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7939B1 - 접이식 안전발판 - Google Patents

접이식 안전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7939B1
KR102267939B1 KR1020190143102A KR20190143102A KR102267939B1 KR 102267939 B1 KR102267939 B1 KR 102267939B1 KR 1020190143102 A KR1020190143102 A KR 1020190143102A KR 20190143102 A KR20190143102 A KR 20190143102A KR 102267939 B1 KR102267939 B1 KR 102267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leg member
leg members
frames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3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6523A (ko
Inventor
안예원
안문상
주창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어탑
안예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어탑, 안예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어탑
Priority to KR1020190143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7939B1/ko
Publication of KR20210056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6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7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7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5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essentially comprising special means for supporting or forming platforms;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adjustable in he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34Scaffold constructions able to be folded in prismatic or flat parts or able to be turned dow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0Steps or ladders specially adapted for scaff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4개의 다리부재가 링크를 통해 중앙으로 모이거나 펼쳐지도록 하여 안전발판을 보관할 때, 부피를 줄여 보관의 편의성을 높이며, 또한 각 다리부재의 길이를 개별적으로 조절 가능하게 구성하여 바닥이 경사지거나 구조물이 있더라도 작업발판을 항상 수평으로 설치할 수 있어 안정적인 작업을 행할 수 있으며, 다리부재에 보조형 다리부재를 더 설치하여 높이가 높아진 작업발판을 흔들림없이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또한 다리부재의 길이 조절에 맞추어 사다리부재의 길이 역시 조절하여 높은 위치에 작업발판이 위치하더라도 작업자가 쉽게 올라갈 수 있도록 한 접이식 안전발판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접이식 안전발판{Folding safety tread plate}
본 발명은 접이식 안전발판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관시의 부피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바닥이 경사진 곳에서도 작업대를 수평으로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접이식 안전발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높은 곳에서의 작업이 필요한 경우 예를 들어 목공, 도배, 미장, 전기, 칠, 필름, 타일 등의 작업을 행하는 각종 작업 현장에서는 계단형 작업발판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계단형 작업발판에 올라가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계단형 작업발판과 관련한 대표적인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 20-2014-0002358 호(명칭: 작업용 계단식 발판 장치)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작업자가 오르내릴 수 있는 계단식 발판 장치에 있어서, 거리를 두고 양면에 배치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양면 고정프레임 사이에 단차를 이루며 배치되는 구조로 고정프레임과 고정되는 발판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 측에 중공구조 형성되는 제1 가이드관과, 상기 제1 가이드관에 체결되는 조임 체결구로 이루어지는 발판 수단과, 상기 발판 수단의 제1 가이드 관을 따라 승,하강하도록 결합 되며 단위 구조물과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압박 결합수단과, 상기 압박결합수단에 승, 하강 가능하게 결합 되는 손잡이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그러나 선행기술과 같은 구조의 계단식 발판 장치는 계단형 발판이 접혀지거나 혹은 포개어지는 구조가 아니라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이 됨에 따라 작업 후, 발판 장치를 보관할 때, 부피를 줄일 수 없어 보관에 필요한 공간확보에 제한을 받는 단점이 있다.
또한, 계단식 발판 장치는 4개의 다리부재가 각각 개별적으로 길이 조절이 불가능하여 바닥이 경사진 곳에 발판 장치를 설치하면 발판이 경사진 곳에 맞추어 한쪽으로 기울어지게 됨으로서 작업시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 20-2014-0002358 호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4개의 다리부재가 링크를 통해 중앙으로 모이거나 펼쳐지도록 하여 보관시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접이식 안전발판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리부재의 길이를 개별적으로 조절 가능하게 구성하여 바닥이 경사진 곳에서도 작업발판을 수평으로 설치할 수 있는 접이식 안전발판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 다리부재에 보조형 다리부재를 더 설치하여 작업발판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접이식 안전발판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리부재의 길이 조절에 맞추어 사다리의 길이 역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접이식 안전발판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 1 내지 제 4다리부재와, 상기 제 1 내지 제 4다리부재에 올려지는 작업판, 상기 작업판으로 올라갈 수 있도록 하는 사다리를 포함한 접이식 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제 1다리부재는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상의 아우터부재, 상기 아우터부재의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는 이너부재 및 상기 아우터부재 및 이너부재를 고정 및 고정 해지하는 스토퍼로 구성하며. 상기 제 2 내지 제 4다리부재는 상기 제 1다리부재와 동일한 구조로 제작하여 작업 위치에 맞추어 상기 작업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상기 제 1다리부재와 상기 제 2다리부재의 사이 그리고 상기 제 3다리부재와 상기 제 4다리부재의 사이에는 고정링크가 설치되며, 상기 제 1다리부재와 상기 제 3다리부재 사이 그리고 상기 제 2다리부재와 상기 제 4다리부재에는 상기 제 1, 3다리부재를 중앙으로 모여주거나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접이식으로 연결 구성하는 접철식 링크가 설치되며, 상기 사다리부재는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배치되며 선단은 상기 제 3다리부재와 상기 제 4다리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링크의 외경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내부 프레임, 상기 내부 프레임의 사이에 일정간격 떨어진 상태로 설치되는 발판으로 구성한 제 1사다리부재, 상기 내부 프레임의 외면에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단면 형태로 성형된 한 쌍의 외부프레임, 상기 외부프레임의 사이에 일정간격 떨어진 상태로 설치되는 발판으로 구성한 제 2사다리부재, 상기 제 1사다리부재의 발판에 형성되어 있는 홈에 끼워진 상태로 스프링으로 탄력지지 되는 제 1삽입부, 상기 제 1삽입부의 맞은편에 위치하며 상기 내, 외부프레임에 서로 연결하여 통하는 구멍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 2삽입부를 가진 스토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내지 제 4다리부재의 하단에는 제 1 내지 제 4보강용 다리부재가 더 설치되며, 상기 제 1보강용 다리부재는 상기 제 1다리부재의 이너부재의 외경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틸팅암, 상기 틸팅암의 타단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틸팅암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제 1다리부재의 바깥으로 빠져나와 바닥에 고정되는 보강프레임으로 구성하며, 상기 제 2 내지 제 4보강용 다리부재는 상기 제 1보강용 다리부재와 동일한 구조로 제작하여 상기 제 2 내지 제 4다리부재에 각각 설치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내지 제 4다리부재의 상단에는 제 1 내지 제 4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제 1 내지 제 4브라켓에는 제 1 내지 제 4안전수직프레임이 설치되며, 상기 제 1 내지 제 4안전수직프레임에는 두 개의 제 1, 2안전수평프레임이 연결프레임으로 각각 연결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4개의 다리부재가 링크를 통해 중앙으로 모이거나 펼쳐지도록 하여 작업대를 보관할 때, 부피를 줄여 보관의 편의성을 높인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 각 다리부재의 길이를 개별적으로 조절 가능하게 구성하여 바닥이 경사지거나 구조물이 있더라도 작업발판을 항상 수평으로 설치할 수 있어 안정적인 작업을 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다리부재에 보조형 다리부재를 더 설치하여 높이가 높아진 작업발판을 흔들림없이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다리부재의 길이 조절에 맞추어 사다리부재의 길이 역시 조절하여 높은 위치에 작업발판이 위치하더라도 작업자가 쉽게 올라갈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안전발판의 전체 구성을 전방에서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작업발판이 회전 하는 동작상태도.
도 3은 다리부재의 접힘 동작상태도.
도 4는 도 1의 작업대를 후방에서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에서 사다리부재 및 제 1 내지 제 4다리부재의 길이 조절 동작상태도.
도 6은 제 1 내지 제 4보강용 다리부재의 동작상태도.
도 7은 사다리부재의 내, 외부프레을 고정하는 스토퍼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1의 접이식 안전발판에 설치되는 안전수직 및 수평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에서 안전수평프레임의 분리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다양한 실시 예를 들어 기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계단형 안전발판의 전체 구성을 전방에서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작업발판이 회전 하는 동작상태도이며, 도 3은 다리부재의 접힘 동작상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안전발판을 후방에서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4에서 사다리부재 및 제 1 내지 제 4다리부재의 길이 조절 동작상태도이고, 도 6은 제 1 내지 제 4보강용 다리부재의 동작상태도이며, 도 7은 사다리부재의 내, 외부프레을 고정하는 스토퍼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접이식 안전발판은 크게 4개의 제 1 내지 제 4다리부재(10, 20, 30, 40), 사다리부재(80) 그리고 작업발판(70)으로 나뉘어 구성한다.
상기 4개의 제 1 내지 제 4다리부재(10, 20, 30, 40)는 모두 동일한 구조로 제작되는 데,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요구에 맞추어 길이가 조절되는 구조로 제작된다.
하나의 제 1다리부재(10) 구조를 기술하면 상기 제 1다리부재(10)는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상의 아우터부재(12), 상기 아우터부재(12)의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는 이너부재(14) 및 상기 아우터부재(12) 및 이너부재(14)를 고정 및 고정 해지하는 스토퍼(16)로 구성한다.
상기 아우터부재(12)에는 구멍(12a)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이너부재(14)에는 상기 이너부재(1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멍(14a)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아우터부재(12)의 구멍(12a)에 상기 이너부재(14)에 형성되어 있는 어느 하나의 구멍(14a)이 동일선상에 위치하고 나면 상기 스토퍼(16)를 구멍(12a, 14a)으로 삽입시켜 길이 조절이 완료된 이너부재(14)를 아우터부재(12)에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 1다리부재(10)를 이너부재(14) 및 아우터부재(12)의 이중 프레임 구조로 제작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맞추어 각 제 1 내지 4 다리부재(10, 20, 30, 4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제 1 내지 제 4다리부재(10, 20, 30, 40)의 길이 조절은 도 ?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바닥이 경사진 곳이나 혹은 바닥 한쪽에 계단과 같은 구조물이 설치되어 있는 곳에 안전발판을 설치하여야 할 때, 상기 계단에 올려지는 한 곳의 다리부재의 길이를 짧게 조절한 상태로 설치하면 다리부재에 지지되어 지는 작업발판은 계단의 높이차에 상관없이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안정적인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4다리부재들중 양측에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배치되는 제 1다리부재(10) 및 제 2다리부재(20) 그리고 제 3다리부재(30) 및 제 4다리부재(40)의 사이에는 고정링크(50)를 설치하여 제 1, 2다리부재(10, 20)의 사이 간격 그리고 제 3, 4다리부재(30, 40)의 사이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안전발판의 전방 및 후방에 위치하는 제 1다리부재(10)와 제 3다리부재(30) 그리고 제 2다리부재(20)와 제 4다리부재(40)의 사이에는 접철식 링크(60)를 설치하여 제 1, 3다리부재(10, 30) 그리고 제 2, 4다리부재(20, 40)는 중앙으로 모여지거나 외측으로 벌어지며 접철 동작을 수행하여 안전발판의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접철식 링크(60)는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데, 제 1, 3다리부재(10, 30) 사이에 설치되는 접철식 링크 구조를 대표하여 기술하면 상기 접철식 링크(60)는 상기 제 1다리부재(10)에 핀 결합되는 제 1링크(62), 상기 제 3다리부재(30)에 핀 결합되는 제 2링크(64), 상기 제 1, 2링크(62, 64)의 단부를 맞댄 상태에서 상기 맞댄 부위에 결합되는 힌지축(66)을 포함한다.
이러한 접철식 링크(60)는 안전발판을 접어 부피를 줄이고자 할 때, 제 1다리부재(10)와 제 3다리부재(30)를 중앙으로 밀어주면 상기 제 1, 2링크(62, 64)는 힌지축(66)을 기점으로 회전하며 접혀지게 되고, 이 과정에서 제 1, 3다리부재(10, 30)의 사이 간격은 좁혀지며 서로 접혀진 상태가 된다. 물론 동일한 접철식 링크(60)로 결합된 제 2, 4다리부재(20, 40) 역시 사이 간격이 좁혀지게 되어 결과적으로 안전발판의 부피를 줄여줄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4다리부재(10, 20, 30, 40)의 하단에는 별도의 제 1 내지 제 4보강용 다리부재(110, 120, 130, 140)가 더 설치된다.
상기 제 1 내지 제 4보강용 다리부재(110, 120, 130, 140)는 상기 제 1 내지 제 4다리부재(110, 120, 130, 140)의 길이를 늘려 작업발판(70)의 높이를 높게 위치시킬 경우, 낮은 위치에 비해 작업발판(70)의 흔들림이 발생할 수 있고, 이는 작업중의 작업자에게 상당한 불안감을 전할 수 있는 바, 상기 제 1 내지 제 4보강용 다리부재(110, 120, 130, 140)가 작업발판(70)의 흔들림을 보강하여 보다 안정적인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 1 내지 제 4보강용 다리부재(110, 120, 130, 140) 역시 동일한 구조로 하여 제 1 내지 제 4다리부재(10, 20, 30, 40)에 하나씩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바, 하기에서는 제 1다리부재(10)에 설치되는 제 1보강용 다리부재(110)에 대해 대표하여 기술한다.
상기 제 1보강용 다리부재(110)는 상기 제 1다리부재(10)의 이너부재(14) 외경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틸팅암(112), 상기 틸팅암(112)의 타단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는 보강프레임(114)으로 구성한다.
상기 제 1보강용 다리부재(110)는 사용시, 작업자가 손으로 틸팅암(112)을 잡은 상태에서 당겨주면 상기 틸팅암(112)은 이너부재(14)를 축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보강프레임(114)을 제 1다리부재(10)의 바깥으로 빼내게 되고, 이 상태에서 보강프레임(114)은 바닥에 접촉하며 높은 위치에 있는 작업발판(70)이 흔들리지 않도록 작업발판(70)의 흔들림을 보강하게 된다.
상기 사다리부재(80)는 제 1 내지 제 4다리부재(10, 20, 30, 40) 위에 지지되어 지는 작업발판(70)으로 작업자가 올라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되는 수단이다.
상기 사다리부재(80)는 내부프레임(82), 상기 내부프레임(82)의 외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인출되는 외부프레임(90), 상기 내, 외부프레임(82, 90)을 고정 및 고정 해지시키는 스토퍼(94)로 구성한다.
상기 내부프레임(82)의 사이에는 발판(84)이 일정간격 떨어진 상태로 다수개가 설치된다. 상기 내부프레임(82)의 선단은 전술한 제 1 내지 제 4다리부재(10, 20, 30 ,40)들중 제 3다리부재(30)와 제 4다리부재(40)를 연결하는 고정링크(50)의 외경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내부프레임(82)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멍(88)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88)으로는 스토퍼(94)가 삽입되며 길이 조절이 완료된 내, 외부프레임(82, 90)을 고정하게 된다.
상기 외부프레임(90)의 사이에는 발판(92)이 일정간격 떨어진 상태로 다수개가 설치된다. 상기 외부프레임(90)은 상기 내부프레임(82)의 외경에 끼워진 상태에서 외부로 인출 동작하게 되는 데, 이때 외부프레임(90)은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성형하여, 외부프레임(90)의 인출 및 인입 동작시 외부프레임(90)이 내부프레임(82)의 발판(84)에 걸려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외부프레임(90)에는 하나의 구멍(93)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93)은 내부프레임(82)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구멍(88)들중 어느 하나의 구멍(88)과 연통한 상태에서 스토퍼(94)가 끼워지도록 하여 내, 외부프레임(82, 90)을 고정하게 된다.
상기 스토퍼(94)는 길이 조절이 완료된 사다리부재(80)의 내, 외부프레임(82, 90)을 고정시키는 부재이다.
상기 스토퍼(94)는 평면상에서 "∪"모양을 가지도록 양단에는 제 1, 2삽입부(96, 98)가 수직으로 밴딩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스토퍼(94)의 제 1삽입부(96)는 상기 내부프레임(82)의 발판(84)에 형성되어 있는 홈(98)에 끼워진 상태에서 스프링(100)으로 탄력 지지되고, 상기 제 2삽입부(96)는 상기 내, 외부 프레임(82, 90)에 서로 연통하고 있는 구멍(88, 93)으로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며 내, 외부프레임(82, 90)을 고정 시킨다.
상기한 사다리부재(80)는 작업발판(70)의 높이 조절에 맞추어 외부프레임(90)을 내부프레임(82)에서 빼내거나 끼워넣는 방식으로 길이를 조절하게 된다. 즉, 길이 조절시 내, 외부프레임(82, 90)을 고정하고 있는 스토퍼(94)를 당겨주면 제 2삽입부(98)는 내, 외부프레임(82, 90)의 구멍(88, 93)에서 빠져나오며 고정을 해지시키게 된다. 이때 제 1삽입부(96)는 발판(92)의 홈(98)에 끼워진 상태로 스프링(100)의 탄성력을 전달받게 된다.
다음, 길이를 조절한 후, 다시 내, 외부프레임(82, 90)을 고정할 때에는 조절된 위치에 맞게 서로 연결하고 있는 내, 외부프레임(82, 90)의 구멍(88, 93)에 스토퍼(94)의 제 2삽입부(98)를 위치시키면 제 1삽입부(96)에 전해지는 스프링(100)의 탄성력에 의해 제 2삽입부(98)는 내, 외부프레임(82, 90)의 구멍(88, 93)으로 자동 삽입되며 길이 조절이 완료된 내, 외부프레임(82, 90)을 서로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작업발판(70)은 상기 제 1 내지 제 4다리부재(10, 20, 30, 40) 위에 올려지며 작업자들이 제 1 내지 제 4다리부재(10, 20, 30, 40) 위에서 각종 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자리를 제공하는 판이다.
상기 작업발판(70)은 상기 제 1다리부재(10) 및 제 2다리부재(20)에 양측이 힌지(72)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72)를 기점으로 회전 동작하며 상기 제 1 내지 제 4다리부재(10, 20, 30, 40) 위에 올려질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작업발판(70)은 제 1 내지 제 4다리부재(10, 20, 30, 40)의 옆이 아닌 위쪽에 직접 올려진 상태로 지지됨으로서 작업자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내지 제 4다리부재(10, 20, 30, 40)의 상단에는 제 1 내지 제 4브라켓(150, 152, 154, 156)이 설치되고, 상기 제 1 내지 제 4브라켓(150, 152, 154, 156)에는 제 1 내지 제 4안전수직프레임(160, 162, 164, 166)이 설치되며, 상기 제 1 내지 제 4안전수직프레임(160, 162, 164, 166)에는 두 개의 제 1, 2안전수평프레임(170, 180)이 연결프레임으로 연결 구성된다.
첨부된 도 8 내지 도 9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4안전수직프레임(160, 162, 164, 166) 및 제 1, 2안전수평프레임(170, 180)은 작업발판에 올라간 작업자가 작업과정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보호하게 된다. 특히 상기 제 1 내지 제 4안전수직프레임(160, 162, 164, 166) 및 제 1, 2안전수평프레임(170, 180)은 작업발판의 외곽에서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필요시에만 조립시켜 사용토록 함으로서 안전발판의 부피를 불필요하게 늘이지 않은 상태에서 작업시에 작업자의 안전을 지켜주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내지 제 4안전수직프레임(160, 162, 164, 166)은 제 1 내지 제 4브라켓(150, 152, 154, 156)에 각각 수직으로 분리 가능하게 설치한 다음, 상기 제 1안전수평프레임(170)의 양단에는 연결프레임(174)이 힌지(172)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프레임(174)을 제 1, 3안전수직프레임(160, 164)에 끼워넣어 제 1안전수평프레임(170)을 제 1, 3안전수직프레임(160, 164)에 수평으로 연결 구성하고,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 2안전수평프레임(180)을 연결프레임(184)으로 제 2, 4안전수직프레임(162, 166)에 수평으로 연결 구성함으로서 작업발판에 올라선 상태로 작업중인 작업자가 자칫 아래로 떨어지는 등의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접이식 안전발판의 작용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접이식 안전발판을 펼쳐 사용할 때에는 제 1다리부재와 제 3다리부재(10, 30) 그리고 제 2다리부재와 제 4다리부재(20, 40)를 각각 외측으로 당겨주면 접철식 링크를 구성하는 제 1, 2링크(62, 64)는 힌지축(66)을 기점으로 회전하며 펼쳐지게 되고, 이 과정에서 제 1, 3다리부재(10, 30) 그리고 제 2, 4다리부재(20, 40)의 사이 간격은 넓어지며 서로 펼쳐진 상태가 된다.
다음, 제 1 내지 제 4다리부재(10, 20, 30 ,40)가 최대한 펼쳐지고 나면 제 1, 2다리부재(10, 20)에 힌지(72) 결합되어 있는 작업발판(70)을 회동시켜 상기 제 1 내지 제 4다리부재(10, 20, 30 ,40) 위에 올려지도록 한다.
한편, 작업발판(70)의 높이가 작업 위치 보다 너무 낮을 경우에는 작업발판(70)의 높이를 높혀주어야 하며 이때에는 제 1 내지 제 4다리부재(10, 20, 30, 40)의 길이를 늘려 작업판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한다.
즉, 제 1다리부재(10)를, 예를 들면 스토퍼(16)를 분리시켜 아우터부재(12) 및 이너부재(14)를 서로 고정 해지한 다음, 이너부재(14)를 원하는 길이만큼 인출시킨 다음, 다시 아우터부재(12) 및 이너부재(14)에 형성된 구멍(12a, 14a)으로 스토퍼(16)를 끼워넣어 길이 조절이 완료된 아우터부재(12) 및 이너부재(14)를 다시 고정하도록 한다.
한편, 제 1 내지 제 4다리부재(10, 20, 30, 40)가 설치되는 바닥이 경사지거나 계단등이 있을 경우에는 해당 위치에 설치되는 다리부재의 길이는 다른 다리부재와 다르게 조절함으로서 바닥이 기울어지거나 계단등의 구조물이 있더라도 작업판을 항상 수평상태로 놓이게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높아진 작업발판(70)에 맞추어 사다리부재(80)의 길이 역시 조절하여야 하며, 이때에는 스토퍼(94)를 잡아당겨 내, 외부프레임(82, 90)에 형성된 구멍(88, 93)에 삽입되어 있는 제 2삽입부(98)를 빼내어 내, 외부프레임(82, 90)의 고정을 해지한 다음, 원하는 길이만큼 외부프레임(90)을 인출한 후, 인출된 길이에 맞게 연결되어 있는 내, 외부프레임(82, 90)의 구멍에 제 2삽입부(98)를 위치시킨 다음, 손을 놓게 되면 제 1삽입부(96)를 탄력지지하고 있는 스프링(100)의 텐션력에 의해 제 2삽입부(98)는 내, 외부프레임(82, 90)의 구멍(88, 93)으로 자동 삽입되며 길이 조절이 완료된 내, 외부프레임(82, 90)을 서로 고정하게 된다.
한편, 작업발판(70)의 높이가 너무 높아 흔들림을 보강하고자 할 때에는 제 1 내지 제 4다리부재(10, 20, 30, 40)의 하단에 설치되어 있는 제 1 내지 제 4보강용 다리부재(110, 120, 130, 140)를 외부로 빼내 바닥에 지지시켜 작업발판(70)의 흔들림을 안정적으로 보강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 1보강용 다리부재(110)의 틸팅암(112)을 손으로 잡고 당기게 되면 상기 틸팅암(112)의 일단은 제 1다리부재(10)의 이너부재(14)를 축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반대편 타단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는 보강프레임(114)은 제 1다리부재(10)의 바깥으로 빠져나온 상태로 바닥에 지지되어 지며, 이러한 제 1 내지 제 4보강용 다리부재(110 ,120, 130, 140)를 통해 높이가 높아진 작업발판(70)의 흔들림을 잡아줄 수 있는 것이다.
10: 제 1다리부재 20: 제 2다리부재
30: 제 3다리부재 40: 제 4다리부재
50: 고정링크 60: 접철식 링크
70: 작업발판 80: 사다리부재
82: 내부프레임 90: 외부프레임
94: 스토퍼

Claims (2)

  1. 제 1 내지 제 4다리부재(10, 20, 30 ,40)와, 상기 제 1 내지 제 4다리부재(10, 20, 30, 40)에 올려지는 작업발판(70), 상기 작업발판(70)으로 올라갈 수 있도록 하는 사다리부재(80)를 포함한 접이식 안전발판에 있어서,
    상기 제 1다리부재(10)는;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상의 아우터부재(12);
    상기 아우터부재(12)의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는 이너부재(14) 및 ;
    상기 아우터부재(12) 및 이너부재(14)를 고정 및 고정 해지하는 스토퍼(16)로 구성하며;
    상기 제 2 내지 제 4다리부재(20, 30, 40)는 상기 제 1다리부재(10)와 동일한 구조로 제작하여 작업 위치에 맞추어 상기 작업발판(7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상기 제 1다리부재(10)와 상기 제 2다리부재(20)의 사이 그리고 상기 제 3다리부재(30)와 상기 제 4다리부재(40)의 사이에는 고정링크(50)가 설치되며;
    상기 제 1다리부재(10)와 상기 제 3다리부재(30) 사이 그리고 상기 제 2다리부재(20)와 상기 제 4다리부재(40) 사이에는 상기 제 1, 3다리부재(10, 30) 및 제 2, 4다리부재(20, 40)를 중앙으로 모여주거나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접이식으로 연결 구성하는 접철식 링크(60)가 설치되며;
    상기 접철식 링크(60)는;
    상기 제 1다리부재(10)에 핀 결합되는 제 1링크(62), 상기 제 3다리부재(30)에 핀 결합되는 제 2링크(64), 상기 제 1, 2링크(62, 64)의 단부를 맞댄 상태에서 상기 맞댄 부위에 결합되는 힌지축(66)으로 구성하고;
    상기 사다리부재(80)는;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배치되며 선단은 상기 제 3다리부재(30)와 상기 제 4다리부재(40)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링크(50)의 외경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내부 프레임(82);
    상기 내부 프레임(82)의 사이에 일정간격 떨어진 상태로 설치되는 발판(84);
    상기 내부 프레임(82)의 외면에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단면 형태로 성형된 한 쌍의 외부프레임(90);
    상기 외부프레임(90)의 사이에 일정간격 떨어진 상태로 설치되는 발판(92);
    상기 내부프레임(82)의 발판(84)에 형성되어 있는 홈(98)에 끼워진 상태로 스프링(100)으로 탄력지지 되는 제 1삽입부(96);
    상기 제 1삽입부(96)의 맞은편에 위치하며 상기 내, 외부프레임(82, 90)에 서로 연결하여 통하는 구멍(88, 93)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 2삽입부(98)를 가진 스토퍼(94)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내지 제 4다리부재(10, 20, 30 ,40)의 하단에는 제 1 내지 제 4보강용 다리부재(110, 120, 130, 140)가 더 설치되며;
    상기 제 1보강용 다리부재(110)는;
    상기 제 1다리부재(10)의 이너부재(14)의 외경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틸팅암(112);
    상기 틸팅암(112)의 타단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틸팅암(112)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제 1다리부재(10)의 바깥으로 빠져나와 바닥에 고정되는 보강프레임(114)으로 구성하며;
    상기 제 2 내지 제 4보강용 다리부재(120, 130, 140)는 상기 제 1보강용 다리부재(110)와 동일한 구조로 제작하여 상기 제 2 내지 제 4다리부재(120, 130, 140)에 각각 설치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작업발판(70)은 상기 제 1다리부재(10) 및 제 2다리부재(20)에 양측이 힌지(72) 결합되어, 상기 제 1, 2다리부재(10, 20)의 외측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72)를 기점으로 회전 동작하며 상기 제 1 내지 제 4다리부재(10, 20, 30, 40) 위에 올려진 상태로 지지되며;
    상기 제 1 내지 제 4다리부재(10, 20, 30, 40)의 상단에는 제 1 내지 제 4브라켓(150, 152, 154, 156)이 설치되고, 상기 제 1 내지 제 4브라켓(150, 152, 154, 156)에는 제 1 내지 제 4안전수직프레임(160, 162, 164, 166)이 각각 수직으로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1 내지 제 4안전수직프레임(160, 162, 164, 166)에는 두 개의 제 1, 2안전수평프레임(170, 180)이 연결프레임(174)으로 각각 분리 가능하게 연결 구성하며;
    상기 연결프레임(174)은 상기 제 1, 2안전수평프레임(170, 180)의 양단에 힌지(172)로 각각 접힘 가능하게 연결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안전발판.
  2. 삭제
KR1020190143102A 2019-11-11 2019-11-11 접이식 안전발판 KR102267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102A KR102267939B1 (ko) 2019-11-11 2019-11-11 접이식 안전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102A KR102267939B1 (ko) 2019-11-11 2019-11-11 접이식 안전발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6523A KR20210056523A (ko) 2021-05-20
KR102267939B1 true KR102267939B1 (ko) 2021-06-24

Family

ID=76142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3102A KR102267939B1 (ko) 2019-11-11 2019-11-11 접이식 안전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793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244Y1 (ko) * 2005-12-30 2006-03-23 김만섭 사다리
US20100071994A1 (en) * 2008-09-25 2010-03-25 Chiu-Chu Tseng Multi-functional collapsible platform ladder of H shap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1718A (ko) * 2008-08-18 2010-02-26 남준식 접이식 작업발판
KR20110009067U (ko) * 2010-03-17 2011-09-23 문상석 높이조절이 가능한 안전난간을 갖는 이동식 비계장치
KR20140002358U (ko) 2012-10-16 2014-04-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작업용 계단식 발판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244Y1 (ko) * 2005-12-30 2006-03-23 김만섭 사다리
US20100071994A1 (en) * 2008-09-25 2010-03-25 Chiu-Chu Tseng Multi-functional collapsible platform ladder of H sha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6523A (ko) 2021-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88167A1 (en) Collapsible platform
KR20060071681A (ko) 절첩식 작업대
JP6255226B2 (ja) 折畳み式高所作業台
KR102267939B1 (ko) 접이식 안전발판
KR20170035530A (ko) 접이식 발판사다리
KR102381438B1 (ko) 말비계 겸용 a자형 안전사다리
KR100855365B1 (ko) 작업대
KR20120109170A (ko) 우마형 사다리
US2812220A (en) Portable collapsible scaffolding
US9290954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an adjustable scaffold shelf
CN211314069U (zh) 一种折叠登高梯
KR102177300B1 (ko) 절첩이 용이한 에이형 사다리의 안전 가이드 구조
KR101578578B1 (ko) 가변형 사다리
KR102311771B1 (ko) 계단형 작업대
JP3900354B2 (ja) 可搬式階段用作業足場台
KR102312869B1 (ko) 사다리 장치
KR102311759B1 (ko) 사다리 장치
KR200486641Y1 (ko) 사다리용 안전발판
JP4912358B2 (ja) 可搬式作業台
KR102312871B1 (ko) 사다리 장치
JP4170580B2 (ja) 可搬式作業台
KR102356032B1 (ko) 사다리 장치의 작업발판
KR102180099B1 (ko) 작업용 사다리
KR101525893B1 (ko) 절첩식 사다리
KR102154293B1 (ko) 에이형 사다리의 안전 가이드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