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9182A - 승강식 비계장치 - Google Patents

승강식 비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9182A
KR20100129182A KR1020100048462A KR20100048462A KR20100129182A KR 20100129182 A KR20100129182 A KR 20100129182A KR 1020100048462 A KR1020100048462 A KR 1020100048462A KR 20100048462 A KR20100048462 A KR 20100048462A KR 20100129182 A KR20100129182 A KR 20100129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rail
lifting
frame
ladder body
resp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8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1107B1 (ko
Inventor
가즈나리 사이토
히토시 나고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마루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마루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마루사
Publication of KR20100129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9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1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1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adjustable in he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5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essentially comprising special means for supporting or forming platforms;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7Comprising essentially pre-assembled three-dimensional elements, e.g. cubic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designed to provide support only at a low height
    • E04G1/32Other free-standing supports, e.g. using trest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4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with coupling elements using positive engagement, e.g. hooks or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04G2001/242Scaffolds movable on wheels or t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사다리 폭이 대략 일정하게 승강이동 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고, 또한 사다리체에 의한 승강부의 내하중성도 향상시키는 승강식 비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수단)
승강부(4)의 각 승강 프레임(2)의 대향변부(8)의 양측부에 각각, 한 쌍의 베어링부(12)를 상방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형성하고 이 각 한 쌍의 베어링부(12)의 돌출 선단부 사이에 사다리체(9)의 양측 세로 테두리부(10)의 하단부를 부착함과 아울러, 한 쌍의 베어링부(12)의 기단부 사이를 걸기용 간극부(13)로 하고, 이 사다리체(9)의 양측 세로 테두리부(10)의 상단부에 걸기부(11)를 형성함과 아울러, 이 걸기부(11)는, 상기 걸기용 간극부(13)에 삽입되어 각 승강 프레임(2)의 대향변부(8)에 걸 수 있는 훅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걸기부(11)를 걸기용 간극부(13)에 삽입하여 대향변부(8)에 걸면, 상하 사다리체(9)의 양측 세로 테두리부(10)가 상하방향으로 대략 일직선 상에 나란하게 설치되는 구성으로 한 승강식 비계장치이다.

Description

승강식 비계장치{ELEVATING TYPE SCAFFOLDING DEVICE}
본 발명은, 고소작업용(高所作業用)의 승강식 비계장치(昇降式 飛階裝置)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승강식 비계장치는, 접지대(接地臺)의 상부에, 복수(複數)의 승강 프레임(昇降 frame)을 승강기구(昇降機構)를 통하여 상하 다단(多段)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승강부(昇降部)가 설치됨과 아울러, 이 승강부의 상부에, 작업 바닥부와 이 작업 바닥부의 둘레에 세워서 설치되는 난간부(欄干部)를 구비하는 비계 프레임(飛階 frame)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승강부의 상기 각 승강 프레임의 대향변부(對向邊部)에는 사다리체의 양측 세로 테두리부의 하단부가 부착되어 있고, 이 사다리체가 승강 프레임에 대하여 기복회전(起伏回轉) 하도록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사다리체의 양측 세로 테두리부의 상단부에, 사다리체를 기동(起動)시켜서 입설상태(立設狀態)로 하였을 때에 승강 프레임의 대향변부에 걸 수 있는 걸기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걸기부를 상단의 승강 프레임의 대향변부에 걸어서 사다리체를 상하의 대향변부 사이에 가설(架設)하면, 입설상태의 사다리체에 의하여 하단의 승강 프레임에 대하여 상단의 승강 프레임이 상승한 상태로 지지됨과 아울러, 이 사다리체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승강부를 승강이동(昇降移動)할 수 있고, 걸기부를 대향변부로부터 분리하여 사다리체를 승강 프레임 상에 눕혀지도록 이동시키면, 하단의 승강 프레임에 대하여 상단의 승강 프레임을 승강기구를 통하여 하강시켜서 승강부를 부피가 커지지 않도록 접힌 상태로 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
일본국 공개실용신안 실공평6-36167호 공보
이러한 종류의 승강식 비계장치는, 사다리체의 양측 세로 테두리부의 하단부가 승강 프레임의 대향변부에 부착됨과 아울러, 이 사다리체의 양측 세로 테두리부 상단부의 걸기부도 승강 프레임의 대향변부에 걸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사다리체의 부착위치와 걸기부의 거는 위치가 중복되지 않도록(사다리체의 부착위치를 피하여 걸기부를 대향변부에 걸 수 있도록), 예를 들면 둘째 단의 승강 프레임에 부착되는 사다리체는 그 가로폭(양측 세로 테두리부 사이의 폭 즉 걸기부 사이의 폭)을 첫째 단의 사다리체보다 좁게 하고, 셋째 단의 승강 프레임에 부착되는 사다리체는 그 가로폭을 둘째 단의 사다리체보다 넓게 하는 등과 같이 사다리체의 폭이 상하에서 달라지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었지만, 1개의 단마다 가로폭이 변경되는 사다리는 단이 바뀌면서 발을 걸치는 위치 등에 주의하여 안전을 확인하면서 승강이동을 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의외로 승강이동이 어려웠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승강식 비계장치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것을 해결하려는 것으로서, 사다리 폭이 대략 일정하여 승강이동이 매우 쉽고, 또한 사다리체에 의한 승강부의 내하중성(耐荷重性)도 향상시키는 획기적인 승강식 비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요지를 설명한다.
접지대(接地臺)(1)의 상부에, 복수의 승강 프레임(昇降 frame)(2)을 승강기구(昇降機構)(3)를 통하여 상하 다단(多段)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승강부(昇降部)(4)를 설치함과 아울러, 이 승강부(4)의 상부에, 작업 바닥부(5)와 이 작업 바닥부(5)의 둘레에 세워서 설치되는 난간부(欄干部)(6)를 구비하는 비계 프레임(飛階 frame)(7)을 설치한 승강식 비계장치(昇降式 飛階裝置)로서, 상기 승강부(4)의 상기 각 승강 프레임(2)의 대향변부(對向邊部)(8)에 사다리체(9)의 양측 세로 테두리부(10)의 하단부를 부착하고, 이 사다리체(9)를 승강 프레임(2)에 대하여 기복회전(起伏回轉)하도록 설치하고, 이 사다리체(9)의 양측 세로 테두리부(10)의 상단부에, 사다리체(9)를 기동(起動)시켜서 입설상태(立設狀態)로 하였을 때에 승강 프레임(2)의 대향변부(8)에 걸 수 있는 걸기부(11)를 형성하고, 이 걸기부(11)를 상단의 승강 프레임(2)의 대향변부(8)에 걸어서 연결함으로써 사다리체(9)를 상하의 대향변부(8) 사이에 가설(架設)하면, 입설상태의 사다리체(9)에 의하여 하단의 승강 프레임(2)에 대하여 상단의 승강 프레임(2)을 상승상태로 지지할 수 있고, 또한 걸기부(11)를 대향변부(8)로부터 분리하여 사다리체(9)를 승강 프레임(2) 상에 눕혀지도록 이동시키면, 하단의 승강 프레임(2)에 대하여 상단의 승강 프레임(2)을 상기 승강기구(3)에 의하여 하강할 수 있도록 구성한 승강식 비계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승강 프레임(2)의 상기 대향변부(8)의 양측부에 각각, 한 쌍의 베어링부(bearing部)(12)를 상방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형성하고 이 각 한 쌍의 베어링부(12)의 돌출 선단부 사이에 상기 사다리체(9)의 양측 세로 테두리부(10)의 하단부를 부착함과 아울러, 한 쌍의 베어링부(12)의 기단부(基端部) 사이를 걸기용 간극부(13)로 하고, 상기 걸기부(11)는, 이 걸기용 간극부(13)에 삽입되어 각 승강 프레임(2)의 대향변부(8)에 걸 수 있는 훅(hook)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걸기부(11)를 걸기용 간극부(13)에 삽입하여 대향변부(8)에 걸면, 상하의 사다리체(9)의 양측 세로 테두리부(10)가 상하방향으로 일직선 상에 나란하게 설치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비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걸기부(11)는, 상기 걸기용 간극부(13)의 가로폭 치수보다 작은 가로폭 치수를 구비하고 이 걸기용 간극부(13)에 삽입되어 상기 승강 프레임(2)의 대향변부(8)에 걸 수 있는 훅체(hook體)(14)와, 이 훅체(14)의 개구부(開口部)(15)를 폐쇄하여 상기 각 승강 프레임(2)의 대향변부(8)를 빠짐 방지 상태로 하는 폐쇄체(閉鎖體)(16)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1에 기재된 승강식 비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난간부(6)에, 상기 사다리체(9)와 위치를 대응시켜서 상기 작업 바닥부(5)로의 출입용 개폐부(開閉部)(17)를 개폐회전(開閉回轉)하도록 설치함과 아울러, 이 개폐부(17)는, 개방회전(開放回轉)하여 난간부(6)에 포개어 합쳐질 수 있도록 구성하고, 이 개폐부(17)가 포개어 합쳐진 난간부(6)를 상기 작업 바닥부(5)에 대하여 외측 하방으로 회전하게 하여 상기 승강부(4)에 연결되어 설치되는 상태로 하는 난간회전기구(欄干回轉機構)(18)를 상기 비계 프레임(7)에 설치함과 아울러, 이 난간회전기구(18)는, 난간부(6)를 작업 바닥부(5)에 대하여 입설상태로 지지하거나 지지 해제 가능한 입설지지기구(立設支持機構)(1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1에 기재된 승강식 비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난간부(6)에, 상기 사다리체(9)와 위치를 대응시켜서 상기 작업 바닥부(5)로의 출입용 개폐부(17)를 개폐회전하도록 설치함과 아울러, 이 개폐부(17)는, 개방회전하여 난간부(6)에 포개어 합쳐질 수 있도록 구성하고, 이 개폐부(17)가 포개어 합쳐진 난간부(6)를 상기 작업 바닥부(5)에 대하여 외측 하방으로 회전하게 하여 상기 승강부(4)에 연결되어 설치되는 상태로 하는 난간회전기구(18)를 상기 비계 프레임(7)에 설치함과 아울러, 이 난간회전기구(18)는, 난간부(6)를 작업 바닥부(5)에 대하여 입설상태로 지지하거나 지지 해제 가능한 입설지지기구(1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2에 기재된 승강식 비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개폐부(17)에, 이 개폐부(17)의 폐쇄상태와, 개방회전하여 난간부(6)에 포개어 합쳐진 상태를 록(lock) 하거나 록 해제 가능한 록 수단(lock 手段)(24)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3에 기재된 승강식 비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개폐부(17)에, 이 개폐부(17)의 폐쇄상태와, 개방회전하여 난간부(6)에 포개어 합쳐진 상태를 록 하거나 록 해제 가능한 록 수단(24)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4에 기재된 승강식 비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난간회전기구(18)는, 상기 비계 프레임(7)에 상기 난간부(6)를 부착하고, 이 부착부(20)를 지점(支點)으로 하여 난간부(6)가 상기 작업 바닥부(5)에 대하여 외측 하방으로 회전하여 상기 승강부(4)에 연결되어 설치된 상태가 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입설지지기구(19)는, 상기 난간부(6)의 하부를 삽입하여 결합하는 피삽입부(被揷入部)(21)를 상기 비계 프레임(7)에 설치하고, 이 피삽입부(21)에 난간부(6)의 하부를 삽입하여 결합함으로써 난간부(6)가 상기 작업 바닥부(5)에 대하여 입설상태로 지지되고, 또한 피삽입부(21)로부터 난간부(6)의 하부를 빼냄으로써 입설 지지가 해제되어 난간부(6)가 상기 부착부(20)를 지점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3에 기재된 승강식 비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난간회전기구(18)는, 상기 비계 프레임(7)에 상기 난간부(6)를 부착하고, 이 부착부(20)를 지점으로 하여 난간부(6)가 상기 작업 바닥부(5)에 대하여 외측 하방으로 회전하여 상기 승강부(4)에 연결되어 설치된 상태가 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입설지지기구(19)는, 상기 난간부(6)의 하부를 삽입하여 결합하는 피삽입부(21)를 상기 비계 프레임(7)에 설치하고, 이 피삽입부(21)에 난간부(6)의 하부를 삽입하여 결합함으로써 난간부(6)가 상기 작업 바닥부(5)에 대하여 입설상태로 지지되고, 또한 피삽입부(21)로부터 난간부(6)의 하부를 빼냄으로써 입설 지지가 해제되어 난간부(6)가 상기 부착부(20)를 지점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4에 기재된 승강식 비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난간회전기구(18)는, 상기 비계 프레임(7)에 상기 난간부(6)를 부착하고, 이 부착부(20)를 지점으로 하여 난간부(6)가 상기 작업 바닥부(5)에 대하여 외측 하방으로 회전하여 상기 승강부(4)에 연결되어 설치된 상태가 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입설지지기구(19)는, 상기 난간부(6)의 하부를 삽입하여 결합하는 피삽입부(21)를 상기 비계 프레임(7)에 설치하고, 이 피삽입부(21)에 난간부(6)의 하부를 삽입하여 결합함으로써 난간부(6)가 상기 작업 바닥부(5)에 대하여 입설상태로 지지되고, 또한 피삽입부(21)로부터 난간부(6)의 하부를 빼냄으로써 입설 지지가 해제되어 난간부(6)가 상기 부착부(20)를 지점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5에 기재된 승강식 비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난간회전기구(18)는, 상기 비계 프레임(7)에 상기 난간부(6)를 부착하고, 이 부착부(20)를 지점으로 하여 난간부(6)가 상기 작업 바닥부(5)에 대하여 외측 하방으로 회전하여 상기 승강부(4)에 연결되어 설치된 상태가 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입설지지기구(19)는, 상기 난간부(6)의 하부를 삽입하여 결합하는 피삽입부(21)를 상기 비계 프레임(7)에 설치하고, 이 피삽입부(21)에 난간부(6)의 하부를 삽입하여 결합함으로써 난간부(6)가 상기 작업 바닥부(5)에 대하여 입설상태로 지지되고, 또한 피삽입부(21)로부터 난간부(6)의 하부를 빼냄으로써 입설 지지가 해제되어 난간부(6)가 상기 부착부(20)를 지점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6에 기재된 승강식 비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부착부(20)는, 상기 비계 프레임(7) 또는 상기 난간부(6)에 축부(軸部)(22)를 형성하고, 이 축부(22)를 회전하도록 축을 수용하는 장공(長孔) 형상의 베어링 구멍부(23)를 난간부(6) 또는 비계 프레임(7)에 형성하고, 이 축부(22)를 지점으로 하여 난간부(6)가 상기 작업 바닥부(5)에 대하여 외측 하방으로 회전하여 상기 승강부(4)에 연결되어 설치된 상태가 되도록 구성함과 아울러, 상기 베어링 구멍부(23)를 장공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베어링 구멍부(23)에서의 상기 축부(22)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난간부(6)를 상기 피삽입부(21)에 대하여 빼거나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7 내지 청구항10 중에서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승강식 비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각 승강 프레임(2)의 상기 대향변부(8)는, 상기 비계 프레임(7)의 상기 작업 바닥부(5)보다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설치하고, 상하의 승강 프레임(2)의 대향변부(8) 사이에 가설하는 상기 사다리체(9)가 작업 바닥부(5)보다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설치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1 내지 청구항10 중에서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승강식 비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각 승강 프레임(2)의 상기 대향변부(8)는, 상기 비계 프레임(7)의 상기 작업 바닥부(5)보다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설치하고, 상하의 승강 프레임(2)의 대향변부(8) 사이에 가설하는 상기 사다리체(9)가 작업 바닥부(5)보다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설치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11에 기재된 승강식 비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하였기 때문에, 사다리체의 양측 세로 테두리부 상단부의 걸기부를, 사다리체의 양측 세로 테두리부 하단부 하방의 걸기용 간극부에 삽입하여 승강 프레임의 대향변부에 걸 수 있고, 이에 따라 상하 사다리체의 양측 세로 테두리부를 상하방향으로 대략 일직선 상에 나란하게 설치하기 때문에, 비계 프레임(작업 바닥부)으로부터 사다리체의 세로 테두리부로 전달되는 하중이 그의 대략 바로 아래에 있는 사다리체의 세로 테두리부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지지되어 높은 내하중성을 발휘하게 되고, 또한 사다리체의 가로폭을 통일할 수 있기 때문에, 상하 다단의 각 승강 프레임 사이에 가설하는 사다리체의 가로폭이 일정하게 되어 승강이동이 매우 용이한 사다리 구조를 실현할 수 있게 되는 등 매우 실용성이 뛰어난 획기적인 승강식 비계장치가 된다.
또한 청구항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한 쌍의 베어링부의 기단부 사이의 걸기용 간극부에 확실하게 삽입하여 승강 프레임의 대향변부에 걸 수 있는 걸기부를 간단하게 설계할 수 있어 실용성이 한층 뛰어난 구성의 승강식 비계장치가 된다.
또한 청구항3, 4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개폐부에 의하여 작업 바닥부로의 출입을 자유롭게 할 수 있으며 또한 난간부에 의하여 고소작업 시의 안전성이 확보되는 구성이면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난간부까지 간단하게 접어서 콤팩트(compact)한 보관상태로 할 수 있어 실용성이 한층 뛰어난 구성의 승강식 비계장치가 된다.
또한 청구항5, 6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개폐부를 폐쇄상태로 록(lock)하여 작업 시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관상태로 할 때에 있어서의 난간부의 회전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실용성이 한층 뛰어난 구성의 승강식 비계장치가 된다.
또한 청구항7∼10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고소작업 시에는 난간부를 확실하게 세워서 설치한 상태를 지지할 수 있는 구성이면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난간부를 간단하게 접어서 콤팩트화 할 수 있는 구성을 간단하게 설계할 수 있어 한층 뛰어난 구성의 승강식 비계장치가 된다.
또한 청구항1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난간부의 하부를 착탈하도록 하여 난간부를 회전하도록 지지하는 부착부를 용이하게 설계할 수 있어 실용성이 한층 뛰어난 구성의 승강식 비계장치가 된다.
또한 청구항12, 13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사다리체와 작업 바닥부의 사이를 이동하는 데 있어서 작업자가 공포심을 느끼지 않고 승강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실용성이 한층 뛰어난 구성의 승강식 비계장치가 된다.
도1은 본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는 본 실시예의 일부를 절단한 부분 확대 정면도이다.
도3은 본 실시예의 사다리체의 부착구조 및 걸기부의 걸기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분해사시도이다.
도4는 본 실시예의 사다리체의 부착구조 및 걸기부의 걸기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
도5는 본 실시예의 사다리체의 부착구조 및 걸기부의 걸기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정면도이다.
도6은 본 실시예의 비계 프레임 및 개폐부의 개방회전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7은 본 실시예의 개폐부를 난간부에 포개어 합친 상태로 록 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8은 본 실시예의 입설지지기구 및 난간회전기구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
도9는 본 실시예의 난간회전기구에 대한 작동 설명도이다.
도10은 본 실시예의 보관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발명을 어떻게 실시할 것인가)를,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함으로써 간단하게 설명한다.
접지대(接地臺)(1)를 접지(接地)하고 승강부(昇降部)(4)를 승강조정함으로써 작업의 목적에 맞는 비계 프레임(飛階 frame)(7)의 높이를 조정하여, 난간부(欄干部)(6)로 둘러싸인 작업 바닥부(5) 상에서 작업자가 고소작업(高所作業)을 한다. 또한 승강부(4)를 구성하는 상하 다단(多段)의 승강 프레임(昇降 frame)(2)의 대향변부(對向邊部)(8) 사이에 가설(架設)된 사다리체(9)를 이용하여, 작업자는 작업 바닥부(5)와 접지면의 사이를 승강이동(昇降移動)할 수 있다.
또한 승강부(4)의 승강조정은, 하단의 승강 프레임(2)으로부터 승강기구(昇降機構)(3)에 의하여 상단의 승강 프레임(2)을 상승시키고, 하단의 승강 프레임(2)으로부터 사다리체(9)를 기동(起動)시켜서 입설상태(立設狀態)로 하여 이 사다리체(9) 상단부의 걸기부(11)를 상단의 승강 프레임(2)의 대향변부(8)에 걸면, 사다리체(9)가 상하의 대향변부(8) 사이에 가설되어 하단의 승강 프레임(2)에 대하여 상단의 승강 프레임(2)을 상승상태로 지지할 수 있고, 반대로 걸기부(11)를 대향변부(8)로부터 분리하여 사다리체(9)를 승강 프레임(2) 상에 눕혀지도록 이동시키면, 하단의 승강 프레임(2)에 대하여 상단의 승강 프레임(2)을 승강기구(3)를 통하여 하강시킬 수 있다.
즉 상하 다단의 승강 프레임(2) 중에서 몇 개를 상승상태로 지지함으로써 승강부(4)의 높이를 다르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승상태로 지지되는 승강 프레임(2)의 수를 선택함으로써 비계 프레임(7)(작업 바닥부(5))의 높이를 승강조정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다리체(9)는, 각 승강 프레임(2)에 있어서 대향변부(8)의 양측부에 각각 한 쌍의 베어링부(bearing部)(12)를 상방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형성하고, 이 한 쌍의 베어링부(12)의 돌출 선단부 사이에 양측 세로 테두리부(10)의 하단부를 부착함으로써 승강 프레임(2)에 대하여 기복회전(起伏回轉)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한 쌍의 베어링부(12)의 기단부 사이는, 이 사다리체(9)의 양측 세로 테두리부(10)의 상단부에 형성된 훅(hook) 형상의 걸기부(11)를 삽입할 수 있는 걸기용 간극부(13)로 되어 있다.
따라서 걸기부(11)를 걸기용 간극부(13)에 삽입하여 대향변부(8)에 걸면, 상하의 사다리체(9)의 양측 세로 테두리부(10)가 상하방향으로 대략 일직선 상에 나란하게 설치된다.
이 때문에 비계 프레임(7)의 작업 바닥부(5) 상에서 작업자가 작업을 하면, 이 비계 프레임(7)으로부터의 하중은 사다리체(9)에 의하여 지지되어 하단의 승강 프레임(2)으로 전달되지만, 이 때에 세로 테두리부(10)로 전달되는 하중이 그의 대략 바로 하측에 있는 세로 테두리부(10)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지지되기 때문에, 양측 세로 테두리부(10)가 상하방향으로 위치를 다르게 하여 나란하게 되어 있는 종래의 구조에 비하여 승강 프레임(2)에 변형 등을 발생시키지 않아, 승강부(4)는 높은 내하중성(耐荷重性)을 발휘하게 된다.
또한 양측 세로 테두리부(10)의 상단부의 걸기부(11)를, 양측 세로 테두리부(10)에 있어서 하단부의 대략 바로 하측(걸기용 간극부(13))에 삽입하여 걸 수 있는 본 발명의 사다리체(9)는, 종래의 제품과 같이 각 승강 프레임(2)마다 가로폭(양측 세로 테두리부(10) 사이의 폭)이 다른 것을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각 승강 프레임(2)의 가로폭을 통일할 수 있다.
따라서 상하 다단의 각 승강 프레임(2) 사이에 가설되는 사다리체(9)의 가로폭이 상하에 있어서 서로 다르지 않아, 일정한 가로폭의 사다리체(9)가 상하에 있어서 나란하게 되어 승강이동이 매우 용이한 사다리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모든 사다리체(9)를 승강 프레임(2) 상에 눕혀지도록 이동시키고, 승강기구(3)를 통하여 모든 승강 프레임(2)을 하강시키면, 각 승강 프레임(2)의 상하 간격이 좁아져서 부피(높이)가 커지지 않도록 접힌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상기 난간부(6)에, 상기 사다리체(9)와 위치를 대응시켜서 상기 작업 바닥부(5)로의 출입용 개폐부(17)를 개폐회전(開閉回轉) 하도록 설치함과 아울러, 이 개폐부(17)는 개방회전(開放回轉)되어 난간부(6)에 포개어 합쳐지도록 구성하고, 이 개폐부(17)가 포개어 합쳐진 난간부(6)를 상기 작업 바닥부(5)에 대하여 외측 하방으로 회전하게 하여 상기 승강부(4)에 연결하여 설치되는 상태로 하는 난간회전기구(欄干回轉機構)(18)를 상기 비계 프레임(7)에 설치함과 아울러, 이 난간회전기구(18)는 난간부(6)를 작업 바닥부(5)에 대하여 입설상태로 지지하고 지지 해제 가능한 입설지지기구(立設支持機構)(19)를 구비하면, 고소작업 시에 난간부(6)를 입설지지기구(19)에 의하여 작업 바닥부(5)에 대하여 입설상태를 지지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출입용 개폐부(17)를 개폐 조작하여 작업 바닥부(5)와 사다리체(9) 사이를 작업자가 자유롭게 왕래할 수 있다. 또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개폐부(17)를 개방회전시켜서 난간부(6)에 포개어 합쳐지게 함과 아울러 입설지지기구(19)를 해제하면, 개폐부(17)가 포개어 합쳐진 이 난간부(6)를 난간회전기구(18)에 의하여 상기 작업 바닥부(5)에 대하여 외측 하방으로 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 개폐부(17)가 포개어 합쳐진 난간부(6)를 상기 승강부(4)에 연결하여 설치한 상태로 하여 콤팩트(compact)한 보관상태로 할 수 있고, 이 때에 난간부(6)와 개폐부(17)도 비계 프레임(7)으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콤팩트화 할 수 있기 때문에 난간부(6), 개폐부(17)를 분실할 염려도 없다.
또한 예를 들면 상기 개폐부(17)에, 이 개폐부(17)의 폐쇄상태와, 개방회전되어 난간부(6)에 포개어 겹쳐진 상태를 록(lock) 하거나 록 해제 가능한 록 수단(lock手段)(24)을 설치하면, 개폐부(17)를 폐쇄상태로 록 하여 작업 바닥부(5) 상에서의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음과 아울러, 난간부(6)를 회전 조작하여 보관상태로 할 때에 개폐부(17)가 제멋대로 회전하여 조작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난간부(6)에 포개어 합쳐진 상태로 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성이 뛰어나다.
또한 예를 들면 상기 각 승강 프레임(2)의 상기 대향변부(8)는 상기 비계 프레임(7)의 상기 작업 바닥부(5)보다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설치하고, 상하의 승강 프레임(2)의 대향변부(8) 사이에 가설되는 상기 사다리체(9)가 작업 바닥부(5)보다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설치하도록 구성하면, 작업 바닥부(5)보다 사다리체(9)가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사다리체(9)로부터 작업 바닥부(5)로 이동할 때에도, 작업 바닥부(5)로부터 사다리체(9)로 이동할 때에도, 작업자는 작업 바닥부(5) 방면을 향하면서 앞에서 말한 자세로 상승·하강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때에 공포심을 느끼지 않고 승강이동을 쉽게 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접지대(1)의 상부에 승강부(4)를 설치함과 아울러, 이 승강부(4)의 상부에, 작업 바닥부(5)와 이 작업 바닥부(5)의 둘레에 세워 설치되는 난간부(6)를 구비하는 비계 프레임(7)을 설치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예의 접지대(1)는, 평면에서 볼 때에 대략 직사각형 테두리 모양의 주 프레임(主 frame)(25)의 네 구석에 지지다리(26)를 수직으로 설치하고, 각 지지다리(26)의 하단에 캐스터(caster)(27)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각 지지다리(26)에는, 상기 캐스터(27)를 접지면으로부터 부상(浮上)시켜서 이동불능 상태로 하는 잭부(jack部)(28)를 측방으로 돌출시켜서 설치함과 아울러, 이 잭부(28)는 지지다리(26)를 지점(支點)으로 하여 수평방향으로 선회(旋回)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승강부(4)는, 평면에서 볼 때에 대략 직사각형 테두리 모양의 승강 프레임(2)을 승강기구(3)를 통하여 상하 다단(도면에서는 5단)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승강기구(3)는, 상하 다단의 각 승강 프레임(2)에 있어서 일방(一方)(길이방향)의 대향변부(29)의 상하 사이를 X자 모양의 지지 프레임(支持 frame)(30)에 의하여 연결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지지 프레임(30)은 중앙부분에 부착되어 있어, 지지 프레임(30)의 교차각도를 변경함으로써 상하의 승강 프레임(2) 사이가 넓어지거나 좁아지게 됨으로써 승강부(4)가 승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면에 있어서 부호 31은 승강기구(3)에 의하여 상하의 각 승강 프레임(2) 사이를 좁게 하였을 때에 상단의 승강 프레임(2)을 재치(載置)하는 재치부(載置部), 32는 재치부(31)에 재치하는 승강 프레임(2)을 재치상태로 지지하는 지지구(支持具), 33은 지지구(32)를 결합하는 결합부(結合部)이고, 34는 하단의 승강 프레임(2)에 대하여 상단의 승강 프레임(2)을 상승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체(彈性體)로서, 이 탄성체(34)에 의하여 승강부(4)를 상방으로 신장시킬 때에는 승강 프레임(2)을 작은 힘으로 상승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승강부(4)를 낮게 할 때에는 승강 프레임(2)을 안전한 속도로 하강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각 승강 프레임(2)의 타방(他方)(폭 방향)의 대향변부(8)에, 정면에서 볼 때에 H자 모양의 사다리체(9)에 있어서 양측 세로 테두리부(10)의 하단부를 부착하여 이 사다리체(9)를 승강 프레임(2)에 대하여 기복회전하도록 설치하고, 이 사다리체(9)의 양측 세로 테두리부(10)의 상단부에, 사다리체(9)를 기동시켜서 입설상태로 하였을 때에 승강 프레임(2)의 대향변부(8)에 걸 수 있는 걸기부(11)를 형성하고, 이 걸기부(11)를 상단의 승강 프레임(2)의 대향변부(8)에 걸어서 연결함으로써 사다리체(9)를 상하의 대향변부(8) 사이에 가설하면, 입설상태의 사다리체(9)에 의하여 하단의 승강 프레임(2)에 대하여 상단의 승강 프레임(2)을 상승상태로 지지할 수 있고, 또한 걸기부(11)를 대향변부(8)로부터 분리하여 사다리체(9)를 승강 프레임(2) 상에 눕혀지도록 이동시키면, 하단의 승강 프레임(2)에 대하여 상단의 승강 프레임(2)을 상기 승강기구(3)에 의하여 하강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사다리체(9)는, 상단의 승강 프레임(2)의 하중을 지지하는 구조재로서 기능을 함과 아울러, 작업자가 승강부(4)를 오르기 위한 사다리로서도 기능을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사다리체(9)에 있어서 양측 세로 테두리부(10)의 하단부와 승강 프레임(2)에 있어서 타방의 대향변부(8)의 부착구조는, 상기 각 승강 프레임(2)의 대향변부(8)의 양측부에 각각, 이 대향변부(8)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한 쌍의 베어링부(12)를 상방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형성하고, 이 각 한 쌍의 베어링부(12)의 돌출 선단부 사이에 상기 사다리체(9)의 양측 세로 테두리부(10)의 하단부를 부착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이 한 쌍의 베어링부(12)는, 한 장의 판재를 그 양단의 판부가 서로 대향(對向) 형상으로 구부려서 형성한 이 판재의 대향판부로 구성하고, 이 한 쌍의 베어링부(12)를 구비한 판재를 대향변부(8) 상에 일체적으로 고정시킨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베어링부(12)의 기단부(基端部) 사이에 간극이 생기도록 하고, 여기에 사다리체(9)의 양측 세로 테두리부(10)의 하단부를 부착한 구성으로 하고, 이 한 쌍의 베어링부(12)의 기단부 사이에 간극을 걸기용 간극부(13)로 하고, 이 걸기용 간극부(13)에 상기 걸기부(11)를 삽입하여 각 승강 프레임(2)의 대향변부(8)에 걸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이 걸기부(11)를 걸기용 간극부(13)에 삽입하여 대향변부(8)에 걸면, 상하의 사다리체(9)의 양측 세로 테두리부(10)가 상하방향으로 대략 일직선 상에 나란하게 설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각 승강 프레임(2)에 부착되는 사다리체(9)는, 모두 가로폭(양측 세로 테두리부(10) 사이의 폭)이 동일한 것을 채용하고 있다.
한편 상기 걸기부(11)는, 상기 걸기용 간극부(13)의 가로폭 치수보다 작은 가로폭 치수를 구비하고 걸기용 간극부(13)에 삽입하여 상기 승강 프레임(2)의 대향변부(8)에 걸 수 있는 훅체(hook體)(14)와, 이 훅체(14)의 기단부에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레버체(lever體)(35)와, 이 레버체(35)에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훅체(14)의 개구부(開口部)(15)를 폐쇄하는 폐쇄체(閉塞體)(16)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하고, 훅체(14)를 걸기용 간극부(13)에 삽입하여 대향변부(8)에 건 상태에서 폐쇄체(16)의 선단부를 훅체(14)의 선단부에 걸어서 훅체(14)의 개구부(15)를 폐쇄하고, 레버체(35)를 훅체(14)로부터 이반(離反)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폐쇄체(16)가 개구부(15)를 폐쇄한 상태가 확고하게 지지되어 대향변부(8)가 빠짐 방지 상태가 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승강부(4)에 있어서 최하단의 승강 프레임(2)의 네 구석부(모퉁이부)를 상기 지지다리(26)의 상단부에 고정함과 아울러, 이 최하단의 승강 프레임(2)을 복수의 접합편(接合片)(41)을 사용하여 상기 접지대(1)와 일체화 함으로써 접지대(1)의 상부에 승강부(4)를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비계 프레임(7)은, 평면에서 볼 때에 대략 직사각형 테두리 모양으로 하고, 이 비계 프레임(7) 내에 평면에서 볼 때에 대략 직사각형 판자 모양의 작업 바닥부(5)를 가설상태로 고정하고 있다.
또한 이 작업 바닥부(5)의 일방(길이방향)의 대향변부에 각각 측면에서 볼 때에 가로로 길이가 긴 직사각형 테두리 모양의 난간부(6)를 입설상태로 마주보게 설치하고, 작업 바닥부(5)의 타방(세로 방향)의 대향변부에 각각 측면에서 볼 때에 세로로 길이가 긴 직사각형 테두리 모양의 개폐부(17)를 입설상태로 마주보게 설치하고, 이 난간부(6)와 개폐부(17)에 의하여 작업 바닥부(5)를 둘러싸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각 개폐부(17)는, 각각의 일측(一側) 테두리부를 이 일측 테두리부와 인접하는 각 난간부(6)의 타측(他側) 테두리부에 회전하도록 부착하고, 이 개폐부(17)를 난간부(6)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또한 난간부(6)의 내측방향을 향하여 개방회전하도록 설치함과 아울러, 이 각 개폐부(17)를 부착된 난간부(6)에 포개어 합쳐질 때까지 개방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대향상태로 세워서 설치되는 일방의 난간부(6)에 일방의 개폐부(17)가 부착되고, 타방의 난간부(6)에 타방의 개폐부(17)가 부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각 개폐부(17)는 상기 승강 프레임(2)의 상기 사다리체(9)와 위치가 대응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이 각 개폐부(17)를 개방회전함으로써 작업 바닥부(5)와 각 사다리체(9)의 사이를 작업자가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면에 있어서 부호 43은 각 개폐부(17)를 그 폐쇄상태에서 외측 방향으로 열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스토퍼(stopper)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개폐부(17)에, 이 개폐부(17)의 폐쇄상태와, 개방회전되어 난간부(6)에 포개어 합쳐진 상태를 록 하거나 록 해제 가능한 록 수단(24)을 설치하고 있다.
록 수단(24)은, 각 개폐부(17) 각각의 타측 테두리부 중간에, 하방측이 개방되고 단면이 ㄷ자 모양체인 록 장치(lock 裝置)(24A)를 기복회전하도록 설치하고, 그 하부 테두리부에, 각 개폐부(17)를 폐쇄상태로 하였을 때에 난간부(6) 중간에 가설된 보강살(36)에 상방으로부터 걸 수 있는 걸기 오목부(37)를 형성하고, 이 걸기 오목부(37)를 보강살(36)에 걸면, 각 개폐부(17)가 폐쇄상태로 록 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각 개폐부(17)를 각 난간부(6)에 포개어 합쳤을 때에 록 장치(24A)의 하부 개방부(下部開放部)(38)를 난간부(6)의 보강살(36)에 상방으로부터 맞물려서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이 하부개방부(38)를 보강살(36)에 맞물려서 결합하면, 각 개폐부(17)가 난간부(6)에 포개어 합쳐진 상태로 록 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난간부(6)를 상기 작업 바닥부(5)에 대하여 외측 하방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승강부(4)에 연결하여 설치되는 상태로 하는 난간회전기구(18)를 상기 비계 프레임(7)에 설치함과 아울러, 이 난간회전기구(18)는 난간부(6)를 작업 바닥부(5)에 대하여 입설상태로 지지하거나 지지 해제 가능한 입설지지기구(19)를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난간회전기구(18)는 상기 비계 프레임(7)에 상기 난간부(6)를 부착하고, 이 부착부(附着部)(20)를 지점으로 하여 난간부(6)가 상기 작업 바닥부(5)에 대하여 외측 하방으로 회전하여 상기 승강부(4)에 연결되어 설치되는 상태가 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입설지지기구(19)는 상기 난간부(6)의 하부를 삽입하여 결합되는 피삽입부(被揷入部)(21)를 상기 비계 프레임(7)에 설치하고, 이 피삽입부(21)에 난간부(6)의 하부를 삽입하여 결합시킴으로써 난간부(6)가 상기 작업 바닥부(5)에 대하여 입설상태로 지지되고, 또한 피삽입부(21)로부터 난간부(6)의 하부를 빼냄으로써 입설 지지가 해제되어 난간부(6)가 상기 부착부(20)를 지점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부착부(20)는 상기 비계 프레임(7)에 축부(軸部)(22)를 형성하고, 이 축부(22)를 회전하도록 축을 수용하는 장공(長孔) 형상의 베어링 구멍부(23)를 난간부(6)에 형성하고, 이 축부(22)를 지점으로 하여 난간부(6)가 상기 작업 바닥부(5)에 대하여 외측 하방으로 회전하여 상기 승강부(4)에 연결되어 설치되는 상태가 되도록 구성함과 아울러, 상기 베어링 구멍부(23)를 장공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베어링 구멍부(23)에서의 상기 축부(22)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난간부(6)를 상기 피삽입부(21)에 대하여 빼거나 삽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비계 프레임(7)의 네 구석부(모퉁이부)를 상하방향으로 밑면을 구비하고 길이가 긴 통 모양으로 형성하고 이 네 구석의 통 모양부를 상기 피삽입부(21)로 하는 한편, 난간부(6)의 양측 하부를 하방으로 연장하고 이 양측에 연장되어 형성된 하단부를 상기 피삽입부(21)에 삽입하여 결합하는 삽입부(42)로 하고 있다.
또한 이 각 피삽입부(21)의 측부에는, 각각 비계 프레임(7)에 있어서 길이방향의 대향변부의 대향 외측 방향을 향하여 한 쌍의 베어링판(39)을 돌출하도록 설치하고, 이 한 쌍의 베어링판(39) 사이에 상기 축부(22)를 가설상태로 형성하고 있다.
한편 상기 난간부(6)에 있어서 양측 하부의 삽입부(42) 측부에는, 이 삽입부(42)를 피삽입부(21)에 삽입할 때에 지장이 없도록 띠 모양의 부착판(40)을 하측으로 늘어뜨려 돌출하도록 설치함과 아울러, 이 부착판(附着板)(40)에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긴 장공 형상의 상기 베어링 구멍부(23)를 관통하여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베어링 구멍부(23)에 상기 축부(22)를 삽입하여 축을 지지함으로써 비계 프레임(7)에 난간부(6)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 이 베어링 구멍부(23)를 따라 축부(22)(난간부(6))를 하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난간부(6)의 양측 하부의 삽입부(42)를 피삽입부(21)에 삽입할 수 있고, 이 삽입상태(입설지지상태)로부터 난간부(6)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면, 축부(22)가 베어링 구멍부(23)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여 피삽입부(21)로부터 삽입부(42)를 빼낼 수 있고, 이 때에 난간부(6)를, 상기 부착부(20)를 지점으로 하여 이 난간부(6)에 포개어 합쳐진 개폐부(17)와 함께 작업 바닥부(5)의 외측 하방으로 반대로 회전시켜서 승강부(4)를 따라 콤팩트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난간부(6)를 승강부(4)를 따르게 할 때에 이 난간부(6)의 하부(하측을 향하게 된 상부)가 접지면에 접촉되지 않도록, 이 난간부(6)의 높이를 설정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비계 프레임(7)을 즉 그 네 구석부의 피삽입부(21)의 하단부를, 상기 승강부(4)의 최상단 승강 프레임(2)의 네 구석부(모퉁이부) 부근에 고정함과 아울러, 이 비계 프레임(7)을 복수의 접합편(41)을 사용하여 승강부(4)와 일체화함으로써 승강부(4)의 상부에 비계 프레임(7)을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승강부(4)의 최상단 승강 프레임(2)은, 상기 사다리체(9)를 구비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여 그 상부에 비계 프레임(7)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 승강 프레임(2)의 상기 대향변부(8)는, 상기 비계 프레임(7)의 상기 작업 바닥부(5)보다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하의 승강 프레임(2)의 대향변부(8) 사이에 가설하는 상기 사다리체(9)가 작업 바닥부(5)보다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승강 프레임(2)의 길이방향의 폭치수를 비계 프레임(7)의 길이방향의 폭치수보다 크게 설정함으로써, 각 승강 프레임(2)의 상기 대향변부(8)가 비계 프레임(7)의 상기 작업 바닥부(5)보다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 바닥부(5)보다 사다리체(9)가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면, 사다리체(9)의 상부로부터 작업 바닥부(5)로 이동할 때나, 작업 바닥부(5)로부터 사다리체(9)의 상부로 이동할 때 또는 작업자는 작업 바닥부(5) 방면을 향하면서 앞에서 말한 자세를 잡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작업 바닥부(5), 사다리체(9)의 상부 사이를 오르내릴 때에 작업자가 공포심을 느끼지 않고 승강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 구성 요건에 대한 구체적 구성은 경우에 따라 적절하게 설계할 수 있는 것이다.
1 : 접지대
2 : 승강 프레임
3 : 승강기구
4 : 승강부
5 : 작업 바닥부
6 : 난간부
7 : 비계 프레임
8 : 대향변부
9 : 사다리체
10 : 세로 테두리부
11 : 걸기부
12 : 베어링부
13 : 걸기용 간극부
14 : 훅체
15 : 개구부
16 : 폐쇄체
17 : 개폐부
18 : 난간회전기구
19 : 입설지지기구
20 : 부착부
21 : 피삽입부
22 : 축부
23 : 베어링 구멍부
24 : 록 수단

Claims (13)

  1. 접지대(接地臺)의 상부에, 복수의 승강 프레임(昇降 frame)을 승강기구(昇降機構)를 통하여 상하 다단(多段)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승강부(昇降部)를 설치함과 아울러, 이 승강부의 상부에, 작업 바닥부와 이 작업 바닥부의 둘레에 세워서 설치되는 난간부(欄干部)를 구비하는 비계 프레임(飛階 frame)을 설치한 승강식 비계장치(昇降式 飛階裝置)로서, 상기 승강부의 상기 각 승강 프레임의 대향변부(對向邊部)에 사다리체의 양측 세로 테두리부의 하단부를 부착하고, 이 사다리체를 승강 프레임에 대하여 기복회전(起伏回轉)하도록 설치하고, 이 사다리체의 양측 세로 테두리부의 상단부에, 사다리체를 기동(起動)시켜서 입설상태(立設狀態)로 하였을 때에 승강 프레임의 대향변부에 걸 수 있는 걸기부를 형성하고, 이 걸기부를 상단의 승강 프레임의 대향변부에 걸어서 연결함으로써 사다리체를 상하의 대향변부 사이에 가설(架設)하면, 입설상태의 사다리체에 의하여 하단의 승강 프레임에 대하여 상단의 승강 프레임을 상승상태로 지지할 수 있고, 또한 걸기부를 대향변부로부터 분리하여 사다리체를 승강 프레임 상에 눕혀지도록 이동시키면, 하단의 승강 프레임에 대하여 상단의 승강 프레임을 상기 승강기구에 의하여 하강할 수 있도록 구성한 승강식 비계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승강 프레임의 상기 대향변부의 양측부에 각각, 한 쌍의 베어링부(bearing部)를 상방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형성하고 이 각 한 쌍의 베어링부의 돌출 선단부 사이에 상기 사다리체의 양측 세로 테두리부의 하단부를 부착함과 아울러, 한 쌍의 베어링부의 기단부(基端部) 사이를 걸기용 간극부로 하고, 상기 걸기부는, 이 걸기용 간극부에 삽입되어 각 승강 프레임의 대향변부에 걸 수 있는 훅(hook)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걸기부를 걸기용 간극부에 삽입하여 대향변부에 걸면, 상하의 사다리체의 양측 세로 테두리부가 상하방향으로 일직선 상에 나란하게 설치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비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기부는, 상기 걸기용 간극부의 가로폭 치수보다 작은 가로폭 치수를 구비하고 이 걸기용 간극부에 삽입되어 상기 승강 프레임의 대향변부에 걸 수 있는 훅체(hook體)와, 이 훅체의 개구부(開口部)를 폐쇄하여 상기 각 승강 프레임의 대향변부를 빠짐 방지 상태로 하는 폐쇄체(閉鎖體)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비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부에, 상기 사다리체와 위치를 대응시켜서 상기 작업 바닥부로의 출입용 개폐부(開閉部)를 개폐회전(開閉回轉)하도록 설치함과 아울러, 이 개폐부는, 개방회전(開放回轉)하여 난간부에 포개어 합쳐질 수 있도록 구성하고, 이 개폐부가 포개어 합쳐진 난간부를 상기 작업 바닥부에 대하여 외측 하방으로 회전하게 하여 상기 승강부에 연결되어 설치되는 상태로 하는 난간회전기구(欄干回轉機構)를 상기 비계 프레임에 설치함과 아울러, 이 난간회전기구는, 난간부를 작업 바닥부에 대하여 입설상태로 지지하거나 지지 해제 가능한 입설지지기구(立設支持機構)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비계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부에, 상기 사다리체와 위치를 대응시켜서 상기 작업 바닥부로의 출입용 개폐부를 개폐회전하도록 설치함과 아울러, 이 개폐부는, 개방회전하여 난간부에 포개어 합쳐질 수 있도록 구성하고, 이 개폐부가 포개어 합쳐진 난간부를 상기 작업 바닥부에 대하여 외측 하방으로 회전하게 하여 상기 승강부에 연결되어 설치되는 상태로 하는 난간회전기구를 상기 비계 프레임에 설치함과 아울러, 이 난간회전기구는, 난간부를 작업 바닥부에 대하여 입설상태로 지지하거나 지지 해제 가능한 입설지지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비계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에, 이 개폐부의 폐쇄상태와, 개방회전하여 난간부에 포개어 합쳐진 상태를 록(lock) 하거나 록 해제 가능한 록 수단(lock 手段)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비계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에, 이 개폐부의 폐쇄상태와, 개방회전하여 난간부에 포개어 합쳐진 상태를 록 하거나 록 해제 가능한 록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비계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회전기구는, 상기 비계 프레임에 상기 난간부를 부착하고, 이 부착부를 지점(支點)으로 하여 난간부가 상기 작업 바닥부에 대하여 외측 하방으로 회전하여 상기 승강부에 연결되어 설치된 상태가 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입설지지기구는, 상기 난간부의 하부를 삽입하여 결합하는 피삽입부(被揷入部)를 상기 비계 프레임에 설치하고, 이 피삽입부에 난간부의 하부를 삽입하여 결합함으로써 난간부가 상기 작업 바닥부에 대하여 입설상태로 지지되고, 또한 피삽입부로부터 난간부의 하부를 빼냄으로써 입설 지지가 해제되어 난간부가 상기 부착부를 지점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비계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회전기구는, 상기 비계 프레임에 상기 난간부를 부착하고, 이 부착부를 지점으로 하여 난간부가 상기 작업 바닥부에 대하여 외측 하방으로 회전하여 상기 승강부에 연결되어 설치된 상태가 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입설지지기구는, 상기 난간부의 하부를 삽입하여 결합하는 피삽입부를 상기 비계 프레임에 설치하고, 이 피삽입부에 난간부의 하부를 삽입하여 결합함으로써 난간부가 상기 작업 바닥부에 대하여 입설상태로 지지되고, 또한 피삽입부로부터 난간부의 하부를 빼냄으로써 입설 지지가 해제되어 난간부가 상기 부착부를 지점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비계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회전기구는, 상기 비계 프레임에 상기 난간부를 부착하고, 이 부착부를 지점으로 하여 난간부가 상기 작업 바닥부에 대하여 외측 하방으로 회전하여 상기 승강부에 연결되어 설치된 상태가 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입설지지기구는, 상기 난간부의 하부를 삽입하여 결합하는 피삽입부를 상기 비계 프레임에 설치하고, 이 피삽입부에 난간부의 하부를 삽입하여 결합함으로써 난간부가 상기 작업 바닥부에 대하여 입설상태로 지지되고, 또한 피삽입부로부터 난간부의 하부를 빼냄으로써 입설 지지가 해제되어 난간부가 상기 부착부를 지점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비계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회전기구는, 상기 비계 프레임에 상기 난간부를 부착하고, 이 부착부를 지점으로 하여 난간부가 상기 작업 바닥부에 대하여 외측 하방으로 회전하여 상기 승강부에 연결되어 설치된 상태가 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입설지지기구는, 상기 난간부의 하부를 삽입하여 결합하는 피삽입부를 상기 비계 프레임에 설치하고, 이 피삽입부에 난간부의 하부를 삽입하여 결합함으로써 난간부가 상기 작업 바닥부에 대하여 입설상태로 지지되고, 또한 피삽입부로부터 난간부의 하부를 빼냄으로써 입설 지지가 해제되어 난간부가 상기 부착부를 지점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비계장치.
  11. 제7항 내지 제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상기 비계 프레임 또는 상기 난간부에 축부(軸部)를 형성하고, 이 축부를 회전하도록 축을 수용하는 장공(長孔) 형상의 베어링 구멍부를 난간부 또는 비계 프레임에 형성하고, 이 축부를 지점으로 하여 난간부가 상기 작업 바닥부에 대하여 외측 하방으로 회전하여 상기 승강부에 연결되어 설치된 상태가 되도록 구성함과 아울러, 상기 베어링 구멍부를 장공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베어링 구멍부에서의 상기 축부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난간부를 상기 피삽입부에 대하여 빼거나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비계장치.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승강 프레임의 상기 대향변부는, 상기 비계 프레임의 상기 작업 바닥부보다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설치하고, 상하의 승강 프레임의 대향변부 사이에 가설하는 상기 사다리체가 작업 바닥부보다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설치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비계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승강 프레임의 상기 대향변부는, 상기 비계 프레임의 상기 작업 바닥부보다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설치하고, 상하의 승강 프레임의 대향변부 사이에 가설하는 상기 사다리체가 작업 바닥부보다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설치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비계장치.
KR1020100048462A 2009-05-29 2010-05-25 승강식 비계장치 KR1016411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31228 2009-05-29
JP2009131228A JP5355230B2 (ja) 2009-05-29 2009-05-29 昇降式足場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9182A true KR20100129182A (ko) 2010-12-08
KR101641107B1 KR101641107B1 (ko) 2016-07-20

Family

ID=43423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8462A KR101641107B1 (ko) 2009-05-29 2010-05-25 승강식 비계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355230B2 (ko)
KR (1) KR10164110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9670B1 (ko) * 2011-02-01 2013-02-04 주식회사백상 슬라이드 조립형 복층 작업대
CN103883111A (zh) * 2014-03-04 2014-06-25 袁士风 折叠脚手架
CN105438037A (zh) * 2015-12-18 2016-03-30 阿特拉斯科普柯(南京)建筑矿山设备有限公司 折叠式防护栏装置
KR101912178B1 (ko) * 2017-09-28 2018-10-26 유남호 접이식 2단구조를 갖는 안전난간
KR102352368B1 (ko) * 2021-08-23 2022-01-18 주식회사 금창산업 다단 적층이 가능한 작업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21397B (zh) * 2013-05-03 2016-08-17 武济群 折叠脚手架
JP6247594B2 (ja) * 2014-05-15 2017-12-13 株式会社ピカコーポレイション 作業台の手摺枠
JP2017014744A (ja) * 2015-06-29 2017-01-19 旭化成ホームズ株式会社 吊下げ式作業床
JP6717620B2 (ja) * 2016-03-08 2020-07-01 日鉄建材株式会社 手摺枠および昇降式移動足場
CN109610807B (zh) * 2017-09-28 2021-05-25 俞男镐 一种折叠护栏以及包含其的高架作业台
JP7191607B2 (ja) * 2018-09-18 2022-12-19 日鉄建材株式会社 手摺枠の保持部材および昇降式移動足場
KR102229567B1 (ko) * 2019-04-03 2021-03-18 양태호 고소작업용 조립식 안전 비계
KR102538316B1 (ko) 2022-05-26 2023-05-31 박희석 비계용 승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6167A (ja) 1992-07-21 1994-02-10 Fujitsu Ltd アラーム検出保護回路
JPH0821082A (ja) * 1994-07-11 1996-01-23 Tokyu Constr Co Ltd ベランダ足場
JP2004162285A (ja) * 2002-11-11 2004-06-10 East Japan Railway Co 昇降式移動足場
WO2007132148A2 (en) * 2006-05-04 2007-11-22 Access Products Limited Scaffolding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17830U (ko) * 1985-01-05 1986-07-25
JPH0636167Y2 (ja) * 1989-05-16 1994-09-21 栄二 藤本 折り畳み式足場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6167A (ja) 1992-07-21 1994-02-10 Fujitsu Ltd アラーム検出保護回路
JPH0821082A (ja) * 1994-07-11 1996-01-23 Tokyu Constr Co Ltd ベランダ足場
JP2004162285A (ja) * 2002-11-11 2004-06-10 East Japan Railway Co 昇降式移動足場
WO2007132148A2 (en) * 2006-05-04 2007-11-22 Access Products Limited Scaffolding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9670B1 (ko) * 2011-02-01 2013-02-04 주식회사백상 슬라이드 조립형 복층 작업대
CN103883111A (zh) * 2014-03-04 2014-06-25 袁士风 折叠脚手架
CN103883111B (zh) * 2014-03-04 2016-03-30 袁士风 折叠脚手架
CN105438037A (zh) * 2015-12-18 2016-03-30 阿特拉斯科普柯(南京)建筑矿山设备有限公司 折叠式防护栏装置
CN105438037B (zh) * 2015-12-18 2017-08-15 阿特拉斯科普柯(南京)建筑矿山设备有限公司 折叠式防护栏装置
KR101912178B1 (ko) * 2017-09-28 2018-10-26 유남호 접이식 2단구조를 갖는 안전난간
KR102352368B1 (ko) * 2021-08-23 2022-01-18 주식회사 금창산업 다단 적층이 가능한 작업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355230B2 (ja) 2013-11-27
KR101641107B1 (ko) 2016-07-20
JP2010275816A (ja) 2010-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29182A (ko) 승강식 비계장치
KR101478964B1 (ko) 갱폼용 사다리
CN211314069U (zh) 一种折叠登高梯
KR200497253Y1 (ko) 사다리용 확장 안전발판
KR101062138B1 (ko) 가설대 조임 장치 및 방법
KR200424319Y1 (ko) 높낮이 조절용 이동식 작업대
EP1500754A2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n access platform
CN107217826B (zh) 组合件、工作台、条板适配器及用于使用户站在地面以上的方法
JP5476051B2 (ja) 基台および昇降式移動足場
JPH08100517A (ja) 昇降式作業台
GB2404217A (en) Foldable access platform
AU2008257953B2 (en) Formwork supporting system
JP6664833B2 (ja) 車いす用のスロープ中継台
JP5581476B2 (ja) 昇降式移動足場
KR20120000780U (ko) 접힘 기능을 갖는 프레스 장비용 사다리
JP2000320132A (ja) 足場用荷揚機
JP3943391B2 (ja) 枠組足場における手摺の取付方法
KR102312871B1 (ko) 사다리 장치
KR101769041B1 (ko) 작업발판 승강용 작업대 및 이를 포함하는 거푸집 시스템
CN218205555U (zh) 用于檐口施工的移动式操作平台
JP2890117B2 (ja) 安全装置付転倒防止脚立
KR20060028464A (ko) 높낮이 조절용 이동식 작업대
JP5305432B2 (ja) 移動足場
JP5824243B2 (ja) ユニット足場
KR102311759B1 (ko) 사다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