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858U - 조립식 구조를 갖는 고소작업대 - Google Patents

조립식 구조를 갖는 고소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858U
KR20200000858U KR2020180004784U KR20180004784U KR20200000858U KR 20200000858 U KR20200000858 U KR 20200000858U KR 2020180004784 U KR2020180004784 U KR 2020180004784U KR 20180004784 U KR20180004784 U KR 20180004784U KR 20200000858 U KR20200000858 U KR 2020000085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body
railing
frame
support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47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2251Y1 (ko
Inventor
강태희
Original Assignee
대명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명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명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800047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251Y1/ko
Publication of KR202000008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8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2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25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5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essentially comprising special means for supporting or forming platforms;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adjustable in he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5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essentially comprising special means for supporting or forming platforms; Platforms
    • E04G2001/157Extensible platforms, e.g. telescopic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소작업용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게는 조립식 구조와 구조적인 간소화에 따른 이루게 구성함으로써, 그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게 하는 등 그 사용상의 편리함을 가져오며, 특히 운반이나 보관 등의 취급이 매우 편리하게 하며, 또한 폭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작업 위치의 경사도에 따라 다양한 조절 사용이 가능하게 하며, 또한 절첩 구조를 통해 하중을 받는 발판 프레임의 안정된 지지력이 확보되게 하며, 이에 따른 작업자의 안전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조립식 구조를 갖는고소작업용 고소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구조를 갖는 고소작업대{High-place workable with prefabricated structure}
본 고안은 고소작업용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게는 선박 건조 등의 고소(高所)작업 과정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설치되는 족장판(발판)의 설치상의 편리함과 안정성의 향상을 가져오게 하는 조립식 구조를 갖는 고소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상에서 건축물의 벽체 외장작업 또는 대형선박의 외장작업을 하기 위해 건축물 또는 대형 선박의 개별적 블록의 외부에는 건축물 또는 개별적 블록 높이로 조립된 고소(高所)작업대가 설치된다. 고소작업대는 작업자가 소정의 외장작업을 하기 위한 발판이 여러 층으로 설치되며 각각의 발판 외측에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안전장치가 필수적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고소작업대는 설치된 후 소정의 작업이 종료되면, 장치를 해체하고, 또 다른 고소의 작업장에 설치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인데, 이때, 레일링 장치의 설치 및 해체가 반복적으로 수행되므로 고소작업대를 구성하는 복수의 메인 파이프와 가이드 파이프 등의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게 구성되어야 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고소작업대의 경우에는 대부분 대형화된 구조를 이루면서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게 구성된 것인바, 그 설치 사용이 매우 불편하였으며, 특히 운반이나 보관 등의 취급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적인 고소작업대의 구조는 단순히 규격화된 구조를 이루는 것인바, 액화천연가스 운반선(LNG선)의 리퀴드 돔(Liquid dome) 등의 작업과 같이 상부 및 하부가 서로 다른 폭을 이루는 작업 공간에서는 그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적인 고소 작업대는 단순히 클램프 등을 이용한 일측의 고정 설치 구조를 이루는 것인바, 그 지지력이 약하여 작업자의 안전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481467호. 대한민국실용신안공개공보 제20-2011-0002796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조립식 구조와 구조적인 간소화에 따른 이루게 구성함으로써, 그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게 하는 등 그 사용상의 편리함을 가져오며, 특히 운반이나 보관 등의 취급이 매우 편리하게 하기 위한 조립식 구조를 갖는 고소작업대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폭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작업 위치의 경사도에 따라 다양한 조절 사용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조립식 구조를 갖는고소작업용 고소작업대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절첩 구조를 통해 하중을 받는 발판 프레임의 안정된 지지력이 확보되게 하며, 이에 따른 작업자의 안전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조립식 구조를 갖는고소작업용 고소작업대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고소작업 과정에서 작업자가 디디고 작업 및 이동이 가능한 발판이 설치되는 발판프레임;
발판프레임의 후방 지지 및 그 발판프레임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높낮이 지지대; 및
발판프레임에 설치되어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난간유닛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발판프레임은,
중앙이 관통된 직사각형 형태의 프레임본체;
프레임본체의 후단으로부터 회동 절첩되며 전개시 높낮이 지지대와 결합되며, 다수단의 높이 조절공이 형성된 지지봉;
지지봉의 접이 및 전개 상태를 고정하는 고정수단;
프레임본체의 후단에 형성되어 난간유닛이 설치되는 제1 난간결합공을 갖는 제1 난간설치관; 및
프레임본체의 중간부에서 제1 난간설치관과 이격 형성되어 난간유닛이 설치되는 제2 난간결합공을 갖는 제2 난간설치관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난간유닛은 제1,2 난간설치관에 선택 결합되게 구성하며,
프레임본체에 결합되어 그 프레임본체이 길이 연장이 가능한 연장프레임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프레임본체에는,
전방 양측에 프레임본체의 연장 사용이 가능한 연장 조립공을 더 형성하고,
연장프레임은,
일측으로 개방되어 프레임본체가 삽입되는 본체 결합홈이 형성되고,
후방 양측에는 프레임본체의 연장 조립공과 대응되는 다수의 연장프레임 조립공이 형성되며,
선단 측에는 수평 관통되어 선박에 설치 가능한 제2 수평설치공이 형성되고,
선단 상부에는 프레임본체의 발판지지편과 대응되는 폭방향 양측 한 쌍의 연장 발판지지편이 돌출 형성되게 구성하며,
높낮이 지지대는,
지면에 지지되며, 상부에는 축설부가 형성된 지지판; 및
하단이 지지판의 상부에서 축설부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하며, 지지봉이 삽입 고정되는 지지관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지지관에는,
상,하로 지지봉의 높이 조절공과 대응되는 다수단의 지지봉 고정공이 형성되어 높이 조절공의 상,하 위치 조절 및 볼팅 결합되어 지지봉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하며,
난간유닛은,
하부에는 난간결합공이 형성되어 하단이 제1 난간설치관 또는 제2 난간설치관에 삽입 결합되는 수직대;
수직대에 연결되는 수평대;
수직대에 형성되어 복수의 수평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한 단 이상의 클램프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클램프는,
수직대로부터 직각 돌출 형성되며, 선단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몸체 가이드홈을 갖는 상,하부 체결안내부가 형성된 클램프 몸체;
클램프 몸체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어 복수의 수평대를 분리 및 그 수평대를 고정하되, 각각에는 수평대가 수용 고정되는 상,하부 안착홈이 형성된 상,하부 고정부; 및
상,하부 고정부의 개폐 및 수평대의 가압 고정을 단속하는 개폐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 조립식 구조를 갖는고소작업용 고소작업대는, 발판프레임과 높낮이 지지대와 난간유닛이 분리 구성 및 조립 사용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인바, 그 설치 및 해체가 매우 용이하게 되는 등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하며, 특히 분리 구성된 특성상 운반이나 보관 등 그 취급이 매우 편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각각의 발판프레임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인바, 작업 위치의 경사도에 따라 발판프레임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등 효율적인 설치 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발판프레임에 절첩 사용이 가능한 지지봉이 구성된 것인바, 발판프레임에 전해지는 하중의 효과적이 대응이 가능하게 되는 등 안정된 지지력 확보에 따른 작업자의 안전성이 한층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조립식 구조를 갖는 고소작업대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조립식 구조를 갖는 고소작업대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조립식 구조를 갖는 고소작업대의 발판프레임 요부도.
도 4는 본 고안 조립식 구조를 갖는 고소작업대의 발판프레임 저면 요부도.
도 5는 본 고안 조립식 구조를 갖는 고소작업대의 발판프레임 측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조립식 구조를 갖는 고소작업대의 발판프레임 다른 실시예도.
도 7은 본 고안 조립식 구조를 갖는 고소작업대의 높낮이 지지대 요부도.
도 8은 본 고안 조립식 구조를 갖는 고소작업대의 난간유닛 요부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 조립식 구조를 갖는 고소작업대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 조립식 구조를 갖는 고소작업대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 조립식 구조를 갖는 고소작업대의 난간유닛 사용상태 다른 실시예도.
도 12는 본 고안 조립식 구조를 갖는 고소작업대의 발판프레임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 조립식 구조를 갖는 고소작업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조립식 구조를 갖는 고소작업대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의 도시와 같이 본 고안 조립식 구조를 갖는 고소작업대(1)는 발판프레임(100)과, 높낮이 지지대(200)와, 난간유닛(300)으로 구성된다.
먼저, 발판프레임(100)은 본 고안 조립식 구조를 갖는 고소작업대(1)를 구성함에 있어 기초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이때 발판프레임(100)은 프레임본체(110)와, 지지봉(120)과, 고정수단(130)과, 제1 난간설치관(140)과, 제2 난간설치관(150)으로 구성된다.
먼저 프레임본체(110)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발판프레임(100)을 구성함에 있어 기초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중앙이 관통되며 선박에 설치시 기준으로 전,후 길이를 이루며 "ㄱ"형 앵글이 배열된 사각 틀체 형태로 구성되어 그 전방이 선박 또는 선박에 설치되는 지그(도면중 미도시함) 등에 설치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프레임본체(110)에는 먼저, 관통된 중앙을 폭 방향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한열 이상의 보강대(111)가 더 구성된 것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전,후 한 2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어느 하나의 보강대(111)에는 중앙에 후술하는 지지봉(120)을 프레임본체(110)의 저면으로 접이시 어느 하나의 높이 조절공(121)(121')과 연통되는 지지봉 고정공(111a)이 더 구성되어 후술하는 고정수단(130)을 통해 지지봉(120)을 보강대(111)에 고정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보강대(111)에는 지지봉(120)이 프레임본체(110)의 저면으로 접이시 그 지지봉(120)이 삽입 안착되는 지지봉 안착홈(111b)이 더 구성된 것으로, 지지봉 안착홈(111b)은 "∩" 형태의 하부 개방형 "홈" 구성되어 지지봉(120)이 안착시 프레임본체(110)의 하부로 돌출되어 두께가 증대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프레임본체(110)에는 선단 양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수평 관통되어 선박에 설치 가능한 양측 한 쌍의 제1 수평설치공(112)이 구성된 것으로, 프레임본체(110)는 수평설치공(112)을 통해 그 선단이 선박에 설치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프레임본체(110)에는 상부에 관통된 중앙을 마감하는 한편 작업자가 올라설 수 있는 발판이 설치되는 것인데, 이를 위해 프레임본체(110)에는 상부로 돌출 구성되어 발판의 지지가 가능한 발판지지편(113)(113')이 구성된다.
이때, 발판지지편(113)(113')은 프레임본체(110)의 폭방향 2개가 한 조를 이루게 구성되며 길이 방향으로 2개조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2개조의 발판지지편(113)(113')은 후단과 전방측 상부에 각각 구성된다.
또한, 프레임본체(110)에는 후술하는 지지봉(120)의 회전을 위해 후단 내측에는 지지봉(120)의 축(120a)이 결합되어 회전 안내되는 축관(114)이 구성된다.
또한, 프레임본체(110)에는 후단 저면에 지지봉(120)이 직각으로 전개시 그 지지봉(120)의 직각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봉 지지브라켓(115)이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더 구성된다.
이때, 지지봉 지지브라켓(115)에는 지지봉(120)을 직각 전개시 어느 하나의 높이 조절공(121)(121')과 연통되는 지지봉 고정공(221)(221')이 구성되어 후술하는 고정수단(130)을 통해 지지봉(120)을 지지봉 지지브라켓(115)에 고정 가능하게 한다.
상기 지지봉(120)은 발판프레임(100)을 구성함에 있어 상기 프레임본체(11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후방 하부의 지지 및 발판프레임(100)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지지봉(120)은 일단이 상기 프레임본체(110)의 후방에서 프레임본체(110)의 축관(114)에 축(120a)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전개시 프레임본체(110)와 직각을 이루고, 접이시 프레임본체(110)의 저면에 안착 고정된다.
상기 고정수단(130)은 발판프레임(100)을 구성함에 있어 상기 지지봉(120)의 전개 또는 접이시 그 고정이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볼트(131) 및 너트(132)로 구성된다.
이때, 본 고안에서 적용되는 고정수단(130)은 볼트(131) 및 너트(132)가 한조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그 한 조를 이용해 지지봉(120)의 전개시 또는 접이시 사용 가능하게 된다.
즉, 지지봉(120)은 접이시에는 고정수단(130)의 볼트(131)가 보강대(111)의 지지봉 고정공(111a)과 어느 하나의 높이 조절공(121)(121')에 관통된 상태에서 너트(132) 체결함으로 그 지지봉(120)의 접이 고정이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접이시에는 발판프레임(100)의 부피가 축소되어 보관이나 운반시 용이하게 된다.
또한, 지지봉(120)은 전개시에는 접이의 해제를 위해 분리된 고정수단(130)의 볼트(131)가 지지봉 지지브라켓(115)의 지지봉 고정공(115a)과 하나의 높이 조절공(121)(121')에 관통된 상태에서 너트(132) 체결함으로 그 지지봉(120)의 전개 고정이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전개시에는 발판프레임(100)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1 난간설치관(140)은 발판프레임(100)을 구성함에 있어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후술하는 난간유닛(300)의 설치가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제1 난간설치관(140)은 상기 프레임본체(110)의 후단에 형성되게 구성된 것으로, 관체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본체(110)의 후단 폭방향 중앙으로부터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그 설치시에는 상단이 프레임본체(110)의 상단과 동일면을 이루면서 하부로 돌출 구성된다.
그리고, 제1 난간설치관(140)에는 복수의 제1 난간결합공(141)이 구성된다.
상기 제2 난간설치관(150)은 발판프레임(100)을 구성함에 있어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후술하는 난간유닛(300)의 설치가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제2 난간설치관(150)은 상기 프레임본체(110)의 후단에 형성되게 구성된 것으로, 관체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후단 측에 위치되는 보강대(111)의 폭방향 중앙으로부터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그 설치시에는 상단이 프레임본체(110)의 상단과 동일면을 이루면서 하부로 돌출 구성된다.
그리고, 제2 난간설치관(150)에는 복수의 제2 난간결합공(151)이 구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발판프레임(100)을 구성함에 있어 다른 실시예로 도 6을 참조하여 발판프레임(100) 길이의 연장이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연장프레임(160)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해 먼저, 프레임본체(110)에는 그 전방 양측에 연장프레임(160)의 연결 고정이 가능하도록 연장 조립공(116)(116')이 더 구성된다.
한편, 상기 연장프레임(160)은 일측으로 개방되어 상기 프레임본체(110)의 전방이 삽입되는 본체 결합홈(161)을 이루는 틀체 형태로 구성된다.
이때, 연장프레임(160)에는 폭방향 양측에 상기 프레임본체(110)의 연장 조립공(116)(116')과 대응되는 수평방향 다수의 연장프레임 조립공(162)(162')이 구성된다.
그리고, 연장프레임(160)에는 선단 양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수평 관통되어 선박에 설치 가능한 양측 한 쌍의 제2 수평설치공(163)이 구성된다.
그리고, 연장프레임(160)에는 선단 상부에서 양측에는 상기 프레임본체(110)의 발판지지편(113)(113')과 대응되는 폭방향 양측 한 쌍의 연장 발판지지편(164)이 돌출되게 구성된다.
즉, 연장프레임(160)은 상기 프레임본체(110)의 전방에 결합되어 그 프레임본체(110)의 길이의 연장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높낮이 지지대(200)는 본 고안 조립식 구조를 갖는 고소작업대(1)를 구성함에 있어 상기 프레임본체(110)의 하부 지지 및 높낮이의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봉(120)과 결합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높낮이 지지대(200)는 도 7을 참조하여 먼저 지지판(210)이 구성된 것으로, 지지판(210)은 판체 형태를 이루어 지면에 지지되게 구성되며, 그 상부에는 축설부(211)가 구성된다.
또한, 높낮이 지지대(200)에는 상기 지지봉(120)이 결합되어 그 지지봉(120)을 지지 및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관(220)이 구성된다.
이때, 지지관(220)은 길이를 이루는 중공된 관체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그 하단이 상기 지지판(210)에 결합되되, 결합시에는 축설부(211)에 힌지 결합되어 소정의 회전 유동이 가능하게 구성되며, 그 상단에 지지봉(120)이 삽입되게 구성된다.
또한, 지지관(220)에는 그 둘레에 상,하로 지지봉(120)의 고정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상,하 다수단의 지지봉 고정공(221)(221')이 구성된다.
이때, 지지봉 고정공(221)(221')은 지지봉(120)의 높이 조절공(121)(121')과 동일한 간격을 이루어 볼팅 결합되게 구성되며, 지지관(220)의 둘레에서 사방에 구성되어 높이 조절공(121)(121')의 선택적인 결합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높낮이 지지대(200)는 지지판(210)을 통해 지면에 지지되는 한편, 지지관(220)에 지지봉(120)이 삽입 결합되어 발판프레임(100)의 지지 및 그 지지봉(120)의 삽입 정도에 따라 발판프레임(100)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난간유닛(300)은 본 고안 조립식 구조를 갖는 고소작업대(1)를 구성함에 있어 작업자의 낙상을 방지하게 구성된 것으로, 도 8을 참조하여 수직대(310)와, 수평대(320)와, 클램프(330)로 구성된다.
먼저, 수직대(310)는 난간유닛(300)의 기초를 이루며 복수로 구성된 것으로, 상,하 길이를 가지는 관체 형태로 구성되어 제1 난간설치관(140) 또는 제2 난간설치관(150)에 선택적으로 삽입 결합되게 구성되며, 그 하부에는 상기 제1,2 난간결합공(141)(151)과 대응되어 볼팅 결합이 가능한 난간결합공(311)이 구성된다.
상기 수평대(320)는 난간유닛(300)의 측면을 마감하게 구성된 것으로, 좌,우 길이를 가지는 관체 형태를 이루어 상기 수직대(310)에 연결되며, 복수개로 구성된다.
상기 클램프(330)는 상기 수직대(310)에 형성되어 복수의 수평대(320)를 연결하게 구성된 것으로, 수직대(310)에 적어도 한단 이상 구성된다.
이때, 클램프(330)는 먼저, 클램프 몸체(340)가 구성된 것으로, 클램프 몸체(340)는 수직대(310)의 둘레에서 일체로 직각으로 돌출되게 구성되며, 선단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전방 및 상,하로 개방되는 몸체 가이드홈(341a)(341a')을 갖는 상,하부 체결안내부(341)(341')가 구성된다.
또한, 클램프(330)에는 상기 클램프 몸체(340)의 상부 및 하부에 복수의 수평대(320)를 분리 및 파지 고정이 가능한 상,하부 고정부(350)(360)가 각각 구성된 것으로, 각각의 상,하부 고정부(350)(360)에는 수평대(320)의 수용 파지가 가능한 상,하부 안착홈(351)(361)이 각각 구성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 상기 상부 고정부(350)에는 상기 상부 안착홈(351)의 개폐가 가능한 상부 체결대(355)가 구성된다.
이때, 상부 체결대(355)는 상부 안착홈(351)을 2분할 하게 구성되며 그 일단이 상부 고정부(350)에 힌지 연결되어 회동 작동하게 구성되며, 타단에는 상기 상부 체결안내부(341)와 대응되도록 상부 가이드홈(356a)을 갖는 상부 돌출부(356)가 돌출 구성된다.
또한, 하부 고정부(360)에는 상기 하부 안착홈(361)의 개폐가 가능한 하부 체결대(365)가 구성된다.
이때, 하부 체결대(365)는 하부 안착홈(361)을 2분할 하게 구성되며 그 일단이 하부 고정부(360)에 힌지 연결되어 회동 작동하게 구성되며, 타단에는 상기 하부 체결안내부(341')와 대응되도록 하부 가이드홈(366a)을 갖는 하부 돌출부(366)가 돌출 구성된다.
또한, 클램프(330)에는 상기 상,하부 고정부(350)(360)의 개폐 및 수평대(320)의 가압 고정을 단속하느 개폐부(370)가 구성된다.
이대, 개폐부(370)는 먼저, 개폐로드(371)가 구성된 것으로, 개폐로드(371)는 상기 하부 돌출부(366)에 힌지 연결되어 회동 작동하게 구성되며, 상,하부 고정부(350)(360)를 폐쇄시 몸체 가이드홈(341a)(341a')과 상부 가이드홈(356a)과 하부 가이드홈(366a)에 끼움 걸림되게 구성된다.
또한, 개폐부(370)에는 개폐레버(372)가 구성된 것으로, 개폐레버(372)는 상기 개폐로드(371)의 단부에서 힌지 작동하게 구성된다.
이때, 개폐레버(372)에는 개폐로드(371)에 힌지 연결부에 캠(373)이 구성된 것으로, 그 캠(373)을 통해 개폐레버(372)의 회동 작동 과정에서 상부 돌출부(356) 상부에 가압력을 부여하게 구성되되, 개폐레버(372)가 개폐로드(371)와 동일 선상을 이룰시 가압력이 해제되고, 직각을 이룰시 가압력이 부여되게 구성된다.
또한, 개폐부(370)에는 개폐로드(371)에서 캠(373)의 하부에 고무재로 된 가압부재(375)가 구성된 것으로, 가압부재(375)는 개폐레버(372)가 개폐로드(371)와 직각을 이루게 회동시 캠(373)이 그 가압부재(375)를 가압 및 상부 돌출부(356)에 가압 고정되게 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개폐로드(371)의 몸체 가이드홈(341a)(341a')과 상부 가이드홈(356a)과 하부 가이드홈(366a)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구성된다.
즉, 난간유닛(300)은 발판프레임(100)의 제1 난간설치관(140) 또는 제2 난간설치관(150)에 결합되어 작업자의 낙상을 방지하게 구성되며, 특히 클램프(330)의 상,하부 고정부(350)(360)를 통해 복수열의 수평대(320)의 연결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 조립식 구조를 갖는 고소작업대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고안 조립식 구조를 갖는 고소작업대(1)는, 선박의 건조 과정에서 고소작업시 작업자로 하여금 안전한 이동 작업이 가능하게 하되, 발판프레임(100)과 높낮이 지지대(200)와 난간유닛(300)이 조립식 구조를 이루어 그 사용 및 취급이 매우 편리하며, 특히 충분한 지지력 확보로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게 된다.
이에, 본 고안 본 고안 조립식 구조를 갖는 고소작업대(1)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먼저, 발판프레임(100)이 설치된다.
이때, 발판프레임(100)은 프레임본체(110)를 통해 선박(10) 또는 선박에 별도 설치되는 지그(20)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는 프레임본체(110)의 전방에 형성되는 수평설치공(112)에 의해 가능하며, 일예로 지그(20)에 볼팅 조립 등을 통해 설치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프레임본체(110)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지지봉(120) 전개 설치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는 프레임본체(110)의 저면에 고정되어 있는 지지봉(120)을 분리하되, 고정수단(130)을 보강대(111)의 지지봉 고정공(111a)으로부터 분리하면 되며, 이에 지지봉(120)은 축관(114)을 중심으로 하여 축(120a) 회동되어 프레임본체(110)와 직각을 이루게 전개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전개되는 지지봉(120)은 그 측면이 프레임본체(110)의 지지봉 지지브라켓(115)에 지지되어 직각을 유지하게 되며, 이에 지지봉 지지브라켓(115)의 지지봉 고정공(115a)을 통해 상기 지지봉(120)을 프레임본체(110)로부터 분리시 제거된 고정수단(130)을 지지봉 지지브라켓(115)에 고정 설치하면 된다.
또한, 높낮이 지지대(200)가 설치되는 것으로, 높낮이 지지대(200)는 설치되는 프레임본체(110)의 후단측 하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프레임본체(110)가 설치되는 과정에서 상기 지지봉(120)이 결합 고정되게 되는 것인데, 지지봉(120)은 높낮이 지지대(200)의 지지관(220)에 삽입 결합된다.
이때, 지지관(220)에는 다수단의 지지봉 고정공(221)(221')이 구성된 것인바, 이에 삽입되는 지지봉(120)의 높이 조절공(121)(121')과 지지봉 고정공(221)(221')을 통한 볼팅 조립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결합되는 지지봉(120)과 지지관(220)은 그 지지봉(120)이 지지관(22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삽탈 가능하게 구성된 것인바, 이러한 삽탈 조절은 발판프레임(100)의 높이에 따라 삽탈 조절에 의한 조립이 가능하게 된다.
즉, 높낮이 지지대(200)는 상기 발판프레임(100)의 지지봉(120)이 결합되는 것으로, 발판프레임(100)의 후방에서 하중 지지가 가능하게 되며, 특히 지지봉(120)의 삽탈 조절에 의해 작업 높이에 따른 높낮이의 조절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또한, 높낮이 지지대(200)의 지지관(220)은 지지판(210)의 축설부(211)에 힌지 결합되게 구성된 것인바 지지판(210)이 지지되는 지면의 경사 등에 효과적인 대응이 가능하게 되며, 다수단의 지지봉 고정공(221)(221')이 지지관(220)의 둘레에서 사방 구성된 것인바 결합되는 방향성의 대응이 용이하게 된다.
이후, 발판프레임(100)에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난간유닛(300)이 설치되게 된다.
이때, 난간유닛(300)은 먼저 수직대(310)가 설치되는 것으로, 수직대(310)는 발판프레임(100)의 제1 난간설치관(140) 또는 제2 난간설치관(150)에 선택적으로 삽입 및 제1 난간결합공(141) 또는 제2 난간결합공(151)과 난간결합공(311)의 볼팅 체결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이후, 수평대(320)가 설치되는 것으로, 수평대(320)는 수직대(310)에 형성되는 클램프(330)를 통해 가능하게 된다.
이때, 클램프(330)는 개폐부(370)의 개폐로드(371)를 힌지 회동 및 몸체 가이드홈(341a)(341a')과 상부 가이드홈(356a)과 하부 가이드홈(366a)으로부터 분리하면 되는 것으로, 이에 상,하부 고정부(350)(360)의 상,하부 체결대(355)(365)가 힌지 회동되어 상,하부 안착홈(351)(361)의 개방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수평대(320)는 각각의 상,하부 안착홈(351)(361)에 수용시킨 상태에서 상,하부 체결대(355)(365)를 회동시켜 구속 및 개폐부(370)를 통해 폐쇄 고정하게 되는 것으로, 이는 개폐로드(371)를 회동 작동 및 몸체 가이드홈(341a)(341a')과 상부 가이드홈(356a)과 하부 가이드홈(366a)에 끼운 상태에서 개폐레버(372)를 이용하여 가압 고정하면 된다.
이때, 가압 고정은 상기 가압부재(375)는 상부 고정부(350)의 상부 돌출부(356) 상부에 거치시킨 상태에서 개폐레버(372)를 개폐로드(371)와 직각을 이루도록 힌지 회동시키면 되는 것으로, 이에 개폐레버(372)의 캠(373)은 가압부재(375)의 상부를 가압하게 되는 것인바, 상,하부 안착홈(351)(361)에 수용된 수평대(320)의 가압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은 개폐부(370)의 작동은 한 번의 작동으로 상,하부 고정부(350)(360)에 각각 수용되는 복수의 수평대(320)를 일시에 원터치 고정이 가능하게 되는 등 난간유닛(300)의 설치가 매우 신속하게 편리하게 되며, 특히 양측 2열씩의 제1 난간설치관(140) 또는 제2 난간설치관(150)을 적용하게 되면 수평대(320)의 이중 장착 구조에 따른 사용자의 직접적인 접촉이 가해지는 수평대(320)의 보다 견고한 지지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난간유닛(300)은 제1 난간설치관(140) 또는 제2 난간설치관(150)에 선택 설치 가능한 것인바, 이는 작업 환경에 따라 선택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제1 난간설치관(140)에 난간유닛(300)을 설치시에는 작업자로 하여금 비교적 넓은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되며, 도 11을 참조하여 제2 난간설치관(150)에 난간유닛(300)을 설치시에는 작업자로 하여금 비교적 좁은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프레임본체(110)의 상부에는 발판(30)이 설치되는 것으로, 발판(30)은 일예로 제1 난간설치관(140)에 난간유닛(300)이 설치시에는 전방 및 후방에 돌출 형성되는 발판지지편(113)(113')의 사이에 안착 설치하면 되고, 도 11을 참조하여 제2 난간설치관(150)에 난간유닛(300)이 설치시에는 수직대(310)와 전방에 위치되는 발판지지편(113) 사이에 안착 설치하면 될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조립 설치되는 본 고안 조립식 구조를 갖는 고소작업대(1)는 작업 현장의 길이에 따라 발판프레임(100)을 이웃하여 연속 설치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며, 이런 설치시에 수평대(320)는 이웃하는 발판프레임(100)에 설치되는 난간유닛(300)의 클램프(330)에 연속하여 연결 사용하면 될 것이다.
한편, 발판프레임(100)을 사용함에 있어 도 12의 도시와 같이 액화천연가스 운반선(LNG선)의 리퀴드 돔(Liquid dome)과 같이 작업 벽면이 수직으로 경사 구성되는 경우에는 높낮이 지지대(200)를 중심으로 하여 그 간격이 벌어질 수 있는 것인데, 이때에는 도 12를 참조하여 연장프레임(160)을 이용하여 그 벌어진 간격의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즉, 프레임본체(110)에 연장프레임(160)을 결합하여 그 연장 사용이 가능하되, 이는 연장프레임(160)의 본체 결합홈(161)에 프레임본체(110)의 선단을 삽입 및 양측면에 형성된 연장프레임 조립공(162)(162')과 프레임본체(110)의 연장 조립공(116)(116')의 볼팅 체결을 통해 결합 가능하게 된다.
이에, 상기와 같이 연장프레임(160)을 통해 프레임본체(110)의 길이 연장이 가능하며, 연장된 프레임본체(110)는 연장프레임(160)의 선단에 형성되는 제2 수평설치공(163)을 통해 지그(20)에 고정 설치하면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연장되는 연장프레임(160)은 그 연장프레임 조립공(162)(162')이 수평 방향으로 다수 구성된 것인바, 프레임본체(110)의 연장 조립공(116)(116')의 위치 선택에 따라 다양한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 조립식 구조를 갖는 고소작업대는 발판프레임과 높낮이 지지대와 난간유닛이 조립식 구조를 이루게 구성된 것인바, 효율적이면서 안정적인 사용과 작업자의 충분한 안전이 확보되게 된다.
100 : 발판프레임 110 : 프레임본체
111 : 보강대 111a : 지지봉 고정공
111b : 지지봉 안착홈 112 : 수평설치공
113,113' : 발판지지편 114 : 축관
115 : 지지봉 지지브라켓 115a : 지지봉 고정공
116,116' : 연장 조립공 120 : 지지봉
120a : 축 121,121' : 높이 조절공
130 : 고정수단 131 : 볼트
132 : 너트 140 : 제1 난간설치관
141 : 제1 난간결합공 150 : 제2 난간설치관
151 : 제2 난간결합공 160 : 연장프레임
161 : 본체 결합홈 162,162' : 연장프레임 조립공
163 : 제2 수평설치공 164 : 연장 발판지지편
200 : 높낮이 지지대 210 : 지지판
211 : 축설부 220 : 지지관
221,221' : 지지봉 고정공
300 : 난간유닛 310 : 수직대
320 : 수평대 330 : 클램프
340 : 클램프 몸체 341,341' : 상,하부 체결안내부
341a,341a' : 몸체 가이드홈 350 : 상부 고정부
351 : 상부 안착홈 355 : 상부 체결대
356 : 상부 돌출부 356a : 상부 가이드홈
360 : 하부 고정부 361 : 하부 안착홈
365 : 하부 체결대 366 : 하부 돌출부
366a : 하부 가이드홈 370 : 개폐부
371 : 개폐로드 372 : 개폐레버
373 : 캠 375 : 가압부재

Claims (6)

  1. 고소작업 과정에서 작업자가 디디고 작업 및 이동이 가능한 발판이 설치되는 발판프레임(100);
    발판프레임(100)의 후방 지지 및 그 발판프레임(100)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높낮이 지지대(200); 및
    발판프레임(100)에 설치되어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난간유닛(300)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발판프레임(100)은,
    중앙이 관통된 직사각형 형태의 프레임본체(110);
    프레임본체(110)의 후단으로부터 회동 절첩되며 전개시 높낮이 지지대(200)와 결합되며, 다수단의 높이 조절공(121)(121')이 형성된 지지봉(120);
    지지봉(120)의 접이 및 전개 상태를 고정하는 고정수단(130);
    프레임본체(110)의 후단에 형성되어 난간유닛(300)이 설치되는 제1 난간결합공(141)을 갖는 제1 난간설치관(140); 및
    프레임본체(110)의 중간부에서 제1 난간설치관(140)과 이격 형성되어 난간유닛(300)이 설치되는 제2 난간결합공(151)을 갖는 제2 난간설치관(150)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난간유닛(300)은 제1,2 난간설치관(140)(150)에 선택 결합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구조를 갖는 고소작업대.
  2. 제 1항에 있어서,
    프레임본체(110)에는,
    관통된 폭 방향을 연결하여 보강하며 상부에는 지지봉(120)이 프레임본체(110)의 저면으로 접이시 어느 하나의 높이 조절공(121)(121')과 연통되어 고정수단(130)으로 고정 가능한 지지봉 고정공(111a)이 더 형성되고, 저면에는 지지봉(120)이 프레임본체(110) 저면으로 접이시 삽입 안착이 가능한 지지봉 안착홈(111b)이 더 형성되며, 일측에는 제2 난간설치관(150)이 형성되는 보강대(111)가 형성되고,
    선단 양측에는 수평 관통되어 선박에 설치 가능한 수평설치공(112)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폭방향 2개가 한 조를 이루는 길이방향 2개조의 발판지지편(113)(113')이 돌출 형성되고,
    후단 내측에는 지지봉(120)이 축(120a) 결합되는 축관(114)이 더 형성되며,
    후단 저면에는 지지봉(120)이 직각으로 전개시 그 지지봉(120)을 고정 지지하는 한편, 어느 하나의 높이 조절공(121)(121')과 연통되어 고정수단(130)으로 고정 가능한 지지봉 고정공(115a)을 갖는 지지봉 지지브라켓(115)이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구조를 갖는 고소작업대.
  3. 제 1항에 있어서,
    프레임본체(110)에 결합되어 그 프레임본체(110)이 길이 연장이 가능한 연장프레임(16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프레임본체(110)에는,
    전방 양측에 프레임본체(110)의 연장 사용이 가능한 연장 조립공(116)(116')을 더 형성하고,
    연장프레임(160)은,
    일측으로 개방되어 프레임본체(110)가 삽입되는 본체 결합홈(161)이 형성되고,
    후방 양측에는 프레임본체(110)의 연장 조립공(116)(116')과 대응되는 다수의 연장프레임 조립공(162)(162')이 형성되며,
    선단 측에는 수평 관통되어 선박에 설치 가능한 제2 수평설치공(163)이 형성되고,
    선단 상부에는 프레임본체(110)의 발판지지편(113)(113')과 대응되는 폭방향 양측 한 쌍의 연장 발판지지편(164)이 돌출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구조를 갖는 고소작업대.
  4. 제 1항에 있어서,
    높낮이 지지대(200)는,
    지면에 지지되며, 상부에는 축설부(211)가 형성된 지지판(210); 및
    하단이 지지판(210)의 상부에서 축설부(211)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하며, 지지봉(120)이 삽입 고정되는 지지관(220)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지지관(220)에는,
    상,하로 지지봉(120)의 높이 조절공(121)(121')과 대응되는 다수단의 지지봉 고정공(221)(221')이 형성되어 높이 조절공(121)(121')의 상,하 위치 조절 및 볼팅 결합되어 지지봉(120)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구조를 갖는 고소작업대.
  5. 제 1항에 있어서,
    난간유닛(300)은,
    하부에는 난간결합공(311)이 형성되어 하단이 제1 난간설치관(140) 또는 제2 난간설치관(150)에 삽입 결합되는 수직대(310);
    수직대(310)에 연결되는 수평대(320);
    수직대(310)에 형성되어 복수의 수평대(320)를 연결하는 적어도 한 단 이상의 클램프(330)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클램프(330)는,
    수직대(310)로부터 직각 돌출 형성되며, 선단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몸체 가이드홈(341a)(341a')을 갖는 상,하부 체결안내부(341)(341')가 형성된 클램프 몸체(340);
    클램프 몸체(340)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어 복수의 수평대(320)를 분리 및 그 수평대(320)를 고정하되, 각각에는 수평대(320)가 수용 고정되는 상,하부 안착홈(351)(361)이 형성된 상,하부 고정부(350)(360); 및
    상,하부 고정부(350)(360)의 개폐 및 수평대(320)의 가압 고정을 단속하는 개폐부(37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구조를 갖는 고소작업대.
  6. 제 5항에 있어서,
    상부 고정부(350)는,
    힌지 회동 작동하며, 단부에는 상부 체결안내부(341)와 대응되도록 상부 가이드홈(356a)을 갖는 상부 돌출부(356)가 돌출 형성된 상부 체결대(355)가 형성되어 상부 안착홈(351)을 개폐하게 구성하며,
    하부 고정부(360)는,
    힌지 회동 작동하며, 단부에는 하부 체결안내부(341')와 대응되도록 하부 가이드홈(366a)을 갖는 하부 돌출부(366)가 돌출 형성된 하부 체결대(365)가 형성되어 하부 안착홈(361)을 개폐하게 구성하며,
    개폐부(370)는,
    하부 돌출부(366)에 힌지 연결되어 회동 작동하며, 상,하부 고정부(350)(360)를 폐쇄시 몸체 가이드홈(341a)(341a')과 상부 가이드홈(356a)과 하부 가이드홈(366a)에 끼움 걸림되는 개폐로드(371);
    개폐로드(371)의 단부에서 힌지 작동하며, 캠(373)이 형성되어 힌지 회동시 가압력을 부여하는 개폐레버(372); 및
    개폐로드(371)에 형성되어 개폐레버(372) 작동시 캠(373)에 의해 상부 돌출부(356)에 가압력을 부여하는 가압부재(375)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구조를 갖는 고소작업대.
KR2020180004784U 2018-10-22 2018-10-22 조립식 구조를 갖는 고소작업대 KR2004922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784U KR200492251Y1 (ko) 2018-10-22 2018-10-22 조립식 구조를 갖는 고소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784U KR200492251Y1 (ko) 2018-10-22 2018-10-22 조립식 구조를 갖는 고소작업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858U true KR20200000858U (ko) 2020-05-04
KR200492251Y1 KR200492251Y1 (ko) 2020-09-04

Family

ID=70615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4784U KR200492251Y1 (ko) 2018-10-22 2018-10-22 조립식 구조를 갖는 고소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25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161U (ko) 2020-07-09 2022-01-18 성화시스템챤넬(주) 조립식 고소작업대
KR20230012151A (ko) 2021-07-15 2023-01-26 성화시스템챤넬(주) 조립식 고소작업대
KR102506580B1 (ko) 2021-12-29 2023-03-06 (유)은강산업 이동용 작업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9583B1 (ko) 2020-12-11 2023-01-16 한국전력공사 변압기 안전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KR102516845B1 (ko) 2022-09-29 2023-03-31 (주) 엠제이플랜트 안정성이 향상된 고소 작업대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2757A (ja) * 1993-10-08 1995-04-18 Maki Tekkosho:Kk 脚立兼用作業台
JPH07229287A (ja) * 1993-12-24 1995-08-29 Japan Steels Internatl Kk 伸縮足場装置
KR20100000386U (ko) * 2008-07-03 2010-01-1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티-바 물림 접이식 작업대
KR20110002796U (ko) 2009-09-14 2011-03-22 구점준 선박작업용 족장 설치대
KR200481467Y1 (ko) 2016-02-03 2016-10-04 공준혁 플랜트 설비용 족장 어셈블리
KR20170124181A (ko) * 2016-05-02 2017-11-10 대명테크 주식회사 원터치 클램프 어셈블리 및 그를 포함하는 레일링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2757A (ja) * 1993-10-08 1995-04-18 Maki Tekkosho:Kk 脚立兼用作業台
JPH07229287A (ja) * 1993-12-24 1995-08-29 Japan Steels Internatl Kk 伸縮足場装置
KR20100000386U (ko) * 2008-07-03 2010-01-1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티-바 물림 접이식 작업대
KR20110002796U (ko) 2009-09-14 2011-03-22 구점준 선박작업용 족장 설치대
KR200481467Y1 (ko) 2016-02-03 2016-10-04 공준혁 플랜트 설비용 족장 어셈블리
KR20170124181A (ko) * 2016-05-02 2017-11-10 대명테크 주식회사 원터치 클램프 어셈블리 및 그를 포함하는 레일링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161U (ko) 2020-07-09 2022-01-18 성화시스템챤넬(주) 조립식 고소작업대
KR20230012151A (ko) 2021-07-15 2023-01-26 성화시스템챤넬(주) 조립식 고소작업대
KR102506580B1 (ko) 2021-12-29 2023-03-06 (유)은강산업 이동용 작업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2251Y1 (ko) 2020-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00858U (ko) 조립식 구조를 갖는 고소작업대
KR101985143B1 (ko) 비계 장치의 코너구조물
JP2609170B2 (ja) 足 場
JP4260106B2 (ja) 作業架台
US6732836B2 (en) Mounting method for a handrail in a frame scaffolding
US6494291B2 (en) Foldable scaffold device
KR101425666B1 (ko) 작업발판용 접이식 등주장치
EP2496387B1 (en) A combined portable step stool and workpiece support device
JP3352089B2 (ja) 多重折畳みステージ
US3788424A (en) Hoist assembly for use on scaffolds
KR200492307Y1 (ko) 고소작업용 발판프레임
KR102381438B1 (ko) 말비계 겸용 a자형 안전사다리
US6749041B1 (en) Joist scaffold unit
EP0338145B1 (en) Foldable scaffolding unit
KR102312869B1 (ko) 사다리 장치
CN220790501U (zh) 一种折叠式楼梯间施工辅助站人装置
JP3899298B2 (ja) 仮設階段用踊り場
KR200493447Y1 (ko) 이동 및 보관의 편의성이 극대화된 스마트 안전 작업대
KR102097359B1 (ko) 조립식 평상 구조물 및 이 평상 구조물이 구성된 조립식 가제보
GB2028642A (en) Workbench
JP6912093B2 (ja) 支持具
KR102154293B1 (ko) 에이형 사다리의 안전 가이드 구조
KR200291995Y1 (ko)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접철식 비계틀
JPH11311034A (ja) 仮設観覧席
KR970005520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절첩식 작업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