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042U - 이동 및 보관의 편의성이 극대화된 스마트 안전 작업대 - Google Patents

이동 및 보관의 편의성이 극대화된 스마트 안전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042U
KR20210000042U KR2020200004887U KR20200004887U KR20210000042U KR 20210000042 U KR20210000042 U KR 20210000042U KR 2020200004887 U KR2020200004887 U KR 2020200004887U KR 20200004887 U KR20200004887 U KR 20200004887U KR 20210000042 U KR20210000042 U KR 2021000004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s
base
pair
connecting rods
p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48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3447Y1 (ko
Inventor
김태우
Original Assignee
(주)오성지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성지엔티 filed Critical (주)오성지엔티
Priority to KR20202000048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447Y1/ko
Publication of KR202100000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04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4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44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34Scaffold constructions able to be folded in prismatic or flat parts or able to be turned dow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adjustable in height
    • E04G1/22Scaffolds having a platform on an extensible substructure, e.g. of telescopic type or with lazy-tongs mechanis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6Struts or stiffening rods, e.g. diagonal ro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02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이동 및 보관의 편의성이 극대화된 스마트 안전 작업대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이동 및 보관의 편의성이 극대화된 스마트 안전 작업대는, 제1 베이스 포스트 및 제1 베이스 포스트와 이격 배치되는 제2 베이스 포스트가 구비된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부;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부의 높이 방향으로 제1 베이스 포스트와 제2 베이스 포스트에 차례로 결합 되는 복수의 중간 포스트 및 복수의 중간 포스트를 연결하는 복수의 중간 연결대가 구비된 중간 프레임부; 중간 프레임부에 결합 되는 발판부; 및 복수의 중간 포스트 중 최상단에 배치되는 중간 포스트의 높이 방향으로 차례로 결합 되는 복수의 상부 포스트, 복수의 상부 포스트를 연결하는 복수의 상부 연결대 및 복수의 상부 연결대와 수직 되도록 복수의 상부 포스트를 연결하는 복수의 클램프 연결부가 구비된 상부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중간 포스트와 복수의 상부 포스트는 베이스 프레임부의 높이 방향으로 각각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 및 보관의 편의성이 극대화된 스마트 안전 작업대{Smart safety scaffold for the maximize to the ease of movement and storage}
본 고안은, 안전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안테나형 사다리의 접이식 구조를 극대화 시켜 작업 발판의 높이를 작업시의 편의에 맞춰 조절하는 기능과 안전을 위한 난간대가 일체형인 구조를 갖는 이동 및 보관의 편의성이 극대화된 스마트 안전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작업발판은 일반적으로 높은 곳의 작업을 위해 필요한 기구이다. 그러나 기존의 작업발판에는 안전을 위한 난간대가 없는 것이 현실이다. 작업발판의 원래 용도를 생각해보면 그렇다 할 안전장치가 없는 것이 이상할 것은 없지만 그렇다 보니 작업발판에서의 고소작업은 크고 작은 안전사고의 위험에 노출되어있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여 사용되는 것이 바로 스마트 안전 작업대이다.
기존의 작업대는 높은 곳에서 작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간단한 방식으로 높이를 조절해, 원하는 높이에 도달하여 작업은 가능하지만 작업 중 항상 발판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작업자 스스로 주의하는 방법 밖에는 없다.
또한 작업의 특성상 작업자의 시선이 상부를 향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 이어서 건설 및 산업현장의 안전사고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29670호(주식회사 백상) 2013. 01. 29.
따라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작업자의 안전과 사용상의 편의 그리고 휴대성 등을 극대화 시켜 기존 작업대의 단점을 최대한으로 감소시켜 작업대 자체의 이동, 보관, 작업 시의 안전성을 증대시킨 이동 및 보관의 편의성이 극대화된 스마트 안전 작업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안전 난간과 안전판의 설치를 통해 보다 안전한 작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이동 및 보관의 편의성이 극대화된 스마트 안전 작업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베이스 포스트 및 상기 제1 베이스 포스트와 이격 배치되는 제2 베이스 포스트가 구비된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부;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부의 높이 방향으로 상기 제1 베이스 포스트와 상기 제2 베이스 포스트에 차례로 결합 되는 복수의 중간 포스트 및 상기 복수의 중간 포스트를 연결하는 복수의 중간 연결대가 구비된 중간 프레임부; 상기 중간 프레임부에 결합 되는 발판부; 및 상기 복수의 중간 포스트 중 최상단에 배치되는 중간 포스트의 높이 방향으로 차례로 결합 되는 복수의 상부 포스트, 상기 복수의 상부 포스트를 연결하는 복수의 상부 연결대 및 상기 복수의 상부 연결대와 수직 되도록 상기 복수의 상부 포스트를 연결하는 복수의 클램프 연결부가 구비된 상부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중간 포스트와 상기 복수의 상부 포스트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의 높이 방향으로 각각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 작업대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는, 상기 제1 베이스 포스트와 상기 제2 베이스 포스트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대; 및 상기 복수의 연결대를 연결하는 복수의 보강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는, 상기 제1 베이스 포스트와 상기 제2 베이스 포스트의 하단부에 결합 되며 잠금 기능이 구비된 바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중간 포스트는, 상기 제1 베이스 포스트의 상단부와 상기 제2 베이스 포스트의 상단부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1 베이스 포스트와 상기 제2 베이스 포스트의 내부와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제1 중간 포스트; 상기 복수의 제1 중간 포스트의 상단부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복수의 제1 중간 포스트의 내부로 삽입되는 복수의 제2 중간 포스트; 상기 복수의 제2 중간 포스트의 상단부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복수의 제2 중간 포스트의 내부로 삽입되는 복수의 제3 중간 포스트; 및 상기 복수의 제3 중간 포스트의 상단부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복수의 제3 중간 포스트의 내부로 삽입되는 복수의 제4 중간 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중간 연결대는, 상기 복수의 제1 중간 포스트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1 중간 연결대; 상기 복수의 제2 중간 포스트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2 중간 연결대; 상기 복수의 제3 중간 포스트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3 중간 연결대; 및 상기 복수의 제4 중간 포스트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4 중간 연결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상부 포스트는, 상기 복수의 중간 포스트 중 최상단에 배치되는 중간 포스트에 결합 되는 복수의 제1 상부 포스트; 상기 복수의 제1 상부 포스트의 상단부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복수의 제1 상부 포스트의 내부로 삽입되는 복수의 제2 상부 포스트; 및 상기 복수의 제2 상부 포스트의 상단부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복수의 제2 상부 포스트의 내부로 삽입되는 복수의 제3 상부 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상부 연결대는, 상기 복수의 제1 상부 포스트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1 상부 연결대; 상기 복수의 제2 상부 포스트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2 상부 연결대; 및 상기 복수의 제3 상부 포스트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3 상부 연결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제1 포스트를 연결하는 보강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 연결부는, 복수의 상기 제1 베이스 포스트와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보강 베이스 포스트; 상기 한 쌍의 보강 베이스 포스트를 복수의 상기 제1 베이스 포스트에 결합시키는 연결 클램프; 상기 한 쌍의 보강 베이스 포스트를 서로 연결시키는 복수의 가로 연결대; 상기 복수의 가로 연결대를 연결하는 복수의 세로 연결대; 및 상기 복수의 가로 연결대의 중앙부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가로 연결대를 접힘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플랜지 조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아웃 트리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작업대 전체를 전부 접이식으로 접을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본 실시예를 전부 접고 나면 단면적이 발판부의 반의 크기에 불과하고 두께 또한 발판에 다리, 난간의 두께를 더한 정도밖에 되지 않으므로 굉장히 작은 크기로 변환이 가능하다.
또한 안전 작업대의 사이즈가 작으면, 이동이 편리하여 작업장소로의 이동에 제약이 없으며 차지하는 부피가 작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을 때의 보관 또한 부담이 없다.
나아가 안전 버튼을 이용하여 펼쳤다 접을 수 있는 간단한 구조로, 작업자 혼자서도 설치 또는 철거가 용이하다.
그리고 본 실시 예는 작업높이를 자유자재로 선택 가능하며 최대 높이가 약 210cm 까지도 가능하며, 원하는 높이에 따라서 더 펼치거나 접어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굉장히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고소작업을 고려하여 작업대에 발판부와 상부 프레임부가 설치되어 있어 좀 더 안전한 작업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및 보관의 편의성이 극대화된 스마트 안전 작업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상부 프레임부의 상부 영역을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발판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베이스 프레임부와 보강 연결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아웃 트리거 영역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실시예를 접은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에서 제2 베이스 포스트의 영역을 펼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서 발판부를 제거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보강 연결부를 펼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서 아웃 트리거를 펼친 후 제3 상부 포스트를 상부 방향으로 인출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실시 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고안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고안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명백히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및 보관의 편의성이 극대화된 스마트 안전 작업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상부 프레임부의 상부 영역을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발판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베이스 프레임부와 보강 연결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아웃 트리거 영역의 확대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1의 실시예를 접은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7에서 제2 베이스 포스트의 영역을 펼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서 발판부를 제거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보강 연결부를 펼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에서 아웃 트리거를 펼친 후 제3 상부 포스트를 상부 방향으로 인출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및 보관의 편의성이 극대화된 스마트 안전 작업대(1)는,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부(100)와,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부(100)의 상부에 결합 되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부(100)의 높이 방향으로 접히는 중간 프레임부(200)와, 중간 프레임부(200)에 결합 되는 발판부(300)와, 중간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 되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부(100)의 높이 방향으로 접히는 상부 프레임부(400)와,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부(100)를 연결하는 보강 연결부(500)와,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부(100)에 결합 되는 복수의 아웃 트리거(600)를 구비한다.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 배치되고 보강 연결부(50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위치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 연결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제1 베이스 포스트(110)와, 한 쌍의 제1 베이스 포스트(110)의 후방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베이스 포스트(120)와, 제1 베이스 포스트(110)와 제2 베이스 포스트(120)를 연결하는 복수의 베이스 연결대(130)와, 복수의 베이스 연결대(130)를 연결하는 복수의 베이스 보강대(140)와, 한 쌍의 제1 베이스 포스트(110)와 한 쌍의 제2 베이스 포스트(120)의 하단부에 결합 되는 복수의 바퀴(150)와, 복수의 베이스 연결대(130)에 마련되어 아웃 트리거(600)를 고정시키는 복수의 잠금 버튼(160)을 포함한다.
베이스 프레임부(100)의 제1 베이스 포스트(110)와 제2 베이스 포스트(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그 내부가 비어 있어 복수의 제1 중간 포스트(210)는 제1 베이스 포스트(110)와 제2 베이스 포스트(12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부(100)의 베이스 연결대(130)는, 양단부가 클램프 형태로 제1 베이스 포스트(110)와 제2 베이스 포스트(120)에 결합 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부(100)의 베이스 보강대(1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지게 복수의 베이스 연결대(130)에 볼트 또는 나사 결합 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부(100)의 바퀴(150)는, 공지된 잠금 수단을 구비하여 세팅된 위치를 미끄럼짐 없이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바퀴(150)는 아웃 트리거(600)와 일체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부(100)의 잠금 버튼(16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연결대(130)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이동된 아웃 트리거(600)를 위치 고정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잠금 버튼(160)을 도 6에 도시된 방향으로 이동시켜 아웃 트리거(600)를 고정하는 구성은 공지된 잠금 버튼의 구성을 그대로 채용할 수 있다.
중간 프레임부(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부(100)의 상부 방향으로 마련되며, 미 사용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혀지게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중간 프레임부(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베이스 포스트(110)의 상단부와 제2 베이스 포스트(120)의 상단부에 각각 결합되며 제1 베이스 포스트(110)와 제2 베이스 포스트(120)의 내부로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제1 중간 포스트(210)와, 복수의 제1 중간 포스트(210)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1 중간 연결대(220)와, 복수의 제1 중간 포스트(210)의 상단부에 각각 결합되며 복수의 제1 중간 포스트(210)의 내부로 삽입되는 복수의 제2 중간 포스트(230)와, 복수의 제2 중간 포스트(230)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2 중간 연결대(240)와, 복수의 제2 중간 포스트(230)의 상단부에 각각 결합되며 복수의 제2 중간 포스트(230)의 내부로 삽입되는 복수의 제3 중간 포스트(250)와, 복수의 제3 중간 포스트(250)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3 중간 연결대(260)와, 복수의 제3 중간 포스트(250)의 상단부에 각각 결합되며 복수의 제3 중간 포스트(250)의 내부로 삽입되는 복수의 제4 중간 포스트(270)와, 복수의 제4 중간 포스트(270)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4 중간 연결대(280)와, 복수의 중간 연결대에 마련되는 발판 연결대 결합부(29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중간 포스트(210)는 안테나와 같이 아래쪽이 가장 둘레가 두껍고 위로 갈수록 둘레가 얇아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이는 제2 중간 포스트(230) 내지 제4 중간 포스트(270), 상부 프레임부(400)의 제1 상부 포스트(410) 내지 제3 상부 포스트(450)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는 제1 중간 포스트(210) 내지 제4 중간 포스트(270), 제1 상부 포스트(410) 내지 제3 상부 포스트(450)를 쉽게 펴고 접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는 각각의 중간 포스트 및 각각의 상부 포스트가 접하는 영역에 별도의 스토퍼 수단을 더 마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중간 포스트(210)의 상단 내벽에 스프링에 의해 인입 또는 인출되는 복수의 볼을 마련하고, 복수의 볼에 대응되게 제2 중간 포스트(230)의 하단 내벽에 복수의 볼이 삽입되는 홈을 마련하여 인출된 제2 중간 포스트(230)를 더 안정적으로 위치 고정할 수도 있다.
중간 프레임부(200)의 발판 연결대 결합부(29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중간 연결대(240)와 제3 중간 연결대(260)와 제4 중간 연결대(280)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발판 연결대 결합부(290)에는 발판부(300)의 발판 연결대(330)가 편리하게 탈착 가능하게 끼워 맞춤 결합될 수 있다.
발판부(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프레임부(200)에 마련될 수 있고, 사용자는 발판부(300)를 통해 편리하게 작업을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발판부(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4 중간 연결대(280)에 양단부가 지지되는 발판 바디(310)와, 발판 바디(310)의 상부에 지지되는 한 쌍의 발판 플레이트(320)와, 일측부는 제2 중간 연결대(240)에 마련된 발판 연결대 결합부(290) 또는 제3 중간 연결대(260)에 마련된 발판 연결대 결합부(290)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 맞춤 결합 되고 타측부는 발판 바디(310)에 마련된 발판 연결대 결합부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 맞춤 결합 되는 복수의 발판 연결대(330)를 포함한다.
발판부(300)의 한 쌍의 발판 플레이트(320)는, 서로 구획되게 마련될 수 있고, 이중 하나의 발판 플레이트(320)는 발판 바디(3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 되어 사용자는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발판 플레이트(320)를 상부 방향으로 들어 올려 마련된 공간부를 통해 나머지 하나의 발플 플레이트로 올라올 수 있다.
발판부(300)의 발판 연결대(330)는,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복수의 단위 연결대로 연결되어 두께가 얇은 단위 연결대가 두께가 두꺼운 단위 연결대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길이 조절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부(4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부(300)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제4 중간 포스트(270)에 결합되며, 미 사용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혀지게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부 프레임부(4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중간 포스트 중 최상단에 배치되는 중간 포스트에 결합 되는 복수의 제1 상부 포스트(410)와, 복수의 제1 상부 포스트(410)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1 상부 연결대(420)와, 복수의 제1 상부 포스트(410)의 상단부에 각각 결합되며 복수의 제1 상부 포스트(410)의 내부로 삽입되는 복수의 제2 상부 포스트(430)와, 복수의 제2 상부 포스트(430)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2 상부 연결대(440)와, 복수의 제2 상부 포스트(430)의 상단부에 각각 결합되며 복수의 제2 상부 포스트(430)의 내부로 삽입되는 복수의 제3 상부 포스트(450)와, 복수의 제3 상부 포스트(450)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3 상부 연결대(460)와, 복수의 제3 상부 포스트(450)를 연결하여 작업자의 추락을 복수의 상부 연결대와 같이 방지하는 복수의 클램프 연결부(47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상부 포스트(410) 내지 제3 상부 포스트(450)는 전술한 제1 중간 포스트(210) 내지 제4 중간 포스트(270)와 같이 안테나처럼 아래쪽이 가장 둘레가 두껍고 위로 갈수록 둘레가 얇아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클램프 연결부(47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상부 연결대(440) 및 제3 상부 연결대(460)와 수직되도록 제3 상부 포스트(450)를 연결하여 발판부(300)의 상부를 제2 상부 연결대(440) 및 제3 상부 연결대(460)와 같이 둘러싸는 역할을 한다. 그 결과 발판부(300)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추락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클램프 연결부(47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상부 포스트(450)의 외벽에 나사 또는 볼트 결합 되며 서로 대칭되게 분할되는 클램프 헤드(471)와, 클램프 헤드(471)에 단부가 탈착 가능하게 끼워 맞춤 결합 되는 클램프 연결대(472)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클램프 연결대(472)는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복수의 단위 연결대로 연결되어 두께가 얇은 단위 연결대가 두께가 두꺼운 단위 연결대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길이 조절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보강 연결부(5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베이스 포스트(110)에 결합되어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부(100)를 서로 연결함과 아울러 구조적으로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보강 연결부(500)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베이스 포스트(110)와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보강 베이스 포스트(510)와, 한 쌍의 보강 베이스 포스트(510)를 복수의 제1 베이스 포스트(110)에 결합시키는 연결 클램프(520)와, 한 쌍의 보강 베이스 포스트(510)를 서로 연결시키는 복수의 가로 연결대(530)와, 복수의 가로 연결대(530)를 연결하는 복수의 세로 연결대(540)와, 복수의 가로 연결대(530)의 중앙부에 마련되어 복수의 가로 연결대(530)를 접힘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플랜지 조인트(550)와, 플랜지 조인트(550)를 결합시키는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 부재(560)를 포함한다.
보강 연결부(500)의 연결 클램프(520)는, 제1 베이스 포스트(1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보강 연결부(500)는 도 7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혀 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보강 연결부(500)는, 복수의 가로 연결대(530)가 플랜지 조인트(550)에 의해 서로 연결되므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 조인트(550)가 마련된 영역이 접혀질 수 있다.
아웃 트리거(6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부(100)의 하측부에 펼치거나 접힘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 시 펼쳐져 본 실시 예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아웃 트리거(600)는 바퀴(150)와 일체형으로 마련될 수 있고, 공지된 실시예를 그대로 채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7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본 실시 예를 접은 상태에서 펼쳐지는 상태의 과정을 간략히 설명한다.
먼저 도 7에는 본 실시 예의 접은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의 후방부를 펼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부(100)의 사이에 발판부(300)와 보강 연결부(5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발판부(300)를 분리하면 도 10의 상태가 되고, 계속해서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부(100)를 벌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 연결부(500)를 펼친다.
다음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상부 연결대(460)를 상부 방향으로 잡아당겨 제3 상부 포스트(450)를 상부 방향으로 인출한다.
그 다음으로, 제2 상부 연결대(440)를 상부 방향으로 잡아당겨 제2 상부 포스트(430)를 상부 방향으로 인출한 후 이러한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제1 중간 포스트(210)를 상부 방향으로 인출한다.
마지막으로 발판부(300)를 설치한 후 아웃 트리거(600)를 펼쳐 작업을 마무리한다. 다만 발판부(300)의 설치와 아웃 트리거(600)의 펼침은 복수의 중간 포스트와 복수의 상부 포스트의 인출 중간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다양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 및 용이한 실시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이동 및 보관의 편의성이 극대화된 스마트 안전 작업대
100 : 베이스 프레임부
200 : 중간 프레임부
300 : 발판부
400 : 상부 프레임부
500 : 보강 연결부
600 : 아웃 트리거

Claims (5)

  1.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부(100)와,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부(100)의 상부에 결합 되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부(100)의 높이 방향으로 접히는 중간 프레임부(200)와, 중간 프레임부(200)에 결합 되는 발판부(300)와, 중간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 되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부(100)의 높이 방향으로 접히는 상부 프레임부(400)와,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부(100)를 연결하는 보강 연결부(500)와,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부(100)에 결합 되는 복수의 아웃 트리거(600)를 구비하는 스마트 안전 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부(100)는, 보강 연결부와 연결되는 한 쌍의 제1 베이스 포스트(110)와, 한 쌍의 제1 베이스 포스트(110)의 후방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베이스 포스트(120)와, 제1 베이스 포스트(110)와 제2 베이스 포스트(120)를 연결하는 복수의 베이스 연결대(130)와, 복수의 베이스 연결대(130)를 연결하는 복수의 베이스 보강대(140)와, 한 쌍의 제1 베이스 포스트(110)와 한 쌍의 제2 베이스 포스트(120)의 하단부에 결합 되는 복수의 바퀴(150)와, 복수의 베이스 연결대(130)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아웃 트리거(600)를 고정시키는 복수의 잠금 버튼(160)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 프레임부(200)는, 제1 베이스 포스트(110)의 상단부와 제2 베이스 포스트(120)의 상단부에 각각 결합되며 제1 베이스 포스트(110)와 제2 베이스 포스트(120)의 내부로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제1 중간 포스트(210)와, 복수의 제1 중간 포스트(210)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1 중간 연결대(220)와, 복수의 제1 중간 포스트(210)의 상단부에 각각 결합되며 복수의 제1 중간 포스트(210)의 내부로 삽입되는 복수의 제2 중간 포스트(230)와, 복수의 제2 중간 포스트(230)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2 중간 연결대(240)와, 복수의 제2 중간 포스트(230)의 상단부에 각각 결합되며 복수의 제2 중간 포스트(230)의 내부로 삽입되는 복수의 제3 중간 포스트(250)와, 복수의 제3 중간 포스트(250)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3 중간 연결대(260)와, 복수의 제3 중간 포스트(250)의 상단부에 각각 결합되며 복수의 제3 중간 포스트(250)의 내부로 삽입되는 복수의 제4 중간 포스트(270)와, 복수의 제4 중간 포스트(270)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4 중간 연결대(280)와, 복수의 중간 연결대에 마련되는 발판 연결대 결합부(290)를 포함하여,
    상기 발판 연결대 결합부(290)는, 제2 중간 연결대(240)와 제3 중간 연결대(260)와 제4 중간 연결대(280)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발판부(300)는, 상기 제4 중간 연결대(280)에 양단부가 지지되는 발판 바디(310)와, 발판 바디(310)의 상부에 지지되는 한 쌍의 발판 플레이트(320)와, 일측부는 제2 중간 연결대(240)에 마련된 발판 연결대 결합부(290) 또는 제3 중간 연결대(260)에 마련된 발판 연결대 결합부(290)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 맞춤 결합 되고 타측부는 발판 바디(310)에 마련된 발판 연결대 결합부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 맞춤 결합 되는 복수의 발판 연결대(330)를 포함하여,
    상기 발판 연결대(330)는,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복수의 단위 연결대로 연결되어 두께가 얇은 단위 연결대가 두께가 두꺼운 단위 연결대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길이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 작업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부 프레임부(400)는,
    복수의 중간 포스트 중 최상단에 배치되는 중간 포스트에 결합 되는 복수의 제1 상부 포스트(410)와, 복수의 제1 상부 포스트(410)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1 상부 연결대(420)와, 복수의 제1 상부 포스트(410)의 상단부에 각각 결합되며 복수의 제1 상부 포스트(410)의 내부로 삽입되는 복수의 제2 상부 포스트(430)와, 복수의 제2 상부 포스트(430)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2 상부 연결대(440)와, 복수의 제2 상부 포스트(430)의 상단부에 각각 결합되며 복수의 제2 상부 포스트(430)의 내부로 삽입되는 복수의 제3 상부 포스트(450)와, 복수의 제3 상부 포스트(450)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3 상부 연결대(460)와, 복수의 제3 상부 포스트(450)를 연결하여 작업자의 추락을 복수의 상부 연결대와 같이 방지하는 복수의 클램프 연결부(4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 작업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연결부(470)는,
    제3 상부 포스트(450)의 외벽에 나사 또는 볼트 결합 되며 서로 대칭되게 분할되는 클램프 헤드(471)와, 클램프 헤드(471)에 단부가 탈착 가능하게 끼워 맞춤 결합 되는 클램프 연결대(472)를 포함하여, 클램프 연결대(472)는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복수의 단위 연결대로 연결되어 두께가 얇은 단위 연결대가 두께가 두꺼운 단위 연결대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길이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 작업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바퀴(150)는 잠금 기능이 구비된 스마트 안전 작업대.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연결부는,
    복수의 상기 제1 베이스 포스트와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보강 베이스 포스트;
    상기 한 쌍의 보강 베이스 포스트를 복수의 상기 제1 베이스 포스트에 결합시키는 연결 클램프;
    상기 한 쌍의 보강 베이스 포스트를 서로 연결시키는 복수의 가로 연결대;
    상기 복수의 가로 연결대를 연결하는 복수의 세로 연결대; 및
    상기 복수의 가로 연결대의 중앙부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가로 연결대를 접힘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플랜지 조인트를 포함하는 스마트 안전 작업대.
KR2020200004887U 2020-12-28 2020-12-28 이동 및 보관의 편의성이 극대화된 스마트 안전 작업대 KR2004934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887U KR200493447Y1 (ko) 2020-12-28 2020-12-28 이동 및 보관의 편의성이 극대화된 스마트 안전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887U KR200493447Y1 (ko) 2020-12-28 2020-12-28 이동 및 보관의 편의성이 극대화된 스마트 안전 작업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1699A Division KR20190127275A (ko) 2018-05-04 2018-05-04 이동 및 보관의 편의성이 극대화된 스마트 안전 작업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042U true KR20210000042U (ko) 2021-01-06
KR200493447Y1 KR200493447Y1 (ko) 2021-03-31

Family

ID=74130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4887U KR200493447Y1 (ko) 2020-12-28 2020-12-28 이동 및 보관의 편의성이 극대화된 스마트 안전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447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2285A (ja) * 2002-11-11 2004-06-10 East Japan Railway Co 昇降式移動足場
KR101229670B1 (ko) 2011-02-01 2013-02-04 주식회사백상 슬라이드 조립형 복층 작업대
KR20180002422A (ko) * 2016-06-29 2018-01-08 주식회사 한국석면환경조사 고소작업 안전시설 지지대 장치
KR102054722B1 (ko) * 2019-07-30 2019-12-11 최여경 건축용 작업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2285A (ja) * 2002-11-11 2004-06-10 East Japan Railway Co 昇降式移動足場
KR101229670B1 (ko) 2011-02-01 2013-02-04 주식회사백상 슬라이드 조립형 복층 작업대
KR20180002422A (ko) * 2016-06-29 2018-01-08 주식회사 한국석면환경조사 고소작업 안전시설 지지대 장치
KR102054722B1 (ko) * 2019-07-30 2019-12-11 최여경 건축용 작업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447Y1 (ko) 2021-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27275A (ko) 이동 및 보관의 편의성이 극대화된 스마트 안전 작업대
JPH11241499A (ja) 支保工
US4263984A (en) Truck serving as a workbench
KR101425666B1 (ko) 작업발판용 접이식 등주장치
US4298093A (en) Sawhorse
US4249636A (en) Work table or portable scaffold
GB2437735A (en) Collapsible, portable, free-standing scaffold
JP2529662B2 (ja) 折り畳み式建築作業足場台
KR200493447Y1 (ko) 이동 및 보관의 편의성이 극대화된 스마트 안전 작업대
KR102104715B1 (ko) 이동 및 보관의 편의성이 극대화된 세이프티 스마트 래더
JP2008214983A (ja) 昇降式移動足場
CN108086664A (zh) 一种伸缩折叠式便携操作平台
WO2003025311A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scaffolding
CA1251811A (en) Adjustable platform scaffolding
CN207959883U (zh) 一种伸缩折叠式便携操作平台
CN207739604U (zh) 一种折叠式便携移动操作平台
JP2023036943A (ja) 作業台
JP3148886B2 (ja) 作業足場台
JP2002201792A (ja) 枠組足場
GB2437737A (en) Collapsible, portable, free-standing scaffold
JP3004217U (ja) 手摺付脚立
KR102312869B1 (ko) 사다리 장치
JP5519320B2 (ja) 手摺付作業台
US2186484A (en) Folding scaffold
KR20210015011A (ko) 사다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