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2681B1 - 천장 구조물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천장 구조물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2681B1
KR102592681B1 KR1020210116799A KR20210116799A KR102592681B1 KR 102592681 B1 KR102592681 B1 KR 102592681B1 KR 1020210116799 A KR1020210116799 A KR 1020210116799A KR 20210116799 A KR20210116799 A KR 20210116799A KR 102592681 B1 KR102592681 B1 KR 102592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ceiling structure
boom
lift unit
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6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3872A (ko
Inventor
유원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수산씨에스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수산씨에스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수산씨에스엠
Priority to KR1020210116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2681B1/ko
Publication of KR20230033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3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2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2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18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setting wall or ceiling slabs or plates
    • E04F21/1805Ceiling panel lif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 구조물 시공 방법은, 지면에 적어도 2개소 이상에 리프트유닛을 각기 배치하여 사각형의 천장 조립체의 각 모서리부를 각각의 리프트유닛이 지지하도록 배치하는 1단계; 각 리프트유닛에 거치되도록 하여 가로와 세로에 각기 외곽프레임을 배치하여 4각형 외형틀을 형성하고, 상기 4각형 외형틀을 가로질러 다수의 지지프레임을 배치한 후 상기 다수의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다수의 블럭을 배열하고, 다수의 블럭에 지지되도록 하여 덕트를 설치하는 1차 구조물을 형성하는 2단계; 상기 리프트유닛의 붐대를 상승시켜 1차 구조물을 상승시켜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이격되도록 하는 3단계; 상기 외곽프레임의 하부에 천장프레임을 배치하고, 천장프레임과 외곽프레임을 연결하도록 연결봉을 설치하고, 천장프레임의 하부에 천장마감판을 부착하여 천장구조물을 완성시키는 4단계; 다수의 지지붐대가 수직방향으로 장착되고, 하부에 바퀴가 형성되며 바퀴를 구동하는 동력부가 구비되며, 접철작동되는 링크부재가 구비된 지지판넬이 상부에 형성된 메인리프팅장치를 상기 4단계의 천장구조물의 하부로 이동시켜 배치하는 5단계; 상기 5단계의 천장구조물이 지지판넬에 안착된 후 각 리프트유닛이 천장구조물로부터 이탈되고, 메인리프팅장치의 링크부재가 상승하여 지지판넬이 천장구조물을 상승시키도록 하는 6단계; 상기 6단계의 천장구조물의 최상부에 배치된 다수의 블럭 및 지지프레임에 볼트를 체결하고, 볼트의 단부가 천장에 가설된 앙카에 장착되도록 하여 천장구조물을 고정 설치하는 7단계; 상기 7단계 이후 메인리프팅장치의 링크부재가 접히면서 지지판넬이 하강하여 천장구조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여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하는 8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6단계의 각 리프트유닛을 지면의 적정 위치 2개소 이상에 배치되고, 상기 2단계 내지 8단계를 순차적으로 반복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구조물 시공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천장 구조물 시공 방법{Ceiling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천장 구조물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장에 가설되는 배선덕트, 공조덕트, 조명설치레일 등 가설물과 텍스타일과 같은 천장구조물을 설치하고자 할때 작업장에 흩어져 개별적으로 사용되고 있던 리프트유닛을 한 장소로 각각 이동시켜 정열한 후 정열된 리프트유닛을 이용하여 천장구조물을 1차로 조립하고 조립된 무거운 중량을 갖는 천장구조물을 메인리프팅장치로 들어올려 안전하게 천정에 설치하도록 함으로서 편리성 및 안전성을 제공받을 수 하도록 한 천장 구조물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천장에 각종 배선덕트, 공조덕트, 조명설치레일 등 가설물과 텍스타일과 같은 천장마감재를 설치하는 작업은 리프트 장비(고소작업장치)를 사용하여 고소 작업을 하게 된다.
상기한 리프트 장비 즉, 고소작업장치에 올라가서 각종 배선덕트, 공조덕트, 조명설치레일 등 가설물을 천장에 시공한 후 일정 면적의 천장마감재를 조립하는 작업을 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천장을 보면서 각종 설치작업을 실시해야 하므로 매우 힘들고 다칠 위험이 높았으며 작업 속도가 늦어질 수 밖에 없었다.
종래의 고소작업장치는, 작업자 또는 작업물품을 위치시킬 수 있는 작업대를 구성하고, X-리프트, 텔레스코핑 등과 같은 길이조절수단을 통해 작업대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서 다양한 높이에서의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고소작업장치는 건물이 고층화되어가는 현대사회에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으나, 높은 위치에서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아래와 같은 많은 사고가 발생되고 있다.
첫째, 작업자가 높은 위치에서 작업 중 추락하여 큰 부상을 당할 문제가 있다. 이는 장치의 결함에 의한 문제도 있지만, 작업자의 지지 위치가 작업발판 보다 높은 곳에 있음으로써 법적으로 허용되는 난간대(H=110cm)로부터 추락 방지 보호를 받지 못하기 때문이다.
둘째, 협착사고를 당할 문제가 있다. 이는 작업대의 상승 작동 중 지붕 또는 천정 슬라브 등에 부착되어 있는 장애물과 작업대 난간 사이에 작업자가 끼어 협착되거나, 또는 주행 중 개구부의 통과시, 개구부 높이와 작업난간대의 높이가 충분하지 못하여 작업자가 개구부와 난간대 사이에 끼어 협착될 수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위와 같은 문제점들에 의해 작업대를 지지하는 길이조절수단의 파손이나 차체의 결함으로 인해 작업대가 전복될 문제가 있다.
상기한 문제점은 고소작업장치를 이용함으로 발생되는 문제이지만 실질적으로 작업자는 고소작업장치를 타고 천정에 근접되게 이동하여 천정부근에서 설치작업을 수행함으로 지상에서 조립작업을 할때보다 어렵고 힘든 작업환경에서 작업을 수행한다.
따라서 종래에 고소작업장치를 이용할 때 천정에 설치할 배선덕트, 공조덕트, 조명설치레일 등 가설물과 텍스타일과 같은 천장마감재 등의 재료를 소지 및 제공이 어렵고 또한 이러한 문제로 설치작업시간이 과대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더욱이 종래 일반적인 고소작업장치를 이용하여 지상에서 천장 구조물의 일부 조립 후 상기한 천장 구조물의 설치시 구조물의 무게 및 크기에 제한이 많이 받게 되는 문제로 인해 이 작업 역시도 천장 구조물 설치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13-0043958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902842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천장마감재를 조립하고, 그에 부속되는 각종 배선덕트, 공조덕트, 조명설치레일 등 가설물을 미리 지상에서 조립한 후 조립을 마친 블록화된 천장 조립체를 리프트 장비를 이용하여 상승시켜 천장에 부착시키는 방식으로 신속하면서 작업 능률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천장 구조물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목적으로는 작업자는 고소작업장치를 타고 천정에 근접되게 이동하여 천정부근에서 설치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시간을 극감시키는 것과 작업인원이 천정부근으로 구조물과 같이 올라가지 않고 최소 인원만 올라가 작업할 수 있는 등의 편리성과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면에 적어도 2개소 이상에 리프트유닛을 각기 배치하여 사각형의 천장 조립체의 각 모서리부를 각각의 리프트유닛이 지지하도록 배치하는 1단계; 각 리프트유닛에 거치되도록 하여 가로와 세로에 각기 외곽프레임을 배치하여 4각형 외형틀을 형성하고, 상기 4각형 외형틀을 가로질러 다수의 지지프레임을 배치한 후 상기 다수의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다수의 블럭을 배열하고, 다수의 블럭에 지지되도록 하여 덕트를 설치하는 1차 구조물을 형성하는 2단계; 상기 리프트유닛의 붐대를 상승시켜 1차 구조물을 상승시켜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이격되도록 하는 3단계; 상기 외곽프레임의 하부에 천장프레임을 배치하고, 천장프레임과 외곽프레임을 연결하도록 연결봉을 설치하고, 천장프레임의 하부에 천장마감판을 부착하여 천장구조물을 완성시키는 4단계; 다수의 지지붐대가 수직방향으로 장착되고, 하부에 바퀴가 형성되며 바퀴를 구동하는 동력부가 구비되며, 접철작동되는 링크부재가 구비된 지지판넬이 상부에 형성된 메인리프팅장치를 상기 4단계의 천장구조물의 하부로 이동시켜 배치하는 5단계; 상기 5단계의 천장구조물이 지지판넬에 안착된 후 각 리프트유닛이 천장구조물로부터 이탈되고, 메인리프팅장치의 링크부재가 상승하여 지지판넬이 천장구조물을 상승시키도록 하는 6단계; 상기 6단계의 천장구조물의 최상부에 배치된 다수의 블럭 및 지지프레임에 볼트를 체결하고, 볼트의 단부가 천장에 가설된 앙카에 장착되도록 하여 천장구조물을 고정 설치하는 7단계; 상기 7단계 이후 메인리프팅장치의 링크부재가 접히면서 지지판넬이 하강하여 천장구조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여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하는 8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6단계의 각 리프트유닛을 지면의 적정 위치 2개소 이상에 배치되고, 상기 2단계 내지 8단계를 순차적으로 반복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구조물 시공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8단계 이후 각 천장구조물들 사이의 공간을 막도록 천장판넬이 부착되는 9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든 리프트유닛의 붐대 전개 길이를 각각 개별적으로 측정하여 평균적인 리프트유닛의 붐대에 대한 전개 길이를 판별 계산한 후 상기 계산된 붐대의 평균적 전개 길이가 설정된 평균값보다 높게 전개된 리프트유닛은 붐대의 전개 속도를 느리게 조절하고 반대로 붐대의 평균적 전개 길이가 설정된 평균값 보다 낮게 전개시 붐대의 전개 속도를 빠르게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구조물 시공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리프트유닛 작동시 각 리프트유닛에 설치된 로드셀에 걸리는 하중을 측정하며 이중 로드셀의 하중 측정이 설정된 하중보다 높게 하중(오버로드)이 측정되면 붐대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오버로드에 해당되지 않는 붐대는 계속 작동하여 하중 바란스를 유지하도록 한 것을 천장 구조물 시공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천장마감재를 조립하고, 그에 부속되는 각종 배선덕트, 공조덕트, 조명설치레일 등 가설물을 미리 지상에서 조립한 후 조립을 마친 블록화된 천장 조립체를 리프트 장비를 이용하여 상승시켜 천장에 부착시키는 방식으로 신속하면서 작업 능률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른 효과로는 모든 리프트유닛의 붐대 전개 길이를 각각 개별적으로 측정하여 평균적인 리프트유닛의 붐대에 대한 전개 길이를 판별 계산한 후 상기 계산된 붐대의 평균적 전개 길이가 설정된 평균값보다 높게 전개된 리프트유닛은 붐대의 전개 속도를 느리게 조절하고 반대로 붐대의 평균적 전개 길이가 설정된 평균값 보다 낮게 전개시 붐대의 전개 속도를 빠르게 조절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다수의 리프트유닛 작동시 각 리프트유닛에 설치된 로드셀에 걸리는 하중을 측정하며 이중 로드셀의 하중 측정이 설정된 하중보다 높게 하중(오버로드)이 측정되면 붐대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오버로드에 해당되지 않는 붐대는 계속 작동하여 하중 바란스를 유지하도록 하여 편리성 및 안정성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 구조물 시공 방법에 대한 공정 흐름도,
도 2 내지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 구조물 시공 공정을 예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 구조물 시공 공정의 마감단계를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유닛'에 대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유닛'의 붐대가 인출된 상태에 대한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유닛'의 '붐대'의 분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유닛'의 '데크승강부'를 나타낸 부분확대도.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 구조물 시공 방법에 대한 공정 흐름도, 도 2 내지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 구조물 시공 공정을 예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 구조물 시공 공정의 마감단계를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유닛'에 대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유닛'의 붐대가 인출된 상태에 대한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유닛'의 '붐대'의 분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유닛'의 '데크승강부'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천장 구조물 시공 방법을 설명한다.
[1단계(S1)]
지면에 적어도 2개소 이상에 리프트유닛(A)을 각기 배치하여 사각형의 천장 조립체의 각 모서리부를 각각의 리프트유닛(A)이 지지하도록 배치한다.
바람직하게는 2개소 이상에 배치되는 리프트유닛(A)들은 서로 거리를 측정하고, 설정된 거리를 유지하도록 한다(도 2 참조).
[2단계(S2)]
각 리프트유닛(A)에 거치되도록 하여 가로와 세로에 각기 외곽프레임(101)을 배치하여 4각형 외형틀을 형성하고, 상기 4각형 외형틀을 가로질러 다수의 지지프레임(102)을 배치한 후 상기 다수의 지지프레임(102)의 상부에 다수의 블럭(103)을 배열하고, 다수의 블럭(103)에 지지되도록 하여 덕트(104)를 설치하는 1차 구조물(100)을 형성한다(도 3 참조).
[3단계(S3)]
상기 리프트유닛(A)의 붐대(4)를 상승시켜 1차 구조물(100)을 상승시켜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이격되도록 한다(도 4 참조).
[4단계(S4)]
상기 3단계(S3) 후 외곽프레임(101)의 하부에 천장프레임(310)을 배치하고, 천장프레임(310)과 외곽프레임(101)을 연결하도록 연결봉을 설치하고, 천장프레임(310)의 하부에 천장마감판(320)을 부착하여 천장구조물(300)을 완성시킨다(도 5 참조).
[5단계(S5)]
다수의 지지붐대(210)가 수직방향으로 장착되고, 하부에 바퀴가 형성되며 바퀴(240)를 구동하는 동력부가 구비되며, 접철작동되는 링크부재(230)가 구비된 지지판넬(220)이 상부에 형성된 메인리프팅장치(200)를 상기 4단계(S4)의 천장구조물(300)의 하부로 이동시켜 배치한다(도 6 참조).
[6단계(S6)]
상기 5단계(S5)의 천장구조물(300)이 지지판넬(220)에 안착된 후 각 리프트유닛(A)이 천장구조물(300)로부터 이탈되고, 메인리프팅장치(200)의 링크부재(230)가 상승하여 지지판넬(220)이 천장구조물(300)을 상승시키도록 한다(도 7 및 도 8 참조).
메인리프팅장치(200)의 링크부재(230)가 상승하는 길이는 지면에서 천장까지 높이에서 천장구조물(300)의 높이를 제외한 높이로 제한되도록 한다.
[7단계(S7)]
상기 6단계(S6)의 천장구조물(300)의 최상부에 배치된 다수의 블럭 및 지지프레임에 볼트를 체결하고, 볼트의 단부가 천장(B)에 매설된 앙카(B2)에 장착되도록 하여 천장구조물(300)을 고정 설치한다.
[8단계(S8)]
상기 7단계(S7) 이후 메인리프팅장치(200)의 링크부재(230)가 접히면서 지지판넬(220)이 하강하여 천장구조물(300)로부터 이격되도록 하여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술한 6단계(S6)의 각 리프트유닛(A)을 지면의 다른 적정 위치 2개소 이상에 배치되고, 상기 2단계(S2) 내지 8단계(S8)를 순차적으로 반복 실시함으로써 소정 면적의 천장에 대한 천장 구조물 시공이 실시될 수 있다(S8-2).
여기서 상기 8단계(S8) 이후 각 천장구조물(300)들 사이의 공간을 막도록 천장판넬(500)이 부착되는 9단계(S9)를 더 포함한다(도 10 참조).
메인리프팅장치(200) 및 리프트유닛(A) 간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의 간격을 유지해야 하므로 천장(B)에 설치되는 천장구조물(300)들 사이에는 공간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최종에는 양측 천장구조물(300) 사이의 공간을 메꾸기 위해 천장마감재(500)를 설치하여 막는다.
한편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천장 구조물 시공을 위한 리프트유닛은,
지면에 지지되어 이동되는 바퀴(24)가 형성된 프레임(22)을 갖는 본체(2);
상기 본체(2)의 일측 상부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신축 작동되어 길이가 조절되도록 다단의 붐(41,42,43)이 끼움결합되어 구성되는 붐대(4);
상기 다단의 붐(41,42,43)를 승강 작동시켜 붐대(4)의 길이 조절이 실행되는 동력을 발휘하는 구동부(M);
상기 붐대(4)에 결합되며 승강되는 가이드(62)와, 상기 가이드(62)에 결합되는 브릿지(64)와, 상기 브릿지(64)의 단부에 형성되어 천장 구조물이 협지되는 클램프(65)로 구성되는 데크부(6);
상기 본체(2)의 일측에 형성되며 지면에 지지되는 아웃 리거(82)와, 상기 아웃 리거(82)의 승강작동을 유발하는 유압실린더(84)로 구성된 보조 지지수단(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2)의 전방에 붐대(4)가 수직방향으로 장착되고, 붐대(4)의 하부에 보조 지지수단(8)이 장착된다.
붐대(4)는, 중심 기대(40)와, 상기 중심 기대(40)의 외부에 끼움결합된 제1붐(41)과, 상기 제1붐(41)에 끼움결합된 제2붐(42), 상기 제2붐(42)에 끼움결합된 제3붐(43)으로 구성되고, 제3붐(43)에 데크부(6)가 장착된다.
구동부(M)는, 상기 중심 기대(40)의 내부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실린더부재(52)와, 상기 실린더부재(52)의 실린더로드(54)가 제1붐(41)에 힌지 결합되는 센터 승강부(5); 상기 제1붐(41)의 상부에 장착된 제1풀리(572)와, 상기 제1풀리(572)를 회전구동시키는 제1동력원(574)과, 상기 제1풀리(572)에 권취되어 일단은 중심 기대(40)에 고정 연결되고, 타단이 제1붐(41)의 하부에 고정 연결되는 제1와이어(576)로 구성된 제1붐 승강부(57); 상기 제2붐(42)의 상부에 장착된 제2풀리(561)와, 상기 제2풀리(561)를 회전구동시키는 제2동력원(562)과, 상기 제2풀리(561)에 권취되어 일단은 중심 기대(40)에 고정 연결되고, 타단이 제2붐(42)의 하부에 고정 연결되는 제2와이어(563) 구성된 제2붐 승강부(56); 상기 제3붐(43)의 내부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유압실린더(74)와,상기 유압실린더(74)의 로드(73)가 제3붐(43)에 힌지 결합되는 제3붐 승강부(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데크부(6)의 가이드(62)는 붐대(4)의 제3붐(43)의 외부에 결합되며 양측에 대칭 결합되는 제1,2브라켓(62a,62b)으로 구성되고, 내부에 회전 구동되게 힌지 결합되며 붐대(4)의 제3붐(43)의 외면을 타고 주행하는 복수의 롤러(624)가 형성된다.
그리고 데크부(6)를 승강 작동하는 데크승강부(66);가 구비된다.
상기 데크승강부(66)는, 붐대(4)의 제3붐(43)에 수직방향으로 장착되며 상하로 승강되는 로드(73)를 구비한 유압실린더(74)와, 상기 로드(73)의 단부에 결합되며 풀리바디(72)와, 상기 풀리바디(72)에 장착되는 풀리(723)와, 상기 풀리(723)에 권취되며 일단은 제3붐(43)의 상단커버(666)에 고정되고, 타단은 데크부(6)의 가이드(62)에 고정되는 데크와이어(66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로드(73)가 하강하면 풀리바디(72)와 풀리(723)가 동반 하강하게 되고, 데크와이어(667)가 당겨짐에 의해 상대적으로 데크부(6)가 상승하게 된다. 데크부(6)의 하강은 이와 역순으로 진행된다.
상기와 같이 작동하는본 발명에 있어서 모든 리프트유닛의 붐대 전개 길이를 각각 개별적으로 측정하여 평균적인 리프트유닛의 붐대에 대한 전개 길이를 판별 계산한 후 상기 계산된 붐대의 평균적 전개 길이가 설정된 평균값보다 높게 전개된 리프트유닛은 붐대의 전개 속도를 느리게 조절하고 반대로 붐대의 평균적 전개 길이가 설정된 평균값 보다 낮게 전개시 붐대의 전개 속도를 빠르게 조절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다수의 리프트유닛 작동시 각 리프트유닛에 설치된 로드셀에 걸리는 하중의 평균하중을 측정하며 이중 로드셀의 측정된 평균하중이 설정된 하중보다 높게 하중(오버로드)이 측정되면 붐대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오버로드에 해당되지 않는 붐대는 계속 작동하여 하중 바란스를 유지하도록 하여 편리성 및 안정성 등의 효과가 있다.
비록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2 : 본체 4 : 붐대
5 : 센터 승강부 M : 구동부
6 : 데크부 8 : 보조 지지수단
A : 리프트유닛 100 : 1차 구조물
101 : 외곽프레임 102 : 지지프레임
103 : 블럭 104 : 덕트
300 : 천장구조물 310 ; 천장프레임
320 : 천장마감판

Claims (5)

  1. 지면에 적어도 2개소 이상에 리프트유닛을 각기 배치하여 사각형의 천장 조립체의 각 모서리부를 각각의 리프트유닛이 지지하도록 배치하는 1단계;
    각 리프트유닛에 거치되도록 하여 가로와 세로에 각기 외곽프레임을 배치하여 4각형 외형틀을 형성하고, 상기 4각형 외형틀을 가로질러 다수의 지지프레임을 배치한 후 상기 다수의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다수의 블럭을 배열하고, 다수의 블럭에 지지되도록 하여 덕트를 설치하는 1차 구조물을 형성하는 2단계;
    상기 리프트유닛의 붐대를 상승시켜 1차 구조물을 상승시켜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이격되도록 하는 3단계;
    상기 외곽프레임의 하부에 천장프레임을 배치하고, 천장프레임과 외곽프레임을 연결하도록 연결봉을 설치하고, 천장프레임의 하부에 천장마감판을 부착하여 천장구조물을 완성시키는 4단계;
    다수의 지지붐대가 수직방향으로 장착되고, 하부에 바퀴가 형성되며 바퀴를 구동하는 동력부가 구비되며, 접철작동되는 링크부재가 구비된 지지판넬이 상부에 형성된 메인리프팅장치를 상기 4단계의 천장구조물의 하부로 이동시켜 배치하는 5단계;
    상기 5단계의 천장구조물이 지지판넬에 안착된 후 각 리프트유닛이 천장구조물로부터 이탈되고, 메인리프팅장치의 링크부재가 상승하여 지지판넬이 천장구조물을 상승시키도록 하는 6단계;
    상기 6단계의 천장구조물의 최상부에 배치된 다수의 블럭 및 지지프레임에 볼트를 체결하고, 볼트의 단부가 천장에 가설된 앙카에 장착되도록 하여 천장구조물을 고정 설치하는 7단계;
    상기 7단계 이후 메인리프팅장치의 링크부재가 접히면서 지지판넬이 하강하여 천장구조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여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하는 8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6단계의 각 리프트유닛을 지면의 적정 위치 2개소 이상에 배치되고, 상기 2단계 내지 8단계를 순차적으로 반복 실시되는 것이며,
    상기 모든 리프트유닛의 붐대 전개 길이를 각각 개별적으로 측정하여 평균적인 리프트유닛의 붐대에 대한 전개 길이를 판별 계산한 후 상기 계산된 붐대의 평균적 전개 길이가 설정된 평균값보다 높게 전개된 리프트유닛은 붐대의 전개 속도를 느리게 조절하고 반대로 붐대의 평균적 전개 길이가 설정된 평균값 보다 낮게 전개시 붐대의 전개 속도를 빠르게 조절하는 것이고,
    상기 다수의 리프트유닛 작동시 각 리프트유닛에 설치된 로드셀에 걸리는 하중의 평균하중을 측정하며 이중 로드셀의 측정된 평균하중이 설정된 하중보다 높게 하중(오버로드)이 측정되면 붐대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오버로드에 해당되지 않는 붐대는 계속 작동하여 하중 바란스를 유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구조물 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8단계 이후 각 천장구조물들 사이의 공간을 막도록 천장판넬이 부착되는 9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구조물 시공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116799A 2021-09-02 2021-09-02 천장 구조물 시공 방법 KR102592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6799A KR102592681B1 (ko) 2021-09-02 2021-09-02 천장 구조물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6799A KR102592681B1 (ko) 2021-09-02 2021-09-02 천장 구조물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3872A KR20230033872A (ko) 2023-03-09
KR102592681B1 true KR102592681B1 (ko) 2023-10-23

Family

ID=85511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6799A KR102592681B1 (ko) 2021-09-02 2021-09-02 천장 구조물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268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2842B1 (ko) * 2017-12-14 2018-10-01 주식회사 원방테크 2분할 리프팅장치 및 그를 이용한 모듈 리프팅 방식 시스템 실링 시공방법
KR101934669B1 (ko) * 2018-04-27 2019-01-02 (주)호이스트코리아 아웃트리거를 구비한 회전식 고소작업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798B1 (ko) * 2010-04-09 2015-01-0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지게차용 마스트 조립체
KR101295688B1 (ko) 2011-10-21 2013-08-14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체의 회전을 이용한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슬로싱 저감장치
KR101763815B1 (ko) * 2015-09-16 2017-08-14 삼성중공업(주) 선박 건조용 정반 장치
KR102331930B1 (ko) * 2019-11-19 2021-11-26 한양이엔지 주식회사 중량물 리프팅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2842B1 (ko) * 2017-12-14 2018-10-01 주식회사 원방테크 2분할 리프팅장치 및 그를 이용한 모듈 리프팅 방식 시스템 실링 시공방법
KR101934669B1 (ko) * 2018-04-27 2019-01-02 (주)호이스트코리아 아웃트리거를 구비한 회전식 고소작업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3872A (ko) 2023-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88500A (en) Elevatable work facility
CN109826411B (zh) 一种建筑用爬架及其运行方法
KR20140003277U (ko) 고소작업용 리프트
WO2003095350A1 (en) Safety fence at upper part of cab
CA2610182C (en) Elevating workshop pit platform
KR101288370B1 (ko) 터널용 작업대차
KR102592681B1 (ko) 천장 구조물 시공 방법
KR20220125633A (ko) 포설용 말비계탑승장치
KR200497469Y1 (ko) 천장 구조물 설치용 리프팅 장치
WO2011150488A1 (en) Mobile stage
JP2002046951A (ja) エレベーターの保守用足場装置
KR102204933B1 (ko) 고소 작업대 승강장치
JPH08100517A (ja) 昇降式作業台
JP7380322B2 (ja) 屋根施工システム及び屋根施工方法
JP7435025B2 (ja) 機械構台及び屋根施工方法
KR102609173B1 (ko) 고소 작업 타워 및 그를 구비하는 고소 작업 타워 어셈블리
JP7415657B2 (ja) 屋根施工システム及び屋根施工方法
JPH0115792Y2 (ko)
JPH0428697A (ja) 工事用リフト
KR102446293B1 (ko) 사다리차 탑승장치
CN210105265U (zh) 一种建筑用爬架
JPH05222834A (ja) 高層建築物用昇降連続吊り足場
JP3269756B2 (ja) 高所作業車
JPH0940382A (ja) 高所作業車
KR200241837Y1 (ko) 승하강이 용이한 외부 작업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