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1757B1 - 수직 승강식 작업대 - Google Patents

수직 승강식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1757B1
KR102171757B1 KR1020180129846A KR20180129846A KR102171757B1 KR 102171757 B1 KR102171757 B1 KR 102171757B1 KR 1020180129846 A KR1020180129846 A KR 1020180129846A KR 20180129846 A KR20180129846 A KR 20180129846A KR 102171757 B1 KR102171757 B1 KR 102171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frame
frame
vertical
worktable
fram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9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8121A (ko
Inventor
임대우
Original Assignee
임대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대우 filed Critical 임대우
Priority to KR1020180129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1757B1/ko
Publication of KR20200048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8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1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1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adjustable in he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04G2001/242Scaffolds movable on wheels or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04G2001/248Inclined str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수직 승강식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면이 기울거나 거친 상태에서도 작업대를 수평 조절할 수 있으며, 외부의 동력지원 없이 작업자가 리프트를 상, 하로 높이 조절하여 각종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위치의 이동과 차량에 탑재나 보관이 편리하도록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수개의 크로스바(11)들 및 엔드바(18)에 의해 나란하게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내측을 향해 레일홈(12)을 구비하는 고정틀체(13)의 레일홈(12)에 끼워져 상하 슬라이드되며 상단부는 상판(16)에 의해 막혀지고 내부로 홈(15)이 파여지는 가동틀체(14)를 포함하는 수직후레임(10)과,
상기 수직후레임(10)의 하단부에 힌지핀(21)으로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개의 아웃트리거(20)들과,
상기 수직후레임(10)의 안내로 상하 승강 이동되는 이동몸체(31)와,
이 이동몸체(31)로부터 경첩(33)으로 절첩 가능하게 플레이트(32)가 연결된 승강작업대(30)와,
이 승강작업대(30)를 작업자의 조작으로 원하는 높이로 승강 이동시키는 리프팅수단(40)과,
상기 고정틀체(13)의 일측으로 아암(52)에 샤프트(51)가 회전 자유롭게 연결되는 한쌍의 구동바퀴(50)와,
상기 수직후레임(10)과 아웃트리거(20)의 하단부에 위치되어 수직후레임(10)과 아웃트리거(20)들의 간격을 각각 조절하는 거리조절수단(6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직 승강식 작업대{Vertical lift type workbench}
본 발명은 수직 승강식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면이 기울거나 거친 상태에서도 작업대를 수평 조절할 수 있으며, 외부의 동력지원 없이 작업자가 리프트를 상, 하로 높이 조절하여 각종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위치의 이동과 차량에 탑재나 보관이 편리하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천정 높이에 각종 공사를 시행하거나 과수원 등에서 농작물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작업대가 필요하다.
작업대는 일자형이나 A형 타입의 일반형 사다리가 이용되고 있다.
또, 외부전기 또는 배터리에 의한 모터의 동력으로 하거나 엔진 등의 동력을 이용하여 구동하는 리프트 장비가 있다.
상기와 같은 사다리나 리프트는 작업자가 오르내리는 거나 중량물을 상하차시키는 용도로 사용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작업현장에서 작업자가 천장작업(천장 인테리어, 보수작업 등)을 하기 위해서는 사다리나 리프트장비를 이용하여 작업을 하게 되며, 특히 물류센터와 같은 창고의 물품관리를 위한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특정한 공간에서 동력(주로 내연기관을 이용한 동력)을 이용한 리프트는 작업공간의 환경을 해치는 문제가 있다.
이를 보완한 배터리를 이용한 친환경 리프트가 개발되어 일정규모의 대기업체 작업장에서는 사용되고 있으나, 중소업체의 작업장에서는 사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기존에 고소작업용 리프트는 그 구동력이 전기나 엔진을 동력원으로 구동하기 때문에 구조가 커지고 차체 하중이 무거워 지기 때문에 실내에서의 이동에 많은 제한이 있고 불편하다.
또한, 복잡한 기계구조로 된 리프트는 그 가격이 고가이기 때문에 중소업체에서 손쉽게 구매하여 사용하기에는 부담스런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와 같은 리프트는 이동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어야 사용할 수 있어 이동 공간이 확보되지 않은 좁은 공간에서는 접이식 사다리를 사용할 수 밖에 없다.
또한, 건축물의 각 층간을 오르내릴 수 없어 접이식 사다리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1244222호 (2013년03월11일 등록)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444935호 (2009년06월10일 등록)
종래, 상기와 같이 좁은 공간에서 사용되는 사다리는 사용위치가 변경될 때 마다 작업자가 내려와 이동을 시켜야 하므로 매우 불편하다.
그리고, 작업자가 사다리 위에서 작업을 할 때, 안정성이 결여되는 있으므로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작업자가 사다리위에서 중심을 잃고 추락하는 등의 안전사고가 자주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전체 하중이 비교적 가벼워 간편하게 차량의 적재함에 쉽게 싣고 내릴 수 있어 취급 편의성이 우수한 수직 승강식 작업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적절한 높이에서 위치를 승강시킨 후 높이를 고정시킬 수 있고, 바퀴를 이용해 원하는 위치까지 간편하게 이동하면서 각종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수직 승강식 작업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장치의 내구성이 우수하고, 바닥면이 기울거나 거친 상태에서도 작업대를 지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아웃트리거를 구비하여 작업시 안정성이 우수한 수직 승강식 작업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구성은, 수개의 크로스바(11)들 및 엔드바(18)에 의해 나란하게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내측을 향해 레일홈(12)을 구비하는 고정틀체(13)의 레일홈(12)에 끼워져 상하 슬라이드되며 상단부는 상판(16)에 의해 막혀지고 내부로 홈(15)이 파여지는 가동틀체(14)를 포함하는 수직후레임(10)과,
상기 수직후레임(10)의 하단부에 힌지핀(21)으로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개의 아웃트리거(20)들과,
상기 수직후레임(10)의 안내로 상하 승강 이동되는 이동몸체(31)와,
이 이동몸체(31)로부터 경첩(33)으로 절첩 가능하게 플레이트(32)가 연결된 승강작업대(30)와,
이 승강작업대(30)를 작업자의 조작으로 원하는 높이로 승강 이동시키는 리프팅수단(40)과,
상기 고정틀체(13)의 일측으로 아암(52)에 샤프트(51)가 회전 자유롭게 연결되는 한쌍의 구동바퀴(50)와,
상기 수직후레임(10)과 아웃트리거(20)의 하단부에 위치되어 수직후레임(10)과 아웃트리거(20)들의 간격을 각각 조절하는 거리조절수단(6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리조절수단(60)은 걸림턱부(63)가 절곡된 레일(61)이 아웃트리거(20)의 내측으로 각각 고정 설치되고, 수직후레임(10)과 레일(61) 사이에 터언버클(62)이 구비되어 간격이 조절된다.
이때 상기 레일(61)과 터언버클(62) 사이와, 수직후레임(10)과 터언버클(62) 사이에는 고리(64)들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수직후레임(10)의 가동틀체(14) 상부에는 손잡이(17)가 더 부착되고, 상기 이동몸체(31)에는 고정틀체(13)의 레일홈(12)과 가동틀체(14)의 홈(15)에 끼워져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롤러(34)들이 구비된다.
상기 리프팅수단(40)은 고정바(42)에 나사 체결되는 구동스크류(41)의 상단부를 가동틀체(14)에 회전 자유롭게 결합하여 툴바(45)가 상판(16) 외부를 향해 노출시키며, 작업자가 툴바(45)를 강제회전시킬 때 고정틀체(13)로부터 가동틀체(14)가 상하 이동되며, 이 고정바(42)로부터 이동몸체(31) 사이를 가동틀체(14)에 설치된 도르레롤러(47)를 통해 와이어(46)로 연결되어서 승강작업대(30)가 승강 구동된다.
상기 아암(52)은 고정틀체(13)의 크로스바(11)에 핀(53)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내측 길이방향을 따라 받침부재(54)가 부착되어 그 일측으로 위치되는 다른 크로스바(11)에 축핀(56)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는 레버(55)가 받침부재(54)에 지지되어 구동바퀴(50)의 위치를 고정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틀체(13)의 가장 하단측 엔드바(18)에 안내바퀴(70)를 구름 자유롭게 고정 부착하고, 하단부측 크로스바(11)에 설치된 가이드고리(72)를 통해 연결끈(71)을 통과시켜 연결끈(71)의 단부를 레버(55)에 고정시키고, 받침부재(54)의 선단을 일정 길이로 제거하여 연결끈(71)을 당길때 레버(55)가 이동되며 구동바퀴(50)의 걸림을 해제함과 아울러, 아암(52)이 절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레버(55)의 단부에는 롤러(57)가 더 구비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자가 탑재된 승강작업대를 원하는 작업 위치까지 간단한 조작으로 승강시킬 수 있으며, 바닥면이 기울거나 거친 상태에서도 작업대를 수평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이 끝난 후에는 승강작업대와 아웃트리거를 절첩시켜 적은 부피를 유지한 상태로 보관하거나, 구동바퀴가 지면에 접하도록 하여 쉽고 편리하게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또, 외부의 전원이나 동력 연결이 불필요 하고, 작업시에 안정성과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고, 차량에 탑재가 용이하다.
또한, 제품의 전체 중량이 비교적 가볍고 구입비 및 운전비가 저렴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경제성인 이익을 줄 수 있는 등의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저면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좌측면도.
도 4와 본 발명의 승강작업대에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상하 이동되는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5는 수직후레임의 고정틀체로부터 이동몸체와 가동틀체를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7과 도 6의 B 부분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고정틀체로의 내측으로 가동틀체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9a는 아웃트리거가 펼쳐져 지면에 접촉된 상태를 보인 일부 확대 정면도.
도 9b는 아웃트리거가 수직후레임에 나란하게 절첩시킨 상태를 보인 일부 확대 정면도.
도 10은 아웃트리거가 절첩된 상태로 이동가능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저면 사시도.
도 12는 도 10의 정면도.
도 13은 구동바퀴를 연결하는 아암이 레버에 의해 위치 고정되는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14는 도 10의 좌측면도.
도 15a 내지 15c는 본 발명이 차량 적재함에 탑재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이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외부의 동력이나 전원 연결 없이 작업자를 원하는 작업 위치로 승강시킬 뿐만 아니라, 각 아웃트리거들의 펼침 위치를 미세 조절하여 바닥면이 기울거나 거친 상태에서도 작업대를 수평 조절할 수 있고, 간단하게 절첩하여 보관과 위치 이동이 편리하도록 된 수직 승강식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작업대는 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세워지는 수직후레임(10)의 안내로 승강작업대(30)가 리프팅수단(40)에 의해 상하 승강되고, 하부에 연결된 아웃트리거(20)들에 의해 안정된 받침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이동이 필요할 때에 구동바퀴(50)를 이용하여 원하는 위치로 작업대 전체를 편리하게 이동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수직후레임(10)은 고정틀체(13)와 이 고정틀체(13)에 끼워져 상하 승강 이동되는 가동틀체(14)로 구성된다.
고정틀체(13)는 수개의 크로스바(11)들과 가장 하단부에 위치되는 엔드바(18)에 의해 나란하게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지면에 수직하게 세워지고, 내측을 향해 레일홈(12)이 형성되어 이 레일홈(12)의 내부로 가동틀체(14)가 끼워 설치된다.
가동틀체(14)의 상부는 상판(16)으로 막혀진 상태로 "∩" 형상의 후레임을 형성하게 되며, 레일홈(12)과 홈(15)의 안내로 수직 방향으로 승강 이동가능하게 승강작업대(30)가 설치된다.
승강작업대(30)는 레일홈(12)과 홈(15)에 끼워져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도록 안내롤러(34)들이 구비된 이동몸체(31)와, 이 이동몸체(31)로부터 경첩(33)으로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펼쳐지거나, 수직후레임(10)과 나란히 절첩이 가능하도록 플레이트(32)가 연결되어 있다.
플레이트(32)에는 수평하게 펼쳐진 상태에서 작업자가 탑승하게 된다.
이 승강작업대(30)는 리프팅수단(40)에 의해 작업자의 조작으로 원하는 높이로 승강 이동시키게 된다.
즉, 리프팅수단(40)의 구성은 고정틀체(13)에 고정 부착된 고정바(42)에 구동스크류(41)가 나사 체결되며, 구동스크류(41)의 상단은 가동틀체(14)에 회전 자유롭게 축 지지된 상태로 그 상부로 연장된 툴바(45)가 함께 회전가능하게 일체로 제작되어 있다.
또, 고정바(42)와 승강작업대(30)의 이동몸체(31) 사이는 가동틀체(14)에 축 지지된 도르레롤러(47)를 통해 와이어(46)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와이어(46)를 대신하여 체인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툴바(45)는 상판(16)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에서 수동렌치 또는 밧데리로 작동되는 휴대용 드릴과 같은 전동 공구를 이용해 강제 회전시키게 되면, 고정바(42)가 구동스크류(41)에 나사 체결된 상태로 가동틀체(14)가 상하로 이동된다.
고정바(42)는 고정틀체(13)에 위치 고정된 상태로 구동스크류(41)와 함께 가동틀체(14)가 하강되면, 도르레롤러(47)를 통해 와이어(46)로 연결된 승강작업대(30)의 이동몸체(31)와 플레이트(32)는 하강된다.
그리고, 이와 반대로 가동틀체(14)가 구동스크류(41)의 회전에 의해 함께 상승되면, 도르레롤러(47)도 상승되므로 와이어(46)로 연결된 승강작업대(30)의 이동몸체(31)와 플레이트(32)는 함께 상승된다.
이때 전동공구의 구동력으로 툴바(45)에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하면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승강작업대(30)를 상하 이동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툴바(45)로는 사각기둥 또는 6각기둥 형상의 렌치막대가 적합하다.
한편, 상기 수직후레임(10)의 고정틀체(13) 하단부에 힌지핀(21)으로 유동 가능하게 복수개의 아웃트리거(20)들이 힌지 연결되고, 상기 고정틀체(13)와 각 아웃트리거(20)들의 하단부 사이를 거리조절수단(60)에 의해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거리조절수단(60)에 의해 아웃트리거(20)와 고정틀체(13)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게 되면, 수직후레임(10) 및 플레이트(32)의 경사각도가 조절된다.
즉, 4개로 이루어지는 각 아웃트리거(20)들이 모두 같은 간격을 유지하고 바닥면이 수평할 경우 수직후레임(10)은 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그리고 플레이트(32)는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어느 한 아웃트리거(20)를 거리조절수단(60)에 의해 고정틀체(13)로부터 멀어지게 하거나 좁혀지게 조절하면 그 방향으로 수직후레임(10)과 플레이트(32)의 경사가 조절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바닥면이 기울어진 상태나, 울퉁 불퉁하게 거친 바닥 환경에서도 상기한 거리조절 방법에 의해 작업자가 탑승되는 플레이트(32)를 수평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거리조절수단(60)의 구성은 각 아웃트리거(20)들의 내측으로 걸림턱부(63)가 절곡된 레일(61)이 각각 고정 설치되고, 수직후레임(10)과 레일(61) 사이에 터언버클(62)이 구비되어, 이 터언버클(62)의 회전 방향 조절에 의해 터언버클(62)의 양단부가 벌어지거나 좁혀지는 작동에 의해 아웃트리거(20)들의 설치 간격이 조절된다.
터언버클(62)은 몸체 양쪽으로 왼나사와 오른나사로 된 작동부재가 각각 나사 체결되어 중앙 몸체를 선택된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양쪽 작동부재 들이 벌어지거나 반대 회전시키면 좁혀지는 공구로 그 구성과 역할은 이미 알려진 바와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레일(61)과 터언버클(62) 사이와, 고정틀체(13)와 터언버클(62) 사이에는 고리(64)들이 각각 설치되어 방향성이 자유롭게 절첩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9a에서와 같이 아웃트리거(20)들의 내측을 따라 나란하게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고정 설치되는 레일(61)의 하단부에는 걸림턱부(63)가 절곡되어, 아웃트리거(20)가 펼쳐진 상태에서 이 걸림턱부(63)에 고리(64)가 걸려진 상태로 터언버클(62)과 연결된다.
따라서, 이 걸림턱부(63)에 의해 진동이나 충격이 전달되더라도 고리(64)가 걸려져서 걸림위치가 벗어나는 경우를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작업대를 보관하거나 위치 이동하고자 할 때는 걸림턱부(63)에 걸려져 있는 고리(64)의 걸림 위치를 해제한 상태에서 힌지핀(21)을 축으로 아웃트리거(20)를 회동시켜 수직후레임(10)에 나란하게 절첩시킬 수 있게 된다.(도 9b)
이때 터언버클(62)과 연결된 고리(64)는 레일(61)과 아웃트리거(20) 사이에 나란하게 형성된 간격을 따라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각 아웃트리거(20)들을 절첩시켜 그 부피를 최소화한 상태로 보관 및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작업대를 편리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고정틀체(13)의 일측으로 아암(52)에 샤프트(51)가 회전 자유롭게 연결되는 한쌍의 구동바퀴(50)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구동바퀴(50)는 승강작업대(30)의 플레이트(32)에 작업자가 탑재되어 작업중일 때에는 지면에 접촉되지 않고 떨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도 3, 도 4)
그리고, 각 아웃트리거(20)들이 절첩된 상태에서 다음 장소로 이동이 필요로 한 경우, 수직후레임(10)이 대략 지면과 수평하게 한 상태에서 아암(52)과 연결된 구동바퀴(50)가 지면과 접촉되도록 한 후 레버(55)를 조작하여 아암(52)을 위치 고정시키게 된다.
즉, 상기 아암(52)은 고정틀체(13)의 일측 크로스바(11)에 핀(53)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내측으로는 길이방향을 따라 받침부재(54)가 더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받침부재(54)의 부착 위치와 동일하게 그 옆쪽으로 거리를 두고 고정틀체(13)의 크로스바(11)에 축핀(56)으로 회전 자유롭게 레버(55)를 설치하게 된다.
레버(55)의 끝단부에는 롤러(57)가 회전 자유롭게 축 설치되어 레버(55)를 구동바퀴(50)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해 장착하거나 해제할 때 마찰저항을 줄여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12 및 도 13에서와 같이 구동바퀴(50)를 구비하고 있는 아암(52)이 경사지게 위치된 상태에서, 레버(55)의 롤러(57)가 받침부재(54)의 끝단부와 샤프트(51)의 사이에 위치되어 걸려지는 것에 의해 아암(52)이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구동바퀴(50)가 유동되지 않고 안정되게 지면에 접촉된 상태로 주행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가동틀체(14)의 상판(16)에는 손잡이(17)가 부착되어 작업자가 이 손잡이(17)를 잡고 절첩된 상태의 작업대를 편리하게 위치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작업대를 아웃트리거(20)들이 모두 절첩시켜 이동시킬 때에는 가동틀체(14)가 최대한 고정틀체(13) 내부로 인입시켜 최소한의 길이로 부피를 줄인 상태에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이동몸체(31)의 일측 상단에는 공구함(1)이 위치될 수 있도록 받침대(36)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작업대를 차량의 적재함(5)에 작업자가 타인의 도움 없이 쉽게 탑재할 수 있도록 안내바퀴(70)와 아암(52) 및 레버(55)의 절첩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좋다.
즉, 상기 고정틀체(13)의 가장 하단측 엔드바(18)에 안내바퀴(70)를 구름 자유롭게 고정 부착하게 된다.
그리고, 하단부측 크로스바(11)에 설치된 가이드고리(72)를 통해 연결끈(71)을 통과시켜 연결끈(71)의 단부를 레버(55)에 고정시키고, 받침부재(54)의 선단을 일정 길이로 제거하여 연결끈(71)을 당길때 레버(55)가 이동되며 구동바퀴(50)의 걸림을 해제함과 아울러, 아암(52)이 절첩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본 발명의 작업대를 적재함(5)에 적재하기 위해서는 우선, 고정틀체(13)의 가장 하단측에 설치된 안내바퀴(70)를 적재함(5) 상부 끝단부에 걸쳐좋게 된다.(도 15a)
이어서 연결끈(71)을 작업자가 당기게 되면 끝단부에 연결된 레버(55)가 회동되면서 롤러(57)는 받침부재(54)의 선단부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되면서 아암(52)의 걸림상태를 해제하면서 절첩되고, 작업자가 작업대를 적재함(5)의 내측을 향해 살짝 밀게되면, 아암(52)도 절첩된다.(도 15b)
레버(55)와 아암(52)이 모두 절첩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작업대를 적재함(5)의 내부를 향해 완전하게 탑재되도록 밀게 되면 안내바퀴(70)와 구동바퀴(50)가 적재함(5) 바닥면에 접촉된 상태로 마찰저항 없이 원활하고 신속하게 탑재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도 15c)
따라서, 비교적 무거운 작업대를 다수의 작업자 도움 없이도 혼자 쉽게 차량의 적재함(5)에 탑재시킬 수 있어 취급이 편리하게 되는 것이다.
또, 적재함(5)으로 부터 하차시켜 지면에 안착되어 이동시킬 때에는 위 설명과 반대 순서와 과정을 거쳐 도 12와 같은 구동바퀴(50)가 지면에 접촉되도록 아암(52)과 레버(55)가 펼쳐지게 하여 끌거나 밀어서 쉽게 이동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어 있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다리나 리프트가 필요한 농업용 또는 건축 인테리어와 각종 산업 현장 분야에 적용된다.
특히, 천정이나 벽체 작업과 공장 등의 자재창고 등의 자재 하역 정리 작업에 있어서, 작업 효율과 작업자의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 차량에 탑재가 용이하다.
10 - 수직후레임 11 - 크로스바
12 - 레일홈 13 - 고정틀체
14 - 가동틀체 15 - 홈
16 - 상판 17 - 손잡이
20 - 아웃트리거 30 - 승강작업대
31 - 이동몸체 32 - 플레이트
33 - 경첩 40 - 리프팅수단
41 - 구동스크류 42 - 고정바
46 - 와이어 47 - 도르레롤러
50 - 구동바퀴 52 - 아암
55 - 레버 60 - 거리조절수단
61 - 레일 62 - 터언버클

Claims (8)

  1. 수개의 크로스바(11)들 및 엔드바(18)에 의해 나란하게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내측을 향해 레일홈(12)을 구비하는 고정틀체(13)의 레일홈(12)에 끼워져 상하 슬라이드되며 상단부는 상판(16)에 의해 막혀지고 내부로 홈(15)이 파여지는 가동틀체(14)를 포함하는 수직후레임(10)과,
    상기 수직후레임(10)의 하단부에 힌지핀(21)으로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개의 아웃트리거(20)들과,
    상기 수직후레임(10)의 안내로 상하 승강 이동되는 이동몸체(31)와,
    이 이동몸체(31)로부터 경첩(33)으로 절첩 가능하게 플레이트(32)가 연결된 승강작업대(30)와,
    이 승강작업대(30)를 작업자의 조작으로 원하는 높이로 승강 이동시킬 수 있도록, 고정바(42)에 나사 체결되는 구동스크류(41)의 상단부를 가동틀체(14)에 회전 자유롭게 결합하여 툴바(45)가 상판(16) 외부를 향해 노출시키며, 작업자가 툴바(45)를 강제회전시킬 때 고정틀체(13)로부터 가동틀체(14)가 상하 이동되며, 이 고정바(42)로부터 이동몸체(31) 사이를 가동틀체(14)에 설치된 도르레롤러(47)를 통해 와이어(46)로 연결되어서 승강작업대(30)가 승강 구동되도록 하는 리프팅수단(40)과,
    상기 고정틀체(13)의 일측으로 아암(52)에 샤프트(51)가 회전 자유롭게 연결되는 한쌍의 구동바퀴(50)와,
    상기 수직후레임(10)과 아웃트리거(20)의 하단부에 위치되어 수직후레임(10)과 아웃트리거(20)들의 간격을 각각 조절할 수 있도록, 걸림턱부(63)가 절곡된 레일(61)이 아웃트리거(20)의 내측으로 각각 고정 설치되고, 수직후레임(10)과 레일(61) 사이에 터언버클(62)이 갖춰진 거리조절수단(60)으로 구성되어 지되,
    상기 레일(61)과 터언버클(62) 사이와, 수직후레임(10)과 터언버클(62) 사이에는 고리(64)들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수직후레임(10)의 가동틀체(14) 상부에는 손잡이(17)가 더 부착되고, 상기 이동몸체(31)에는 고정틀체(13)의 레일홈(12)과 가동틀체(14)의 홈(15)에 끼워져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롤러(34)들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승강식 작업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암(52)은 고정틀체(13)의 크로스바(11)에 핀(53)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내측 길이방향을 따라 받침부재(54)가 부착되어 그 일측으로 위치되는 다른 크로스바(11)에 축핀(56)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는 레버(55)가 받침부재(54)에 지지되어 구동바퀴(5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승강식 작업대.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틀체(13)의 가장 하단측 엔드바(18)에 안내바퀴(70)를 구름 자유롭게 고정 부착하고, 하단부측 크로스바(11)에 설치된 가이드고리(72)를 통해 연결끈(71)을 통과시켜 연결끈(71)의 단부를 레버(55)에 고정시키고, 받침부재(54)의 선단을 일정 길이로 제거하여 연결끈(71)을 당길때 레버(55)가 이동되며 구동바퀴(50)의 걸림을 해제함과 아울러, 아암(52)이 절첩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승강식 작업대.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레버(55)의 단부에는 롤러(57)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승강식 작업대.


KR1020180129846A 2018-10-29 2018-10-29 수직 승강식 작업대 KR102171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846A KR102171757B1 (ko) 2018-10-29 2018-10-29 수직 승강식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846A KR102171757B1 (ko) 2018-10-29 2018-10-29 수직 승강식 작업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121A KR20200048121A (ko) 2020-05-08
KR102171757B1 true KR102171757B1 (ko) 2020-10-30

Family

ID=70678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9846A KR102171757B1 (ko) 2018-10-29 2018-10-29 수직 승강식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17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0770A (ko) 2021-08-26 2023-03-07 김정엽 이동용 상승 작업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65020B (zh) * 2020-08-22 2022-10-14 中建二局第二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土木工程用组合式施工架
CN112177315B (zh) * 2020-09-18 2022-05-27 北京天润建设有限公司 一种立杆支架
KR102411511B1 (ko) 2020-09-22 2022-06-21 어수학 자이로스코프와 작업물고정체를 장착시킨 고소작업용 전동리프트
CN112942774B (zh) * 2021-01-29 2022-05-17 中建七局第二建筑有限公司 一种用于独立柱顶部混凝土浇筑的操作台
CN113006446B (zh) * 2021-03-19 2022-09-23 黄河水利职业技术学院 一种多功能施工平台
CN115262931A (zh) * 2022-07-20 2022-11-01 中建四局芜湖建设投资有限公司 一种可调节的房屋建筑工程的升降式施工平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0448B2 (ja) * 1996-07-03 2000-03-15 西松建設株式会社 ケーブルクレーン自動運転の際の目標位置入力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0448U (ja) * 1995-07-12 1996-01-23 達人 徳安 携帯型昇降作業台
KR19980010534U (ko) * 1996-08-08 1998-05-15 임대우 고소 작업사다리
KR100933361B1 (ko) * 2008-01-29 2009-12-22 씨에스주식회사 고소작업대
KR200444935Y1 (ko) 2008-11-21 2009-06-17 이영학 접철식 작업사다리
KR101244222B1 (ko) 2011-06-23 2013-03-18 임대우 이동식 고가 사다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0448B2 (ja) * 1996-07-03 2000-03-15 西松建設株式会社 ケーブルクレーン自動運転の際の目標位置入力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0770A (ko) 2021-08-26 2023-03-07 김정엽 이동용 상승 작업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121A (ko) 2020-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1757B1 (ko) 수직 승강식 작업대
US3752261A (en) Multi-stage lift
KR102070103B1 (ko) 자주 구동식 작업대
AU2009201154B2 (en) Mast lift machine
US6651775B2 (en) Low level scaffold with ballscrew drive
US7093691B1 (en) Portable scissor-lift-assembly
US5772183A (en) Portable lifting apparatus for demountable positioning in an overhead location
US7448598B1 (en) Quick panel lifter
US9109394B2 (en) Adjustable ladder support mechanism
JP2009084901A (ja) 昇降作業台装置
KR102073180B1 (ko) 농업용 고소차
US5310018A (en) Scaffold
US8931724B2 (en) Device for handling spool of windable material
US20120043158A1 (en) Mast Lift with Screw Drive and Gas Strut
US7607513B1 (en) Telescoping lifting hand truck with a folding platform
EP2639382A1 (en) Work platform
US8991626B2 (en) Portable lifting system
US11382422B1 (en) Overhead storage system and apparatus configured to raise and lower
US6402161B1 (en) Portable stair-climbing load transporting dolly
US5303899A (en) Apparatus for lifting construction elements
CN210065040U (zh) 一种自动升降运输车
JPH06126664A (ja) 荷重取扱装置
US3801069A (en) Weight lifting and transfer device
US3464520A (en) Self-operated elevator
WO1997029041A1 (en) Apparatus provided with a lifting work platfo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