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2484B1 - 조립식 고소작업대 - Google Patents

조립식 고소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2484B1
KR102612484B1 KR1020210092578A KR20210092578A KR102612484B1 KR 102612484 B1 KR102612484 B1 KR 102612484B1 KR 1020210092578 A KR1020210092578 A KR 1020210092578A KR 20210092578 A KR20210092578 A KR 20210092578A KR 102612484 B1 KR102612484 B1 KR 102612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door
panel
ladd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2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2151A (ko
Inventor
김대식
Original Assignee
성화시스템챤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화시스템챤넬(주) filed Critical 성화시스템챤넬(주)
Priority to KR1020210092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2484B1/ko
Publication of KR20230012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2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2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24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7Comprising essentially pre-assembled three-dimensional elements, e.g. cubic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6Consoles;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0Steps or ladders specially adapted for scaffol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6Struts or stiffening rods, e.g. diagonal ro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고소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하단부와 중단부와 상단부로 구성되는 층단 사이에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도록 지지하도록 층단고정브래킷을 구성함으로써, 건축물 등의 작업현장에 따라 높낮이를 용이하게 가변시켜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기둥프레임과 연결프레임과 바닥고정브래킷과 제1지지브래킷과 경사브래킷과 2방향연결브래킷과 3방향연결브래킷과 사다리고정브래킷과 연결브래킷과 제2지지브래킷 및 사다리를 이용하여 하단부와 중단부 및 상단부 각각을 조립, 구성하고; 상기 하단부와 중단부 및 상단부의 각각에는 작업자의 출입을 통제하는 개폐도어가 구성되어 작업자의 이동을 지지하는 층간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하단부와 중단부와 상단부를 수직으로 직립,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함에 따라 고소작업대의 설치높이에 따라 상기 하단부와 상단부 사이에 중단부의 조립개수를 가변시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지지하는 층간고정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고소작업대{A prefabricated high-place workable}
본 발명은 조립식 고소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단부와 중단부와 상단부로 구성되는 층단 사이에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도록 지지하도록 층단고정브래킷을 구성함으로써, 건축물 등의 작업현장에 따라 높낮이를 용이하게 가변시켜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조립식 고소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상에서 건축물의 벽체 내, 외장작업 또는 대형선박의 내,외장 작업을 하기 위해서 건축물 또는 대형선박의 개별적 블록의 내, 외부에는 건축물 또는 개별적 블록 높이로 조립된 고소(高所) 작업대가 설치된다. 상기 고소작업대는 작업자가 소정의 내, 외장작업을 하기 위한 발판이 여러 층으로 설치되며, 각각의 발판 외측에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안전장치가 필수적으로 설치된다.
상기한 고소작업대는 설치된 후 소정의 작업이 종료되면, 장치를 해체하고, 또 다른 고소의 작업장에 설치하여 사용하게 되는 반복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고소작업대는 대부분 대형화된 구조를 이룸에 따라, 그 구조가 복잡하고, 설치사용이 매우 불편하였으며, 운반이나 보관 등의 취급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고소작업대는 구조물의 작업높이 예컨대, 건물의 경우 층별이 높아질 경우 고소작업대를 재설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고소작업대는 구조물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구조물과 고소작업대 사이에 수평의 보강대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구조물에서 고소작업대가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력을 가지지만, 상기 고소작업대에 대한 수직의 고정력을 가지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438983호(2008.03.14. 공고)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1903023호(2018.10.01. 공고)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20-858호(2020.05.04. 공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단부와 중단부와 상단부로 구성되는 층단 사이에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도록 지지하도록 층단고정브래킷을 구성함으로써, 건축물 등의 작업현장에 따라 높낮이를 용이하게 가변시켜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둥프레임과 연결프레임과 바닥고정브래킷과 제1지지브래킷과 경사브래킷과 2방향연결브래킷과 3방향연결브래킷과 사다리고정브래킷과 연결브래킷과 제2지지브래킷 및 사다리를 이용하여 하단부와 중단부 및 상단부 각각을 조립, 구성하고; 상기 하단부와 중단부 및 상단부의 각각에는 작업자의 출입을 통제하는 개폐도어가 구성되어 작업자의 이동을 지지하는 층간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하단부와 중단부와 상단부를 수직으로 직립,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함에 따라 고소작업대의 설치높이에 따라 상기 하단부와 상단부 사이에 중단부의 조립개수를 가변시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지지하는 층간고정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층간패널은, 일측에 개폐도어가 설치되어, 작업자의 출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출입구; 및 상기 출입구의 일측에 일정폭으로 형성되어, 상기 개폐도어의 설치 및 동작을 간섭하지 않으면서 사다리의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사다리조립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개폐도어는, 층간패널의 일측에 형성되는 출입구를 개폐시키도록 구성되는 도어와; 상기 층간패널과 도어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도어가 일정각도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경첩과; 상기 도어의 타측에 구성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가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작업자가 파지하는 손잡이; 및 상기 층간패널과 도어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도어의 회전을 지지함에 따라 개폐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완충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개폐도어는, 층간패널의 일측에 형성되는 출입구를 개폐시키도록 구성되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하단에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롤; 및 상기 가이드롤의 하단을 받침, 지지하여 상기 가이드롤의 구름작용으로 상기 도어가 왕복 이송에 의해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층간고정브래킷은, 하단부와 중단부 및 상단부로 이루어지는 층단에 구성되는 기둥프레임의 맞닿는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기둥프레임이 확고하게 고정되도록 함에 따라 층단의 고정상태를 유지시키도록 구성하고; 상기 층간고정브래킷은 기둥프레임의 밑단 및 측단의 내, 외부 각각에 밀착되는 제1 및 제2고정패널; 및 상기 제1 및 제2고정패널을 상호 고정되도록 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2고정패널은, 일단이 막혀있고, 타단이 개방되어, 개방된 부분으로 기둥프레임의 측단이 삽입되도록 일체화시켜 작업의 용이성을 가지도록 하는 클립;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단부와 중단부와 상단부로 구성되는 층단 사이에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도록 지지하도록 층단고정브래킷을 구성함으로써, 건축물 등의 작업현장에 따라 높낮이를 용이하게 가변시켜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립식 고소작업대의 하단부에 보강리브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하단부의 직립고정력을 향상시켜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고소작업대의 조립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고소작업대의 보강리브가 구성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단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중단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단부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고소작업대에 사용되는 구성요소 도면으로서,
6a는 기둥프레임이고, 6b는 연결프레임이며, 6c는 바닥고정브래킷이고, 6d는 제1지지브래킷이며, 6e는 경사브래킷이고, 6f는 2방향연결브래킷이며, 6g는 3방향연결브래킷이고, 6h는 사다리고정브래킷이며, 6i는 연결브래킷이고, 6j는 제2지지브래킷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층간패널의 도면으로서,
7a는 저면 사시도이고, 7b는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례를 보인 개폐도어의 도면으로서,
8a는 저면 사시도이고, 8b는 저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층단고정브래킷의 도면으로서,
9a는 고소작업대에 설치된 상태도이고, 9b는 일부 확대 측면도이며, 9c는 평단면도이고, 9d는 다른 일례를 보인 평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조립식 고소작업대는 하단부(10)와, 중단부(20), 및 상단부(30)가 순차적으로 조립되되, 작업높이에 따라 상기 중단부(20)를 추가함으로써, 작업높이에 맞춰 용이하게 고소작업대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립식 고소작업대는 하단부(10)에 보강리브(40)를 추가함으로써, 상기 하단부(10)의 직립고정력을 향상시켜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조립식 고소작업대는 각각의 기능을 가지는 구성요소들을 조합하여 하단부(10)와 중단부(20)와 상단부(30) 및 보강리브(40)를 구성한다.
이를 좀더 살펴보면, 상기 조립식 고소작업대는 기둥프레임(110)과, 연결프레임(120)과, 바닥고정브래킷(130)과, 제1지지브래킷(140)과, 경사브래킷(150)과, 2방향연결브래킷(160)과, 3방향연결브래킷(170)과, 사다리고정브래킷(180)과, 연결브래킷(190), 및 제2지지브래킷(200)을 포함한다.
기둥프레임(110)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에 세워져 기둥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기둥프레임(110)은 'C'형태의 채널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기둥프레임(110)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결합공이 형성되어 원하는 위치에 다른 구성요소들의 결합이 원활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기둥프레임(110)은 압출방식으로 성형되며, 원하는 길이를 절단시켜 사용한다.
연결프레임(120)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길이로 형성되어, 층간형성, 보강리브, 연결대 등과 같이 뼈대부분을 형성한다. 상기 연결프레임(120)은 사각형상이면서 일단부분에 절개공이 형성되어, 'T'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삽입시켜 타방의 구성요소들 예컨대, 브래킷이 연결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결프레임(120)의 절개공이 형성된 부분에는 다수의 요철(122)을 형성하여, 상기 요철(122)에 의해 연결되는 브래킷에 대한 고정력이 향상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결프레임(120)에는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체결공은 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프레임(120)은 압출방식으로 제조되어, 필요 길이에 맞춰 절단하여 사용한다.
바닥고정브래킷(130)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프레임(110)의 일단에 구성되어, 지면 예컨대, 바닥면 또는 천정의 슬래브 등에 확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바닥고정브래킷(130)은 지면에 밀착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에서 일정높이 세워져 기둥프레임(110)이 삽입되어 볼트와 너트 등의 체결수단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프레임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기둥프레임(110)의 전체 또는 일부에 구성된다.
제1지지브래킷(140)은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프레임(110)과 연결프레임(120) 사이에 구성되어, 상호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1지지브래킷(140)은 기둥프레임(110)의 일측에 밀착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에서 일정길이 돌출되어 연결프레임(120)의 일단을 받침하도록 하는 받침판으로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1지지브래킷(140)은 상기 기둥프레임(110)에 연결프레임(120)이 직교되되, 수직 및 수평 상태를 지지하도록 한다.
경사브래킷(150)은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프레임(110)와 연결프레임(120), 또는 연결프레임(120)들 사이에 구성되되, 상기 연결프레임(120)이 일정각도 기울기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경사브래킷(150)은 상기 제1지지브래킷(140)과 유사한 구성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경사브래킷(150)은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에 받침판이 형성되되, 상기 바닥판과 받침판 사이에 힌지가 구성되어,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상기 받침판이 일정각도 회동됨에 따라 일정각도로 기울어지게 설치되는 연결프레임(120)의 고정이 용이하도록 한다.
2방향연결브래킷(160)은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프레임(120)을 2방향으로 연결 및 고정시키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3방향연결브래킷(170)은 도 6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프레임(120)을 3방향으로 연결 및 고정시키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사다리고정브래킷(180)은 도 6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연결프레임(120)에 고정되고 타단에 사다리의 일측을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연결브래킷(190)은 도 6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프레임(120)의 교차지점에 설치되어, 교차되는 연결프레임(120)에 대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제2지지브래킷(200)은 도 6j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프레임(120)들의 연결부분에 구성되어, 연결상태를 고정 및 지지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둥프레임(110)과 연결프레임(120) 및 각종 브래킷들을 통해 하단부(10)와, 중단부(20) 및 상단부(30)를 구성하고, 이와 더불어 보강리브(40)를 구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단부(10)와, 중단부(20) 및 상단부(30) 각각에는 각각의 층간 사이를 수직으로 통행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사다리(300)를 포함한다.
상기 사다리(300)는 층간 사이를 작업자 등이 용이하게 출입할 수 있도록 통로를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사디리(300)는 일반적인 기술사상이므로 상세한 구성 및 작용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하단부(10)와 중단부(20) 및 상단부(30)의 하단에는 작업자 등이 수평적 이동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층간패널(400)을 포함한다.
상기 층간패널(400)은 하단부(10)와 중단부(20) 및 상단부(30)의 일단에 구성되어 작업자 등의 이동 또는 통행상태 등을 지지한다. 이 경우, 상기 층간패널(400)은 평판형상의 패널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층간패널(400)의 일측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300)를 통해 층간의 출입을 통제할 수 있도록 개폐도어(500)가 설치되는 출입구(410)를 포함한다.
상기 출입구(410)는 상기 층간패널(400)의 일측에 작업자 등이 출입할 수 있도록 일정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출입구(410)의 일측에는 도어(510)의 개폐동작을 간섭하지 않으면서 사다리(300)의 일측이 관통되게 설치가 이루어짐으로써, 출입구(410) 측에 사다리(300)가 안정적으로 구성되도록 지지하는 복수의 사다리조립공(420)이 형성된다.
상기 사다리조립공(420)은 상기 출입구(410)의 내주면에서 외측으로 일정폭으로 형성되어, 사디리(300)가 연속적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함과 함께 도어(510)의 개폐를 간섭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개폐도어(500)는 상기 층간패널(400)의 일측에 구성되어, 작업자 등이 층간의 출입을 수행할 때 개방되고, 평상시 작업자 등의 수평적 이동 등을 지지할 수 있도록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개폐도어(5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510)와, 경첩(520)과, 손잡이(530), 및 완충실린더(540)를 포함한다.
도어(510)는 층간패널(400)의 출입구(410)에 설치되어 실질적으로 상기 출입구(410)를 개폐시킴으로써, 작업자 등의 출입을 통제할 수 있도록 한다.
경첩(520)는 층간패널(410)과 도어(510)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도어(510)가 한 점을 중심으로 회동됨에 따라 개폐동작이 수행되도록 여닫이방식을 구현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면 경첩(520)은 상기 도어(510)를 여닫이방식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구조 또는 구성이면 어느 것이든 채용 가능하다.
손잡이(530)는 상기 경첩(520)과 대향되는 위치에 구성되어, 상기 도어(510)를 회동시키는 회동력을 제공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손잡이(530)는 상기 도어(510)의 상,하단 각각에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완충실린더(540)는 양단 각각이 층간패널(400)과 도어(510)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도어(510)가 개방 또는 폐쇄동작이 이루어짐을 지지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완충실린더(540)는 도어(510)가 일정범위 이상으로 개방 또는 폐쇄동작이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하여 상기 도어(510)의 개폐를 지지하게 된다. 예컨대, 상기 완충실린더(540)는 에어실린더이다.
한편, 상기 개폐도어(500)는 여받이방식으로 개폐됨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개폐도어(500)는 미닫이방식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개폐도어(5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도어(510)의 하단 일측 또는 양측 각각에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롤(550), 및 상기 가이드롤(550)의 하단을 받침, 지지하는 일정길이의 가이드레일(560)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롤(550)은 상기 도어(510)의 하단에 구성되어, 상기 도어(510)가 출입구(410)에 대하여 좌,우로 왕복 이송되면서 상기 출입구(410)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이동을 지지한다.
상기 가이드레일(560)은 층간패널(400)의 하방에 구성되어, 상기 도어(510)가 미닫이방식으로 좌,우로 왕복이송되는 거리를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와 같이 미닫이방식으로 개폐도어(500)를 구성할 경우, 경첩(520)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 개폐도어(500)의 완충실린더(540)는 미닫이방식으로 개폐되는 도어(510)를 지지할 수 있는 위치에 구성되며, 경우에 따라서 상기 완충실린더(540)는 생략할 수 있다.
한편, 하단부(10)와 중단부(20) 또는 중단부(20)와 상단부(30)로 구성되는 층단의 연결부분에 구성되어, 고소작업대의 수직에 대한 직립상태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짐을 지지함과 함께, 하단부(10)와 상단부(30) 사이에 복수의 중단부(20)의 조립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층단고정브래킷(600)을 포함한다.
상기 층단고정브래킷(600)은 층단별로 구성되는 기둥프레임(110)의 끝단을 기준으로 길이방향으로 일정폭 중첩되게 구성되는 복수의 제1 및 제2고정패널(610)(620), 및 상기 복수의 제1 및 제2고정패널(610)(620)을 조임시켜 체결,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수단(630)을 포함한다.
즉,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고정패널(610)은 기둥프레임(110)의 평단면을 기준으로 긴길이를 가지는 밑단에 밀착되어 고정력을 발휘하도록 한다.
상기 제2고정패널(620)은 기둥프레임(110)의 밑단 양측 각각에 구성되는 측단에 구성되어 고정력을 발휘하도록 한다.
상기 체결수단(630)은 기둥프레임(110)의 내,외측 각각에 구성되는 제1 및 제2고정패널(610)(620)이 기둥프레임(110)에 확고하게 고정되도록 지지한다. 예컨대, 상기 체결수단(630)은 볼트와 너트이다.
한편, 상기 제2고정패널(620)은 도 9c와 같이, 기둥프레임(110)의 측단 각각으로 밀착시켜 체결수단(630)에 의해 고정되는 평판형상이다. 물론,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2고정패널(620)은 일단이 막혀있고, 타단이 개방되어, 개방된 부분으로 기둥프레임(110)의 측단을 삽입시켜 체결수단(630)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클립(622)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클립(622)은 기둥프레임(110)의 측단 내,외부에 밀착되는 단부가 일체화됨으로써, 작업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들을 조립함에 따라 하단부(10)와, 중단부(20)와, 상단부(30), 및 보강리브(40)를 형성하고, 또한, 조립되어 형성된 하단부(10)와 중단부(20), 및 중단부(20)와 상단부(30)의 연결부분에 층단고정브래킷(600)을 구성함으로써, 고소작업대의 조립이 완료된다.
예컨대, 상단부(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 각각에 일정길이로 기둥프레임(110)을 세워고, 상기 기둥프레임(110)의 중간부분에 제1지지브래킷(140)를 고정하며, 대향되게 고정된 제1지지브래킷(140) 사이에 연결프레임(120)을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연결프레임(120)의 상단에 개폐도어(500)가 장착된 층간패널(400)을 고정하며, 상기 층간패널(400)의 상,하단 각각에 사다리(300)를 설치하여, 작업자의 층간이동을 지지한다. 이때, 상기 사다리(300)는 연결프레임(120)에 사다리고정브래킷(180)을 고정됨에 따라 상기 사다리(300)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층간패널(400)의 상방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지지브래킷(140) 및 연결프레임(120)을 설치하고, 상,하방 각각에 구성된 연결프레임(120)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안전용 폴대를 설치하여 안전난간이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기둥프레임(110)의 일측 양단 각각에 경사브래킷(150)을 고정하고, 상기 경사브래킷(150)들 사이에 연결프레임(120)을 'X'자 형상으로 고정시켜 기둥프레임(110)에 대한 지지력이 확보되도록 한다.
중단부(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 각각에 일정길이로 기둥프레임(110)을 세워고, 상기 기둥프레임(110)의 하단부분에 제1지지브래킷(140)를 고정하며, 대향되게 고정된 제1지지브래킷(140) 사이에 연결프레임(120)을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연결프레임(120)의 상단에 개폐도어(500)가 장착된 층간패널(400)을 고정하며, 상기 층간패널(400)의 상단 일측에 사다리(300)를 설치하여, 작업자의 층간이동을 지지한다. 이때, 상기 사다리(300)는 연결프레임(120)에 사다리고정브래킷(180)을 고정됨에 따라 상기 사다리(300)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기둥프레임(110)은 하단부(10)의 기둥프레임(110)과 동일한 위치에 구성됨에 따라 조립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층간패널(400)의 상방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지지브래킷(140) 및 연결프레임(120)을 설치하고, 상,하방 각각에 구성된 연결프레임(120)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안전용 폴대를 설치하여 안전난간이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기둥프레임(110)의 일측 양단 각각에 경사브래킷(150)을 고정하고, 상기 경사브래킷(150)들 사이에 연결프레임(120)을 'X'자 형상으로 고정시켜 기둥프레임(110)에 대한 지지력이 확보되도록 한다.
상단부(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 각각에 일정길이로 기둥프레임(110)을 세워고, 상기 기둥프레임(110)의 중간부분에 제1지지브래킷(140)를 고정하며, 대향되게 고정된 제1지지브래킷(140) 사이에 연결프레임(120)을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연결프레임(120)의 상단에 개폐도어(500)가 장착된 층간패널(400)을 고정하며, 상기 층간패널(400)의 상,하단 각각에 사다리(300)를 설치하여, 작업자의 층간이동을 지지한다. 이때, 상기 사다리(300)는 연결프레임(120)에 사다리고정브래킷(180)을 고정됨에 따라 상기 사다리(300)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기둥프레임(110)은 중단부(20)의 기둥프레임(110)과 동일한 위치에 구성됨에 따라 조립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층간패널(400)의 상방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지지브래킷(140) 및 연결프레임(120)을 설치하고, 상,하방 각각에 구성된 연결프레임(120)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안전용 폴대를 설치하여 안전난간이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기둥프레임(110)의 일측 양단 각각에 경사브래킷(150)을 고정하고, 상기 경사브래킷(150)들 사이에 연결프레임(120)을 'X'자 형상으로 고정시켜 기둥프레임(110)에 대한 지지력이 확보되도록 한다.
보강리브(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10)의 기둥프레임(110)의 하방에 경사브래킷(150)을 고정하고, 상기 경사브래킷(150)에 연결프레임(120)을 고정하여, 상기 연결프레임(120)이 하단부(10)의 하방에서 지면까지 일정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구성되도록 하여 받침력이 작용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기둥프레임(110)과 상기 기울어진 연결프레임(120) 사이에 제1지지브래킷(140) 및 경사브래킷(150)과 연결프레임(120)을 구성하여, 하단부(10)와 기울어진 연결프레임(120) 사이를 지지함으로써, 받침력을 보강시키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하단부(10)와 중단부(20) 및 상단부(30)의 조립 및 구성관계는 하나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6과 같이, 기둥프레임과 연결프레임과 바닥고정브래킷과 제1지지브래킷과 경사브래킷과 2방향연결브래킷과 3방향연결브래킷과 사다리고정브래킷과 연결브래킷 및 제2지지브래킷을 이용한 조립관계에 따라 하단부와 중단부 및 상단부를 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조립식 고소작업대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하단부 20: 중단부
30: 상단부 40: 보강리브
110: 기둥프레임 120: 연결프레임
122: 요철 130: 바닥고정브래킷
140: 제1지지브래킷 150: 경사브래킷
160: 2방향연결브래킷 170: 3방향연결브래킷
180: 사다리고정브래킷 190: 연결브래킷
200: 제2지지브래킷 300: 사다리
400: 층간패널 410: 출입구
420: 사다리출입공 500: 개폐도어
510: 도어 520: 경첩
530: 손잡이 540: 완충실린더
550: 가이드롤 560: 가이드레일
600: 층간고정브래킷 610: 제1고정패널
620: 제2고정패널 622: 클립
630: 체결수단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기둥프레임과 연결프레임과 바닥고정브래킷과 제1지지브래킷과 경사브래킷과 2방향연결브래킷과 3방향연결브래킷과 사다리고정브래킷과 연결브래킷과 제2지지브래킷 및 사다리를 이용하여 하단부와 중단부 및 상단부 각각을 조립, 구성하고;
    상기 하단부와 중단부 및 상단부의 각각에는 작업자의 출입을 통제하는 개폐도어가 구성되어 작업자의 이동을 지지하는 층간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하단부와 중단부와 상단부를 수직으로 직립,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함에 따라 고소작업대의 설치높이에 따라 상기 하단부와 상단부 사이에 중단부의 조립개수를 가변시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지지하는 층간고정브래킷;을 포함하며,
    상기 층간패널은, 일측에 개폐도어가 설치되어, 작업자의 출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출입구; 및 상기 출입구의 일측에 일정폭으로 형성되어, 상기 개폐도어의 설치 및 동작을 간섭하지 않으면서 사다리의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사다리조립공; 을 포함하며,
    상기 개폐도어는, 층간패널의 일측에 형성되는 출입구를 개폐시키도록 구성되는 도어와; 상기 층간패널과 도어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도어가 일정각도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경첩과; 상기 도어의 타측에 구성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가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작업자가 파지하는 손잡이; 및 상기 층간패널과 도어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도어의 회전을 지지함에 따라 개폐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완충실린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고소작업대.
  4. 기둥프레임과 연결프레임과 바닥고정브래킷과 제1지지브래킷과 경사브래킷과 2방향연결브래킷과 3방향연결브래킷과 사다리고정브래킷과 연결브래킷과 제2지지브래킷 및 사다리를 이용하여 하단부와 중단부 및 상단부 각각을 조립, 구성하고;
    상기 하단부와 중단부 및 상단부의 각각에는 작업자의 출입을 통제하는 개폐도어가 구성되어 작업자의 이동을 지지하는 층간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하단부와 중단부와 상단부를 수직으로 직립,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함에 따라 고소작업대의 설치높이에 따라 상기 하단부와 상단부 사이에 중단부의 조립개수를 가변시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지지하는 층간고정브래킷;을 포함하며,
    상기 층간패널은, 일측에 개폐도어가 설치되어, 작업자의 출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출입구; 및 상기 출입구의 일측에 일정폭으로 형성되어, 상기 개폐도어의 설치 및 동작을 간섭하지 않으면서 사다리의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사다리조립공; 을 포함하며,
    상기 개폐도어는, 층간패널의 일측에 형성되는 출입구를 개폐시키도록 구성되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하단에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롤; 및 상기 가이드롤의 하단을 받침, 지지하여 상기 가이드롤의 구름작용으로 상기 도어가 왕복 이송에 의해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고소작업대.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층간고정브래킷은,
    하단부와 중단부 및 상단부로 이루어지는 층단에 구성되는 기둥프레임의 맞닿는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기둥프레임이 확고하게 고정되도록 함에 따라 층단의 고정상태를 유지시키도록 구성하고;
    상기 층간고정브래킷은 기둥프레임의 밑단 및 측단의 내, 외부 각각에 밀착되는 제1 및 제2고정패널; 및
    상기 제1 및 제2고정패널을 상호 고정되도록 하는 체결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고소작업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패널은,
    일단이 막혀있고, 타단이 개방되어, 개방된 부분으로 기둥프레임의 측단이 삽입되도록 일체화시켜 작업의 용이성을 가지도록 하는 클립;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고소작업대.
KR1020210092578A 2021-07-15 2021-07-15 조립식 고소작업대 KR102612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578A KR102612484B1 (ko) 2021-07-15 2021-07-15 조립식 고소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578A KR102612484B1 (ko) 2021-07-15 2021-07-15 조립식 고소작업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2151A KR20230012151A (ko) 2023-01-26
KR102612484B1 true KR102612484B1 (ko) 2023-12-12

Family

ID=85110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2578A KR102612484B1 (ko) 2021-07-15 2021-07-15 조립식 고소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248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3251Y1 (ko) * 1999-07-01 2000-02-15 최문호 건설현장용작업대
KR200300595Y1 (ko) * 2002-10-17 2003-01-10 고려개발 주식회사 안전발판장치
JP2014114642A (ja) * 2012-12-11 2014-06-26 Masatami Kishigami 建設現場、工事現場、又は簡易建設現場、簡易工事現場の踏板に取付け、取外しできる梯子
KR102217685B1 (ko) * 2020-02-28 2021-02-26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진성능을 갖는 무용접 하지 프레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8983Y1 (ko) 2007-04-17 2008-03-14 이종하 조립식 작업대
KR101903023B1 (ko) 2018-07-17 2018-10-01 (주)에이원렌탈 전방향 충돌 감지식 고소작업대용 리미트 스위치장치
KR200492251Y1 (ko) 2018-10-22 2020-09-04 대명테크 주식회사 조립식 구조를 갖는 고소작업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3251Y1 (ko) * 1999-07-01 2000-02-15 최문호 건설현장용작업대
KR200300595Y1 (ko) * 2002-10-17 2003-01-10 고려개발 주식회사 안전발판장치
JP2014114642A (ja) * 2012-12-11 2014-06-26 Masatami Kishigami 建設現場、工事現場、又は簡易建設現場、簡易工事現場の踏板に取付け、取外しできる梯子
KR102217685B1 (ko) * 2020-02-28 2021-02-26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진성능을 갖는 무용접 하지 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2151A (ko) 2023-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221870B2 (en) Improved frame for climbing screen
DE2309459A1 (de) Ein aus raumkaesten bestehendes haus
AU2016203815B2 (en) Hoisting Apparatus and System
US10501933B2 (en) Weather resistant temporary wall system and method
JP4900673B2 (ja) フェンス及びその構築方法
US20150159393A1 (en) Secure shelter with trapezoidal walls
KR102612484B1 (ko) 조립식 고소작업대
KR100728668B1 (ko) 비계용 발판
JP4904070B2 (ja) 屋外構築物の土間コンクリート不陸吸収装置
JP2843016B2 (ja) 折畳み式階段ユニットボックスおよびこれを用いた建物
RU2632831C1 (ru) Модульный складной каркас здания
KR200495147Y1 (ko) 조립식 고소작업대
KR100828087B1 (ko) 전천후 시공용 가설시스템
US20150314989A1 (en) Material Lift Hoist Assembly
US2033438A (en) Cabin structure
KR102655505B1 (ko) 확장가변형 곤돌라
JP3210878B2 (ja) 水平構造部材の建て込み方法と装置
JP7421890B2 (ja) 建物
RU2116413C1 (ru) Навесная площадка для работ на фасадах зданий
AU2007100708B4 (en) Vertical truss building system
JP3301313B2 (ja) 建物用構造材
KR102219660B1 (ko) 사장교 주탑부 케이블 설치를 위한 승강 작업대 및 이를 이용한 사장교 주탑부의 케이블 시공방법
KR200317313Y1 (ko) 엘리베이터 통로의 시공장비
JP2523473Y2 (ja) 吊り足場構造
DE3200554C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