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4257B1 - 비계 파이프용 클램프 - Google Patents

비계 파이프용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4257B1
KR102034257B1 KR1020190024091A KR20190024091A KR102034257B1 KR 102034257 B1 KR102034257 B1 KR 102034257B1 KR 1020190024091 A KR1020190024091 A KR 1020190024091A KR 20190024091 A KR20190024091 A KR 20190024091A KR 102034257 B1 KR102034257 B1 KR 102034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case
screw
cover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4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수
Original Assignee
이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수 filed Critical 이준수
Priority to KR1020190024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42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4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4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06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 E04G7/12Clamps or clips for crossing members
    • E04G7/14Clamps or clips for crossing members for clamping the members independently
    • E04G7/16Clamps or clips for crossing members for clamping the members independently of which the clamping parts for the different members are rotatable with respect to one an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파이프를 결속하는 제1몸체에 하중을 이용한 하강방지기능을 부여하여 하중이나 충격 등에 의해 클램프가 하부로 밀려 내려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비계 파이프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제1몸체(10)의 내부공간(11a)에 경사부(120)가 형성된 케이스(100)를 고정하고, 상기 케이스(100)에는 제1몸체(10)에 가해지는 하중으로 수직파이프(P1)를 파고들면서 강하게 가압하는 첨단(321)이 형성된 하강방지구(300)를 설치한 것이다.

Description

비계 파이프용 클램프{Clamp for scaffold pipe}
본 발명은 비계 설치시 수직파이프와 수평파이프를 결속하는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수직파이프를 결속하는 제1몸체에 위에서 내려오는 하중을 이용한 하강방지기능을 부여하여 하중이나 충격 등에 의해 클램프가 하부로 밀려 내려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안전사고의 위험을 예방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조임볼트에 캡너트를 체결하여 작업자가 조임볼트의 날카로운 끝단에 상처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비계 파이프용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공사 현장에서는 작업자가 높은 곳에서 일할 수 있도록 비계를 설치하는데, 비계는 건축용 재료의 운반이나 작업자의 통로 및 작업을 위한 발판이 되는 것이다. 즉, 건축공사 현장에서 비계를 설치하는 것은 사람들이 그곳에 올라가 작업을 할 수 있게 공간을 확보하는 목적을 갖고 있는바, 비계 위에는 사람은 물론 시멘트, 목재, 타일 등 다양한 건재들이 올라가므로 절대적인 안전이 요구된다.
이러한 비계는 대개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파이프를 서로 얽어 프레임을 형성한 후에, 그 사이에 이동 또는 작업을 위한 발판 등을 설치하게 되며, 프레임을 형성하는 파이프는 포스트용 파이프를 규정된 간격으로 지중에 박아 수직으로 설치하고, 이 포스트용 파이프에 빔용 파이프를 수평 방향으로 결합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발판 등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파이프를 수직 및 수평으로 설치하는데, 이때 파이프를 수직 및 수평으로 용이하게 결속하기 위해 클램프를 사용하고 있다.
클램프는 상호 대향되게 양측으로 설치되고, 내부는 곡선으로 형성되며, 양단에 각각 제1힌지와 제2힌지가 설치된 한쌍의 본체와; 상기 각 본체의 제1힌지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체결되고 내부는 곡선으로 형성되며 타단에 체결홈이 형성된 덮개와; 상기 각 본체의 제2힌지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체결되고 타단에 너트가 나사체결되어 덮개의 체결홈에 삽입 체결되는 볼트;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체결하고자 하는 두 파이프를 각각 일측의 본체와 타측의 본체의 내부로 위치시킨 후, 덮개로 막고 덮개의 체결홈에 볼트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너트로 조여줌으로써, 두 파이프를 수직 및 수평으로 쉽게 체결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클램프에 있어서는 파이프가 본체와 덮개의 내면에 면접촉되면서 결합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파이프를 견고하게 조이는 데는 한계가 있다.
즉, 파이프는 외주 일부가 본체의 내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나머지 외주 일부가 덮개를 통해 조여져 결합된다. 이때, 파이프는 외주가 본체 및 덮개와 면접촉하면서 조여지기 때문에, 볼트와 너트의 조임력이 약한 경우 본체와 덮개 사이에 헛돌게 되는 경우가 발생되며, 심한 경우 이들 사이에서 빠져나오는 단점이 있고, 특히 파이프가 볼트와 너트의 압력에 의하여 고정되는 단순한 구조이므로 하중이나 충격 등에 의해 클램프가 하부로 밀려 내려가는 현상이 발생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하기 특허문헌인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205868호에는 밑면과 후벽면이 마련되고 비계파이프가 안착되도록 양측면에 반원형상의 안착부가 대응하게 형성된 베이스부재와, 일단이 상기 베이스부재의 양측면 상부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 중심부에 삽입홈이 개방되게 형성된 너트지지부를 갖춘 반원형상의 덮개부재와, 일단이 상기 베이스부재의 밑면 전방측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 외주에 나사선이 가공되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회전된 후 너트가 결합되는 조임볼트를 각각 구비하는 제1결속장치와 제2결속장치가 상기 베이스부재의 밑면끼리 체결된 비계용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비계파이프 외주를 견고하게 결속할 수 있도록 요와 철이 반복되게 형성된 요철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용 클램프의 파이프 결속구조가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비계파이프를 안착부에 안착시킨 후 조임볼트와 너트를 통해 베이스부재와 덮개부재를 조이면, 비계파이프 표면에 안착부의 철 부위가 자국을 형성하며 압착됨으로써, 비계파이프가 헛돌지 않고 견고하게 결속되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파이프들이 교차하는 형태로 결속되어 제작되는 비계는 작업자의 이동이나, 무거운 장비를 사용하는 경우, 또는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등과 같이 힘이 작용하는 경우 상호 교차 연결된 파이프들에는 수직방향으로 엄청난 힘이 작용하게 되고, 상기 선행기술과 같이 클램프의 요철면 마찰력에 의하여 수직파이프들을 지지하게 되면, 강한 힘이 클램프에 전달되는 경우 수직파이프에서 클램프의 미끄러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고, 이는 비계 자체의 구조를 변형시켜 비계 구조물의 안전성에 치명적인 문제를 발생시키게 되므로 이 또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클램프는 조임볼트와 너트의 조임을 통해 그 압력으로 하중을 견디다 보니 종종 클램프가 아래로 내려가 사고로 이어져서 인명이나 공사의 많은 어려움을 주기도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클램프는 조임볼트에 너트를 체결하여 결속하였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결속 후 조임볼트의 날카로운 끝단이 외부로 13㎜ 정도 돌출되고, 이와 같이 외부로 돌출된 조임볼트의 끝단에 작업자의 피부가 접촉되어 상처를 입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상처로 인하여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이를 예방하기 위해 조임볼트의 끝단에 천이나 장갑 등을 감아서 가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특허문헌 : 등록실용신안 제20-0205868호(등록일자 : 2000.09.27)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수직파이프를 결속하는 제1몸체에 위에서 내려오는 하중을 이용한 하강방지기능을 부여하여 하중이나 충격 등에 의해 클램프가 하부로 밀려 내려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비계 파이프용 클램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전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예방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비계 파이프용 클램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임볼트에 캡너트를 체결하여 작업자가 조임볼트의 날카로운 끝단에 상처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비계 파이프용 클램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수직,수평파이프에 대응하는 수직,수평안착부를 구비하여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2몸체; 상기 수직,수평파이프에 대응하는 수직,수평안착부를 구비하여 제1,2몸체의 일단에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각각 연결되고, 타단에 체결홈이 각각 형성된 제1,2덮개; 상기 제1,2몸체의 타단에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각각 연결되어 제1,2덮개의 체결홈에 각각 끼워지는 조임볼트; 상기 조임볼트에 각각 체결되는 캡너트; 상기 제1몸체의 수직안착부 내부공간에 고정되어 전방이 개방된 수용부와, 수용부의 후면에 형성된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부를 구비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전방에 나사체결로 고정되어 수직으로 형성된 장공을 구비하는 커버; 상기 케이스의 수용부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내장되어 경사부에 대응하는 경사면이 형성된 몸체부와, 커버의 장공을 통해 돌출되어 수직파이프를 가압하는 첨단이 형성된 가압부를 구비하는 하강방지구; 상기 하강방지구를 하부로 당기는 인장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조임너트에 체결되는 캡너트의 캡에는 다수의 핀공을 각각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케이스의 후벽에는 경사부로 윤활유를 공급하도록 오일포켓을 형성하고, 상기 오일포켓의 주입구는 밀봉캡으로 밀봉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하강방지구의 하부에는 인장스프링이 끼워지는 스프링홈을 형성하고, 상기 스프링홈의 상부에는 상부나사가 체결되는 암나사를 형성하며, 상기 인장스프링의 상부에는 상부나사의 머리부를 고정하는 나사고정링을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는 하부나사가 체결되는 암나사을 형성하며, 상기 하부나사의 상부에는 고리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인장스프링의 하부에는 하부나사의 고리구멍에 끼워지는 고정고리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케이스의 전면 상부와 하부에는 커버의 두께에 대응하는 고정테를 각각 돌출시켜 고정테의 후면에는 고정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1몸체의 수직안착부에는 고정테의 고정홈에 대응하는 조립홈을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비계 파이프용 클램프에 따르면, 수직파이프를 결속하는 제1몸체의 내부공간에 케이스가 고정되고, 케이스에는 제1몸체에 가해지는 하중으로 수직파이프를 파고들면서 강하게 가압하는 하강방지구가 설치되기 때문에, 하중이나 충격 등에 의해 수직파이프를 결속하는 제1몸체가 하부로 밀려 내려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직파이프에 결속된 제1몸체의 하강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예방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임볼트에 캡너트가 체결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조임볼트의 날카로운 끝단에 상처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캡너트에는 다수의 핀공이 형성되기 때문에, 조임볼트에 캡너트를 체결한 상태에서 핀공에 타격핀을 끼우고, 캡너트가 빠지지 않도록 타격핀으로 조임볼트의 끝단을 타격하여 캡너트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강방지구의 측면도.
도 6은 도 5의 A - A선 단면도.
도 7a,7b는 본 발명에 따른 캡너트를 나타낸 측면도와 단면도.
도 8a,8b는 본 발명의 작용을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비계 파이프용 클램프는 도 1 내지 도 8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수직,수평파이프(P1)(P2)에 대응하는 수직,수평안착부(11)(21)를 구비하여 축(S1)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2몸체(10)(20); 상기 수직,수평파이프(P1)(P2)에 대응하는 수직,수평안착부(31)(41)를 구비하여 제1,2몸체(10)(20)의 일단에 축(S2)(S3)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에 체결홈(32)(42)이 형성된 제1,2덮개(30)(40); 상기 제1,2몸체(10)(20)의 타단에 축(S4)(S5)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제1,2덮개(30)(40)의 체결홈(32)(42)에 끼워지는 조임볼트(50)(60); 상기 조임볼트(50)(60)에 체결되는 캡너트(70)(80); 상기 제1몸체(10)의 수직안착부(11) 내부공간(11a)에 고정되어 전방이 개방된 수용부(110)와, 수용부(110)의 후면에 형성된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부(120)를 구비하는 케이스(100); 상기 케이스(100)의 전방에 나사(B)체결로 고정되어 수직으로 형성된 장공(210)을 구비하는 커버(200); 상기 케이스(100)의 수용부(110)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내장되어 경사부(120)에 대응하는 경사면(311)이 형성된 몸체부(310)와, 커버(200)의 장공(210)을 통해 돌출되어 수직파이프(P1)를 가압하는 첨단(321)이 형성된 가압부(320)를 구비하는 하강방지구(300); 상기 하강방지구(300)를 하부로 당기는 인장스프링(40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클램프는 건축공사 현장에서 비계를 설치할 때 수직파이프(P1)와 수평파이프(P2)를 결속하는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의 클램프는 제1몸체(10), 제2몸체(20), 제1덮개(30), 제2덮개(40), 조임볼트(50)(60), 캡너트(70)(80), 케이스(100), 커버(200), 하강방지구(300) 및 인장스프링(4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몸체(10)와 제2몸체(20)는 클램프의 본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제1몸체(10)와 제2몸체(20)는 서로 회전가능하게 축(S1)으로 연결되고, 제1몸체(10)와 제2몸체(20)의 내측에는 수직,수평파이프(P1)(P2)에 대응하는 반원형으로 형성된 수직,수평안착부(11)(21)가 각각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몸체(10)의 수직안착부(11)에는 수직파이프(P1)가 끼워지고, 상기 제2몸체(20)의 수평안착부(21)에는 수평파이프(P2)가 끼워진다. 한편, 상기 제1몸체(10)의 수직안착부(11) 내측에는 케이스(100)를 설치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11a)이 형성된다.
상기 제1덮개(30)와 제2덮개(40)는 제1,2몸체(10)(20)의 일단에 축(S2)(S3)으로 회전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제1덮개(30)와 제2덮개(40)의 내측에는 수직,수평파이프(P1)(P2)에 대응하는 반원형으로 형성된 수직,수평안착부(31)(41)가 각각 구비되고, 제1덮개(30)와 제2덮개(40)의 타단에는 체결홈(32)(42)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덮개(30)와 제2덮개(40)의 체결홈(32)(42)에는 조임볼트(50)(60)가 각각 끼워진다.
상기 조임볼트(50)(60)는 제1몸체(10)와 제2몸체(20)의 타단에 축(S4)(S5)으로 회전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조임볼트(50)(60)의 선단은 제1덮개(30)와 제2덮개(40)의 체결홈(32)(42)으로 각각 끼워진 상태에서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캡너트(70)(80)는 조임볼트(50)(60)의 단부에 나사결합으로 각각 체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캡너트(70)(80)는 제1,몸체(10)(20)와 제1,2덮개(30)(40)를 조여서 수직,수평파이프(P1)(P2)를 각각 견고하게 결속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고, 또한 캡너트(70)(80)는 조임볼트(50(60)의 날카로운 끝단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차단하여 작업자가 조임볼트(50)(60)의 날카로운 끝단에 상처를 입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7a,7b에서와 같이 상기 캡너트(70)(80)의 캡(71)(81)에는 다수의 핀공(72)(8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조임볼트(50)(60)에 캡너트(70)(80)를 각각 체결한 상태에서 핀공(72)(82)에 타격핀을 각각 끼우고, 캡너트(70)(80)가 빠지지 않도록 타격핀으로 조임볼트(50)(60)의 끝단을 타격하여 나사산을 손상시키는 가공 작업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중 부주의 등으로 인하여 캡너트(70)(80)가 분실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는 제1몸체(10)의 수직안착부(11) 내부공간(11a)에 끼워진 상태에서 용접 등을 통해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으로, 이러한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전방이 개방된 수용부(110)가 형성되고, 수용부(110)의 후면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부(12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100)는 수직파이프(P1)를 결속하는 제1몸체(10)에만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케이스(100)의 전면 양측 상부와 하부에는 나사(B)를 체결할 수 있도록 암나사(101)가 각각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케이스(100)의 후벽에는 경사부(120)로 윤활유를 공급하도록 오일포켓(130)이 형성되고, 상기 오일포켓(130)의 주입구는 밀봉캡(131)으로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오일포켓(130)에는 그리스(grease) 등의 윤활유가 충전되고, 상기 오일포켓(130)에 충전된 윤활유는 경사부(120)로 공급되며, 상기 윤활유는 경사부(120)의 표면을 매끄럽게 유지해주는 동시에 녹이 스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2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케이스(100)의 전면 상부와 하부에는 커버(200)의 두께에 대응하는 고정테(150)가 각각 돌출되어 고정테(150)의 후면에는 고정홈(151)이 형성되고, 상기 제1몸체(10)의 수직안착부(11)에는 고정테(150)의 고정홈(151)에 대응하는 조립홈(1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커버(200)는 케이스(100)의 전면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고정테(150) 사이에 끼워지고, 상기 고정테(150)의 고정홈(151)은 수직안착부(11)의 조립홈(12)에 끼워진다. 따라서, 상기 고정테(150)의 고정홈(151)을 수직안착부(11)의 조립홈(12)에 끼운 상태에서 고정테(150)를 제1몸체(10)에 용접 등을 통해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케이스(100)를 제1몸체(10)의 정확한 위치에 조립하여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테(150)와 커버(200)는 수직안착부(11)에 대응하는 곡면으로 형성되고, 이에 의해 고정테(150)와 커버(200)의 전면은 수직안착부(11)의 곡면과 동일한 곡면을 이루게 된다.
상기 커버(200)는 케이스(100)의 전방에 나사(B)체결로 고정되는 것으로, 이러한 커버(200)의 중앙부에는 수직으로 장공(210)이 형성되고, 커버(200)의 장공(210)에는 하강방지구(300)의 첨단(321)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진다. 이때, 상기 커버(200)의 양측 상부와 하부에는 나사(B)가 끼워지는 나사공(201)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하강방지구(300)는 케이스(100)의 수용부(110)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내장되는 것으로, 이러한 하강방지구(300)는 몸체부(310)와 가압부(32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하강방지구(300)는 수직파이프(P1)의 강도보다 강한 강도를 갖는 고속도강(하이스)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부(310)는 하강방지구(300)의 본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몸체부(310)의 후면에는 케이스(100)의 경사부(120)에 접촉되는 경사면(31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몸체부(310)의 경사면(311)은 케이스(100)의 경사부(120)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몸체부(310)의 경사면(311)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커지도록 형성된다. 한편, 도 3,4에서와 같이 상기 경사면(311)의 하부에는 수직면(312)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120)의 하부에는 수직부(121)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면(312)의 중앙부 수평선상에 대응하는 위치에 첨단(321)이 배치된다.
상기 가압부(320)는 몸체부(310)의 전면 중앙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가압부(320)의 전면 중앙부에는 커버(200)의 장공(210)을 통해 돌출되어 수직파이프(P1)를 가압하는 첨단(321)이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몸체부(310)는 커버(200)의 장공(210) 폭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320)는 커버(200)의 장공(210) 폭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가압부(320)의 첨단(321)은 평상시 장공(210)의 전방으로 0.1~0.2㎜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가압부(320)의 첨단(321)은 가압시 수직파이프(P1)를 파고들 수 있도록 날카롭게 톱니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인장스프링(400)은 하강방지구(300)를 하부로 당겨 원위치를 잡아주는 것으로, 이러한 인장스프링(400)은 평상시 하강방지구(300)를 하부로 당겨서 케이스(100)의 수용부(110) 바닥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이때, 상기 인장스프링(400)은 도 4에서와 같이 평상시 하강방지구(300)를 하부로 당겨 원위치를 잡아주기 때문에, 상기 가압부(320)의 첨단(321)은 평상시 장공(210)의 전방으로 0.1~0.2㎜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3,4에서와 같이 상기 하강방지구(300)의 하부에는 인장스프링(400)이 끼워지는 스프링홈(330)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홈(330)의 상부에는 상부나사(340)가 체결되는 암나사(331)가 형성되며, 상기 인장스프링(400)의 상부에는 상부나사(340)의 머리부를 고정하는 나사고정링(410)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100)의 하부에는 하부나사(350)가 체결되는 암나사(140)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나사(350)의 상부에는 고리구멍(351)이 형성되고, 상기 인장스프링(400)의 하부에는 하부나사(350)의 고리구멍(351)에 끼워지는 고정고리(4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인장스프링(400)의 하부에서 상부나사(340)를 끼우면, 상부나사(340)의 머리부는 나사고정링(410)의 하부에 걸려 상부로 빠지지 않고, 상부나사(340)의 나사부는 나사고정링(410)을 통해 상부로 돌출되므로, 이 상태에서 상부나사(340)를 암나사(331)를 체결하면 인장스프링(400)의 상부는 상부나사(34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이에 의해 인장스프링(400)은 스프링홈(330)에 내장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케이스(100)의 하부에서 암나사(140)에 하부나사(350)를 체결하면, 하부나사(350)의 고리구멍(351)은 수용부(110)의 내측 하부로 돌출되고, 이 상태에서 하부나사(350)의 고리구멍(351)에 인장스프링(400)의 고정고리(420)를 끼워서 연결하면, 인장스프링(400)의 하부는 하부나사(35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이 상태에서 상기 가압부(320)의 첨단(321)은 평상시 장공(210)의 전방으로 0.1~0.2㎜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케이스(100)가 설치된 제1몸체(10)와 제1덮개(30)를 벌린 상태에서 수직안착부(11)(31) 사이에 수직파이프(P1)를 끼우고, 이 상태에서 조임볼트(50)를 제1덮개(30)의 체결홈(32)에 끼워 외부로 돌출시킨 후, 캡너트(70)를 조이면 제1몸체(10)와 제1덮개(30)가 조여지면서 수직파이프(P1)를 결속하게 되며, 제1몸체(10)와 제1덮개(30)의 수직안착부(11)(31) 및 커버(200)와 케이스(100)의 고정테(150)는 수직파이프(P1)의 외면을 감싸게 된다.
이 상태에서 캡너트(70)를 강하게 조여주면 제1몸체(10)와 제1덮개(30)에 수직파이프(P1)를 결속하는 작업이 간단하게 완료되고, 또한 이 상태에서는 도 8a에서와 같이 케이스(100)에 설치된 하강방지구(300)의 첨단(321)은 수직파이프(P1)를 0.1~0.2㎜ 정도로 파고들면서 수직파이프(P1)를 가압한 상태를 견고히 유지하게 된다.
다음, 제2몸체(20)와 제2덮개(40)를 벌린 상태에서 수평안착부(21)(41) 사이에 수평파이프(P2)를 끼우고, 이 상태에서 조임볼트(60)를 제2덮개(40)의 체결홈(42)에 끼워 외부로 돌출시킨 후, 캡너트(80)를 조이면 제2몸체(20)와 제2덮개(40)가 조여지면서 수평파이프(P2)를 결속하게 되며, 제2몸체(20)와 제2덮개(40)의 수평안착부(21)(41)는 수평파이프(P2)의 외면을 감싸게 된다.
이 상태에서 캡너트(80)를 강하게 조여주면 제2몸체(20)와 제2덮개(40)에 수평파이프(P2)를 결속하는 작업이 간단하게 완료된다.
한편,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클램프에 수직,수평파이프(P1)(P2)가 각각 결속된 상태에서 클램프에 상부에서 하중이나 충격 등의 힘이 전달될 경우, 이 힘은 클램프를 통해 도 8b에서와 같이 제1몸체(10)에 수직으로 전달되어 제1몸체(10)와 케이스(100)를 하부로 밀어 하강시키려는 하중이 가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위에서 제1몸체(10)에 하중이 가해지면 도 8b에서와 같이 제1몸체(10)와 케이스(100)는 인장스프링(400)을 팽창시키면서 동시에 하부로 하강하게 되고, 케이스(100)의 경사부(120)가 동시에 하강하면서 하강방지구(300)의 경사면(311)을 수직파이프(P1) 쪽으로 밀어내게 되며, 이에 의해 하강방지구(300)의 첨단(321)은 수직파이프(P1)를 조금 더 파고들어간 상태에서 정지하게 되고, 이후 하강방지구(300)의 첨단(321)에는 더 이상 밀려나지 않으려는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제1몸체(10)와 케이스(100)는 더 이상 하강할 수 없는 상태로 정지하게 된다.
여기서, 몸체(10)와 케이스(100)가 하부로 5㎜ 정도 하강할 때 첨단(321)은 수직파이프(P1)를 1.5~2㎜ 정도 파고들고, 이후 몸체(10)와 케이스(100)는 더 이상 하강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는 위에서 클램프에 엄청난 하중이 가해져도 몸체(10)와 케이스(100)는 더 이상 하강하지 않고, 하강방지구(300)의 첨단(321)은 수직파이프(P1)를 더 강하게 가압하기 때문에, 클램프는 수직파이프(P1)를 한층 더 견고하게 결속하게 된다. 이때, 이 상태에서는 클램프를 망치로 내려쳐도 제1몸체(10)는 내려가지 않고 세게 내려치면 망치가 튕겨나간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조임볼트(50)와 캡너트(70)를 풀고 제1몸체(10)를 해체하지 않고서는 제1몸체(10)를 임의로 내릴 방법이 없다. 한편, 도 8b와 같은 상태에서 제1몸체(10)를 해체하면 하강방지구(300)는 인장스프링(400)의 복원력에 의해 도 4에서와 같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작용하는 본 발명은 클램프의 제1몸체(10)에 가해지는 하중이 클수록 하강방지구(300)의 첨단(321)이 수직파이프(P1)를 한층 더 강력하게 가압하게 되고, 또한 이와 같이 작용하는 본 발명은 캡너트(70)의 조임력이 느슨하여도 제1몸체(10)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하강방지구(300)의 첨단(321)이 수직파이프(P1) 쪽으로 밀리면서 수직파이프(P1)를 강하게 가압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위에서 내려오는 하중을 이용해서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은 수직파이프(P1)를 결속하는 제1몸체(10)의 내부공간(11a)에 케이스(100)가 고정되고, 케이스(100)에는 제1몸체(10)에 가해지는 하중으로 수직파이프(P1)를 파고들면서 강하게 가압하는 하강방지구(300)가 설치되기 때문에, 하중이나 충격 등에 의해 수직파이프(P1)를 결속하는 제1몸체(10)가 하부로 밀려 내려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은 수직파이프(P1)에 결속된 제1몸체(10)의 하강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예방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본 발명은 조임볼트(50)(60)에 캡너트(70)(80)가 체결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조임볼트(50)(60)의 날카로운 끝단에 상처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러한 본 발명은 캡너트(70)(80)에는 다수의 핀공(72)(82)이 형성되기 때문에, 조임볼트(50)(60)에 캡너트(70)(80)를 체결한 상태에서 핀공(72)(82)에 타격핀을 끼우고, 캡너트(70)(80)가 빠지지 않도록 타격핀으로 조임볼트(50)(60)의 끝단을 타격하여 캡너트(70)(80)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 제1몸체 11 : 수직안착부
11a : 내부공간 12 : 조립홈
20 : 제2몸체 21 : 수평안착부
30 : 제1덮개 31 : 수직안착부
32 : 체결홈 40 : 제2덮개
41 : 수평안착부 42 : 체결홈
50 : 조임볼트 60 : 조임볼트
70,80 : 캡너트 71,81 : 캡
72,82 : 핀공 100 : 케이스
110 : 수용부 120 : 경사부
130 : 오일포켓 131 : 밀봉캡
140 : 암나사 150 : 고정테
151 : 고정홈 200 : 커버
210 : 장공 300 : 하강방지구
310 : 몸체부 311 : 경사면
320 : 가압부 321 : 첨단
330 : 스프링홈 331 : 암나사
340 : 상부나사 350 : 하부나사
351 : 고리구멍 400 : 인장스프링
410 : 나사고정링 420 : 고정고리
P1 : 수직파이프 P2 : 수평파이프
S1,S2,S3,S4,S5 : 축 B : 나사

Claims (5)

  1. 수직,수평파이프(P1)(P2)에 대응하는 수직,수평안착부(11)(21)를 구비하여 축(S1)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2몸체(10)(20);
    상기 수직,수평파이프(P1)(P2)에 대응하는 수직,수평안착부(31)(41)를 구비하여 제1,2몸체(10)(20)의 일단에 축(S2)(S3)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에 체결홈(32)(42)이 형성된 제1,2덮개(30)(40);
    상기 제1,2몸체(10)(20)의 타단에 축(S4)(S5)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제1,2덮개(30)(40)의 체결홈(32)(42)에 끼워지는 조임볼트(50)(60);
    상기 조임볼트(50)(60)에 체결되는 캡너트(70)(80);
    상기 제1몸체(10)의 수직안착부(11) 내부공간(11a)에 고정되어 전방이 개방된 수용부(110)와, 수용부(110)의 후면에 형성된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부(120)를 구비하는 케이스(100);
    상기 케이스(100)의 전방에 나사(B)체결로 고정되어 수직으로 형성된 장공(210)을 구비하는 커버(200);
    상기 케이스(100)의 수용부(110)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내장되어 경사부(120)에 대응하는 경사면(311)이 형성된 몸체부(310)와, 커버(200)의 장공(210)을 통해 돌출되어 수직파이프(P1)를 가압하는 첨단(321)이 형성된 가압부(320)를 구비하는 하강방지구(300);
    상기 하강방지구(300)를 하부로 당기는 인장스프링(400)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100)의 후벽에는 경사부(120)로 윤활유를 공급하도록 오일포켓(130)이 형성되고, 상기 오일포켓(130)의 주입구는 밀봉캡(131)으로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 파이프용 클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너트(70)(80)의 캡(71)(81)에는 다수의 핀공(72)(8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 파이프용 클램프.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강방지구(300)의 하부에는 인장스프링(400)이 끼워지는 스프링홈(330)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홈(330)의 상부에는 상부나사(340)가 체결되는 암나사(331)가 형성되며, 상기 인장스프링(400)의 상부에는 상부나사(340)의 머리부를 고정하는 나사고정링(410)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100)의 하부에는 하부나사(350)가 체결되는 암나사(140)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나사(350)의 상부에는 고리구멍(351)이 형성되고, 상기 인장스프링(400)의 하부에는 하부나사(350)의 고리구멍(351)에 끼워지는 고정고리(4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 파이프용 클램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의 전면 상부와 하부에는 커버(200)의 두께에 대응하는 고정테(150)가 각각 돌출되어 고정테(150)의 후면에는 고정홈(151)이 형성되고, 상기 제1몸체(10)의 수직안착부(11)에는 고정테(150)의 고정홈(151)에 대응하는 조립홈(1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 파이프용 클램프.
KR1020190024091A 2019-02-28 2019-02-28 비계 파이프용 클램프 KR102034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091A KR102034257B1 (ko) 2019-02-28 2019-02-28 비계 파이프용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091A KR102034257B1 (ko) 2019-02-28 2019-02-28 비계 파이프용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4257B1 true KR102034257B1 (ko) 2019-10-18

Family

ID=68462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4091A KR102034257B1 (ko) 2019-02-28 2019-02-28 비계 파이프용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42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73132A (zh) * 2019-12-26 2020-05-19 温州职业技术学院 一种装配式建筑用钢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5868Y1 (ko) 2000-06-20 2000-12-01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중원엔지니어링 비계용 클램프의 파이프 결속구조
US6199641B1 (en) * 1997-10-21 2001-03-13 Tesco Corporation Pipe gripping device
KR200372541Y1 (ko) * 2004-10-26 2005-01-14 이재향 풀림방지안전형 캡너트
KR20140020581A (ko) * 2012-08-09 2014-02-19 (주)에이원알폼 비계 파이프의 미끄럼방지용 클램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99641B1 (en) * 1997-10-21 2001-03-13 Tesco Corporation Pipe gripping device
KR200205868Y1 (ko) 2000-06-20 2000-12-01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중원엔지니어링 비계용 클램프의 파이프 결속구조
KR200372541Y1 (ko) * 2004-10-26 2005-01-14 이재향 풀림방지안전형 캡너트
KR20140020581A (ko) * 2012-08-09 2014-02-19 (주)에이원알폼 비계 파이프의 미끄럼방지용 클램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73132A (zh) * 2019-12-26 2020-05-19 温州职业技术学院 一种装配式建筑用钢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44587B1 (en) Improvements in roof anchors
ES2350517T3 (es) Placa de bloqueo con arandela que puede recalcarse.
WO2013153943A1 (ja) 仮設足場用継手
KR102034257B1 (ko) 비계 파이프용 클램프
KR101693478B1 (ko) 착탈가능한 파일 정렬 가이드 밴드 및 이를 이용한 파일 연결 방법
KR20210097099A (ko) 텔레스코픽 에지 보호 포스트
US5590862A (en) Device for adjusting the length of a support
KR20190125896A (ko) 철근용 커플러
US11732478B2 (en) Rebar cover
JP2892349B1 (ja) 手摺り取付装置
JP2016044525A (ja) 手摺支柱装置および連結具
KR102050079B1 (ko) 비계파이프 결합용 체결장치
KR200364620Y1 (ko) 콘크리트 파일용 조인트
CN108643550B (zh) 悬挑脚手架限位装置及施工方法
US20050013655A1 (en) Fitting for joining scaffold boards
JP6074312B2 (ja) 楔金具の装着具及び楔金具の装着方法
KR200464097Y1 (ko) 세트앙카
KR200367350Y1 (ko) 개폐가 편리한 원형클램프
JP3231399U (ja) 支柱管の装着長さ調整用のストッパー部付きサポートピン
KR200350014Y1 (ko) 구축물용 난간 클램프어셈블리
KR20190110239A (ko) 원터치체결부를 갖는 비계
KR102279850B1 (ko) 안전발판 낙하물 방지용 경첩
KR102465258B1 (ko) 안전 난간대
KR200269997Y1 (ko) 파이프고정용 클램프
KR940008474Y1 (ko) 건축용 비계 설치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