고 전문가에게 맡겨야 한다.
그러나 보수업체 전문기술자의 출동시간은 현지 상황에 따라 지연될 수 있고, 대부분 기다리지 못하고 119 구조대를 구조 요청하는 사례가 빈발하며, 이로써 119 구조대원이 정작 필요한 곳에 배치되지 못하는 폐단이 있었다.
다른 한편으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알려진 기술로서 본 발명의 출원인에 출원하여 등록된 등록특허 제10-0809373호 "엘리베이터 자동 구조운전 회로"가 있다.
상술한 종래의 엘리베이터 자동 구조운전 회로는 엘리베이터에 경미한 고장으로 인하여 엘리베이터가 정지되었을 때에 구조운전을 실시하여 탑승객을 구출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엘리베이터 자동 구조운전 회로는 구조운전이 진행되는 도중에 극한의 안전장치만을 유효화 시키고 일반적인 안전장치(또는 각종 안전 스위치 등)를 무효화시킨 상태에서 운전될 수가 있고, 이러한 경우에는 구조운전이 진행되는 도중에 예상하지 못한 또 다른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지만 그러한 상황에 적절하게 대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물리적인 기계구성 결함/파손 등 중대한 사고가 아닌 단순한 시스템 오류로 인한 경미한 사고일 때에 쉽고 빠르게 구조운전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구조운전 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엘리베이터의 시스템오류, 안전회로 작동, 또는 정전사고 등의 이유로 인하여 층과 층 사이에 엘리베이터의 카가 멈추었을 때에 구조요원이 카에 물리적인 외력을 가하지 않고 구조운전자가 가장 가까운 층으로 신속하게 운전하여 탑승자를 안전하게 구출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자동 구조운전 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종 안전장치 중에서 에러가 발생한 해당 안전스위치(또는 안전장치)의 기능만을 무효화하고 그 외에 다른 안전스위치(또는 안전장치)를 유효화하여 구조 운전을 실시하는 도중에 새롭게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자동 구조운전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엘리베이터의 방식(로프식, 유압식)과 엘리베이터의 제조사와 상관없이 장착하여 탑승자를 구출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자동 구조운전 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 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구조운전 회로는, 비상정지 스위치와 구조운전 전환용 키 스위치에 의해 RD(Rescue Device)구조운전이 되는 구조운전 시작부; 엘리베이터에 장착된 각종 안전회로로부터 각 안전회로의 이상 유무 정보가 감지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정보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상승 또는 하강 운전의 신호가 결정되는 처리부; 및 상기 처리부로부터 내려지는 신호에 따라 엘리베이터가 상승 운전 또는 하강 운전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엘리베이터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안전회로 중에 어떤 안전회로가 이상이 발생하였는지 감지하는 감지제어부; 및 상기 감지제어부로부터 확인되는 고장난 안전회로만 무효화하고 고장 나지 않은 안전회로는 유효화하여 구조운전 중에 추가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요인을 방지하도록 하는 비상(EM: Emergency)안전릴레이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감지제어부에서 감지하는 엘리베이터 안전회로는, 로프 늘어짐 감지(slack rope)S/W, 완충기(buffer)S/W, 세프티 디바이스(safety device)S/W, 조속기(governor)S/W, 파이널(final)S/W, 조속기 로프 텐션(governor rope tension) S/W, 사다리(ladder)S/W, 중량 검출(weight detection)S/W, COP E-STOP(car operation panel emergency - stop: 카 운전반 비상정지) S/W 및 비상구(exit)S/W를 포함하고, 로프 늘어짐 감지(slack rope)S/W, 세프티 디바이스(safety device)S/W, 조속기(governor) S/W 작동 검출시 하강운전 제한과 카 도어 스위치(CDS: car door switch), 승강장 도어(HDS: hall door switch), 비상구(exit) 닫힘 확인과 사다리(ladder)점검보수용 발판이 펼쳐진 것인지를 이중으로 확인하는 것일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구조운전 회로는 로프식 엘리베이터와 유압식엘리베이터에 상관없이 장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구조운전 회로는 엘리베이터의 운전에 반드시 필요한 최대한 안전회로의 기능을 유지시킨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구조운전을 실시하는 것으로 안정성을 확보한 상태에서 더욱 신속하게 탑승객을 구조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자동 구조운전회로는 각종 안전장치 중에서 에러가 발생한 해당 안전스위치(또는 안전장치)의 기능만을 무효화하고 그 외에 다른 안전스위치(또는 안전장치)을 유효화하여 구조 운전을 실시하는 도중에 새롭게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에 대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구조운전 회로는 엘리베이터의 탑승객 갇힘 사유를 이유로 119 구조요원의 출동 횟수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고, 특히 단순 한 갇힘 사고 등의 사고발생 유형이 극히 단순할 때에는 관리자가 구조운전회로를 운용하여 탑승객을 신속히 구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119 구조요원은 출동이 현저하게 줄어 본연의 임무에 충실할 수 있다.
또한, 119 구조요원이 출동하여 승객을 구출하는 과정에서 엘리베이터의 외부 도어 및 카 도어를 물리적인 외력을 가하여 파손하지 않고서도 신속하게 탑승객을 구출할 수 있는 것으로, 탑승객은 심리적으로 불안감을 덜 받아 안도감을 갖는 것이다.
특히 엘리베이터의 외부 도어 및 카 도어에 물리적인 외력을 가하지 않음으로써 물질적인 손실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고, 더욱 짧은 시간 내에 엘리베이터를 복구 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의 정상운행을 신속하게 재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등록된 등록특허 제10-0809373호를 더욱 안정적으로 구조운전을 실시할 수 있도록 개량된 발명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구조운전 회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엘리베이터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회로를 적용한 실시 예를 보인 블록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회로를 보인 상세 회로도이다.
상술한, 도 4 및 도 5는 하나의 회로도면이지만, 지면 제약으로 인하여 2개의 도면으로 나누어 나타낸 것이다.
엘리베이터는 수많은 안전장치가 장착되어 있어 예상하지 못한 사고로부터 탑승자의 안전을 확보하는 것이고, 다음에 서술한 바와 같이 여러 가지 안전장치가 반드시 설치 및 시공되어야 한다.
(1) CDS(car door switch), HDS(hall door switch): 카 및 승강로의 모든 출입문이 닫혀 있지 않으면 카(car)가 움직이지 않는 장치.
(2) 도어 키(도어 KEY): 카가 정지하고 있지 않은 층에서는 특수한 키를 사용하지 않으면 밖에서 승강로의 출입문을 열 수 없도록 하는 장치.
(3) 수동 운전반: 조작자가 스위치를 조작하여 운전하는 방식인 경우에는 조작자가 조작을 중지하면 자동 적으로 카를 정지시키는 장치.
(4) 비상정지 스위치: 카 내(內) 및 카 위에서 동력을 차단할 수 있는 장치.
(5) 조속기: 카의 속도가 비정상적으로 증대한 경우에는 매분의 속도가 정격속도의 1.3배(정격속도가 45m/min 이하인 엘리베이터는 63m/min)를 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동력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장치.
(6) 모터 브레이크(MOTOR 브레이크): 동력이 차단되었을 때 관성에 의한 전 동기의 회전을 자동으로 제지하는 장치.
(7) 세프티 디바이스: 카의 하강하는 속도가 상술한 (5)에서 규정한 장치가 작동하는 속도를 넘었을 때에는 매분의 속도가 정격속도의 1.4배(정격속도가 45m/min 이하인 엘리베이터는 68m/min)를 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카의 하강을 자동으로 제지하는 장치.
(8) 파이널(FINAL) 스위치: 카가 승강로 바닥에 충돌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카의 승강을 자동으로 제어하여 정지시키는 장치.
(9) 완충기: 카 또는 균형추가 상술한 (7)에서 규정한 장치가 작동하는 속도로 승강로 바닥에 충돌하는 경우에 충격을 완화하는 장치.
(10) 인터폰: 정전 등의 비상시에 카 내에서 외부로 통화할 수 있는 장치.
(11) 로프 늘어짐 검출장치: 권동식 또는 유압식, MRL(기계실 없는) 특수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주 로프가 이완 또는 이탈되는 경우에 동력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장치.
(12) 오버로드: 적재하중을 초과하면 경보를 울리고 출입문의 닫힘을 자동으로 제지하는 장치.(이 장치의 작동치는 정격 적재하중의 105∼110%를 표준으로 함)
(13) 비상등: 정전시에 램프 중심부로부터 2m 떨어진 수직면상에서 측정하여 1Lux 이상의 조도를 확보할 수 있는 예비조명장치.
(14) 도어 웨이트 및 스프링: 승강장 문이 카 문과의 연동에 의해 열리는 방식에서는 자동으로 승강장의 문이 닫히는 쪽으로 힘을 작용시키는 장치.
(15) 역결상 검출기: 동력의 상이 바뀌면 카가 역으로 운행하는 것을 방지하 기 위한 장치.
(16) 상승과속방지장치: 승강기 제어시스템, 브레이크 및 상승방향으로 카 속도를 좌우하는 부품의 고장으로 승객이 상해를 입을 위험에 대하여 보호할 수 있는 상승방향 과속방지장치.
(17) 가이드레일 제동장치 또는 로프브레이크: 승강기 제어시스템, 또는 구동기의 브레이크 고장이 원인이 되어, 카가 착상구간에서 승강장 문을 잠그지 않은 상태에서 통제 불능한 운행을 일으켜 그 결과로 승객이 상해를 입을 위험에 대하여 보호할 수 있어야 하고, 카가 승강장에서 1,200mm를 이동하기 전에 통제 불능한 이동을 감지하여 카를 완전히 정지시킬 수 있는 장치.
(18) 도어 스위치 접점확인: 정상운전모드에서 착상구간 범위 내에 있는 카 도어 또는 승강장문 중 어느 곳에서나 도어스위치 접점이 쇼트가 되거나 인위적으로 단락된 경우 이를 감지하여 강제로 승강기 운행을 정지시키는 기능.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회로(100)는 엘리베이터에 장착된 각종 안전회로로부터 얻어지는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110), 상술한 감지부(110)로부터 얻어진 정보를 받아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결정하는 처리부(120) 및 처리부(120)로부터 내려지는 지령에 따라 엘리베이터를 운전하는 구동부(130)를 포함한다.
첨부도면 도 2는 로프식의 엘리베이터를 보인 실시 예이고, 도 3은 유압식 엘리베이터를 보인 실시 예이다.
즉,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구조회로(100)는 어떠한 형태의 엘리베이터이든지 장착하여 사용되는 것이고, 엘리베이터를 운전하는 기본적인 구성은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에 그대로 이용하는 것인바 엘리베이터의 구성과 구동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회로(100)의 상세한 구성은 첨부도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구조회로(100)의 설명에서 "ON"은 회로가 닫히는 것을 의미하고, "OFF"는 회로가 열리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세한 설명 또는 도면에 기재된 용어 중에 "RD"는 Rescue Device의 약자로서 일반적인 구조운전을 의미하고, "ARD"는 auto rescue drive의 약자로서 2차 구조운전을 의미하며, "RD/ARD"는 일반적인 구조운전과 2차 구조운전을 모두 포함하는 구조운전을 의미한다.
또한,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 기재된 용어 중에 "EL"은 엘리베이터(elevator)를 의미하고, "door"는 엘리베이터 문을 의미하며, "도어 존", "DZ" 또는 "door zone"은 엘리베이터의 문을 열 수 있는 구간을 의미한다.
또한, 상술한 구조회로(100)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조운전을 시작하기 위하여 제어하는 구조운전 시작부(140)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상술한 구조운전 시작부(140)는 비상정지 스위치와 구조운전 전환용 키스위치를 포함하고, 상술한 비상정지 스위치는 구조운전 장치와 함께 설치되고, 상술한 구조운전 전환용 키스위치는 엘리베이터의 관리자에 의하여 작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비상정지 스위치가 켜지고, 관리자에 의해 구조운전전환용 키스위치가 켜져야만 RD(Rescue Device)구조운전이 시작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구조운전 시작부(140)에는 구조운전이 시작됨과 아울러 구조운전이 시작됨을 알리는 안내방송을 동시에 송출하는 것이고 이러한 방송은 엘리베이터의 탑승자에게 제공되어 현재 상태가 어떠한 상태이고 어떠한 과정으로 구조과정이 이루어질지를 알리는 것이다.
상술한 감지부(110)는 ARD(auto rescue drive: 2차 구조운전) 인버터 감속시작 감지부(111), RD/ARD 도어 존 레벨 감지부(112), RD/ARD 상승제한 감지부(113), RD/ARD 하강제한 감지부(114)를 포함한다.
상술한 ARD 인버터 감속시작 감지부(111)는 2차 구조운전할 때 엘리베이터의 카(1)가 도어 존(door zone: 엘리베이터 문이 열릴 수 있는 구간)에 근접하여 하-레벨감지센서(LDS)와 상-레벨감지센서(LUS) 중에 어느 하나가 "ON"되어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면 카(1)의 승, 하강 속도는 감속을 개시하는 것이다.
또한, RD/ARD 도어 존 감지부(112)는 엘리베이터의 카(1)의 상부에 하-레벨감지센서(LDS)와 도어 존(door zone) 감지센서와 상-레벨감지센서(LUS)를 수직방향으로 이격시켜 배치되고, 엘리베이터의 카(1)가 승강하는 승강로 한쪽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층마다 감지 판(7)이 설치된 구성으로, 엘리베이터의 카(1)가 정상적인 레벨에 멈추어 섰을 때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이고, 상술한 구조운전 시작부(140)와 연동하는 것이다.
즉, 상술한 하-레벨감지센서(LDS)와 상술한 도어 존(door zone) 감지센서와 상-레벨감지센서(LUS)와 구조운전 시작부(140)가 모두 "ON" 되어야만 RD/ARD 도어 존 감지부(112)가 "ON" 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RD/ARD 도어 존 감지부(112)에는 LCD 디스플레이와 알람을 더 포함할 수 있고, LCD 디스플레이에 레벨이 맞았다는 문구와 문을 개방해도 된다는 안내 문구를 표시하고 동시에 음성안내를 출력하여 구조운전자에게 시청각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하여 열림 버튼을 작동하여도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술한 RD/ARD 상승제한 감지부(113)는 엘리베이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UL(상승제한 리밋트 스위치)에 의해서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면 엘리베이터가 강제로 정지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RD/ARD 하강제한 감지부(114)는 엘리베이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DL(하강제한 리밋트스위치)에 의해서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면 엘리베이터가 강제로 정지되는 것이고, 추가로 엘리베이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여러 가지 안전장치 중에서 로프 늘어짐 검출 S/W와 조속기S/W 및 세프티 디바이스S/W 중에 어느 하나에서 감지신호가 발생되면, 구조운전 시작부(140)에서 구조운전을 하더라도 하강운전이 금지된다.
또한, RD/ARD 하강제한 감지부(114)가 "ON"이면, LCD 디스플레이에 "하강은 금지되고 상승운전만 가능하다"는 경고 문구와 음성안내를 출력하여 하강운전이 제한되는 상태임을 알리는 것이다.
로프식 및 유압식 엘리베이터에서 RD(Rescue Device)구조운전을 실시할 때에 엘리베이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여러 가지 안전장치 중에서 로프 늘어짐 검출 S/W와 조속기S/W 및 세프티 디바이스S/W를 무시하고 구조운전이 시행된다면 로프식 엘리베이터에서는 엘리베이터 모터만 공회전만 할 수 있고, 유압식 엘리베이터에서는 유압 실린더만 하강하여 엘리베이터 와이어로프가 이탈되는 등 예상하지 못한 더 큰 안전사고 유발 할 수 있어 이러한 추가 위험을 예방하는 것이다.
상술한 처리부(120)는 RD/ARD 상승운전 처리부(121), RD/ARD 하강운전 처리부(122), RD/ARD 도어 열림 처리부(123), RD/ARD 도어 닫힘 처리부(124), 엘리베이터 수동모드 강제전환 및 수동운전차단 처리부(125), 구조운전장치 음성안내 처리부(126, 127), 비상(EM: Emergency)안전릴레이 처리부(128), 감지제어 처리부(128-1), CDS 카 도어 릴레이 처리부(129), HDS 홀 도어 릴레이 처리부(129-1)를 포함한다.
상술한 CDS 카 도어 릴레이 처리부(129)에서 "CDS 카 도어 릴레이"는 "car door switch car door relay"이고, 상술한 HDS 홀 도어 릴레이 처리부(129-1)에서 "HDS 홀 도어 릴레이"는 "hall door switch hall door relay"이다.
상술한 RD/ARD 상승운전 처리부(121)는 구조운전 키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통전회로가 닫히는 것이고, 엘리베이터 수동모드 강제전환 및 수동운전차단 처리부(125)가 "ON"이고, RD/ARD 하강제한 감지부(114)가 "ON" "OFF" 상관없으며, RD/ARD 도어 존 감지부(112)가 "OFF"이고, 최상단 상승제한 리밋트 스위치(UL)가 "OFF"일 때에 상승 운전하는 것이고, 또한 상승운전을 시작하기 전에 안내방송을 탑승자가 들을 수 있도록 송출하는 것이다.
상술한 RD/ARD 하강운전 처리부(122)는 구조운전 키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통전회로가 닫히는 것이고, 엘리베이터 수동모드 강제전환 및 수동운전차단 처리부(125)가 "ON"이고, RD/ARD 하강제한 감지부(114)가 "ON"이며, RD/ARD 도어 존 감지부(112)가 "OFF"이고, 최하단 하강제한 리밋트 스위치(DL)가 "OFF"일 때에 하강 운전하는 것이고, 또한 하강운전 시작하기 전에 안내방송을 탑승자가 들을 수 있도록 송출하는 것이다.
특히, RD/ARD 하강제한 감지부(114)가 "OFF" 이면 하강운전은 작동하지 않게 되고, 상승운전만 할 수 있으며, LCD 디스플레이에 "하강은 할 수 없으며 상승운전만 작동된다."는 안내문구 표시와 음성안내로 구조운전자에게 알린다.
상술한 RD/ARD 도어 열림 처리부(123)는 RD/ARD 도어 존 감지부(112)가 "ON"되고, RD/ARD 도어 열림 KEY S/W를 "ON" 조작하였을 때에 카 도어(2)와 외부 도어(3)가 열리도록 한 것이다.
상술한 RD/ARD 도어 열림 처리부(123)에는 문 열림 안내방송(126)을 미리 송출하여 음성을 청각적으로 듣고 문이 곧 열릴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술한 RD/ARD 도어 닫힘 처리부(124)는 RD/ARD 도어 존 감지부(112)가 "ON"되지 않은 구간에서도 RD/ARD 도어 닫힘 KEY S/W를 "ON" 하면 엘리베이터가 정지된 어떤 구간에서도 엘리베이터의 문을 닫을 수 있게 한 것이다.
상술한 RD/ARD 도어 닫힘 처리부(124)에는 문 닫힘 안내방송(126)을 미리 송출하여 음성을 청각적으로 듣고 문이 곧 닫힐 것 이라는 것을 알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감지제어부(128-1)에서 감지하는 엘리베이터 안전회로의 예로서 로프 늘어짐 감지(slack rope)S/W, 완충기(buffer)S/W, 세프티 디바이스(safety device)S/W, 조속기(governor)S/W, 파이널(final)S/W, 조속기 로프 텐션(governor rope tension) S/W, 사다리(ladder)S/W, 카운터 웨이트 위치제한 검출(weight detection)S/W, COP E-STOP(car operation panel emergency - stop: 카 운전반 비상정지) S/W 및 비상구(exit)S/W 등이 있을 수 있고, 제작사와 엘리베이터 기종별로 안전회로가 더 많을 수 있어서 안전회로를 추가할 수 있으며, 특히 카 도어 스위치(CDS: car door switch), 승강장 도어 스위치(HDS: hall door switch), 비상구(exit), 사다리(ladder) S/W는 무조건 무효화시키는 게 아니고, 실제로 문이 닫혔는지 또는 사다리(점검용 발판)가 펼쳐졌는지를 이중으로 확인하고, 확인이 안 되면 무효화가 안 되며, 이는 엘리베이터 문이 열린 상태에서 구조운전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추가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요인을 미연에 막는 것이다.
즉, 상술한 비상 안전 릴레이 처리부(128)는 상술한 엘리베이터 안전회로 중에 어느 하나가 이상이 발생되면 엘리베이터는 고장으로 정지하고, 구조운전회로 시작부(140)가 "ON"되면 구조운전회로에서 어떤 안전회로가 이상이 발생하였는지를 감지하고 감지제어부(128-1)에서 개별 제어하여 엘리베이터를 구조운전회로에서 강제로 상승 및 하강으로 운행 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것이다.
상술한 비상 안전 릴레이 처리부(128)에서 각 안전회로라 함은 엘리베이터에 장착된 여러 가지 안전회로 중에서 카(1)가 승, 하강할 때에 안전을 담당하는 것을 의미하고, 비상(EM: Emergency)안전릴레이 처리부(128)의 안전회로를 한꺼번에 무효화하여 구조운전장치를 운전하는 것이 아니고, 고장난 회로만 무효화하고 나머지 모든 안전회로는 유효화시키며, 특히 카 도어(CDS), 승강장 도어(HDS), 비상구(exit), 사다리(ladder) S/W는 무조건 무효화를 시키는 게 아니고, 실제로 문이 닫혔는지 또는 사다리(점검용 발판)가 펼쳐졌는지를 재차 확인하며, 확인이 안 되면 무효화가 안 되며, 이는 엘리베이터 문이 열린 상태에서 구조운전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추가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요인을 미연에 막는 것이다.
상술한 유효화라는 의미는, 해당 안전회로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여 이상을 감지하였을 때에 엘리베이터를 정지시키도록 하는 정상적인 작동을 의미한다.
또한, 상술한 무효화라는 의미는, 해당 안전회로의 고장으로 인하여 엘리베이터가 정지되었을 때에 심각한 안전우려가 없는 경미한 사고일 수 있고, 이러한 경미한 사고일 때에는 해당 안전회로가 작동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상술한 CDS 카 도어 릴레이 처리부(129)는 카(1)의 카 도어(2)가 전기적인 신호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았을 때, 구조운전 시작부(140)가 "ON"이고 감지제어부(128-1)에서 개별 확인(CDS 가 닫혔는지) 제어하여 엘리베이터를 구조운전회로에서 강제로 상승 및 하강으로 운행 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HDS 홀 도어 릴레이 처리부(129-1)는 외부 도어(3)가 전기적인 신호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았을 때, 구조운전 시작부(140)가 "ON"이고 감지제어부(128-1)에서 개별 확인(HDS 홀 도어가 닫혔는지) 제어하여 엘리베이터를 구조운전회로에서 강제로 상승 및 하강으로 운행 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것이다.
상술한 CDS 카 도어 릴레이 처리부(129)와 HDS 홀 도어 릴레이 처리부(129-1)는 카(1)의 카 도어(2)와 외부 도어(3)의 이상(열림 상태)을 검출하는 회로를 의미한다.
상술한 엘리베이터 수동모드 강제전환 및 수동운전차단 처리부(125)는 상술한 구조운전 시작부(140)가 "ON"이면, 엘리베이터의 통제권을 확보하여 제3자의 수동운전을 금지하고, 구조운전의 관리자 외에 다른 제어반 또는 수동운전 조작반에서는 작동할 수 없도록 하는 것으로, 구조운전자만 엘리베이터의 통제권을 갖도록 한 것이다.
상술한 구동부(130)는 엘리베이터 점검 수동운전 구동부(131), 인버터 구동부(132) 및 엘리베이터 브레이크 구동부(133)를 포함한다.
상술한 엘리베이터 점검 수동운전 구동부(131)는 구조운전 시작부(140)에서 1차 구조운전 KEY S/W를 "ON"하고 1차 RD 전환이 "ON" 이면 구조운전회로에서 RD/ARD 상승운전 처리부(121), RD/ARD 하강운전 처리부(122) 신호로 엘리베이터 제어반의 수동운전 상승과 하강을 제어하여 엘리베이터 수동운전을 실시하는 것이다.
상술한 엘리베이터 인버터 구동부(132)는 구조운전 시작부(140)에서 2차 구조운전 KEY S/W를 "ON"하고 2차 ARD 전환이 "ON" 이면 구조운전회로에서 RD/ARD 상승운전 처리부(121), RD/ARD 하강운전 처리부(122), ARD 인버터 감속시작 처리부(111)의 구동신호를 엘리베이터 인버터 구동부(132)로 전송하고 엘리베이터 인버터 구동부(132) 전송신호를 받아 다단스피드 수동운전속도(X1), 레벨링속도(X2), 클리핑속도(X3)와 정회전(FWD), 역회전(REV)과 인버터 가동신호 ENPO(RUN) 신호로 엘리베이터 인버터를 직접제어 하여 엘리베이터 모터를 구동하여 엘리베이터의 카(1)를 상승 및 하강 시키는 것이다.
상술한 엘리베이터 브레이크 구동부(133)는 엘리베이터 인버터 구동부(132) 인버터 가동신호 ENPO(RUN) 신호와 맞물려 동시에 작동하여 엘리베이터 모터를 회전할 수 있도록 브레이크(BRAKE)의 제동을 풀어 엘리베이터의 카(1)를 상승 및 하강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동작 및 작용을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엘리베이터가 고장으로 인하여 멈추어 섰을 때에는 어떠한 원인에 의해 멈췄 는지 또는 어느 센서(감지부)에서 고장이 발생했는지를 엘리베이터 관제실(혹은 관리실, 경비실, 기관실, 전기실, 역무실 등)의 제어반에 알 수가 있다.
관제실의 제어반은 엘리베이터를 관리하는 관리인이 항상 근무를 하고 있고, 제어반에서 이상 신호를 알릴 때에는 관리인이 엘리베이터의 고장을 확인하여 어떠한 조치를 취해야 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통신부를 더 부가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으로 연계될 수도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은 고장이 검출되면 그러한 고장내역 또는 해당 고장내역을 코드화할 수 있으며, 그러한 고장내역을 실질적인 관리자의 휴대폰에 단문 문자를 송신하여 실질적인 관리자에게 알릴 수도 있다.
즉, 엘리베이터의 고장 신호를 관리실에서 나타나더라도 관리자가 부재중이거나 할 때에 고장신호를 알지 못할 수 있지만, 휴대폰 등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해줌으로써 더욱 신속하게 엘리베이터의 고장에 대처할 수 있게 된다.
엘리베이터 자동운전 중에 있어서 발생하는 고장은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대부분 물리적인 결함 보다는 경미한 고장에 의해 멈추어서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어느 부분에서 고장이 발생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상술한 제어반에는 엘리베이터에 설치된 각각의 안전회로로부터 자기진단의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고, 수신하는 결과 값이 정상인지 혹은 고장인지가 표시되는 것이다.
고장을 확인한 후 RD(Rescue Device)구조운전을 실시하여 엘리베이터에 갇힌 승객을 보다 안전하고 신속하게 구출 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RD(Rescue Device)구조운전(140)은 허가되지 않은 제3자가 임의로 조작할 수 없도록 특수한 키를 꽂아서 구조운전 전환용 키 스위치를 조작해야만 RD구조운전(140)이 실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제어반의 인버터(인버터)제어회로와 연동하여 키(key)를 1, 2차 RD/ARD 전환(140)으로 전환하고 제어반의 통제권을 접수하며, 이후 제어반 및 엘리베이터 수동운전 조작반은 작동할 수 없도록 제어한다.
또한, 1차 RD 전환(140)이 "ON" 됨과 동시에 탑승자에게는 "구조운전을 시작한다."는 안내방송을 내보낸다.
또한, 반드시 필요한 최소한의 안전회로만을 일반(common)상태로 전환시켜, 구조운전은 상승/하강 운전용 키스위치의 조작만 작동되도록 제어한다.
현재 MRL엘리베이터에서 운용하고 있는 발진제동 구출장치(커버나이프 스위치)는 처음부터 메인전원을 "OFF" 시킨 후 작동해야 하기 때문에 모든 전기적 안전회로, 기계적 안전장치가 무시된다.
상술한 최소한의 안전회로라 함은 상, 하측 파이널 리밋 스위치, 상측(UL), 하측(DL) 디렉션(direction)제한 스위치, 강제 감속스위치가 있고, 이러한 스위치는 엘리베이터의 카(1)가 최상층 또는 최하층에 접근하는 도중에 엘리베이터의 돌상, 돌하(상, 하부로 처박힘) 고장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유압식 엘리베이터에서는 로프 늘어짐 검출 스위치의 기능이 유지되는 것이다.
또한, 렌딩 센서(landing sensor / inductor switch)기능이 유지되어 레벨을 감지하는 것이고, 상-레벨감지센서(LUS)와 하-레벨감지센서(LDS) 중에 어느 하나에서 신호가 감지되면 감속운행(111)되는 것이다.
상-레벨감지센서(LUS)와 도어 존(DZ), 하-레벨감지센서(LDS) 모두에서 신호가 감지되면 카(1)가 정상적인 레벨에서 정지되고 LCD 디스플레이에 "레벨에 맞게 정지되었다."는 내용의 안내와 "문을 개방해도 된다."는 내용의 안내 문구를 표시하고 음성안내로 알리는 것이다.
상-레벨감지센서(LUS)와 도어 존(DZ), 하-레벨감지센서(LDS) 모두에서 신호가 감지되면 카의 상승 또는 하강 운전이 안 되고, LCD 디스플레이에 "현재 위치가 레벨이 맞아 문을 개방해도 된다."는 내용의 문구를 표시하고 음성안내로 알리도록 회로가 구성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의 운행에 있어서, 고장 난 안전회로만 일반(common)상태로 무효화하고 나머지 모든 안전회로는 유효화한 상태에서 구조운전이 실시되는 것이고 그 구조운전의 순서를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폰으로 "엘리베이터에 갇힌 승객에게 구조운전을 한다."고 알린(또는 음성안내 방송출력) 후 후술한 바와 같이 1, 2차 RD/ARD 전환(140)을 실시하고, 승객이 구출될 때까지 인터폰으로 승객을 진정시키면서 구조운전에 따른 안내를 한다.
둘째. 특수 제작된 키로 키스위치를 보통(OFF)에서 구조운전(1, 2차 RD/ARD 전환 모드)으로 전환 시에만 구조운전 작동되는 것인바, 특수 제작된 키(자동 복귀형)로 키 스위치를 조작하여 엘리베이터 상승/하강 운전한다.
셋째. 만약 로프 늘어짐 검출 스위치, 조속기스위치, 세프티 디바이스 스위치에서 이상신호가 검출되면 하강운전은 금지(114)되고, 상승 운전만 가능하게 되며 LCD 디스플레이에 "하강운전을 안되고 상승운전만 가능하다."는 안내문구 표시 와 음성안내로 알려준다.
넷째. 층 엘리베이터가 레벨(level)에 도착하면 LCD 디스플레이에 "레벨에 도착하였고 문을 개방해도 된다."는 내용의 안내문구 표시 및 음성안내로 구조운전자에게 엘리베이터 레벨 도착을 알린다.
다섯째. 엘리베이터가 레벨(level)에 정지되면 RD/ARD 도어 열림 KEY S/W를 작동시켜 카의 외부 도어(3)와 카 도어(2)를 자동으로 개방하여 탑승객을 구출한다.
여섯째. 탑승객이 구출되면 엘리베이터의 카의 외부 도어(3)와 카 도어(2)는 RD/ARD 도어 닫힘 KEY S/W를 "ON"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고 휴지 상태로 전환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자동 구조운전 회로가 장착된 엘리베이터에서는 위와 같이 구조운전이 간단하여 조작이 쉽고, 정해진 조건에서만 작동되기 때문에 안전하며 승객 구출 시간이 짧은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구조운전으로 엘리베이터가 운행됨에 있어서, 상승 운전 또는 하강 운전을 시작하여 카의 외부 도어(3)와 카 도어(2)가 정상적으로 열릴 수 있는 레벨에 도착하기까지의 시간이 무척 짧은 것으로 더욱 신속하게 탑승객을 구조할 수 있는 것이다.
종래의 구조운전회로 또는 구조운전장치에 비교하여 구출에 따른 시간이 짧 은 이유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엘리베이터는 관리자의 키 스위치 조작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MRL 엘리베이터의 경우 엘리베이터 메인전원을 "OFF"하고 브레이크를 배터리 방식과 수동개방 방식으로 강제 개방하여 무거운 쪽이 하강하도록 되어있으며, 매우 느린 속도(3.6m/min이하)로 1초 내지 5초 동안만 이동한 후에 정지하는 것을 반복하기 때문에 정지시마다 승객들이 놀라고 전문기술자만이 작동이 가능하며, 작동이 안 되는 경우도 많아 승객 구출 시간이 무척 오래 걸린다.
또한, 권상식(기계실이 있는) 엘리베이터의 경우 전문기술자만이 가능하며 반드시 2인 1조로 조작하여야 한고, 엘리베이터의 메인전원을 "OFF" 하고 1인은T/M(Traction Machine)의 브레이크를 강제로 수동 개방하고 다른1인은 수동조작 핸들을 사용하여 무거운 쪽이 하강하도록 수동핸들을 회전시켜 구출을 시도하지만 레벨 맞추기가 쉽지 않고,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매우 많다.
반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구조회로는 엘리베이터의 카가 움직이기 시작하여 극한의 안전회로의 오류가 없는 한 지속적으로 운행되기 때문이다.
상술한 극한적인 안전회로라 함은 상술한 상, 하측 파이널 리밋 스위치, 상승과속방지장치 스위치, 완충기 스위치, 조속기스위치, 세프티 디바이스 스위치, 로프늘어짐 검출스위치를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자동 구조운전 회로는 로프식 엘리베이터와 유압식엘리베이터에 상관없이 장착이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자동 구조운전 회로는 상술한 처리부(120)에서 오토아나운서 기능이 탑재되는 것이고, 좀 더 상세하게는 다음과 같은 음성 안내가 출력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측의 안내 방송(126)은, 다음과 같이 특정한 상황에서 음성 안내될 수 있다.
a. 구조운전으로 전환하였을 때에 "엘리베이터에 이상이 발생하여 구조운전으로 전환하였습니다. 출입문에서 물러나 손잡이를 잡고 잠시만 기다려 주시기 바랍니다."
b. 상승 운전"ON"하였을 때, "구조운전을 실시하겠습니다. 출입문에서 물러나 손잡이를 잡고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 상승운전 하겠습니다."
c. 하강 운전"ON"하였을 때, "구조운전을 실시하겠습니다. 출입문에서 물러나 손잡이를 잡고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 하강운전 하겠습니다."
d. 도어 열림 "ON"하였을 때, "엘리베이터의 문을 개방하겠습니다. 문이 열리면 엘리베이터에서 바닥을 확인하시고 안전하게 내려주시기 바랍니다."
e. 도어 닫힘 "ON"하였을 때, "엘리베이터의 문을 닫겠습니다."
구조운전장치의 안내 방송(127)은, 다음과 같이 특정한 상황에서 음성 안내될 수 있다.
a. 구조운전 중 안전회로 추가 이상 검출 시 엘리베이터는 정지될 때, "엘리 베이터 안전스위치가 추가로 작동 되었습니다.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시고 추가로 작동된 안전스위치를 확인하십시오."
b. 구조운전 운전자가 임의 또는 부주의로 인한 오작동 시켰을 때, "구조운전장치를 잘못 조작하셨습니다.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십시오."
c. 구조운전 중 주행 시간을 초과했을 때, "구조운전 시간이 초과되었습니다.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십시오."
d. 구조운전으로 엘리베이터가 레벨에 정지하였을 때, "엘리베이터가 레벨에 정지 하였습니다. 열림 스위치를 작동하여 문을 개방하십시오."
e. 구조운전으로 전환하였으나 엘리베이터가 레벨 정위치에 있을 때, "엘리베이터가 레벨 위치에 있습니다. 열림 스위치를 작동하여 문을 개방하십시오."
f. 구조운전장치에서 상승제한 UL(상승제한 리밋트 스위치)이 검출되었을 때, "상승제한 스위치가 작동되어 상승운전은 제한되오니, 하강운전 하십시오."
g. 구조운전장치에서 하강제한 DL(하강제한 리밋트 스위치)과 로프 늘어짐 감지(slack rope)S/W, 세프티 디바이스(safety device)S/W, 조속기(governor) S/W 검출되었을 때, "하강제한 스위치가 작동되어 하강운전은 제한되오니, 상승운전 하십시오."
h. 구조운전을 마쳤을 때, "구조운전을 마쳤습니다. 엘리베이터 문을 닫으시고, 구조운전장치의 전원과 엘리베이터 전원을 꺼주십시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자동구조운전 회로는 상황에 맞는 음성안내를 출력함으로써 구조자는 좀 더 편리하고, 탑승자는 안도 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또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자동구조운전 회로는 엘리베이터 자동구조운전 장치에 내장될 수 있고, 이러한 엘리베이터 자동구조운전 장치가 단품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엘리베이터 자동구조운전 장치는 이미 설치된 엘리베이터에 설치되어 이용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구조운전 회로는 엘리베이터 카에 탑승객 갇힘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에 구조운전을 하여 탑승객을 구조할 때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엘리베이터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회로를 적용한 실시 예를 보인 블록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회로를 보인 상세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카 2: 카 도어
3: 외부 도어 4: 권상기
5: 균형추 6: 제어부
7: 검출 판
LUS: 상-레벨검출센서 LDS: 하-레벨검출센서
100: 구조회로 110: 감지부
120: 처리부 130: 구동부

Claims (2)

  1. 비상정지 스위치와 구조운전 전환용 키 스위치에 의해 RD(Rescue Device)구조운전이 되는 구조운전 시작부(140); 엘리베이터에 장착된 각종 안전회로로부터 각 안전회로의 이상 유무 정보가 감지되는 감지부(110);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정보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상승 또는 하강 운전의 신호가 결정되는 처리부(120); 및 상기 처리부로부터 내려지는 신호에 따라 엘리베이터가 상승 운전 또는 하강 운전되는 구동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120)는, 엘리베이터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안전회로 중에 어떤 안전회로가 이상을 발생하였는지 감지하는 감지제어부(128-1); 및 상기 감지제어부(128-1)로부터 확인되는 고장난 안전회로만 무효화하고 고장 나지 않은 안전회로는 유효화하여 구조운전 중에 추가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요인을 방지하도록 하는 비상(EM: Emergency)안전릴레이 처리부(128);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자동 구조운전 회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제어부(128-1)에서 감지하는 엘리베이터 안전회로는,
    로프 늘어짐 감지(slack rope)S/W, 완충기(buffer)S/W, 세프티 디바이스(safety device)S/W, 조속기(governor)S/W, 파이널(final)S/W, 조속기 로프 텐션(governor rope tension) S/W, 사다리(ladder)S/W, 카운터 웨이트(weight detection) 위치제한 검출S/W, COP E-STOP(car operation panel emergency - stop: 카 운전반 비상정지) S/W 및 비상구(exit)S/W를 포함하고,
    로프 늘어짐 감지(slack rope)S/W, 세프티 디바이스(safety device)S/W, 조속기(governor) S/W 작동 검출시 하강운전 제한과 카 도어(CDS), 승강장 도어(HDS), 비상구(exit) 닫힘 확인과 사다리(ladder)점검보수용 발판이 펼쳐진 것인지를 이중으로 확인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구조운전 회로.
KR1020090092068A 2009-09-28 2009-09-28 엘리베이터 구조운전 회로 KR100975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2068A KR100975758B1 (ko) 2009-09-28 2009-09-28 엘리베이터 구조운전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2068A KR100975758B1 (ko) 2009-09-28 2009-09-28 엘리베이터 구조운전 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5758B1 true KR100975758B1 (ko) 2010-08-12

Family

ID=42759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2068A KR100975758B1 (ko) 2009-09-28 2009-09-28 엘리베이터 구조운전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575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4330B1 (ko) * 2015-10-05 2016-03-21 서울메트로 비상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시스템
KR102034016B1 (ko) 2018-08-16 2019-10-18 세라에스이 주식회사 승객 구출 운전장치
CN113955612A (zh) * 2021-10-09 2022-01-21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光幕安全电路及紧急救援装置
US11535487B2 (en) 2018-11-23 2022-12-27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afety syste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4330B1 (ko) * 2015-10-05 2016-03-21 서울메트로 비상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시스템
KR102034016B1 (ko) 2018-08-16 2019-10-18 세라에스이 주식회사 승객 구출 운전장치
US11535487B2 (en) 2018-11-23 2022-12-27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afety system
CN113955612A (zh) * 2021-10-09 2022-01-21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光幕安全电路及紧急救援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91983C (zh) 电梯救援系统
CN105384039B (zh) 用于关闭电梯的门的方法和配置
WO2017068232A1 (en) Elevator with a safety arrangement and method for creating a safe working space in the upper part of the elevator shaft
JP4716669B2 (ja) エレベータの運転制御装置
KR100975758B1 (ko) 엘리베이터 구조운전 회로
EP2085348B1 (en) Elevator controller
JP2007276986A (ja) エレベータの閉じ込め故障救出方法
CN107416633A (zh) 一种电梯故障自救系统及其使用方法
JP2012025558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4190626B2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WO2012127560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3681602B2 (ja) エレベーターの閉じ込め遠隔救出装置
JP4265938B2 (ja) エレベータの非常用運転装置
KR100809373B1 (ko) 엘리베이터 자동 구조운전 회로
JP2013199348A (ja) 巻胴式エレベータの非常時運転装置
KR102434859B1 (ko) 엘리베이터 승강도어 안전관리 시스템
JP7147900B1 (ja) エレベータ
KR200429753Y1 (ko) 엘리베이터 자동 구조운전 회로
JP2012171771A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及びその制御方法
JP4946027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1002340A (ja) エレベータのブレーキ解放装置
JP2002356283A (ja) エレベータのロープ伸び検出装置および安全運転方法
JPH09249360A (ja) エレベーターのリミットスイッチ動作点検装置
JPH06227771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004175560A (ja) エレベータの運転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1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