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0001A - 접이식 계단 - Google Patents

접이식 계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0001A
KR20180070001A KR1020160172173A KR20160172173A KR20180070001A KR 20180070001 A KR20180070001 A KR 20180070001A KR 1020160172173 A KR1020160172173 A KR 1020160172173A KR 20160172173 A KR20160172173 A KR 20160172173A KR 20180070001 A KR20180070001 A KR 20180070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d
bracket
retaining wall
cylinde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2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금화
함형주
김두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구미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구미개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구미개발
Priority to KR1020160172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0001A/ko
Publication of KR20180070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00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04Movable stairways, e.g. of loft ladders which may or may not be concealable or extensible
    • E04F11/06Movable stairways, e.g. of loft ladders which may or may not be concealable or extensible collapsible, e.g. folding, telescopic
    • E04F11/062Movable stairways, e.g. of loft ladders which may or may not be concealable or extensible collapsible, e.g. folding, telescopic fo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022Stairways; Layou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structure
    • E04F11/0223Cantilevered stairway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65Collapsible or portable balustra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를 달리하는 위치를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옹벽 등에 설치되는 접이식 계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상과 고소를 상호 연결하여 이동가능하게 하는 계단을 옹벽방향으로 접어지는 구조로 구성하여 보다 향상된 공간 활용효율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접이식 계단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일측이 옹벽의 벽면에 고정된 브라켓(120)에 힌지결합되어 상하 회동되게 수평으로 설치되고 하측방향으로 내려가도록 계단형으로 설치되는 복수 개의 발판(100); 상기 복수 개의 발판(100)의 타측에 상방으로 수직설치된 상태에서 하부가 발판(100)에 힌지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난간봉(200); 상기 복수 개의 발판(100) 각각에 설치된 난간봉(200)을 상호 연결하여 일체로 형성하는 연결프레임(300); 상기 발판(100)의 하측에 구비되고, 옹벽의 벽면에 고정된 브라켓(120)에 일측이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난간봉(200)의 하단에 힌지결합되어 로드(420)의 인입출동작을 통해 상기 발판(100)을 접힘 또는 펼침동작시키는 실린더(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접이식 계단{Folding stairs}
본 발명은 높이를 달리하는 위치를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옹벽 등에 설치되는 접이식 계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상과 고소를 상호 연결하여 이동가능하게 하는 계단을 옹벽방향으로 접어지는 구조로 구성하여 보다 향상된 공간 활용효율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접이식 계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이나, 과수 농가, 건축현장과 같은 장소에서는 수시로 높은 곳이나 낮은 곳에서 작업을 해야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그러한 곳을 쉽게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하는 사다리를 많이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일반적인 사다리는 두 개의 긴 기둥 사이에 몇 개의 가로장을 드문드문 대고 고정한 형태로써 사용할 때는 지면과 수직이 되는 세로 벽면 사이에 걸쳐 세워서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지면이 고르지 못한 경우에는 사다리가 쉽게 흔들려서 불안정하기 때문에 사용상 어려움이 따르고 또한, 사다리가 넘어지면서 사용자가 부상을 입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 걸쳐 세워서 사용하는 사다리의 특성상 세로 벽면이 유리벽이나 나무와 같은 약한 구조물인 경우에는 다리를 걸쳐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일반적인 사다리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이 'A형 사다리'로서 일반적인 형태의 사다리 2개의 상단부를 회동 가능케 힌지 결합하고, 두 사다리의 중간 지점에는 두 사다리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고정대를 설치함으로서 사다리를 펼쳤을 때의 형상이 'A'자 형태를 취하게 되는데, 이러한 A형 사다리는 지면에 고정되는 발이 4개가 되고, 세로 벽면에 걸쳐 세우지 않아도 사용 가능하여 일반 사다리에 비해 보다 안정적이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A형 사다리도 기본적으로는 사다리의 구조를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발판이 좁고, 사용자가 사다리 위로 올라갔을 때 안정적인 자세를 취하는데 어려움이 따르기 때문에 사다리를 이용한 다양한 작업에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써, 한국 등록특허 제10-1040712호에 '접이식 계단'이 개시되어 있다.
위 기술은 한 쌍의 지지 부재들이 서로 이격되고 하단에서 서로 연결된 지지 프레임; 한 쌍의 가동 부재들이 상기 지지 부재들에 각각 승강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고 상단에서 서로 연결된 가동 프레임; 상기 지지 부재들 간의 이격된 공간과 상기 가동 부재들 간의 이격된 공간에서 상하로 배열되는 발판들; 및 상기 발판들을 상기 지지 프레임 또는 가동 프레임에 연결하며, 상기 가동 프레임이 상기 지지 프레임에 대해 승강하는 과정에서 상기 발판들이 연동되어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신축 동작하는 링크 조립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미사용시에는 부피를 줄여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데에 목적이 있는 기술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기술은 발판을 밟고 오르내리거나 받침대를 밟고 작업을 하게 되는데, 받침대의 폭이 좁아 사용자가 받침대를 밟고 오르내릴 때, 미끄러질 수 있고 불안감을 느낄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작업상의 불편함과 동시에 제작비용의 상승과 설치 면적을 많이 차지하며, 특히 내부 구조를 변경하고자 할 때 계단을 철거하고 다시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040712호(2011.06.03.) 중국 공개특허 제103774809호(2014.05.07.) 일본 공개특허 제2009-235816호(2009.10.15.)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면에서 하천 또는 하천에서 지면으로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하는 계단을 옹벽방향으로 접어지는 접이식 구조로 구성하여 공간 활용도를 증대시킴은 물론, 각 발판들의 점유면적이 넓어 사용자가 안전하고 용이하게 오르내릴 수 있으며 또한,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작업공수 및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접이식 계단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일측이 옹벽의 벽면에 고정된 브라켓(120)에 힌지결합되어 상하 회동되게 수평으로 설치되고 하측방향으로 내려가도록 계단형으로 설치되는 복수 개의 발판(100); 상기 복수 개의 발판(100)의 타측에 상방으로 수직설치된 상태에서 하부가 발판(100)에 힌지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난간봉(200); 상기 복수 개의 발판(100) 각각에 설치된 난간봉(200)을 상호 연결하여 일체로 형성하는 연결프레임(300); 상기 발판(100)의 하측에 구비되고, 옹벽의 벽면에 고정된 브라켓(120)에 일측이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난간봉(200)의 하단에 힌지결합되어 로드(420)의 인입출동작을 통해 상기 발판(100)을 접힘 또는 펼침동작시키는 실린더(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발판(100) 중 최하부의 발판 하측에는 상기 발판과 동일 사선방향의 지점에 일측이 옹벽의 벽면에 고정된 브라켓(520)에 힌지결합되어 상하 회동되게 수평으로 보조발판(500)이 설치되고, 상기 보조발판(500)의 하측에는 옹벽의 벽면에 고정된 브라켓(520)에 일측이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보조발판(500)의 저면에 힌지결합되어 로드(620)의 인입출동작을 통해 상기 보조발판(500)을 접힘 또는 펼침동작시키는 제2실린더(60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발판(100) 중 최상부의 발판 상측에는 상기 발판과 동일 사선방향의 지점에 일측이 옹벽의 벽면에 고정된 브라켓(720)에 힌지결합되어 상하 회동되게 수평으로 연장발판(700)이 설치되고, 상기 연장발판(700)의 하측에는 옹벽의 벽면에 고정된 브라켓(720)에 일측이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연장발판(700)의 저면에 힌지결합되어 로드(820)의 인입출동작을 통해 상기 연장발판(700)을 접힘 또는 펼침동작시키는 제3실린더(80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연장발판(700)의 상면 외측 가장자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연장발판(700)에 고정된 한 쌍의 브라켓(720)에 회전부재(760)를 매개로 힌지결합되는 난간(740)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부재(760)는 각 브라켓(720)에 형성된 이격홈(722)에 양단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하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가압봉(762)과, 상기 힌지결합된 힌지축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회전돌기(764)에 일측이 걸림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가압봉(762)에 걸림결합되는 스프링(766)으로 구성되며, 상기 난간(740)을 접철시키고자 하는 경우, 상기 난간(740)과 면 접촉된 상태의 상기 가압봉(762)에 힘을 가해 하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난간(740)의 회전각을 확보하여 상기 난간(740)을 접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린더(400)는 복수 개의 발판(100) 중 최상부 및 최하부에 설치된 발판의 하측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발판(100)과 실린더(400) 사이의 공간에는 상기 발판(100)이 로드(420)의 인입출동작을 통해 상기 발판(100)을 접힘 또는 펼침동작할 때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지닌 충격완화부재(90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접이식 계단은 지면에서 하천 또는 하천에서 지면으로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하는 계단을 옹벽방향으로 접어지는 접이식 구조로 구성하여 공간 활용도를 증대시킴은 물론, 각 발판들의 점유면적이 넓어 사용자가 안전하고 용이하게 오르내릴 수 있으며 또한,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작업공수 및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계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계단이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계단이 접철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추가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계단을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추가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계단이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추가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계단이 접철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추가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계단의 연장발판과 난간의 체결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계단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계단은 일측이 옹벽의 벽면에 고정된 브라켓(120)에 힌지결합되어 상하 회동되게 수평으로 설치되고 하측방향으로 내려가도록 계단형으로 설치되는 복수 개의 발판(100); 상기 복수 개의 발판(100)의 타측에 상방으로 수직설치된 상태에서 하부가 발판(100)에 힌지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난간봉(200); 상기 복수 개의 발판(100) 각각에 설치된 난간봉(200)을 상호 연결하여 일체로 형성하는 연결프레임(300); 상기 발판(100)의 하측에 구비되고, 옹벽의 벽면에 고정된 브라켓(120)에 일측이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난간봉(200)의 하단에 힌지결합되어 로드(420)의 인입출동작을 통해 상기 발판(100)을 접힘 또는 펼침동작시키는 실린더(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접이식 계단은 크게 복수 개의 발판(100), 난간봉(200), 연결프레임(300) 및 실린더(4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발판(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옹벽의 벽면에 고정된 브라켓(120)에 힌지결합되어 상하 회동되게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하측방향으로 내려가도록 계단형상으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발판(100)은 측면상 사선형태로 이루어지며, 옹벽 등의 벽면에 설치되는 브라켓(120)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이때, 상기 발판(100)은 옹벽을 향하여 회동되어 접철되는데, 상기 발판(100)이 회동되어 접철될 때 옹벽에 브라켓(120)을 고정설치되도록 체결된 볼트 등의 간섭을 최대한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브라켓(120)의 상측에 회동수단을 설치하여 접철 또는 펼침동작이 가능하도록 형성하는게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발판(100)은 옹벽과 반대되는 끝단에 상방으로 수직설치된 상태에서 하부가 상기 발판(100)에 힌지결합되어 내측(옹벽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난간봉(200)이 발판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로 설치된다. 상기 난간봉(200)은 사용자가 상기 발판(100)을 딛고 올라가거나 내려갈 때 미끄럼 등으로 인한 낙상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난간봉(200)은 회동가능한 접철식 구조로, 공간의 활용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발판(100) 각각에 설치된 난간봉(200)은 연결프레임(300)을 상호 연결하여 일체로 형성한다. 따라서, 복수 개로 수직설치된 상기 난간봉(200)은 연결프레임(300)으로 상호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동시에 접철 또는 펼침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발판(100)에 있어, 각 발판들 간의 힌지결합되는 부위에 설치되는 힌지구조는 내구성과 부식방지를 위해 스테인리스 재질로 형성된 소재를 사용하여 구성하는게 바람직하다.
상기 실린더(400)는 발판(100)의 하측에 구비되고, 옹벽의 벽면에 고정된 브라켓(120)에 일측이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난간봉(200)의 하단에 힌지결합되어 로드(420)의 인입출동작을 통해 상기 발판(100)을 접힘 또는 펼침동작시킨다.
상기 실린더(4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발판(100)을 옹벽방향을 향해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유압실린더, 공압실린더 및 수동식 실린더 등 실린더의 종류를 한정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접힘과 펼침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수동식 실린더를 사용하는게 좋다.
또한, 상기 실린더(400)는 별도로 제공되는 전력원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전력원 등에 의해 상기 로드(420)의 인입 또는 인출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 로드의 인입출동작은 사용자가 직접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실린더(400)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40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린더(400)는 복수 개로 이루어진 발판(100)을 옹벽방향으로 접철 또는 전개 시 발판(100)의 하중을 충분히 견디면서 용이하게 접철과 전개가 가능하도록 상기 복수 개의 발판(100) 중 최상부 및 최하부에 각각 설치하는게 바람직하다.
추가의 실시예로서, 상기 발판(100)의 하측에는 발판(100)과 동일 사선방향으로 지면과 인접한 지점에 일측이 옹벽의 벽면에 고정된 브라켓(520)에 힌지결합되어 상하 회동되게 수평으로 보조발판(50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조발판(50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을 향해 상하 회동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데, 상기 보조발판(500)은 지면과 인접한 지점에 설치되어 상기 발판(100)을 딛고 올라설 수 있는 거리만큼 다수 개가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보조발판(500)의 하부에는 옹벽의 벽면에 고정된 브라켓(520)에 일측이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보조발판(500)의 저면에 힌지결합되는 제2실린더(600)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발판(500)이 다수 개 설치되는 경우, 상기 보조발판(500)은 다른 보조발판(500)과 연결되는 별도의 연결수단이 구비되지 않으므로, 각각의 보조발판(500)에 대하여 제2실린더(600)를 개별적으로 설치하는게 바람직하다.
상기 제2실린더(6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보조발판(500)을 옹벽방향을 향해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유압실린더, 공압실린더 및 수동식 실린더 등 실린더의 종류를 한정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접힘과 펼침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수동식 실린더를 사용하는게 좋다.
또한, 상기 제2실린더(600)는 별도로 제공되는 전력원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전력원 등에 의해 상기 로드(620)의 인입 또는 인출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 로드의 인입출동작은 사용자가 직접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제2실린더(600)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실린더(60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추가의 실시예로서, 상기 발판(100)의 상측에는 발판(100)과 동일 사선방향의 지점에 일측이 옹벽 벽면에 고정된 브라켓(720)에 힌지결합되어 상하 회동되게 연장발판(700)이 수평으로 설치된다.
상기 연장발판(700)은 옹벽의 최상부 높이에 이르는 지점에 설치할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을 향해 상하 회동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연장발판(700)의 상면 외측 가장자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가장자리의 길이에 대응되는 너비로 형성되고, 상방으로 수직설치된 상태에서 하부가 상기 연장발판(700)에 힌지결합되어 회동되는 난간(74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난간(740)은 상기 연장발판(700)의 상면 4개의 가장자리에 1개 이상이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낙상할 가능성이 큰 지점을 선택하여 설치하는게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회전부재(76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발판(700)의 상면 외측 가장자리에 한 쌍이 고정 설치되고 이격홈(722)이 형성된 브라켓(720)에 상기 이격홈(722)을 관통하여 양단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가압봉(762)과, 상기 힌지결합된 힌지축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회전돌기(764)에 일측이 걸림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가압봉(762)에 걸림결합되는 스프링(76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난간(740)을 접철시키고자 할 때에는, 상기 난간(740)과 면 접촉된 상태인 가압봉(762)에 힘을 가해 하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난간(740)이 회동할 수 있는 회전각을 확보하여 상기 난간(740)을 접철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봉(762)에 힘을 가하지 않을 경우, 스프링(766)의 탄발력에 의해 상기 스프링(766)과 연결된 가압봉(762)이 상측으로 이동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가압봉(762)이 브라켓(720)에 힌지결합된 난간(740)의 하부측과 면 접촉됨으로써, 원래의 위치 즉, 수직방향으로 직립되게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연장발판(700)의 하부에는 옹벽의 벽면에 고정된 브라켓(720)에 일측이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연장발판(700)의 저면에 힌지결합되는 제3실린더(80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3실린더(800)의 인입 또는 인출동작을 통해 상기 연장발판(700)을 회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3실린더(8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연장발판(700)을 옹벽방향을 향해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유압실린더, 공압실린더 및 수동식 실린더 등 실린더의 종류를 한정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접힘과 펼침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수동식 실린더를 사용하는게 좋다.
상기 제3실린더(800)는 별도로 제공되는 전력원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전력원 등에 의해 상기 로드(820)의 인입 또는 인출 동작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실린더 로드의 인입출동작은 사용자가 직접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제3실린더(800)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3실린더(80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발판(100), 보조발판(500) 및 연장발판(700)의 상면에는 우천 시 등에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일정간격 다수 개의 돌출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홈은 금속재질, 구체적으로는 스테인리스 재질이나 또는 고무재질로서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상기 발판(100), 보조발판(500) 및 연장발판(700)과 브라켓 등의 힌지결합구조는 통상의 방식을 적용할 수 있으며, 상기 발판들은 옹벽방향을 향해 회동될 수 있도록 상방으로 회동되도록 형성하여 공간의 활용도를 증대시킴이 바람직하다.
추가의 실시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술한 발판들이 접철될 때 상기 발판들이 옹벽에 닿아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 상기 발판들이 수평선상으로 전개되었을 때 그 수평선상을 유지하며, 사용자가 상기 발판을 딛고 올라갈 때 그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탄성력을 지닌 충격완화부재(9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충격완화부재(900)는 발판으로부터 충분한 하중을 견딜 수 있되, 고무와 같이 일정한 탄성력을 지닌 소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지면에서 하천 또는 하천에서 지면으로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하는 계단을 옹벽방향으로 접어지는 접이식 구조로 구성하여 공간 활용도를 증대시킴은 물론, 각 발판들의 점유면적이 넓어 사용자가 안전하고 용이하게 오르내릴 수 있으며 또한,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작업공수 및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100 : 발판 720 : 브라켓
120 : 브라켓 722 : 이격홈
200 : 난간봉 740 : 난간
300 : 연결프레임 760 : 회전부재
400 : 실린더 762 : 가압봉
420 : 로드 764 : 회전돌기
500 : 보조발판 766 : 스프링
520 : 브라켓 800 : 제3실린더
600 : 제2실린더 820 : 로드
620 : 로드 900 : 충격완화부재
700 : 연장발판

Claims (6)

  1. 일측이 옹벽의 벽면에 고정된 브라켓(120)에 힌지결합되어 상하 회동되게 수평으로 설치되고 하측방향으로 내려가도록 계단형으로 설치되는 복수 개의 발판(100);
    상기 복수 개의 발판(100)의 타측에 상방으로 수직설치된 상태에서 하부가 발판(100)에 힌지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난간봉(200);
    상기 복수 개의 발판(100) 각각에 설치된 난간봉(200)을 상호 연결하여 일체로 형성하는 연결프레임(300);
    상기 발판(100)의 하측에 구비되고, 옹벽의 벽면에 고정된 브라켓(120)에 일측이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난간봉(200)의 하단에 힌지결합되어 로드(420)의 인입출동작을 통해 상기 발판(100)을 접힘 또는 펼침동작시키는 실린더(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계단.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발판(100) 중 최하부의 발판 하측에는 상기 발판과 동일 사선방향의 지점에 일측이 옹벽의 벽면에 고정된 브라켓(520)에 힌지결합되어 상하 회동되게 수평으로 보조발판(500)이 설치되고,
    상기 보조발판(500)의 하측에는 옹벽의 벽면에 고정된 브라켓(520)에 일측이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보조발판(500)의 저면에 힌지결합되어 로드(620)의 인입출동작을 통해 상기 보조발판(500)을 접힘 또는 펼침동작시키는 제2실린더(60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계단.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발판(100) 중 최상부의 발판 상측에는 상기 발판과 동일 사선방향의 지점에 일측이 옹벽의 벽면에 고정된 브라켓(720)에 힌지결합되어 상하 회동되게 수평으로 연장발판(700)이 설치되고,
    상기 연장발판(700)의 하측에는 옹벽의 벽면에 고정된 브라켓(720)에 일측이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연장발판(700)의 저면에 힌지결합되어 로드(820)의 인입출동작을 통해 상기 연장발판(700)을 접힘 또는 펼침동작시키는 제3실린더(80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계단.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발판(700)의 상면 외측 가장자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연장발판(700)에 고정된 한 쌍의 브라켓(720)에 회전부재(760)를 매개로 힌지결합되는 난간(740)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부재(760)는 각 브라켓(720)에 형성된 이격홈(722)에 양단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하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가압봉(762)과, 상기 힌지결합된 힌지축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회전돌기(764)에 일측이 걸림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가압봉(762)에 걸림결합되는 스프링(766)으로 구성되며, 상기 난간(740)을 접철시키고자 하는 경우, 상기 난간(740)과 면 접촉된 상태의 상기 가압봉(762)에 힘을 가해 하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난간(740)의 회전각을 확보하여 상기 난간(740)을 접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계단.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400)는 복수 개의 발판(100) 중 최상부 및 최하부에 설치된 발판의 하측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계단.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100)과 실린더(400) 사이의 공간에는 상기 발판(100)이 로드(420)의 인입출동작을 통해 상기 발판(100)을 접힘 또는 펼침동작할 때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지닌 충격완화부재(90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계단.
KR1020160172173A 2016-12-16 2016-12-16 접이식 계단 KR201800700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2173A KR20180070001A (ko) 2016-12-16 2016-12-16 접이식 계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2173A KR20180070001A (ko) 2016-12-16 2016-12-16 접이식 계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0001A true KR20180070001A (ko) 2018-06-26

Family

ID=62788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2173A KR20180070001A (ko) 2016-12-16 2016-12-16 접이식 계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0001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35798A (zh) * 2018-10-09 2019-01-18 枣庄京弘电力材料有限公司 一种折叠梯
KR200488376Y1 (ko) 2018-09-11 2019-01-21 이상용 조립식 계단유닛과 이를 이용한 접이식 계단
KR102037771B1 (ko) * 2019-04-26 2019-10-29 신호원 공동주택의 비상용 실내건축물의 전기제어시스템
KR102154971B1 (ko) 2020-06-11 2020-09-10 하진오 벽체고정식 계단발판모듈 구조
CN113389283A (zh) * 2021-07-28 2021-09-14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一种预制楼梯与现浇混凝土剪力墙墙肢连接装置
US11203872B2 (en) 2020-02-26 2021-12-21 Dennis J. Hilgendorf Rolling access step
CN113911270A (zh) * 2021-10-15 2022-01-11 天长市平安船舶设备有限公司 一种便于收纳的船用舷墙梯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376Y1 (ko) 2018-09-11 2019-01-21 이상용 조립식 계단유닛과 이를 이용한 접이식 계단
CN109235798A (zh) * 2018-10-09 2019-01-18 枣庄京弘电力材料有限公司 一种折叠梯
KR102037771B1 (ko) * 2019-04-26 2019-10-29 신호원 공동주택의 비상용 실내건축물의 전기제어시스템
US11203872B2 (en) 2020-02-26 2021-12-21 Dennis J. Hilgendorf Rolling access step
KR102154971B1 (ko) 2020-06-11 2020-09-10 하진오 벽체고정식 계단발판모듈 구조
CN113389283A (zh) * 2021-07-28 2021-09-14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一种预制楼梯与现浇混凝土剪力墙墙肢连接装置
CN113389283B (zh) * 2021-07-28 2022-03-29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一种预制楼梯与现浇混凝土剪力墙墙肢连接装置
CN113911270A (zh) * 2021-10-15 2022-01-11 天长市平安船舶设备有限公司 一种便于收纳的船用舷墙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70001A (ko) 접이식 계단
CA2805149C (en) Modular system for assembling ramps, decks, and other raised structures
US9109394B2 (en) Adjustable ladder support mechanism
US20090100614A1 (en) Device for a Gangway
CA2655377A1 (en) Stairway for use on building sites
KR200480180Y1 (ko) 에이형 사다리
KR20120078548A (ko) 접이식 계단 작업대
JP4958861B2 (ja) 工事用足場
KR20140133141A (ko) 갱폼용 사다리
KR20060071595A (ko) 높이와 경사 조절이 가능한 이동식 작업대
KR102026406B1 (ko) 가변형 도교
KR20180070002A (ko) 경사로 가변 계단
CN214384035U (zh) 一种降噪式建筑施工支架平台
AU2021215192B2 (en) Temporary Stairway with Void Cover
CN212201195U (zh) 一种施工用脚手架
KR102272103B1 (ko) 발판이 승하강되는 사다리
KR20170001678U (ko) 손잡이가 구비된 접이식 발판형 안전사다리
KR200440672Y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자립식 사다리
KR20180122533A (ko) 탑승이 용이한 비계작업용 작업대
GB2408285A (en) Self-contained extensible mobile access tower
KR102634597B1 (ko) 이동식 비계 구조물
KR102634598B1 (ko) 이동식 비계 구조물
KR102278677B1 (ko) 접이식 발판
RU2716315C1 (ru) Лестница-стремянка
RU2793699C1 (ru) Лестница-стремян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