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277Y1 - 에이형 사다리의 높이 조절 구조 - Google Patents

에이형 사다리의 높이 조절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277Y1
KR200492277Y1 KR2020180005442U KR20180005442U KR200492277Y1 KR 200492277 Y1 KR200492277 Y1 KR 200492277Y1 KR 2020180005442 U KR2020180005442 U KR 2020180005442U KR 20180005442 U KR20180005442 U KR 20180005442U KR 200492277 Y1 KR200492277 Y1 KR 2004922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ole
hinge
ladder
hinge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54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1152U (ko
Inventor
황성규
황태호
Original Assignee
황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태호 filed Critical 황태호
Priority to KR20201800054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277Y1/ko
Publication of KR202000011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1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2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27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50Joints or other connec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14Ladders capable of standing by themselves
    • E06C1/16Ladders capable of standing by themselves with hinged struts which rest on the ground
    • E06C1/18Ladders capable of standing by themselves with hinged struts which rest on the ground with supporting struts formed as lad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14Ladders capable of standing by themselves
    • E06C1/24Non-hinged free-standing ladders
    • E06C1/28Non-hinged free-standing ladders multi-par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18Devices for preventing persons from falling
    • E06C7/188Accessories for temporary stabilising a ladder, e.g. temporary attach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다리 지지대의 상단 중턱에 편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 발판(200)의 하부에 제1힌지부 회동 연결편(612)에 결합되는 제1힌지부(610)와 일단에 제2힌지부 회동 연결편(622)에 결합되는 제2힌지부(620)로 형성되고, 상기 발판(200)의 일측 하부에는 제1지지대의 중간 받침대(117)가 끼워져 회동되는 발판회동연결편(624)를 구비하는 힌지부재(600)로 형성되고, 제1힌지부 결합부(212)는 힌지부재(600)의 제1힌지부 회동 연결편(612)에 끼워지고, 상기 제2힌지부 회동 연결편(622)은 중간 연결바(127)에 끼워져 형성되며, 상기 제2힌지부(620)은 제1힌지부(610)에 끼워진 후, ㄱ자형 고정부재(700)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ㄱ자형 고정부재(700)는 고정볼트(710)에서 조절 손잡이(710a)를 분리한 후, 탄성부재(713)와 함께 길이조절 고정부재(711)에 끼우고, 이후 조절 손잡이(710a)가 결합되는 에이형 사다리의 높이 조절 구조이다.

Description

에이형 사다리의 높이 조절 구조{A type ladder with height controllable device}
본 고안은 에이형 사다리의 높이 조절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사다리를 사용시에 작업 높이(사다리 폭)에 알맞도록 사다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정 수단을 구비하는 에이형 사다리의 높이 조절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고안인 에이형 사다리는 등록실용신안 20-0480180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도 1, 2에서 세로지지대(11)와 세로지지대(11)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가로바(12)가 설치되어있는 주사다리(10)와; 보조세로지지대(21)와 보조세로지지대(21)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보조가로바(22)가 설치되어있는 보조사다리(20)와; 상기 보조사다리(20)의 보조세로지지대(21)와 주사다리(10)의 세로지지대(11)가 절첩 가능하게 힌지(H) 결합되는 연결브라켓트(30)와; 상기 연결브라켓트(30)에 의해 결합된 보조사다리(20)와 주사다리(10)의 절첩상태에 따라 절첩이 이루어지도록 연결브라켓트(30)에 힌지(H) 결합되는 가드레일(4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브라켓트(30)에 힌지(H) 결합된 가드레일(40)의 절첩상태에 따라 승하강이 이루어지도록 상단부가 힌지(H) 결합되는 핸드레일(50)과; 상기 핸드레일(50)의 승하강 상태에 따라 발판(60)이 절첩되도록 일측 및 타측단부에 각각 핸드레일(50) 하단부가 힌지(H) 결합되고 발판(60)의 전면 선단부가 고정되게 결합되는 컨넥터(70)와; 상기 컨넥터(70)에 의해 핸드레일(50)과 연결된 발판(60)이 수평상태까지만 펼쳐지도록 세로지지대(11)와 보조세로지지대(21)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레더(80)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가드레일(40)은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전면가드레일(41)과 후면가드레일(42)로 분할되어 형성되고, 상기 전면가드레일(41)은 후면가드레일(42)에 힌지(H)를 중심으로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후면가드레일(42)의 후부에는 전면가드레일(41)이 힌지(H)를 중심으로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전면가드레일거치대(43a)가 형성되어 있는 공구함(43)이 고정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인 에이형 사다리는 세로지지대(11)와 세로지지대(11)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가로바(12)가 설치되어있는 주사다리(10)와 보조세로지지대(21)와 보조세로지지대(21)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보조가로바(22)가 설치되어있는 보조사다리(20)의 상부가 절첩 가능하게 연결브라켓트(30)에 힌지(H) 결합되고, 상기 힌지(H)에는 보조사다리(20)와 주사다리(10)의 절첩상태에 따라 절첩이 이루어지도록 가드레일(40)이 결합 된다.
이때, 상기 가드레일(40)의 전면가드레일(41)은 후면가드레일(42)에 힌지(H)를 중심으로 절첩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가 후면가드레일(42)의 후부에는 전면가드레일(41)이 힌지(H)를 중심으로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전면가드레일거치대(43a)가 형성되어 있는 공구함(43)이 고정되게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전면가드레일이 작업시 힌지를 통하여 위치를 고정시켜주는 명확한 구조적 사항이 나타나지 않고 있기 때문에, 단순 힌지를 통하여 고정시킬 경우에는 항상 처짐현상이 일어나 안전 사고의 위험이 내재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발판이 다른 부재와 연동되어 있으므로, 어느 하나가 작동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모든 구조가 작동이 되지 않기 때문에, 접었을 경우에도 완전하게 나란히 접히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발판의 위치를 변경하고 싶더라도 고정되어 있으므로 발판의 위치를 변경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핸드레일이 연동되어 가드레일을 항시 공구함 등의 위치에 고정시켜, 사다리를 접을 경우에는 뚜껑이 열려 있는 공구함의경우에는 공구 등이 쏟아져 버리는 경우가 허다하였다.
또한, 사다리를 펼칠 경우에 스프레드의 길이가 고정되어 있고, 양측 사이드에서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일정한 높이만으로는 가능하나 작업 위치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시에는 발판의 위치에서 작업하게 되어 있으나, 이들의 위치도 고정되어 있으므로, 벽면에 가까이 가거나 멀어져 작업할 경우에는 조절이 되지 않아 상당한 불편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전면가드레일이 작업시 힌지를 통하여 위치를 고정시켜주는 명확한 구조적 사항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발판이 다른 부재와 독립시켜, 어느 하나가 작동이 불가능할 경우에도 각각의 구조는 작동이 되도록 하여 접었을 경우에 완전하게 나란히 접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발판의 위치를 변경하고 싶을 경우에는 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창한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사다리를 펼칠 경우에 스프레드의 길이를 가변적으로 하여 사다리의 높이를 원하는 길이만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작업시 발판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벽면에 가까이 가거나 멀어져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어서, 에이형 사다리를 이용해 작업을 수행시 작업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지게 됨은 물론, 발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작업자가 균형을 잃고 추락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에이형 사다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은 제1지지대(110)와 제2지지대(120)로 구성된 지지대(100)로 형성된 에이형 사다리의 높이조절 가이드 구조에 있어서, 사다리 지지대의 상단 중턱에 편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 발판(200)의 하부에 제1힌지부 회동 연결편(612)에 결합되는 제1힌지부(610)와 일단에 제2힌지부 회동 연결편(622)에 결합되는 제2힌지부(620)로 형성되고, 상기 발판(200)의 일측 하부에는 제1지지대의 중간 받침대(117)가 끼워져 회동되는 발판회동연결편(624)를 구비하는 힌지부재(600)로 형성되고, 제1힌지부 결합부(212)는 힌지부재(600)의 제1힌지부 회동 연결편(612)에 끼워지고, 상기 제2힌지부 회동 연결편(622)은 중간 연결바(127)에 끼워져 형성되며, 상기 제2힌지부(620)은 제1힌지부(610)에 끼워진 후, ㄱ자형 고정부재(700)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ㄱ자형 고정부재(700)는 고정볼트(710)에서 조절 손잡이(710a)를 분리한 후, 탄성부재(713)와 함께 길이조절 고정부재(711)에 끼우고, 이후 조절 손잡이(710a)가 결합하여 형성되며, 상기 길이조절 고정부재(711)를 용접으로 상기 제1힌지부(610)와 연결하고, 상기 고정볼트(710)의 끼움부(710c)가 제1힌지부(610)의 통공(611)과 제2힌지부(620)의 통공(621)에 끼워짐에 따라 ㄱ자형 고정부재(700)와 제1힌지부(610) 및 제2힌지부(620)가 연결되며, 중앙에 통공(311a)이 형성된 제1보강대 돌출부(311)와 중앙에 통공(318a)이 형성되고 일단에 위치한 보강대 연결부(318), 타단에 형성된 다수개의 통공(315)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지지대(110)의 가로바(111)와 연결되는 제1보강대(310), 일단에 중앙에 통공(328a)을 구비하는 보강대 연결부(328)와 타단에 형성된 다수개의 통공(325)로 구성되고 상기 제2지지대(110)의 가로바(121)와 연결되는 제2보강대(320), 탄성부재(333)를 구비하고 볼트머리가 분리되는 “U”자 형태의 볼트이며 상기 제1보강대(310)와 제2보강대(320)를 연결 결합하는 U자형 고정수단(330)으로 구성되는 사다리 보강대(300); 상기 U자형 고정수단(330)의 타단부를 상기 제1보강대(310)의 제1보강대 돌출부(311)의 통공(311a)에 끼운 후, 탄성부재(333)를 끼우고 나사 머리가 결합하여 설치되며, 상기 U자형 고정수단(330)의 머리 부분을 누르면, 상기 탄성부재(333)이 압축되면서 상기 제1보강대(310)의 통공(315)과 제2보강대(320)의 통공(325)에 끼워졌던 상기 U자형 고정수단(330)의 일단부가 빠져, 상기 사다리 보강대(300)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형 사다리의 높이 조절 구조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대(110)와 제2지지대(120)의 상부에는 중앙에 통공(112c)이 형성되고 일정한 간격을 띄우고 서로 바라보는 형태로 2개 형성된 지지대 연결부재 결합부(112b)와 메인 바디에 다수개의 통공(112a)을 구비하는, 가운데 부분이 뚫려 있는 구조의 지지대 연결부재(112)와, 중앙에 통공(122c)이 형성된 지지대 연결부재 결합부(122b)와 메인 바디에 다수개의 통공(122a)을 구비하는, 중앙에 뚫려 있는 구조의 지지대 연결부재(122)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형 사다리의 높이 조절 구조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면가드레일이 작업시 측면 힌지 고정장치를 통하여 위치를 고정시켜주는 흔들리지 않는 안전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발판이 다른 부재와 독립시켜, 어느 하나가 작동이 불가능할 경우에도 각각의 구조는 작동이 되도록 하여 접었을 경우에 완전하게 나란히 접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발판의 위치를 변경하고 싶을 경우에는 이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 수단을 제공하여 안전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다리를 펼칠 경우에 스프레드의 길이를 가변적으로 하여 사다리의 높이를 원하는 길이만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시 발판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벽면에 가까이 가거나 멀어져 작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어서, 에이형 사다리를 이용해 작업을 수행시 작업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지게 됨은 물론, 발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가 균형을 잃고 추락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고안의 에이형 사다리가 펼쳐진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2는 종래 고안의 에이형 사다리가 절첩되는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다리의 안전가이드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사다리의 안전가이드 접을 때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사다리 상부측 안전가이드의 사용시 부품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사다리 상부측 안전가이드의 접을시 부품 분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사다리의 안전가이드 위치 고정구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사다리의 접었을 때의 발판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로서 지지대 연결용 힌지 부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로서 지지대 연결용 힌지 부분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로서 지지대 연결용 힌지 부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로서 지지대 연결용 힌지 부분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사다리 발판의 고정 힌지수단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고안의 사다리 발판의 고정 힌지수단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고안의 사다리 보강대가 일측 지지대에 연결된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고안의 사다리 보강대가 타측 지지대에 연결된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고안의 사다리 보강대를 조절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고안의 사다리 보강대를 조절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의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거나 생략될 수 있으며, 도면에 병기된 도면부호에 따라 부여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사다리의 안전가이드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사다리의 안전가이드 접을 때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사다리 상부측 안전가이드의 사용시 부품 분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사다리 상부측 안전가이드의 접을시 부품 분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사다리의 안전가이드 위치 고정구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의 사다리의 접었을 때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3과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사다리의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지지대(100)와 발판(200), 사다리 보강대(300), 안전가이드(4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대(100)는 사다리의 일부를 구성하며 지면에 지지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대(100)는 마주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가로바(111)가 설치된 제1지지대(110)와, 가로바(121)를 구비하고 상기 제1지지대(110)와 맞서도록 설치되어 지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 제2지지대(1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지지대(110)은 상부 제1지지대(110a)와 하부 제1지지대(110b), 가로바(111), 밀착판(119)로 구성되고, 상기 제2지지대(120)은 상부 제2지지대(120a)와 하부 제2지지대(120b), 가로바(121), 밀착판(129)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 제1지지대(110a)는 상부 일측에 중심통공(113)과 고정통공(115)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제2지지대(120a)는 상부 일측에 중심통공(123)과 고정통공(125)를 구비한다.
상기 하부 제1지지대(110b)와 하부 제2지지대(120b)는 ‘ㄷ’자 형태로 내부에 상기 상부 제1지지대(110a)와 상부 제2지지대(120a)가 끼움결합할 수 있도록 공간을 구비하고 있고, 하부에 밀착판(119)과 밀착판(129)을 부착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사다리 보강대(300)과 연결된다.
상기 밀착판(119)과 밀착판(129)은 상기 하부 제1지지대(110b)와 하부 제2지지대(120b)의 하부에 부착 형성되며, 지면에 지지된 사다리의 유동방지를 더욱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로바(111)와 가로바(121)는 작업자가 오르내릴 수 있도록 지지하는 계단의 역할을 한다.
상기 제1지지대(110)의 상부 및 상기 가로바(111)들의 사이에는 중간 받침대(117)이 위치한다.
상기 중간 받침대(117)는 발판회동연결편(624)에 의하여 발판을 회동시키거나, 발판(200)을 받쳐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지지대(120)의 상부 및 상기 가로바(121)들의 사이에는 중간 연결바(127)이 위치한다.
상기 중간 받침대(117)는 힌지부재(600)와 연결되며, 발판(200)을 받쳐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지지대(110)와 제2지지대(120)를 연결하는 구성요소로 지지대 연결부재(112)와 지지대 연결부재(122)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대 연결부재(112)는 중앙에 뚫려 있는 구조로, 일측에 돌출되어 있는 지지대 연결부재 결합부(112b)와 메인 바디에 다수개의 통공(112a)을 구비한다.
앞서 설명한 뚫려있는 곳에 상기 상부 제1지지대(110a)가 끼움 결합되고,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사다리 높이 조절 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 연결부재 결합부(112b)는 중앙에 통공(112c)을 구비하고, 일정한 간격을 띄우고 서로 바라보는 형태로 2개를 구비하여 볼트로 체결된다.
상기 다수개의 가로바(111) 중 하부에 형성된 가로바(111)는 중앙부분에 일정한 간격을 띄우고 형성된 보강대 연결부(118)를 구비한다.
상기 보강대 연결부(118)는 중앙에 통공(118a)을 구비한다.
상기 지지대 연결부재(122)는 중앙에 뚫려 있는 구조로, 일측에 돌출되어 있는 지지대 연결부재 결합부(122b)와 메인 바디에 다수개의 통공(122a)을 구비한다.
앞서 설명한 뚫려있는 곳에 상기 상부 제2지지대(120a)가 끼움 결합되고,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사다리 높이 조절 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 연결부재 결합부(122b)는 중앙에 통공(122c)을 구비한다.
상기 다수개의 가로바(111) 중 하부에 형성된 가로바(121)는 중앙부분에 일정한 간격을 띄우고 형성된 보강대 연결부(128)를 구비한다.
상기 보강대 연결부(128)는 중앙에 통공(128a)을 구비한다.
미설명 부호 112a, 122a는 지지대와 볼트로 체결되는 체결공이다.
상기 발판(200)은 작업자의 작업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편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며, 뒷면에 제1힌지부 결합부(212)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1지지대(110)와 제2지지대(120) 사이에 걸쳐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발판(200)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하여 발판(200)의 상면에 돌기와 같은 미끄럼 방지수단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힌지부 결합부(212)는 힌지부재(600)의 제1힌지부 회동 연결편(612)이 끼워진다.
그리고, 발판(200)의 제1힌지부 결합부(212)의 일측에는 중간 받침대(117)에 발판(200)이 발판회동연결편(624)에 의하여 고정되거나 회동이 가능하돌고 되어 있다.
상기 사다리 보강대(300)는 상기 제1지지대(110)의 가로바(111)와 연결되는 제1보강대(310)와 상기 제2지지대(110)의 가로바(121)와 연결되는 제2보강대(320), 상기 제1보강대(310)와 제2보강대(320)를 연결 결합하는 U자형 고정수단(3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보강대(310)는 일단에 제1보강대 돌출부(311)와 보강대 연결부(318), 타단에 다수개의 통공(315)을 구비한다.
상기 제1보강대 돌출부(311)는 중앙에 통공(311a)을 구비한다.
상기 보강대 연결부(318)는 중앙에 통공(318a)을 구비한다.
상기 제2보강대(320)는 일단에 보강대 연결부(328)와 타단에 다수개의 통공(325)을 구비한다.
상기 보강대 연결부(328)는 중앙에 통공(328a)을 구비한다.
상기 제1보강대(310)는 제2보강대(320)를 내부에 수용할 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제2보강대(320)의 조절을 통해 사다리 보강대(3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U자형 고정수단(330)은 탄성부재(333)를 구비하고, 볼트머리가 분리되는 “U”자 형태의 볼트이다.
상기 안전가이드(400)는 'ㄷ'자 형태로 제1안전가이드(410)와 제2안전가이드(420)로 구성되고, 상기 제1지지대(110)와 제2지지대(120)의 상부에 고정부재(500)와의 결합에 의해 설치되어, 상기 발판(200)에 서있는 작업자에게 안전한 작업 환경을 제공한다.
상기 제1안전가이드(410)는 ‘ㄷ’자의 양 끝부분에 연결부재(411)를 구비한다.
상기 연결부재(411)는 중심통공(413)과 고정통공(415)을 구비한다.
상기 중심통공(413)은 상기 고정통공(415)의 위쪽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제1지지대(110a)의 중심통공(113)과 함께 볼트(417)가 끼워진다.
상기 고정통공(415)은 상기 중심통공(413)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고정부재(500)의 고정통공(515)과 함께 고정볼트(517)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제2안전가이드(420)는 ‘ㄷ’자의 양 끝부분에 연결부재(421)를 구비한다.
상기 연결부재(421)는 중심통공(423)과 고정통공(425)을 구비한다.
상기 중심통공(423)은 상기 고정통공(425)의 위쪽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제2지지대(120a)의 중심통공(123)과 함께 볼트(427)가 끼워진다.
상기 고정통공(425)은 상기 중심통공(423)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고정부재(500)의 고정통공(515)과 함께 상기 고정볼트(517)가 끼워진다.
상기 고정부재(500)는 고정볼트 가이드(511)와 탄성부재(513), 고정볼트(517)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볼트 가이드(511)는 중앙에 고정통공(515)을 구비하고 상기 탄성부재(513)가 수용되며, 상기 고정통공(515)을 통해 상기 고정볼트(517)가 끼워진다.
상기 고정볼트(517)는 분리 가능한 고정볼트 머리(517a)와 중앙에 위치하는 스토퍼(517b), 하부에 위치하는 끼움부(517c)로 구성된다.
도 5, 6,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 5는 본 고안의 사다리 상부측 안전가이드의 사용시 부품 분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사다리 상부측 안전가이드의 접을시 부품 분해도, 도 7은 본 고안의 사다리의 안전가이드 위치 고정구 단면도이다.
볼트(417)는 상기 제1안전가이드(410)의 상부 제1지지대(110a)의 중심통공(113)과 연결부재(411)의 중심통공(413)에 끼워져 제1안전가이드(410)와 상부 제1지지대(110a)를 연결하고, 회전이 가능한 중심축의 기능을 한다.
또한 고정볼트(517)는 상기 제1안전가이드(410)의 상부 제1지지대(110a)의 고정통공(115)과 연결부재(411)의 고정통공(415), 고정볼트가이드(511)의 고정통공(515)에 끼워져 상기 상부 제1지지대(110a)와 제1안전가이드(410), 고정부재(500)를 연결하고, 상기 제1안전가이드(410)의 고정 및 고정 해제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고정부재(500)는 고정볼트(517)에서 고정볼트 머리(517a)를 분리한 후, 탄성부재(513)와 함께 고정볼트 가이드(511)에 끼운다. 이후 고정볼트 머리(517a)가 결합하여 형성된다.
이후 상기 고정볼트 가이드(511)는 용접(511a)에 의해 상기 제1안전가이드(410)의 연결부재(411)와 연결되고, 상기 고정볼트(517)의 끼움부(517c)가 연결부재(411)의 고정통공(415)과 상부 제1지지대(110a)의 고정통공(115)에 끼워짐에 따라, 고정부재(500)와 제1안전가이드(410), 상부 제1지지대(110a)가 연결된다.
이렇게 설치된 제1안전가이드(410)는 고정볼트(517)를 잡아당김에 따라 끼움부(517c)가 상부 제1지지대(110a)와 제1안전가이드(410)의 연결부재(411)에서 탈착되고, 회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안전가이드(420)의 설치과정은 상기 제1안전가이드(410)의 설치과정과 같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로서 지지대 연결용 힌지 부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로서 지지대 연결용 힌지 부분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로서 지지대 연결용 힌지 부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로서 지지대 연결용 힌지 부분의 결합 사시도이다.
상기 지지대 연결부재 결합부(112b)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상기 지지대 연결부재 결합부(122b)가 끼워지고, 볼트 등이 상기 통공(112c)과 통공(122c)에 끼움 결합하여, 상기 지지대 연결부재(112)와 지지대 연결부재(122)연결된다.
그리고, 그 사이에 2개의 연결부재결합부(122b)가 좌우측의 지지대 연결부재 결합부(122b)에 꽉 끼워져 결합되어 회동된다.
도 13은 본 고안의 사다리 발판의 고정 힌지수단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고안의 사다리 발판의 고정 힌지수단의 단면도이다.
힌지부재(600)는 상기 발판(200)과 연결되고 일단에 제1힌지부 회동 연결편(612)를 구비하는 제1힌지부(610)와, 일단에 제2힌지부 회동 연결편(622)를 구비하는 제2힌지부(620)로 구성된다.
상기 힌지부재(600)인 제1힌지부(610)와 제2힌지부(620)의 길이 조절을 위하여 ㄱ자형 고정부재(700)이 사용된다.
상기 고정부재(700)는 ㄱ자형의 고정볼트(710)와 길이조절 고정부재(711), 탄성부재(713)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볼트(710)는 분리 가능한 조절 손잡이(710a)와 중앙에 위치하는 스토퍼(710b), 하부에 위치하는 끼움부(710c)로 구성된다.
상기 ㄱ자형 고정부재(700)는 고정볼트(710)에서 조절 손잡이(710a)를 분리한 후, 탄성부재(713)와 함께 길이조절 고정부재(711)에 끼운다. 이후 조절 손잡이(710a)가 결합하여 형성된다.
이후 상기 길이조절 고정부재(711)는 용접에 의해 상기 제1힌지부(610)와 연결되고, 상기 고정볼트(710)의 끼움부(710c)가 제1힌지부(610)의 통공(611)과 제2힌지부(620)의 통공(621)에 끼워짐에 따라, ㄱ자형 고정부재(700)와 제1힌지부(610), 제2힌지부(620)가 연결된다.
이렇게 설치된 힌지부(600)는 고정볼트(710)의 조절손잡이(710a)를 잡아당김에 따라 끼움부(710c)가 제1힌지부(610)의 통공(611)과 제2힌지부(620)의 통공(621)에서 탈착되고, 길이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도 15는 본 고안의 사다리 보강대가 일측 지지대에 연결된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고안의 사다리 보강대가 타측 지지대에 연결된 사시도이다.
상기 보강대 연결부(328)의 통공(328a)과 상기 가로바(121)의 보강대 연결부(128)의 통공(128a)을 볼트(328b)를 통해 연결한다.
상기 보강대 연결부(318)의 통공(318a)과 상기 가로바(111)의 보강대 연결부(118)의 통공(118a)을 볼트(318b)를 통해 연결한다.
상기 볼트(318b)와 볼트(328b)는 제1보강대(310)와 제2보강대(320)에 회동기능을 제공한다.
도 17은 본 고안의 사다리 보강대를 조절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의 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고안의 사다리 보강대를 조절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의 작동 상태도이다.
상기 U자형 고정수단(330)은 일단부가 상기 제1보강대(310)의 통공(315)과 제2보강대(320)의 통공(325)에 끼워지고, 타단부가 상기 제1보강대(310)의 제1보강대 돌출부(311)의 통공(311a)에 끼워져, 상기 제1보강대(310)와 제2보강대(320)를 연결 결합한다.
상기 U자형 고정수단(330)의 타단부는 상기 제1보강대(310)의 제1보강대 돌출부(311)의 통공(311a)에 끼워진 후, 탄성부재(333)를 끼우고 나사 머리가 결합하여 설치된다.
상기 U자형 고정수단(330)의 머리 부분을 누르면, 상기 탄성부재(333)이 압축되면서 상기 제1보강대(310)의 통공(315)과 제2보강대(320)의 통공(325)에 끼워졌던 상기 U자형 고정수단(330)의 일단부가 빠져, 상기 사다리 보강대(300)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특허등록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지지대
110: 제1지지대
110a: 상부 제1지지대
110b: 하부 제1지지대
111: 가로바
112: 지지대 연결부재
112a: 통공
112b: 지지대 연결부재 결합부
112c: 통공
113: 중심통공
115: 고정통공
117: 중간 받침대
118: 보강대 연결부
118a: 통공
119: 밀착판
120: 제2지지대
120a: 상부 제2지지대
120b: 하부 제2지지대
121: 가로바
122: 지지대 연결부재
122a: 통공
122b: 지지대 연결부재 결합부
122c: 통공
123: 중심통공
125: 고정통공
127: 중간 연결바
128: 보강대 연결부
128a: 통공
129: 밀착판
200: 발판
212: 제1힌지부 결합부
300: 사다리 보강대
310: 제1보강대
311: 제1보강대 돌출부
311a: 통공
315: 통공
318: 보강대 연결부
318a: 통공
318b: 볼트
320: 제2보강대
325: 통공
328: 보강대 연결부
328a: 통공
328b: 볼트
330: U자형 고정수단
333: 탄성부재
400: 안전가이드
410: 제1안전가이드
411: 연결부재
413: 중심통공
415: 고정통공
417: 볼트
420: 제2안전가이드
421: 연결부재
423: 중심통공
425: 고정통공
427: 볼트
500: 고정부재
511: 고정볼트 가이드
513: 탄성부재
515: 고정통공
517: 고정볼트
517a: 고정볼트 머리
517b: 스토퍼
517c: 끼움부
600: 힌지부재
610: 제1힌지부
611: 통공
612: 제1힌지부 회동 연결편
620: 제2힌지부
621: 통공
622: 제2힌지부 회동 연결편
700: ㄱ자형 고정부재
710a: 조절 손잡이
710b: 스토퍼
710c: 끼움부
711: 길이조절 고정부재
713: 탄성부재

Claims (2)

  1. 제1지지대(110)와 제2지지대(120)로 구성된 지지대(100)로 형성된 에이형 사다리의 높이조절 가이드 구조로서, 사다리 지지대의 상단 중턱에 편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 발판(200)의 하부에 제1힌지부 회동 연결편(612)에 결합되는 제1힌지부(610)와 일단에 제2힌지부 회동 연결편(622)에 결합되는 제2힌지부(620)로 형성되고, 상기 발판(200)의 일측 하부에는 제1지지대의 중간 받침대(117)가 끼워져 회동되는 발판회동연결편(624)를 구비하는 힌지부재(600)로 형성되는 에이형 사다리의 높이 조절 구조에 있어서,
    제1힌지부 결합부(212)는 힌지부재(600)의 제1힌지부 회동 연결편(612)에 끼워지고, 상기 제2힌지부 회동 연결편(622)은 중간 연결바(127)에 끼워져 형성되며, 상기 제2힌지부(620)은 제1힌지부(610)에 끼워진 후, ㄱ자형 고정부재(700)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ㄱ자형 고정부재(700)는 고정볼트(710)에서 조절 손잡이(710a)를 분리한 후, 탄성부재(713)와 함께 길이조절 고정부재(711)에 끼우고, 이후 조절 손잡이(710a)가 결합하여 형성되며, 상기 길이조절 고정부재(711)를 용접으로 상기 제1힌지부(610)와 연결하고, 상기 고정볼트(710)의 끼움부(710c)가 제1힌지부(610)의 통공(611)과 제2힌지부(620)의 통공(621)에 끼워짐에 따라 ㄱ자형 고정부재(700)와 제1힌지부(610) 및 제2힌지부(620)가 연결되며, 중앙에 통공(311a)이 형성된 제1보강대 돌출부(311)와 중앙에 통공(318a)이 형성되고 일단에 위치한 보강대 연결부(318), 타단에 형성된 다수개의 통공(315)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지지대(110)의 가로바(111)와 연결되는 제1보강대(310), 일단에 중앙에 통공(328a)을 구비하는 보강대 연결부(328)와 타단에 형성된 다수개의 통공(325)로 구성되고 상기 제2지지대(120)의 가로바(121)와 연결되는 제2보강대(320), 탄성부재(333)를 구비하고 볼트머리가 분리되는 “U”자 형태의 볼트이며 상기 제1보강대(310)와 제2보강대(320)를 연결 결합하는 U자형 고정수단(330)으로 구성되는 사다리 보강대(300); 상기 U자형 고정수단(330)의 타단부를 상기 제1보강대(310)의 제1보강대 돌출부(311)의 통공(311a)에 끼운 후, 탄성부재(333)를 끼우고 나사 머리가 결합하여 설치되며, 상기 U자형 고정수단(330)의 머리 부분을 누르면, 상기 탄성부재(333)이 압축되면서 상기 제1보강대(310)의 통공(315)과 제2보강대(320)의 통공(325)에 끼워졌던 상기 U자형 고정수단(330)의 일단부가 빠져, 상기 사다리 보강대(300)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형 사다리의 높이 조절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대(110)와 제2지지대(120)의 상부에는 중앙에 통공(112c)이 형성되고 일정한 간격을 띄우고 서로 바라보는 형태로 2개 형성된 지지대 연결부재 결합부(112b)와 메인 바디에 다수개의 통공(112a)을 구비하는, 가운데 부분이 뚫려 있는 구조의 지지대 연결부재(112)와, 중앙에 통공(122c)이 형성된 지지대 연결부재 결합부(122b)와 메인 바디에 다수개의 통공(122a)을 구비하는, 중앙에 뚫려 있는 구조의 지지대 연결부재(122)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형 사다리의 높이 조절 구조.
KR2020180005442U 2018-11-26 2018-11-26 에이형 사다리의 높이 조절 구조 KR2004922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442U KR200492277Y1 (ko) 2018-11-26 2018-11-26 에이형 사다리의 높이 조절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442U KR200492277Y1 (ko) 2018-11-26 2018-11-26 에이형 사다리의 높이 조절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152U KR20200001152U (ko) 2020-06-03
KR200492277Y1 true KR200492277Y1 (ko) 2020-09-09

Family

ID=71070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5442U KR200492277Y1 (ko) 2018-11-26 2018-11-26 에이형 사다리의 높이 조절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277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4028Y1 (ko) * 2003-02-27 2003-05-22 김만섭 절첩사다리용 힌지
KR200426547Y1 (ko) * 2006-06-28 2006-09-19 황성규 도배용 사다리 발판의 높이 조절장치의 보강구조
KR200444935Y1 (ko) * 2008-11-21 2009-06-17 이영학 접철식 작업사다리
KR200480180Y1 (ko) * 2014-10-22 2016-04-20 임종덕 에이형 사다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4028Y1 (ko) * 2003-02-27 2003-05-22 김만섭 절첩사다리용 힌지
KR200426547Y1 (ko) * 2006-06-28 2006-09-19 황성규 도배용 사다리 발판의 높이 조절장치의 보강구조
KR200444935Y1 (ko) * 2008-11-21 2009-06-17 이영학 접철식 작업사다리
KR200480180Y1 (ko) * 2014-10-22 2016-04-20 임종덕 에이형 사다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152U (ko) 2020-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88167A1 (en) Collapsible platform
JP6305523B2 (ja) 足場構造と共に使用するためのプラットフォームユニット
US20050056489A1 (en) Ladder
KR20200000858U (ko) 조립식 구조를 갖는 고소작업대
KR102177300B1 (ko) 절첩이 용이한 에이형 사다리의 안전 가이드 구조
WO2016151307A1 (en) Adjustable scaffold
KR200492277Y1 (ko) 에이형 사다리의 높이 조절 구조
KR102180064B1 (ko) 작업대로 조립 가능한 접이식 사다리
KR102154293B1 (ko) 에이형 사다리의 안전 가이드 구조
JP2020007792A (ja) 簡易足場兼用脚立
GB2471947A (en) Ladder platform with encircling guard rail
US20060054398A1 (en) Ladder stabilizer
KR20170035530A (ko) 접이식 발판사다리
KR102177301B1 (ko) 사다리용 보강 구조
US8360204B2 (en) Self-adjusting ladder leveling device
KR200429498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작업대
US9290954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an adjustable scaffold shelf
KR20120000526U (ko) 고소 작업대의 지지 장치
KR102381438B1 (ko) 말비계 겸용 a자형 안전사다리
KR20200036123A (ko) 안전 사다리
KR20110002720U (ko) 고소 작업용 우마 사다리
JP3900354B2 (ja) 可搬式階段用作業足場台
KR102267939B1 (ko) 접이식 안전발판
JP4912358B2 (ja) 可搬式作業台
KR102371325B1 (ko) 접철식 사다리, a자형 접철식 사다리, 우마형 접철식 사다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