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460Y1 -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대각가세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대각가세의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460Y1
KR200487460Y1 KR2020170006468U KR20170006468U KR200487460Y1 KR 200487460 Y1 KR200487460 Y1 KR 200487460Y1 KR 2020170006468 U KR2020170006468 U KR 2020170006468U KR 20170006468 U KR20170006468 U KR 20170006468U KR 200487460 Y1 KR200487460 Y1 KR 2004874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flange
wedge
protrusion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64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규현
Original Assignee
조규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규현 filed Critical 조규현
Priority to KR20201700064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4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4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46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02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 E04G7/306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the added coupling elements are fixed at several bars or members to connect
    • E04G7/307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the added coupling elements are fixed at several bars or members to connect with tying means for connecting the bars or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2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with coupling elements using w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대각가세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직 파이프에 설치된 플랜지의 걸림홀에 결합되는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대각가세의 고정장치에 있어서, 양단이 일자 형태로 동일 방향으로 축관되고, 축관 부위에 각각 제 1-1힌지홀이 형성되는 대각 가세와; 하부가 개방되도록 디귿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대각 가세의 제 1-1힌지홀에 제 1힌지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도록 제 1-2힌지홀이 구비된 한 쌍의 힌지턱이 후방에 돌출 형성되며, 전방에 상기 플랜지의 걸림홀에 삽입되도록 걸림 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걸림 돌기의 후방인 상기 본체 내에서 제 2힌지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회전시 상기 플랜지의 걸림홀 테두리에 가압 결합되는 잠금 부재를 구비하는 연결 브라켓; 및 상기 걸림 돌기가 상기 플랜지의 걸림홀에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연결 브라켓에 압입되면서 상기 잠금 부재를 회전 가압시켜 상기 플랜지의 걸림홀 테두리에 결합 고정시키는 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대각 가세를 설치시 전방에 구비된 걸림 돌기를 플랜지에 구비된 걸림홀에 삽입한 다음 쐐기 부재를 압입시켜 잠금 부재를 회전시키면서 플랜지의 테두리에 가압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외부 충격에 의해 걸림 돌기가 걸림홀에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대각가세의 고정장치{SYSTEM SCAFFOLDING DIAGONAL BRACE LOCKER}
본 고안은 건축용 시스템 비계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대각가세를 설치시 전방에 구비된 걸림 돌기를 플랜지에 구비된 걸림홀에 삽입한 다음 쐐기 부재를 압입시켜 잠금 부재를 회전시키면서 플랜지의 테두리에 가압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외부 충격에 의해 걸림 돌기가 걸림홀에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는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대각가세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계 시스템은 건축공사 때에 높은 곳에서 일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임시가설물로, 재료운반이나 이동통로, 작업 등을 위하여 시공되며, 재료면에서 통나무비계, 파이프비계, 용도면에서 외부비계, 내부비계, 수평비계, 달비계, 간이비계, 사다리비계, 공법면에서 외줄비계, 겹비계, 쌍줄비계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최근 공사현장에서는 주로 강관비계나 시스템비계로 불리는 구조물이 사용되고 있다.
강관 비계의 경우, 표면에 알루미늄 도금 처리된 강관으로 만든 비계로, 잠금 부재나 조임쇠 등 연결철물을 써서 자유자재로 조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비교적 소형 건축물의 공사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시스템 비계의 경우, 임의로 설치할 수 있는 강관 비계와 달리, 구조계산을 통해 규격화되어 조립할 수 있도록 제작된 비계로, 상대적으로 안전성이 높으며 중대형 건축물의 공사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비계는 크게, 지면으로부터 일정간격마다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주, 지주 사이에 연계되도록 조립되는 다수의 수평재, 이동통로 또는 작업의 편의를 위하여 설치되는 발판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비계구조물에는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대각 가세(경사 파이프)를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사 파이프의 일례로 국내 등록특허 제10-1569915호인 비계시스템용 보조파이프와,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397278호인 지주결합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국내 등록특허 제10-1569915호인 비계시스템용 보조파이프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구멍(131)이 형성된 플랜지(130)를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 구성된 수직파이프(110)에 대각선으로 연결하는 비계시스템용 보조파이프(10)에 있어서, 상기 보조파이프(10)의 중간에 형성되며, 상단에 타원형상의 삽입공(12)을 형성하고, 하단에 연결편(13)을 형성한 보강재(11)와; 상기 연결편(13)의 측면에 중심(C)에서 상부(H)로 편심되게 형성된 편심공(14)과; 전방에 플랜지(130)의 결합구멍(131)에 삽입되는 걸림돌기(21)를 형성하고, 후방에 보강재(11)의 상단에 삽입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편(22)을 형성하며, 걸림돌기(21)와 고정편(22)의 사이에 플랜지(130)가 삽입되는 걸림공간(23)을 형성한 고정구(20)와; 상기 걸림공간(23)의 후면에 플랜지(130)에 부드럽게 삽입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유도면(25)과; 상기 경사유도면(25)의 중앙에 내부로 함몰되게 형성한 유동홈(26)과; 상기 보조파이프(10)의 하단에 쐐기(40)로 수직파이프(110)의 플랜지(130)와 고정 구성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결합구(30)와; 상기 결합구(30)의 후방에 설치되며, 연결편(13)의 편심공(14)과 축핀(32)으로 축 설치될 수 있도록 중공(33)을 형성하고, 전방에 쐐기(40)를 받쳐주는 지지대(35)를 형성하며, 전방의 하부에 경사진 경사면(36)을 형성한 플레이트(31) 및 플레이트(31) 하부 내측으로 보강재(11)의 하단이 걸림될 수 있도록 돌출 형성시킨 스토퍼(34)와; 상기 지지대(35)의 하부로 연장되고, 양측에 연장편(37a)을 형성하고, 상부 양측에 절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절개홈(37b)을 형성한 보강판(37)과; 상기 경사면(36)의 상부에 보강판(37)의 연장편(37a)이 안치되어 용접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결합턱(38)과; 상기 결합구(30)의 전면에 구성되며, 하부 일측에 걸림쇠(52)를 형성한 쐐기작동구(50)와; 상기 쐐기작동구(50)의 상부에 형성되며, 하부의 전면에 쐐기(40)가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면(53)을 형성하고, 하부 중앙에 쐐기(40)의 돌기(41)를 걸림되어 쐐기(4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단턱(54)을 형성한 작동공(5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397278호인 지주결합장치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부재(P1)의 외주면에 고정되고 테두리부에 돌출된 걸림부(111a)가 형성되어 있는 환형의 플랜지(111)와, 상기 연결부재(P2)의 양끝에 각각 마련되는 동시에 상기 플랜지(111)에 지지되어 회동식으로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이루어진 연결유닛(121)과, 상기 연결유닛(121)과 플랜지(111)의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연결유닛(121)에 관통 삽입되는 쐐기부재(130)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대각가세는 상부의 걸림 돌기 또는 걸림부가 플랜지에 삽입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고, 별도의 잠금 장치가 없기 때문에 직상방향으로 힘이 작용할 때 빠질 수 있는 취약한 구조라 안전문제가 있고, 전체 버티는 강도가 약하여 현재 건설 현장에서 사용을 거부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1569915호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397278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대각가세를 설치시 전방에 구비된 걸림 돌기를 플랜지에 구비된 걸림홀에 삽입한 다음 쐐기 부재를 압입시켜 잠금부재를 회전시키면서 플랜지의 테두리에 가압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외부 충격에 의해 걸림 돌기가 걸림홀에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는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대각가세의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수직 파이프에 설치된 플랜지의 걸림홀에 결합되는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대각가세의 고정장치에 있어서, 양단이 일자 형태로 동일 방향으로 축관되고, 축관 부위에 각각 제 1-1힌지홀이 형성되는 대각 가세와; 하부가 개방되도록 디귿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대각 가세의 제 1-1힌지홀에 제 1힌지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도록 제 1-2힌지홀이 구비된 한 쌍의 힌지턱이 후방에 돌출 형성되며, 전방에 상기 플랜지의 걸림홀에 삽입되도록 걸림 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걸림 돌기의 후방인 상기 본체 내에서 제 2힌지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회전시 상기 플랜지의 걸림홀 테두리에 가압 결합되는 잠금 부재를 구비하는 연결 브라켓; 및 상기 걸림 돌기가 상기 플랜지의 걸림홀에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연결 브라켓에 압입되면서 상기 잠금 부재를 회전 가압시켜 상기 플랜지의 걸림홀 테두리에 결합 고정시키는 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연결 브라켓의 본체는 상기 쐐기가 삽입되도록 상면에 쐐기 인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쐐기 인입홀을 통해 삽입된 상기 쐐기를 하방향으로 안내하도록 하단에 가이드 바가 구비된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잠금 부재는 삼각 판 형태로 형성되되, 상단에 상기 제 2힌지축이 관통되는 제 2힌지홀이 형성되고, 회전시 상기 플랜지의 걸림홀 테두리를 가압하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전면 경사면 하단부에 압입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의 걸림홀 테두리 저면과 면접되도록 상기 압입 돌기의 하부 끝단에서 수평하게 돌출 형성되는 고정 돌기를 더 구비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잠금 부재는 상기 쐐기와 면접되면서 회전되도록 후면 경사면이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쐐기는 직사각 막대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잠금 부재의 후면 경사면과 면접되어 하강시 상기 잠금 부재를 회전시키도록 전면에 하단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쐐기는 상기 연결 브라켓의 본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단에 볼트홀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홀에 이탈 방지 볼트가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인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대각가세의 고정장치에 따르면, 대각 가세를 설치시 전방에 구비된 걸림 돌기를 플랜지에 구비된 걸림홀에 삽입한 다음 쐐기 부재를 압입시켜 잠금 부재를 회전시키면서 플랜지의 테두리에 가압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외부 충격에 의해 걸림 돌기가 걸림홀에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종래의 대각 가세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대각가세의 고정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대각가세의 고정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8의 A부분의 평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대각가세의 고정장치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 설명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대각가세의 고정장치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대각가세의 고정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의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대각가세의 고정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정단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A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10은 도 8의 A부분의 평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대각가세의 고정장치(200)는 대각 가세(210)와, 연결 브라켓(220) 및 쐐기(230)로 구성된다.
먼저, 대각 가세(210)는 양단이 일자 형태로 동일 방향으로 축관되고, 축관 부위에 각각 제 1-1힌지홀(H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 브라켓(220)은 본체(221)와, 잠금 부재(223)로 구성된다.
본체(221)는 하부가 개방되도록 디귿자 형태로 형성되고, 대각 가세(210)의 제 1-1힌지홀(H11)에 제 1힌지축(A1)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도록 제 1-2힌지홀(H12)이 구비된 한 쌍의 힌지턱(221a)이 후방에 돌출 형성되며, 전방에 플랜지(P)의 걸림홀(P1)에 삽입되도록 걸림 돌기(221b)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본체(221)는 쐐기(230)가 삽입되도록 상면에 쐐기 인입홀(221c)이 형성되고, 쐐기 인입홀(221c)을 통해 삽입된 쐐기(230)를 하방향으로 안내하도록 하단에 가이드 바(221d)가 구비된다.
잠금 부재(223)는 걸림 돌기(221b)의 후방인 본체(221) 내에서 제 2힌지축(A2)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회전시 플랜지(P)의 걸림홀(P1) 테두리에 가압 결합된다.
또한, 잠금 부재(223)는 삼각 판 형태로 형성되되, 상단에 제 2힌지축(A2)이 관통되는 제 2힌지홀(H2)이 형성되고, 회전시 플랜지(P)의 걸림홀(P1) 테두리를 가압하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전면 경사면(223a) 하단부에 가압 돌기(223b)가 형성되며, 플랜지(P)의 걸림홀(P1) 테두리 저면과 면접되도록 가압 돌기(223b)의 하부 끝단에서 수평하게 돌출 형성되는 고정 돌기(223c)를 구비한다.
또, 잠금 부재(223)는 쐐기(230)와 면접되면서 회전되도록 후면 경사면(223d)이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계속해서, 쐐기(230)는 걸림 돌기(221b)가 플랜지(P)의 걸림홀(P1)에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연결 브라켓(220)에 압입되면서 잠금 부재(223)를 회전 가압시켜 플랜지(P)의 걸림홀(P1) 테두리에 결합 고정시킨다.
여기에서, 쐐기(230)는 직사각 막대 형태로 형성되되, 잠금 부재(223)의 후면 경사면(223d)과 면접되어 하강시 잠금 부재(223)를 회전시키도록 전면에 하단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경사면(231)이 형성된다.
또한, 쐐기(230)는 연결 브라켓(220)의 본체(22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단에 볼트홀(233)이 형성되고, 볼트홀(233)에 이탈 방지 볼트(235)가 결합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대각가세의 고정장치(200)가 결합되는 플랜지(P)의 걸림홀(P1)은 사각 형태로 형성되고, 잠금 부재(223)의 고정 돌기(223c)가 결합되도록 걸림홀(P1)의 양측면 테두리가 직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대각가세의 고정장치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 및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대각가세의 고정장치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 설명도이다.
먼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쐐기(230)를 연결 브라켓(220)의 본체(221)에 구비된 쐐기 인입홀(221c)에서 상승시킨다. 이때, 쐐기(230)는 하부에 이탈 방지 볼트(235)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쐐기 인입홀(221c)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차단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는 본체(221)의 걸림 돌기(221b)를 플랜지(P)의 걸림홀(P1)에 삽입 결합시킨다.
그런 다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쐐기(230)를 세운 다음 쐐기 인입홀(221c)을 통해 삽입시키고, 망치 등을 이용하여 쐐기(230)를 타격한다.
그러면, 쐐기(230)가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본체(221)의 가이드 바(221d)와 잠금 부재(223) 사이로 점진적으로 압입 하강되면서 경사면(231)이 잠금 부재(223)의 후면 경사면(223d)과 전방으로 밀게 되고, 이로 인해 잠금 부재(223)가 제 2힌지축(A2)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잠금 부재(223)가 회전되면서 전면 경사면(223a)에 구비된 가이드 돌기(223b)와 고정 돌기(223c) 사이에 플랜지(P)의 걸림홀(P1) 테두리가 가압 고정된다. 즉, 본체(221)의 걸림 돌기(221b)와 잠금 부재(223)가 걸림홀(P1) 테두리를 집게 형태로 물고 있게 된다.
한편, 가이드 돌기(223b)와 고정 돌기(223c) 사이에 플랜지(P)의 걸림홀(P1) 테두리가 가압 고정되면 쐐기(230)는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고, 본체(221)의 가이드 바(221d)와 잠금 부재(223) 사이에 압입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가이드 돌기(223b)와 고정 돌기(223c) 사이에 플랜지(P)의 걸림홀(P1) 테두리가 가압 고정되고, 쐐기(230)가 본체(221)의 가이드 바(221d)와 잠금 부재(223) 사이에 압입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기 때문에 쐐기(230)에 상방향으로 직접적인 충격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 가이드 돌기(223b)와 고정 돌기(223c)가 플랜지(P)의 걸림홀(P1)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반대로, 결합을 해제하고 하는 경우 쐐기(230) 하부에서 상부로 충격을 가하여 쐐기(230)를 이탈시키면 잠금 부재(223)가 자중에 의해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플랜지(P)의 걸림홀(P1) 테두리와 결합이 해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는 본체(221)의 걸림 돌기(221b)를 플랜지(P)의 걸림홀(P1)에서 배출시켜 결합을 해제한다.
본 고안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고안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210 : 대각 가세 220 : 연결 브라켓
221 : 본체 223 : 잠금 부재
230 : 쐐기 P : 플랜지

Claims (6)

  1. 수직 파이프에 설치된 플랜지의 걸림홀에 결합되는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대각가세의 고정장치에 있어서,
    양단이 일자 형태로 동일 방향으로 축관되고, 축관 부위에 각각 제 1-1힌지홀이 형성되는 대각 가세와;
    하부가 개방되도록 디귿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대각 가세의 제 1-1힌지홀에 제 1힌지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도록 제 1-2힌지홀이 구비된 한 쌍의 힌지턱이 후방에 돌출 형성되며, 전방에 상기 플랜지의 걸림홀에 삽입되도록 걸림 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걸림 돌기의 후방인 상기 본체 내에서 제 2힌지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회전시 상기 플랜지의 걸림홀 테두리에 가압 결합되는 잠금 부재를 구비하는 연결 브라켓; 및
    상기 걸림 돌기가 상기 플랜지의 걸림홀에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연결 브라켓에 압입되면서 상기 잠금 부재를 회전 가압시켜 상기 플랜지의 걸림홀 테두리에 결합 고정시키는 쐐기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 부재는,
    삼각 판 형태로 형성되되, 상단에 상기 제 2힌지축이 관통되는 제 2힌지홀이 형성되고, 회전시 상기 플랜지의 걸림홀 테두리를 가압하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전면 경사면 하단부에 압입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의 걸림홀 테두리 저면과 면접되도록 상기 압입 돌기의 하부 끝단에서 수평하게 돌출 형성되는 고정 돌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대각가세의 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브라켓의 본체는,
    상기 쐐기가 삽입되도록 상면에 쐐기 인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쐐기 인입홀을 통해 삽입된 상기 쐐기를 하방향으로 안내하도록 하단에 가이드 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대각가세의 고정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부재는,
    상기 쐐기와 면접되면서 회전되도록 후면 경사면이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대각가세의 고정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는,
    직사각 막대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잠금 부재의 후면 경사면과 면접되어 하강시 상기 잠금 부재를 회전시키도록 전면에 하단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대각가세의 고정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는,
    상기 연결 브라켓의 본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단에 볼트홀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홀에 이탈 방지 볼트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대각가세의 고정장치.
KR2020170006468U 2017-12-14 2017-12-14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대각가세의 고정장치 KR2004874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6468U KR200487460Y1 (ko) 2017-12-14 2017-12-14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대각가세의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6468U KR200487460Y1 (ko) 2017-12-14 2017-12-14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대각가세의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460Y1 true KR200487460Y1 (ko) 2018-09-18

Family

ID=63708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6468U KR200487460Y1 (ko) 2017-12-14 2017-12-14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대각가세의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46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53331A (zh) * 2018-10-22 2019-01-22 浙江亚泰连接盘制造有限公司 一种便于拆卸的法兰
KR20220000161U (ko) * 2020-07-09 2022-01-18 성화시스템챤넬(주) 조립식 고소작업대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7278Y1 (ko) 2005-07-08 2005-09-29 금강공업 주식회사 지주결합장치
KR200397279Y1 (ko) * 2005-07-08 2005-09-29 금강공업 주식회사 지주결합장치
KR20090028164A (ko) * 2007-09-14 2009-03-18 주식회사 이지코리아 지주 연결장치
JP2010101056A (ja) * 2008-10-23 2010-05-06 Krh Kk 仮設足場用連結構造体
KR101569915B1 (ko) 2014-03-14 2015-11-17 호리코리아 주식회사 비계시스템용 보조파이프
JP3204261U (ja) * 2016-03-04 2016-05-26 Krh株式会社 足場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7278Y1 (ko) 2005-07-08 2005-09-29 금강공업 주식회사 지주결합장치
KR200397279Y1 (ko) * 2005-07-08 2005-09-29 금강공업 주식회사 지주결합장치
KR20090028164A (ko) * 2007-09-14 2009-03-18 주식회사 이지코리아 지주 연결장치
JP2010101056A (ja) * 2008-10-23 2010-05-06 Krh Kk 仮設足場用連結構造体
KR101569915B1 (ko) 2014-03-14 2015-11-17 호리코리아 주식회사 비계시스템용 보조파이프
JP3204261U (ja) * 2016-03-04 2016-05-26 Krh株式会社 足場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53331A (zh) * 2018-10-22 2019-01-22 浙江亚泰连接盘制造有限公司 一种便于拆卸的法兰
KR20220000161U (ko) * 2020-07-09 2022-01-18 성화시스템챤넬(주) 조립식 고소작업대
KR200495147Y1 (ko) * 2020-07-09 2022-03-16 성화시스템챤넬(주) 조립식 고소작업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81869B2 (en) Dual action latching horizontal scaffold member
KR200487460Y1 (ko)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대각가세의 고정장치
JP4220561B2 (ja) くさび緊結式足場における緊結装置
US20160201341A1 (en) Dual Latching Horizontal Scaffold Member
JP4890530B2 (ja) 仮設足場用筋交い
KR200487459Y1 (ko)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대각가세의 고정장치
EP0655538B1 (en) A length-adjustable support
JP5270147B2 (ja) 仮設足場の連結構造
JP4109657B2 (ja) 接続装置
KR101991570B1 (ko) 쐐기식 파이프 클램프
KR20160142928A (ko) 시스템 비계
CN210032616U (zh) 一种使用更安全的承插型盘扣式钢管支架
KR20180046603A (ko) 비계형성용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작업용 발판거치대
KR20140062386A (ko) 시스템비계
KR101569915B1 (ko) 비계시스템용 보조파이프
KR101105895B1 (ko) 족장발판용 엣지훅
KR200397278Y1 (ko) 지주결합장치
CN210049552U (zh) 一种承插型脚手架节点连接装置及脚手架
KR102034257B1 (ko) 비계 파이프용 클램프
JPH07292958A (ja) 足場用建枠のジョイント
KR200442694Y1 (ko) 관절구조를 갖는 쐐기 및 이를 이용한 줄사다리
JP4058430B2 (ja) 構造材連結用くさび
JP2002276152A (ja) 鋼管足場の連結部
JP4070020B2 (ja) 仮設足場用連結具
JP3965065B2 (ja) 仮設要素の結合金具及び仮設要素の結合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