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6032B1 - 사다리 장치의 작업발판 - Google Patents

사다리 장치의 작업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6032B1
KR102356032B1 KR1020200072453A KR20200072453A KR102356032B1 KR 102356032 B1 KR102356032 B1 KR 102356032B1 KR 1020200072453 A KR1020200072453 A KR 1020200072453A KR 20200072453 A KR20200072453 A KR 20200072453A KR 102356032 B1 KR102356032 B1 KR 102356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eg member
rear leg
working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2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4667A (ko
Inventor
안춘자
Original Assignee
안춘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춘자 filed Critical 안춘자
Priority to KR1020200072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6032B1/ko
Publication of KR20210154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4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6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6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08Special construction of longitudinal members, or rungs or other tr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14Ladders capable of standing by themselves
    • E06C1/16Ladders capable of standing by themselves with hinged struts which rest on the ground
    • E06C1/18Ladders capable of standing by themselves with hinged struts which rest on the ground with supporting struts formed as lad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8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 E06C1/383Foldable ladders in which the longitudinal members are brought together on fo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발판을 중앙의 축봉을 중심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전, 후방 작업발판으로 나뉘어 구성하고, 펼침 동작한 전, 후방 작업발판은 전, 후방다리부재의 브라켓에 밀착되며 전, 후방 다리부재의 펼침 상태를 가압 유지시켜 흔들림없이 사다리의 안정적인 펼침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고, 그리고 전, 후방다리부재의 접힘 동작시에는 축봉을 중심으로 해서 함께 접혀지도록 하여 사다리 장치의 부피를 줄여 보관의 편리함을 구현할 수 있는 사다리 장치의 작업발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사다리 장치의 작업발판{Ladder work platform}
본 발명은 사다리 장치의 작업발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 후방 다리부재의 펼침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전, 후방다리의 접힘 동작시에는 함께 접혀지도록 하여 사다리 장치의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사다리 장치의 작업발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높은 곳에서의 작업이 필요한 경우 예를 들어 목공, 도배, 미장, 전기, 칠, 필름, 타일 등의 작업을 행하는 각종 작업 현장에서는 계단형 작업발판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계단형 작업발판에 올라가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계단형 작업발판과 관련한 대표적인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 20-2014-0002358 호(명칭: 작업용 계단식 발판 장치)를 예로 들 수 있다.
선행기술은 작업자가 오르내릴 수 있는 계단식 발판 장치에 있어서, 거리를 두고 양면에 배치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양면 고정프레임 사이에 단차를 이루며 배치되는 구조로 고정프레임과 고정되는 발판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 측에 중공구조 형성되는 제1 가이드관과, 상기 제1 가이드관에 체결되는 조임 체결구로 이루어지는 발판 수단과, 상기 발판 수단의 제1 가이드 관을 따라 승,하강하도록 결합 되며 단위 구조물과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압박 결합수단과, 상기 압박결합수단에 승, 하강 가능하게 결합 되는 손잡이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그러나 선행기술과 같은 구조의 계단식 발판 장치는 계단형 발판이 접혀지거나 혹은 포개어지는 구조가 아니라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이 됨에 따라 작업 후, 발판 장치를 보관할 때, 부피를 줄일 수 없어 보관에 필요한 공간확보에 제한을 받는 단점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 20-0401978 호(선행기술 2)와 같이 수직바와 발판으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사다리는 접힘이나 펼침 동작시 힌지부를 기점으로 동작이 이루어지나, 상면에 작업자가 밟고 작업할 수 있는 작업발판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일반적인 사다리이다.
즉, 작업자가 밟고 올라 작업할 수 있는 넓은 작업발판을 가지면서도, 펼침 동작시 다리부재를 작업발판이 흔들림없이 지지하도록 하고,. 또한 보관시에는 작업발판을 접철식으로 구성하여 사다리의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사다리 장치를 필요로 한다.
1):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20-2014-0002358호 2):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20-0401978호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작업발판을 중앙의 축봉을 중심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전, 후방 작업발판으로 나뉘어 구성하여 전, 후방 다리부재의 펼침 동작시 작업발판이 펼쳐지며 전, 후방 다리의 펼침을 흔들림없이 지지하도록 하며, 또한 전, 후방다리의 접힘 동작시에는 축봉을 중심으로 반으로 접혀지도록 하여 사다리 장치의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사다리 장치의 작업발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연결링크를 사이에 두고 서로 접힘 및 펼침 가능하게 구비되는 전, 후방 다리부재의 수직프레임 상면에 올려지며 상기 전, 후방 다리부재의 접힘 및 펼침 동작에 따라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구성한 사다리 장치의 작업발판에 있어서, 평판의 플레이트 타입으로 양측 외곽에는 상기 전방 다리부재의 수직프레임 상단에 설치되어 있는 브라켓에 축핀으로 연결되는 지지프레임을 구비한 전방 작업발판, 평판의 플레이트 타입으로 양측 외곽에는 상기 후방 다리부재의 수직프레임 상단에 설치되어 있는 브라켓에 축핀으로 연결되는 지지프레임을 구비한 후방 작업발판, 상기 전방 작업발판의 후면과, 상기 후방 작업발판의 전면을 서로 맞댄 상태에서 상기 맞댄 부위에 연결 설치되는 축봉으로 구성한다.
상기 전, 후방 다리부재의 펼침 동작에 따라 상기 전, 후방 작업발판은 상기 축봉을 중심으로 펼쳐지는 과정에서 상기 전방 작업발판의 지지프레임은 상기 전방 다리부재의 브라켓에 밀착되고, 상기 후방 작업발판의 지지프레임은 상기 후방 다리부재의 브라켓에 밀착되며 상기 전, 후방 다리부재의 펼침 각도를 유지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작업발판을 중앙의 축봉을 중심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전, 후방 작업발판으로 나뉘어 구성하고, 펼침 동작한 전, 후방 작업발판은 전, 후방다리부재의 브라켓에 밀착되며 전, 후방 다리부재의 펼침 상태를 가압 유지시켜 흔들림없이 사다리의 안정적인 펼침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전, 후방다리부재의 접힘 동작시에는 축봉을 중심으로 해서 함께 접혀지도록 하여 사다리 장치의 부피를 줄여 보관의 편리함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사다리장치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사다리장치에서 작업발판의 저면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연결링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사다리장치의 접힘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사다리장치의 접힘 동작상태도.
도 1은 사다리장치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사다리장치에서 작업발판의 저면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연결링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사다리장치의 접힘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사다리장치의 접힘 동작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들에서와 같이 사다리 장치는 크게 전, 후방다리부재(20, 30), 작업발판(10) 그리고 연결링크(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방다리부재(20)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22), 상기 수직프레임(22)의 사이 사이에 일정 간격 떨어진 상태로 연결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판프레임(24)으로 구성한다.
전방다리부재(20)의 수직프레임(22) 선단에는 전방 작업발판(10)의 양측 하단이 올려지기 위한 받침대(26)가 설치된다.
후방다리부재(30)는 전방다리(20)와 동일한 형상으로, 한 쌍의 수직프레임(32), 상기 수직프레임(32) 사이 사이에 일정간격 떨어진 상태로 연결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판프레임(34)으로 구성한다.
후방다리부재(30)의 수직프레임(32) 선단에는 후방 작업발판(12)의 양측 하단이 올려지기 위한 받침대(36)가 설치된다.
상기 연결링크(40)는 전방 다리부재(20)와 후방 다리부재(30)를 서로 연결 구성함과 더불어 상기 전, 후방 다리부재(20, 30)가 상기 연결링크를 가이드로 하여 외측으로 펼쳐지거나 내측으로 오무려지도록 하여 작업대를 접힘 가능하게 구성토록 한다.
상기 연결링크(40)는 크게 "X"형상으로 서로 교차되게 설치되는 제 1, 2링크프프레임(50, 70), 상기 제 1, 2링크프레임(50, 70)의 교차지점에 결합되는 힌지축(420)으로 구성한다.
이러한 제 1, 2링크프레임(50, 70)은 전, 후방 다리부재(20, 30)의 접힘 및 펼침 동작에 따라 힌지축(40)을 기점으로 좁혀지거나 벌어지며 전, 후방 다리부재(20, 30)의 접힘 및 펼침 동작을 가이드한다.
상기 연결링크(40)를 구성하는 제 1, 2링크프레임(50, 70)은 동일한 구조로 하여 상기 힌지축(40)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각각 배치되도록 구성되며, 아래에서는 힌지축(40)의 일측에 결합된 재 1, 2링크프레임(50, 50)의 구조를 대표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 1링크프레임(50)은 사선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배치되는 데, 상기 제 1링크프레임(50)은 이중의 프레임 구조, 바람직하게는 아우터프레임(52), 상기 아우터프레임(52)의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는 이너프레임(58)으로 구성한다.
상기 아우터프레임(52)의 끝단은 후방 다리부재(30)의 수직프레임(32)에 핀(54) 결합되고, 상기 이너프레임(58)의 끝단은 상기 아우터프레임(52)의 선단을 통해 상기 아우터프레임(52)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그 선단은 전방 다리부재(20)의 수직프레임(22)에 핀(59)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아우터프레임(52)의 중앙에는 힌지축(42)이 관통하기 위한 구멍(56)이 형성되고, 상기 이너프레임(58)에는 상기 힌지축(42)이 관통하되, 상기 힌지축(42)을 가이드로 하여 상기 아우터프레임(52)의 내부 및 외부로 인출 및 인입 동작이 가능하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진 가이드장공(60)이 관통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가이드장공(60)으로 상기 힌지축(42)이 관통한다.
상기 제 2링크프레임(70)은 전술한 제 1링크프레임(50)과 "X"형상으로 교차되도록 상기 제 1링크프레임(50)의 사선 방향과 반대방향의 사선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배치되는 데, 상기 제 2링크프레임(50)은 이중의 프레임 구조, 바람직하게는 아우터프레임(72), 상기 아우터프레임(72)의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는 이너프레임(78)으로 구성한다.
상기 아우터프레임(72)의 끝단은 전방 다리부재(20)의 수직프레임(22)에 핀(74) 결합되고, 상기 이너프레임(78)의 끝단은 상기 아우터프레임(72)의 선단을 통해 상기 아우터프레임(72)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그 선단은 후방 다리부재(30)의 수직프레임(32)에 핀(79)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아우터프레임(72)의 중앙에는 힌지축(40)이 관통하기 위한 구멍(76)이 형성되고, 상기 이너프레임(78)에는 상기 힌지축(40)이 관통하되, 상기 힌지축(40)을 가이드로 하여 상기 아우터프레임(72)의 내부 및 외부로 인출 및 인입 동작이 가능하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진 가이드장공(77)이 관통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가이드장공(77)으로 상기 힌지축(42)이 관통한다.
상기 작업발판(10)은 전, 후방다리부재(20, 30)의 수직프레임(22, 32) 상면에 올려지며 작업자들이 밟고 올라선 상태에서 통신, 목공, 도배, 미장, 전기, 칠, 필름, 타일 등의 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작업발판(10)은 중앙의 축봉(98)을 중심으로 해서 전, 후방작업발판(80, 90)으로 나뉘어지고, 상기 전, 후방작업발판(80, 90)은 상기 축봉(98)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전방작업발판(80)은 평판의 플레이트 타입으로 양측에는 지지프레임(82)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프레임(82)은 전방 다리부재(20)의 수직프레임(22) 상단에 설치되어 있는 브라켓(26)에 축핀(84)으로 결합되어, 상기 축핀(84)을 기점으로 회전 동작한다.
상기 후방 작업발판(90)은 평판의 플레이트 타입으로 양측에는 지지프레임92)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프레임(92)은 후방 다리부재(30)의 수직프레임(32) 상단에 설치되어 있는 브라켓(36)에 축핀(94)으로 결합되어, 상기 축핀(94)을 기점으로 회전 동작한다.
상기 전방 작업발판(80)의 후면과, 후방 작업발판(90)의 전면은 서로 맞대여진 상태로 축봉(98)으로 연결된다.
축봉(98)이 연결되기 위해 전방 작업발판(80)의 후면에는 중앙으로 공간(88)을 사이에 두고 전방 힌지관(86)이 설치되고, 후방 작업발판(90)의 전면에는 상기 전방 작업발판(80)의 전방 힌지관(86) 사이의 공간(88)에 수용되는 후방 힌지관(96)이 설치되며, 상기 전, 후방 힌지관(86, 96)으로 상기 축봉(98)이 관통하며 전방 작업발판(80) 및 후방 작업발판(90)이 상기 축봉(98)을 중심으로 해서 접힘 및 펼침 가능해지도록 연결 구성한다.
상기 전, 후방 작업발판(80. 90)을 중앙의 축봉(98)을 중심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구성하여 전, 후방 다리부재(20, 30)의 펼침 동작시 전, 후방작업발판(80, 90)이 펼쳐지며 전, 후방 다리(20, 30)의 펼침을 흔들림없이 지지하도록 하며, 또한 전, 후방다리부재(20, 30)의 접힘 동작시에는 축봉(98)을 중심으로 반으로 접혀지도록 하여 사다리 장치의 부피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아래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통해 사다리 장치의 펼침 및 접힘 동작시에 작업발판의 동작을 기술한다.
전, 후방 다리부재(20, 30)의 펼침 동작시에는 전, 후방 작업발판(80, 90)은 중앙의 축봉(98)을 중심으로 펼쳐지는 데, 이때 전, 후방작업발판(80, 90)의 지지프레임(82, 92)은 전, 후방 다리부재(20, 30)의 수직프레임(22, 32) 상단에 설치되어 있는 브라켓(26, 36)에 각각 축핀(84, 94)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축핀(84, 94)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브라켓(26, 36)의 상면에 밀착되며, 작업자는 펼쳐진 전 후방 작업발판(80, 90) 위에 올라가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전, 후방 작업발판(80, 90)의 지지프레임(82, 92)이 전, 후방 다리부재(20, 30)의 브라켓(26, 36)에 각각 밀착되면 전, 후방 다리부재(20, 30)는 더 이상의 각도로 외측으로 펼쳐지지 못하도록 전, 후방 다리부재(20, 30)를 가압하게 되고, 이를 통해 원하는 각도로 펼쳐진 전, 후방다리부재(20, 30)는 별도의 로커부재(미 도시 함)와 같은 수단으로 링크부재(50)의 제 1, 2로커프레임에 고정시키지 않더라도 전, 후방 다리부재(20, 30)의 펼침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전, 후방다리부재(20, 30)를 내측으로 밀어 접힘 동작을 수행하면 전, 후방 작업발판(80, 90)의 지지프레임(82, 92)은 브라켓(26, 36)의 축핀(82, 92)을 기점으로 들려지게 되고, 이와 동시에 전, 후방 작업발판(80, 90)은 중앙의 축봉(82, 92)을 중심으로 해서 중앙으로 모여지며 접혀지는 동작을 수행한다.
즉, 전, 후방다리부재(20, 30)의 접힘 동작시에는 전, 후방 작업발판(80, 90) 역시 반으로 접어지게 됨으로서 보관시 사다리 장치의 부피를 줄여줄 수 있는 것이다.
10: 작업발판 20: 전방 다리부재
22: 수직프레임 26: 브라켓
30: 후방 다리부재 32: 수직프레임
36: 브라켓 40: 연결링크
50: 제 1링크프레임 70: 제 2링크프레임
80: 전방 작업발판 82: 지지프레임
84: 축핀 86: 전방 힌지관
90: 후방 작업발판 92: 지지프레임
94: 축핀 96: 후방 힌지관
98: 축봉

Claims (2)

  1. 연결링크(40)를 사이에 두고 서로 접힘 및 펼침 가능하게 구비되는 전, 후방 다리부재(20, 30)의 수직프레임(22, 32) 상면에 올려지며 상기 전, 후방 다리부재(20 ,30)의 접힘 및 펼침 동작에 따라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구성한 사다리 장치의 작업발판에 있어서,
    평판의 플레이트 타입으로 양측 외곽에는 상기 전방 다리부재(20)의 수직프레임(22) 상단에 설치되어 있는 브라켓(26)에 축핀(84)으로 연결되는 지지프레임(82)을 구비한 전방 작업발판(80);
    평판의 플레이트 타입으로 양측 외곽에는 상기 후방 다리부재(30)의 수직프레임(23) 상단에 설치되어 있는 브라켓(26)에 축핀(94)으로 연결되는 지지프레임(92)을 구비한 후방 작업발판(90);
    상기 전방 작업발판(80)의 후면과, 상기 후방 작업발판(90)의 전면을 서로 맞댄 상태에서 상기 맞댄 부위에 연결 설치되는 축봉(98)으로 구성하며;
    상기 전, 후방 다리부재(20, 30)의 펼침 동작에 따라 상기 전, 후방 작업발판(80, 90)은 상기 축봉(98)을 중심으로 펼쳐지는 과정에서 상기 전방 작업발판(80)의 지지프레임(82)은 상기 전방 다리부재(20)의 브라켓(26)에 밀착되고, 상기 후방 작업발판(90)의 지지프레임(92)은 상기 후방 다리부재(30)의 브라켓(36)에 밀착되며 상기 전, 후방 다리부재(20, 30)의 펼침 각도를 유지시키게 되며;
    상기 전방 다리부재(20)와 후방 다리부재(30)의 사이에는 연결링크가 설치되며;
    상기 연결링크는 "X"형상으로 서로 교차되게 설치되는 제 1, 2링크프프레임(50, 70), 상기 제 1, 2링크프레임(50, 70)의 교차지점에 결합되는 힌지축(42)으로 구성하며;
    상기 제 1링크프레임(50)은;
    상기 후방 다리부재(30)의 수직프레임(32)에 핀(54) 결합되며 중앙에는 상기 힌지축(42)이 통과하기 위한 구멍(56)이 관통 형성된 아우터프레임(52);
    상기 아우터프레임(52)의 내부에 끝단이 삽입되며 그 선단은 상기 전방 다리부재(20)의 수직프레임(22)에 핀(59) 결합되며 중앙에는 상기 힌지축(42)이 통과한 상태에서 상기 아우터프레임(52)의 내부 및 외부로 인출 및 인입 동작에 따라 상기 힌지축(42)이 이동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가이드장공(60)이 관통 형성된 이너프레임(59)으로 구성하며;
    상기 제 2링크프레임(70)은;
    상기 전방 다리부재(20)의 수직프레임(22)에 핀(74) 결합되며 중앙에는 상기 힌지축(42)이 통과하기 위한 구멍(76)이 관통 형성된 아우터프레임(72);
    상기 아우터프레임(72)의 내부에 끝단이 삽입되며 그 선단은 상기 후방 다리부재(30)의 수직프레임(32)에 핀(79) 결합되며 중앙에는 상기 힌지축(42)이 통과한 상태에서 상기 아우터프레임(52)의 내부 및 외부로 인출 및 인입 동작에 따라 상기 힌지축(42)이 이동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가이드장공(80)이 관통 형성된 이너프레임(78)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 장치의 작업발판.
  2. 삭제
KR1020200072453A 2020-06-12 2020-06-12 사다리 장치의 작업발판 KR102356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453A KR102356032B1 (ko) 2020-06-12 2020-06-12 사다리 장치의 작업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453A KR102356032B1 (ko) 2020-06-12 2020-06-12 사다리 장치의 작업발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4667A KR20210154667A (ko) 2021-12-21
KR102356032B1 true KR102356032B1 (ko) 2022-01-25

Family

ID=79165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2453A KR102356032B1 (ko) 2020-06-12 2020-06-12 사다리 장치의 작업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6032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978Y1 (ko) 2005-09-02 2005-11-23 주식회사 알루원 발판 지지홈을 갖는 사다리
KR20140002358U (ko) 2012-10-16 2014-04-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작업용 계단식 발판 장치
KR20170035530A (ko) * 2015-09-23 2017-03-31 이영학 접이식 발판사다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4667A (ko) 2021-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54819B1 (en) Shore
JPH11241499A (ja) 支保工
US2941616A (en) Stairway type scaffold
KR200478605Y1 (ko) 접이식 작업대
US2172860A (en) Platform ladder
KR102356032B1 (ko) 사다리 장치의 작업발판
JP2529662B2 (ja) 折り畳み式建築作業足場台
US2720430A (en) Portable scaffolding folding unit
JP3429655B2 (ja) 作業用足場台
US2812220A (en) Portable collapsible scaffolding
KR102311771B1 (ko) 계단형 작업대
JP4480183B2 (ja) 折り畳み式作業足場
KR102328146B1 (ko) 사다리 장치
JP2002201792A (ja) 枠組足場
JP2005273304A (ja) 可搬式作業台
KR102312871B1 (ko) 사다리 장치
KR102312869B1 (ko) 사다리 장치
KR102312868B1 (ko) 크로스형 아웃사이더 사다리 장치
KR102312867B1 (ko) 크로스형 인사이더 사다리 장치
KR102267939B1 (ko) 접이식 안전발판
CN219548343U (zh) 一种可折叠式升降装置
KR200452778Y1 (ko) 작업용 발판
JP6497835B2 (ja) 作業足場台
KR102311759B1 (ko) 사다리 장치
KR102312870B1 (ko) 크로스형 슬라이더 사다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