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8164A - 지주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지주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8164A
KR20090028164A KR1020070093526A KR20070093526A KR20090028164A KR 20090028164 A KR20090028164 A KR 20090028164A KR 1020070093526 A KR1020070093526 A KR 1020070093526A KR 20070093526 A KR20070093526 A KR 20070093526A KR 20090028164 A KR20090028164 A KR 200900281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strut
horizontal
coupling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3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석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지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지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지코리아
Priority to KR1020070093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8164A/ko
Publication of KR20090028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81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02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 E04G7/306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the added coupling elements are fixed at several bars or members to connec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2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with coupling elements using w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주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건축용 비계, 거푸집을 지지하는 지지구조물의 수직 지주부재와 수평 지주부재를 서로 연결 고정하기 위한 결합부재가 고정플랜지에 측부결합됨과 동시에 상하결합되어 보다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지주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체결편이 구비된 다수개의 고정플랜지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수직 지주부재와, 상기 수직 지주부재의 환형으로 된 고정플랜지에 연결되어 체결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가 양끝단에 일체형으로 설치되는 수평 지주부재로 이루어진 지주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일측단이 수평 지주부재에 연결되고 내부에 전면이 개방된 공간을 구비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공간 상하에 측부연결체와 하부연결체가 각각 삽입되어 전후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측부연결체는 쐐기부재에 의해 후퇴하여 몸체 선단의 걸림턱이 고정플랜지의 상부 체결편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연결체는 전진하여 수평작동대 선단의 접촉대가 고정플랜지의 하단면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된 지주 연결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Figure P1020070093526
지주, 지주부재, 결합부재, 측부연결체, 하부연결체

Description

지주 연결장치 {Scissors type scaffolding joint device}
본 발명은 지주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건축용 비계, 거푸집을 지지하는 지지구조물의 수직 지주부재와 수평 지주부재를 서로 연결 고정하기 위한 결합부재가 고정플랜지에 측부결합됨과 동시에 상하결합되어 보다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지주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지주 연결장치는, 원형 단면의 파이프 등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수직 지주부재와 상기 수직 지주부재에 구비된 환형의 고정프레임에 수평 지주부재에 부착된 결합부재가 결합하는 구성으로 건축용 비계, 거푸집을 지지하는 지지구조물의 수평 지주부재와 수평 지주부재를 서로 연결 고정하게 된다.
그러나 결합부재는 환형의 고정프레임에 결합부재에 구비되어 측부작동이 되는 측부연결체로만 결합지지 되게 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되어 있으므로 하부방향에서 상부방향으로의 충격 등에는 결합력이 떨어지는 취약성을 갖게 되었다.
즉, 지주 연결장치의 일 예로서 개시된 특허 제63524호(1993.07.09 공개)에서는, 다수의 플랜지가 구비된 각각의 지주부재가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된 다수의 지주부재와, 양 끝단부에 각각 결합부재가 부착된 다수의 연결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에 삽입지지되는 쐐기로 구성되며, 상기 플랜지는 그 외주면에 걸림편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한 결합부재는 각가 한쌍의 대향되는 벽면을 가진 중공체인 하우징과, 이 하우징 내에 헐겁게 삽입되어 이동자재로운 연결체를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벽면 및 상기 연결체에는 쐐기의 삽입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 내의 상기 연결체 후방에는 연결체를 바깥쪽으로 밀어부치는 탄성부재가 삽입되며, 상기한 연결체는 그 선단부에 상기한 플랜지의 걸림편에 결합되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 걸림턱이 상기 걸림편과 대향되게 한 상태에서 상기한 쐐기가 상기한 각각의 삽입구멍으로 삽입지지될 경우 상기한 연결체는 후퇴되어 상기걸림편과 상기 걸림턱은 결합되고, 상기한 하우징의 한쌍의 벽면에 각각의 선단부는 바깥쪽으로 이동되어 상기한 지주부재의 외주면에 밀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지주 연결장치의 경우에는 플랜지에 결합부재의 연결체가 쐐기에 의해 상기 연결체의 경사지게 형성된 걸림턱이 상기 플랜지의 경사지게 형성된 걸림편에 측부결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서 테이퍼진 경사면에 의해 측부결합이 용이하고 측부방향으로는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되지만, 수평 지주부재에 연결된 비계 등의 구조물에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충격이 발생 되는 경우에는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상기 연결체가 경사진 면을 따라 상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플랜지와 연결체의 체결이 해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지주 연결장치의 또 다른 일 예로서 개시된 특허 제682137호(2007.02.12 공개)에서는, 체결편을 구비하는 다수개의 환형 플랜지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수직 지주부재와, 상기 수직 지주부재의 환형 플랜지에 연결되어 체결되는 연결클램핑부재와, 상기 연결클램핑부재가 양끝단에 일체형으로 설치되는 수평 지주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클램핑부재는 일측단이 수평 지주부재에 연결되고 내부에 전면이 개방된 공간을 구비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공간내로 삽입되어 일측 끝단이 힌지결합되고 타측 끝단이 환형플랜지에 접촉결합되는 좌/우측 결합부와, 상기 지지부에 수직삽입되어 좌우측 결합부에 접촉되고, 좌우측 결합부에 접촉되는 양측면이 테이퍼진 경사면을 구비하며 좌우 대칭을 구비하도록 형성된 각도조절부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좌/우 결합부는 각도조절부가 삽입되는 좌/우측 조절홈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 일측끝단에 형성되어 힌지가 삽입되는 체결홀과, 상기 몸체 타측단에 환형플랜지의 체결편과 결합되도록 하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걸림턱으로 구성되고,상기 좌/우측 결합부 몸체에 형성된 좌/우조절홈은 좌/우측 결합부의 일측면 접촉시 서로 연통되어 하나의 조절홈을 이루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지주 연결장치의 경우에도 플랜지의 테이퍼진 경사면을 구비한 체결편에 테이퍼진 경사면을 구비한 결합부의 걸림편이 측부결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서 측부결합이 용이하고 측부방향으로는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되지만, 수평 지주부재에 연결된 비계 등의 구조물에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충격 이 발생 되는 경우에는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상기 결합부가 결합된 경사진 면을 따라 상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플랜지와 결합부의 체결이 해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직 지주부재에 구비된 고정플랜지에 수평 지주부재를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수평 지주부재에 부착되는 결합부재에 측부연결체와 하부연결체를 각각 구비하여 상기 고정플랜지의 상부 체결편에는 측부연결체가 후퇴하여 걸림턱이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고정플랜지의 하단면에는 하부연결체가 전진하여 수평작동대 선단의 접촉대가 결합되어 상하지지되게 한 수단으로 상부방향으로의 충격에도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체결편이 구비된 다수개의 고정플랜지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수직 지주부재와, 상기 수직 지주부재의 환형으로 된 고정플랜지에 연결되어 체결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가 양끝단에 일체형으로 설치되는 수평 지주부재로 이루어진 지주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일측단이 수평 지주부재에 연결되고 내부에 전면이 개방된 공간을 구비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공간 상하에 측부연결체와 하부연결체가 각각 삽입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쐐기부재에 의해 상기 측부연결체는 후퇴하여 고정플랜지의 상부 체결편에 측부연결체 선단의 걸림턱이 결합되고, 상기 하부연결체는 몸체 선단의 접촉면이 전진하여 고정플랜지의 하단면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된 지주 연결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지주 연결장치는, 건축용 비계, 거푸집을 지지하는 지지구조물의 수직 지주부재와 수평 지주부재를 서로 연결 고정하기 위한 결합부재가 고정플랜지에 측부결합됨과 아울러 상하결합되어지되 쐐기부재에 의해 측부연결체가 후퇴하여 측부연결체의 걸림턱이 고정플랜지의 상부 체결편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고정플랜지의 하단면에는 하부연결체가 전진하여 하부연결체의 접촉면이 결합되는 상하결합수단으로 상부방향으로의 충격에도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는 안정된 구조물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체결편(111)을 구비하는 다수개의 고정플랜지(110)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수직 지주부재(100)와, 상기 수직 지주부재(100)의 환형으로 된 고정플랜지(110)에 연결되어 체결되는 결합부재(200)와, 상기 결합부재(200)가 양끝단에 일체형으로 설치되는 수평지주부재(30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결합부재(200)는 일측단이 수평 지주부재(100)에 연결되고 내부에 전면이 개방된 공간을 구비하는 지지부(210)와, 상기 지지부(210)의 공간(211)상하에 측부연결체(220)와 하부연결체(230)가 각각 삽입되어 쐐기부재(240)에 의해 결합되어지되 상기 측부연결체(220)는 후퇴하여 몸체(221)선단의 걸림턱(222)이 고정플랜지(110)의 상부 체결편(111)에 결합되는 구성이고 상기 하부연결체(230)는 전진하여 몸체 선단의 걸림대()가 고정플랜지(110)의 하단면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고정플랜지(110)는 수직 지주부재(100)에 일체로 설치되고, 고정플랜지(110)의 외주면을 따라 경사면으로 구비된 체결편(1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210)는 수평 지주부재(300)에 후면부가 일체로 연결되는 것으로, 내부에 일측(전면)이 개방된 공간을 구비하고, 개방된 전면 상하부에 수직 지주부재(100)의 외주면에 면접촉되는 접촉단부(212)를 구비하며, 상하부에 쐐기부재(240)가 관통되는 삽입구멍(213)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210)의 공간(211)에는 상하부에 측부연결체(220)와 하부연결체(230)가 전후진되게 끼워져 있다.
상기 측부연결체(220)는 몸체(221)선단에 고정플랜지(110)의 체결편(111)과 결합되도록 하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경사진 접촉면이 구비된 걸림턱(222)으로 구성되어 있고 몸체 하단 양측벽에 횡으로 가이드홈(224)이 형성되어 그 가이드홈(224)을 따라 하부연결체(230)가 전후진되게 하고 몸체의 중간 양측벽에 돌출형성된 연결축부(225)에는 스프링(250)에 구비한 압축스프링부(251)의 일단이 연결되어 측부연결체(220)를 밀어내는 작용을 한다.
상기 하부연결체(230)는 측부연결체(220)의 양측 가이드홈(224)에 끼워져서 전후진되는 수평작동대(231)가 양측으로 구비되고 그 수평작동대(231)의 후방은 개방되고 전방은 접촉대(232)가 횡으로 연결된 구성으로 되고 상기 수평작동대(231)의 외측벽에 결합구멍(233)이 형성되고 그 결합구멍(233)에는 스프링(250)에 구비한 인장스프링부(252)의 일단이 연결되어 하부연결체(230)를 당기는 작용을 한다.
상기 접촉대(232)는 측부연결체(220)의 몸체 수직 하단에 형성된 전방 안내턱(226)에 끼워져서 측부연결체(220)의 몸체(221)선단과 동일한 수직선상으로 놓여지게 한 구성으로 측부연결체(220)가 고정플랜지(110)에 결합되는 작용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한 것으로, 이는 접촉대(232)가 측부연결체(220)의 몸체(221)선단에 돌출되는 경우에는 그 돌출부분에 의해 측부연결체의 결합이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상기 측부연결체(220)에는 쐐기부재(240)가 관통되는 삽입구멍(233)이 형성되어지되 삽입구멍(233)일측은 경사각으로 형성되어 쐐기부재(240)의 경사각에 밀착되게 되어 있다.
상기 쐐기부재(240)는 몸체 일측은 경사각을 이루고 타측은 수직으로 형성되어지되 수직하단에 접촉대(233)가 내입되어 수직선상을 이루도록 한 접속안내홈(241)이 형성되고 접속안내홈(241)의 상측은 경사면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250)은 하나의 스프링에 압축스프링부(251)와 인장스프링부(252)가 구비되어지되 측부연결체(220)의 연결축부(225)에 결합될 수 있게 절곡된 연결부(253)의 일단은 지지부(210)의 전방으로 밀어내는 구성의 압축스프링부(251)가 형성되고 타단은 지지부(210)의 후방으로 당기는 구성의 인장스프링부(252)가 형성된 형태로 구획되어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수직 지주부재(100)와 수평 지주부재(300)를 연결하고자 할 경우, 수직 지주부재(100)의 고정플랜지(110)에 수평 지주부재(300)의 양측단에 일체형으로 설치된 결합부재(200)로 결합하되 결합부재(200)의 지지부(210)외주면에 면접촉되게 구비된 접촉단부(212)를 수직 지주부재(100)에 접촉시킨 다음 상기 지지부(210)의 삽입구멍으로 관통되게 쐐기부재를 하부방향으로 삽입한다.
이와 같이 쐐기부재(240)가 지지부(210)의 삽입구멍을 통해 하부방향으로 삽입되면, 삽입되는 쐐기부재(240)에 의해 측부연결체(220) 및 하부연결체(230)의 삽입구멍에 삽입되면서 측부연결체(220)를 후퇴시켜 측부연결체(220)선단의 걸림 턱(222)이 고정플랜지(110)의 체결편(111)에 측방향으로 밀착되어 결합됨과 동시에 쐐기부재(240)의 접속안내홈(241)에 내입된 접촉대(232)는 접속안내홈(241)의 상측 경사면을 따라 접속안내홈(241)을 벗어나면서 접촉대(232)를 전진이동시켜 접촉대(232)가 고정플랜지(110)의 하단에 진입하는 면접촉으로 결합되는 수단에 의해 고정플랜지(110)의 상하에 측부연결체(220)와 하부연결체(230)가 지지되는 구성으로 상하결합된 상태가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측부연결체(220)의 걸림턱(222)이 후퇴하여 고정플랜지(110)의 상부 체결편(111)에 측방향으로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고정플랜지(110)의 하단면에는 하부연결체(230)의 접촉대(232)가 진입하는 면접촉으로 결합되어 결합부재가 고정플랜지에 상하결합되게 한 수단으로 상부방향으로의 충격에도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일부분해 사시도
도 3의 (가)는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3의 (나)는 (가)이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재의 결합전 상태 단면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재의 결합을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6은 도 5의 결합부재 결합상태를 나타낸 평면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재가 다수 결합된 상태 평면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수직 지주부재 110 : 고정플랜지
111 : 체결편 200 : 결합부재
210 : 지지부 211 : 공간
212 : 접촉단부 213 : 삽입구멍
220 : 측부연결체 221 : 몸체
222 : 걸림턱 223 : 삽입구멍
224 : 가이드홈 225 : 연결축부
226 : 안내턱 230 : 하부연결체
231 : 수평작동대 232 : 접촉대
233 : 결합구멍 240 : 쐐기부재
241 : 접속안내홈 250 : 스프링
251 : 압축스프링부 252 : 인장스프링부
253 : 연결부

Claims (6)

  1. 체결편(111)이 구비된 다수개의 고정플랜지(110)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수직 지주부재(100)와, 상기 수직 지주부재(100)에 환형으로 된 고정플랜지(110)에 연결되어 체결되는 결합부재(200)와, 상기 결합부재(200)가 양끝단에 일체형으로 설치되는 수평 지주부재(300)로 이루어진 지주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200)는 일측단이 수평 지주부재(300)에 연결되고 내부에 전면이 개방된 공간을 구비하는 지지부(210)와,
    상기 지지부(210)의 공간(211)상하에 측부연결체(220)와 하부연결체(230)가 각각 삽입되어 전후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측부연결체(220)는 쐐기부재(240)에 의해 후퇴하여 몸체(221)선단의 걸림턱(222)이 고정플랜지(110)의 상부 체결편(111)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연결체(230)는 전진하여 수평작동대(231)선단의 접촉대(232)가 고정플랜지(110)의 하단면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 연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연결체(220)는;
    몸체(210)선단에 고정플랜지(110)의 체결편(111)과 결합되도록 하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경사진 접촉면이 구비된 걸림턱(222)과,
    몸체(221)하단 양측벽에 횡으로 가이드홈(224)이 형성되어 그 가이드홈(224)을 따라 하부연결체(230)가 전후진되게 하고,
    몸체(221)의 중간 양측벽에 돌출된 연결축부(225)에는 스프링(250)에 구비된 압축스프링부(251)의 일단이 연결된 구성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 연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연결체(230)는;
    측부연결체(220)의 양측 가이드홈(224)에 끼워져서 전후진 되게한 양측 수평작동대(231)와,
    양측 수평작동대(231)의 후방은 개방되고 전방은 접촉대(232)가 횡으로 연결된 구성과,
    상기 수평작동대(231)의 외측벽에 형성된 결합구멍(233)에는 스프링(250)에 구비된 인장스프링부(252)의 일단이 연결된 구성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 연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대(232)는 측부연결체(220)의 몸체 수직 하단에 형성된 전방 안내 턱(226)에 끼워져서 측부연결체(220)의 몸체(221)선단과 동일한 수직선상으로 놓여지게 한 구성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 연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부재(240)는 몸체 일측은 경사각을 이루고 타측은 수직으로 형성되어지되
    수직하단에 접촉대(232)가 내입되어 수직선상을 이루도록 한 접속안내홈(241)이 형성되고,
    상기 접속안내홈(241)의 상측은 경사면을 이루는 구성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 연결장치
  6. 제 2항 또는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250)은 하나의 스프링에 압축스프링부(251)와 인장스프링(252)이 구비되어지되
    측부연결체(220)의 연결축부(225)에 결합될 수 있게 절곡된 연결부(253)와,
    상기 연결부(253)의 일단은 지지부(210)의 전방으로 밀어내는 구성으로 압축스프링부(251)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253)의 타단은 지지부(210)의 후방으로 당기는 구성의 인장스프 링부(252)가 형성된 형태로 구획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 연결장치
KR1020070093526A 2007-09-14 2007-09-14 지주 연결장치 KR200900281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526A KR20090028164A (ko) 2007-09-14 2007-09-14 지주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526A KR20090028164A (ko) 2007-09-14 2007-09-14 지주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8164A true KR20090028164A (ko) 2009-03-18

Family

ID=40695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3526A KR20090028164A (ko) 2007-09-14 2007-09-14 지주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28164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74999A (zh) * 2013-02-06 2013-05-01 宋述泽 新型钢管脚手架连接件
KR200487460Y1 (ko) * 2017-12-14 2018-09-18 조규현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대각가세의 고정장치
CN113047427A (zh) * 2021-03-31 2021-06-29 杭州潮峰重工钢结构有限公司 一种基于绿色钢结构建筑的桁架支撑系统及其焊接方法
JP7033816B1 (ja) * 2021-12-06 2022-03-11 株式会社エムティオー近畿 くさび緊結式足場における緊結装置
KR102575921B1 (ko) 2022-06-24 2023-09-14 유병문 건축물의 골조 형성용 결합구조체
KR20230140084A (ko) 2022-03-29 2023-10-06 이병진 건축물 골조 형성용 결합구조체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74999A (zh) * 2013-02-06 2013-05-01 宋述泽 新型钢管脚手架连接件
CN103074999B (zh) * 2013-02-06 2015-05-13 宋述泽 新型钢管脚手架连接件
KR200487460Y1 (ko) * 2017-12-14 2018-09-18 조규현 건축용 시스템 비계의 대각가세의 고정장치
CN113047427A (zh) * 2021-03-31 2021-06-29 杭州潮峰重工钢结构有限公司 一种基于绿色钢结构建筑的桁架支撑系统及其焊接方法
JP7033816B1 (ja) * 2021-12-06 2022-03-11 株式会社エムティオー近畿 くさび緊結式足場における緊結装置
KR20230140084A (ko) 2022-03-29 2023-10-06 이병진 건축물 골조 형성용 결합구조체
KR102575921B1 (ko) 2022-06-24 2023-09-14 유병문 건축물의 골조 형성용 결합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28164A (ko) 지주 연결장치
RU2004134727A (ru) Стыковое соединение основных тавровых балок
RU2012113400A (ru) Разборка сопряженных компонентов
MX2010014152A (es) Conjunto de cuña y casquillo.
KR20090028163A (ko) 지주 연결장치
KR101022596B1 (ko) 건축용 비계
KR100917950B1 (ko) 턴버클 장치에 의해 클램핑되는 콘크리트 쉘 부재
KR20120031518A (ko) 장착구조 및 장착구
KR200459087Y1 (ko) 거푸집 연결용 조인트
KR20110032881A (ko) 커넥터 어셈블리
KR200484698Y1 (ko) 간편한 설치 구조를 갖는 전복 양식용 쉘터
KR101398638B1 (ko) 비계용 수평연결대
CN202144602U (zh) 建设机具的铲齿改良结构
JP5052373B2 (ja) コネクタ
KR200340560Y1 (ko) 선반용 지지구
KR100982558B1 (ko) 컨베이어 빔 구조
KR100922206B1 (ko) 커넥터의 록킹장치
JP2000045515A (ja) パイプ材の連結装置
KR200445551Y1 (ko) 직부 등
KR101170543B1 (ko) 하나 이상의 횡재를 수직재에 연결하기 위한 체결구
CN213016008U (zh) 一种铝木门窗中柱连接结构
KR101420378B1 (ko) 지지 비계
KR200371517Y1 (ko) 경량 칸막이 패널의 연결장치
KR200431928Y1 (ko) 굴착지반의 버팀대 구조물
KR200362762Y1 (ko) 콘크리트 건축물용 거푸집 받침 고정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