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1718A - 접이식 작업발판 - Google Patents

접이식 작업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1718A
KR20100021718A KR1020080080291A KR20080080291A KR20100021718A KR 20100021718 A KR20100021718 A KR 20100021718A KR 1020080080291 A KR1020080080291 A KR 1020080080291A KR 20080080291 A KR20080080291 A KR 20080080291A KR 20100021718 A KR20100021718 A KR 20100021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rail
railing
stage
leg portion
scaff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0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준식
Original Assignee
남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준식 filed Critical 남준식
Priority to KR1020080080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1718A/ko
Publication of KR20100021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17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adjustable in he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34Scaffold constructions able to be folded in prismatic or flat parts or able to be turned dow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designed to provide support only at a low height
    • E04G1/30Ladder scaffolds
    • E04G2001/302Ladder scaffolds with ladders supporting the platform
    • E04G2001/307The ladders being self-supporting folding lad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접이식 구조를 갖추어 운반 및 이동 설치가 자유롭고, 난간 대의 설치가 가능하여 현장에서 추락 사고와 같은 산업 재해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접이식 작업발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그레이팅 철판으로 이루어진 발판 본체; 상기 발판 본체의 하부 측에 힌지(hinge)를 통해 접이식으로 연결되고, 래치(latch)를 통하여 고정가능한 다리부; 및 상기 발판 본체의 상부 측에 힌지를 통하여 접이식으로 연결되고, 스토퍼를 통하여 외측으로 젖혀짐이 방지되는 난간 대;를 포함하는 접이식 작업발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발판 본체에 대하여 하부 측의 다리부가 접히고, 상부 측의 난간 대가 접히는 간단한 접이식의 구조를 갖추어서 운반 및 이동 설치가 자유롭고, 뿐만 아니라 보조 다리부를 통한 다리부의 하부 연장 및 제2 난간 대를 통한 난간 대의 상부 연장이 쉽게 이루어짐으로써 보다 높은 위치에서 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발판 본체에 마련된 난간 대와 보조 난간 대 및 제2 난간 대를 통하여 작업자의 행동 범위를 제한함으로써 현장 작업 중에 작업자가 발을 헛디뎌서 작업 발판으로부터 떨어지는 추락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우수한 것이다.
접이식 작업발판, 래치(latch), 난간 대, 접이식 구조, 보조 다리부

Description

접이식 작업발판{A Foldable Footing Board}
본 발명은 건축현장이나 산업현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작업발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간단한 접이식 구조를 갖추어 운반 및 이동 설치가 자유롭고, 난간 대의 설치가 가능하여 현장에서 추락 사고와 같은 산업 재해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접이식 작업발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토목 등의 공사장이나, 선박을 제작하는 조선소 등의 현장에서는 지주와 발판을 이용하여 비교적 높은 위치에서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을 조성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발판은 주로 합판이나 철재를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합판으로 구성되는 발판은 발판 좌우에 소정 크기의 구멍을 형성하고 이를 통하여 철사 등을 이용하여 지주 등에 고정하여 사용한다. 이렇게 사용하는 합판 발판은 이동이나 설치 등이 용이하기는 하나 장시간 사용 시 합판의 노후 등으로 인하여 폐기처분 하여야 하며 이는 산업 폐기물로 분류되어 처리비용을 지출해야 하는 등의 불편이 있었다.
이를 개선할 목적으로 철판으로 구성되는 발판을 만들어 사용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철재 발판은 상부 면에 작업자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엠보싱 처리하거나, 또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그레이팅(grating) 철판의 하부 측에 챈널이나 사각 앵글 부재들을 용접으로 연결한 구성으로서, 이는 종래의 합판으로 된 발판에 비하여 오래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나 운반 및 설치가 어려운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이 철판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작업 발판은 작업자가 그 위에서 작업하는 경우, 작업 도중에 별도의 보조 난간 대들이 설치되어 있지 못함으로써 현장 작업에 몰두한 작업자가 작업 발판으로부터 발을 헛디뎌서 아래로 떨어지는 추락사고가 발생하여 안전재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발판 본체에 대하여 하부 측의 다리부가 접히고, 상부 측의 난간 대가 접히는 간단한 접이식의 구조를 갖추어 운반 및 이동 설치가 자유롭고, 다리부의 연장 및 난간 대의 연장이 쉽게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상의 편리함을 크게 향상시킨 접이식 작업발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현장 작업 중에 작업자가 발을 헛디뎌서 작업발판으로부터 떨어지는 추락사고를 방지하여 산업 재해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접이식 작업발판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각종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는 작업 발판에 있어서,
그레이팅 철판으로 이루어진 발판 본체;
상기 발판 본체의 하부 측에 힌지(hinge)를 통해 접이식으로 연결되고, 래치(latch)를 통하여 고정가능한 다리부; 및
상기 발판 본체의 상부 측에 힌지를 통하여 접이식으로 연결되고, 스토퍼를 통하여 외측으로 젖혀짐이 방지되는 난간 대;를 포함하여 접이식으로 이동이 편리하고, 작업자의 추락 재해를 방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작업발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리부는 그 상부 측이 한 쌍의 다리부 고정판 내에 위치된 힌지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다리부 고정판에는 각각 래치가 상하로 이동가능한 가이드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래치는 스프링에 의해 서 다리부 측으로 당겨지고, 다리부에 형성된 홈에 결합하여 상기 다리부를 직립(直立) 상태로 세워 고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작업발판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래치는 상기 발판 본체의 측방 모서리를 따라서 연장하여 복수의 다리 부를 동시에 직립상태로 세워 고정하거나 접을 수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작업발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리 부는 사각 중공형의 강재로 이루어지고, 그 하단에는 각각 보조 다리부를 추가 포함하며, 상기 보조 다리부는 그 상단이 각각 다리부의 하부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다리 부를 관통하는 고정 볼트들을 통하여 조립식으로 일체로 고정되며, 상기 보조 다리부에는 다수의 구멍들이 상하로 형성되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작업발판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난간 대는 각각 사각 중공형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난간 대 상부 측으로는 하단이 각각 끼워 결합되는 "∩"형의 제2 난간 대가 끼워지며, 상기 제2 난간 대는 상기 난간 대의 상부 측 구멍을 통하여 출입하는 고정 핀에 의해서 하부 측 구멍이 끼워져서 고정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작업발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 핀은 상기 난간 대들을 연결하는 수평 대상에서 일측 단부가 회동가능하게 끼워 결합되며, 상기 난간 대의 구멍으로부터 당겨져서 제2 난간 대와의 결합을 해제하면, 수평 대와의 사이에서 스프링을 압축하고, 상기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타측 단부가 상기 난간 대의 구멍 측으로 밀착되어 난간 대와 제2 난간 대의 결합을 이루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작업발판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난간 대와 제2 난간 대에는 각각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는 보조 난간 대들을 구비하고, 상기 보조 난간 대들은 상기 난간 대와 제2 난간 대로부터 각각 돌출된 핀에 양측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핀의 단부는 꺽임식 단부를 형성하여 상기 보조 난간 대의 결합 후에 난간 대와 제2 난간 대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작업발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발판 본체에 대하여 하부 측의 다리부가 접히고, 상부 측의 난간 대가 접히는 간단한 접이식의 구조를 갖추어서 운반 및 이동 설치가 자유롭고, 뿐만 아니라 보조 다리부를 통한 다리부의 하부 연장 및 제2 난간 대를 통한 난간 대의 상부 연장이 쉽게 이루어짐으로써 보다 높은 위치에서 작업이 가능하고, 더욱더 사용상의 편리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발판 본체에 마련된 난간 대와 보조 난간 대 및 제2 난간 대를 통하여 작업자의 행동 범위를 제한함으로써 현장 작업 중에 작업자가 발을 헛디뎌서 작업발판으로부터 떨어지는 추락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산업 재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얻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작업발판(1)은 각종 산업 현장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작업발판(1)은 도 1에 전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그레이팅 철판으로 이루어진 발판 본체(10)를 갖고, 하부측으로는 다리부(20)가 형성되며, 상부측으로는 난간 대(40)가 각각 접이식으로 고정된다. 또한 이와 같은 발판 본체(10)는 일정크기의 다공성 그레이팅 철판으로 이루어진 평편한 구조를 갖추고, 테두리에는 사각 형강으로 이루어진 프레임(12)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기 발판 본체(10)의 하부 측에는 다리부(20)가 연결되는데, 이와 같은 다리부(20)는 발판 본체(10)에 사방 모서리에서 각각 힌지(hinge)(22)를 통해 접이식으로 연결되고, 래치(latch)(24)를 통하여 직립으로 고정가능한 구조이다.
이와 같은 다리부(20)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그 상부 측이 발판 본체(10)의 사방 모서리에서 한 쌍의 다리부 고정판(26a)(26b) 내에 위치된 힌지(22)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다리부 고정판(26a)(26b)에는 각각 래치(24)가 횡방향으로 끼워지는 가이드 구멍(28a)(28b)이 형성되고, 이와 같은 가이드 구멍(28a)(28b)은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래치(24)가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진다. 또한 상기 래치(24)는 스프링(30)에 의해서 다리부(20) 측으로, 즉 하향으로 당겨지는데, 이와 같은 당김력을 제공하기 위해서 스프링(30)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30)은 그 하단 측이 상기 힌지(22)의 일측에 연결되고, 그 상단 측은 상기 래치(24)에 고정되어 상기 래치(24)를 힌지(22) 측으로 향해 하향으로 당긴다. 따라서 상기 래치(24)를 상부측으로 밀어 올리면, 가이드 구멍(28a)(28b)을 따라서 상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다리부(20)로부터 벗어나서 접촉하지 않는다. 그렇지만 상기 래치(24)의 밀어 올리는 힘을 해제하면 스프링(30)의 탄성 복원력으로 래치(24)는 하향이동하여 가이드 구멍(28a)(28b)의 하단에 위치되며, 이와 같은 위치에서는 다리부(20)의 일측에 형성된 홈(20a)에 결합하고, 그 위치에서는 상기 다리부(20)를 직립상태로 세워 고정하는 위치이다.
한편 상기 래치(24)는 상기 발판 본체(10)의 측방 모서리를 따라서 길게 연장하여 그 양측 단부에서 복수의 다리부 고정판(26a)(26b)의 가이드 구 멍(28a)(28b)으로 끼워지고, 하나의 래치(24)가 결과적으로 복수의 다리부(20)를 동시에 고정할 수 있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구조가 도 1, 도 2a 및 도 2b에 걸쳐서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작업발판(1)은 상기 발판 본체(10)의 상부 측에 힌지(42)를 통하여 접이식으로 연결되는 난간 대(4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난간 대(40)는 발판 본체(10)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추락 재해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발판 본체(10)의 사방 모서리에서 각각 상부 측에 연결된 구조이다. 이와 같은 난간 대(40)는 발판 본체(10)의 프레임(12) 상부 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힌지 프레임(44a)(44b)의 내측에서 힌지(42)에 회전가능하도록 하부 측이 연결되고, 스토퍼(46)를 통하여 외측으로 젖혀짐이 방지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난간 대(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 프레임(44a)(44b)의 내측에 위치된 스토퍼(46)가 난간 대(40)의 일 측면에 접하여 고정됨으로써 상기 난간 대(40)가 직립으로 위치하면, 스토퍼(46)의 모서리에 난간 대(40)의 하단이 접촉하게 되어 난간 대(40)가 더 이상 외측으로 젖혀지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난간 대(40)는 상기 스토퍼(46)의 상부측으로, 즉 내측으로 향해서는 접혀지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난간 대(40)는 각각 사각 중공형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난간 대(40) 상부 측으로는 "∩"형의 제2 난간 대(50)가 각각 끼워 고정되는 구 조이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제2 난간 대(50)는 도 1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난간 대(40)의 상부 측 구멍(48)을 통하여 출입하는 고정 핀(53)에 의해서 제2 난간 대(50)의 하부측 구멍(55)이 끼워져서 고정되는 구조이다.
한편, 상기 난간 대(40)는 그 상부 측이 횡으로 연장된 수평 대(58)에 의해서 고정되는 구조인데, 상기 수평 대(58)상에 고정 핀(53)이 회전가능하도록 일측 단부가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난간 대(40)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난간 대(40)의 상부측으로 끼워지는 제2 난간 대(50)를 고정한다.
이와 같은 구조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상기 고정 핀(53)은 일측이 수평 대(58)의 구멍(58a)에 끼워지고, 스프링(60)에 의해서 상기 수평 대(58)에 탄력적으로 고정되고 회전가능하며, 타측은 난간 대(40)의 구멍(48) 내측으로 밀착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상기 고정 핀(53)은 상기 난간 대(40)의 구멍(48)으로부터 고정 핀(53)을 당겨서 상기 난간 대(40)에 끼워진 제2 난간 대(50)와의 결합을 해제하면, 고정 핀(53)과 수평 대(58) 사이에서 스프링(60)을 압축하고(도 4a의 점선 참조), 고정 핀(53)의 당김을 해제하면, 스프링(60)의 탄성 복원력으로 인하여 난간 대(40)와 제2 난간 대(50)의 구멍(48)(55) 측으로 타측 단부(53a)가 삽입되어 서로 결합을 이루는 구조이다(도 4a의 실선 참조).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작업발판(1)은 도 1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난간 대(40)와 제2 난간 대(50)에 각각 횡 방향으로 탈착 가능하게 보조 난간 대(70)들이 배치된다. 이와 같은 보조 난간 대(70)들은 그 양측 단부가 상기 난간 대(40)와 제2 난간 대(50)로부터 돌출된 핀(72)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핀(72)의 단부는 꺽임식 단부를 형성하여 상기 보조 난간 대(70)의 결합 후에 난간 대(40)와 제2 난간 대(5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이다.
즉 상기 핀(72)은 상기 난간 대(40)의 상부 측과 "∩"형의 제2 난간 대(50) 상부측에서 각각 내측으로 돌출된 구조인데, 그 단부는 중앙부분에 절개 홈(77)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 홈(77)에는 꺽임 레버(80)가 위치되어 회전축(82)을 통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꺽임 레버(80)가 상기 핀(72)과 동축을 이루는 경우에는, 상기 핀(72) 측으로 보조 난간 대(70)의 구멍(70a)이 삽입되며, 일단 보조 난간 대(70)가 삽입된 다음에는, 상기 꺽임 레버(80)가 일측으로 젖혀짐으로써 상기 핀(72)으로부터 돌발적으로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작업발판(1)은 상기 다리부(20)의 하부 측으로 보조 다리부(90)가 위치되어 그 높이가 조절가능한데, 상기 다리부(20)는 사각 중공형의 강재로 이루어지고, 그 하단에 각각 보조 다리부(90)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보조 다리부(90)는 사각 중공형 구조의 다리부(20) 내측으로 삽입되는 사각 바 형태의 구조로 이루어지고, 그 상단이 각각 다리부(20)의 하부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다리부(20)를 관통하는 고정 볼트(92)들을 통하여 조립식으로 일체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보조 다리부(90)에는 다수의 구멍(95)들이 상하로 형성되 어 다리부(20)로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작업발판(1)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 본체(10)의 상부 측으로는 난간 대(40)들이 접혀서 밀착되고, 하부 측으로는 다리부(20)들이 접혀서 밀착된다. 이와 같은 접힘 상태에서 현장에서 쉽게 운반 및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사용 장소에서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워지게 되는데, 이와 같은 경우, 다리부(20)는 래치(24)를 밀어 올려서 스프링(30)을 긴장시킨 다음, 다리부(20)를 발판 본체(10)로부터 세우면, 래치(24)는 다리부(20)에 마련된 홈(20a)으로 삽입되어 다리부(20)를 직립상태로 유지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다리부(20)에는 그 하부측으로 보조 다리부(90)를 추가로 연결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발판 본체(10)의 상부 측으로는 난간 대(40)를 세우게 되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는 난간 대(40)를 직립으로 위치시키고, 스토퍼(46)에 밀착시켜 세운 다음, 난간 대(40)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보조 난간 대(70)를 양측에 조립하게 되면, 상기 난간 대(40)는 그 사이를 연결하는 수평 대(58)와 보조 난간 대(70)들을 통하여 사방이 마치 틀처럼 지지되어 안정된 상태로 직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난간 대(40)의 상부 측으로는 "∩"형으로 이루어진 제2 난간 대(50)를 연장시키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는 난간 대(40)의 상부에 "∩"형 제2 난간 대(50)의 하 부를 꼽고서 고정 핀(53)을 이용하여 서로 연결시킨다.
또한 이와 같이 연결된 제2 난간 대(50)의 사이에는 상부 측에 또 다른 보조 난간 대(70)를 연결하여 고정함으로써 상기 난간 대(40)와, 제2 난간 대(50)들은 각각 보조 난간 대(70)들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사방으로 안정된 지지구조를 형성함과 동시에, 작업자를 사방에서 에워싸는 구조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조립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작업발판(1)은 발판 본체(10)에 대하여 하부 측의 다리부(20)가 접히고, 상부 측의 난간 대(40)가 접히는 간단한 접이식의 구조를 갖추어서 운반 및 이동 설치가 자유로울 뿐만 아니라, 보조 다리부(90)를 통한 다리부(20)의 하부 연장 및 제2 난간 대(50)를 통한 난간 대(40)의 상부 연장이 쉽게 이루어짐으로써 보다 높은 위치에서 작업이 가능하고, 더욱더 사용상의 편리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작업발판(1)은 발판 본체(10)에 마련된 난간 대(40)와 보조 난간 대(70) 및 제2 난간 대(50)를 통하여 작업자를 에워싸고, 그 행동 범위를 제한함으로써 현장 작업 중에 작업자가 발을 헛디뎌서 작업 발판(1)으로부터 떨어지는 추락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도 있고, 따라서 산업 재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실시 예에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특정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 업계의 통상 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형 구조들은 모두 명백하게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을 미리 밝혀 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작업발판을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작업발판의 발판 본체와 다리부의 연결부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a)도는 측 단면도, b)도는 정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작업발판의 발판 본체와 난간 대의 연결부를 상세히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작업발판의 난간 대, 제2 난간 대 및 보조 난간 대의 연결부를 도시한 상세도로서, a)도는 평 단면도, b)도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작업발판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도는 접음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b)도는 외관 사시 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작업발판
10..... 발판 본체 12..... 프레임
20..... 다리부 20a.... 다리부 홈
22..... 힌지(hinge) 24..... 래치(latch)
26a,26b.... 다리부 고정판 28a,28b.... 가이드 구멍
30..... 스프링 40..... 난간 대
42..... 힌지 44a,44b.... 힌지 프레임
46..... 스토퍼 48,55,58a,70a,95..... 구멍
50..... 제2 난간 대 53..... 고정 핀
58..... 수평 대 60..... 스프링
70..... 보조 난간 대 72..... 핀
77..... 절개 홈 80..... 꺽임 레버
82..... 회전축 90..... 보조 다리부
92..... 고정 볼트

Claims (7)

  1. 각종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는 작업 발판에 있어서,
    그레이팅 철판으로 이루어진 발판 본체;
    상기 발판 본체의 하부 측에 힌지(hinge)를 통해 접이식으로 연결되고, 래치(latch)를 통하여 고정가능한 다리부; 및
    상기 발판 본체의 상부 측에 힌지를 통하여 접이식으로 연결되고, 스토퍼를 통하여 외측으로 젖혀짐이 방지되는 난간 대;를 포함하여 접이식으로 이동이 편리하고, 작업자의 추락 재해를 방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작업발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그 상부 측이 한 쌍의 다리부 고정판 내에 위치된 힌지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다리부 고정판에는 각각 래치가 상하로 이동가능한 가이드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래치는 스프링에 의해서 다리부 측으로 당겨지고, 다리부에 형성된 홈에 결합하여 상기 다리부를 직립(直立) 상태로 세워 고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작업발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는 상기 발판 본체의 측방 모서리를 따라서 연장하여 복수의 다리 부를 동시에 직립상태로 세워 고정하거나 접을 수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작업발판.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 부는 사각 중공형의 강재로 이루어지고, 그 하단에는 각각 보조 다리부를 추가 포함하며, 상기 보조 다리부는 그 상단이 각각 다리부의 하부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다리 부를 관통하는 고정 볼트들을 통하여 조립식으로 일체로 고정되며, 상기 보조 다리부에는 다수의 구멍들이 상하로 형성되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작업발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 대는 각각 사각 중공형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난간 대 상부 측으로는 하단이 각각 끼워 결합되는 "∩"형의 제2 난간 대가 끼워지며, 상기 제2 난간 대는 상기 난간 대의 상부 측 구멍을 통하여 출입하는 고정 핀에 의해서 하부 측 구멍이 끼워져서 고정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작업발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핀은 상기 난간 대들을 연결하는 수평 대상에서 일측 단부가 회동가능하게 끼워 결합되며, 상기 난간 대의 구멍으로부터 당겨져서 제2 난간 대와의 결합을 해제하면, 수평 대와의 사이에서 스프링을 압축하고, 상기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타측 단부가 상기 난간 대의 구멍 측으로 밀착되어 난간 대와 제2 난간 대의 결합을 이루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작업발판.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 대와 제2 난간 대에는 각각 횡 방향으로 배치되어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는 보조 난간 대들을 구비하고, 상기 보조 난간 대들은 상기 난간 대와 제2 난간 대로부터 각각 돌출된 핀에 양측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핀의 단부는 꺽임식 단부를 형성하여 상기 보조 난간 대의 결합 후에 난간 대와 제2 난간 대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작업발판.
KR1020080080291A 2008-08-18 2008-08-18 접이식 작업발판 KR201000217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0291A KR20100021718A (ko) 2008-08-18 2008-08-18 접이식 작업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0291A KR20100021718A (ko) 2008-08-18 2008-08-18 접이식 작업발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1718A true KR20100021718A (ko) 2010-02-26

Family

ID=42091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0291A KR20100021718A (ko) 2008-08-18 2008-08-18 접이식 작업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171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9890B1 (ko) * 2010-04-07 2012-03-23 박영식 높이를 조절가능한 이동식 작업대
GB2486015A (en) * 2010-12-02 2012-06-06 Turner Access Ltd Folding platform safety unit
CN109607441A (zh) * 2019-01-07 2019-04-12 杭州赛奇机械股份有限公司 推拉式护栏平台及臂架式升降平台
KR20210056523A (ko) * 2019-11-11 2021-05-20 주식회사 케어탑 접이식 안전발판
KR102280085B1 (ko) * 2020-10-06 2021-07-21 양동규 접이식 작업용 사다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9890B1 (ko) * 2010-04-07 2012-03-23 박영식 높이를 조절가능한 이동식 작업대
GB2486015A (en) * 2010-12-02 2012-06-06 Turner Access Ltd Folding platform safety unit
CN109607441A (zh) * 2019-01-07 2019-04-12 杭州赛奇机械股份有限公司 推拉式护栏平台及臂架式升降平台
CN109607441B (zh) * 2019-01-07 2024-02-09 杭州赛奇机械股份有限公司 推拉式护栏平台及臂架式升降平台
KR20210056523A (ko) * 2019-11-11 2021-05-20 주식회사 케어탑 접이식 안전발판
KR102280085B1 (ko) * 2020-10-06 2021-07-21 양동규 접이식 작업용 사다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4992B1 (ko) 절첩식 작업대
KR200444935Y1 (ko) 접철식 작업사다리
KR20100021718A (ko) 접이식 작업발판
KR20190127275A (ko) 이동 및 보관의 편의성이 극대화된 스마트 안전 작업대
KR20170035530A (ko) 접이식 발판사다리
KR200429498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작업대
KR20150000562U (ko) 해양구조물용 사다리
JP2006241715A (ja) 連結具、同連結具を備える連結用足場板及び手摺
KR200424319Y1 (ko) 높낮이 조절용 이동식 작업대
JP3429655B2 (ja) 作業用足場台
JP3004217U (ja) 手摺付脚立
JP3900354B2 (ja) 可搬式階段用作業足場台
KR20210089401A (ko) 계단형 작업대
KR200457712Y1 (ko) 사다리 발판의 이중 안전장치 구조
KR20060110136A (ko) 사다리
KR200412243Y1 (ko) 사다리
JP3955669B2 (ja) 昇降枠及び開口枠の伸縮管構造
JP3646136B2 (ja) 可搬式作業台
JP4986419B2 (ja) 仮設階段
KR20200099867A (ko) 보조 다리 및 이를 포함하는 말비계
KR20200072875A (ko) 안전 작업발판
CN216999355U (zh) 内侧张拉用折叠踏板
KR200495786Y1 (ko) 우마형 사다리
KR20070018447A (ko) 에이형 사다리
KR200408504Y1 (ko) 이동식 작업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