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2103B1 - 발판이 승하강되는 사다리 - Google Patents

발판이 승하강되는 사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2103B1
KR102272103B1 KR1020190101043A KR20190101043A KR102272103B1 KR 102272103 B1 KR102272103 B1 KR 102272103B1 KR 1020190101043 A KR1020190101043 A KR 1020190101043A KR 20190101043 A KR20190101043 A KR 20190101043A KR 102272103 B1 KR102272103 B1 KR 102272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elevating
end side
footrest
lad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1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2205A (ko
Inventor
김유미
Original Assignee
김유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미 filed Critical 김유미
Priority to KR1020190101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2103B1/ko
Publication of KR20210022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2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2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2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8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 E06C1/39Ladders having platforms; Ladders changeable into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12Lifts or other hoisting devices on lad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16Platforms on, or for use on, ladders, e.g. liftable or lowerable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판이 승하강되는 사다리에 관한 것으로 이격된 제1지지 다리부재와 제2지지 다리부재를 포함하여 기울어져 고정될 수 있는 사다리 본체부, 사다리 본체부에서 제1지지 다리부재와 제2지지 다리부재의 사이에 위치되는 발판부, 상기 사다리 본체부에 위치되어 상기 발판부를 승하강하는 발판 승하강기기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올라타는 발판부를 승하강시켜 발판부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오르내리면서 발을 헛딛으면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하여 사용 중 안전성을 향상시키며 발판부의 높이를 정밀하게 조절하여 특정 높이에서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승하강되는 발판부에 의해 무게 중심이 기존 사다리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위치되어 높은 곳에 올라가 작업 중에 전복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판이 승하강되는 사다리{LADDER WITH ELEVATING FOOT PLATE}
본 발명은 발판이 승하강되는 사다리에 관한 발명으로 더 상세하게는 계단 없이 발판을 승하강시켜 안전하게 사용이 가능한 발판이 승하강되는 사다리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사다리는 높은 곳을 오르내릴 수 있도록 만든 기구로 가정 또는 건축 현장, 공장, 사무실 등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사다리는 통상적으로 2개의 긴 지지 막대 사이에 다수개의 가로판이 높이 차이를 두고 위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사다리는 기울어지게 위치된 상태에서 다수개의 가로판이 계단 역할을 하게 되는 구조를 가진다.
사다리는 2개의 긴 지지 막대 사이에 다수개의 가로판이 높이 차이를 두고 위치되는 1개의 사다리 구조체로 구성되거나, 2개의 긴 지지 막대 사이에 다수개의 가로판이 높이 차이를 두고 위치되는 한 쌍의 사다리 구조체가 힌지로 연결되는 접이식 사다리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
즉, 사용자는 1개의 사다리 구조체를 사용하는 경우 벽면 등에 사다리를 지지시켜 기울어지게 위치시킨 후 다수개의 가로판을 이용하여 오르 내리거나, 접이식 사다리를 사용하는 경우 힌지를 중심으로 한 쌍의 사다리 구조체를 펼쳐서 각 사다리 구조체가 기울어지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다수개의 가로판을 이용하여 오르 내리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사다리는 가로판을 밟고 사용자가 오르내려야 하기 때문에 발을 헛딛어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위험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사다리는 사용자가 높이 올라갈수록 무게 중심이 윗쪽에 쏠리게 되어 높은 곳에 올라가 작업 중에 작은 충격에도 전복되는 사고가 발생될 위험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사다리는 가로판의 크기가 제한적일 수 밖에 없어 높은 곳에 올라가 작업할 경우 사용자가 안정적인 자세로 작업하기 어렵고, 불안정한 자세에서 작업 중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높고, 작업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사다리는 사용자가 밟고 올라가는 가로판이 높이 차이를 두고 이격되게 위치되므로 사용자가 올라서야 하는 높이 조절이 정밀하지 못해 특정한 높이에서는 작업이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0001)한국실용신안공개 제2019-0001815호 "미끄럼을 방지하는 안전사다리"(2019.07.17.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올라타는 발판부를 승하강시켜 발판부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오르내리면서 발을 헛딛으면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발판이 승하강되는 사다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승하강되는 발판부에 의해 무게 중심이 기존 사다리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위치되어 높은 곳에 올라가 작업 중에 전복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발판이 승하강되는 사다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올라타는 발판부를 승하강시켜 발판부의 높이를 정밀하게 조절하여 특정 높이에서의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발판이 승하강되는 사다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판이 승하강되는 사다리의 일 실시예는 이격된 제1지지 다리부재와 제2지지 다리부재를 포함하여 기울어져 고정될 수 있는 사다리 본체부, 사다리 본체부에서 제1지지 다리부재와 제2지지 다리부재의 사이에 위치되는 발판부, 상기 사다리 본체부에 위치되어 상기 발판부를 승하강하는 발판 승하강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사다리 본체부는 상기 제1지지 다리부재의 상부 측에 위치되어 일단부 측이 상기 제1지지 다리부재에 연결되고, 타단부 측이 상기 제2지지 다리부재로 연결되는 상부 연결 지지부재 및 상기 제1지지 다리부재의 하부 측에 위치되어 일단부 측이 제1지지 다리부재에 연결되고, 타단부 측이 상기 제2지지 다리부재로 연결되는 하부 연결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발판 승하강기기는 상기 발판부에 장착되며 상기 상부 연결 지지부재에 연결되는 로프를 원통형의 드럼에 감고 풀 수 있는 핸드윈치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 연결 지지부재에는 상기 핸드윈치의 로프를 연결할 수 있는 프레임 고리부재가 위치되고, 상기 핸드윈치의 로프에는 상기 프레임 고리부재에 걸어지는 로프 고리부재가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판부는 상기 제1지지 다리부재의 후면과 상기 제2지지 다리부재의 후면에 위치되고 양 단부 측이 상기 제1지지 다리부재와 상기 제2지지 다리부재에 지지되어 상, 하 이동하고 상기 핸드윈치가 장착되는 승하강 지지 프레임부재, 사용자가 올라타는 플레이트부재 및 상기 플레이트부재와 상기 승하강 지지 프레임부재를 연결하는 발판 지지 프레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판부는 상기 발판 지지 프레임부의 상부 측 양 쪽에 위치되어 상기 제1지지 다리부재와 상기 제2지지 다리부재의 후면에 접촉되어 구르는 제1승하강 안내 바퀴부재 및 상기 발판 지지 프레임부의 하부 측 양 쪽에 위치되어 상기 제1지지 다리부재와 상기 제2지지 다리부재의 후면에 접촉되어 구르는 제2승하강 안내 바퀴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 다리부재의 후면과 상기 제2지지 다리부재의 후면에는 각각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승하강 안내 바퀴부재와 상기 제2승하강 안내 바퀴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제1승하강 안내 바퀴부재와 상기 제2승하강 안내 바퀴부재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바퀴 이동 레일부가 각각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승하강 안내 바퀴부와 상기 제2승하강 안내 바퀴부는 상기 발판 지지 프레임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승하강 안내 바퀴부재와 상기 제2승하강 안내 바퀴부재에는 각각 상기 발판 지지 프레임부에 결합되기 위한 바퀴 결합용 막대부가 돌출되게 위치되며, 상기 바퀴 결합용 막대부의 단부 측에는 외주면으로 돌출되고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제1걸림용 머리부와 제2걸림용 머리부가 위치되고, 상기 발판 지지 프레임부에는 상기 바퀴 결합용 막대부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바퀴 결합부가 위치되며, 상기 바퀴 결합부는 상기 발판 지지 프레임부에 장착되며 상기 발판 지지 프레임부와의 사이에 제1걸림용 머리부가 위치될 수 있는 머리 삽입공간이 형성되며 가로 방향의 일 측에 상기 바퀴 결합용 막대부가 삽입될 수 있는 돌기 삽입용 개방부가 위치된 막대 삽입용 브라켓트, 상기 막대 삽입용 브라켓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 측에 상기 바퀴 결합용 막대부가 삽입되는 고리홈부가 위치되어 상기 돌기 삽입용 개방부의 입구를 막아 상기 바퀴 결합용 막대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막대 고정용 브라켓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막대 고정용 브라켓트는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상기 돌기 삽입용 개방부의 입구를 막도록 위치되어 회전되어 상기 돌기 삽입용 개방부를 개방한 상태에서 회전시키는 힘을 해제하면 상기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으로 상기 돌기 삽입용 개방부의 입구를 막도록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판 지지 프레임부는 상기 플레이트부재의 외측 둘레를 감싸는 플레이트 지지 프레임부재, 상기 제1지지 다리부재의 후면 측에 위치되어 상단부 측이 승하강 지지 프레임부재의 일단부 측에 고정되고, 하단부 측이 상기 플레이트 지지 프레임부재의 앞쪽에 고정되는 제1지지 프레임부재, 상기 제2지지 다리부재의 후면 측에 위치되어 상단부 측이 승하강 지지 프레임부재의 타단부 측에 고정되고, 타단부 측이 상기 플레이트 지지 프레임부재의 앞쪽에 고정되는 제2지지 프레임부재, 상단부 측이 상기 승하강 지지 프레임부재의 일단부 측 또는 상기 제1지지 프레임부재의 상단부 측에 고정되고 하단부 측이 상기 플레이트 지지 프레임부재의 뒷쪽에 고정되는 제3지지 프레임부재 및 상단부 측이 상기 승하강 지지 프레임부재의 타단부 측 또는 상기 제2지지 프레임부재의 상단부 측에 고정되고 하단부 측이 상기 플레이트 지지 프레임부재의 뒷쪽에 고정되는 제4지지 프레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판부는 상기 승하강 지지 프레임부재의 일단부 측과 타단부 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1지지 다리부재와 상기 제2지지 다리부재의 후면에 접촉되어 구르는 제1승하강 안내 바퀴부재 및 상기 제1지지 프레임부재의 하단부 측과 상기 제2지지 프레임부재의 하단부 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1지지 다리부재와 상기 제2지지 다리부재의 후면에 접촉되어 구르는 제2승하강 안내 바퀴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지지 다리부재의 후면과 상기 제2지지 다리부재의 후면에는 각각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승하강 안내 바퀴부재와 상기 제2승하강 안내 바퀴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제1승하강 안내 바퀴부재와 상기 제2승하강 안내 바퀴부재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바퀴 이동 레일부가 각각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플레이트 지지 프레임부재는 서로 연결되어 상기 플레이트부재의 둘레를 감싸는 복수의 "ㄴ"자형 앵글을 포함하여 상기 "ㄴ"자형 앵글 상에 상기 플레이트부재가 안착되어 상기 플레이트부재의 둘레로 돌출된 보호용 단턱이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플레이트부재는 상기 사다리 본체부의 상단부 측이 지지체에 지지되어 기울어지게 위치될 때 상기 제1지지 프레임부재와 상기 제2지지 프레임부재가 기울어지고 상기 제3지지 프레임부재와 상기 제4지지 프레임부재가 수직방향으로 위치되면서 상기 플레이트부재가 지면과 수평인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판부는 상기 제1승하강 안내 바퀴부재를 상기 승하강 지지 프레임부재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볼조인트부, 상기 제1볼조인트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1볼조인트 고정부, 상기 제2승하강 안내 바퀴부재를 상기 제1지지 프레임부재와 상기 제2지지 프레임부재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볼조인트부 및 상기 제2볼조인트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2볼조인트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올라타는 발판부를 승하강시켜 발판부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오르내리면서 발을 헛딛으면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하여 사용 중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승하강되는 발판부에 의해 무게 중심이 기존 사다리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위치되어 높은 곳에 올라가 작업 중에 전복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발판부를 넓게 제작할 수 있어 작업 시 안정성을 확보함으로써 사용 중 안전성을 더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올라타는 발판부를 승하강시켜 발판부의 높이를 정밀하게 조절하여 특정 높이에서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사용 중 편의성 및 안전성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판이 승하강되는 사다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판이 승하강되는 사다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부에 대한 요부 확대 사시도.
도 4는 도 2의 B부에 대한 요부 확대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발판이 승하강되는 사다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발판이 승하강되는 사다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발판이 승하강되는 사다리의 다른 실시예에서 1승하강 안내 바퀴부재와 제2승하강 안내 바퀴부재의 결합구조를 예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발판이 승하강되는 사다리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판이 승하강되는 사다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판이 승하강되는 사다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부에 대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B부에 대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판이 승하강되는 사다리의 일 실시예를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판이 승하강되는 사다리의 일 실시예는 이격된 제1지지 다리부재(110)와 제2지지 다리부재(120)를 포함하여 기울어져 고정될 수 있는 사다리 본체부(100)를 포함한다.
또한, 사다리 본체부(100)는 제1지지 다리부재(110)의 상부 측에 위치되어 일단부 측이 제1지지 다리부재(110)에 연결되고, 타단부 측이 제2지지 다리부재(120)로 연결되는 상부 연결 지지부재(130)와, 제1지지 다리부재(110)의 하부 측에 위치되어 일단부 측이 제1지지 다리부재(110)에 연결되고, 타단부 측이 제2지지 다리부재(120)로 연결되는 하부 연결 지지부재(140)를 더 포함한다.
상부 연결 지지부재(130)는 가로로 배치되는 막대 또는 프레임 형태로 일단부 측이 제1지지 다리부재(110)의 상단부 측에 고정되고 타단부 측이 제2지지 다리부재(120)의 상단부 측에 고정되어 제1지지 다리부재(110)와 제2지지 다리부재(120)의 사이 간격을 지지하고 제1지지 다리부재(110)와 제2지지 다리부재(120)의 형태를 지지한다.
상부 연결 지지부재(130)는 제1지지 다리부재(110)의 상단부 측과 제2지지 다리부재(120)의 상단부 측에 고정되어 사다리 본체부(100)의 사용 시 사다리 본체부(100)의 상부 측이 벽면 등의 지지체에 지지될 때 벽면 등의 지지체에 안착되어 지지체와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켜 사다리 본체부(100)의 위치가 더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하부 연결 지지부재(140)는 가로로 배치되는 막대 또는 프레임 형태로 일단부 측이 제1지지 다리부재(110)의 하단부 측에 고정되고 타단부 측이 제2지지 다리부재(120)의 하단부 측에 고정되어 제1지지 다리부재(110)와 제2지지 다리부재(120)의 사이 간격을 지지하고 제1지지 다리부재(110)와 제2지지 다리부재(120)의 형태를 지지한다.
하부 연결 지지부재(140)는 제1지지 다리부재(110)의 하단부 측과 제2지지 다리부재(120)의 하단부 측에 고정되어 사다리 본체부(100)의 사용 시 지면에 안착되어 지면과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켜 사다리 본체부(100)의 위치가 더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1지지 다리부재(110)와 제2지지 다리부재(120)의 사이에는 발판 승하강기기(300)에 의해 승하강되는 발판부(200)가 위치된다.
발판부(200)는 사다리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올라 타는 발판 역할을 하며 발판 승하강기기(300)는 사용자가 올라탄 발판부(200)를 승하강시켜 발판부(200)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발판이 승하강되는 사다리는 사용자가 올라타는 발판부(200)를 승하강시켜 발판부(20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작업하는 높이를 결정할 수 있다.
발판 승하강기기(300)는 발판부(200)에 장착되며 상부 연결 지지부재(130)에 연결되는 로프(311)를 원통형의 드럼에 감고 풀 수 있는 윈치인 것을 일 예로 한다.
그리고, 윈치는 수동으로 드럼을 회전시킬 수 있는 핸들을 포함하는 핸드윈치(310)인 것을 일 예로 한다.
핸드윈치(310)는 승강되는 방향으로만 드럼이 회전되도록 하고, 회전된 위치에서 드럼의 위치를 잠금하며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래칫 기구가 구비된 공지의 윈치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또한, 핸드윈치(310)는 오토브레이크 타입의 수동윈치일 수 있고, 오토브레이크 타입의 수동윈치인 경우 별도의 래칫작동없이 핸들을 양방향으로 회전시켜 드럼이 승강되는 방향 또는 하강되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자연스럽게 로프(311)를 원통형의 드럼에 감거나 풀어 발판부(200)를 승하강시킬 수 있다.
상부 연결 지지부재(130)에는 핸드윈치(310)의 로프(311)를 연결할 수 있는 프레임 고리부재(150)가 위치되고, 핸드윈치(310)의 로프(311)에는 프레임 고리부재(150)에 걸어지는 로프 고리부재(311a)가 위치된다.
그리고, 프레임 고리부재(150)는 상부 연결 지지부재(130)의 중앙에 위치되고, 핸드윈치(310)는 후술될 승하강 지지 프레임부재(210)의 중앙에 장착되어 발판부(200)가 제1지지 다리부재(110)와 제2지지 다리부재(120)의 사이에서 한측으로 편심되지 않고 원활하게 상, 하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핸드윈치(310)의 로프(311)는 로프 고리부재(311a)를 프레임 고리부재(150)에 걸어 연결함으로써 일단부 측이 상부 연결 지지부재(130)에 연결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로프(311)가 핸드윈치(310)에 감겨지면 발판부(200)가 승강하게 되고, 로프(311)가 핸드윈치(310)에서 풀려지면 발판부(200)가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발판부(200)는 제1지지 다리부재(110)의 후면과 제2지지 다리부재(120)의 후면에 위치되고 양 단부 측이 제1지지 다리부재(110)와 제2지지 다리부재(120)에 지지되어 상, 하 이동하고 핸드윈치(310)가 장착되는 승하강 지지 프레임부재(210), 사용자가 올라타는 플레이트부재(220), 플레이트부재(220)와 승하강 지지 프레임부재(210)를 연결하는 발판 지지 프레임부(230)를 포함한다.
발판 지지 프레임부(230)는 플레이트부재(220)의 외측 둘레를 감싸는 플레이트 지지 프레임부재(231), 제1지지 다리부재(110)의 후면 측에 위치되어 상단부 측이 승하강 지지 프레임부재(210)의 일단부 측에 고정되고, 하단부 측이 플레이트 지지 프레임부재(231)의 앞쪽에 고정되는 제1지지 프레임부재(232), 제2지지 다리부재(120)의 후면 측에 위치되어 상단부 측이 승하강 지지 프레임부재(210)의 타단부 측에 고정되고, 타단부 측이 플레이트 지지 프레임부재(231)의 앞쪽에 고정되는 제2지지 프레임부재(233), 상단부 측이 승하강 지지 프레임부재(210)의 일단부 측 또는 제1지지 프레임부재(232)의 상단부 측에 고정되고 하단부 측이 플레이트 지지 프레임부재(231)의 뒷쪽에 고정되는 제3지지 프레임부재(234), 상단부 측이 승하강 지지 프레임부재(210)의 타단부 측 또는 제2지지 프레임부재(233)의 상단부 측에 고정되고 하단부 측이 플레이트 지지 프레임부재(231)의 뒷쪽에 고정되는 제4지지 프레임부재(235)를 포함한다.
플레이트부재(220)는 제1지지 다리부재(110)와 제2지지 다리부재(120)의 상단부 측이 벽면 등의 지지체에 지지되어 기울어지게 위치될 때 제1지지 프레임부재(232)와 제2지지 프레임부재(233)가 제1지지 다리부재(110) 및 제2지지 다리부재(120)와 함께 기울어지고 제3지지 프레임부재(234)와 제4지지 프레임부재(235)가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위치되면서 플레이트부재(220)가 지면과 수평인 상태로 위치될 수 있게 된다.
플레이트부재(220)는 승하강 시 지면과 수평인 상태로 위치되어 올라탄 사용자가 안정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느끼게 해줘 작업 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발판부(200)는 승하강 지지 프레임부재(210)의 일단부 측과 타단부 측에 위치되어 제1지지 다리부재(110)와 제2지지 다리부재(120)의 후면에 접촉되어 구르는 제1승하강 안내 바퀴부재(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발판부(200)는 제1지지 프레임부재(232)의 하단부 측과 제2지지 프레임부재(233)의 하단부 측에 위치되어 제1지지 다리부재(110)와 제2지지 다리부재(120)의 후면에 접촉되어 구르는 제2승하강 안내 바퀴부재(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 다리부재(110)의 후면과 제2지지 다리부재(120)의 후면에는 각각 길이 방향으로 제1승하강 안내 바퀴부재(240)와 제2승하강 안내 바퀴부재(250)가 삽입되고 제1승하강 안내 바퀴부재(240)와 제2승하강 안내 바퀴부재(250)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바퀴 이동 레일부(110a, 120a)가 각각 위치된다.
제1승하강 안내 바퀴부재(240)와 제2승하강 안내 바퀴부재(250)는 발판부(200)가 제1지지 다리부재(110)와 제2지지 다리부재(120)의 후면 측에서 상, 하 이동될 때 바퀴 이동 레일부(110a, 120a) 내에서 구르면서 이동하여 발판부(200)가 원활하게 상, 하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플레이트 지지 프레임부재(231)는 서로 연결되어 플레이트부재(220)의 둘레를 감싸는 복수의 "ㄴ"자형 앵글을 포함하여 플레이트부재(220)가 안착되어 위치되고, 플레이트부재(220)의 둘레로 돌출된 보호용 단턱이 위치되는 형태를 가지는 것을 일 예로 한다.
플레이트부재(220)는 "ㄴ"자형 앵글의 가로 브라켓트 상에 안착되고 "ㄴ"자형 앵글의 세워진 세로 브라켓트는 플레이트부재(220)의 두께보다 높은 높이를 가짐으로써 플레이트부재(220)의 상면에 돌출된 보호 단턱을 형성하게 된다.
플레이트 지지 프레임부재(231)는 사용자가 올라타는 플레이트부재(220)의 둘레를 감싸는 보호용 단턱을 형성하여 작업 중 사용자의 발이 플레이트부재(220)의 외측으로 벗어날 때 사용자의 발이 걸리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발이 플레이트부재(220)의 외측으로 벗어나 헛딛으면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하고,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발판이 승하강되는 사다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5는 제1승하강 안내 바퀴부재(240)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이고, 도 6은 제2승하강 안내 바퀴부재(250)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발판부(200)는 제1승하강 안내 바퀴부재(240)를 승하강 지지 프레임부재(21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볼조인트부(260), 제1볼조인트부(260)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1볼조인트 고정부(270)를 더 포함한다.
또한, 도 6을 참고하면 발판부(200)는 제2승하강 안내 바퀴부재(250)를 제1지지 프레임부재(232)와 제2지지 프레임부재(233)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볼조인트부(280), 제2볼조인트부(280)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2볼조인트 고정부(290)를 포함한다.
승하강 지지 프레임부재(210)의 양 단부 측에는 제1볼조인트부(26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볼 삽입부가 위치되고, 제1지지 프레임부재(232)의 하단부 측과 제2지지 프레임부재(233)의 하단부 측에는 제2볼조인트부(28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볼 삽입부가 각각 위치된다.
제1볼조인트 고정부(270)와 제2볼조인트 고정부(290)는 제1볼 삽입부와 제2볼 삽입부 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제1볼조인트부(260)와 제2볼조인트부(280)를 가압하는 세트 스크류인 것을 일 예로 한다.
제1볼조인트 고정부(270)는 승하강 지지 프레임부재(210)에 체결되어 단부 측이 제1볼 삽입부 내로 위치되면서 제1볼조인트부(260)를 가압하여 제1볼조인트부(26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또한, 제2볼인트 고정부는 제1지지 프레임부재(232)와 제2지지 프레임부재(233)에 각각 체결되어 단부 측이 제2볼 삽입부 내로 위치되면서 제2볼조인트부(280)를 가압하여 제2볼조인트부(28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즉, 사다리 본체부(100)의 상단부 측이 벽면 등의 지지체에 지지되어 기울어지게 위치될 때 지면을 기준으로 기울어지는 각도에 따라 제1볼조인트부(260)와 제2볼조인트부(280)를 중심으로 승하강 지지 프레임부재(210), 제1지지 프레임부재(232)와 제2지지 프레임부재(233)가 각각 회전되면서 발판부(200) 즉, 플레이트부재(220)를 수평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승하강 지지 프레임부재(210), 제1지지 프레임부재(232)와 제2지지 프레임부재(233)는 제1볼조인트부(260)와 제2볼조인트부(280)에 의해 360도 반경에서 회전되어 위치가 조정될 수 있어 사다리 본체부가 벽체 등의 지지체에 의해 지지되어 좌우측이 기울어지는 형태로 설치되더라도 발판부(200) 즉, 플레이트부재(220)를 수평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발판부(200) 즉, 플레이트부재(220)가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승하강 지지 프레임부재(210), 제1지지 프레임부재(232)와 제2지지 프레임부재(233)의 위치는 제1볼조인트 고정부(270)와 제2볼조인트 고정부(290)에 의해 고정된다.
사다리 본체부(100)가 벽체 등의 지지체에 의해 지지되어 설치된 자세에 따라 승하강 지지 프레임부재(210), 제1지지 프레임부재(232)와 제2지지 프레임부재(233)가 각각 제1볼조인트부(260)와 제2볼조인트부(280)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위치가 조절되어 발판부(200) 즉, 플레이트부재(220)를 수평으로 위치시킬 수 있고, 발판부(200) 즉, 플레이트부재(220)가 수평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제1볼조인트 고정부(270)와 제2볼조인트 고정부(290)로 승하강 지지 프레임부재(210), 제1지지 프레임부재(232)와 제2지지 프레임부재(233)의 위치를 고정하여 발판부(200)가 수평인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발판이 승하강되는 사다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발판이 승하강되는 사다리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1승하강 안내 바퀴부재(240)와 제2승하강 안내 바퀴부재(250)의 결합구조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제1승하강 안내 바퀴부재(240)와 제2승하강 안내 바퀴부재(250)는 발판 지지 프레임부(230) 즉, 승하강 지지 프레임부재(210)의 일단부 측과 타단부 측 및 제1지지 프레임부재(232)의 하단부 측과 제2지지 프레임부재(233)의 하단부 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8은 제1승하강 안내 바퀴부재(240)와 제2승하강 안내 바퀴부재(250)가 제1지지 프레임부재(232)의 하단부 측과 제2지지 프레임부재(233)의 하단부 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며, 승하강 지지 프레임부재(210)의 일단부 측과 타단부 측에도 이와 동일한 원리로 결합 또는 분리되는 것임을 밝혀둔다.
정리하면, 제1승하강 안내 바퀴부재(240)는 바퀴 이동 레일부(110a, 120a) 내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승하강 지지 프레임부재(210)의 일단부 측과 타단부 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승하강 안내 바퀴부재(250)는 바퀴 이동 레일부(110a, 120a) 내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제1지지 프레임부재(232)의 하단부 측과 제2지지 프레임부재(233)의 하단부 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승하강 안내 바퀴부재(240)와 제2승하강 안내 바퀴부재(250)에는 각각 발판 지지 프레임부(230)에 결합되기 위한 바퀴 결합용 막대부(241)가 돌출되게 위치된다.
바퀴 결합용 막대부(241)의 단부 측에는 외주면으로 돌출되는 제1걸림용 머리부(242)와 제2걸림용 머리부(243)가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된다.
그리고, 발판 지지 프레임부(230)에는 각각 발판 지지 프레임부(230)에 위치되고 바퀴 결합용 막대부(241)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퀴 결합부(400)가 위치된다.
더 상세하게 바퀴 결합부(400)는 승하강 지지 프레임부재(210)의 일단부 측과 타단부 측에 각각 위치되고, 제1지지 프레임부재(232)의 하단부 측과 제2지지 프레임부재(233)의 하단부 측에 각각 위치된다.
바퀴 결합부(400)는 발판 지지 프레임부(230)에 장착되며 발판 지지 프레임부(230)와의 사이에 걸림용 머리부(242)가 위치될 수 있는 머리 삽입공간이 형성되며 가로 방향의 일 측에 바퀴 결합용 막대부(241)가 삽입될 수 있는 돌기 삽입용 개방부(421)가 위치된 막대 삽입용 브라켓트(420), 막대 삽입용 브라켓트(4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 측에 바퀴 결합용 막대부(241)가 삽입되는 고리홈부(431)가 위치되어 돌기 삽입용 개방부(421)의 입구를 막아 바퀴 결합용 막대부(241)의 위치를 고정하는 막대 고정용 브라켓트(430)를 포함할 수 있다.
막대 고정용 브라켓트(430)는 스프링(440)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돌기 삽입용 개방부(421)의 입구를 막도록 위치되어 회전되어 돌기 삽입용 개방부(421)를 개방한 상태에서 회전시키는 힘을 해제하면 스프링(440)의 탄성 복원력으로 돌기 삽입용 개방부(421)의 입구를 막도록 위치된다.
고리홈부(431)는 막대 삽입용 브라켓트(420)가 막대 삽입용 브라켓트(420)와 겹쳐지도록 하는 회전방향 측으로 개방되어 막대 삽입용 브라켓트(420)가 회전되어 돌기 삽입용 개방부(421)의 입구를 막을 때 바퀴 결합용 막대부(241)가 삽입되어 바퀴 결합용 막대부(241)를 돌기 삽입용 개방부(421)의 내측 단부로 밀어 가압시킬 수 있는 형상을 가진다.
막대 고정용 브라켓트(430)는 막대 삽입용 브라켓트(420)에 구비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돌기 삽입용 개방부(421)의 입구를 막을 때 고리홈부(431) 내로 삽입된 바퀴 결합용 막대부(241)의 외주면을 걸어 바퀴 결합용 막대부(241)의 위치를 고정하게 된다.
바퀴 결합용 막대부(241)는 제1승하강 안내 바퀴부재(240)와 제2승하강 안내 바퀴부재(250)가 바퀴 이동 레일부(110a, 120a) 내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제1지지 다리부재(110)의 후면 및 제2지지 다리부재(120)의 후면으로 돌출되게 위치된다.
즉, 돌기 삽입용 개방부(421)로 바퀴 결합용 막대부(241)를 삽입하되 바퀴 결합용 막대부(241)에서 제1걸림용 머리부(242)와 제2걸림용 머리부(243) 사이 부분을 돌기 삽입용 개방부(421)로 삽입하여 걸림용 머리부(242)가 머리 삽입공간 내에 위치되어 돌기 삽입용 개방부(421)에 걸리도록 하고, 막대 고정용 브라켓트(430)를 회전시켜 제1걸림용 머리부(242)와 제2걸림용 머리부(243) 사이로 끼워 돌기 삽입용 개방부(421)를 막도록 위치시킴으로써 간단하게 제1승하강 안내 바퀴부재(240)와 제2승하강 안내 바퀴부재(250)를 발판 지지 프레임부(230)에 간단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제1승하강 안내 바퀴부재(240)와 제2승하강 안내 바퀴부재(250)가 발판 지지 프레임부(23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승하강 안내 바퀴부재(240)와 제2승하강 안내 바퀴부재(250)를 분리할 경우 위치된 상태에서 막대 고정용 브라켓트(430)를 반대 방향으로 밀어 회전시킴으로써 돌기 삽입용 개방부(421)를 간단하게 개방하고 개방된 돌기 삽입용 개방부(421)를 통해 바퀴 결합용 막대부(241)를 분리하여 제1승하강 안내 바퀴부재(240)와 제2승하강 안내 바퀴부재(250)를 발판 지지 프레임부(230)에서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발판이 승하강되는 사다리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발판이 승하강되는 사다리는 발판부(200)에 사용자가 올라탄 상태에서 로프(311)가 감겨지는 방향으로 핸드윈치(310)의 핸들을 회전시킴으로써 발판부(200)를 승강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올라갈 수 있다.
또한, 핸드윈치(310가 레치 구조 타입인 경우 원하는 높이에서 작업이 완료된 후 하강할 경우에는 핸드윈치(310)의 래칫 기구에서 잠금 상태를 해제하면 사용자의 무게에 의해 로프(311)가 자연스럽게 풀리면서 발판부(200)가 하강하게 된다.
또는, 핸드윈치(310)가 오토브레이크 타입의 수동윈치인 경우 핸들을 로프(311)가 풀어지는 방향 즉, 승강할 때와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발판부(200)를 승하강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사용자가 올라타는 발판부(200)를 승하강시켜 발판부(20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오르내리면서 발을 헛딛으면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하여 사용 중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승하강되는 발판부(200)에 의해 무게 중심이 기존 사다리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위치되어 높은 곳에 올라가 작업 중에 전복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발판부(200)를 넓게 제작할 수 있어 작업 시 안정성을 확보함으로써 사용 중 안전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올라타는 발판부(200)를 승하강시켜 발판부(200)의 높이를 정밀하게 조절하여 특정 높이에서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사용 중 편의성 및 안전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100 : 사다리 본체부 110 : 제1지지 다리부재
120 : 제2지지 다리부재 110a, 120a : 바퀴 이동 레일부
130 : 상부 연결 지지부재 140 : 하부 연결 지지부재
150 : 프레임 고리부재 200 : 발판부
210 : 승하강 지지 프레임부재 220 : 플레이트부재
230 : 발판 지지 프레임부 231 : 플레이트 지지 프레임부재
232 : 제1지지 프레임부재 233 : 제2지지 프레임부재
234 : 제3지지 프레임부재 235 : 제4지지 프레임부재
240 : 제1승하강 안내 바퀴부재 241 : 바퀴 결합용 막대부
242 : 제1걸림용 머리부 243 : 제2걸림용 머리부
250 : 제2승하강 안내 바퀴부재
260 : 제1볼조인트부 270 : 제1볼조인트 고정부
280 : 제2볼조인트부 290 : 제2볼조인트 고정부
300 : 발판 승하강기기 310 : 핸드윈치
311 : 로프 311a : 로프 고리부재
400 : 바퀴 결합부 420 : 막대 삽입용 브라켓트
421 : 돌기 삽입용 개방부 430 : 막대 고정용 브라켓트
431 : 고리홈부 440 : 스프링

Claims (15)

  1. 이격된 제1지지 다리부재와 제2지지 다리부재를 포함하여 기울어져 고정될 수 있는 사다리 본체부;
    상기 사다리 본체부에서 제1지지 다리부재와 제2지지 다리부재의 사이에 위치되는 발판부; 및
    상기 사다리 본체부에 위치되어 상기 발판부를 승하강하는 발판 승하강기기를 포함하며,
    상기 발판부는,
    상기 제1지지 다리부재의 후면과 상기 제2지지 다리부재의 후면에 위치되고 양 단부 측이 상기 제1지지 다리부재와 상기 제2지지 다리부재에 지지되어 상, 하 이동하고 상기 발판 승하강기기가 장착되는 승하강 지지 프레임부재;
    사용자가 올라타는 플레이트부재;
    상기 플레이트부재와 상기 승하강 지지 프레임부재를 연결하는 발판 지지 프레임부;
    상기 발판 지지 프레임부의 상부 측 양 쪽에 위치되어 상기 제1지지 다리부재와 상기 제2지지 다리부재의 후면에 접촉되어 구르는 제1승하강 안내 바퀴부재; 및
    상기 발판 지지 프레임부의 하부 측 양 쪽에 위치되어 상기 제1지지 다리부재와 상기 제2지지 다리부재의 후면에 접촉되어 구르는 제2승하강 안내 바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 다리부재의 후면과 상기 제2지지 다리부재의 후면에는 각각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승하강 안내 바퀴부재와 상기 제2승하강 안내 바퀴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제1승하강 안내 바퀴부재와 상기 제2승하강 안내 바퀴부재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바퀴 이동 레일부가 각각 위치되고,
    상기 제1승하강 안내 바퀴부재와 상기 제2승하강 안내 바퀴부재에는 각각 상기 발판 지지 프레임부에 결합되기 위한 바퀴 결합용 막대부가 돌출되게 위치되며,
    상기 바퀴 결합용 막대부의 단부 측에는 외주면으로 돌출되고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제1걸림용 머리부와 제2걸림용 머리부가 위치되고,
    상기 발판 지지 프레임부에는 상기 바퀴 결합용 막대부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바퀴 결합부가 위치되며,
    상기 바퀴 결합부는,
    상기 발판 지지 프레임부에 장착되며 상기 발판 지지 프레임부와의 사이에 상기 제1걸림용 머리부가 위치될 수 있는 머리 삽입공간이 형성되며 가로 방향의 일 측에 상기 바퀴 결합용 막대부가 삽입될 수 있는 돌기 삽입용 개방부가 위치된 막대 삽입용 브라켓트; 및
    상기 막대 삽입용 브라켓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 측에 상기 바퀴 결합용 막대부가 삽입되는 고리홈부가 위치되어 상기 돌기 삽입용 개방부의 입구를 막아 상기 바퀴 결합용 막대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막대 고정용 브라켓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이 승하강되는 사다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 본체부는,
    상기 제1지지 다리부재의 상부 측에 위치되어 일단부 측이 상기 제1지지 다리부재에 연결되고, 타단부 측이 상기 제2지지 다리부재로 연결되는 상부 연결 지지부재; 및
    상기 제1지지 다리부재의 하부 측에 위치되어 일단부 측이 제1지지 다리부재에 연결되고, 타단부 측이 상기 제2지지 다리부재로 연결되는 하부 연결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이 승하강되는 사다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발판 승하강기기는 상기 발판부에 장착되며 상기 상부 연결 지지부재에 연결되는 로프를 원통형의 드럼에 감고 풀 수 있는 핸드윈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이 승하강되는 사다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부 연결 지지부재에는 상기 핸드윈치의 로프를 연결할 수 있는 프레임 고리부재가 위치되고, 상기 핸드윈치의 로프에는 상기 프레임 고리부재에 걸어지는 로프 고리부재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이 승하강되는 사다리.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승하강 안내 바퀴부와 상기 제2승하강 안내 바퀴부는 상기 발판 지지 프레임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이 승하강되는 사다리.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막대 고정용 브라켓트는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상기 돌기 삽입용 개방부의 입구를 막도록 위치되어 회전되어 상기 돌기 삽입용 개방부를 개방한 상태에서 회전시키는 힘을 해제하면 상기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으로 상기 돌기 삽입용 개방부의 입구를 막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이 승하강되는 사다리.
  10. 이격된 제1지지 다리부재와 제2지지 다리부재를 포함하여 기울어져 고정될 수 있는 사다리 본체부;
    상기 사다리 본체부에서 제1지지 다리부재와 제2지지 다리부재의 사이에 위치되는 발판부; 및
    상기 사다리 본체부에 위치되어 상기 발판부를 승하강하는 발판 승하강기기를 포함하며,
    상기 발판부는,
    상기 제1지지 다리부재의 후면과 상기 제2지지 다리부재의 후면에 위치되고 양 단부 측이 상기 제1지지 다리부재와 상기 제2지지 다리부재에 지지되어 상, 하 이동하고 상기 발판 승하강기기가 장착되는 승하강 지지 프레임부재;
    사용자가 올라타는 플레이트부재; 및
    상기 플레이트부재와 상기 승하강 지지 프레임부재를 연결하는 발판 지지 프레임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판 지지 프레임부는,
    상기 플레이트부재의 외측 둘레를 감싸는 플레이트 지지 프레임부재;
    상기 제1지지 다리부재의 후면 측에 위치되어 상단부 측이 승하강 지지 프레임부재의 일단부 측에 고정되고, 하단부 측이 상기 플레이트 지지 프레임부재의 앞쪽에 고정되는 제1지지 프레임부재;
    상기 제2지지 다리부재의 후면 측에 위치되어 상단부 측이 승하강 지지 프레임부재의 타단부 측에 고정되고, 타단부 측이 상기 플레이트 지지 프레임부재의 앞쪽에 고정되는 제2지지 프레임부재;
    상단부 측이 상기 승하강 지지 프레임부재의 일단부 측 또는 상기 제1지지 프레임부재의 상단부 측에 고정되고 하단부 측이 상기 플레이트 지지 프레임부재의 뒷쪽에 고정되는 제3지지 프레임부재; 및
    상단부 측이 상기 승하강 지지 프레임부재의 타단부 측 또는 상기 제2지지 프레임부재의 상단부 측에 고정되고 하단부 측이 상기 플레이트 지지 프레임부재의 뒷쪽에 고정되는 제4지지 프레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이 승하강되는 사다리.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는,
    상기 승하강 지지 프레임부재의 일단부 측과 타단부 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1지지 다리부재와 상기 제2지지 다리부재의 후면에 접촉되어 구르는 제1승하강 안내 바퀴부재; 및
    상기 제1지지 프레임부재의 하단부 측과 상기 제2지지 프레임부재의 하단부 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1지지 다리부재와 상기 제2지지 다리부재의 후면에 접촉되어 구르는 제2승하강 안내 바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이 승하강되는 사다리.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 다리부재의 후면과 상기 제2지지 다리부재의 후면에는 각각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승하강 안내 바퀴부재와 상기 제2승하강 안내 바퀴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제1승하강 안내 바퀴부재와 상기 제2승하강 안내 바퀴부재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바퀴 이동 레일부가 각각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이 승하강되는 사다리.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지지 프레임부재는 서로 연결되어 상기 플레이트부재의 둘레를 감싸는 복수의 "ㄴ"자형 앵글을 포함하여 상기 "ㄴ"자형 앵글 상에 상기 플레이트부재가 안착되어 상기 플레이트부재의 둘레로 돌출된 보호용 단턱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이 승하강되는 사다리.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재는 상기 사다리 본체부의 상단부 측이 지지체에 지지되어 기울어지게 위치될 때 상기 제1지지 프레임부재와 상기 제2지지 프레임부재가 기울어지고 상기 제3지지 프레임부재와 상기 제4지지 프레임부재가 수직방향으로 위치되면서 상기 플레이트부재가 지면과 수평인 상태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이 승하강되는 사다리.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는,
    상기 제1승하강 안내 바퀴부재를 상기 승하강 지지 프레임부재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볼조인트부;
    상기 제1볼조인트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1볼조인트 고정부;
    상기 제2승하강 안내 바퀴부재를 상기 제1지지 프레임부재와 상기 제2지지 프레임부재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볼조인트부; 및
    상기 제2볼조인트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2볼조인트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이 승하강되는 사다리.
KR1020190101043A 2019-08-19 2019-08-19 발판이 승하강되는 사다리 KR102272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043A KR102272103B1 (ko) 2019-08-19 2019-08-19 발판이 승하강되는 사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043A KR102272103B1 (ko) 2019-08-19 2019-08-19 발판이 승하강되는 사다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2205A KR20210022205A (ko) 2021-03-03
KR102272103B1 true KR102272103B1 (ko) 2021-07-02

Family

ID=75151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1043A KR102272103B1 (ko) 2019-08-19 2019-08-19 발판이 승하강되는 사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21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0641B1 (ko) 2023-04-20 2023-09-21 박찬배 자동 위치제어 가능한 안전 사다리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75579A1 (en) * 2014-03-27 2015-10-01 Eutimio Reyes Double Ladder Elevato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8282B1 (ko) * 2009-06-23 2012-03-23 권오봉 사다리
KR20100138281A (ko) * 2009-06-25 2010-12-31 하경수 다목적 구동 작업대
KR20190001815A (ko) 2017-06-28 2019-01-07 주식회사 아이오지 광촉매를 이용한 확산판을 가진 조명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75579A1 (en) * 2014-03-27 2015-10-01 Eutimio Reyes Double Ladder Elev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2205A (ko) 2021-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8043B1 (ko) 전도 방지 안전 사다리
US10801262B2 (en) Platform ladder apparatus
US9109394B2 (en) Adjustable ladder support mechanism
US5022491A (en) Collapsible fire escape ladder
KR20180070001A (ko) 접이식 계단
KR200480180Y1 (ko) 에이형 사다리
KR102272103B1 (ko) 발판이 승하강되는 사다리
KR102241781B1 (ko) 높이 조절형 이동식 작업대
KR101478964B1 (ko) 갱폼용 사다리
KR101174553B1 (ko) 절첩 가능한 계단식 안전사다리
GB2419373A (en) Foldable access platform
KR20080086319A (ko) 안테나 사다리
CN213491603U (zh) 一种消防逃生梯
CN209817380U (zh) 一种建筑施工用移动支撑平台
KR20140046237A (ko) 발판 경사 조절 사다리
KR20210015011A (ko) 사다리
KR20130073339A (ko) 작업정반 승하용 높이조절 사다리
JP3662064B2 (ja) 手動式昇降床装置
CN112609944A (zh) 一种建筑工地用的钢结构脚手架结构
KR200440672Y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자립식 사다리
KR101070381B1 (ko) 사다리
JP3955669B2 (ja) 昇降枠及び開口枠の伸縮管構造
CN220769345U (zh) 可伸缩及折叠护栏梯
JPH0240240Y2 (ko)
KR20100048441A (ko) 이동식 작업용 지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