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4597B1 - 이동식 비계 구조물 - Google Patents

이동식 비계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4597B1
KR102634597B1 KR1020210176381A KR20210176381A KR102634597B1 KR 102634597 B1 KR102634597 B1 KR 102634597B1 KR 1020210176381 A KR1020210176381 A KR 1020210176381A KR 20210176381 A KR20210176381 A KR 20210176381A KR 102634597 B1 KR102634597 B1 KR 102634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base frame
pipes
claus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6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8542A (ko
Inventor
박주동
강성윤
김종영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filed Critical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Priority to KR1020210176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4597B1/ko
Publication of KR20230088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8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4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45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7Comprising essentially pre-assembled three-dimensional elements, e.g. cubic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adjustable in he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0Steps or ladders specially adapted for scaffol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 E04G5/141Railings with an access door or the like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6Struts or stiffening rods, e.g. diagonal ro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04G2001/242Scaffolds movable on wheels or t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비계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크기 조절이 가능하여 운반과 보관이 용이하고, 크기와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여 작업현장의 크기와 작업높이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사다리의 배치 구조를 개선하여 추락의 위험없이 작업자가 상측의 작업발판으로 안전하게 승,하강할 수 있고, 안전난간의 설치구조를 개선하여 안전난간 조립 과정에서 발생되는 안전사고의 우려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특정 높이의 고소작업이 가능하도록, 고소작업 장소에 설치되는 이동식 비계 구조물에 있어서, 지면에 지지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베이스 프레임의 상측부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 분리 가능하게 적층되며, 고소작업 높이에 따라 베이스 프레임에 대한 적층 개수가 조절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단 프레임과; 베이스 프레임과 상단 프레임의 내부를 따라 작업자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베이스 프레임과 상단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는 가설계단과; 베이스 프레임의 네 모서리 부분을 지면에 지지시킬 수 있는 아우트리거들과; 아우트리거의 밑면을 지면에 지지시킬 수 있는 잭 베이스와, 지면과 구름운동하면서 베이스 프레임의 이동을 돕는 아우트리거의 이동바퀴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이동식 비계 구조물{MOVABLE SCAFFOLDING STRUCTURE}
본 발명은 이동식 비계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크기 조절이 가능하여 운반과 보관이 용이하고, 크기와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여 작업현장의 크기와 작업높이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가설계단의 배치 구조를 개선하여 추락의 위험없이 작업자가 상측의 작업발판으로 안전하게 승,하강할 수 있고, 안전난간의 설치구조를 개선하여 안전난간 조립 과정에서 발생되는 안전사고의 우려를 방지할 수 있는 이동식 비계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건설, 전기, 통신 등의 산업현장에서는 다양한 고소작업이 이루어진다.
고소작업 시에는, 비계장치 또는 고소작업대를 작업장소에 고정적으로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작업높이가 비교적 낮거나, 작업장소가 협소하거나, 단시간 내의 경작업이 필요한 곳에서는 이동식 비계를 사용한다.
상기 이동식 비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이동바퀴(1a)가 설치된 트러스(Truss)형태의 타워형 메인 프레임(1)과, 메인 프레임(1)의 최상부에 설치되는 작업발판(3) 및, 작업발판(3)의 둘레에 설치되는 안전난간(5)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이동식 비계는, 고소작업이 필요한 곳까지 메인 프레임(1)을 이동시키고, 작업자가 메인 프레임(1)의 외측 사다리(7)를 통해 상측의 작업발판(3)까지 오른 다음, 지면의 안전난간(5)을 상측의 작업발판(3)까지 끌려올려 작업발판(3)의 둘레에 고정 조립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이동식 비계는, 미리 정해진 크기로 제작되는 구조이므로, 운반 및 보관이 어렵고, 작업현장의 다양한 작업조건에 대응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즉, 종래의 이동식 비계는, 미리 정해진 크기로 제작된 트러스형태의 구조이므로, 부피가 크고 무겁다는 단점이 있고, 이러한 단점 때문에 운반 및 보관이 어려워 이동성과 휴대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이동식 비계는, 미리 정해진 규격으로 제작되는 구조이므로, 작업현장이 협소할 경우, 이에 대응하기 어려워 활용도와 범용성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이동식 비계는, 미리 정해진 규격으로 제작되므로, 높낮이 조절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사용 높이가 제한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사용 높이가 제한적이므로, 작업높이가 메인 프레임(1)의 작업발판(3)보다 월등히 낮거나, 월등히 높을 경우, 이에 대응할 수 없다는 결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이동식 비계는, 작업자가 외측 사다리(7)를 통해 상측의 작업발판(3)까지 이동해야하는 구조이므로, 외측 사다리(7)의 사용 중 작업자의 추락 위험성이 매우 높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이동식 비계는, 작업현상에 메인 프레임(1)을 이동시킨 다음, 상측의 작업발판(3)에 안전난간(5)을 일일이 조립해야 하므로, 안전난간(5)의 조립 과정에서 작업자의 추락, 안전난간(5)의 낙하 등과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크기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고, 이를 통해 이동성과 휴대성을 개선할 수 있는 이동식 비계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크기와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작업현장의 크기와 작업높이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활용도와 범용성을 향상시키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다리의 배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추락의 위험없이 작업자가 상측의 작업발판으로 안전하게 승,하강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안전하게 안전난간을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상측 작업발판에서의 안전난간 조립 과정에서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이동식 비계 구조물은, 특정 높이의 고소작업이 가능하도록, 고소작업 장소에 설치되는 이동식 비계 구조물에 있어서, 지면에 지지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측부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 분리 가능하게 적층되며, 고소작업 높이에 따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한 적층 개수가 조절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단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서로 간에 간격을 두고 임의의 사각형 꼭지점에 대응되는 위치에 수직하게 배열되는 4개의 수직파이프들과; 상기 4개의 수직파이프들을 사각형모양으로 서로 연결하는 다수의 수평파이프들과; 사각형을 이루는 상기 수직파이프들과 수평파이프들의 내측공간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내측공간의 바닥면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네 모서리 부분을 지면에 지지시킬 수 있는 아우트리거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아우트리거들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접철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장거리 운반 또는 보관 시에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각각 접혀지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이 작업장소에 설치될 시에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으로부터 펼쳐지면서 지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체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크기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크기 조절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후 길이를 각각 조절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전후길이 조절부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좌,우 폭을 각각 조절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좌우폭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단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각 수직파이프에 대응될 수 있게 배열되는 4개의 수직파이프들과; 상기 4개의 수직파이프들을 사각형모양으로 서로 연결하는 다수의 수평파이프들과; 사각형을 이루는 상기 수직파이프들과 수평파이프들의 내측공간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내측공간의 바닥면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단 프레임의 전체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크기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크기 조절부는, 상기 상단 프레임의 전,후 길이를 각각 조절하여, 상기 상단 프레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전후길이 조절부와; 상기 상단 프레임의 좌,우 폭을 각각 조절하여, 상기 상단 프레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좌우폭 조절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단 프레임의 내부를 따라 작업자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단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는 가설계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측에 적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단 프레임 중, 최상측의 상단 프레임의 발판 주위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안전난간 조립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비계 구조물에 의하면, 베이스 프레임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단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필요에 따라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단 프레임을 다단으로 조립하거나 또는 조립해제하여 사용하는 구조이므로,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고, 이를 통해 이동성과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단 프레임의 전,후길이와 좌,우폭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전체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고,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여 이동성과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좁은 출입문을 쉽게 통과할 수 있고, 협소한 장소에도 설치가 가능하며, SUV 등과 같은 소형 운반 차량에 싣고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에 적층되는 상단 프레임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비계 본체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작업현장의 크기와 작업높이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최상측 상단 프레임으로 오를 수 있는 가설계단을 비계 본체의 내측부분에 설치하는 구조이므로, 사다리가 비계 본체의 외측부분에 설치되는 종래 기술과 달리, 작업자가 추락의 위험없이 상측의 작업발판까지 안전하게 승,하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면에서 최상측 상단 프레임에 안전난간 조립체를 조립한 후, 안전난간 조립체가 조립된 최상측 상단 프레임을 메인 프레임에 적층 조립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비계 본체의 최상측 작업발판에서 직접 안전난간을 조립해야 하는 종래 기술과 달리, 안전사고의 우려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최상측 상단 프레임의 하측부분에서 상기 최상측 상단 프레임에 안전난간 조립체를 조립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종래와 같이, 비계 본체의 최상측 작업발판에서 직접 안전난간을 조립하지 않아도 된다.
이로써 작업자의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동식 비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비계 구조물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비계 구조물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이동식 비계 구조물을 구성하는 비계 본체의 베이스 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이동식 비계 구조물을 구성하는 비계 본체의 베이스 프레임을 상측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이동식 비계 구조물을 구성하는 베이스 프레임의 전후길이 조절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이동식 비계 구조물을 구성하는 베이스 프레임의 좌우폭 조절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이동식 비계 구조물을 구성하는 베이스 프레임의 좌우폭 조절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이동식 비계 구조물을 구성하는 베이스 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이동식 비계 구조물을 구성하는 비계 본체의 상단 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이동식 비계 구조물을 구성하는 상단 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이동식 비계 구조물의 작동예로서, 비계 본체의 크기를 작게 하는 축소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이동식 비계 구조물을 구성하는 가설계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이동식 비계 구조물을 구성하는 가설계단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이동식 비계 구조물을 구성하는 안전난간 조립체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이동식 비계 구조물을 구성하는 안전난간 조립체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과 도 19는 본 발명의 이동식 비계 구조물을 구성하는 안전난간 조립체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측면도들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비계 구조물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동식 비계 구조물은, 비계 본체(100)를 구비한다.
상기 비계 본체(100)는, 하측의 베이스 프레임(200)과, 상측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단 프레임(300)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은, 도 2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도가 높은 금속재질, 예를 들면 철재나 알루미늄 재질로서, 4개의 수직파이프(Pipe)(210)들과, 4개의 수직파이프(210)들을 사각형모양으로 서로 연결하는 다수의 수평파이프(220)들로 구성된다.
상기 4개의 수직파이프(210)들은, 서로 간에 간격을 두고 임의의 사각형 꼭지점에 대응되는 위치에 수직하게 배열되고, 각각의 하단에는 잭 베이스(Jack Base)(212)가 설치되며, 각각의 상단에는 조립돌기(214)들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하단의 잭 베이스(212)는, 수직파이프(210)의 내경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수직파이프(2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너트(212a)와, 상기 승강너트(212a)에 나사 결합된 상태로 나사운동하면서 상기 수직파이프(210)의 내경부를 따라 상,하 승강가능하게 삽입되는 수직 나사봉(212b)과, 지면(E)에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수직 나사봉(212b)의 하단에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212c) 및; 승강너트(212a)를 회전시킬 수 있는 손잡이(212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잭 베이스(212)는, 베이스 프레임(200)의 각 수직파이프(210)들을 지면(E)에 지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손잡이(212d)를 통해 승강너트(212a)를 회전시키면, 수직 나사봉(212b)이 상,하로 나사운동을 하고, 이러한 나사운동 과정에서 하부의 지지플레이트(212c)도 상,하 높낮이 조절되면서 지면(E)에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특히, 작업장소의 지면(E) 구조가 고르지 못할 경우, 고르지 못한 지면(E)의 구조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플레이트(212c)는 상,하로 승강하면서 지면(E)에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이러한 지지플레이트(212c)의 안정적인 지지로 인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은 지면(E)에 견고하게 지지된다.
상단의 조립돌기(214)들은, 수직파이프(210)의 상단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되어 있으며, 이렇게 돌출된 조립돌기(214)들은, 베이스 프레임(200)의 상측에 상단 프레임(300)이 조립될 시에, 상단 프레임(300)의 각 수직파이프(310)와 끼워져 결합된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200)의 네 모서리부분에는, 아우트리거(Outrigger)(216)가 설치된다.
상기 아우트리거(216)는, 각 수직파이프(210)에 설치되는 아우트리거 레그(216a)와, 아우트리거 레그(216a)의 하단부분에 설치되는 잭 베이스(216b) 및, 아우트리거 레그(216a)의 말단부분에 설치되는 이동바퀴(216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아우트리거 레그(216a)는, 각 수직파이프(210)에 설치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200)에 접철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아우트리거 레그(216a)는, 베이스 프레임(200)의 장거리 운반 또는 보관 시에는 베이스 프레임(200)에 접혀지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베이스 프레임(200)이 작업장소에 설치될 시에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으로부터 펼쳐지면서 지면(E)에 지지된다.
따라서, 베이스 프레임(200)의 네 모서리 하측부분을 지면(E)에 지지시킨다. 이로써, 본 발명의 이동식 비계 구조물이 지면(E)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아우트리거 레그(216a)들의 잭 베이스(216b)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파이프(210)들의 하단 잭 베이스(212)와 동일한 구조로서, 상기 아우트리거 레그(216a)들이 베이스 프레임(200)으로부터 펼쳐질 시에, 높낮이 조절되면서 지면(E)에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지면(E)에 대한 아우트리거 레그(216a)의 지지력을 높이고, 이를 통해 지면(E)에 대해 베이스 프레임(200)이 안정적으로 설치되게 한다.
이로써 베이스 프레임(200)과 비계 본체(100)의 미끄러짐과 흔들림 및 전도를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아우트리거 레그(216a)들의 잭 베이스(216b)는, 상기 각 수직파이프(210)의 잭 베이스(212)와 동일한 구조이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이동바퀴(216c)는, 아우트리거 레그(216a)들의 말단부분에 지면(E)과 구름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된 이동바퀴(216c)는, 베이스 프레임(200)의 이동을 돕는다.
특히, 베이스 프레임(200)을 현재의 작업장소에서 다른 곳의 작업장소로 단거리 이동시키고자할 경우, 지면(E)과 구름운동하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이동을 돕는다. 따라서, 베이스 프레임(200)의 이동 및 운반을 용이하게 한다.
여기서, 이동바퀴(216c)의 사용 시에는, 상기 수직파이프(210)의 하단 잭 베이스(212)와, 아우트리거(216)의 잭 베이스(216b)를 상승시켜, 지면(E)으로부터 이격시킨다.
다시 도 2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수평파이프(220)들은, 인접하는 2개의 수직파이프(210)들을 서로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인접하는 2개의 수직파이프(210)들을 상,하로 연결하도록, 인접하는 2개의 수직파이프(210)에 상,하 한 쌍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수평파이프(220)들은, 인접하는 2개의 수직파이프(210)들을 상,하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4개의 수직파이프(210)들과 함께 사각형 모양으로 조립되며, 이렇게 조립된 수평파이프(220)들은, 4개의 수직파이프(210)들을 함께 사각의 베이스 프레임(200)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수평파이프(220)들은, 상기 수직파이프(210)들에 별도의 연결브라켓(222)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택된 특정의 것들만 별도의 연결브라켓(222)을 통해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상기 수직파이프(210)들에 모두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수평파이프(220)들과 상기 수직파이프(210)들은, 서로에 대해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하거나, 또는 선택된 것만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하거나, 또는 서로에 대해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4개의 수직파이프(210)들과 함께 사각형 모양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수평파이프(220)들 중, 베이스 프레임(200)의 전,후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며 배열되는 전,후 수평파이프(220a)들은, 그 양단이 양쪽의 수직파이프(210)들에 별도의 연결브라켓(222)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베이스 프레임(200)의 좌,우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며 배열되는 좌,우 수평파이프(220b)들은, 그 양단이 양쪽의 수직파이프(210)들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 2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은, 전체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크기 조절부(2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크기 조절부(230)는, 베이스 프레임(200)의 전,후 길이(L)를 각각 조절하기 위한 전후길이 조절부(240)와, 베이스 프레임(200)의 좌,우 폭(W)을 각각 조절하기 위한 좌우폭 조절부(250)를 포함한다.
상기 전후길이 조절부(240)는, 도 4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텔레스코픽(Telescopic) 형태로 구성된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좌,우 수평파이프(220b)들로 구성된다.
상기 좌,우 수평파이프(220b)들은, 전,후방향으로 배열된 양측의 수직파이프(210)들을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양측의 전,후방향 수직파이프(210)들 사이에서 전,후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좌,우 수평파이프(220b)들은, 양측의 전,후방향 수직파이프(210)들 사이에서 전,후방향으로 신축가능하므로, 상기 양측 전,후방향 수직파이프(210)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 프레임(200)의 전,후 길이(L)를 조절하고, 이로써, 베이스 프레임(200)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전후길이 조절부(240)는, 상기 양쪽의 좌,우 수평파이프(220b)들을 각각 신축시키기 위한 신축부(242)를 더 포함한다.
상기 신축부(242)는, 베이스 프레임(200)의 양측 좌,우 수평파이프(220b)와 각각 나란하도록 상기 양측 좌,우 수평파이프(220b)의 해당 전,후방향 수직파이프(210)들 중, 어느 하나의 수직파이프(210a)에 고정되는 고정파이프(242a)와, 전,후방향 수직파이프(210)들 중, 다른 하나의 수직파이프(210b)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파이프(242a)의 내경부에 나사 결합되는 이동나사봉(242b) 및, 상기 이동나사봉(242b)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다른 하나의 수직파이프(210b)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손잡이(242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신축부(242)는, 베이스 프레임(200)의 양쪽 수직파이프(210)들에 설치된 양쪽의 회전손잡이(242c)를 작업자가 회전운동시키면, 양쪽의 이동나사봉(242b)이 회전운동하게 된다.
그리고 양쪽의 이동나사봉(242b)이 회전하게 되면, 이에 나사결합된 양쪽의 고정파이프(242a)가 상기 이동나사봉(242b)을 따라 베이스 프레임(200)의 전,후방향을 향해 나사운동하면서 이동한다.
그리고 양쪽의 고정파이프(242a)가 베이스 프레임(200)의 전,후방향으로 운동하게 되면, 양쪽의 전,후방향 수직파이프(210)들도 베이스 프레임(200)의 전,후방향으로 상대운동한다.
결국 양쪽의 전,후방향 수직파이프(210)들이 상대운동함에 따라, 상기 전,후방향 수직파이프(210)들을 연결하는 양쪽의 텔레스코픽 좌,우 수평파이프(220b)들도 신장 또는 수축하게 된다.
그 결과, 베이스 프레임(200)의 전,후 길이(L)가 조절되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2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좌우폭 조절부(250)는, 텔레스코픽 형태로 구성된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전,후 수평파이프(220a)들로 구성된다.
상기 전,후 수평파이프(220a)들은, 도 4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방향으로 배열된 양측의 수직파이프(210)들을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양측의 좌,우방향 수직파이프(210)들 사이에서 좌,우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전,후 수평파이프(220a)들은, 양측의 좌,우방향 수직파이프(210)들 사이에서 좌,우방향으로 신축가능하므로, 상기 양측 좌,우방향 수직파이프(210)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 프레임(200)의 좌,우 폭(W)을 조절하고, 이로써, 베이스 프레임(200)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좌우폭 조절부(2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200)의 좌,우 폭(W)을 조절한 전,후 수평파이프(220a)들의 신축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스토퍼부(252)를 구비한다.
상기 스토퍼부(252)는, 전,후 수평파이프(220a)들의 외관(220a-1)에 형성되어 있는 단일의 스토퍼홀(252a)과, 내관(220a-2)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스토퍼홀(252b)들 및, 서로 정렬된 외관(220a-1)의 스토퍼홀(252a)과 내관(220a-2)의 스토퍼홀(252b)들에 끼워지는 스토퍼핀(252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외관(220a-1)의 스토퍼홀(252a)과 내관(220a-2)의 스토퍼홀(252b)들은, 상기 전,후 수평파이프(220a)들의 신축위치를 조절하였을 경우, 서로 정렬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토퍼핀(252c)은, 신축위치가 조절된 전,후 수평파이프(220a)들의 외관(220a-1)과 내관(220a-2)의 스토퍼홀(252a, 252b)들에 관통하도록 끼워져 결합되며, 이렇게 결합된 스토퍼핀(252c)은, 신축위치가 조절된 전,후 수평파이프(220a)들을 고정시킨다.
따라서, 베이스 프레임(200)의 좌,우 폭(W)을 조절한 전,후 수평파이프(220a)들이 고정될 수 있게 하고, 그 결과, 베이스 프레임(200)의 좌,우 폭(W)이 일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핀(252c)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외관(220a-1)과 내관(220a-2)의 스토퍼홀(252a, 252b)들을 관통한 스토퍼핀(252c)의 말단부분에는, 이탈방지용 너트(252d)가 나사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한 이유는, 외관(220a-1)과 내관(220a-2)의 스토퍼홀(252a, 252b)들에 끼워져 결합된 스토퍼핀(252c)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8에는, 상기 스토퍼부(252)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의 스토퍼부(252)는, 전,후 수평파이프(220a)의 외관(220a-1)과 내관(220a-2)의 연결부분 중, 상기 외관(220a-1)부분에 복수의 슬릿(Slit)(S1)을 형성하여 내측의 내관(220a-2)부분을 향해 압착될 수 있게 구성하고, 그 외주면 둘레에 나사산(S2)을 형성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외관(220a-1)의 나사산(S2)부분에는 압착너트(N)가 나사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이렇게 구성된 압착너트(N)는, 외관(220a-1)의 나사산(S2)을 따라 나사결합하는 과정에서, 상기 외관(220a-1)의 외면을 내측의 내관(220a-2)부분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외관(220a-1)이 내관(220a-2)의 외주면에 압착되면서 상기 외관(220a-1)과 내관(220a-2)이 서로에 대해 고정될 수 있게 한다.
특히, 외관(220a-1)과 내관(220a-2)이 서로에 대해 고정됨으로써, 베이스 프레임(200)의 좌,우 폭(W)을 조절한 전,후 수평파이프(220a)들의 신축위치가 고정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베이스 프레임(200)의 크기 조절부(230)는, 베이스 프레임(200)의 전,후 길이(L)와, 좌,우 폭(W)을 조절함으로써, 도 12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전체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베이스 프레임(200)의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해지고, 베이스 프레임(200)과 비계 본체(100)의 이동성과 휴대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양쪽 좌,우 수평파이프(220b)들 사이에는, 작업자가 딛고 올라설 수 있는 사다리 스텝(220c)이 설치된다.
상기 사다리 스텝(220c)은, 각형으로 구성되어 작업자의 발에 대한 지지력을 높일 수 있게 구성되며, 그 상면에는 미끄럼 방지돌기들이 형성되어 미끄러짐을 방지한다.
다음으로, 도 9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 전후길이 조절부(240)의 다른 실시를 나타낸 것이다.
다른 실시예의 전후길이 조절부(240)는, 상기 일실시예와 동일하게 텔레스코픽 형태로 구성된 상기 좌,우 수평파이프(220b)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만, 다른 실시예의 전후길이 조절부(240)는, 양쪽의 좌,우 수평파이프(220b)들을 각각 신축시키기 위한 신축부(242)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다른 실시예는 그 대신에, 베이스 프레임(200)의 전,후 길이(L)를 조절한 좌,우 수평파이프(220b)들의 신축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스토퍼부(244)를 구비한다.
상기 스토퍼부(244)는, 상기 좌우폭 조절부(250)의 전,후 수평파이프(220a)들의 신축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스토퍼부(252)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도 7 및 8 참조).
이러한 스토퍼부(244)는, 베이스 프레임(200)의 전,후 길이(L)을 조절한 좌,우 수평파이프(220b)들의 신축위치를 고정시킨다.
그리고, 도 2와 도 3과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비계 본체(100)의 상단 프레임(300)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과 마찬가지로 강도가 높은 금속재질, 예를 들면, 철재나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되고, 4개의 수직파이프(310)들과, 4개의 수직파이프(310)들을 사각형모양으로 서로 연결하는 다수의 수평파이프(320)들을 포함한다.
상기 4개의 수직파이프(310)들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각 수직파이프(210)에 대응되게 배열되는 것으로, 각각의 하단에는 조립홈(312)이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상단에는 조립돌기(314)들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하단의 조립홈(312)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해당 수직파이프(210)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조립돌기(214)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결합된 조립홈(312)은, 상단 프레임(300)이 하측의 베이스 프레임(200)에 안정적으로 조립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과 함께 비계 본체(100)를 구성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하단의 조립홈(312)은, 상단 프레임(300)이 다단으로 적층될 시에, 하측의 다른 상단 프레임(300)의 수직파이프(310)에 형성된 상단측 조립돌기(314)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다단으로 적층되는 상단 프레임(300)들 간의 결합도를 높여준다.
상단의 조립돌기(314)들은, 수직파이프(310)의 상단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되어 있으며, 이렇게 돌출된 조립돌기(314)들은, 또 다른 상단 프레임(300)이 조립될 시에, 상단 프레임(300)의 각 수직파이프(310)측 조립홈(312)과 끼워져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상단 프레임(300)들이 다단으로 조립될 수 있게 한다.
한편, 수평파이프(320)들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수평파이프(220)들과 마찬가지로, 인접하는 2개의 수직파이프(310)들을 서로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인접하는 2개의 수직파이프(310)들을 상,하로 연결하도록, 인접하는 2개의 수직파이프(310)당, 상,하 한 쌍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수평파이프(320)들은, 인접하는 2개의 수직파이프(310)들을 상,하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4개의 수직파이프(310)들과 함께 사각형 모양으로 조립되며, 이렇게 조립된 수평파이프(320)들은, 4개의 수직파이프(310)들을 함께 사각의 상단 프레임(300)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수평파이프(320)들은, 상기 수직파이프(310)들에 별도의 연결브라켓(322)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택된 특정의 것들만 별도의 연결브라켓(322)을 통해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어며, 경우에 따라, 상기 수직파이프(310)들에 모두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수평파이프(320)들과 상기 수직파이프(310)들은, 서로에 대해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하거나, 또는 선택된 것만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하거나, 또는 서로에 대해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수평파이프(320)들 중, 상단 프레임(300)의 전,후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며 배열되는 전,후 수평파이프(320a)들은, 그 양단이 양쪽의 수직파이프(310)들에 별도의 연결브라켓(322)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단 프레임(300)의 좌,우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며 배열되는 좌,우 수평파이프(320b)들은, 그 양단이 양쪽의 수직파이프(310)들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평파이프(320)들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수평파이프(220) 구조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시 도 2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상단 프레임(300)은, 전체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크기 조절부(330)를 구비한다.
상기 크기 조절부(33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크기 조절부(230)와 마찬가지로, 상단 프레임(300)의 전,후 길이(L)를 각각 조절하기 위한 전후길이 조절부(340)와, 상단 프레임(300)의 좌,우 폭(W)을 각각 조절하기 위한 좌우폭 조절부(350)를 포함한다.
상기 전후길이 조절부(340)는, 텔레스코픽 형태로 구성된 상기 상단 프레임(300)의 좌,우 수평파이프(320b)들 및, 상기 양쪽의 좌,우 수평파이프(320b)들을 각각 신축시키기 위한 신축부(342)를 포함한다.
상기 좌,우 수평파이프(320b)들은, 상기 상단 프레임(300)의 전,후방향으로 신축운동하면서 상기 전,후방향 수직파이프(310)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상단 프레임(300)의 전,후 길이(L)를 조절한다.
이러한 전후길이 조절부(34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전후길이 조절부(24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좌우폭 조절부(350)는, 텔레스코픽 형태로 구성된 상기 상단 프레임(300)의 전,후 수평파이프(320a)들 및, 상기 전,후 수평파이프(320a)들의 신축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스토퍼부(352)를 포함한다.
상기 전,후 수평파이프(320a)들은, 상기 상단 프레임(300)의 좌,우방향으로 신축운동하면서 상기 좌,우방향 수직파이프(310b)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상단 프레임(300)의 좌,우 폭(W)을 조절한다.
이러한 좌우폭 조절부(35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좌우폭 조절부(25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상단 프레임(300)의 크기 조절부(330)는, 상단 프레임(300)의 전,후 길이(L)와, 좌,우 폭(W)을 조절함으로써, 도 12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단 프레임(300)의 전체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과 동일한 크기로 조절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비계 본체(100)의 운반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고, 이로써, 비계 본체(100)의 이동성과 휴대성이 개선될 수 있게 한다.
다음으로, 도 11은 상기 상단 프레임(300) 전후길이 조절부(340)의 다른 실시예 나타낸 것이다.
다른 실시예의 전후길이 조절부(340)는, 상기한 일 실시예와 동일하게 텔레스코픽 형태로 구성된 상기 좌,우 수평파이프(320b)들을 포함한다.
다만, 다른 실시예의 전후길이 조절부(340)는, 양쪽의 좌,우 수평파이프(320b)들을 각각 신축시키기 위한 신축부(342)를 구비하지 않는다.
그 대신에 다른 실시예는, 상단 프레임(300)의 전,후 길이(L)를 조절한 좌,우 수평파이프(320b)들의 신축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스토퍼부(344)를 구비한다.
상기 스토퍼부(344)는, 도 7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우폭 조절부(350)의 전,후 수평파이프(320a)들의 신축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스토퍼부(352)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스토퍼부(344)는, 상단 프레임(300)의 전,후 길이(L)을 조절한 좌,우 수평파이프(320b)들의 신축위치를 고정시킨다.
다시 도 2와 도 3과 도 4와 도 9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비계 본체(100)는, 베이스 프레임(200)의 내측공간(200a)과 상단 프레임(300)의 내측공간(300a)에 설치되는 다수의 발판(400)들을 더 포함한다.
상기 발판(400)은, 사각의 판체로서, 양쪽 네모서리부분의 걸고리(410)를 구비한다.
상기 걸고리(410)들은, 베이스 프레임(200)과 상단 프레임(300)의 좌,우 수평파이프(220b, 320b)에 걸어져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도 4와 도 9와 도 10을 참조하면, 발판(400)의 걸고리(410)가 걸어져 지지되는 좌,우 수평파이프(220b, 320b)의 내관(220b-2, 320b-2)부분에는 걸고리 받침후크(412)가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걸고리 받침후크(412)는, 좌,우 수평파이프(220b, 320b)의 내관(220b-2, 320b-2) 상면부분에 고정되며, 이렇게 고정된 걸고리 받침후크(412)는, 상기 내관(220b-2, 320b-2)의 상면높이를 높여준다.
특히, 발판(400)의 걸고리(410)가 걸어져 지지되는 내관(220b-2, 320b-2)의 상면높이를 높여준다.
이렇게 구성한 이유는, 발판(400)의 양쪽 걸고리(410) 중 어느 한쪽은 좌,우 수평파이프(220b, 320b)의 내관(220b-2, 320b-2)에 걸어지고, 다른 쪽은 좌,우 수평파이프(220b, 320b)의 외관(220b-1, 320b-1)에 각각 걸어지는데, 이때, 상기 내관(220b-2, 320b-2)과 외관(220b-1, 320b-1) 사이의 직경 편차로 인해, 내관(220b-2, 320b-2)과, 상기 발판(400)의 한쪽 걸고리(410) 사이에는 유격이 발생되므로, 이러한 유격을 보상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구조의 발판(400)은, 베이스 프레임(200)의 내측공간(200a)과 상단 프레임(300)의 내측공간(300a)에 수평하게 설치됨으로써, 작업자가 베이스 프레임(200)과 상단 프레임(300)에 올라서 디딜 수 있게 한다.
특히, 베이스 프레임(200)과 상단 프레임(300)에 올라서 디딘 후, 최상측의 상단 프레임(300)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발판(400)들은, 도 3과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200)과 상단 프레임(300)의 크기에 따라 여러 사이즈로 제작된다.
이렇게 제작된 발판(400)은, 베이스 프레임(200)과 상단 프레임(300)의 크기에 맞는 것을 골라서 설치하면 된다.
또한, 상단 프레임(300)에 설치된 발판(400)들 중, 적어도 어느 발판(400)은, 개방부(420)를 갖추도록 구성된다.
상기 개방부(4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Door)(420a)에 의해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작업자의 이동통로로 사용된다.
특히, 베이스 프레임(200)측의 작업자가 상측의 상단 프레임(300)측으로 올라가거나, 또는 상단 프레임(300)에서 하측의 베이스 프레임(200)측으로 내려올 시에, 상기 개방부(420)를 통해 오르내릴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개방부(420)부분에는, 작업자가 딛고 오르내릴 수 있는 가설계단(500)이 분리 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가설계단(500)은, 상기 발판(400)의 개방부(420)에 대응되도록, 베이스 프레임(200)과 상단 프레임(300)의 일부분들에 양단이 각각 분리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상단 프레임(300)이 다단으로 적층될 시에는, 상,하 상단 프레임(300)의 일부분에 각각 분리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러한 가설계단(500)은, 비계 본체(100)의 내부에서 작업자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특히, 베이스 프레임(200)의 내측공간(200a) 발판(400)에서 최상측의 상단 프레임(300) 발판(400)까지 이동할 수 있게 하고, 최상측의 상단 프레임(300)으로부터 하측의 베이스 프레임(200)까지 하강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비계 본체(100)의 외측부분에 설치된 외측 사다리를 통해 상,하로 이동하는 종래의 기술(도 1 참조)와 달리, 작업자가 추락할 우려가 전혀 없다.
이러한 가설계단(500)은,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분할몸체(510)로 구성된다.
상기 분할몸체(510)들은, 각각 양쪽의 지지대(512)와, 양쪽의 지지대(512)를 일정 간격을 두고 연결하는 복수의 스텝(514)들로 구성되며, 결합부(520)를 통해 하나의 몸체로 조립된다.
상기 결합부(520)는, 분할몸체(510)들의 양쪽 지지대(512)를 서로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분할몸체(510)들 중, 어느 하나의 분할몸체(510) 양쪽 지지대(512)에 형성되는 결합홈(522)들과, 상기 결합홈(522)들과 각각 결합될 수 있도록 다른 하나의 분할몸체(510) 양쪽 지지대(512)에 형성되는 결합돌기(524)들 및, 상기 결합홈(522)과 결합돌기(524)의 결합에 의해 서로 조립된 분할몸체(510)들을 고정시키는 고정부(5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526)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홈(522)과 결합돌기(524)의 결합 시에 서로 정렬될 수 있도록, 결합홈(522)과 결합돌기(524)의 해당 분할몸체(510)부분에 각각 형성되는 고정홀(526a)들과, 서로 정렬된 고정홀(526a)들에 끼워질 수 있도록 어느 하나의 분할몸체(510)에 설치되는 고정바(526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바(526b)는, 결합돌기(524)측 분할몸체(510)에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렇게 설치된 고정바(526b)는, 결합돌기(524)측 분할몸체(510)에 설치된 상태에서, 서로 정렬된 상기 결합홈(522)측의 고정홀(526a)과, 결합돌기(524)측의 고정홀(526a)에 끼워져 결합된다.
따라서, 서로 결합된 결합홈(522)과 결합돌기(524)들을 고정시키고, 이를 통해, 서로 조립된 양쪽의 분할몸체(510)들을 하나의 몸체로 고정시킨다.
여기서, 상기 고정바(526b)는, 분할몸체(510)에 내장되어 있는 리턴스프링(526c)에 의해 상기 고정홀(526a)들에 끼워지는 방향으로 탄성가압된다.
이러한 구조의 가설계단(500)에 의하면, 복수의 분할몸체(510)들로 구성되므로, 필요에 따라 상기 분할몸체(510)들을 조립 또는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가설계단(500)의 사용 시에는, 상기 분할몸체(510)들을 서로 결합하고, 가설계단(500)의 보관 및 운반 시에는, 상기 분할몸체(510)들을 서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설계단(500)은, 도 3과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200)과 상단 프레임(300)의 크기에 따라 여러 사이즈로 제작된다.
다시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비계 본체(100)는, 최상측의 상단 프레임(300)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는 안전난간 조립체(600)를 더 포함한다.
안전난간 조립체(600)는, 도 16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상측 상단 프레임(300)의 각 수직파이프(310)에 일정높이로 조립되는 다수의 수직난간봉(610)들과, 인접하는 2개의 수직난간봉(610)들을 서로 연결하는 다수의 수평난간봉(620)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직난간봉(610)들은, 최상측 상단 프레임(300)의 각 수직파이프(310) 당, 2개씩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수직파이프(310)에 설치된 2개의 수직난간봉(610)들은, 해당 수직파이프(310)로부터, 인접하는 2개의 수직파이프(310)측 수직난간봉(610)들을 향해 각각 배열된다.
여기서, 상기 수직난간봉(610)은, 별도의 수직난간봉 고정조립부(630)에 의해 최상측 상단 프레임(300)의 해당 수직파이프(310)에 분리가능하게 고정 조립된다.
수직난간봉 고정조립부(630)는, 수직난간봉(610)의 길이방향부분 중, 2군데 부분을 해당 수직파이프(210)에 고정 조립하는 것으로, 2군데 중, 특정한 제 1부분(P1)을 해당 수직파이프(210)에 고정 조립하는 상측조립부(632)와, 상기 제 1부분(P1) 하측의 제 2부분(P2)을 해당 수직파이프(210)에 고정 조립하는 하측조립부(6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측조립부(632)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상측 상단 프레임(300)의 해당 수직파이프(310)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제 1브라켓(632a)과, 상기 제 1브라켓(632a)을 사이에 두고 상,하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수직난간봉(610)에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는 제 2브라켓(632b)들 및, 서로 정렬된 제 1브라켓(632a)과 제 2브라켓(632b)을 관통하여 끼워지는 쐐기형 조립핀(632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상측조립부(632)는, 수직파이프(310)의 제 1브라켓(632a)과, 수직난간봉(610)의 상,하 제 2브라켓(632b)들을 서로 맞물려 교합시킨 다음, 서로 정렬된 제 1 및 제 2브라켓(632a, 632b)에 쐐기형 조립핀(632c)을 관통시켜 조립한다.
그러면, 상기 수직난간봉(610)의 길이방향부분 중, 상측의 제 1부분(P1)이 해당 수직파이프(310)에 고정 조립된다. 이로써, 상기 수직난간봉(610)은, 해당 수직파이프(310)에 1차적으로 조립된다.
상기 하측조립부(634)는, 상기 상측조립부(632)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것으로, 해당 수직파이프(310)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제 1브라켓(634a)과, 상기 제 1브라켓(634a)을 사이에 두고 상,하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수직난간봉(610)에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는 제 2브라켓(634b)들 및, 서로 정렬된 제 1브라켓(634a)과 제 2브라켓(634b)을 관통하여 끼워지는 쐐기형 조립핀(634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하측조립부(634)는, 수직파이프(310)의 제 1브라켓(634a)과, 수직난간봉(610)의 상,하 제 2브라켓(634b)들을 서로 맞물려 교합시킨 다음, 서로 정렬된 제 1 및 제 2브라켓(634a, 634b)에 쐐기형 조립핀(634c)을 관통시켜 조립한다.
그러면 상기 수직난간봉(610)의 길이방향부분 중, 하측의 제 2부분(P2)이 해당 수직파이프(310)에 고정 조립된다. 이로써 상기 수직난간봉(610)은, 해당 수직파이프(310)에 2차로 조립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상기 하측조립부(634)는, 상기 상측조립부(632)와 함께 상기 수직난간봉(610)을 최상측 상단 프레임(300)의 해당 수직파이프(310)에 안정적으로 고정 조립된다.
다시, 도 16, 17 및 19를 참조하면, 상기 수평난간봉(620)들은, 인접하는 2개의 수직난간봉(610)들을 서로 연결하되, 상기 2개의 수직난간봉(610)들을 상,하로 연결하도록, 인접하는 2개의 수직난간봉(610)에 상,하 한 쌍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수평난간봉(620)들은, 인접하는 2개의 수직난간봉(610)들을 상,하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수직난간봉(610)들과 함께 사각형 모양으로 조립된다.
특히, 최상측 상단 프레임(300)의 발판(400) 주위를 따라 사각형 모양으로 조립되며(도 2 참조), 이렇게 조립된 수평난간봉(620)들은, 최상측 상단 프레임(300)의 발판(400)에 탑승한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한다.
한편, 이러한 수평난간봉(620)은, 별도의 수평난간봉 고정조립부(640)에 의해 인접하는 2개의 수직난간봉(610)에 양단이 각각 분리가능하게 조립된다.
수평난간봉 고정조립부(640)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난간봉(610)에 고정 설치되며, 고정슬롯(642a)을 갖추고 있는 고정브라켓(642)과, 상기 고정브라켓(642)의 고정슬롯(642a)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상기 수평난간봉(620)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고정핀(64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슬롯(642a)은, 상측이 개방된 입출구부(642a-1)와, 입출구부(642a-1)로부터 특정 모양으로 굴절되는 굴절부(642a-2)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핀(644)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난간봉(620)의 양단에 간격을 두고 마주보고 설치된 한 쌍의 핑거브라켓(644a)들 사이에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된 고정핀(644)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난간봉(610)에 설치된 고정브라켓(642)의 고정슬롯(642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된다.
특히, 고정슬롯(642a)의 입출구부(642a-1)로 도입된 다음, 굴절부(642a-2)들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안착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수평난간봉(620)의 양단이 고정브라켓(642)에 고정적으로 조립될 수 있게 하고, 그 결과, 수평난간봉(620)의 양단이 수직난간봉(610)이 고정 조립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고정핀(644)은, 고정슬롯(642a)의 굴절부(642a-2)로부터 슬라이딩하면서 입출구부(642a-1)로 이동한 다음, 입출구부(642a-1)를 통해 탈거될 수도 있다.
따라서, 수평난간봉(620)의 양단이 고정브라켓(64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하고, 그 결과, 수평난간봉(620)이 수직난간봉(610)으로부터 조립해제될 수 있게 한다.
한편, 수평난간봉 고정조립부(640)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슬롯(642a)의 입출구부(642a-1)측에 대응되도록 수직난간봉(610)부분에 나사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토퍼 너트(646)를 더 구비한다.
상기 스토퍼 너트(646)는, 작업자가 수직난간봉(610)부분으로부터 나사운동시킴에 따라, 상기 고정슬롯(642a)의 입출구부(642a-1)를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고정브라켓(642)의 고정슬롯(642a)에 수평난간봉(620)의 고정핀(644)이 끼워져 결합되었을 경우, 상기 고정슬롯(642a)의 입출구부(642a-1)를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고정브라켓(642)의 고정슬롯(642a)으로부터 고정핀(644)의 이탈을 차단한다. 이로써, 수직난간봉(610)의 고정브라켓(642)에 고정 조립된 수평난간봉(620)의 분리를 방지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이동식 비계 구조물에 의하면, 베이스 프레임(200)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단 프레임(300)으로 구성되고, 필요에 따라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과 상단 프레임(300)을 다단으로 조립하거나 또는 조립해제하여 사용하는 구조이므로,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고, 이동성과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과 상단 프레임(300)의 전,후길이와 좌,우폭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전체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좁은 출입문을 쉽게 통과할 수 있고, 협소한 장소에도 설치가 가능하며, SUV 등과 같은 소형 운반 차량에 싣고 운반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200)에 적층되는 상단 프레임(300)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비계 본체(10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고, 작업현장의 크기와 작업높이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최상측 상단 프레임(300)으로 오를 수 있는 가설계단(500)을 비계 본체(100)의 내측부분에 설치하는 구조이므로, 비계 본체(100)의 외측부분에 설치되는 종래 기술의 사다리와 달리, 작업자가 추락의 위험없이 상측의 작업발판까지 안전하게 승,하강할 수 있다.
또한, 지면에서 최상측 상단 프레임(300)에 안전난간 조립체(600)를 조립한 후, 안전난간 조립체(600)가 조립된 최상측 상단 프레임(300)을 메인 프레임(200)에 적층 조립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비계 본체(100)의 최상측 작업발판에서 직접 안전난간을 조립해야 하는 종래 기술과 달리,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최상측 상단 프레임(300)의 하측부분에서 상기 최상측 상단 프레임(300)에 안전난간 조립체(600)를 조립할 수 있다.
이로써 종래와 같이, 비계 본체(100)의 최상측 작업발판에서 직접 안전난간을 조립하지 않아도 되므로,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0: 비계 본체 200: 베이스 프레임(Base Frame)
200a: 내측공간 210: 수직파이프(Pipe)
212: 잭 베이스(Jack Base) 212a: 승강너트(Nut)
212b: 수직 나사봉 212c: 지지플레이트(Plate)
212d: 손잡이 214: 조립돌기
216: 아우트리거(Outrigger)
216a: 아우트리거 레그(Outrigger Leg)
216b: 잭 베이스 216c: 이동바퀴
220: 수평파이프 220a: 전,후 수평파이프
220a-1: 외관 220a-2: 내관
220b: 좌,우 수평파이프 222: 연결브라켓(Bracket)
230: 크기 조절부 240: 전후길이 조절부
242: 신축부 242a: 고정파이프
242b: 이동나사봉 242c: 회전손잡이
250: 좌우폭 조절부 252: 스토퍼부
252a, 252b: 스토퍼홀(Stopper Hole)
252c: 스토퍼핀(Stopper Pin) 300: 상단 프레임
300a: 상단 프레임의 내측공간 310: 수직파이프
310a: 전,후방향 수직파이프 310b: 좌,우방향 수직파이프
312: 조립홈 314: 조립돌기
320: 수평파이프 322; 연결브라켓
330: 크기 조절부 340: 전후길이 조절부
342: 신축부 350: 좌우폭 조절부
352: 스토퍼부 400: 발판
420: 개방부 420a: 도어(Door)
500: 가설계단 510: 분할몸체
512: 지지대 514: 스텝(Step)
520: 결합부 522; 결합홈
524: 결합돌기 526: 고정부
526a: 고정홀(Hole) 526b: 고정바(Bar)
526c: 리턴스프링(Return Spring) 600: 안전난간 조립체
610: 수직난간봉 620: 수평난간봉
630: 수직난간봉 고정조립부 632: 상측조립부
632a; 제 1브라켓 632b: 제 2브라켓
632c: 쐐기형 조립핀 634: 하측조립부
634a; 제 1브라켓 634b: 제 2브라켓
634c: 쐐기형 조립핀 640: 수평난간봉 고정조립부
642: 고정브라켓 642a: 고정슬롯(Slot)
644: 고정핀(Pin) 644a: 핑거브라켓(Finger Bracket)
646: 스토퍼 너트(Stopper Nut)

Claims (41)

  1. 특정 높이의 고소작업이 가능하도록, 고소작업 장소에 설치되는 이동식 비계 구조물에 있어서,
    지면(E)에 지지되는 베이스 프레임(20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상측부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 분리 가능하게 적층되며, 고소작업 높이에 따라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에 대한 적층 개수가 조절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단 프레임(300)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상측에 적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단 프레임(300) 중, 최상측의 상단 프레임(300)의 발판(400) 주위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안전난간 조립체(6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안전난간 조립체(600)는,
    상기 최상측 상단 프레임(300)의 각 수직파이프(310)에 일정높이로 조립되는 다수의 수직난간봉(610)들과;
    인접하는 상기 2개의 수직난간봉(610)들을 서로 연결하는 다수의 수평난간봉(620)들과;
    상기 수직난간봉(610)을 상기 최상측 상단 프레임(300)의 해당 수직파이프(310)에 분리가능하게 고정 조립하는 수직난간봉 고정조립부(630) 및;
    상기 수평난간봉(620)의 양단을 인접하는 상기 2개의 수직난간봉(610)에 각각 분리가능하게 조립하는 수평난간봉 고정조립부(640)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난간봉 고정조립부(630)는,
    상기 수직난간봉(610)의 길이방향부분 중, 어느 특정한 제 1부분(P1)을 해당 수직파이프(310)에 고정 조립하는 상측조립부(632)와;
    상기 수직난간봉(610)의 길이방향부분 중, 상기 제 1부분(P1)보다 하측의 제 2부분(P2)을 해당 수직파이프(310)에 고정 조립하는 하측조립부(6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비계 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은,
    서로 간에 간격을 두고 임의의 사각형 꼭지점에 대응되는 위치에 수직하게 배열되는 4개의 수직파이프(Pipe)(210)들과;
    상기 4개의 수직파이프(210)들을 사각형모양으로 서로 연결하는 다수의 수평파이프(220)들과;
    사각형을 이루는 상기 수직파이프(210)들과 수평파이프(220)들의 내측공간(200a)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내측공간(200a)의 바닥면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판(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비계 구조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수직파이프(210)들은,
    지면(E)에 지지되는 하단의 잭 베이스(Jack Base)(212)와;
    상측의 상단 프레임(300)이 끼워져 조립될 수 있는 상단의 조립돌기(214)들을 각각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비계 구조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파이프(210)들의 잭 베이스(212)는,
    상기 수직파이프(210)의 내경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수직파이프(2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너트(212a)와;
    상기 승강너트(212a)에 나사 결합된 상태로 나사운동하면서 상기 수직파이프(210)의 내경부를 따라 상,하 승강가능하게 삽입되는 수직 나사봉(212b)과;
    지면(E)에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수직 나사봉(212b)의 하단에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212c) 및;
    상기 수직 나사봉(212b)이 상기 수직파이프(210)의 내부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나사운동하면서 지면(E)에 대한 상기 지지플레이트(212c)의 상,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승강너트(212a)를 회전시켜 상기 수직 나사봉(212b)의 나사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손잡이(212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비계 구조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네 모서리 부분을 지면(E)에 지지시킬 수 있는 아우트리거(Outrigger)(216)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비계 구조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트리거(216)들은,
    각 수직파이프(210)에 설치되는 아우트리거 레그(216a)와;
    상기 아우트리거 레그(216a)의 하단부분을 지면(E)에 지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각 아우트리거 레그(216a)에 설치되는 잭 베이스(216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비계 구조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트리거(216)들은,
    상기 각 아우트리거 레그(216a)의 말단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잭 베이스(216b)와 상기 수직파이프(210)의 하단 잭 베이스(212) 비사용시에, 지면(E)과 구름운동하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이동을 돕는 이동바퀴(216c)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비계 구조물.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트리거(216)들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에 접철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장거리 운반 또는 보관 시에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에 각각 접혀지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이 작업장소에 설치될 시에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으로부터 펼쳐지면서 지면(E)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비계 구조물.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수평파이프(220)들은,
    인접하는 2개의 수직파이프(210)들을 서로 연결하며, 인접하는 2개의 수직파이프(210) 당, 상,하 한 쌍으로 설치되어, 인접하는 2개의 수직파이프(210)들을 상,하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비계 구조물.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파이프(210)들과 상기 수평파이프(220)들은, 별도의 연결브라켓(222)을 통해 서로에 대해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택된 특정의 것들만 별도의 연결브라켓(222)을 통해 서로에 대해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거나, 또는 서로에 대해 고정적으로 연결되어,
    서로에 대해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하거나, 또는 선택된 것만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하거나, 또는 서로에 대해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비계 구조물.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전체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크기 조절부(2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비계 구조물.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크기 조절부(23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전,후 길이(L)를 각각 조절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전후길이 조절부(240)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좌,우 폭(W)을 각각 조절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좌우폭 조절부(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비계 구조물.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길이 조절부(240)는,
    각각 텔레스코픽(Telescopic) 형태로 구성된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좌,우 수평파이프(220b)들을 포함하며,
    상기 좌,우 수평파이프(220b)들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전,후방향으로 신축운동하면서 상기 전,후방향 수직파이프(210)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전,후 길이(L)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비계 구조물.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길이 조절부(240)는, 상기 양쪽의 좌,우 수평파이프(220b)들을 각각 신축시키기 위한 신축부(24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신축부(242)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양측 좌,우 수평파이프(220b)와 각각 나란하도록 상기 양측 좌,우 수평파이프(220b)의 해당 전,후방향 수직파이프(210)들 중, 어느 하나의 수직파이프(210a)에 고정되는 고정파이프(242a)와;
    상기 전,후방향 수직파이프(210)들 중, 다른 하나의 수직파이프(210b)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파이프(242a)의 내경부에 나사 결합되는 이동나사봉(242b) 및;
    상기 고정파이프(242a)와 이동나사봉(242b)이 서로에 대해 나사운동하면서 양쪽의 전,후방향 수직파이프(210)들을 상대운동시켜, 상기 전,후방향 수직파이프(210)들을 연결하는 상기 텔레스코픽 좌,우 수평파이프(220b)들을 신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이동나사봉(242b)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손잡이(242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비계 구조물.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폭 조절부(250)는,
    각각 텔레스코픽 형태로 구성된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전,후 수평파이프(220a)들을 포함하며;
    상기 전,후 수평파이프(220a)들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좌,우방향으로 신축운동하면서 상기 좌,우방향 수직파이프(210)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좌,우 폭(W)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비계 구조물.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폭 조절부(25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좌,우 폭(W)을 조절한 상기 전,후 수평파이프(220a)들의 신축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스토퍼부(25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부(252)는,
    상기 전,후 수평파이프(220a)들의 외관(220a-1)에 형성되어 있는 단일의 스토퍼홀(252a)과;
    상기 전,후 수평파이프(220a)들의 내관(220a-2)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스토퍼홀(252b)들 및;
    서로 정렬된 상기 외관(220a-1)의 스토퍼홀(252a)과 어느 하나의 상기 내관(220a-2)의 스토퍼홀(252b)들에 끼워져, 상기 전,후 수평파이프(220a)들의 신축위치를 고정시키는 스토퍼핀(252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비계 구조물.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프레임(300)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각 수직파이프(210)에 대응될 수 있게 배열되는 4개의 수직파이프(310)들과;
    상기 4개의 수직파이프(310)들을 사각형모양으로 서로 연결하는 다수의 수평파이프(320)들과;
    사각형을 이루는 상기 수직파이프(310)들과 수평파이프(320)들의 내측공간(300a)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내측공간(300a)의 바닥면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판(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비계 구조물.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프레임(300)의 수직파이프(310)들은,
    하단의 조립홈(312)과 상단의 조립돌기(314)들을 각각 갖추고 있으며;
    상기 하단의 조립홈(312)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해당 수직파이프(210)의 상단 조립돌기(214)와 결합되거나 또는, 상단 프레임(300)의 다단 적층 시에, 하측의 다른 상단 프레임(300)의 수직파이프(310)의 상단측 조립돌기(314)와 결합되고;
    상기 상단의 조립돌기(314)는,
    상단 프레임(300)의 다단 적층 시에, 상측의 다른 상단 프레임(300)의 수직파이프(310)의 하단측 조립홈(312)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비계 구조물.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프레임(300)의 수평파이프(320)들은,
    인접하는 2개의 수직파이프(310)들을 서로 연결하며, 인접하는 2개의 수직파이프(310) 당, 상,하 한 쌍으로 설치되어, 인접하는 2개의 수직파이프(310)들을 상,하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비계 구조물.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파이프(310)들과 상기 수평파이프(320)들은, 별도의 연결브라켓(322)을 통해 서로에 대해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택된 특정의 것들만 별도의 연결브라켓(322)을 통해 서로에 대해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거나, 또는 서로에 대해 고정적으로 연결되어,
    서로에 대해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하거나, 또는 선택된 것만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하거나, 또는 서로에 대해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비계 구조물.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프레임(300)의 전체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크기 조절부(3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비계 구조물.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크기 조절부(330)는,
    상기 상단 프레임(300)의 전,후 길이(L)를 각각 조절하여, 상기 상단 프레임(300)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전후길이 조절부(340)와;
    상기 상단 프레임(300)의 좌,우 폭(W)을 각각 조절하여, 상기 상단 프레임(300)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좌우폭 조절부(3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비계 구조물.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길이 조절부(340)는,
    각각 텔레스코픽 형태로 구성된 상기 상단 프레임(300)의 좌,우 수평파이프(320b)들을 포함하며,
    상기 좌,우 수평파이프(320b)들은, 상기 상단 프레임(300)의 전,후방향으로 신축운동하면서 전,후방향 수직파이프(310a)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상단 프레임(300)의 전,후 길이(L)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비계 구조물.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길이 조절부(340)는, 상기 양쪽의 좌,우 수평파이프(320b)들을 각각 신축시키기 위한 신축부(34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비계 구조물.
  25.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폭 조절부(350)는,
    각각 텔레스코픽 형태로 구성된 상기 상단 프레임(300)의 전,후 수평파이프(320a)들을 포함하며;
    상기 전,후 수평파이프(320a)들은, 상기 상단 프레임(300)의 좌,우방향으로 신축운동하면서 좌,우방향 수직파이프(310b)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상단 프레임(300)의 좌,우 폭(W)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비계 구조물.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폭 조절부(350)는, 상기 상단 프레임(300)의 좌,우 폭(W)을 조절한 상기 전,후 수평파이프(320a)들의 신축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스토퍼부(35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비계 구조물.
  27. 제 26항에 있어서,
    베이스 프레임(200)과 상단 프레임(300)의 발판(400)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과 상단 프레임(300)의 크기에 대응하여 여러 크기로 제작되며, 크기가 조절된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과 상단 프레임(300)에 맞는 것을 골라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비계 구조물.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프레임(300)에 설치된 발판(400)들 중, 적어도 어느 발판(400)은, 개방부(420)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개방부(42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내측공간(200a)과 상기 상단 프레임(300)의 내측공간(300a) 사이를 이동하는 작업자의 이동통로로 사용됨과 아울러, 상단 프레임(300)의 다단 적층 시에, 다단 적층된 상기 상단 프레임(300)의 내측공간(300a) 사이를 이동하는 작업자의 이동통로로 사용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비계 구조물.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과 상단 프레임(300)의 내부를 따라 작업자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과 상단 프레임(300)의 내부에 설치되는 가설계단(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비계 구조물.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가설계단(500)은,
    상단 프레임(300)의 발판(400)에 형성된 상기 개방부(420)에 대응되게 설치되며;
    작업자가 상기 발판(400)의 개방부(420)를 통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내측공간(200a)과 상기 상단 프레임(300)의 내측공간(300a) 사이 및, 다단 적층된 상기 상단 프레임(300)의 내측공간(300a) 사이를 상,하 이동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비계 구조물.
  31.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가설계단(500)은,
    복수개의 분할몸체(510)로 구성되며, 상기 분할몸체(510)들을 서로 결합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상기 분할몸체(510)들을 서로 분리하여 보관 및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비계 구조물.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가설계단(500)의 분할몸체(510)들은,
    양쪽의 지지대(512)와, 양쪽의 지지대(512)를 일정 간격을 두고 연결하는 복수의 스텝(514)들로 구성되며, 결합부(520)에 의해 하나의 몸체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비계 구조물.
  33.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520)는,
    상기 분할몸체(510)들 중, 어느 하나의 분할몸체(510) 양쪽 지지대(512)에 형성되는 결합홈(522)들과;
    상기 결합홈(522)들과 각각 결합될 수 있도록 다른 하나의 분할몸체(510) 양쪽 지지대(512)에 형성되는 결합돌기(524)들 및;
    상기 결합홈(522)과 결합돌기(524)의 결합에 의해 서로 조립된 분할몸체(510)들을 고정시키는 고정부(526)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526)는,
    상기 결합홈(522)과 결합돌기(524)의 결합 시에 서로 정렬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홈(522)과 결합돌기(524)의 해당 분할몸체(510)부분에 각각 형성되는 고정홀(526a)들과, 서로 정렬된 고정홀(526a)들에 끼워질 수 있도록 어느 하나의 분할몸체(510)에 설치되는 고정바(526b) 및, 상기 고정바(526b)를 상기 고정홀(526a)들에 끼워지는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리턴스프링(526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비계 구조물.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조립부(632)는,
    상기 최상측 상단 프레임(300)의 해당 수직파이프(310)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제 1브라켓(632a)과;
    상기 제 1브라켓(632a)을 사이에 두고 상,하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수직난간봉(610)의 제 1부분(P1)에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는 제 2브라켓(632b)들 및;
    서로 정렬된 제 1브라켓(632a)과 제 2브라켓(632b)에 관통하여 결합되는 쐐기형 조립핀(632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비계 구조물.
  3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조립부(634)는,
    상기 최상측 상단 프레임(300)의 해당 수직파이프(310)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제 1브라켓(634a)과;
    상기 제 1브라켓(634a)을 사이에 두고 상,하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수직난간봉(610)의 제 2부분(P2)에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는 제 2브라켓(634b)들 및;
    서로 정렬된 제 1브라켓(634a)과 제 2브라켓(634b)에 관통하여 결합되는 쐐기형 조립핀(634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비계 구조물.
  39. 제 38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난간봉(610)들은,
    상기 최상측 상단 프레임(300)의 각 수직파이프(310) 당, 2개씩 설치되며;
    상기 수직파이프(310)에 설치된 2개의 수직난간봉(610)들은, 해당 수직파이프(310)로부터, 인접하는 2개의 수직파이프(310)측 수직난간봉(610)들을 향해 각각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비계 구조물.
  40.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난간봉 고정조립부(640)는,
    상기 수직난간봉(610)의 고정 설치되며, 굴절형 고정슬롯(642a)을 갖추고 있는 고정브라켓(642)과;
    상기 고정브라켓(642)의 굴절형 고정슬롯(642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거나, 상기 굴절형 고정슬롯(642a)으로부터 분리되면서, 상기 수평난간봉(620)의 양단을 상기 수직난간봉(610)에 고정 조립시키거나 또는 상기 수직난간봉(610)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평난간봉(620)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고정핀(644) 및;
    상기 고정브라켓(642)의 고정슬롯(642a)에 상기 수평난간봉(620)의 고정핀(644)이 끼워져 결합되었을 경우, 상기 고정슬롯(642a)의 입출구부(642a-1)를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난간봉(610)부분에 나사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토퍼 너트(6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비계 구조물.
  41. 제 40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난간봉(620)들은,
    인접하는 2개의 수직난간봉(610)들을 서로 연결하되, 상기 2개의 수직난간봉(610)들을 상,하로 연결하도록, 인접하는 2개의 수직난간봉(610)에 상,하 한 쌍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비계 구조물.


KR1020210176381A 2021-12-10 2021-12-10 이동식 비계 구조물 KR102634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381A KR102634597B1 (ko) 2021-12-10 2021-12-10 이동식 비계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381A KR102634597B1 (ko) 2021-12-10 2021-12-10 이동식 비계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8542A KR20230088542A (ko) 2023-06-20
KR102634597B1 true KR102634597B1 (ko) 2024-02-08

Family

ID=86995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6381A KR102634597B1 (ko) 2021-12-10 2021-12-10 이동식 비계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459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730Y1 (ko) * 2006-01-05 2006-03-31 김홍찬 건축용 비계의 수평지지대
KR200444361Y1 (ko) * 2008-07-11 2009-05-07 주식회사 신영 건축용 동바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1357U (ko) * 1999-06-28 2001-01-15 최문호 승강기 안전 작업난간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730Y1 (ko) * 2006-01-05 2006-03-31 김홍찬 건축용 비계의 수평지지대
KR200444361Y1 (ko) * 2008-07-11 2009-05-07 주식회사 신영 건축용 동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8542A (ko) 2023-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64458A (en) Ladder scaffold vehicle
US20080105497A1 (en) AccessTower
KR101884626B1 (ko) 랙방식으로 연결되는 고소작업대
US20130233646A1 (en) Mobile and Stabilizing Scaffold Apparatus
EP2367994A1 (en) Scaffolding
WO2019237199A1 (en) Telescopic staircase system and uses thereof
US20170211283A1 (en) Trestle ladder systems and method
KR102241781B1 (ko) 높이 조절형 이동식 작업대
KR20120078548A (ko) 접이식 계단 작업대
KR102634597B1 (ko) 이동식 비계 구조물
KR102634598B1 (ko) 이동식 비계 구조물
US5678653A (en) Wallboard hanging scaffolding system
JP2008214983A (ja) 昇降式移動足場
KR20060071595A (ko) 높이와 경사 조절이 가능한 이동식 작업대
US3302751A (en) Scaffolding construction
JP5300551B2 (ja) 折畳み式作業台
JP5895255B2 (ja) 高所作業用足場構造体
WO2012064204A2 (en) A scaffold and method for construction of same
AU649856B2 (en) Cantilever scaffold device
JP5291514B2 (ja) 昇降式移動足場
KR200440672Y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자립식 사다리
JPH08100517A (ja) 昇降式作業台
JP3883981B2 (ja) 足場装置
KR20210015011A (ko) 사다리
GB2408285A (en) Self-contained extensible mobile access tow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