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6237A - 발판 경사 조절 사다리 - Google Patents

발판 경사 조절 사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6237A
KR20140046237A KR1020120112459A KR20120112459A KR20140046237A KR 20140046237 A KR20140046237 A KR 20140046237A KR 1020120112459 A KR1020120112459 A KR 1020120112459A KR 20120112459 A KR20120112459 A KR 20120112459A KR 20140046237 A KR20140046237 A KR 20140046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der
guide link
scaffold
lower fix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2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양동
김재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Priority to KR1020120112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6237A/ko
Publication of KR20140046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62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ramps, gangways or outboard ladders ; Pilot lif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04Movable stairways, e.g. of loft ladders which may or may not be concealable or extensibl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8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 E06C1/387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having tip-up step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8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 E06C1/397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characterised by having wheels, rollers, or run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5/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 E06C5/32Accessories, e.g. brakes on ladders
    • E06C5/42Devices for altering inclination; Latching devices therefor ; Balanc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08Special construction of longitudinal members, or rungs or other treads
    • E06C7/081Rungs or other treads comprising anti-slip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자가 고지로 이동할 수 있는 발판 경사 조절 사다리에 있어서, 상하로 길게 형성된 하부고정프레임; 상기 하부고정프레임 사이에서 전방 좌우 끝단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사다리발판; 상기 사다리발판 후방 좌우 끝단과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링크; 상기 가이드링크에서 연장되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한 쌍의 핸드레일; 일측에 하부고정프레임 및 가이드링크가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걸림부; 상부에서 상기 하부고정프레임과 연결되고 하부에서는 상기 가이드링크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하부고정프레임과 상기 가이드링크를 지지하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발판 경사 조절 사다리가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발판 경사 조절 사다리에 의하면, 경사사다리를 선체에 높이에 맞추어 제작할 필요가 없이 높이에 따라 발을 딛는 발판의 경사를 조절할 수 있어 작업자가 안전하게 승선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경사사다리를 지지하는 받침대는 지면과 언제나 수평을 유지하므로 쏠리거나 전도될 우려가 현저하게 감소하여 작업현장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Description

발판 경사 조절 사다리{Ladder with controlable footsteps}
본 발명은 사다리에 조선 현장에서 사용되는 승하선용 경사사다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승선하는 선체의 높이에 따라 사다리 발판의 경사가 자동으로 조절되는 발판 경사 조절 사다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선소에서 사용되는 경사형사다리는 발판의 경사가 고정되어 있고 승선할 수 있는 선체의 종류가 한정되어 있다. 만약 선체의 높이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승선용 경사사다리를 사용하는 경우 사다리 발판의 경사가 수평으로 유지되지 않아 작업자의 승하선 시 불편을 초래하여 왔다. 또한 이 경우 경사사다리 발판의 하중을 지지하는 받침대가 지면에 밀착되지 못하므로 하중이 큰 경사형사다리가의 경우 작업 중에 전도될 우려가 있어 작업환경의 안전을 저해한다.
한편 선체의 높이에 따라 경사형사다리를 다시 제작하는 경우에는 작업비용이 증가하고 추가 작업을 실시해야 하므로 작업자의 피로는 증가한다.
상기 문제점에 대응하여 종래의 기술인 특허출원 제 10-2002-0032885호는, 수평의 디딤판과 수직의 철판이 일체로 성형되며 그 양측에는 너트부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매입되며 그 내부에는 강섬유가 매입된 콘크리트 계단패널과, 상기 너트부재와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공이 형성된 한 쌍의 경사측판을 포함하며, 상기 계단패널을 양측의 경사측판에 볼트체결하여 연결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계단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조립식 계단으로는 선체의 높이에 맞추어 조립식 계단을 제작하여야하고 승선되는 선체의 높이가 달라지면 계단의 경사를 달리하여 다시 제작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선체의 높이와 상관없이 승선이 가능하고 사다리 발판의 경사가 지면과 수평하게 조절되는 발판 경사 조절 사다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가 고지로 이동할 수 있는 발판 경사 조절 사다리에 있어서, 상하로 길게 형성된 하부고정프레임; 상기 하부고정프레임 사이에서 전방 좌우 끝단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사다리발판; 상기 사다리발판 후방 좌우 끝단과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링크; 일측에 하부고정프레임 및 가이드링크가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걸림부; 상부에서 상기 하부고정프레임과 연결되고 하부에서는 상기 가이드링크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하부고정프레임과 상기 가이드링크를 지지하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발판 경사 조절 사다리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부는, 일측에 고지의 벽체에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걸림홈이 형성된 걸림몸체와, 일단의 상부에는 상기 가이드링크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연결부와, 제1연결부 하부에는 상기 하부연결프레임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연결부와, 상기 걸림몸체의 내측에는 상기 가이드링크가 일정각도 이상의 회전을 차단하는 스톱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부에는 캐스터가 배치되어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판 경사 조절 사다리에 의하면, 경사사다리를 선체에 높이에 맞추어 제작할 필요가 없이 높이에 따라 발을 딛는 발판의 경사를 조절할 수 있어 작업자가 안전하게 승선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경사사다리를 지지하는 받침대는 지면과 언제나 수평을 유지하므로 쏠리거나 전도될 우려가 현저하게 감소하여 작업현장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판 경사 자동 조절 사다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판 경사 자동 조절 사다리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판 경사 자동 조절 사다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판 경사 자동 조절 사다리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판 경사 조절 사다리(100)는, 건조 중인 선체에 승선하기 위하여 지상과 선체를 연결하면서 사용자가 안전하고 편리하게 승선하기 위한 구조물이다. 이를 위해 발판 경사 자동 조절 사다리(100)는, 하부고정프레임(10)과, 복수의 사다리발판(20), 가이드링크(30), 걸림부(50), 및 받침부(60)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부(50)는 일측에 고지의 벽체에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걸림홈이(52) 형성된 걸림본체(51)와, 일단의 상부에는 상기 가이드링크(30)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연결부(53)와, 제1연결부(53)의 하부에는 상기 하부연결프레임(10)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연결부(54)와,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걸림몸체의 내측에는 상기 가이드링크(30)가 일정 각도 이상의 회전을 차단하고 고정할 수 있는 스톱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부(60)에는 캐스터(61)가 배치되어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하부고정프레임(10)은 상하로 길게 형성된 사각형상의 판재이다. 하부고정프레임(10)은 사다리발판(20)과 가이드링크(30)와 연결되어 발판 경사 조절 사다리(100)를 지지하는 구조물이므로 충분한 강성과 사용자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한다.
상기 하부고정프레임(10)은 판재형상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나 사다리발판(20)과 연결되어 고정하는 목적에 맞추어 하나의 판재형상이 아닌 좌우 한 쌍의 길이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고정프레임(10)은 복수의 사다리발판(20)의 전방 좌우 끝단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하부고정프레임(10)에는 상기 복수의 사다리발판(20)과 회동가능 하게 연결되기 위하여 복수의 지지공(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고정프레임(10)과 복수의 사다리발판(20)의 연결방법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고정되는 것이 중요하므로 나사결합으로 연결 가능하며, 상기 사다리발판의 전방 좌우 끝단에서 샤프트를 돌출시켜 하부고정프레임(10)의 지지공(11)에 관통한 후 캡을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하부고정프레임(10)에 복수의 사다리발판(20)의 연결하기 위하여 하부고정프레임(10)과 사다리발판(20)의 연결부위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연속적인 받침편을 추가할 수 있다.
상기 받침편은 하부고정프레임(10)에서 내측과 상기 사다리발판(20)과 맞닿는 면에서 돌출되며 ‘ㄱ’자 형상을 갖는다. 상기 받침편이 부가되는 발판 경사 조절 사다리(100)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받침편은 사다리 발판(20)의 끝단의 절곡면과 맞닿아 고정되며 지면과 수평을 넘어서는 각도에 위치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사다리발판(20)은 작업자가 승하선 시 발을 디디는 곳이므로 사각의 판재 형상이며, 상면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하여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다리발판(20)은 전방 좌우 끝단에서 하향으로 추가적인 보조받침편(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후방 좌우 끝단에는 전방의 받침편과 반대향으로 향하여 같은 형태의 보조받침편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다리발판(20)의 전후방 끝단에는 상기 보조받침편(21)이 각각 반대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보조받침편(21)은 각각 하부고정프레임(10)과 가이드링크(30)가 연결되는 꺽쇠를 부가하는 것으로 대체가능하다.
상기 사다리발판(20)의 전방의 보조받침편(21)은 사다리발판(20)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일단은 상기 하부고정프레임(10)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보조받침편(21)과 상기 하부고정프레임(10)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기 때문에 연결수단은 나사결합 외에 다양한 결합수단이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다리발판(20)의 전방 좌우 끝단은 상기 하부고정프레임(1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사다리 발판(20)의 후방 좌우 끝단은 상기 가이드링크(30)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가이드링크(30)는 상기 하부고정프레임(10)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하 길의 방향의 한 쌍으로 부재로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링크(30)의 길이는 상기 하부고정프레임(10)과 대응되게 형성되며 발판 경사 조절 사다리(1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하부고정프레임(10)과 상기 가이드링크(30)는 동일한 길이를 가지므로 하부고정프레임(10)과 가이드링크(30)의 어느 한쪽 끝단이 돌출되지 않아서 보관상의 편리함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가이드링크(30)는 상기 하부고정프레임(10)에 형성된 지지공(11)에 대응하는 연결공(31)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링크(30)와 상기 사다리발판(20)의 연결방식은 상기 사다리발판(20)의 후방 좌우 끝단에서 샤프트가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링크(30)의 연결공(31)을 관통하여 상기 사다리발판(20)과 상기 가이드링크(30)는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가이드링크(30)과 상기 사다리발판(20)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므로 샤프트에 의한 고정이 가능하나 위 방법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발판 경사 조절 사다리(100)는 상기 가이드링크(30)에서 연장되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되어 배치되는 핸드레일(4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핸드레일(40)은 작업자가 승하선 시 손잡이로 이용하는 것이므로 봉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핸드레일(40)의 상부와 하부의 각각 끝단은 굴곡하여 라운드형으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걸림부(50)는 일측에 하부고정프레임(10) 및 가이드링크(30)가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걸림홈(52)이 형성된 걸림몸체(51), 제1연결부(53), 및 제2연결부(54)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부(50)는 한 쌍으로 구비되며 사각형상의 판재이다.
상기 걸림몸체(51)의 일측에는 고지의 벽체에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걸림홈(5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홈(52)은 승하선을 위한 선체벽의 일면의 돌출부와 맞물리는 곳이므로 선체벽의 종류와 두께에 따라 달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50) 일단에는 상기 가이드링크(30)가 회동가능하게 힌지로 결합되는 제1연결부와(52), 제2연결부(53),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내측에는 상기 가이드링크(30)가 일정 각도 이상의 회전을 차단하는 스톱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톱퍼는 렛치(Latch) 구조로 돌출부가 형성된 제1연결부(52)와, 제1연결부(52)에 연결되며 상기 걸림몸체(50) 내측에 위치하며 홈이 형성되어 있는 록커와, 록커 후면에 배치된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연결부(52)가 전방으로 당겨지면 제1연결부는 회동하게 되고 작업자는 고정을 위하여 록커를 전진시켜 제1연결부의 돌출부를 록커의 홈에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록커를 조절하여 제1연결부의 회전이 잠금 및 해제상태에 놓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톱퍼는 상기 록커의 위치에 따라 상기 가이드링크(30)가 상기 발판 경사 조절 사다리(100)의 최대 사용각도인 65°를 넘지 않도록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스톱퍼가 잠금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가이드링크(30)는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며 상기 걸림부(5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60)는 사각형상의 판재이고 돌출된 고정편과 상기 하부고정프레임(10) 및 상기 가이드링크(30)가 각각 힌지결합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하부고정프레임(10)과 상기 가이드링크(30)를 지지한다.
상기 받침부(60)는 상기 발판 경사 조절 사다리(100)의 전체 하중을 지지하는 것이므로 중량을 나머지 구성 부분보다 크게 하여 작업자가 사다리발판(20)을 이용하여 승하선 시 흔들림이 없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받침부(60)는 캐스터(61)가 배치되어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판 경사 조절 사다리(100)의 작동방법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발판 경사 조절 사다리(100)를 승하선이 필요한 선체의 측면에 위치시킨다. 상기 걸림부(50)를 상승시켜 상기 걸림몸체(51)의 걸림홈(52)에 선체 벽면에 삽입한다. 상기 걸림홈(52)에 선체 벽면이 안착하면 상기 가이드링크(30)가 연결되어 있는 상기 걸림부(50)의 제1연결부(53)가 제2연결부(54)를 축으로 하여 상기 발판 경사 조절 사다리(100)의 전방을 향하여 당겨지게 된다.
상기 걸림부(50)의 제1연결부(53)가 제2연결부(54)를 기준하여 보다 전방으로 위치되면 순차적으로 상기 가이드링크(30)의 연결공(31)이 당겨지게 되고 연결공(31)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상기 사다리발판(20)도 전방으로 당겨져 지면과 수평을 이루게 된다.
상기 가이드링크(30)가 걸림부(50)의 당김으로 고정되면 상기 발판 경사 조절 사다리는 움직임이 없이 고정된다. 작업자는 사다리발판(20)을 이용하여 안전하게 승하선을 할 수 있으며, 상기 사다리발판(20)과 지면이 언제나 수평을 유지하게 되므로 편리하게 사다리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발판 경사 조절 사다리(100)는 지면과 상기 하부고정프레임(10)과의 이루는 내각이 35° 내지 65°인 경우 사용이 가능하고, 상기 걸림부(50)의 제1연결부(53)를 전면을 향하여 당기거나 후방을 향하여 밀어서 발판의 경사를 지면과 수평으로 조절할 수 있고 선체의 높이에 상관없이 사다리발판(20)의 경사를 조절하여 사용가능한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발판 경사 조절 사다리(100)는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걸림부(50)를 선체의 벽면에서 이탈시켜 지면을 향하여 하향시킨 후 지면에 수평하게 위치시킨다.
상기 하부고정프레임(10)과 상기 가이드링크(30)는 동일한 길이이며, 상기 가이드링크(30)에서 연장되어 있는 상기 핸드레일(40)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켜 가이드링크(30)의 일단을 상기 하부고정프레임(10)의 일단과 일치시키면 상기 하부고정프레임(10)과 상기 가이드링크(30)는 접철된다.
지면에 수평하게 하부고정프레임(10)과 상기 가이드링크(30)가 접철되면, 상기 하부고정프레임(10)의 지지공(11)의 위치는 상기 가이드링크(30)의 연결공(31)의 위치보다 상기 사다리발판(20)의 폭만큼 상측의 걸림부(50)을 향하여 위치하게 된다.
상기 사다리발판(20)은 지면과 수평으로 위치하게 되며 상기 가이드링크(30)의 하중에 의하여 상기 하부연결프레임(30)에 밀착되어 안전하여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발판 경사 조절 사다리(100)는 작업 종료 후 또는 이동하는 경우에 지면에 안작하여 수평하게 접철된 상태로 보관하거나, 상기 걸림부(50)의 걸림홈(52)에 이동수단을 연결하고 상기 받침부(60) 하측의 캐스터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발판 경사 조절 사다리 10 : 하부연결프레임
11 : 지지공 20 : 사다리발판
21 : 보조받침편 30 : 가이드링크
31 : 연결공 40 : 핸드레일
50 : 걸림부 51 : 걸림몸체
52 : 걸림홈 52 : 제1연결부
53 : 제2연결부 60 : 받침부
61 : 캐스터

Claims (3)

  1. 작업자가 고지로 이동할 수 있는 발판 경사 조절 사다리에 있어서,
    상하로 길게 형성된 하부고정프레임;
    상기 하부고정프레임 사이에서 전방 좌우 끝단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사다리발판;
    상기 사다리발판 후방 좌우 끝단과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링크;
    일측에 하부고정프레임 및 가이드링크가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걸림부;
    상부에서 상기 하부고정프레임과 연결되고 하부에서는 상기 가이드링크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하부고정프레임과 상기 가이드링크를 지지하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발판 경사 조절 사다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일측에 고지의 벽체에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걸림홈이 형성된 걸림몸체와,
    일단의 상부에는 상기 가이드링크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연결부와,
    제1연결부 하부에는 상기 하부연결프레임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연결부와,
    상기 걸림몸체의 내측에는 상기 가이드링크가 일정각도 이상의 회전을 차단하는 스톱퍼를 더 포함하는 발판 경사 조절 사다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에는 캐스터가 배치되어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 경사 조절 사다리.
KR1020120112459A 2012-10-10 2012-10-10 발판 경사 조절 사다리 KR201400462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2459A KR20140046237A (ko) 2012-10-10 2012-10-10 발판 경사 조절 사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2459A KR20140046237A (ko) 2012-10-10 2012-10-10 발판 경사 조절 사다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6237A true KR20140046237A (ko) 2014-04-18

Family

ID=50653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2459A KR20140046237A (ko) 2012-10-10 2012-10-10 발판 경사 조절 사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623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2727A (ko) 2019-02-22 2020-09-01 이상철 경사면용 조립식 사다리
KR20210013904A (ko) * 2019-07-29 2021-02-08 박덕치 지게차를 이용한 이동식 승하선 사다리
KR20230024126A (ko) 2021-08-11 2023-02-20 주식회사 세기엔지니어링 사다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2727A (ko) 2019-02-22 2020-09-01 이상철 경사면용 조립식 사다리
KR20210013904A (ko) * 2019-07-29 2021-02-08 박덕치 지게차를 이용한 이동식 승하선 사다리
KR20230024126A (ko) 2021-08-11 2023-02-20 주식회사 세기엔지니어링 사다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41547A (en) Safety featured ladder scaffolding
EP0766769B1 (en) Scaffolding assembly
US3391757A (en) Scaffold
GB2422141A (en) Elevating working platform for clamping to the framework of a building as the building is constructed
US6840350B2 (en) Adjustable scaffold and walkboard ladder holder
US20060266584A1 (en) Scaffold having detachable ladder assembly
EP2454440B1 (en) Work platform unit for a ladder with a safety barrier construction
KR20140046237A (ko) 발판 경사 조절 사다리
KR102241781B1 (ko) 높이 조절형 이동식 작업대
JP2020007792A (ja) 簡易足場兼用脚立
JP4556136B2 (ja) 転落防止具及びその使用方法、並びに転落防止柵及びその使用方法
EP1657399A2 (en) Portable ladder stabilizing accessories
KR200463126Y1 (ko) 모터를 이용하여 발판각도 조절이 가능한 이동식 계단
US8360204B2 (en) Self-adjusting ladder leveling device
KR101006364B1 (ko) 리프트용 보조발판
JP2002089033A (ja) 屋根工事用作業足場及びその設置方法
KR200442222Y1 (ko) 발판 각도 조절용 사다리
KR20130002481U (ko) 작업용 안전발판
KR20130073339A (ko) 작업정반 승하용 높이조절 사다리
CN106437479B (zh) 具有安全装置的井坑梯子
JP4476044B2 (ja) 梯子用足場
KR102272103B1 (ko) 발판이 승하강되는 사다리
KR102479820B1 (ko) 난간을 가지는 고소작업용 사다리
JP3008167B2 (ja) 簡易足場及びその設置方法
JP3152342U (ja) 梯子固定治具及び梯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