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9753Y1 - 엘리베이터 자동 구조운전 회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자동 구조운전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9753Y1
KR200429753Y1 KR2020060021129U KR20060021129U KR200429753Y1 KR 200429753 Y1 KR200429753 Y1 KR 200429753Y1 KR 2020060021129 U KR2020060021129 U KR 2020060021129U KR 20060021129 U KR20060021129 U KR 20060021129U KR 200429753 Y1 KR200429753 Y1 KR 2004297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rescue
unit
ca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11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병국
박상원
Original Assignee
전병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병국 filed Critical 전병국
Priority to KR20200600211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97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97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975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7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o permit passengers to leave an elevator car in case of failure, e.g. moving the car to a reference floor or unlocking the door

Abstract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자동 구조운전 회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에 장착된 각종 안전회로로부터 각 안전회로의 이상 유무 정보가 감지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정보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운전이 결정되는 처리부; 및 상기 처리부로부터 내려지는 지령에 따라 엘리베이터가 승, 하강 운전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자동 구조운전 회로인 것인바, 엘리베이터가 안전회로 이상검출 고장이나, 시스템적인 오류 등으로 엘리베이터가 층간에 멈춰 섰을 때에 탑승객의 구조운전을 하는 것이고, 로프식 엘리베이터 또는 유압식 엘리베이터 등의 형식에 상관없이 이미 설치된 엘리베이터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하며, 엘리베이터 유지보수 전문회사 요원 또는 119 구조요원의 출동 없이 엘리베이터의 관리자에 의해 신속하고 안전하게 탑승객을 구조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자동 구조운전 회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엘리베이터, 승강기, 자동, 구조, 구출, 회로, 층간, RD, 운전, 운행, 안전, 비상, Rescue Device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자동 구조운전 회로{Automatic Rescue Circuit of Elevator}
도 1은 엘리베이터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구조회로를 적용한 실시예를 보인 블록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구조회로를 보인 상세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카 2: 카 도어
3: 외부 도어 4: 권상기
5: 균형추 6: 제어부
7: 검출 판
LUS: 상-레벨검출센서 LDS: 하-레벨검출센서
100: 구조회로 110: 감지부
120: 처리부 130: 구동부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의 자동 구조운전 회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가 상층과 하층 사이의 어중간한 위치의 층간에 멈춰 섰을 때에 간단한 조작만으로 엘리베이터 카를 구동시켜 탑승자를 안전하게 구출하도록 엘리베이터를 운전할 수 있는 회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엘리베이터는 건물에 설치되어 수직방향으로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는 중요한 구조물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탑승자가 탑승하는 카(car: 1), 카를 상하로 작동시키는 권상기(4), 가이드 레일(안내궤도), 권상기의 부하(負荷)를 경감시키기 위하여 카의 무게와 상대적으로 매달려 움직이는 균형추(카운터 웨이트: 5), 카(1)와 균형추(5)를 연결하여 권상기(4)의 도르래에 걸리는 와이어로프(wire rope), 또한 상술한 엘리베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6)로 구성 된다.
엘리베이터의 권상기에 인가하는 전원은 교류식과 직류식이 있고, 교류식은 3상 유도 전동기를 사용하며, 직류식은 엘리베이터 1대마다 전동발전기를 설치하여 직류전압을 권상기의 직류전동기에 공급하여 구동시키는 것이고, 본 고안에서는 교류식을 예로서 설명한다.
또한, 엘리베이터의 운전방식에 있어서는, 운전자에 의한 운전방식, 자동식, 평상시에는 운전자가 운전하고 한가할 때는 자동식으로 전환하는 방식, 평상시에는 자동운전하고 특별한 경우에 운전자가 운전하는 방식 등이 있고, 최근에는 전자동군관리(全自動群管理) 방식을 채택한 것도 있다.
엘리베이터에는 많은 안전장치가 구비되어 있는데도 종종 엘리베이터의 안전사고를 접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안전사고는 물리적으로 기계적 구성이 파손되지 않는 이상 경미한 고장으로 인하여 카(1)가 임의의 위치에서 멈춰서는 것이 대부분이다.
엘리베이터에 장착된 여러 가지 안전장치 중에서도 특히 권상기에서 로프를 풀어주거나 되감아 줄 때에 규정 속도보다 일정한 범위이상으로 과속하게 되면 자동으로 제동이 걸려 엘리베이터 카를 정지시키는 조속기가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에는 각종 안전스위치(리밋 스위치 등)와 센서가 장착되어 카(1)가 최하층 또는 최상층에 도달하기 전에 이상을 검출하여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6)에 지령을 내리고 그 지령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카(1)가 속도를 줄여 멈추어 설 수 있도록 한다.
즉, 정상적인 운행 중에 예상하지 못한 이유로 여러 가지 안전장치의 리밋스위치 및 센서 중에 어느 하나가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시키면 엘리베이터의 카(1)는 무조건 정지하는 것이고, 그 정지된 이유가 사소한 이유일 때가 대부분이며 이러한 경우 조속기 또는 브레이크 시스템의 잠김 상태(locking)를 해제하면 정상적인 운행이 가능한 경우가 대분이다.
다른 한편으로 엘리베이터의 운행 중에 발생하는 고장이 발생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서 엘리베이터에 물리적인 파손이 없이 단순히 시스템의 에러, 안전회로 (센서 등 안전장치) 작동, 또는 정전사고가 발생할 때에 층과 층 사이에 어중간하게 정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의 카(1)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층과 층 사이에 멈춰서면 탑승객은 극도의 불안감을 느끼게 되고, 이렇게 갇힌 탑승객은 무리하게 탈출을 시도하다가 2차적인 사상 또는 사망 사고를 당하게 될 수 있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른 한편으로 현재 설치된 엘리베이터 중에는 기계실이 없는 특수엘리베이터가 있고, 이러한 특수엘리베이터에는 발진제동장치라는 구조운전 장치가 설치되어있다.
작동방법은 주(MAIN)전원을 끄고(OFF), 발진제동스위치를 전환함으로써 모터의 U, V, W 3상을 일반적(COMMON)상태로 유지하며, 제동장치(브레이크)를 강제(수동레버 및 비상전원 배터리 사용) 개방하면 중력에 의해 무거운 쪽이 내려온다.
이때 속도는 일정하게 유지되지만 매우 느린 속도(3.6m/min이하)로 이동하며 지속적으로 이동하지 않고 이동과 멈춤을 반복하며 작동하기 때문에 갇힌 승객이 극도의 공포감을 느끼는 것이다.
정상적으로 작동되더라도 구조되기까지 시간이 매우 오래 걸리며 엘리베이터와 균형추의 밸런스 로드가 회사별로 차이가 있어 승객이 몇 명 탑승했느냐에 따라 정상작동이 안 되는 경우가 빈번하여 실질적인 구조운전을 수행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또 다른 한편으로 엘리베이터의 안전사고의 형태가 경미하든 심각하든 상관없이 일단 탑승자의 안전이 우선으로서 구조요원은 물리적인 힘을 가하여 강제로 문을 개방하고 탑승자를 구출하게 된다.
그러나 이렇게 무리하게 물리적인 힘을 엘리베이터에 가할 때에는 카의 외부 도어(3)와 카 도어(2)가 파손되어 복구하는데 비용손실 및 복구시간이 무척 오래 걸리고, 또한 물리적인 힘을 가할 때 발생하는 소음은 탑승객에게 더욱 위협적인 소음으로 전달되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물리적인 힘을 가하여 억지로 카(1)의 외부도어(3)와 카 도어(2)를 열었다 할지라도 층간 사이에 어중간하게 멈춰진 상태에서는 위층으로 탈출할지 아래층으로 탈출할지 애매모호하고, 구출하는 과정이 매우 위험천만한 것이다.
또 다른 한편으로 시스템적인 오류로 인하여 엘리베이터가 멈추어 섰을 때마다 119 구조요원을 요청하는 사례가 빈발하며, 정작 119 구조요원이 필요한 곳에 배치되지 못하는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자동 구조운전 회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의 시스템오류, 안전회로 작동, 또는 정전사고 등의 이유로 인하여 층과 층 사이에 엘리베이터의 카가 멈추었을 때에 구조요원이 카에 물리적인 외력을 가하지 않고 구조운전자가 가장 가까운 층으로 신속하게 운전하여 탑승자를 안전하게 구출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자동 구조운전 회로를 제공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엘리베이터의 방식(로프식, 유압식)과 엘리베이터의 제조사와 상관없이 장착하여 탑승자를 구출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자동 구조운전 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는, 비상정지 스위치와 구조운전 전환용 키 스위치에 의해 RD(Rescue Device)구조운전이 되는 구조운전 시작부; 엘리베이터에 장착된 각종 안전회로로부터 각 안전회로의 이상 유무 정보가 감지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정보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승강 또는 하강 운전의 신호가 결정되는 처리부; 및 상기 처리부로부터 내려지는 신호에 따라 엘리베이터가 승강 또는 하강 운전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자동 구조운전 회로을 제공한다.
상기 실시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구성 예는, 상기 처리부는, 엘리베이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각 안전장치로부터 안전장치의 이상 유무가 검출되는 ED(Emergency Driving)부; 엘리베이터 카 도어 열렸는지가 검출되는 CDS(car doors sensor)부; 엘리베이터 외부 도어가 열렸는지가 검출되는 HDS(hall door sensor) 부; 구조운전부가 기동 되면 구조운전자의 수동운전만 수행되도록 상기 엘리베이터의 다른 조작반에서의 엘리베이터 운전이 방지되는 수동운전금지부; 조속기 스위치, 세프티 디바이스 스위치 및, 로프 늘어짐 검출 스위치 중에 어느 하나가 이상신호로 검출되었을 때에 엘리베이터의 하강운행이 금지되는 하강운전금지부; 구조운전자의 키 스위치조작이 하강 조작이고, 상기 하강운전 금지부가 하강운전이 가능한 신호이며, 엘리베이터 카의 DZ레벨 검출부의 신호가 검출되지 않았을 때에 엘리베이터가 하강 운전되는 하강운전부; 및 상기 하강운전금지부가 "하강운전 금지신호" 또는 "하강운전 가능 신호"에 관계없이 구조운전자의 키 스위치조작이 승강 조작이고, 엘리베이터 카의 DZ레벨 검출부의 신호가 검출되지 않았을 때에 엘리베이터가 승강 운전되는 상승운전부;로 구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실시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다른 구성 예는, 상기 DZ레벨 검출부는, 카의 승강로의 한쪽에 배치되되 각각 층마다 배치되는 검출 판; 및 엘리베이터의 카에 수직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검출 판이 검출되며 카의 문(카 도어 와 외부 도어)을 정상적으로 열 수 있는 레벨 위치인지 검출되는 하-레벨검출센서(LDS)와 상-레벨검출센서(LUS);를 포함하여 카가 정상적인 레벨에 도달하였는지 여부가 검출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실시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또 다른 구성 예는, 상기 DZ레벨검출부의 신호가 정상레벨에 위치하는 신호이고, 열림 버튼의 조작신호가 있을 때 외부 도어와 카 도어가 개방되는 OP(Open)도어 개방 신호부;가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실시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또 다른 구성 예는, RD구조운전을 할 때에 안내방송이 송출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엘리베이터는 수많은 안정장치가 장착되어 있어 예상하지 못한 사고로부터 탑승자의 안전을 확보하는 것이고, 다음에 서술한 바와 같이 여러 가지 안전장치를 반드시 설치 및 시공되어야 한다.
(1) 카 및 승강로의 모든 출입문이 닫혀 있지 않으면 카가 움직이지 않는 장치.
(2) 카가 정지하고 있지 않은 층에서는 특수한 키를 사용하지 않으면 밖에서 승강로의 출입문을 열 수 없도록 하는 장치.
(3) 조작자가 스위치를 조작하여 운전하는 방식인 경우에는 조작자가 조작을 중지하면 자동 적으로 카를 정지시키는 장치.
(4) 카 내(內) 및 카 위에서 동력을 차단할 수 있는 장치.
(5) 카의 속도가 비정상적으로 증대한 경우에는 매분의 속도가 정격속도의 1.3배(정격속도가 45m/min 이하인 엘리베이터는 63m/min)를 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동력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장치.
(6) 동력이 차단되었을 때 관성에 의한 전동기의 회전을 자동으로 제지하는 장치.
(7) 카의 하강하는 속도가 상술한 (5)에서 규정한 장치가 작동하는 속도를 넘었을 때에는 매분의 속도가 정격속도의 1.4배(정격속도가 45m/min 이하인 엘리베이터는 68m/min)를 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카의 하강을 자동으로 제지하는 장치.
(8) 카 또는 균형추가 승강로 바닥에 충돌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카의 승강을 자동으로 제어하여 정지시키는 장치.
(9) 카 또는 균형추가 상술한 (7)에서 규정한 장치가 작동하는 속도로 승강 로 바닥에 충돌하는 경우에 충격을 완화하는 장치.
(10) 정전 등의 비상시에 카 내에서 외부로 통화할 수 있는 장치.
(11) 권동식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주 로프가 이완된 경우에 동력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장치.
(12) 적재하중을 초과하면 경보를 울리고 출입문의 닫힘을 자동으로 제지하는 장치(이 장치의 작동치는 정격 적재하중의 105∼110%를 표준으로 함).
(13) 정전시에 램프 중심부로부터 2m 떨어진 수직면상에서 측정하여 1Lux 이상의 조도를 확 보할 수 있는 예비조명장치.
(14) 승강장 문이 카 문과의 연동에 의해 열리는 방식에서는 자동으로 승강장의 문이 닫히는 쪽으로 힘을 작용시키는 장치.
(15) 동력의 상이 바뀌면 카가 역으로 운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16) 승강기 제어시스템, 브레이크 및 상승방향으로 카 속도를 좌우하는 부품의 고장으로 승객이 상해를 입을 위험에 대하여 보호할 수 있는 상승방향 과속방지장치.
(17) 승강기 제어시스템, 또는 구동기의 브레이크 고장이 원인이 되어, 카가 착상구간에서 승강장 문을 잠그지 않은 상태에서 통제 불능한 운행을 일으켜 그 결과로 승객이 상해를 입을 위험에 대하여 보호할 수 있어야 하고, 카가 승강장에서 1,200mm를 이동하기 전에 통제 불능한 이동을 감지하여 카를 완전히 정지시킬 수 있는 장치.
(18) 정상운전모드에서 착상구간 범위 내에 있는 카 도어 또는 승강장문 중 어느 곳에서나 도어스위치 접점이 쇼트가 되거나 인위적으로 단락된 경우 이를 감지하여 강제로 승강기 운행을 정지시키는 기능.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구조회로를 적용한 실시예를 보인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구조회로를 보인 상세 회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구조회로(100)는 엘리베이터에 장착된 각종 안전회로로부터 얻어지는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110), 상술한 감지부(110)로부터 얻어진 정보를 받아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결정하는 처리부(120), 및 처리부(120)로부터 내려지는 지령에 따라 엘리베이터를 운전하는 구동부(130)를 포함한다.
첨부도면 도 2는 로프식의 엘리베이터를 보인 실시예이고, 도 3은 유압식 엘리베이터를 보인 실시예이다.
즉, 상술한 본 고안에 따른 구조회로(100)는 어떠한 형태의 엘리베이터이든지 장착하여 사용되는 것이고, 엘리베이터를 운전하는 기본적인 구성은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에 그대로 이용하는 것인바 엘리베이터의 구성과 구동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에 따른 구조회로(100)의 상세한 구성은 첨부도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구조회로(100)의 설명에서 "ON"은 회로가 닫히는 것을 의미하고, "OFF"는 회로가 열리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술한 구조회로(10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조운전을 시작하기 위하여 제어하는 구조운전 시작부(140)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상술한 구조운전 시작부(140)는 비상정지 스위치와 구조운전 전환용 키스위치를 포함하고, 상술한 비상정지 스위치는 구조운전 장치와 함께 설치되고, 상술한 구조운전 전환용 키스위치는 엘리베이터의 관리자에 의하여 작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비상정지 스위치가 켜지고, 관리자에 의해 구조운전전환용 키스위치가 켜져야만 RD(Rescue Device)구조운전이 시작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구조운전 시작부(140)에는 구조운전이 시작됨과 아울러 구조운전이 시작됨을 알리는 안내방송을 동시에 송출하는 것이고 이러한 방송은 엘리베이터의 탑승자에게 제공되어 현재 상태가 어떠한 상태이고 어떠한 과정으로 구조과정이 이루어질지를 알려주는 것이다.
상술한 감지부(110)는 DZ(Door Zone)레벨검출부(111), OP(Open)도어 개방 신호부(112), SD감속개시부(113)(114)를 포함한다.
상술한 DZ레벨검출부(111)는 엘리베이터의 카(1)의 상부에 하-레벨검출센서(LDS)와 상-레벨검출센서(LUS)를 수직방향으로 이격시켜 배치되고, 엘리베이터의 카(1)가 승강하는 승강로 한쪽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층마다 검출 판(7)이 설치된 구성으로, 엘리베이터의 카(1)가 정상적인 레벨에 멈추어 섰을 때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이고, 상술한 구조운전 시작부(140)와 연동하는 것이다.
즉 상술한 하-레벨검출센서(LDS)와 상-레벨검출센서(LUS)와 구조운전 시작 부(140)가 모두 "ON" 되어야만 DZ레벨검출부(111)가 "ON" 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DZ레벨검출부(111)에는 램프와 알람을 더 포함할 수 있고, 표시램프 "ON"으로 표시하면서 타이머에 의하여 소정의 시간 동안 알람을 울릴 수 있으며, 그 램프와 알람 소리는 구조운전자에게 시청각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하여 열림 버튼을 작동하여도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카(1)가 레벨에 도착하였을 때 구조운전자가 문(카 도어 와 외부 도어)을 열기 전에 탑승자에게 문이 곧 열린다는 안내방송을 송출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OP도어 개방 신호부(112)는 DZ레벨검출부(111)가 "ON"되고, 열림 버튼을 "ON" 조작하였을 때에 카 도어(2)와 외부 도어(3)가 열리도록 한 것이다.
상술한 OP도어 개방 신호부(112)에는 문 열림 안내방송을 동시에 송출하여 음성을 청각적으로 듣고 문이 곧 열릴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술한 SD감속개시부(113)(114)는 하-레벨검출센서(LDS)와 상-레벨검출센서(LUS) 중에 어느 하나가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면 카(1)의 승, 하강 속도는 감속을 개시하여 곧 정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술한 처리부(120), ED(Emergency Driving)부(121), CDS(car doors sensor)부(122), HDS(hall door sensor)부(123), 수동운전금지부(124), 하강운전 금지부(125), 하강 운전부(126), 및 상승 운전부(128)를 포함한다.
상술한 ED부(121)는 엘리베이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각 안전회로 중 에 어느 하나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더라도 구조운전 시작부(140)가 "ON"이면, 엘리베이터를 강제로 승강 및 하강으로 운행하는 것이다.
상술한 CDS부(122)는 카(1)의 카 도어(2)가 전기적인 신호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더라도 구조운전 시작부(140)가 "ON"이면, 강제로 구조운전을 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술한 HDS부(123)는 외부 도어(3)가 전기적인 신호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더라도 구조운전 시작부(140)가 "ON"이면, 강제로 구조운전을 하도록 한 것이다.
상술한 ED부(121)에서 각 안전회로라 함은 엘리베이터에 장착된 여러 가지 안전회로 중에서 카(1)가 승, 하강할 때에 안전을 담당하는 것을 의미하고, 상술한 CDS부(122)와 HDS부(123)는 카(1)의 카 도어(2)와 외부 도어(3)의 이상(열림 상태)을 검출하는 회로를 의미한다.
상술한 수동운전금지부(124)는 상술한 구조운전 시작부(140)가 "ON"이면, 엘리베이터의 통제권을 확보하여 제3자의 수동운전이 금지하고, 구조운전의 관리자 외에 다른 제어반 또는 수동운전 조작반에서는 작동할 수 없도록 하는 것으로, 구조운전자만 엘리베이터의 통제권을 갖도록 한 것이다.
상술한 하강 운전금지부(125)는 로프식 엘리베이터에서 엘리베이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여러 가지 안전장치 중에서 로프 늘어짐 검출 S/W와 조속기S/W 및 세프티 디바이스S/W 중에 어느 하나에서 검출신호가 이상신호로 검출되면, 구조운전 시작부(140)에서 구조운전을 하더라도 하강운전이 금지된다.
다른 한편으로 유압식 엘리베이터에서 RD(Rescue Device)구조운전을 실시할 때에 엘리베이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여러 가지 안전장치 중에서 플런저 리밋 스위치의 기능이 유지되어 예상하지 못한 더 큰 안전사고 위험을 예방하는 것이다.
또한, 하강 운전금지부(125)가 "ON"이면, 경고램프가 동시에 발광하여 위험한 상태임을 알리는 것이다.
상술한 하강운전부(126)는 구조운전 키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통전회로가 닫히는 것이고, 수동운전금지부(124)가 "ON"이고, 하강운전금지부(125)가 "ON"이며, DZ 레벨검출부(111)가 "OFF"이고, 최하단 레벨검출센서(DL)가 "ON"일 때에 하강 운전하는 것이고 또한 하강운전 중임을 실시하는 안내방송을 탑승자가 들을 수 있도록 송출하는 것이다.
상술한 승강운전부(128)는 구조운전 키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통전회로가 닫히는 것이고, 수동운전금지부(124)가 "ON"이고, DZ 레벨검출부(111)가 "OFF"이며, 최상단 레벨검출센서(UL)가 "ON"일 때에 승강 운전하는 것이고 또한 승강운전 중임을 실시하는 안내방송을 탑승자가 들을 수 있도록 송출하는 것이다.
상술한 구동부(130)는 감속지령부(131), 하강지령부(132) 및 상승지령부(133)을 포함한다.
상술한 감속지령부(131)는 엘리베이터의 카(1)의 정속운행 중에 상술한 SD감속개시부(113)(114)가 신호를 감지하면 감속하는 것이다.
상술한 하강지령부(132)는 상술한 하강운전부(126)의 신호에 의하여 엘리베이터의 카(1)를 하강시키는 것이다.
상술한 승강지령부(133)는 상술한 승강운전부(128)의 신호에 의하여 엘리베이터의 카(1)를 승강시키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동작 및 작용을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엘리베이터가 알 수 없는 원인으로 인하여 멈추어 섰을 때에는 어떠한 원인에 의해 멈췄는지 또는 어느 센서(감지부)에서 에러신호가 나는지를 엘리베이터 관제실(혹은 관리실, 경비실, 기관실, 전기실, 역무실 등)의 제어반에 알 수가 있다.
관제실의 제어반은 엘리베이터를 관리하는 관리인이 항상 근무를 하고 있고, 제어반에서 이상 신호를 알릴 때에는 관리인이 엘리베이터의 고장을 확인하여 어떠한 조치를 취해야 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엘리베이터를 운전함에 있어서 발생하는 에러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대부분 물리적인 결함 보다는 시스템적인 오류에 의해 멈추어서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어느 부분에서 오류가 검출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상술한 제어반에는 엘리베이터에 설치된 각각의 안전회로로부터 자기진단의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고, 수신하는 결괏값이 정상인지 혹은 오류인지가 표시되는 것이다.
오류 확인한 결과가 간단한 조치를 취하면 해소될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RD(Rescue Device)구조운전을 하게 된다.
특히 RD(Rescue Device)구조운전(140)은 허가되지 않은 제3자가 임의로 조작할 수 없도록 특수한 키를 꽂아서 구조운전 전환용 키 스위치를 조작해야만 RD구조운전(140)이 실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제어반의 인버터(inverter)제어회로와 연동하여 키(key)를 RD구조운전(140: RD mode)으로 전환하고 제어반의 통제권을 접수하며, 이후 제어반 및 엘리베이터 수동운전 조작반은 작동할 수 없도록 제어한다.
또한, RD구조운전(140)을 실시함과 아울러 탑승자에게는 구조운전을 시작한다는 안내방송을 내보낸다.
또한, 반드시 필요한 최소한의 안전회로 및 카 도어 회로를 일반(common)상태로 전환되고, RD구조운전은 상승/하강 운전용 키스위치의 조작만 작동되도록 제어한다.
즉, 현재 MRL엘리베이터에서 운용하고 있는 발진제동 구출장치는 처음부터 메인전원을 "OFF" 시킨 후 작동해야 하기 때문에 모든 전기적 안전회로, 기계적 안전장치 무시된다.
상술한 최소한의 안전회로라 함은, 상, 하측 파이널 리밋 스위치, 디렉션(direction) 리밋 스위치, 강제 감속스위치가 있고, 이러한 스위치는 엘리베이터의 카(1)가 최상층 또는 최하층에 접근하는 도중에 엘리베이터의 초과운행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유압식 엘리베이터에서는 플런저 리밋 스위치의 기능이 유지 되는 것이다.
또한, 렌딩 센서(landing sensor / inductor switch)기능이 유지되어 레벨을 검출하는 것이고, 상-레벨검출센서(LUS)와 하-레벨검출센서(LDS) 중에 어느 하나에서 신호가 검출되면 감속운행(114 참조)되는 것이며, 상-레벨검출센서(LUS)와 하-레벨검출센서(LDS) 모두에서 신호가 검출되면 카(1)가 정상적인 레벨 범위 내에 위치되는 것으로 카의 상승 또는 하강 운전이 안 되도록 회로가 구성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의 운행에 있어서, 최소한의 안전회로만 유지한 채로 구조운전이 실시되는 것이고 그 구조운전의 순서를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폰으로 엘리베이터에 갇힌 승객에게 구조운전을 한다고 알린(or 음성안내 방송출력) 후 아래와 같이 RD구조운전(140)을 실시하고, 승객이 구출될 때까지 인터폰으로 승객을 진정시키면서 RD구조운전에 따른 안내를 한다.
둘째. 특수 제작된 키로 키스위치를 보통(NOMAL)에서 구조운전(RD mode)으로 전환 시에만 구조운전 작동되는 것인바, 특수 제작된 키(자동복귀형)로 키 스위치를 조작하여 엘리베이터 상승/하강 운전한다.
셋째. 만약 로프 늘어짐 검출 스위치, 조속기스위치, 세프티 디바이스 스위치에서 이상신호가 검출되면 하강운전은 금지(125 참조)되고, 하강 조작금지 경고램프(signal lamp)가 점등되며 하강 운전은 안 되고 상승 운전만 가능하게 된다.
넷째. 층 레벨(level)에 도착하면 경고램프(레벨에 도착할 때 ON)와 버저(대략 3초간 작동)로 구조운전자에게 엘리베이터 레벨 도착을 알려준다.
다섯째. 버저 경보음이 정지되면 카 도어 열림 버튼을 작동시켜 카의 외부 도어(3)와 카 도어(2)를 자동으로 개방하여 탑승객을 구출한다.
여섯째. 탑승객이 구출되면 엘리베이터의 카의 외부 도어(3)와 카 도어(2)는 자동으로 닫히고 휴지상태로 전환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자동 구조운전 회로가 장착된 엘리베이터에서는 위와 같이 RD 구조운전이 간단하여 누구나 조작이 쉽고, 구조시간이 짧은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RD구조운전 엘리베이터가 운행됨에 있어서, 승강 또는 하강 운전을 시작하여 카의 외부 도어(3)와 카 도어(2)가 정상적으로 열릴 수 있는 레벨에 도착하기까지의 시간이 무척 짧은 것으로 더욱 신속하게 탑승객을 구조할 수 있는 것이다.
종래의 구조회로 또는 구조 장치에 비교하여 구출에 따른 시간이 짧은 이유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엘리베이터는 관리자의 키 스위치 조작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매우 느린 속도(3.6M/MIN이하)로 일정한 거리를 이동한 후에 정지하는 것을 반복하기 때문에 무척 오래 걸리지만,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의 카가 움직이기 시작하여 극한의 안전회로의 오류가 없는 한 지속적으로 운행되기 때문이다.
상술한 극한적인 안전회로라 함은 상술한 상, 하측 파이널 리밋 스위치, 디렉션(direction) 리밋 스위치, 및 강제 감속스위치, 조속기스위치, 세프티 디바이스 스위치, 로프늘어짐 검출스위치를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자동 구조운전 회로는 로프식 엘리베이터와 유압식엘리베이터에 상관없이 장착이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하여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자동 구조운전 회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로프식 엘리베이터와 유압식엘리베이터에 상관없이 장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엘리베이터의 운전에 반드시 필요한 최소한의 안전회로의 기능을 유지시킨 상태에서 엘리베이터를 강제로 운행하는 것으로 더욱 신속하게 탑승객을 구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엘리베이터의 승객 갇힘 사고로 인하여 119 구조요원의 출동 요청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의 외부 도어 및 카 도어를 물리적인 외력을 가하여 파손하지 않고서도 신속하게 탑승객을 구출할 수 있는 것으로, 탑승객은 심리적으로 불안감을 덜 받게 되는 것이다.
특히 엘리베이터의 외부 도어 및 카 도어에 물리적인 외력을 가하지 않음으로써 물질적인 손실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고, 더욱 짧은 시간 내에 엘리베이터 가 정상운행을 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5)

  1. 비상정지 스위치와 구조운전 전환용 키 스위치에 의해 RD(Rescue Device)구조운전이 되는 구조운전 시작부;
    엘리베이터에 장착된 각종 안전회로로부터 각 안전회로의 이상 유무 정보가 감지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정보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승강 또는 하강 운전의 신호가 결정되는 처리부; 및
    상기 처리부로부터 내려지는 신호에 따라 엘리베이터가 승강 또는 하강 운전되는 구동부;
    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자동 구조운전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엘리베이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각 안전장치로부터 안전장치의 이상 유무가 검출되는 ED(Emergency Driving)부;
    엘리베이터 카 도어 열렸는지가 검출되는 CDS(car doors sensor)부;
    엘리베이터 외부 도어가 열렸는지가 검출되는 HDS(hall door sensor)부;
    구조운전부가 기동되면 구조운전자의 수동운전만 수행되도록 상기 엘리베이 터의 다른 조작반에서의 엘리베이터 운전이 방지되는 수동운전금지부;
    조속기 스위치, 세프티 디바이스 스위치 및, 로프 늘어짐 검출 스위치 중에 어느 하나가 이상신호로 검출되었을 때에 엘리베이터의 하강운행이 금지되는 하강운전금지부;
    구조운전자의 키 스위치조작이 하강 조작이고, 상기 하강운전 금지부가 하강운전이 가능한 신호이며, 엘리베이터 카의 DZ(Door Zone)레벨 검출부의 신호가 검출되지 않았을 때에 엘리베이터가 하강 운전되는 하강운전부; 및
    상기 하강운전금지부가 "하강운전 금지신호" 또는 "하강운전 가능 신호"에 관계없이 구조운전자의 키 스위치조작이 승강 조작이고, 엘리베이터 카의 DZ레벨 검출부의 신호가 검출되지 않았을 때에 엘리베이터가 승강 운전되는 상승운전부;
    로 구성되는 엘리베이터 자동 구조운전 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DZ레벨 검출부는,
    카의 승강로의 한쪽에 배치되되 각각 층마다 배치되는 검출 판; 및
    카에 수직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검출 판이 검출되며 카의 문(카 도어 와 외부 도어)을 정상적으로 열 수 있는 레벨 위치인지 검출되는 하-레벨검출센서(LDS)와 상-레벨검출센서(LUS);
    를 포함하여 카가 정상적인 레벨에 도달하였는지 여부가 검출되는 엘리베이 터 자동 구조운전 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DZ레벨검출부의 신호가 정상레벨에 위치하는 신호이고, 열림 버튼의 조작신호가 있을 때 외부 도어와 카 도어가 개방되는 OP(Open)도어 개방 신호부;
    가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엘리베이터 자동 구조운전 회로.
  5. 제3항에 있어서,
    RD구조운전을 실시할 때에 안내방송이 송출되는 것이 더 포함되는 엘리베이터 자동 구조운전 회로.
KR2020060021129U 2006-08-07 2006-08-07 엘리베이터 자동 구조운전 회로 KR2004297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1129U KR200429753Y1 (ko) 2006-08-07 2006-08-07 엘리베이터 자동 구조운전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1129U KR200429753Y1 (ko) 2006-08-07 2006-08-07 엘리베이터 자동 구조운전 회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4260A Division KR100809373B1 (ko) 2006-08-07 2006-08-07 엘리베이터 자동 구조운전 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9753Y1 true KR200429753Y1 (ko) 2006-10-27

Family

ID=41778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1129U KR200429753Y1 (ko) 2006-08-07 2006-08-07 엘리베이터 자동 구조운전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975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71008B2 (ja) エレベータ装置および昇降路監視装置の後付け方法
JP5526092B2 (ja) 電子化エレベータ
JP5312571B2 (ja) エレベータ装置
EP3366626B1 (en) Elevator safety system and method of monitoring an elevator system
WO1997023399A2 (en) Elevator safety system incorporating false pit
US10947087B2 (en) Elevator safety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an elevator system
EP2085348B1 (en) Elevator controller
EP3317220B1 (en) Elevator car location zones in hoistway
KR100975758B1 (ko) 엘리베이터 구조운전 회로
JP2012025558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4190626B2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KR100809373B1 (ko) 엘리베이터 자동 구조운전 회로
JP4265938B2 (ja) エレベータの非常用運転装置
JP2014114157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KR102434859B1 (ko) 엘리베이터 승강도어 안전관리 시스템
KR200429753Y1 (ko) 엘리베이터 자동 구조운전 회로
JP2012171771A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及びその制御方法
JP7147900B1 (ja) エレベータ
US20190389695A1 (en) Elevator system
JP2001002340A (ja) エレベータのブレーキ解放装置
JP4946027B2 (ja) エレベータ装置
WO2019106778A1 (ja) 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エレベーター、およびエレベーター制御方法
JP2004175560A (ja) エレベータの運転制御装置
WO2023231040A1 (en) A method and an elevator for determining elevator entrapment detection system malfunction
KR20180103344A (ko) 승강기의 비상탈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