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161U - 조립식 고소작업대 - Google Patents

조립식 고소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161U
KR20220000161U KR2020200002457U KR20200002457U KR20220000161U KR 20220000161 U KR20220000161 U KR 20220000161U KR 2020200002457 U KR2020200002457 U KR 2020200002457U KR 20200002457 U KR20200002457 U KR 20200002457U KR 20220000161 U KR20220000161 U KR 2022000016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illar
support
fixed
fra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24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5147Y1 (ko
Inventor
김대식
Original Assignee
성화시스템챤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화시스템챤넬(주) filed Critical 성화시스템챤넬(주)
Priority to KR20202000024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147Y1/ko
Publication of KR202200001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1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1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14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5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essentially comprising special means for supporting or forming platforms;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6Struts or stiffening rods, e.g. diagonal r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고소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바닥 및 천정슬래브 사이에 고정되는 기둥프레임과 상기 기둥프레임에 고정되어 일정높이의 작업공간을 싱글 또는 더블형태로 구성되는 작업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공간부에 작업자의 출입을 통제함과 함께 작업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도어부를 구성함으로써, 분해, 조립의 간편성과 확고한 고정에 의한 견고성과, 작업자의 출입통제에 따른 안전사고 발생을 예방하는 안전성 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바닥 및 천정슬래브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의 일단에 구성되어, 작업자의 안전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싱글타입의 작업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둥부는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이 합체가 구성되고, 일정간격으로 복수로 구성되는 기둥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기둥프레임들 상단 및 하단 각각에 구성되어, 고정수단에 의해 천정 및 바닥슬래브 사이에 상기 기둥프레임이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상단 및 하단브라켓과; 상기 복수의 기둥프레임 제1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고정되는 복수의 제1연결브라켓과; 상기 복수의 제1연결브라켓 각각에 양단 각각이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기둥프레임에 대하여 보강력을 강화하는 복수의 보강바와; 상기 복수의 기둥프레임 제2프레임의 길이방향을 일정간격으로 고정되는 복수의 제2연결브라켓; 및 상기 복수의 제2연결브라켓 각각에 양단이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되, 일정각도 기울어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기둥프레임에 대한 내진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복수의 내진보강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고소작업대{A prefabricated high-place workable}
본 고안은 조립식 고소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다 및 천정슬래브 사이에 고정되는 기둥프레임과 상기 기둥프레임에 고정되어 일정높이의 작업공간을 싱글 또는 더블형태로 구성되는 작업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공간부에 작업자의 출입을 통제함과 함께 작업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도어부를 구성함으로써, 분해, 조립의 간편성과 확고한 고정에 의한 견고성과, 작업자의 출입통제에 따른 안전사고 발생을 예방하는 안전성 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조립식 고소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상에서 건축물의 벽체 내, 외장작업 또는 대형선박의 내,외장 작업을 하기 위해서 건축물 또는 대형선박의 개별적 블록의 내, 외부에는 건축물 또는 개별적 블록 높이로 조립된 고소(高所) 작업대가 설치된다. 상기 고소작업대는 작업자가 소정의 내, 외장작업을 하기 위한 발판이 여러 층으로 설치되며, 각각의 발판 외측에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안전장치가 필수적으로 설치된다.
상기한 고소작업대는 설치된 후 소정의 작업이 종료되면, 장치를 해체하고, 또 다른 고소의 작업장에 설치하여 사용하게 되는 반복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고소작업대는 대부분 대형화된 구조를 이룸에 따라, 그 구조가 복잡하고, 설치사용이 매우 불편하였으며, 운반이나 보관 등의 취급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의 고소작업대는 작업높이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판이 설치되어, 상기 발판을 통해 작업자가 통행하면서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바, 이 경우, 조립식의 특성상 발판의 설치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발판이 설치될 경우 고소작업대의 외측부에 별도의 사다리를 구성하여, 지면에서부터 발판이 설치된 작업공간까지 이동하도록 하였다.
이때, 고소작업대의 외측에 구성된 사다리를 통해 작업구간별 이동할 때, 작업자의 실수 등에 의해 낙하될 수 있다는 안전상의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에, 상기 고소작업대의 외측에 상기 사다리를 통해 안전한 통행을 보장하기 위한 별도의 안전장치를 추가 구성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고소작업대에 별도의 안전장치를 추가함에 따른 조립의 복잡성과, 조립 및 해체시 작업공수의 추가로 작업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438983호(2008.03.14. 공고)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1903023호(2018.10.01. 공고)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20-858호(2020.05.04. 공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닥 및 천정슬래브 사이에 고정되는 기둥프레임과 상기 기둥프레임에 고정되어 일정높이의 작업공간을 싱글 또는 더블형태로 구성되는 작업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공간부에 작업자의 출입을 통제함과 함께 작업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도어부를 구성함으로써, 분해, 조립의 간편성과 확고한 고정에 의한 견고성과, 작업자의 출입통제에 따른 안전사고 발생을 예방하는 안전성 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조립식 고소작업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닥 및 천정슬래브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의 일단에 구성되어, 작업자의 안전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싱글타입의 작업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둥부는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이 합체가 구성되고, 일정간격으로 복수로 구성되는 기둥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기둥프레임들 상단 및 하단 각각에 구성되어, 고정수단에 의해 천정 및 바닥슬래브 사이에 상기 기둥프레임이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상단 및 하단브라켓과; 상기 복수의 기둥프레임 제1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고정되는 복수의 제1연결브라켓과; 상기 복수의 제1연결브라켓 각각에 양단 각각이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기둥프레임에 대하여 보강력을 강화하는 복수의 보강바와; 상기 복수의 기둥프레임 제2프레임의 길이방향을 일정간격으로 고정되는 복수의 제2연결브라켓; 및 상기 복수의 제2연결브라켓 각각에 양단이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되, 일정각도 기울어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기둥프레임에 대한 내진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복수의 내진보강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작업공간부는, 상단에 발판이 구성되어 작업자의 통행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받침프레임과; 상기 받침프레임의 상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는 안전난간과; 상기 발판의 일측에 구성되어, 작업자의 출입을 통제할 수 있도록 개폐되는 도어부와; 상기 안전난간의 상단부와 기둥프레임의 제1프레임 사이에 구성되어 보강력을 강화시키는 상부보강리브; 및 상기 안전난간의 하단부와 기둥프레임의 제1프레임 사이에 구성되어 보강력을 강화시키는 하부보강리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도어부는, 상기 발판에 형성된 개구부에 위치되는 개폐판과; 상기 개폐판의 하단부에 구성되어 이송력을 발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캐스터와; 상기 개폐판의 일측에 구성되는 손잡이와; 상기 개폐판의 양단측에 각각 구성되고, 내측에 상기 캐스터가 수납되어 상기 캐스터의 이송을 안내하며, 개폐판의 개폐작용으로 발판의 개구부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받침프레임의 일측에 구성되는 복수의 도어레일; 및 상기 받침프레임과 복수의 도어레일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도어레일이 받침프레임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일고정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받침프레임은 기둥프레임의 제1프레임 일측에서 일정길이 연장되는 복수의 제1받침바와, 상기 복수의 제1받침바의 끝단에 고정되는 제2받침바와, 상기 복수의 제1받침바 사이에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간보강바와, 상기 제1프레임과 제1받침바 사이에 구성되어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복수의 제3연결브라켓, 및 상기 제1받침바와 중간보강바 사이에 구성되어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복수의 제4연결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안전난간은 상기 받침프레임의 일측에서 수직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받침프레임의 상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는 제1테두리프레임과, 상기 제1테두리프레임과 일정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는 제2테두리프레임과, 상기 제2테두리프레임과 일정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는 제3테두리프레임과, 받침프레임과 수직프레임 사이에 구성되어 고정력을 발휘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연결브라켓과, 기둥프레임의 제1프레임과 제1 내지 제3테두리프레임 사이에 구성되어 고정력을 발휘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6연결브라켓과, 상기 수직프레임과 제1 내지 제3테두리프레임 사이에 구성되어 고정력을 발휘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7연결브라켓, 및 상기 제1 및 제2테두리프레임의 외주연에 구성되어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도록 일정간격으로 다수 구성되는 난간대를 포함하며; 상기 상,하부보강리브 각각은 안전난간과 제1프레임 사이에 구성되어 보강력을 제공하는 상,하부보강바, 및 상기 상,하부보강바와 제1프레임 사이에 구성되어 고정력을 발휘하도록 하는 복수의 제8 및 제9연결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바닥 및 천정슬래브 사이에 고정되는 기둥프레임과 상기 기둥프레임에 고정되어 일정높이의 작업공간을 싱글 또는 더블형태로 구성되는 작업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공간부에 작업자의 출입을 통제함과 함께 작업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도어부를 구성함으로써, 분해, 조립의 간편성과 확고한 고정에 의한 견고성과, 작업자의 출입통제에 따른 안전사고 발생을 예방하는 안전성 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고소작업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고소작업대의 측면도로서,
2a는 더블타입 작업공간부이고, 2b는 싱글타입 작업공간부이다.
도 3은 도 1의 부분 확대도로서,
3a는 "A"부 확대도이고, 3b는 "B"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작업공간부의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부의 설치상태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부의 설치상태 정단면도로서,
6a는 사시도이고, 6b는 6a의 "C"부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부의 설치상태 측단면도로서,
7a는 사시도이고, 7b는 7a의 "D"부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부의 개폐판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조립식 고소작업대(1)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부(10), 및 층간작업공간부(20)를 포함하여 트러스트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조립의 간편성과 운반의 용이성 및 구조물의 견고성을 가지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기둥부(10) 및 작업공간부(20)는 다수의 프레임과 상기 다수의 프레임들을 연결하는 브라켓으로 이루어지는 프로파일 방식의 조립식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일면에 일정폭을 가지는 개구가 길이방향으로 따라 형성된 C형강 형태로 형성되고, 다른 일면들에는 다수의 통공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기둥부(10)는 바닥슬래브(2)와 천정슬래브(3) 사이에 구성되어, 고정력을 발휘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기둥부(10)는 일정간격으로 복수로 구성된다.
상기 기둥부(10)는 기둥프레임(110)과, 상단브라켓(120)과, 하단브라켓(130)과, 제1연결브라켓(140)과, 보강바(150)와, 제2연결브라켓(160), 및 내진보강바(170)를 포함한다.
상기 기둥프레임(110)은 바닥 및 천정슬래브(2)(3) 사이에 구성되어, 버팀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기둥프레임(110)은 횡방향에 대하여 일정간격으로 복수로 구성됨으로써, 작업공간부(20)의 일단에 버팀에 의한 고정력이 작용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기둥프레임(110)은 상기 작업공간부(20)의 일단에 구성되는 싱글타입을 기본으로 하고, 경우에 따라서, 상기 작업공간부(20)의 양단 각각에 구성되는 더블타입도 사용 가능하다.
상기 기둥프레임(110)은 제1 및 제2프레임(112)(114)이 합체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112)(114)은 일면에 형성된 개구가 상호 외측방향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프레임(112)은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보강바(150)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버팀에 의한 고정력이 발휘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제1프레임(112)은 작업공간부(20)가 형성된 방향의 내측에 구성된다.
상기 제2프레임(114)은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내진보강바(170)가 형성되어, 고소작업대(1)에 대한 내진성을 강화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제2프레임(114)은 작업공간부(20)가 형성된 방향의 외측에 구성된다.
상단브라켓(120)은 상기 기둥프레임(110)의 상단부에 구성되어, 천정슬래브(3)의 하단에 확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력을 발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상단브라켓(120)은 천정슬래브(3)의 하단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되는 일정폭의 상단판(122), 및 상기 상단판(122)의 일측에서 일정길이 연장되어, 체결수단에 의해 기둥프레임(110)의 상단부가 고정되도록 하는 상단지지판(124)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단판(122)은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되어, 천정슬래브(3)의 하단에 앵커볼트 또는 기타 고정력을 발휘할 수 있는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상단판(122)이 확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단지지판(124)은 상기 상단판(122)에서 일정높이 연장되고, 기둥프레임(110)의 일면에 위치되어,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기둥프레임(110)이 고정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상단지지판(124)은 상기 기둥프레임(110)의 양단 각각에 위치되도록 복수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체결수단은 볼트와 너트, 직결볼트 또는 고소작업대에 사용되는 전용 볼트 등으로 구성되어, 기둥프레임(10) 및 작업공간부(20)를 형성하는 프레임과 브라켓 등을 용이하게 체결,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하단브라켓(130)은 상기 기둥프레임(110)의 하단부에 구성되어, 바닥슬래브(2)의 상단에 확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력을 발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하단브라켓(130)은 바닥슬래브(2)의 상단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되는 일정폭의 하단판(132), 및 상기 하단판(132)의 일측에서 일정길이 연장되어, 체결수단에 의해 기둥프레임(110)의 하단부가 고정되도록 하는 하단지지판(134)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단판(132)은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되어, 바닥슬래브(2)의 상단에 앵커볼트 또는 기타 고정력을 발휘할 수 있는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하단판(132)이 확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하단지지판(134)은 상기 하단판(132)에서 일정높이 연장되고, 기둥프레임(110)의 일면에 위치되어,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기둥프레임(110)이 고정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하단지지판(134)은 상기 기둥프레임(110)의 양단 각각에 위치되도록 복수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제1연결브라켓(140)은 기둥프레임(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가 구성되는 보강바(150)가 상기 기둥프레임(1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1연결브라켓(140)은 기둥프레임(110)의 일측 즉, 제1프레임(112)의 일측에 밀착되게 구성되어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제1지지바(142), 및 상기 제1지지바(142)의 일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보강바(150)의 일단이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제1안착바(144)를 포함한다.
상기 제1지지바(142)는 기둥프레임(110)의 제1프레임(112)에 확고한 밀착 및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복수의 면에 밀착상태를 유지하도록 'ㄴ' 또는 'ㄷ' 형태로 구성된다. 예컨대, 상기 'ㄴ'형태의 제1지지바(142)는 하나의 보강바(150) 일단에 대한 고정력이 발휘되도록 하는 위치에 사용되고, 'ㄷ'형태의 제1지지바(142)는 복수의 보강바(150) 양측 각각에 보강바(150)에 대한 고정력이 발휘되도록 하는 위치에 사용된다.
상기 제1안착바(144)는 'ㄷ'형태로 형성되어, 개방된 일면을 통해 보강바(150)를 삽입시켜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안착바(144)는 사각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제1안착바(144)를 내측으로 삽입시키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보강바(150)는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기둥프레임(110)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가 구성되어, 수직으로 세워진 기둥프레임(110)에 대하여 수평방향에 대한 보강력을 강화시키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복수의 기둥프레임(110) 사이에 설치된 제1연결브라켓(140)의 제1안착바(144) 사이에 양단 각각이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보강력을 발휘한다.
제2연결브라켓(160)은 기둥프레임(110)의 제2프레임(114)에 고정되어, 내진보강바(170)가 상기 기둥프레임(1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2연결브라켓(160)은 기둥프레임(110)의 제2프레임(114)에 밀착되어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제2지지바(162)와, 상기 제2지지바(162)의 일측에 수평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내진보강바(170)의 일단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제2안착바(164)를 포함한다.
상기 제2지지바(162)는 상술된 제1지지바(142)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 및 구조를 형성함에 따라 여기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안착바(164)는 상기 제2지지바(162)의 일측에 구성되어, 내진보강바(170)의 일단이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 경우, 상기 제2안착바(164)에는 일측에 힌지에 의해 힌지결합된 절첩바(166)가 구성된다.
즉, 상기 제2안착바(164)는 일단이 제2지지바(162)에 고정되고, 타단에 힌지에 의해 결합된 절첩바(166)가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절첩바(166)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됨에 따라 내진보강바(170)의 일정각도 경사진 연결상태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내진보강바(170)는 복수의 기둥프레임(110)의 제2프레임(114) 사이 각각에 구성된 복수의 제2연결브라켓(160)에 의해 양단 각각이 고정되어, 기둥프레임(110)에 대한 내진성을 강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내진보강바(170)는 일정각도 기울어진 형태로 복수의 기둥프레임(110) 사이에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연결브라켓(160)의 절첩바(166)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이 이루어져, 상기 내진보강바(170)의 경사진 형태의 조립이 용이하다.
작업공간부(20)는 기둥프레임(10)의 일단에 작업자의 작업이 용이하도록 작업공간을 형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작업공간부(20)는 작업형태에 따라 상기 기둥프레임(10)에 하나 또는 일정간격을 가지도록 복수로 구성된다.
상기 작업공간부(20)는 받침프레임(210)과, 안전난간(220)과, 도어부(230)와, 상부보강리브(240)와, 하부보강리브(250), 및 발판(260)을 포함한다.
상기 받침프레임(210)은 복수의 기둥프레임(110)의 제1프레임(112) 각각에서 수직으로 일정길이 돌출되게 구성되는 복수의 제1받침바(212)과, 상기 복수의 제1받침바(212)의 끝단에 구성되는 제2받침바(214)와, 상기 복수의 제1받침바(212) 사이에 복수로 구성되어 보강력을 강화하는 복수의 중간보강바(216)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프레임(112)과 제1받침바(212) 사이에 구성되어, 상호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제3연결브라켓(218), 및 상기 제1받침바(212)와 중간보강바(216) 사이에 구성되어, 상호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제4연결브라켓(319)을 포함한다.
즉, 상기 받침프레임(210)은 기둥프레임(110)의 제1프레임(112) 일측에 제3연결브라켓(218)의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제3연결브라켓(218)의 타단에 제1받침바(212)의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제3연결브라켓(218)에 의해 기둥프레임(11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일정길이를 가지는 복수의 제1받침바(212) 고정이 완료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제1받침바(212) 일측 각각에는 제4연결브라켓(219)의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제4연결브라켓(219)의 타단에 중간보강바(216)의 양단 각각이 고정됨으로써, 상기 복수의 제1받침바(212)에 대한 보강력이 강화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제3 및 제4연결브라켓(218)(219)은 상술된 제1연결브라켓(140)과 동일 또는 유사한 고정방식 및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받침바(212)(214)에는 제3 및 제4연결브라켓(218)(219)을 통해 상호 고정되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마감브라켓을 통해 연결하는 등의 연결방식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받침프레임(210)의 상면에는 작업자의 안전한 작업수행이 이루어지도록 발판(260)이 구성된다.
상기 발판(260)은 작업자의 안전한 통행 및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철판과 같은 판재형상이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수의 철편을 일정간격으로 구성한 크레이팅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판(260)에는 도어부(230)에 의해 개폐되면서, 작업자의 출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개구부가 구성된다.
안전난간(220)은 받침프레임(210) 상에 일정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받침프레임(210) 상에서 작업자의 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난간(欄干)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안전난간(220)은 수직프레임(221)과, 제1 내지 제3테두리프레임(222)(223)(224)과, 제5 내지 제7연결브라켓(225)(226)(227), 및 난간대(228)를 포함한다.
상기 수직프레임(221)은 받침프레임(210)의 외곽테두리 즉, 제1 및 제2받침바(212)(214)에 대하여 수직으로 일정높이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작업공간부(20)에 대한 주(主) 고정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수직프레임(210)은 받침프레임(210)의 외곽테두리에 대하여 일정간격으로 다수가 형성된다.
제1 내지 제3테두리프레임(222)(223)(224)은 받침프레임(210) 즉, 제1 및 제2받침바(212)(214)와 동일 또는 유사한 크기로 형성되되, 상기 수직프레임(2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가 구성되어, 작업자의 작업안전성을 보장하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1테두리프레임(222)은 받침프레임(210)에 대하여 상방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구성되어, 안전난간(220)의 하단에 대한 받침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2테두리프레임(223)은 상기 제1테두리프레임(222)에서 상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안전난간(220)의 상단에 대한 받침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3테두리프레임(224)은 상기 제2테두리프레임(223)에서 상방에서 일정격되게 구성되어, 수직프레임(221)에 대한 보강 및 안전난간의 보강력이 작용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제3테두리프레임(224)은 경우에 따라서 생략 가능하다.
제5연결브라켓(225)은 받침프레임(210)과 수직프레임(221)의 하단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받침프레임(210)에 대하여 수직프레임(221)이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력을 제공한다.
제6연결브라켓(226)은 기둥프레임(110)의 제1프레임(112)과 제1 내지 제3테두리프레임(222)(223)(224) 사이의 연결부위에 구성되어, 상기 제1프레임(112)에 대하여 제1 내지 제3테두리프레임(222)(223)(224)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력을 제공한다.
제7연결브라켓(227)은 수직프레임(221)과 제1 내지 제3테두리프레임(222)(223)(224)의 상호 연결부위에 구성되어, 상기 수직프레임(221)에 대하여 제1 내지 제3테두리프레임(222)(223)(224)이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난간대(228)는 제1 및 제2테두리프레임(222)(223)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테두리프레임(222)(223) 사이공간으로 작업자 등의 추락사고를 방지하도록 복수로 구성된다.
상기 난간대(228)는 수직으로 세워지는 난간봉(2282), 및 상기 난간봉(2282)의 상,하단 각각에 구성되고, 일면이 개구되는 고정대(2284)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대(2284)의 개구(開口)로 제1 및 제2테두리프레임(222)(223)의 일측을 삽입시킨 후 체결수단으로 확고하게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난간대(228)의 설치를 완료한다.
도어부(230)는 받침프레임(210)의 일측에 구성되어, 작업공간부(20)로 작업자의 안전한 출입을 보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도어부(230)는 개폐판(232)과, 캐스터(234)와, 손잡이(236)와, 도어레일(238), 및 레일고정브라켓(239)를 포함한다.
상기 개폐판(232)은 받침프레임(210) 상에 구성된 발판(260)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에 구성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개폐판(232)은 상기 발판(260)의 개구부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상판(2322), 및 상기 상판(2322)의 일단에 하향되게 절곡되어, 전방에 구성되는 보강바(150)에 계합되는 절곡판(2324)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개폐판(232)은 절곡판(2324)의 대향된 방향으로 개폐가 이루어진다.
캐스터(234)는 상기 개폐판(232)의 하단 각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성되어, 상기 개폐판(232)의 원활한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송기능을 수행한다.
손잡이(236)는 개폐판(232)의 일측 예컨대, 절곡판(2324)의 근접된 위치에 개폐판(232)의 상,하단 각각에 구성되어, 작업자가 작업공간부(20)으로 출입하고자할 때, 상기 개폐판(232)의 개폐를 원활하게 수행하도록 한다.
도어레일(238)은 받침프레임(210)에 구성되는 복수의 제1받침바(212) 각각 일측에 구성되고, 내측에 복수의 캐스터(234)가 삽입되어, 개폐판(232)의 개폐가 이루어질 때, 상기 캐스터(234)의 이동을 안내 및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도어레일(238)은 기둥프레임(10) 및 작업공간부(20)에서 채용하고 있는 프레임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프레임은 C형강 형태의 프로파일로 구성되고, 일면에 일정폭의 개구가 형성된 형상으로서, 내측에 캐스터(234)를 삽입시킨 후 상기 캐스터(234)에서 연장된 고정축이 상기 프레임의 개구를 통해 개폐판(232)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개폐판(232)에 캐스터(234)의 고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레일고정브라켓(239)은 받침프레임(210)의 제1받침바(212)와 도어레일(238)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제1받침바(212)에 의해 도어레일(238)이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한다.
상부보강리브(240)는 작업공간부(20)의 상방에 구성되어, 기둥부(10)에 대하여 작업공간부(20)의 상방에 대한 버팀 및 고정력이 발휘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상부보강리브(240)는 상부보강바(242), 및 제8연결브라켓(244)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보강바(242)는 기둥프레임(110)의 제1프레임(112)과 안전난간(220)의 상단 즉, 제3테두리프레임(224) 사이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버팀 및 고정력이 강화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상부보강바(242)는 일정각도 기울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8연결브라켓(244)은 제1프레임(112)과 상부보강바(242) 또는 제3테두리프레임(224)과 상부보강바(242)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제1프레임(112)과 제3케두리프레임(224) 사이에 상부보강바(242)가 확고하게 고정되도록 지지한다.
이 경우, 상기 제8연결브라켓(244)은 상술된 제2연결브라켓(160)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및 작용관계를 가지므로 여기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하부보강리브(250)는 작업공간부(20)의 하방에 구성되어, 기둥부(10)에 대하여 작업공간부(20)의 하방에 대한 버팀 및 고정력이 발휘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하부보강리브(250)는 하부보강바(252), 및 제9연결브라켓(254)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보강바(252)는 기둥프레임(110)의 제1프레임(112)과 안전난간(220)의 하단 즉, 제1테두리프레임(222) 사이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버팀 및 고정력이 강화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하부보강바(252)는 일정각도 기울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9연결브라켓(254)은 제1프레임(112)과 하부보강바(252) 또는 제1테두리프레임(222)과 하부보강바(252)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제1프레임(112)과 제1케두리프레임(222) 사이에 하부보강바(252)가 확고하게 고정되도록 지지한다.
이 경우, 상기 제9연결브라켓(254)은 상술된 제2연결브라켓(160)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및 작용관계를 가지므로 여기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고소작업대의 조립 및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바닥 및 천정슬래브(2)(3) 사이에 복수의 기둥프레임(110)과, 상기 복수의 기둥프레임(110)의 사이에 다수의 보강바(150), 및 내진보강바(170)로 이루어진 기둥부(10)를 구성한다.
즉, 상기 기둥프레임(110)의 상단 및 하단 각각에 구성된 상단 및 하단브라켓(120)(130)을 이용하여, 바닥 및 천정슬래브(2)(3) 사이에 복수의 기둥프레임(110)을 고정하고, 상기 기둥프레임(110)의 제1프레임(112) 일측에 제1연결브라켓(140)을 고정하여, 상기 제1연결브라켓(140)에 의해 복수의 기둥프레임(110)의 사이공간에 다수의 보강바(150)를 고정한다.
이어서, 상기 기둥프레임(110)에는 제2연결브라켓(160)을 이용하여, 상기 기둥프레임(110)의 제2프레임(114)에 제2연결브라켓(160)의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에 일정각도 기울어지게 내진보강바(170)를 고정함으로써, 상기 보강바(150)에 의해 기둥프레임(110)의 보강력을 강화함과 함께, 내진보강바(170)에 의해 기둥프레임(110)의 내진성을 강화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기둥프레임(110)의 일측에 일정높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업공간부(20)를 구성한다.
상기 작업공간부(20)는 받침프레임(210)과 상기 받침프레임(210) 상에 구성되는 발판(260)과, 상기 받침프레임(210)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안전난간(220)과, 도어부(230)및 상,하단보강리브(240)(250)로 구성된다.
즉, 상기 받침프레임(210)은 기둥프레임(110)의 일측에 제3연결브라켓(218)을 고정하여, 상기 제3연결브라켓(218)의 타측에 제1받침바(212)가 복수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받침바(212) 사이에 제4연결브라켓(219)에 의해 중간받침바(216)가 고정되어 보강력을 발휘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받침바(212)의 끝단부에 제2받침바(214)가 고정됨으로써, 받침프레임(210)의 틀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받침프레임(210) 상에 발판(260)을 고정한다.
이때, 상기 발판(260)의 일측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개구부에 도어부(230)를 장착시켜, 작업자가 작업공간으로 출입됨을 보장함과 함께, 개구부를 통한 작업자 등의 임의 추락을 방지하도록 한다.
즉, 상기 도어부(230)는 개구부가 형성된 제1받침바(212)의 일측에 도어레일(238)을 레일고정브라켓(239)으로 고정한다.
그리고, 개폐판(232)의 하단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고정된 다수의 캐스터(234)를 상기 도어레일(238)에 삽입시켜, 상기 개폐판(232)이 도어레일(238)을 따라 이송됨으로써, 상기 개폐판(232)에 의해 발판(260)의 개구부를 개폐시킨다.
또한, 상기 도어부(230)가 장착된 받침프레임(210)의 상방에 안전난간(220)이 구성된다.
상기 안전난간(220)은 받침프레임(210)의 제1받침바(212) 일측에 제5연결브라켓(225)을 체결시켜, 상기 제5연결브라켓(225)에 의해 받침프레임(210)에서 일정높이를 가지는 복수의 수직프레임(221)을 고정하고, 상기 수직프레임(2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하방에서 상방에 순차적으로 제1 내지 3테두리프레임(222)(223)(224)을 제6연결브라켓(226)에 의해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테두리프레임(222)(223) 사이에 다수의 난간대(228)를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시켜 작업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받침프레임(210) 및 안전난간(220)에 대한 보강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상기 기둥프레임(110)과 안전난간(220)의 상단 사이에 상부보강리브(240)를 구성하고, 기둥프레임(110)과 받침프레임(210) 하단 사이에 하부보강리브(250)를 구성한다.
한편, 기둥부(10)에 복수의 작업공간부(20)가 형성될 경우에는, 복수의 작업공간부(20) 각각에 구성된 도어부(230)는 동일한 축선상에 위치되지 않고, 교호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조립식 고소작업대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고안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고소작업대 10: 기둥부
110: 기둥프레임 112: 제1프레임
114: 제2프레임 120: 상단브라켓
122: 상단판 124: 상단지지판
130: 하단브라켓 132: 하단판
134: 하단지지판 140: 제1연결브라켓
142: 제1지지바 144: 제1안착바
150: 보강바 160: 제2연결브라켓
162: 제2지지바 164: 제2안착바
166: 절첩바 170: 내진보강바
20: 작업공간부 210: 받침프레임
212: 제1받침바 214: 제2받침바
216: 중간보강바 218: 제3연결브라켓
219: 제4연결브라켓 220: 안전난간
221: 수직프레임 222: 제1테두리프레임
223: 제2테두리프레임 224: 제3테두리프레임
225: 제5연결브라켓 226: 제6연결브라켓
227: 제7연결브라켓 228: 난간대
2282: 난간봉 2284: 고정대
230: 도어부 232: 개폐판
234: 캐스터 236: 손잡이
238: 도어레일 239: 레이고정브라켓
240: 상부보강리브 242: 상부보강바
244: 제8연결브라켓 250: 하부보강리브
252: 하부보강바 254: 제9연결브라켓
260: 발판

Claims (4)

  1. 바닥 및 천정슬래브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의 일단에 구성되어, 작업자의 안전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싱글타입의 작업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둥부는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이 합체가 구성되고, 일정간격으로 복수로 구성되는 기둥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기둥프레임들 상단 및 하단 각각에 구성되어, 고정수단에 의해 천정 및 바닥슬래브 사이에 상기 기둥프레임이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상단 및 하단브라켓과;
    상기 복수의 기둥프레임 제1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고정되는 복수의 제1연결브라켓과;
    상기 복수의 제1연결브라켓 각각에 양단 각각이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기둥프레임에 대하여 보강력을 강화하는 복수의 보강바와;
    상기 복수의 기둥프레임 제2프레임의 길이방향을 일정간격으로 고정되는 복수의 제2연결브라켓; 및
    상기 복수의 제2연결브라켓 각각에 양단이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되, 일정각도 기울어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기둥프레임에 대한 내진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복수의 내진보강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고소작업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공간부는,
    상단에 발판이 구성되어 작업자의 통행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받침프레임과;
    상기 받침프레임의 상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는 안전난간과;
    상기 발판의 일측에 구성되어, 작업자의 출입을 통제할 수 있도록 개폐되는 도어부와;
    상기 안전난간의 상단부와 기둥프레임의 제1프레임 사이에 구성되어 보강력을 강화시키는 상부보강리브; 및
    상기 안전난간의 하단부와 기둥프레임의 제1프레임 사이에 구성되어 보강력을 강화시키는 하부보강리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고소작업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는,
    상기 발판에 형성된 개구부에 위치되는 개폐판과;
    상기 개폐판의 하단부에 구성되어 이송력을 발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캐스터와;
    상기 개폐판의 일측에 구성되는 손잡이와;
    상기 개폐판의 양단측에 각각 구성되고, 내측에 상기 캐스터가 수납되어 상기 캐스터의 이송을 안내하며, 개폐판의 개폐작용으로 발판의 개구부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받침프레임의 일측에 구성되는 복수의 도어레일; 및
    상기 받침프레임과 복수의 도어레일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도어레일이 받침프레임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일고정브라켓;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고소작업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프레임은 기둥프레임의 제1프레임 일측에서 일정길이 연장되는 복수의 제1받침바와, 상기 복수의 제1받침바의 끝단에 고정되는 제2받침바와, 상기 복수의 제1받침바 사이에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간보강바와, 상기 제1프레임과 제1받침바 사이에 구성되어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복수의 제3연결브라켓, 및 상기 제1받침바와 중간보강바 사이에 구성되어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복수의 제4연결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안전난간은 상기 받침프레임의 일측에서 수직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받침프레임의 상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는 제1테두리프레임과, 상기 제1테두리프레임과 일정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는 제2테두리프레임과, 상기 제2테두리프레임과 일정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는 제3테두리프레임과, 받침프레임과 수직프레임 사이에 구성되어 고정력을 발휘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5연결브라켓과, 기둥프레임의 제1프레임과 제1 내지 제3테두리프레임 사이에 구성되어 고정력을 발휘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6연결브라켓과, 상기 수직프레임과 제1 내지 제3테두리프레임 사이에 구성되어 고정력을 발휘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7연결브라켓, 및 상기 제1 및 제2테두리프레임의 외주연에 구성되어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도록 일정간격으로 다수 구성되는 난간대를 포함하며;
    상기 상,하부보강리브 각각은 안전난간과 제1프레임 사이에 구성되어 보강력을 제공하는 상,하부보강바, 및 상기 상,하부보강바와 제1프레임 사이에 구성되어 고정력을 발휘하도록 하는 복수의 제8 및 제9연결브라켓;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고소작업대.
KR2020200002457U 2020-07-09 2020-07-09 조립식 고소작업대 KR2004951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457U KR200495147Y1 (ko) 2020-07-09 2020-07-09 조립식 고소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457U KR200495147Y1 (ko) 2020-07-09 2020-07-09 조립식 고소작업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161U true KR20220000161U (ko) 2022-01-18
KR200495147Y1 KR200495147Y1 (ko) 2022-03-16

Family

ID=80048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2457U KR200495147Y1 (ko) 2020-07-09 2020-07-09 조립식 고소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147Y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8983Y1 (ko) 2007-04-17 2008-03-14 이종하 조립식 작업대
JP2012154113A (ja) * 2011-01-27 2012-08-16 Toda Constr Co Ltd 高所作業台
JP2015212477A (ja) * 2014-05-02 2015-11-26 日建リース工業株式会社 吊り足場
KR20170013790A (ko) * 2015-07-28 2017-02-07 주식회사 창건 슬라이드 개폐타입 안전발판
KR101823021B1 (ko) * 2017-06-19 2018-01-31 백종균 건축용 비계장치
KR200487460Y1 (ko) * 2017-12-14 2018-09-18 조규현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대각가세의 고정장치
KR101903023B1 (ko) 2018-07-17 2018-10-01 (주)에이원렌탈 전방향 충돌 감지식 고소작업대용 리미트 스위치장치
KR20200000858U (ko) 2018-10-22 2020-05-04 대명테크 주식회사 조립식 구조를 갖는 고소작업대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8983Y1 (ko) 2007-04-17 2008-03-14 이종하 조립식 작업대
JP2012154113A (ja) * 2011-01-27 2012-08-16 Toda Constr Co Ltd 高所作業台
JP2015212477A (ja) * 2014-05-02 2015-11-26 日建リース工業株式会社 吊り足場
KR20170013790A (ko) * 2015-07-28 2017-02-07 주식회사 창건 슬라이드 개폐타입 안전발판
KR101823021B1 (ko) * 2017-06-19 2018-01-31 백종균 건축용 비계장치
KR200487460Y1 (ko) * 2017-12-14 2018-09-18 조규현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대각가세의 고정장치
KR101903023B1 (ko) 2018-07-17 2018-10-01 (주)에이원렌탈 전방향 충돌 감지식 고소작업대용 리미트 스위치장치
KR20200000858U (ko) 2018-10-22 2020-05-04 대명테크 주식회사 조립식 구조를 갖는 고소작업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147Y1 (ko) 2022-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68157A (ko) 해체 가능한 전면 비계
JP4995337B1 (ja) 手すり先行型足場養生システ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手すり先行型足場、ならびに手すり先行型足場養生方法
JP4900673B2 (ja) フェンス及びその構築方法
US20080264725A1 (en) Hook-On Scaffold
KR200495147Y1 (ko) 조립식 고소작업대
KR101773833B1 (ko) 절첩식 케이지를 갖춘 갱폼용 작업대
JP2007138416A (ja) 外部養生ユニットのクライミング工法
KR20090099182A (ko) 조립식틀비계의 일체형 안전난간대
KR100828576B1 (ko) 이동식 틀비계용 난간대
JPH03120183A (ja) エレベータの据付用作業台
KR102612484B1 (ko) 조립식 고소작업대
JP6717285B2 (ja) エレベータのピット用はしご装置
JPH0216261A (ja) 階段室等の開口部における墜転落防止用仮設手摺
JP2008184244A (ja) エレベータ装置の作業台の手摺り構造
JP5863242B2 (ja) エレベータかご
KR20010111537A (ko) 건축공사용 안전펜스
JP4072581B2 (ja) 足場装置
KR102219660B1 (ko) 사장교 주탑부 케이블 설치를 위한 승강 작업대 및 이를 이용한 사장교 주탑부의 케이블 시공방법
JP3137257B2 (ja) 足場装置および足場構築工法
KR200445362Y1 (ko) 안전그물망 장치의 하부지지대
KR102655505B1 (ko) 확장가변형 곤돌라
KR102602451B1 (ko) 비계형 케이지
JP6793960B2 (ja) 大型テント
KR200317313Y1 (ko) 엘리베이터 통로의 시공장비
KR200496177Y1 (ko) 대형 렉 구조물 시공용 안전 작업 타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