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2868B1 - 크로스형 아웃사이더 사다리 장치 - Google Patents

크로스형 아웃사이더 사다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2868B1
KR102312868B1 KR1020200008805A KR20200008805A KR102312868B1 KR 102312868 B1 KR102312868 B1 KR 102312868B1 KR 1020200008805 A KR1020200008805 A KR 1020200008805A KR 20200008805 A KR20200008805 A KR 20200008805A KR 102312868 B1 KR102312868 B1 KR 102312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member
frame
link
horizontal bending
lo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8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4434A (ko
Inventor
안춘자
Original Assignee
안춘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춘자 filed Critical 안춘자
Priority to KR1020200008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2868B1/ko
Publication of KR20210094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4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2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2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14Ladders capable of standing by themselves
    • E06C1/16Ladders capable of standing by themselves with hinged struts which rest on the ground
    • E06C1/18Ladders capable of standing by themselves with hinged struts which rest on the ground with supporting struts formed as lad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8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 E06C1/39Ladders having platforms; Ladders changeable into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50Joints or other connect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발판, 상기 작업발판의 하단 전방에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 및 상기 수직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발판으로 구성한 전방 다리부재, 상기 작업발판의 하단 후방에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 및 상기 수직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발판(34)으로 구성한 후방 다리부재, 상기 전방 다리부재에 선단이 축 결합되고 그 끝단에는 상기 후방 다리부재의 수직프레임에 형성되어 있는 통과구멍을 관통하는 수평밴딩부가 형성된 제 1링크프레임, 상기 제 1링크프레임의 수평밴딩부에 형성되는 가이드장공, 상기 후방 다리부재의 수직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장공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후방 다리부재의 접힘 및 펼침 동작에 따라 상기 가이드장공을 타고 이동하는 안내핀, 상기 후방 다리부재에 선단이 축 결합되고 그 끝단에는 상기 전방 다리부재의 수직프레임에 형성되어 있는 통과구멍을 관통하는 수평밴딩부가 형성된 제 2링크프레임, 상기 제 2링크프레임의 수평밴딩부에 형성되는 가이드장공, 상기 전방 다리부재의 수직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장공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전방 다리부재의 접힘 및 펼침 동작에 따라 상기 가이드장공을 타고 이동하는 안내핀 및 상기 제 1, 2링크프레임의 중앙 맞댄부위에 결합되는 힌지축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크로스형 아웃사이더 사다리 장치{Cross Outsider Ladder}
본 발명은 크로스형 아웃사이더 사다리장치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 후방 다리부재 사이에 "X"형의 링크부재를 설치하여전, 후방 다리부재를 외측으로 펼치거나 내측으로 접히는 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작업과정에서 흔들림이나 유동없이 작업발판을 받쳐줄 수 있도록 한 크로스형 아웃사이더 사다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높은 곳에서의 작업이 필요한 경우 예를 들어 목공, 도배, 미장, 전기, 칠, 필름, 타일 등의 작업을 행하는 각종 작업 현장에서는 계단형 작업발판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계단형 작업발판에 올라가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계단형 작업발판과 관련한 대표적인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 20-2014-0002358 호(명칭: 작업용 계단식 발판 장치)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작업자가 오르내릴 수 있는 계단식 발판 장치에 있어서, 거리를 두고 양면에 배치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양면 고정프레임 사이에 단차를 이루며 배치되는 구조로 고정프레임과 고정되는 발판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 측에 중공구조 형성되는 제1 가이드관과, 상기 제1 가이드관에 체결되는 조임 체결구로 이루어지는 발판 수단과, 상기 발판 수단의 제1 가이드 관을 따라 승,하강하도록 결합 되며 단위 구조물과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압박 결합수단과, 상기 압박결합 수단에 승, 하강 가능하게 결합 되는 손잡이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그러나 선행기술과 같은 구조의 계단식 발판 장치는 계단형 발판이 접혀지거나 혹은 포개어지는 구조가 아니라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이 됨에 따라 작업 후, 발판 장치를 보관할 때, 부피를 줄일 수 없어 보관에 필요한 공간확보에 제한을 받는 단점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 20-2014-0002358 호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계단형 발판을 구성하는 전, 후방 다리부재 사이에 "X"형의 링크부재를 설치하여 전, 후방 다리부재의 안정적인 접힘 및 펼침 동작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크로스형 아웃사이더 사다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 후방 다리부재가 2단으로 펼침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발판의 높낮이를 작업위치에 맞추어 조절할 수 있는 크로스형 아웃사이더 사다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과정에서 작업발판을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도록 한 크로스형 아웃사이더 사다리 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크로스형 아웃사이더 사다리 장치에 있어서, 작업발판, 상기 작업발판의 하단 전방에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 및 상기 수직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발판으로 구성한 전방 다리부재, 상기 작업발판의 하단 후방에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 및 상기 수직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발판(34)으로 구성한 후방 다리부재, 상기 전방 다리부재에 선단이 축 결합되고 그 끝단에는 상기 후방 다리부재의 수직프레임에 형성되어 있는 통과구멍을 관통하는 수평밴딩부가 형성된 제 1링크프레임, 상기 제 1링크프레임의 수평밴딩부에 형성되는 가이드장공, 상기 후방 다리부재의 수직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장공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후방 다리부재의 접힘 및 펼침 동작에 따라 상기 가이드장공을 타고 이동하는 안내핀, 상기 후방 다리부재에 선단이 축 결합되고 그 끝단에는 상기 전방 다리부재의 수직프레임에 형성되어 있는 통과구멍을 관통하는 수평밴딩부가 형성된 제 2링크프레임, 상기 제 2링크프레임의 수평밴딩부에 형성되는 가이드장공, 상기 전방 다리부재의 수직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장공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전방 다리부재의 접힘 및 펼침 동작에 따라 상기 가이드장공을 타고 이동하는 안내핀 및 상기 제 1, 2링크프레임의 중앙 맞댄부위에 결합되는 힌지축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링크프레임의 수평밴딩부에는 제 1, 2걸림공이 각각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 1, 2걸림공에는 후방 로커부재의 걸이핀이 선택적으로 끼워지도록 구성하며, 상기 제 2링크프레임의 수평밴딩부에는 제 1, 2걸림공이 각각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 1, 2걸림공에는 전방 로커부재의 걸이핀이 선택적으로 끼워지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전, 후방 다리부재 사이에 "X"형의 링크부재를 설치하여 전, 후방 다리부재의 안정적인 접힘 및 펼침 동작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전, 후방 다리부재가 2단으로 단계적으로 펼침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발판의 높낮이를 작업위치에 맞추어 조절할 수 있고, 또한 작업상황에 따라 전, 후방 다리부재의 펼침 각도를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실용성을 높인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크로스형 아웃사이더 사다리장치의 전체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분해입체도.
도 3과 도 4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크로스형 아웃사이더 사다리장치의 사용상태를 각각 도시한 도면들.
도 5는 제 1링크프레임의 수평밴딩부와 후방 다리부재의 수직프레임 결합관계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6은 도 5의 정단면도.
도 7은 제 2링크프레임의 수평밴딩부와 전방 다리부재의 수직프레임 결합관계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8은 도 7의 정단면도.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사다리 장치의 전체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입체도이며, 도 3 내지 도 4는 사다리 장치의 접힘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크로스형 아웃사이더 사다리 장치는 전, 후방 다리부재(20, 30) 및 작업발판(10)으로 외형을 구성한다.
작업발판(10)은 평판의 플레이트 타입으로 작업자들이 밟고 올라선 상태에서 목공, 도배, 미장, 전기, 칠, 필름, 타일 등의 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작업발판(10)은 전방 다리부재(20)의 수직프레임(22) 상면에 힌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를 기점으로 정, 역 방향으로 회전하며 전, 후방 다리부재의 상면에 올려지거나 혹은 보관시 전방 다리부재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상기 작업발판(10)에는 발판 로커부재(40)가 설치된다. 상기 발판 로커부재(40)는 작업중에 작업발판(10)이 들려지지 않고 전방 다리부재(20)의 상면에 안치된 상태를 유지할 목적으로 제공된다.
상기 전, 후방 다리부재(20, 30)는 작업발판(10)을 지면에서 일정높이 이격시킨 상태로 작업발판을 지지하는 부재이다.
상기 전방 다리부재(20)와 후방 다리부재(30)는 연결링크를 사이에 두고 서로 연결 구성된다.
상기 전방 다리부재(20)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22), 상기 수직프레임(22)의 사이 사이에 일정 간격 떨어진 상태로 연결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판프레임(24)으로 구성한다.
상기 수직프레임(22)은 전방 다리부재(20)의 기둥 역할을 수행하며 하단은 지면에 접촉하고 그 상단은 작업발판(10)의 하단 전방 양쪽 모서리부에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발판프레임(24)은 상기 수직프레임(22)의 사이에 설치되며 작업자가 지면에서 작업발판(10)까지 올라갈 수 있도록 받침대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후방 다리부재(30)는 상기 전방 다리부재(20)와 동일한 구조,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32), 상기 수직프레임(32)의 사이 사이에 일정 간격 떨어진 상태로 연결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판프레임(34)으로 구성한다.
상기 연결링크는 전방 다리부재(20)와 후방 다리부재(30)를 서로 연결 구성함과 더불어 상기 전, 후방 다리부재(20, 30)가 상기 연결링크(40)를 가이드로 하여 외측으로 펼쳐지거나 내측으로 오무려지도록 하여 작업대를 접힘 가능하게 구성토록 한다.
상기 연결링크는 크게 "X"형상으로 서로 교차되게 설치되는 제 1, 2링크프프레임(50, 60), 상기 제 1, 2링크프레임(50, 60)의 교차지점에 일단이 결합되는 힌지축(90)으로 구성한다.
이러한 제 1, 2링크프레임(50, 60)은 전, 후방 다리부재(20, 30)의 접힘 및 펼침 동작에 따라 힌지축(90)을 기점으로 좁혀지거나 벌어지며 전, 후방 다리부재(20, 30)의 접힘 및 펼침 동작을 가이드하나.
상기 연결링크를 구성하는 제 1, 2링크프레임(50, 60)은 동일한 구조로 하여 상기 힌지축(90)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각각 배치되도록 구성되며, 아래에서는 힌지축(90)의 일측에 결합된 재 1, 2링크프레임(50, 60)의 구조를 대표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 1링크프레임(50)은 사선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배치되는 데 그 선단은 상기 전방 다리부재(20)에 축 결함되고 그 끝단은 수평을 향하도록 소정각도 밴딩시켜 수평밴딩부(52)가 연장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첨부된 도 5와 도 6은 제 1링크프레임(50)의 수평밴딩부(52)와 후방 다리부재(30)의 수직프레임(32) 결합관계를 도시한 평단면도 및 정단면도이다.
도 5와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수평밴딩부(52)은 후방 다리부재(30)의 수직프레임(32)에 형성되어 있는 통과구멍(36)을 통과하도록 한다. 상기 수평밴딩부(52)에는 하나의 가이드장공(54) 및 두 개의 제 1, 2걸림공(56, 58)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장공(54)에는 후방 다리부재(30)의 수직프레임(32)에 설치되어 있는 안내핀(38)이 끼워진 상태에서 후방 다리부재(30)의 접힘 및 펼침 동작을 가이드한다.
상기 제 1, 2걸림공(56, 58)에는 후방 로커부재(70)의 걸이핀(76)이 각각 선택적으로 끼워지며 상기 걸이핀(76)의 걸림 동작에 따라 후방 다리부재(30)의 펼침 및 접힘 각도가 2단으로 단계적으로 조절된다.
상기 제 1링크프레임(50)의 수평밴딩부(52)는 후방 다리부재(30)의 수직프레임(32)에 형성되어 있는 통과구멍(36)에 끼워진 상태에서 후방 다리부재(30)의 접힘 및 펼침 동작시 상기 통과구멍(36)을 통과하도록 하여 후방 다리부재(30)의 접힘 및 펼침 동작을 간섭없이 가이드하도록 한다.
상기 후방 로커부재(70)는 후방 다리부재(30)의 펼침 및 접힘 각도가 2단으로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과 더불어 각 단계에서 후방 다리부재(30)가 유동하지 않도록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부재이다.
상기 후방 로커부재(70)는 레버(72)와, 상기 레버(72)의 일단에 수직으로 절곡되며 상기 수직프레임(32)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홈(39)에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는 고정핀(74), 상기 레버(72)의 타단에 수직으로 절곡되며 상기 레버(72)의 당김 및 당김 해지동작에 따라 제 1링크프레임(50)의 수평밴딩부(52)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2걸림공(56, 58)에 각각 선택적으로 걸려지는 걸이핀(76) 및 상기 수직프레임(32)에 형성된 홈(31)에 삽입되며 상기 고정핀(74)의 인출 및 삽입 동작을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78)으로 구성한다.
상기 제 2링크프레임(60)은 상기 제 1링크프레임(50)의 사선 방향과는 반대 방향인 사선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배치되는 데 그 선단은 상기 후방 다리부재(20)에 축 결함되고 그 끝단은 수평을 향하도록 소정각도 밴딩시켜 수평밴딩부(62)가 연장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첨부된 도 7과 도 8은 제 2링크프레임(60)의 수평밴딩부(62)와 전방 다리부재(20)의 수직프레임(22) 결합관계를 도시한 평단면도 및 정단면도이다.
도 7과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수평밴딩부(62)은 전방 다리부재(20)의 수직프레임(22)에 형성되어 있는 통과구멍(26)을 통과하도록 한다
상기 수평밴딩부(62)에는 하나의 가이드장공(64) 및 두 개의 제 1, 2걸림공(66, 68)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장공(64)에는 전방 다리부재(20)의 수직프레임(22)에 관통 설치되어 있는 안내핀(28)이 끼워진 상태에서 전방 다리부재(20)의 접힘 및 펼침 동작을 가이드한다.
상기 제 1, 2걸림공(66, 68)에는 전방 로커부재(80)의 걸이핀(86)이 각각 선택적으로 끼워지며 상기 걸이핀(86)의 걸림 동작에 따라 전방 다리부재(20)의 펼침 및 접힘 각도가 2단으로 단계적으로 조절된다.
상기 제 2링크프레임(60)의 수평밴딩부(62)는 전방 다리부재(20)의 수직프레임(22)에 형성되어 있는 통과구멍(26)에 끼워진 상태에서 전방 다리부재(20)의 접힘 및 펼침 동작시 상기 통과구멍(26)을 통과하도록 하여 전방 다리부재(20)의 접힘 및 펼침 동작을 간섭없이 가이드하도록 한다.
상기 전방 로커부재(80)는 레버(82)와, 상기 레버(82)의 일단에 수직으로 절곡되며 상기 전방 다리부재(20)의 수직프레임(22)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홈(29)에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는 고정핀(84), 상기 레버(82)의 타단에 수직으로 절곡되며 상기 레버(82)의 당김 및 당김 해지동작에 따라 상기 제 2링크프레임(60)의 제 1, 2걸림공(66, 68)들중 어느 하나의 걸림공에 걸려지며 전방 다리부재(20)를 전방 로커부재(80)에 걸림 고정시키는 걸이핀(86) 및 상기 수직프레임(22)에 형성된 홈(29)에 삽입되며 상기 고정핀(84)의 인출 및 삽입 동작을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88)으로 구성한다.
한편, 상기 제 1, 2링크프레임(50, 60)의 수평밴딩부(52, 62)에는 접철구멍(59, 69)이 각각 더 관통 형성된다. 상기 접철구멍(59, 69)으로는 도 4에서와 같이 전, 후방 다리부재(20, 30)가 완전히 내측으로 접혀지고 나면 전, 후방로커부재(70, 80)의 걸이핀(76, 86)이 각각 끼워지도록 하여 전, 후방 다리부재(20, 30)의 접힘 상태를 유지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사다리 장치는 작업상황에 따라 전, 후방 다리부재(20, 30)의 각도를 2단계로 단계적으로 조절하거나 혹은 보관시에는 도 4에서와 같이 전, 후방다리부재(20, 30)를 완전히 포개어지도록 접어 보관하게 된다.
즉, 전방 로커부재(80) 및 후방 로커부재(60)를 순차적으로 작동시켜 전, 후방 다리부재(20, 30)의 잠금을 해지한다.
다음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만큼 전, 후방 다리부재(20, 30)를 각각 외측으로 펼쳐주면 전, 후방 다리부재(20, 30)의 수직프레임(22, 32)에 설치되어 있는 안내핀(28, 38)은 제 1, 2링크프레임(50, 60)의 수평밴딩부(52, 62)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장공(54, 64)을 타고 각각 이동하며 전, 후방 다리부재(20, 30)를 가이드한다.
이때, 예를 들어 후방 다리부재(30)를 전방 다리부재(20) 보다 더 넓게 펼쳐주고자 하면 전방 다리부재(20)를 고정하는 전방로커부재(80)의 걸이핀(86)을 제 2링크프레임(60)의 수평밴딩부(62)에 형성되어 있는 제 1걸림공(66)에 끼워지도록 하고, 또한 후방 다리부재(30)를 고정하는 후방로커부재(60)의 걸이핀(66)은 제 1링크프레임(50)의 수평밴딩부(52)에 형성되어 있는 제 2걸림공(68)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서 전방 다리부재(20)와 후방 다리부재(30)의 펼침각도를 서로 다르게 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이는 작업환경에 따라 전방 다리부재(20)의 펼침 각도를 제한시켜야 하는 장소 등에서 사다리 작업을 해야할 경우,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사다리 장치를 보관할 때에는 도 4에서와 같이 전, 후방 다리부재(20, 30)의 전, 후방로커부재(60, 80)의 잠금을 해지한 다음, 전방 다리부재(20) 및 후방 다리부재(30)를 내측으로 접어주면 전, 후방 다리부재(20, 30)의 안내핀(28, 38)은 다시 제 1, 2링크프레임(50, 60)의 가이드장공(54, 64)을 타고 이동하게 되고, 이어서 전 후방 다리부재(20, 30)의 접힘이 진행되면 제 1, 2링크프레임(50, 60) 역시 힌지축(90)을 기점으로 회전하며 세워져 도 4에서와 같은 형태로 사다리 장치를 접을 수 있다. 이러한 접힘 구조를 통해 보관시에는 사다리 장치의 부피를 최대한 줄여 보관의 용이성을 구현할 수 있다.
10: 작업발판 20: 전방 다리부재
22: 수직프레임 28: 안내핀
30: 후방 다리부재 32: 수직프레임
38: 안내핀 40: 발판 로커부재
50: 제 1링크프레임 52: 수평밴딩부
54: 가이드장공 56: 제 1걸림공
58: 제 2걸림공 60: 제 2링크프레임
62: 수평밴딩부 64: 가이드장공
66: 제 1걸림공 68: 제 2걸림공
70: 후방 로커부재 80: 전방 로커부재

Claims (2)

  1. 크로스형 아웃사이더 사다리 장치에 있어서,
    작업발판(10);
    상기 작업발판(10)의 하단 전방에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22) 및 상기 수직프레임(22) 사이에 설치되는 발판(24)으로 구성한 전방 다리부재(20);
    상기 작업발판(10)의 하단 후방에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32) 및 상기 수직프레임(32) 사이에 설치되는 발판(34)으로 구성한 후방 다리부재(30);
    상기 전방 다리부재(20)에 선단이 축 결합되고 그 끝단에는 상기 후방 다리부재(30)의 수직프레임(32)에 형성되어 있는 통과구멍(36)을 관통하는 수평밴딩부(52)가 형성된 제 1링크프레임(50);
    상기 제 1링크프레임(50)의 수평밴딩부(52)에 형성되는 가이드장공(54);
    상기 후방 다리부재(30)의 수직프레임(32)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장공(54)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후방 다리부재(30)의 접힘 및 펼침 동작에 따라 상기 가이드장공(54)을 타고 이동하는 안내핀(38);
    상기 후방 다리부재(30)에 선단이 축 결합되고 그 끝단에는 상기 전방 다리부재(20)의 수직프레임(22)에 형성되어 있는 통과구멍(26)을 관통하는 수평밴딩부(62)가 형성된 제 2링크프레임(60);
    상기 제 2링크프레임(60)의 수평밴딩부(62)에 형성되는 가이드장공(54);
    상기 전방 다리부재(20)의 수직프레임(22)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장공(54)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전방 다리부재(20)의 접힘 및 펼침 동작에 따라 상기 가이드장공(54)을 타고 이동하는 안내핀(28) 및 ;
    상기 제 1, 2링크프레임(50, 60)의 중앙 맞댄부위에 결합되는 힌지축(90)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제 1링크프레임(50)의 수평밴딩부(52)에는 제 1, 2걸림공(56, 58)이 각각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 1, 2걸림공(66, 68)에는 후방 로커부재(70)의 걸이핀(76)이 선택적으로 끼워지도록 구성하되;
    상기 후방 로커부재(70)는 레버(72)와, 상기 레버(72)의 일단에 수직으로 절곡되며 상기 수직프레임(32)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홈(39)에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는 고정핀(74), 상기 레버(72)의 타단에 수직으로 절곡되며 상기 레버(72)의 당김 및 당김 해지동작에 따라 제 1링크프레임(50)의 수평밴딩부(52)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2걸림공(56, 58)에 각각 선택적으로 걸려지는 걸이핀(76) 및 상기 수직프레임(32)에 형성된 홈(31)에 삽입되며 상기 고정핀(74)의 인출 및 삽입 동작을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78)으로 구성하며;
    상기 제 2링크프레임(60)의 수평밴딩부(62)에는 제 1, 2걸림공(66, 68)이 각각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 1, 2걸림공(66, 68)에는 전방 로커부재(80)의 걸이핀(86)이 선택적으로 끼워지도록 구성하되;
    상기 전방 로커부재(80)는 레버(82)와, 상기 레버(82)의 일단에 수직으로 절곡되며 상기 전방 다리부재(20)의 수직프레임(22)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홈(29)에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는 고정핀(84), 상기 레버(82)의 타단에 수직으로 절곡되며 상기 레버(82)의 당김 및 당김 해지동작에 따라 상기 제 2링크프레임(60)의 제 1, 2걸림공(66, 68)들중 어느 하나의 걸림공에 걸려지며 전방 다리부재(20)를 전방 로커부재(80)에 걸림 고정시키는 걸이핀(86) 및 상기 수직프레임(22)에 형성된 홈(29)에 삽입되며 상기 고정핀(84)의 인출 및 삽입 동작을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88)으로 구성하며;
    상기 제 1, 2링크프레임(50, 60)의 수평밴딩부(52, 62)에는 접철구멍(59, 69)이 각각 더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접철구멍(59, 69)에는 상기 전, 후방 다리부재(20, 30)가 완전히 내측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전, 후방로커부재(70, 80)의 걸이핀(76, 86)이 각각 끼워지며 전, 후방 다리부재(20, 30)의 접힘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형 아웃사이더 사다리 장치.
  2. 삭제
KR1020200008805A 2020-01-21 2020-01-21 크로스형 아웃사이더 사다리 장치 KR102312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805A KR102312868B1 (ko) 2020-01-21 2020-01-21 크로스형 아웃사이더 사다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805A KR102312868B1 (ko) 2020-01-21 2020-01-21 크로스형 아웃사이더 사다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4434A KR20210094434A (ko) 2021-07-29
KR102312868B1 true KR102312868B1 (ko) 2021-10-13

Family

ID=77127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8805A KR102312868B1 (ko) 2020-01-21 2020-01-21 크로스형 아웃사이더 사다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286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3672Y1 (ko) * 2001-03-15 2001-10-08 원명수 고소 작업대
CN207813479U (zh) * 2017-04-05 2018-09-04 吴家亮 一种带有固定机构的建筑用辅助爬梯
US20190351832A1 (en) * 2018-05-17 2019-11-21 Lippert Components, Inc. Adjustable stai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2358U (ko) 2012-10-16 2014-04-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작업용 계단식 발판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3672Y1 (ko) * 2001-03-15 2001-10-08 원명수 고소 작업대
CN207813479U (zh) * 2017-04-05 2018-09-04 吴家亮 一种带有固定机构的建筑用辅助爬梯
US20190351832A1 (en) * 2018-05-17 2019-11-21 Lippert Components, Inc. Adjustable stai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4434A (ko) 2021-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0316B2 (en) Height-adjustable folding work platform
US20060192071A1 (en) Angle adjustable easel
US11882929B2 (en) Work structure for use with modular storage system
JP6255226B2 (ja) 折畳み式高所作業台
KR102312868B1 (ko) 크로스형 아웃사이더 사다리 장치
US20060254858A1 (en) Folding sawhorse
JP2003105967A (ja) 仮設足場
KR102312867B1 (ko) 크로스형 인사이더 사다리 장치
KR102311771B1 (ko) 계단형 작업대
KR102328146B1 (ko) 사다리 장치
KR102312870B1 (ko) 크로스형 슬라이더 사다리 장치
KR102312869B1 (ko) 사다리 장치
KR102403398B1 (ko) 사다리형 작업대의 접철식 안전 난간대
KR102089649B1 (ko) 다방향 확장이 가능한 작업대
JP4639170B2 (ja) 作業台
US7293753B1 (en) Four-legged artist easel
JPH10280670A (ja) 作業足場台
KR102311759B1 (ko) 사다리 장치
KR102356032B1 (ko) 사다리 장치의 작업발판
JP2015067980A (ja) 脚立式作業台
JPH10245976A (ja) 作業台
JP2500350Y2 (ja) 仮設足場用手摺枠の建枠ホルダ―
KR102312871B1 (ko) 사다리 장치
JP3415460B2 (ja) 屋根作業用荷置き装置
JP2503049Y2 (ja) 作業足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