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8311B1 - 가설 구조물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가설 구조물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8311B1
KR102058311B1 KR1020190034925A KR20190034925A KR102058311B1 KR 102058311 B1 KR102058311 B1 KR 102058311B1 KR 1020190034925 A KR1020190034925 A KR 1020190034925A KR 20190034925 A KR20190034925 A KR 20190034925A KR 102058311 B1 KR102058311 B1 KR 102058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orary structure
horizontal
moving device
temporary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4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정오
Original Assignee
정정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정오 filed Critical 정정오
Priority to KR1020190034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83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8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8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7Devices and methods for erecting scaffolds, e.g. automatic scaffold erec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7Comprising essentially pre-assembled three-dimensional elements, e.g. cubic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설 구조물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상에서 만들어진 가설구조물을 일정높이까지 상향으로 안전하게 승강이동시킬 수 있는 가설 구조물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수직부재; 상기 수직부재의 일단 및 타단에 직각인 복수의 수평부재; 상기 수평부재는 지지대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부재의 일단에 직각인 수평부재는 포크에 탈장착 가능하도록 내부가 동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 구조물 이동장치에 의해, 작업자가 일일이 고층까지 자재를 옮기지 않아도 되고, 지상에서 가설구조물을 조립하여 고층으로 이동시켜 작업자의 안전과 효율을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설 구조물 이동장치{Moving device for temporary structure}
본 발명은 가설 구조물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상에서 만들어진 가설구조물을 일정높이까지 상향으로 안전하게 승강이동시킬 수 있는 가설 구조물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건축물 건설 시, 가설 발판이나 시설물 유지관리를 위해 사람이나 장비, 자재 등을 올려 작업할 수 있도록 임시로 설치한 가설물, 즉 비계를 설치한다. 또한 작업장소가 2층 이상으로 높은 경우, 발판, 재료 운반, 위험물 낙하 방지를 위하여 임시 지지대를 설치하기도 한다. 그런데 이러한 비계나 임시 지지대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일일이 발판이나 강관, 연결철물을 상층으로 날라 조립, 설치 작업을 해야 하며 고층 건물을 건축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발판 등을 일일이 각 층에 설치한 후에 설치된 발판을 따라 강관 등을 상층으로 옮기는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한편 건축자재인 강관 등은 부피나 하중이 매우 크기 때문에 작업자가 상층으로 옮기는 과정에서 추락이나 붕괴 사고가 발생하기도 하고, 상층에서 작업자가 실수를 하게 되면 하층의 작업자가 연쇄적으로 사고를 당하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수직재와 수평재, 계단과 연결철물이 규격화, 일체화된 시스템 비계가 권장되고 있으나, 이 또한 작업자가 고층까지 발판 등을 일일이 옮기는 작업을 해야 하므로 고층으로 옮기는 과정에서의 추락, 낙하 위험은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한편 타설된 콘크리트가 소정의 강도를 얻기까지 고정하중 및 시공하중 등을 지지하기 위하여 가설 부재(동바리)를 설치하게 되는데, 이러한 가설 부재 또한 작업자가 일일이 자재를 해당 층으로 옮긴 후 조립하게 되므로 위험이 존재하며, 가설 부재의 위치를 옮기는 경우엔 기 조립된 가설 부재를 해체하여 지상으로 이동시킨 후, 다시 조립할 곳으로 가설 부재의 자재를 상층으로 나른 후 재조립해야 하므로 시간과 노력,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지상에서 기 조립된 가설 부재를 용이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기술이 출현하였다. 이러한 시스템 동바리 이동과 관련되는 선행특허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082363이 있다. 본 선행특허는 하면에는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름바퀴가 구비되어 있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후단부에 축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작동원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바퀴가 구비된 조향수단과, 상기 몸체 상면에 설치되어 작동원에 의해 길이가 가변되는 유압실린더부재로 이루어지는 차체를 사용한다, 이에 따라 시스템 동바리를 설치 장소로 쉽게 운반할 수 있음과 동시에 기립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본 선행특허는 동바리를 지상에서 설치 상태 그대로인 상태가 아닌 뉘어 작업한 후 본 선행특허의 차체를 이용하여 기립시키는 것인 바, 고층건물의 건축 시에 가설될 동바리는 그 높이가 상당하므로, 협소한 지상 작업 공간에서 뉘어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이 충분치 않아, 적용할 수 있는 작업현장이 극소수라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082363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자가 일일이 고층까지 자재를 옮기지 않아도 되고, 지상에서 가설구조물을 조립하여 고층으로 이동시켜 작업자의 안전과 효율을 도모할 수 있는 가설 구조물 이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수직부재; 상기 수직부재의 일단 및 타단에 직각인 복수의 수평부재; 상기 수평부재는 지지대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부재의 일단에 직각인 수평부재는 포크에 탈장착 가능하도록 내부가 동공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평부재와 상기 수직부재는 수평부재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평부재는 가설 구조물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설 구조물 지지대는 상기 수평부재의 일단 및 타단에 위치하되, 일단에 설치된 가설 구조물은 상기 수직부재와 접하는 지점에서 이격된 지점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직부재는 포크암에 결합되는 포크암 장착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수직부재의 일단에 직각이며 내부가 동공인 수평부재는 포크 결착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수평부재는 타단에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자재운반이나 작업자의 통로 및 작업을 위한 발판 등 가설 구조물을 작업자가 일일이 고층으로 나르는 어려움이나 건축 자재 등이 낙하하거나 붕괴될 때의 인명사고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건축공사 때에 높은 곳에서 일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가설 구조물을 지상에서 조립하여 해당층으로 안전하고 신속하게 이동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설 구조물 이동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설 구조물 이동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설 구조물 이동장치의 일 실시예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구성요소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크기를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며, 각 구성요소의 비율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일단', '타단'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는 위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위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단구성요소'는 '타단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일단구성요소'도 '타단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설 구조물 이동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설 구조물 이동장치의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복수의 수직부재(20a, 20b)가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각 수직부재(20a, 20b)의 일단과 타단에는 복수의 수평부재(10a, 10b, 10c, 10d)가 직각으로 위치하고 있어 전체적으로는 한 쪽이 열려있는 'ㄷ'자 형상을 하고 있다. 이러한 수직부재(20a, 20b) 및 수평부재(10a, 10b, 10c, 10d)의 일단과 타단은 지지대(40a, 40b, 40c, 40d)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한편 복수의 수평부재 중 수직부재(20a, 20b)의 일단에 직각인 하단의 수평부재(10a, 10b)는 포크에 탈장착 가능하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동공이다. 이러한 동공에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 결착되어 본 발명에 의한 가설 구조물 이동장치를 승강 또는 하강할 수 있다. 상기 하단의 수평부재(10a, 10b)는 그 견고함을 위해 수평부재(10a, 10b)의 하단에 별도의 수평부재를 중첩으로 덧대어 위치시킬 수 있다. 한편 수직부재(20a, 20b)의 중앙부분과 상단의 수평부재(10c, 10d) 타단은 수평부재 지지대(30a, 30b)로 연결되어 있어, 무거운 하중의 가설 구조물을 상단 수평부재(10c, 10d)에 걸쳐 이동 시, 수평부재(10c, 10d)가 그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수평부재(10a, 10b, 10c, 10d)는 가설 구조물 지지대(60a, 60b, 60c, 60d)를 더 포함한다. 가설 구조물 지지대는(60a, 60b, 60c, 60d) 수평부재(10a, 10b, 10c, 10d)로부터 솟아나 있는 판형의 것으로 동바리 등의 가설 구조물이 본 발명에 따른 가설 구조물 이동장치에 승강을 위해 안착 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가설 구조물인 동바리 등의 파이프 내지 강관이 가설구조물 이동장치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안전하게 결속시켜준다. 가설 구조물 지지대(60a, 60b, 60c, 60d)는 상기 수평부재(10a, 10b, 10c, 10d) 일단에 위치되되, 상기 수직부재(20a, 20b)와 접하는 지점에서 이격된 지점에 위치한다. 이격된 지점은 동바리 등의 파이프 내지 강관의 두께 정도가 적당하다. 이 보다 크면 파이프 내지 강관으로 구성된 가설 구조물이 안정되게 안착되지 아니하고, 이 보다 작으면 가설 구조물을 본 발명에 따른 이동장치에 결속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수직부재는 포크암에 결합되는 포크암 장착 브라켓(50a, 50b)을 더 포함한다. 포크암 장착 브라켓(50a, 50b)은 날개가 달린 구조로 지게차의 포크가 본 발명에 따른 가설 구조물 이동장치의 하단 수평부재(70a, 70b)에 결착 시 포크암 장착 브라켓(50a, 50b)의 날개가 포크암을 감싸 안정적인 결착을 제공한다. 한편 하단 수평부재(10a, 10b)일단은 수평부재와 반대방향으로 향해 있으며 양 날개를 구비하는 포크 결착구(70a, 70b)를 더 포함하여 하단 수평부재(10a, 10b)가 포크와 결합 시 견고한 결착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설 구조물 이동장치의 상단 수평부재 또는 하단 수평부재에 비계 등의 발판 자재를 올려 놓은 후, 지게차의 포크를 결합하여 가설 구조물 이동장치를 고층까지 승강시켜 발판 등의 자재를 이동키시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3의 본 발명에 따른 가설 구조물 이동장치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설 구조물 이동장치가 가설 구조물을 승강 이동하는 것을 설명한다.
동바리 가설 구조물은 콘크리트 구조물이 굳을때까지 지지하는 설비로 비계의 기둥이나 지보공의 지주의 밑에 설치하여 비계기둥 또는 지주의 사오 간격을 유지하고 기둥 밑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목적의 수평연결재로, 수직강관과 수평강관이 연결 부재에 의해 연결된 트러스 구조이다. 이러한 동바리 트러스 구조를 지상에서 조립한 후 기립되어 있는 완성 동바리의 수평강관 밑에 포크가 결합한 가설 구조물 이동장치의 수평부재(10c, 10d)를 밀어넣는다. 하단 수평부재(10a, 10b)와 상단 수평부재(10c, 10d)높이 간격은 동바리의 수평 강관 들의 간격과 동일하며, 동바리의 수평 강관은 가설구조물 지지대(60a, 60b, 60c, 60d)와 수직부재(20a, 20b)사이에 안착되어 가설 구조물 이동장치가 상승이동하더라도 동바리가 이탈되거나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결착가능하다. 한편 가설 구조물 이동장치의 수평부재(10a, 10b, 10c, 10d )의 타단에는 스토퍼가 있어, 상승 이동하기 위해 적재한 건축자재 또는 동바리 등 가설구조물이 혹시라도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설구조물을 이동시키려는 높이에 따라, 가설구조물의 하단 수평부재를 가설 구조물 이동장치의 하단 수평부재(10a, 10b)에 안착시킬 수도 있고, 상단 수평부재(10c, 10d)에 안착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가설 구조물 이동장치에 결합된 동바리는 설치 위치에 따라 지게차의 리프트가 상승하여 목적하는 위치에 안전하에 동바리 등의 가설구조물을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a, 10b, 10c, 10d : 수평부재 20a, 20b : 수직부재
30a, 30b : 수평부재 지지대
40a, 40b, 40c, 40d : 지지대
50a, 50b : 포크암 장착브라켓
60a, 60b, 60c, 60d :가설구조물 지지대
70a, 70b : 포크 결착구
80a, 80b : 스토퍼

Claims (7)

  1. 복수의 수직부재;
    상기 수직부재의 일단에 직각인 복수의 하부 수평부재;
    상기 수직부재의 타단에 직각인 복수의 상부 수평부재;
    상기 상하부 수평부재는 지지대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수평부재는 포크에 탈장착 가능하도록 내부가 동공이며;
    상기 상부 내지 하부 수평부재에는 트러스 구조의 가설구조물의 수평강관이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 구조물 이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재와 상기 수직부재는 수평부재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 구조물 이동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재는 가설 구조물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 구조물 이동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설 구조물 지지대는 상기 수평부재의 일단 및 타단에 위치하되, 일단에 설치된 가설 구조물은 상기 수직부재와 접하는 지점에서 이격된 지점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 구조물 이동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재는 포크암에 결합되는 포크암 장착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 구조물 이동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재의 일단에 직각이며 내부가 동공인 수평부재는 포크 결착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 구조물 이동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재는 타단에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 구조물 이동장치.

KR1020190034925A 2019-03-27 2019-03-27 가설 구조물 이동장치 KR102058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925A KR102058311B1 (ko) 2019-03-27 2019-03-27 가설 구조물 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925A KR102058311B1 (ko) 2019-03-27 2019-03-27 가설 구조물 이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8311B1 true KR102058311B1 (ko) 2019-12-20

Family

ID=69062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4925A KR102058311B1 (ko) 2019-03-27 2019-03-27 가설 구조물 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83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6472B1 (ko) * 2021-03-04 2021-11-12 정정오 가설구조물 이동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7103A (ja) * 2004-01-22 2005-08-04 Shimizu Corp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搬送装置および搬送方法
KR101577975B1 (ko) * 2013-10-28 2015-12-16 최지현 적재이동장치
KR200479223Y1 (ko) * 2014-10-10 2016-01-12 조예성 비계용 리프트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7103A (ja) * 2004-01-22 2005-08-04 Shimizu Corp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搬送装置および搬送方法
KR101577975B1 (ko) * 2013-10-28 2015-12-16 최지현 적재이동장치
KR200479223Y1 (ko) * 2014-10-10 2016-01-12 조예성 비계용 리프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6472B1 (ko) * 2021-03-04 2021-11-12 정정오 가설구조물 이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46631B1 (en) Apparatus for use in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US11274450B2 (en) System and method of assembling and installing commercial roofing
CN111502215A (zh) 一种移动式脚手架
CA2728798C (en) A system comprising a movable work platform, as well as an apparatus and a crane device
KR102058311B1 (ko) 가설 구조물 이동장치
JP6270692B2 (ja) 揚重装置および揚重方法
JP6167025B2 (ja) 重量物の階段揚重装置及び階段揚重方法
US7014011B1 (en) Scaffolding lift system
CN110259087A (zh) 脚手架支撑结构及脚手架支撑系统
KR200298436Y1 (ko) 교량의 캔틸레버부 거푸집 해체 이동카
JP2017071488A (ja) 重量物の階段揚重装置及び階段揚重方法
KR100334121B1 (ko) 신속조립용작업틀및설치방법
KR102326472B1 (ko) 가설구조물 이동장치
CN210480655U (zh) 一种组装式采光顶玻璃吊装机
CN219257384U (zh) 多功能墙板转运车
JP2004143677A (ja) 建築機材の搬出入装置
KR102621157B1 (ko) 곤도라 확장용 발판
JP6953655B1 (ja) 足場を構成する一組の箱
JPH066597U (ja) 移動吊り足場装置
KR20090042061A (ko) 대빗 장치
EP3423390B1 (en) A foldable platform lift
JPH0714007U (ja) 建築工事用養生ネット
CN114104939A (zh) 一种钢构架吊装工艺、吊装设备及辅助装置
JPH0813810A (ja) ビル建築装置
JPH0742361A (ja) 立体駐車場建設用作業ゴンド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