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786Y1 - 우마형 사다리 - Google Patents

우마형 사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786Y1
KR200495786Y1 KR2020200003033U KR20200003033U KR200495786Y1 KR 200495786 Y1 KR200495786 Y1 KR 200495786Y1 KR 2020200003033 U KR2020200003033 U KR 2020200003033U KR 20200003033 U KR20200003033 U KR 20200003033U KR 200495786 Y1 KR200495786 Y1 KR 2004957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bench
folded
guard
ladder
vertical gu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0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0481U (ko
Inventor
김진곤
김범준
Original Assignee
김진곤
김범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곤, 김범준 filed Critical 김진곤
Priority to KR20202000030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786Y1/ko
Publication of KR202200004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4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7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78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8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 E06C1/39Ladders having platforms; Ladders changeable into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5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essentially comprising special means for supporting or forming platforms;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designed to provide support only at a low height
    • E04G1/30Ladder scaffol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1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against falling down relating to scaffo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18Devices for preventing persons from falling
    • E06C7/181Additional gripping devices, e.g. hand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designed to provide support only at a low height
    • E04G1/30Ladder scaffolds
    • E04G2001/302Ladder scaffolds with ladders supporting the platform
    • E04G2001/307The ladders being self-supporting folding lad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우마형 사다리로 오르고 내리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면서 작업 시 작업대 양단부를 인식하여 추락의 우려를 배제할 수 있어 안전을 담보하면서 작업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우마형 사다리의 품질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가지는 판상형태의 작업대와, 상기 작업대의 저면 양측에 접철되는 형태 또는 높이조절되는 형태로 장착되는 다리로 구성되는 우마형 사다리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의 상면 양측에 서로 대칭되는 위치의 코너에 장착하는 브라켓과;
상기 작업대의 길이방향으로 접혀지고 작업대의 상방으로 세워지면서 작업자의 허리정도의 높이를 가지고 브라켓에 연결하는 수직가드를 포함하는 안전가드를 더 구비하여 작업대의 양 단부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사다리를 오르고 내릴 때 작업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게한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우마형 사다리{HORS AND COW TYPE LADDER}
본 고안은 우마형 사다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다리로 올라가는 것과 사다리에서 내려오는 것 및 사다리에 올라선 상태에서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높은 곳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하면서 추락과 같은 안전사고의 우려를 배제할 수 있도록 개선한 우마형 다라리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우마형 사다리는 건축물 또는 구조물 구축시 높은 곳의 작업을 수행하거나 건축물 등의 천장이나 벽면 작업의 수행하는 데 사용하는 것으로서 현재는 다양한 종류의 것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선행기술이 적용되는 우마형 사다리를 특허문헌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은, 판 형상으로 구성되는 제1발판부; 판 형상으로 구성되는 제2발판부; 상기 제1발판부와 상기 제2발판부 사이를 연결시키는 연결부; 상기 제1발판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지지부; 상기 제2발판부에 하부에 배치되는 제2지지부 및 상기 제1발판부와 상기 제2발판부의 경계 부위를 지지하는 보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부는, 상기 제1발판부와 상기 제2발판부의 경계 부위 하부에 배치되는 하판부; 상기 제1발판부와 상기 제2발판부의 경계 부위 측부에 배치되는 제1측판부 및 상기 제1측판부에 대향되는 쪽의 측부에 배치되는 제2측판부 및 제1측판부와 제2측판부를 연결하도록 상기 제1발판부와 상기 제2발판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일단이 상기 제1발판부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링크부; 일단이 상기 제1링크부와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지지부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링크부; 일단이 상기 제2발판부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3링크부 및 일단이 상기 제3링크부와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지지부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4링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링크부와 제4링크부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링크부와 제4링크부에는 고정핀홀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핀홀에 고정핀이 삽입되어 상기 제1링크부와 제3링크부가 펼쳐진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저면에는 삽입공이 형성된 지지판이 형성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에서 양측으로 하향절곡되며 전단측면과 후단측면에 각각 전단힌지공 및 후단힌지공이 관통형성되는 측판을 구비하는 하부지지대와; 상판과, 상판에서 양측으로 하향절곡되며 전단측면과 후단측면에 각각 전단힌지공 및 후단힌지공이 관통형성되는 측판을 구비하고, 상기 후단힌지공이 상기 하부지지대의 전단힌지공과 연통되게 상기 하부지지대 내부로 인입되면 상기 상판과 하부지지대의 상판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상부지지대와; 하부지지대의 전단힌지공과 상부지지대의 후단힌지공을 관통하여 하부지지대와 상부지지대가 서로 회동되게 설치되는 힌지핀과; 전단은 상기 하부지지대의 상판과 상부지지대의 상판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어 상부지지대의 상판을 지지하며, 후단은 상기 하부지지대의 지지판의 삽입공에 삽입지지되는 걸림바와; 상기 걸림바에 결합되어 걸림바를 하부지지대 저면의 전단방향과 후단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노브와; 후단이 상기 하부지지대의 지지판에 지지되어, 걸림바를 하부지지대의 후단힌지공 방향으로 이동하면 압축되고, 압축이 해제되면 걸림바를 하부지지대의 상판과 상부지지대의 상판 사이의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걸림바를 하부지지대의 후단힌지공 방향으로 가압이동시켜 걸림바의 전단이 하부지지대의 상판과 상부지지대의 상판 사이의 공간에서 이탈되게 하면 하부지지대와 상부지지대가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동되고, 걸림바의 가압을 해제하면 압축된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걸림바가 다시 하부지지대의 상판과 상부지지대의 상판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어 상부지지대의 상판이 상기 걸림바에 걸려 회동되지 않도록 구성하고 있다.
실용신안등록 제 20 - 0458372 - 0000 호 특허 제 10 - 1566354 - 0000 호
없슴.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 중 특허문헌 1의 경우에는 작업자가 수평지지대에 올라서서 작업하는 과정에서 하중에 의하여 휘어짐이 없도록 구조적으로 강도를 보강하는 것이고, 특허문헌 2의 경우에는 상부지지대와 하부지지대의 견고한 고정을 통해 우마사다리의 다리가 견고하게 고정되게 하고, 상부지지대와 하부지지대의 접철작용이 매우 용이한 우마사다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들은 강도를 보강하여 작업자가 올라선 상태에서도 안전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작업자가 작업대에 올라선 상태에서 양측으로 이동하면서 작업을 수행하는 데, 이 때에는 작업자가 상측을 보면서 감각에 의존하여 작업대의 양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양측 끝단부를 넘어 발을 헛디디는 현상에 의하여 추락하게 되는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선행기술에는 언급되어 있지 않지만 일부 우마형 사다리에는 작업대의 양측에 작업자가 이동 중 작업대의 양단에 도달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안전수단을 강구하고 있는 형태도 있다.
이러한 안전수단의 구성을 살펴보면, 작업대의 양단에 금속, 비철금속, 플라스틱 또는 쿠션을 가지는 재질로 작업대의 폭방향으로 인지바를 고정하거나 또는 인지바를 밟을 경우 소리를 발하도록 구성하여 작업자가 작업대의 양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인지바를 밟거나 터치함으로서 이동을 멈추어 추락과 같은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작업자가 작업대를 보지 않고 이동하는 과정에서 인지바를 밟거나 터치하여 이동을 멈추면 괜찮으나, 작업 특성상 빠르게 이동하다 발이 인지바에 걸리게 될 경우에는 중심을 잡지 못하고 추락하게 되는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작업을 위하여 작업대를 오르는 경우에는 큰 문제가 없으나 작업을 마치고 작업대를 내려오는 과정에서 발과 같은 신체의 일부가 인지바에 걸리게 될 경우에도 역시 작업자가 중심을 잡지 못하고 넘어지거나 추락하게 되는 안전사고로부터 자유롭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가지는 판상형태의 작업대(101)와, 상기 작업대(101)의 저면 양측에 접철되는 형태 또는 높이조절되는 형태로 장착되는 다리(102)로 구성되는 우마형 사다리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101)의 상면 양측에 서로 대칭되는 위치의 코너에 장착하는 브라켓(111)과;
상기 작업대(101)의 길이방향으로 접혀지고 작업대(101)의 상방으로 세워지면서 작업자의 허리정도의 높이를 가지고 브라켓(111)에 연결하는 수직가드(112)를 포함하는 안전가드(110)를 더 구비하여 작업대(101)의 양 단부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사다리(100)를 오르고 내릴 때 작업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게하여;
우마형 사다리로 오르고 내리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면서 작업 시 작업대 양단부를 인식하여 추락의 우려를 배제할 수 있어 안전을 담보하면서 작업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우마형 사다리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고안은 우마형 사다리의 작업대 양측에 접철되는 안전가드를 더 설치하여 우마형 사다리로 올라갈 때와 내려올 때에는 손잡이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고, 작업자가 작업대에 위치하여 작업하는 과정에서 움직일 때에는 작업대의 양단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작업자가 우마형 사다리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넘어지거거나 추락하여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이용자들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우마형 사다리의 품질을 높이고 대외적인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우마형 사다리를 도시한 접혀진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우마형 사다리를 도시한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우마형 사다리의 중요부위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우마형 사다리의 중요부위를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우마형 사다리의 중요부위를 발췌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우마형 사다리의 수직가드와 수평가드의 연결부위를 발췌한 구성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우마형 사다리를 도시한 접혀진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우마형 사다리를 도시한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우마형 사다리의 중요부위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우마형 사다리의 중요부위를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우마형 사다리의 중요부위를 발췌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우마형 사다리의 수직가드와 수평가드의 연결부위를 발췌한 구성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일반적인 우마형 사다리(100)는, 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가지는 판상형태의 작업대(101)와, 상기 작업대(101)의 저면 양측에 접철되는 형태 또는 높이조절되는 형태로 장착되는 다리(102)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작업대(101)의 상면 양측에 접철되는 안전가드(110)를 더 설치하여 사다리(100)로 오르고 내릴 때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 작업과정에서는 작업대(102)의 양단부를 인지할 수 있게하여 추락과 같은 안전사고의 우려를 배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안전가드(110)는, 작업대(101)의 상면 양측에 서로 대칭되는 위치의 코너에 브라켓(111)을 장착하고, 상기 브라켓(111)에는 작업대(101)의 길이방향으로 접혀지고 작업대(101)의 상방으로 세워지면서 작업자의 허리정도의 높이를 가지는 수직가드(112)를 연결하여 작업대(101)의 양 단부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사다리(100)를 오르고 내릴 때 작업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직가드(112)의 상단에는 작업대(101)의 폭방향으로 접철될 수 있도록 수평가드(113)를 연결하여 작업과정에서 작업자가 작업대(101)의 양측으로 이동시 신체와 접촉하여 양단부를 인식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직가드(112)는 원형, 사각형 등의 파이프소재를 사용하고, 수평가드(113)는 수직가드(112)를 수용하여 부피를 최소화하면서 접었을 때 돌출됨이 없도록 반원형, U형, ㄷ형 등으로 구성하여 수직가드(112)의 외부를 수용할 수 있는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라켓(111)과 수직가드(112)의 하단부는 힌지핀(114)으로 연결하여 접철에 필요한 회동이 자유롭도록 하고, 상기 브라켓(111)과 수직가드(112)에는 접철수단(115)을 더 구비하여 수직가드(112)를 접었을 때 또는 펼쳤을 때 의도치 않게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접철수단(115)은, 힌지핀(114)과 연결되는 수직가드(112)의 상측위치에 종방향으로 장공(116)을 형성하고, 상기 장공(116)의 축중심에 대한 직각방향으로는 작동핀(117)을 브라켓(111)을 통과하도록 연결한다.
상기 작동핀(117)은 브라켓(111)의 내측방향에서 수직방향으로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는 작동공(118)을 따라 접혀지고 펼쳐질 때 안내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작동동(118)의 양측에는 수직가드(112)가 접혔을 때와 펼쳐졌을 때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도록 제한홀(119)을 힌지핀(114) 방향으로 더 형성한다.
상기 힌지핀(114)과 작동핀(117)의 양측에는 스프링(120)으로 연결하여 수직가드(112)가 접혀진 위치와 펼쳐진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작동핀(117)을 항상 제한홀(119) 방향으로 당겨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수직가드(112)가 펼쳐졌을 때 제한홀(119)에 제한핀(117)이 수용되어 수직가드(112)가 작업대(101)의 외측방향으로 기울어지거나 움직이는 것이 방지되지만 부수적으로 작업대(101)의 외측방향 위치의 브라켓(111)에는 제한핀(125)을 더 고정하여 수직가드(112)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우마형 사다리(10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마형 사다리(10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작업대(101)의 상면에 장착된 안전가드(110)를 접어서 작업대(101)와 밀착시키고, 작업대(101)의 저면에 장착된 다리(102)를 접어서 부피를 줄인 상태에서 보관하거나 이동하면 된다.
그리고, 우마형 사다리(100)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작업지로 이동시킨 후 접혀있는 다리(102)와 안전가드(110)를 펼친 후 사용하면 되는 데, 이 과정에서는 안전가드(110)에 의하여 우마형 사다리(100)로 오르고 내리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물론, 작업대(101) 위치에서 작업과정에서 작업대(101)의 양단에 위치하였을 때 작업자가 인지하여 추락과 같은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수직가드(112)를 접혀진 상태에서 펼치고자 할 경우에는 작동핀(117)을 당겨 제한홀(119)을 벗어나도록 한 후 수직가드(112)를 회동시켜 작업대(101)와 밀착된 상태에서 작업대(101)와 수직이 되도록 펼치면 된다.
그러면, 작동핀(117)이 작동공(118)을 따라서 이동하게 되고 수직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힌지핀(114) 방향으로 수직되게 형성된 제한홀(119)에 스프링(120)이 당기는 힘에 의하여 작동핀(117)이 삽입되므로 펼쳐진 상태에서 움직이는 것이 제한되어진다.
이때에는 작동핀(116)이 수직가드(112)를 관통하고 있더라도 작동핀(117)이 지나는 위치에 장공(116)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작동핀(117)이 작동공과 제한홀(119) 범위 내에서는 움직이는 데 지장이 없기 때문에 작동성이 보장되는 것이다.
그리고, 브라켓(111)의 외측위치에는 제한핀(125)을 더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혹여 수직가드(112)가 작업재(101)의 외측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넘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수직가드(112)를 펼친 후에는 작업자가 우마형 사다리(100)로 올라가고자 할 때 손잡이로 사용하여 보다 용이하게 올라가고 또한 내려올 수 있게 도움을 주게 되는 것이다.
작업자가 작업대(101)에 올라선 후에는 수직가드(112)의 상단에 결합되어 접혀진 상태에 잇는 수평가드(113)를 펼친 후 작업대(101) 위에서 작업을 수행하면 되며, 이 과정에서 작업자가 작업대(101)의 양단부 방향으로 움직일 때 양단부에 근접하게 되면 수직가드(112)와 수평가드(113)에 작업자의 신체가 닿게 되므로 작업자는 바로 작업대(101)의 양단부에 근접하였음을 인지하여 조심하게 되므로 추락과 같은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순차적으로 수평가드(113)를 접어서 수직가드(112)에 밀착시키고, 수직가드(112)를 접어서 작업대(101)의 상면과 밀착되도록 한 후 다리(102)를 접어서 부피를 최소화하여 운반하거나 보관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수직가드(112)의 상단에 연결되는 수평가드(113)에도 수직가드(112)에 대하여 수평가드(113)가 접혀지고 펼쳐진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도 6에서와 같이 접철수단(115)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의 접철수단을 강구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우마형 사다리로 오르고 내리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면서 작업 시 작업대 양단부를 인식하여 추락의 우려를 배제할 수 있어 안전을 담보하면서 작업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우마형 사다리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진다.
100; 우마형 사다리
101; 작업대
102; 다리
110; 안전가드
111; 브라켓
112; 수직가드
113; 수평가드
115; 접철수단
116; 장공
117; 작동핀
118; 작동공
119; 제한홀
120; 스프링

Claims (5)

  1. 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가지는 판상형태의 작업대(101)와, 상기 작업대(101)의 저면 양측에 접철되는 형태 또는 높이조절되는 형태로 장착되는 다리(102)와; 상기 작업대(101)의 상면 양측에 서로 대칭되는 위치의 코너에 장착하는 브라켓(111)과; 상기 작업대(101)의 길이방향으로 접혀지고 작업대(101)의 상방으로 세워지면서 작업자의 허리정도의 높이를 가지고 브라켓(111)에 연결하는 수직가드(112)를 포함하는 안전가드(110)와; 상기 브라켓(111)과 수직가드(112)의 하단부는 회동이 자유롭도록 힌지핀(114)으로 연결하고; 상기 브라켓(111)과 수직가드(112)에 구비하여 수직가드(112)를 접었을 때 또는 펼쳤을 때 의도치 않게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접철수단(115)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접철수단(115)은, 힌지핀(114)과 연결되는 수직가드(112)의 상측위치에 종방향으로 형성하는 장공(116)과;
    상기 장공(116)의 축중심에 대한 직각방향으로 브라켓(111)을 통과하도록 연결하는 작동핀(117)과;
    상기 브라켓(111)의 내측방향에서 수직방향으로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직가드(112)가 접혀지고 펼쳐질 때 작동핀(117)을 안내하는 작동공(118)과;
    상기 작동공(118)의 양측에 수직가드(112)가 접혔을 때와 펼쳐졌을 때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도록 힌지핀(114) 방향으로 더 형성하는 제한홀(119)과;
    상기 힌지핀(114)과 작동핀(117)을 연결하여 수직가드(112)가 접혀진 위치와 펼쳐진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작동핀(117)을 제한홀(119) 방향으로 당겨 움직임을 제한하는 스프링(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마형 사다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200003033U 2020-08-19 2020-08-19 우마형 사다리 KR2004957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033U KR200495786Y1 (ko) 2020-08-19 2020-08-19 우마형 사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033U KR200495786Y1 (ko) 2020-08-19 2020-08-19 우마형 사다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481U KR20220000481U (ko) 2022-02-28
KR200495786Y1 true KR200495786Y1 (ko) 2022-08-18

Family

ID=80474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033U KR200495786Y1 (ko) 2020-08-19 2020-08-19 우마형 사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786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09803A (ja) * 2012-03-30 2013-10-10 Sanki Eng Co Ltd 可搬式作業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372Y1 (ko) 2011-07-11 2012-02-15 안성식 우마형 사다리
KR101566354B1 (ko) 2014-03-21 2015-11-05 (주)보성하이테크 우마사다리용 다리지지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09803A (ja) * 2012-03-30 2013-10-10 Sanki Eng Co Ltd 可搬式作業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481U (ko) 2022-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4992B1 (ko) 절첩식 작업대
JP3117993B2 (ja) 折り畳み式梯子
US20100071996A1 (en) Collapsible platform ladder
KR101648967B1 (ko) 접이식 발판형 안전사다리
US4249636A (en) Work table or portable scaffold
US20150008071A1 (en) Combined portable step stool and workpiece support device
US5979476A (en) Folding walker with multiple configurations
KR20190127275A (ko) 이동 및 보관의 편의성이 극대화된 스마트 안전 작업대
KR200495786Y1 (ko) 우마형 사다리
US4023686A (en) Dolly for maneuvering modules of a modular wall system
KR101832719B1 (ko) 안전사다리
US4290502A (en) Folding step stool
KR20100021718A (ko) 접이식 작업발판
KR102104715B1 (ko) 이동 및 보관의 편의성이 극대화된 세이프티 스마트 래더
KR200429498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작업대
KR101972308B1 (ko) 작업용 발판
JP2023036943A (ja) 作業台
KR102311771B1 (ko) 계단형 작업대
JP3429655B2 (ja) 作業用足場台
KR102272103B1 (ko) 발판이 승하강되는 사다리
KR200486260Y1 (ko) 손잡이가 구비된 접이식 발판형 안전사다리
KR20060110136A (ko) 사다리
CN206769339U (zh) 折叠台
KR102312869B1 (ko) 사다리 장치
KR200493447Y1 (ko) 이동 및 보관의 편의성이 극대화된 스마트 안전 작업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