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4935Y1 - 접철식 작업사다리 - Google Patents

접철식 작업사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4935Y1
KR200444935Y1 KR2020080015535U KR20080015535U KR200444935Y1 KR 200444935 Y1 KR200444935 Y1 KR 200444935Y1 KR 2020080015535 U KR2020080015535 U KR 2020080015535U KR 20080015535 U KR20080015535 U KR 20080015535U KR 200444935 Y1 KR200444935 Y1 KR 2004449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ladder
ladders
fold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55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학
Original Assignee
이영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학 filed Critical 이영학
Priority to KR20200800155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49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49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493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14Ladders capable of standing by themselves
    • E06C1/16Ladders capable of standing by themselves with hinged struts which rest on the ground
    • E06C1/18Ladders capable of standing by themselves with hinged struts which rest on the ground with supporting struts formed as lad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2Ladders with a strut which is formed as a ladder and can be secured in line with the ladd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8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 E06C1/39Ladders having platforms; Ladders changeable into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02Extend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06Securing devices or hooks for parts of extensible lad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08Special construction of longitudinal members, or rungs or other treads
    • E06C7/081Rungs or other treads comprising anti-slip fea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18Devices for preventing persons from falling
    • E06C7/181Additional gripping devices, e.g. handrails
    • E06C7/182Additional gripping devices, e.g. handrails situated at the top of the lad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접철식 작업사다리에 관한 것으로, 한 쌍의 제1지주가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제1지주 사이에 복수개의 제1디딤바가 등간격으로 결합된 사다리가 한 쌍으로 마련되며, 각각의 제1지주 상단에 힌지결합시킨 지지부재를 통하여 한 쌍의 사다리가 접철되도록 이루어진 사다리부와, 상기 사다리부 사이에 결합되는 한 쌍의 발판이 사다리부의 접철동작과 연동되며 접철되도록 한 쌍의 제1지주 사이에 수평으로 결합시킨 회동바에 발판 양측 끝단을 힌지결합하고, 상기 발판 측면에 접철판이 결합되며, 상기 접철판 측면 하단을 개구시키고 개구된 바닥면에 걸림돌기가 상향으로 돌출된 연결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공간이 대향되도록 배치된 한 쌍의 발판 중앙이 접철되도록 연결하기 위해 회전범위를 제한시키는 걸림홈이 형성된 연결바를 상기 연결공간에 길이방향으로 삽입시킨 접철수단이 한 쌍의 발판 중앙하부에 마련된 작업대를 포함한 구성이다.
사다리, 작업대, 접철, 유지

Description

접철식 작업사다리{collapsible work ladder}
본 고안은 접철식 작업사다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순 동작만으로 작업대와 사다리가 동시에 접철가능하고 사다리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다리라 함은 높은 곳이나 낮은 곳을 오르내릴 때 디딜 수 있도록 만든 기구로서, 사다리를 거치하여 사용하곤 하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사다리를 높은 곳을 오르내릴 때만 사용하지 않고 사다리에 올라서서 작업을 하는 용도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그리하여, 상부에 작업용 발판이 부설된 사다리가 필요하게 되었다.
위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종래의 작업사다리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에 작업대 2가 마련되고 양측으로 사다리 1가 결합되어 작업대 2에 작업자가 올라가서 작업할 수 있으나 작업사다리의 접철시 작업대 2와 사다리 1를 각각 접철하기 때문에 접철이 까다롭고 접철상태가 쉽게 해제되어 이동 또는 보관이 용이하 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작업사다리의 높이 조절이 용이하지 못하여 다양한 높이의 작업량을 소화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대 상부면에 작업자가 올라가 작업시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해 작업대에서 낙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작업대와 사다리를 힌지결합하여 한 쌍의 사다리를 접는 단순 동작만으로 작업대가 동시에 접철가능하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다리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하여 사다리의 길이조절이 용이하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작업대의 상부면 작업공간 중 한쪽공간 일부를 폐쇄시켜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한 쌍의 제1지주가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제1지주 사이에 복수개의 제1디딤바가 등간격으로 결합된 사다리가 한 쌍으로 마련되며, 각각의 제1지주 상단에 힌지결합시킨 지지부재를 통 하여 한 쌍의 사다리가 접철되도록 이루어진 사다리부와, 상기 사다리부 사이에 결합되는 한 쌍의 발판이 사다리부의 접철동작과 연동되며 접철되도록 한 쌍의 제1지주 사이에 수평으로 결합시킨 회동바에 발판 양측 끝단을 힌지결합하고, 상기 발판 측면에 접철판이 결합되며, 상기 접철판 측면 하단을 개구시키고 개구된 바닥면에 걸림돌기가 상향으로 돌출된 연결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공간이 대향되도록 배치된 한 쌍의 발판 중앙이 접철되도록 연결하기 위해 회전범위를 제한시키는 걸림홈이 형성된 연결바를 상기 연결공간에 길이방향으로 삽입시킨 접철수단이 한 쌍의 발판 중앙하부에 마련된 작업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공간의 바닥면과 연결바의 바닥면이 접촉하고 상기 접철판이 서로 맞다게 되면 한 쌍의 발판이 수평상태가 되고, 한 쌍의 발판이 연결바를 중심으로 각각 하향 접철시 연결공간의 걸림돌기가 연결바의 걸림홈에 따라 회전하면서 삽입됨으로 인해 발판 각각의 접철각이 90도 이내로만 제한되도록 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접철수단 정면에 결합되어 연결바의 이탈을 방지하는 커버가 더 포함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사다리 하부로 슬라이딩 결합되어 한 쌍의 사다리 길이가 각각 조절되도록 하는 보조사다리가 마련되고 상기 보조사다리의 상부 양측면에 보조사다리의 위치를 유지시켜 주는 고정수단이 설치되되,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보조사다리의 측면에 배치되는 길이를 갖는 작동바의 일측에 탄성부재가 결합된 회동축이 형성되어 보조사다리에 삽입되고, 상기 작동바의 타측에는 고정축이 돌출되어 상기 사다리부의 측면에 등간격으로 관통시킨 복수개의 고정홈과 보조사 다리에 관통시킨 삽입공이 일치하게 되면 상기 고정축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으로 인해 삽입되어 사다리의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더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사다리의 양쪽 제1디딤바 내측면에 각각 지지편이 마련되고, 상기 각각의 지지편에 양끝단이 힌지결합되며 중앙이 접철되는 복수개의 지지바로 이루어진 간격유지수단이 더 포함되어, 한 쌍의 사다리의 하부끝단이 양쪽으로 벌어질 때 지지바가 연동되면서 펴지게되고 이때 지지바의 중앙이 하향으로 더 꺾임으로 인해 사다리부의 벌어진 상태를 유지시켜주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접철식 작업사다리는 한 쌍의 사다리 사이에 결합되는 한 쌍의 발판이 사다리부의 접철동작과 연동되며 접철되도록 발판 양측 끝단을 힌지결합하고, 한 쌍의 발판 중앙하부에 마련된 접철수단으로 인해, 한 쌍의 사다리를 접는 단순 동작만으로 작업대가 동시에 접철가능하도록 하여, 사다리의 접철시간이 단축되며, 보관성 및 휴대성이 향상되도록 한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고안의 접철식 작업사다리는 한 쌍의 사다리 길이가 각각 조절되도록 하는 보조사다리가 마련되고 상기 보조사다리의 상부 양측면에 보조사다리의 위치를 유지시켜 주는 고정수단이 설치되어, 사다리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길이조절이 용이하도록 하여 다양한 높이의 작업을 소화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접철식 작업사다리는 소정각을 갖으며 벌어진 한 쌍의 사다 리의 양쪽을 지지하는 간격유지수단을 결합하여, 한 쌍의 사다리의 벌어진 상태를 유지시켜주도록 하여, 외부 충격에도 사다리가 임의로 접철되지 않기 때문에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접철식 작업사다리는 사다리의 상부면을 만곡되게 연결시킨 난간으로 인해, 작업대의 상부면 작업공간 중 한쪽공간 일부를 폐쇄시켜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해 낙하를 방지하며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효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덧붙여, 본 고안의 접철식 작업사다리는 디딤바와, 작업대 상부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미끄럼 방지돌기를 형성시켜 작업자가 안전하게 사다리에 오르내릴 수 있고, 작업대 위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인 접철식 작업사다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인 접철식 작업사다리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인 접철식 작업사다리 의 작업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개략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인 접철식 작업사다리의 접철수단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접철식 작업사다리가 접철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인 접철식 작업사다리의 작업대가 접철되는 단계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인 접철식 작업사다리의 고정수단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접철식 작업사다리의 보조사다리 위치가 조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접철식 작업사다리의 구성상태를 살펴보면, 한 쌍의 사다리 110가 접철되도록 이루어진 사다리부 100와, 상기 사다리부 100 사이에 결합되어 한 쌍의 발판 210이 사다리부 100의 접철동작과 연동되며 접철되는 작업대 200로 구성한다.
이러한, 작업사다리 10의 전체 재질은 알루미늄, 티타늄 등과 같이 가볍고 강도에 강한 재질이 적합하나 이러한 재질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본 고안에 따른 접철식 작업사다리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다리부 100는 한 쌍의 사다리 110와 지지부재 12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사다리 110는 한 쌍의 제1지주 111가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제1지주 111 사이에 복수개의 제1디딤바 113가 등간격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져 있다.
더불어, 제1디딤바 113의 단면형상은 "
Figure 112008080555083-utm00001
"인 마름모꼴 형상으로, 한 쌍 의 사다리 110가 소정의 각을 갖으며 펴질때 펴지는 바닥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설치 될 수 있다.
또한, 제1디딤바 113 상부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미끄럼 방지돌기 400를 형성시켜 작업자가 안전하게 사다리에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사다리 110는 한 쌍을 이루며 대향되게 마련된다.
여기서, 한 쌍의 사다리 110 각각의 제1지주 111 상단에 지지부재 120를 결합시킨다.
특히, 지지부재 120은 하부가 개구된 형상으로 그 개구된 하부에 한 쌍의 사다리 110를 힌지결합한다.
즉, 각각의 제1지주 111 상단에 힌지결합시킨 지지부재 120를 통하여 한 쌍의 사다리 110가 접철되도록 한다.
이처럼, 하부가 개구된 지지부재 120에 힌지 결합된 한 쌍의 사다리 110는 좌우로 최대한 폈을 경우에도 180도를 넘어가지 않는다.
덧붙여, 지지부재 120에 결합되는 사다리 110중 한쪽의 사다리 110는 고정되게 결합하고 다른 한쪽 사다리 110만 회동되도록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한 쌍의 사다리 110의 내측에는 소정각을 갖으며 벌어진 한 쌍의 사다리 110의 양쪽을 지지하는 간격유지수단 300을 결합하였다.
상기, 간격유지수단 300은 한 쌍의 사다리 110의 양쪽 제1디딤바 113 내측면에 각각 결합된 지지편 301과, 상기 지지편 301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제1지지바 303a과 제2지지바 303b로 이루어진 지지바 303가 상호 힌지 결합된 구성이다.
여기서, 지지편 301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부가 개구되게 절곡시킨 형상의 제1지지바 303a와 제2지지바 303b의 끝단을 한 쌍의 지지바 303 사이에 삽입시켜 힌지 결합하고, 타측 끝단을 상호 힌지 결합시켜 중앙이 접철되도록 하였다.
특히, 한 쌍의 사다리 110를 접철하면 지지바 303의 연동되며 중앙이 접철되게 되는데, 이때 제1지지바 303a의 사이에 제2지지바 303b가 겹쳐지며 삽입된다.
또한, 한 쌍의 사다리 110를 폈을 경우 사다리 110가 벌어지는 길이보다 지지바 303의 총 길이가 길기 때문에 지지바 303의 중앙이 상향으로 조금 꺾인 상태가 된다.
이때, 지지바 303의 중앙 상부를 하향으로 누르게 되면 지지바 303의 중앙이 하향으로 더 꺾임으로 인해 사다리부 100의 벌어진 상태를 유지시켜준다.
이처럼, 한 쌍의 사다리 110 사이에 결합된 간격유지수단 300으로 인해, 한 쌍의 사다리 110가 벌어진 상태를 유지시켜주도록 하여, 외부 충격에도 사다리 110가 임의로 접철되지 않기 때문에 안정성이 향상된다.
한편, 사다리 110 하부로 슬라이딩 결합되어 한 쌍의 사다리 110 길이가 각각 조절되도록 하는 보조사다리 130가 마련된다.
여기서, 보조사다리 130는 한쪽면이 개구된 제2지주 130a를 대향되게 배치시키고, 상기 제2지주 130a 상부면에 한쪽면이 개구된 복수개의 고정편 130c을 등간격으로 배치하여, 한 쌍의 제2지주 간격을 유지시키는 복수개의 제2디딤바 130b를 고정편 130c 사이에 결합시켜 이루어진다.
즉, 사다리 110의 제1지주 111가 보조사다리 130의 내측으로 개구된 공간에삽입되어 슬라이딩 되어 사다리 110의 길이를 조절하게 된다.
이때, 상하 슬라이딩 되는 보조사다리 130의 위치를 유지시키기 위해 보조사다리 130의 상부 양측면에 고정수단 140이 설치된다.
이러한, 고정수단 140은 작동바 141, 회동축 143, 탄성부재 145, 고정축 147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작동바 141의 일측에 회동축 143이 결합되고, 타측에는 고정축 147이 돌출된다.
특히, 회동축 143은 탄성부재 145가 걸림고정되어 보조사다리 130의 설치된 고정편 130c 최상측면을 관통하며 제2디딤바 130b에 삽입되어 회동축 143을 기준으로 작동바 141가 회전하게 된다.
또한, 고정축 147은 사다리부 100의 측면에 등간격으로 관통시킨 복수개의 고정홈 149과 보조사다리 130에 관통시킨 삽입공 131에 연통되게 삽입된다.
즉, 작동바 141를 보조사다리 130의 외측면으로 당기게 되면 삽입공 131과 고정홈 149에 삽입되어 있던 고정축 147이 이탈하게 된다. 이때 보조사다리 130의 위치를 자유롭게 상하로 이동하여 위치를 조절한다.
그리고, 삽입공 131과 고정홈 149의 위치가 일치하게 되면 탄성부재 145의 탄성력으로 인해 고정축 147이 삽입공 131과 고정홈 149에 삽입되어 보조사다리 130의 위치가 유지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고정수단 140으로 인해 사다리 110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조작이 용이하고 다양한 높이의 작업을 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고정수단 140으로 인해 양측의 사다리 110 길이를 각각 조절가능하여 바닥이 경사를 이루더라도 수평상태의 작업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접철가능한 사다리부 100 사이에 작업대 200가 결합된다.
여기서, 작업대 200는 한 쌍의 발판 210과, 상기 한 쌍의 발판 210 중앙 하부가 접철되도록 연결시키는 접철수단 230으로 구성된다.
상기, 발판 210은 두께를 갖는 직사각형상으로 상면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미끄럼 방지돌기 400가 형성되어, 작업자가 발판 210 위에 올라서서 작업시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해 작업대 위해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낙하를 방지하며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효율이 증대되게 된다.
이와 같은, 한 쌍의 발판 210은 사다리부 100의 접철동작과 연동되며 접철되도록 한 쌍의 제1지주 111 사이에 수평으로 결합시킨 회동바 220에 발판 210 양측 끝단을 힌지결합하고, 한 쌍의 발판 210 중앙 하부에 접철수단 230을 마련한다.
여기서, 회동바 220는 제1지주 111 사이에 수평으로 배치한 후 제1지주 111의 외측에 나사로 결합시킨다.
또한, 발판 21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회동편 211이 회동바 220에 힌지결합된다.
이러한, 접철수단 230은, 접철판 231과, 상기 접철판 231 측면 하단에 형성된 연결공간 233과, 상기 연결공간 233이 대향되도록 배치된 한 쌍의 발판 210 중앙이 접철되도록 연결하는 연결바 237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접철판 231은 발판 210의 측면을 감싸며 결합되는 "
Figure 112008080555083-utm00002
" 형상으로 접철판 231의 측면 하단을 개구시키고 개구된 바닥면에 걸림돌기 235가 상향으로 돌출된 연결공간 23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공간 233이 대향되도록 한 쌍의 발판 210을 배치하여 한 쌍의 발판 210 중앙 하부가 접철되도록 연결공간 233에 길이방향으로 "
Figure 112008080555083-utm00003
"형상의 연결바 237를 삽입시킨다.
여기서, 연결바 237는 한 쌍의 발판 210 중앙이 하향으로 접철시 회전범위를 제한시키는 걸림홈 239이 형성된다.
즉, 상기 연결공간 233의 바닥면과 연결바 237의 바닥면이 접촉하고 상기 접철판 231이 서로 맞다게 되면 한 쌍의 발판 210이 수평상태가 되고, 한 쌍의 발판 210이 연결바 237를 중심으로 각각 하향 접철시 연결공간 233의 걸림돌기 235가 연결바 237의 걸림홈 239에 따라 회전하면서 삽입됨으로 인해 각각의 발판 210의 접철각이 90도 이내로만 제한된다.
특히, 연결공간 233에 삽입된 연결바 237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접철수단 230 정면에 배치되는 커버 240를 나사로 결합한다.
이와 같이, 한 쌍의 사다리 110를 접는 단순 동작만으로 작업대 200가 동시에 접철가능하도록 하여, 사다리 100의 접철시간이 단축되며, 보관성 및 휴대성이 향상되도록 하였다.
한편, 작업대 200의 상부면 한쪽이 폐쇄되도록 한쌍의 지지부재 120의 측면 을 상호 연결시킨 난간 121이 마련된다.
이러한, 난간 121은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해 낙하를 방지하며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효율이 증대되게 된다.
여기서, 난간 121의 형상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나, 바람직한 예로는 작업자의 작업효율을 높여주기 위해 만곡된 형상을 갖는다.
한편, 사다리부 100의 제1지주 111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제1손잡이 111a가 양측에 형성되고, 반대편 사다리의 제1지주 111 사이를 가로로 연결하는 제2손잡이가 111b를 형성시켜 안전하게 사다리 110를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인 접철식 작업사다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접철식 작업사다리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인 접철식 작업사다리의 작업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개략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인 접철식 작업사다리의 접철수단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접철식 작업사다리가 접철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인 접철식 작업사다리의 작업대가 접철되는 단계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인 접철식 작업사다리의 고정수단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접철식 작업사다리의 보조사다리 위치가 조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9는 종래의 작업사다리를 나타낸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작업사다리
100 : 사다리부 110 : 사다리
111 : 제1지주 113 : 제1디딤바
120 : 지지부재 130 : 보조사다리
131 : 삽입공 140 : 고정수단
141 : 작동바 143 : 회동축
145 : 탄성부재 147 : 고정축
149 : 고정홈 200 : 작업대
210 : 발판 220 : 회동바
230 : 접철수단 231 : 접철판
233 : 연결공간 235 : 걸림돌기
237 : 연결바 239 : 걸림홈
240 : 커버 300 : 간격유지수단
301 : 지지편 303 : 지지바
400 : 미끄럼 방지돌기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한 쌍의 제1지주가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제1지주 사이에 복수개의 제1디딤바가 등간격으로 결합된 사다리가 한 쌍으로 마련되며, 각각의 제1지주 상단에 힌지결합시킨 지지부재를 통하여 한 쌍의 사다리가 접철되도록 이루어진 사다리부와, 상기 사다리부 사이에 결합되는 한 쌍의 발판이 사다리부의 접철동작과 연동되며 접철되도록 한 쌍의 제1지주 사이에 힌지결합된 발판 측면에 접철판이 결합되며, 상기 접철판에 연결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공간이 대향되도록 배치된 한 쌍의 발판 중앙이 접철되도록 상기 연결공간에 길이방향으로 연결바를 삽입시킨 작업대와, 상기 사다리 하부로 슬라이딩 결합되어 한 쌍의 사다리 길이가 각각 조절되도록 하는 보조사다리가 마련되고 상기 보조사다리의 상부 양측면에 보조사다리의 위치를 유지시켜 주는 고정수단이 포함된 사다리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의 상부면 한쪽이 폐쇄되도록 한 쌍의 지지부재 측면을 상호 연결시킨 난간과,
    상기 제1지주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제1손잡이가 양측에 형성되고, 반대편 사다리의 제1지주 사이를 가로로 연결하는 제2손잡이와,
    상기 한 쌍의 사다리 양쪽 제1디딤바 내측면에 각각 지지편이 마련되고, 상기 각각의 지지편에 양끝단이 힌지결합되며 중앙이 접철되는 복수개의 지지바로 이루어진 간격유지수단이 더 포함되어,
    한 쌍의 사다리의 하부끝단이 양쪽으로 벌어질 때 지지바가 연동되면서 펴지게되고 사다리가 벌어지는 길이보다 지지바의 총 길이가 길기 때문에 지지바의 중앙이 상향으로 조금 꺾인 상태가 되는데 이때 지지바의 중앙 상부를 하향으로 누르게 되면 지지바의 중앙이 하향으로 더 꺾임으로 인해 사다리부의 벌어진 상태를 유지시켜주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작업사다리.
KR2020080015535U 2008-11-21 2008-11-21 접철식 작업사다리 KR2004449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5535U KR200444935Y1 (ko) 2008-11-21 2008-11-21 접철식 작업사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5535U KR200444935Y1 (ko) 2008-11-21 2008-11-21 접철식 작업사다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4935Y1 true KR200444935Y1 (ko) 2009-06-17

Family

ID=41349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5535U KR200444935Y1 (ko) 2008-11-21 2008-11-21 접철식 작업사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4935Y1 (ko)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181Y1 (ko) 2011-04-06 2013-04-03 김만섭 탈착식 난간의 결합부재
KR200466182Y1 (ko) 2011-04-06 2013-04-03 김만섭 탈착식 난간 및 탈착식 난간이 설치된 작업대
KR200480180Y1 (ko) 2014-10-22 2016-04-20 임종덕 에이형 사다리
KR20160003428U (ko) * 2015-03-27 2016-10-06 임한솔 절첩식 사다리
JP2019019643A (ja) * 2017-07-21 2019-02-07 ジー・オー・ピー株式会社 作業台
KR102070103B1 (ko) 2018-07-25 2020-01-28 임대우 자주 구동식 작업대
KR20200048121A (ko) 2018-10-29 2020-05-08 임대우 수직 승강식 작업대
KR20200001152U (ko) * 2018-11-26 2020-06-03 황태호 에이형 사다리의 높이 조절 구조
KR102180099B1 (ko) 2019-05-09 2020-11-18 (주)태경산업 작업용 사다리
KR20210015011A (ko) 2019-07-31 2021-02-10 (주)헤드라인 사다리
KR20210089401A (ko) * 2020-01-08 2021-07-16 안예원 계단형 작업대
KR102280085B1 (ko) 2020-10-06 2021-07-21 양동규 접이식 작업용 사다리
KR102328145B1 (ko) 2020-05-15 2021-11-17 안춘자 사다리 이동용 롤러장치
KR20210154668A (ko) 2020-06-12 2021-12-21 안춘자 사다리형 작업대의 접철식 안전 난간대
KR20220104990A (ko) 2021-01-19 2022-07-26 임대우 구동식 사다리 작업대
KR20220104989A (ko) 2021-01-19 2022-07-26 임대우 구동식 시저스 작업대
KR20230009807A (ko) * 2021-07-09 2023-01-17 이동규 수영장용 사다리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181Y1 (ko) 2011-04-06 2013-04-03 김만섭 탈착식 난간의 결합부재
KR200466182Y1 (ko) 2011-04-06 2013-04-03 김만섭 탈착식 난간 및 탈착식 난간이 설치된 작업대
KR200480180Y1 (ko) 2014-10-22 2016-04-20 임종덕 에이형 사다리
KR20160003428U (ko) * 2015-03-27 2016-10-06 임한솔 절첩식 사다리
KR200482937Y1 (ko) * 2015-03-27 2017-03-20 임한솔 절첩식 사다리
JP2019019643A (ja) * 2017-07-21 2019-02-07 ジー・オー・ピー株式会社 作業台
KR102070103B1 (ko) 2018-07-25 2020-01-28 임대우 자주 구동식 작업대
KR20200048121A (ko) 2018-10-29 2020-05-08 임대우 수직 승강식 작업대
KR20200001152U (ko) * 2018-11-26 2020-06-03 황태호 에이형 사다리의 높이 조절 구조
KR200492277Y1 (ko) * 2018-11-26 2020-09-09 황태호 에이형 사다리의 높이 조절 구조
KR102180099B1 (ko) 2019-05-09 2020-11-18 (주)태경산업 작업용 사다리
KR20210015011A (ko) 2019-07-31 2021-02-10 (주)헤드라인 사다리
KR20210089401A (ko) * 2020-01-08 2021-07-16 안예원 계단형 작업대
KR102311771B1 (ko) * 2020-01-08 2021-10-08 안예원 계단형 작업대
KR102328145B1 (ko) 2020-05-15 2021-11-17 안춘자 사다리 이동용 롤러장치
KR20210154668A (ko) 2020-06-12 2021-12-21 안춘자 사다리형 작업대의 접철식 안전 난간대
KR102280085B1 (ko) 2020-10-06 2021-07-21 양동규 접이식 작업용 사다리
KR20220104990A (ko) 2021-01-19 2022-07-26 임대우 구동식 사다리 작업대
KR20220104989A (ko) 2021-01-19 2022-07-26 임대우 구동식 시저스 작업대
KR20230009807A (ko) * 2021-07-09 2023-01-17 이동규 수영장용 사다리
KR102619308B1 (ko) * 2021-07-09 2023-12-29 이동규 수영장용 사다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4935Y1 (ko) 접철식 작업사다리
US8186480B1 (en) Modular scaffold ladder and associated method
JP2008528834A (ja) 折畳み式組合せ梯子
KR100665502B1 (ko) 다기능의 사다리
US9765570B2 (en) Brace for step ladder
WO2007132148A2 (en) Scaffolding
KR101299565B1 (ko) 작업대의 원터치형 다리 절첩장치
KR200480180Y1 (ko) 에이형 사다리
WO2014132281A1 (en) Folding scaffold with built in ladder
KR20170035530A (ko) 접이식 발판사다리
KR200478605Y1 (ko) 접이식 작업대
GB2437735A (en) Collapsible, portable, free-standing scaffold
JP2007321350A (ja) 可搬式作業台および手摺部材
KR20100021718A (ko) 접이식 작업발판
KR101929760B1 (ko) 절첩형 사다리
KR200429498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작업대
JP3148886B2 (ja) 作業足場台
GB2437737A (en) Collapsible, portable, free-standing scaffold
KR200412243Y1 (ko) 사다리
KR100937838B1 (ko) 절첩 가능한 계단식 사다리
JP2007186974A (ja) 折畳み式脚立
JP5519320B2 (ja) 手摺付作業台
KR20210015011A (ko) 사다리
KR100610763B1 (ko) 사다리 겸용 탁자
KR20060110136A (ko) 사다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