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4319Y1 - 높낮이 조절용 이동식 작업대 - Google Patents

높낮이 조절용 이동식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4319Y1
KR200424319Y1 KR2020060007065U KR20060007065U KR200424319Y1 KR 200424319 Y1 KR200424319 Y1 KR 200424319Y1 KR 2020060007065 U KR2020060007065 U KR 2020060007065U KR 20060007065 U KR20060007065 U KR 20060007065U KR 200424319 Y1 KR200424319 Y1 KR 2004243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support
height
handrail
height adjustment
work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70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준식
Original Assignee
남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준식 filed Critical 남준식
Priority to KR20200600070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43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43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431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adjustable in height
    • E04G1/22Scaffolds having a platform on an extensible substructure, e.g. of telescopic type or with lazy-tongs mechanis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04G2001/242Scaffolds movable on wheels or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designed to provide support only at a low height
    • E04G1/30Ladder scaffolds
    • E04G2001/302Ladder scaffolds with ladders supporting the platform
    • E04G2001/307The ladders being self-supporting folding lad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건물을 신축하거나 개조 또는 보수할때 사용하는 이동식 작업 발판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작업을 행할수 있는 수평발판에 상부에 난간대를 설치하여 작업자의 안전한 작업을 할수 있게 안전 난간대를 설치하고 하부의 수직으로 발판을 지지하는 수직지지대를 설치하고 하부의 수직지지대 끝단부에 바퀴를 장착하여 이동이 용이토록한 이동식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서로 마주보고 대응하는 두 쌍의 수직지지대 끝단부에 내 삽이되는 강재에 다 단의 간격을 둔 구멍을 관통하여 높이에 따라 체결용 핀을 삽입하여 수직지지대와 이동용 바퀴를 결합시켜 이동이 편리하도록 하고 상부 안전 난간대와 하부 수직지지대가 접이식으로 되어 부피를 현저히 줄여 보관이나 운반이 편리 하도록 되었다. 또한 일체식이라 작업자의 간편한 조작에 의해 이루어짐은 물론 작업 공기 단축에도 상당한 기여를 할것을 특징으로 한 높낮이 조절용 이동식 작업대를 제공 한다.
안전 난간대, 발판, 수직지지대

Description

높낮이 조절용 이동식 작업대{HIGH AND IOW REGULATIDN TRAVELLING A WORKTABLE}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판의 수직지지대를 결합한 브라켓의 확대한 사시도 이다.
도 2는 도 1의 발판을 지지하는 수직지지대의 접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3은 도 2의 수직지지대를 펼친 상태의 사시도 이다.
도 4는 작업발판과 추락 방지를 위한 안전난간대를 설치하여 접이식을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4-A는 난간대가 접히는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 이다
도 5는 안전 난간대와 작업발판의 본체를 분리하고 본체를 지지하는 수직지지대의 접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7 ( 5-A)는 도 5의 수직지지대에 내삽이되는 이동용 바퀴를 내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 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용 이동식 작업대의 사시도 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a, 10b, 12a, 12b : ∩자형 난간대, 11a, 11b, 13a, 13b :∩ 자형 난간대의 수평 보강대, 14a, 14b : ∩자형 난간대의 고정 고리,
15a, 15b, 16a, 16b :∩자형 난간대의 연결 고리 (경첩), 17a 17b, 17c, 17d, 17e, 17f :이탈 방지용 캡, 18a, 18b, 19a, 19b :난간대 연결용 조인트, 20a, 20b, 20c, 20d:수직지지대,
21a, 22a, 23a, 21b, 22b, 23b : 수직지지대의 수평 보강대(사다리)
24a, 24b, 24c, 24d :조인트 연결용 판재, 25a, 25b, 25c, 25d :고정용 핀
26a, 26b, 26c, 26d 수직지지대 브라켓, 27a, 27b, 27c, 27d :접이용 핀구멍(장홈), 28a, 28b, 28c, 28d : 연결용 볼트, 29a, 29b, 29c, 29d :고정용 볼트, 35a, 33b :접이용 핀, 30, 31a, 31b, 32 :본체
33 : EX메탈 (발판), 36a, 36b, 36c, 36d : 연결용 볼트, 40a, 40b, 40c, 40d : 높이 조절용 핀구멍, 60a, 60b, 60c, 60d :이동 바퀴, 62 :바퀴 체결용 핀
본 고안은 각종 건물을 신축 하거나 개조 또는 보수할때 사용하는 높낮이 조절용 이동식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직지지대를 15도 정도의 각을주어 하단부가 피라밋형상으로 무개중심을 분산시켜 작업자가 작업에 임함에 있어 안정성을 주었고 또한 마주 대응하는 두 쌍의 수직지지대에 각각 다 단의 수평 보강대를 접합하여 작업자의 승강 사다리로 이용토록 하였다. 두 쌍이 마주보며 접이가 되도록 고안한 브라켓을 작업 발판에 접합하였고 상부 난간대도 연결 고리에 의해 간단한 조작으로 접히도록 하여 운반이나 보관시 부피를 최소화 하였 다. 수직지지대 하부 끝단에 내 삽되는 바퀴의 연결 강재에 다 단의 구멍을 관통하여 원하는 작업 높이에 따라 체결용 핀을 삽입하여 높이에 맞는 위치를 채택하게 하였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공사시 작업자가 높은곳에서 보통 사다리나 임시 가설물 비계를 설치 한다. 종래의 작업용 난간대는 B,T난간대나 사다리를 사용하는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러한 작업용 난간대는 발판의 고정된 상태가 불안정하고 부피가 크고 분리식이라 이동이나 운반에 많은 시간이 활용되고 안전 사고가 빈번할 뿐만 아니라 높이 조절하는것이 매우 번거로웠다. 최근들어 다양한 종류의 작업대가 개시되고 있는데 대 부분 높이가 고정되고 난간대 설치가 미비하여 안전 사고의 위험이 상당히 높을뿐 아니라 무게와 부피가 너무 많으며 구조 또한 복잡하여 조립 해체시 상당히 불편하며 작업 원가에도 상당한 비용 손실를 초래해 왔다.
현재 건설 현장에서는 고하중하에서도 안정된 지지력을 발휘하여 작업난간대 및 발판의 안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일체형으로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용이하게 높이 조절이 되고 작업공간이 확보되는 높낮이 조절용 이동식 작업대가 요구되어 왔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작업대의 설치및 해체작업을 신속하게 진행할수 있으며, 이동성이 뛰어나서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 공기를 단축하여 시공 비용을 절감할수 있는 한편 간단한 조작에 의해 높낮이를 조절할수 있는 높낮이 조절용 이동식 작업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은 발판을 지지하는 하부 수직지지대는 물론 상부 안전 난간대도 접이식으 로 되어 있고 일체식으로 되어 운반은 물론 좁은 공간에서도 보관이 용이하고 신속히 이동할수 있다. 작업 종류에따라 발판 높이를 조절할수 있고 일체식으로 되어 별도의 난간대나 승강사다리 발판을 따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 모든게 간단한 조작으로 접었다 펼수있으며 부피와 무게가 현저히 낮아 자재비를 대폭적으로 절감시키고 일체형이라 이동성이 뛰어나 공기 단축에 상당히 기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본 고안의 일 실시예 에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높낮이 조절용 이동식 작업대에 있어서, 발판 하부에 서로 대응하는 두 쌍의 수직지지대 위에 접이가 되도록 고안된 브라켓을 결합하고 발판 상부에 추락 방지용 난간대를 결합한다. 수직지지대 하부 끝단부에 내 삽이 되는 높이 조절용 바퀴를 삽입하고 체결용 핀으로 결합하는 높낮이 조절용 이동식 작업대를 제공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발판의 하단부에 접합된 브라켓에 결합된 두쌍의 수직지지대를 양쪽으로 벌리면 자동으로 수직지지대가 고정되게끔 접이용 핀이 스프링에 의해 잠금이 된다.
발판의 상부는 양쪽의 ∩자형 난간대를 들어 고정용 핀에 삽입 되도록 하고 회전되는 출입문을 자형 난간대대 고정용 고리에 끼우면 안전한 난간대가 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첩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 한다. 도면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동일한 참조 번호로 나타내었고, 또한 본 고안의 요지를 불 명료하게 할수 있는 공지의 기능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지지대의 구조와 체결상태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 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26)에 수직지지대(20)는 일정한 굵기의 강재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용 볼트(28)에 삽입되도록 관통 구멍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수직지지대(20)의 상부 관통된 구멍을 브라켓(26) 내측에 연결용 볼트(28)로 스프링 (34)와 함께 삽입하여 체결하고 고정용 볼트(29)를 체결 한다. 접이용 핀(35)을 연결용 볼트(28)에 끼운 반대쪽의 스프링(34)를 끼우고 장홈(27)에 끼워 체결 한다.
상기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지지대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 이다. 접이용 핀(35)을 상기 도 1의 화살표(가) 방향으로 누르고 수직지지대 (20)를 안으로 밀면 접이용 핀(35)이 장 홈을 타고 올라가 연결용 볼트(28)을 기점으로 하여 수직지지대(20)가 안 쪽으로 접히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지지대를 펴 놓은 상태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 이다. 상기 도 2의 접혀진 상태에서 수직지지대(20)를 고정용 볼트(29)에 대일때 까지 펼치면 연결용 볼트(28)을 기점으로 접이용 핀(35)이 수직지지대(20) 외면에 밀려 장홈(27)을 타고 상기 도 1의 화살표(가) 방향으로 밀려 올라가 수직지지대(20)이 고정용 볼트(29)에 맞다으면 스프링(34)의 장력에 의해 도 1의 화살표(가) 의 반대 방향으로 접이용 핀(35)이 내려와 수직지지대(20)을 고정 시키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발판과 안전 난간대를 나타낸 사 시도 이다.
상기 도 4는 ∩자형 난간대(10a, 10b, 12a, 12b )와 ∩ 자형 난간대 수평 보강대(11a 11b, 13a, 13b ),연결용 고리(경첩)(15a 15b, 16a, 16b ), 고정용 고리(잠금장치)(14a, 14b ), 이탈 방지용 캡(17a 17b, 17c, 17d, 17e, 17f ), 발판과 난간대의 연결 조인트( 18a 18b, 19a, 19b ), 발판과 난간대 연결 판재(24a 24b, 24c, 24d ), 난간대 고정 핀(25a, 25b, 25c, 25d), 발판 본체(30,31a 31b, 32), EX 메탈(33) 로 구성 된다.
상기 발판 본체(30, 31a 31b, 32)는 사각 금속 각재를 사용하고 상부에 EX 메탈 (33)를 깔아 접합하여 작업자의 작업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도 4 에 ∩자형 난간대(10a 10b )는 추락 방지용 안전 난간대를 제공하고 발판과 난간대를 연결하는 연결 조인트( 18a 18b, 19a, 19b ) 판재 ( 24a 24b, 24c, 24d )를 연결용 볼트( 36a 36b, 36c, 36d )로 체결 한다 ∩ 자형난간대(10a, 10b )를 세워서 고정용 핀(25a 25b, 25c, 25d,)에 삽입하여 이탈이 안되도록 하고 난간대 (10a 10b )는 안쪽으로만 접히도록 고안 하였다. 상기와 같이 난간대 (10a 10b)를 세워서 고정 하고 ∩자형 난간( 12a 12b )은 연결용 고리(경첩)( 15a 15b, 16a, 16b )에 내 삽되어 이를 축으로 경첩 역활을 하고 난간대(12a) 는 고정고리(14b)에 삽입하고 난간대(12b)는 고정고리(14a)에 삽입하면 안전 난간대가 됨을 제공 한다
도 4-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난간대와 작업 발판의 연결부를 확대한 사시도 이다. 판재(24a)는 발판에 접합되고 연결용 조인트(19a)와 연결용 볼트(36a)에 의해 체결 되며 ∩자형 난간대(10a)가 연결용 조인트(19a)에 내삽 되 어 내경을 타고 움직일수 있게끔 제작 되었다. 난간대 (10a)을 세워서 고정핀(25a)에 삽입하면 안전 난간대이탈 방지는 물론 견고 하게 조립됨을 제공 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용 이동식 작업대를 난간대와 작업 발판을 분리하고 발판의 수직지지대의 접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수직지지대(20a)와 (20b)를 한 쌍으로 수평 보강대( 21a 22a, 23a )를 용접 접합하하여 한쌍으로 하고 마주 하는 수직지지대( 20c, 20d )를 한 쌍으로 수평 보강대
( 21b, 22b, 23b )를 용접 접합 하여 한 쌍으로 한다. 브라켓(26a)에
수직지지대(20a) 상단부에 관통된 체결공을 연결용 볼트(28a)에 스프링 (34)와 함께 체결하고,수직지지대(20b)는 브라켓(26d)에 수직지지대(20b) 상단부 관통된 체결공을 연결용 볼트(28d)에 스프링(34)와 함께 체결하여 한 쌍으로 한다. 또한 대응하는 다른 한 쌍 수직지지대(20c)도 브라켓(26b)에 수직지지대(20c) 상단부 관통된 체결공에 연결용 볼트(28b)에 스프링(34)와 함께 체결 하고, 수직지지대(20d)도 브라켓(26c)에 수직지지대(20d) 상단부에 관통된 체결공에 연결용 볼트(28c)에 스프링 (34)와 함께 체결 한다. 상기 도 5의 고정용 볼트( 29a 29b, 29c, 29d )각각의 브라켓( 26a 26b, 26c, 26d )에 체결 한다.
상기 도 5의 접이용 핀( 35a )을 장홈 (27a )내측에 도 1 과 같이 연결용 볼트(28a)에 끼워진 스프링 (34) 의 반대쪽을 삽입하여 끼우고 반대로 접이용 핀 (35a) 끝단에연결용 볼트(28d)에 끼워진 스프링(34)의 단대쪽을 삽입하여 장홈 (27d)에 끼우고 체결 한다. 또한 마주 하는 다른 한 쌍 접이용 핀(35b)을 장 홈(27b)내측에 도 1 과 같이연결용 볼트(28b)에 끼워진 스프링(34)의 반대쪽를 삽 입하여 끼우고 반대로 접이용 핀 (35b)끝단에 연결용 볼트(28c)에 끼워진 스프링(34)의 반대쪽를 삽입하여 장홈 (27c)에 끼우고 체결 한다. 상기 체결 방식은 단순히 볼트를 이용하여 체결 하는 방식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체결 부재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 으로 체결 시키는 기존의 모든 공지된 체결 방식을 포함 하는 광의의 개념을 인지해야 할 것이다. 상기 도 5에 있어서 수직지지대의 접힘 방법은 도 1, 도 2, 도 3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지지대( 20a 20b )는 접이용 핀 (35)을 상부로 누르고(도 1 의 화살표 가 방향 )수직지지대를 안쪽으로 밀면 접이용 핀이 장 홈을 타고 밀려 수직지지대( 20a 20b )의 상부 끝단을 벗어나 간섭 받지 않으므로 연결용 볼트( 28a 28d )를 축으로 하여 안으로 접히게 됨을 제공 한다.
반대로 수직지지대(20a 20d )를펼 때는 접혀 있는 수직지지대( 20a 20d )를바깥 쪽으로 벌리면 연결용 볼트( 28a, 28d )를축으로 하여 접이용 핀( 35a)이 수직지지대( 20a 20d )의 상단부 외면을 타고 미끄러 올라가 수직지지대가 고정용 볼트( 29a 29d )에 맡 다으면 접이용 핀(35a)이수짖지지대( 20a 20d ) 상부 끝단부를 벗어나 스프링 (34)가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의 장력에 의해 장 홈
( 27a 27d) 을 타고 내려와 수직지지대(20a, 20d )를고정 시키게 됨을 제공 한다. 또한 마주 하는 다른 한 쌍 수직지지대(20c, 20d )도 상기 도시한 바와 같이 접이 식이 됨을 제공 한다 또한 수직지지대( 20a 20b, 20c, 20d ) 하부 끝단부에 내 삽이 되는금속 강재에 다단의 체결공( 40a 40b, 40c, 40d )을 관통하여 작업자가 원 하는 높이에 따라 체결 핀( 도 5-A, 62 )를 체결 하여 이동용 바퀴( 60a 60b, 60c, 60d )을 수직 지지대에 장착하여 이동을 용이하게 하고 수직지지대를 연장시키는 것을 도시 한다.
도 7 ( 5-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5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지지대( 20a 20b, 20c, 20d )의 하부 끝단부에 이동용 바퀴( 60a 60b, 60c, 60d )를 장착 확대한 사시도 이다 철재 판재(60)에 수직지지대(20)에 내삽이 되는 금속 강재에 다단의 체결공을 관통하여 용접 접합하고 수직지지대(20)에 내삽하여 수직지지대를 연장하는 다단의 체결공(40)에 체결용 핀(62)을 결합 시킨 구조를 도시하는 것이다.
도 6 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용 이동식 작업대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수직지지대( 20a 20b, 20c, 20d )에 수평 보강대( 21a 22a, 23a, 21b, 22b, 23b )를 용접 접합하여 작업자의 승강 사다리로 활용 하여 별도의 승강 사다리가 필요 없어 원가 절감 효과가 있다. 또한 안전 난간대( 10a 10)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 자형 난간대(10a 10b ) 끝단부( 17a 17b, 17c, 17d )에 고정용 핀( 25a 25b, 25c, 25d )에 내 삽 고정하고 ∩자형 난간대( 12a 12b )를 고정용 고리( 14a 14b )에 내 삽 고정하면 흔들림 없이 견고한 안전 난간대가 되고 작업자자 승강사다리( 21a 22a, 23a, 21b, 22b, 23b )를타고 올라가 ∩자형 난간대( 12a 12b )를 출입문 으로 사용 하게끔 연결고리( 15a 16a, 15b, 16b)경첩 역활을 할수 있게 유동이 있게 하여 작업자의 출입을 원활하게 하는것을 제공 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고안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도면에 도시함 높낮이 조절용 이동식 작업대의 구성을 변형 내지 수정할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고, 본 고안이 후술하는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단지 제한된다.
본 고안에 따른 높낮이 조절용 이동식 작업대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수
있다.
첫째, 간단한 조작에 의해 작업대를 설치 해체할수 있으므로 공기 단축및 시공 비용 절감효과를 얻을수 있고, 또한 작업자 스스로 작업대 설치 높이를 조절 할수
있다.
둘째, 작업 공간의 확보와 안전 난간대가 설치 되어 작업자의 추락 사고등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수 있다.
셋째, 별도의 승강 사다리가 필요 없고 수평으로 접합된 보강대가 승강 사다리의 기능을 완전히 대체할수 있으므로 자재비 절감 효과를 가진다.
네째, 접이식 일체형으로 부피가 적고 운반 보관이 용이하고 다루기가 편리하다.

Claims (8)

  1.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이동식 작업대에 있어서 서로 마주 보고 대응하는 두 쌍의 수직지지대 각각에 안으로 접힘 장치를 부착한 브라켓( 26a, 26b. 26c, 26d )와 결합하여 접이식 핀(35a, 35b )을 사용하여 간단히 접었다 펼수 있는 장치와 폈을때 고 정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용 이동식 작업대.
  2. 제 1항에 있어 상기 두 쌍의 수직지지대 각각의 하단부에 내삽되는 금속재에 다단의 체결공을 관통하여 수직지지대를 연장시켜 높이 조절을 할수있는 이동식 바퀴를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용 이동식 작업대
  3. 제 1항에 있어서, 발판의 상부에 별도의 판재나 합판등을 깔지 안고 EX메탈를 접합하여 미끄러짐이나 판재의 이탈를 방지하고 작업자의 안전과 작업공간을 확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용 이동식 작업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마주하는 두 쌍의 난간대(10a, 10b )가 연결용 조인트( 18a 19a, 18b, 19b )와 연결 판재( 24a 24b, 24c, 24d )와 체결하여 고정핀( 25a, 25b, 25c, 25d )에 삽입되어 이탈 방지및 접이식 안전 난간대를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용 이동식 작업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자형 난간대 (10a 10b )에 접합된 연결고리(15a, 16a, 15b, 16b )에 난간대( 12a 12b )가 삽입되어 상,하 운동이 가능하며 경첩 역활을 하여 난간대(12a, 12b )를 돌려서 고정용 고리(14a, 14b )에 삽입하여 고정 하여 견고하고 추락방지를 위한 안전 난간틀을 제공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용 이동식 작업대.
  6. 청구항 5항에 있어서 ∩자형 난간대 (12a, 12b )를 연결고리( 15a 16a, 15b, 16b )를 경첩으로 사용하여 난간대 ( 12a, 12b )를 고정고리( 14a 14b )에 삽입하여 잠금 장치를하여 작업자의 안전 출입문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용 이동식 작업대
  7. 제 1항에 있어 수직지지대의 수평 보강대가 승강 사다리로 대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용 이동식 작업대
  8. 삭제
KR2020060007065U 2006-03-16 2006-03-16 높낮이 조절용 이동식 작업대 KR2004243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065U KR200424319Y1 (ko) 2006-03-16 2006-03-16 높낮이 조절용 이동식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065U KR200424319Y1 (ko) 2006-03-16 2006-03-16 높낮이 조절용 이동식 작업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2382A Division KR20060028464A (ko) 2006-03-09 2006-03-09 높낮이 조절용 이동식 작업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4319Y1 true KR200424319Y1 (ko) 2006-08-18

Family

ID=41772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7065U KR200424319Y1 (ko) 2006-03-16 2006-03-16 높낮이 조절용 이동식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431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778B1 (ko) 2007-03-15 2008-02-19 서울특별시시설관리공단 접이식 안전발판
KR20160116277A (ko) * 2015-03-27 2016-10-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핸드레일 안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계단식 이동 작업대
KR102236750B1 (ko) * 2020-05-13 2021-04-06 황인호 호환가능한 구조를 포함하는 1인 창호 작업대
KR20230039917A (ko) * 2021-09-15 2023-03-22 김동철 변형이 가능한 맞춤형 말비계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778B1 (ko) 2007-03-15 2008-02-19 서울특별시시설관리공단 접이식 안전발판
KR20160116277A (ko) * 2015-03-27 2016-10-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핸드레일 안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계단식 이동 작업대
KR101672410B1 (ko) 2015-03-27 2016-11-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핸드레일 안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계단식 이동 작업대
KR102236750B1 (ko) * 2020-05-13 2021-04-06 황인호 호환가능한 구조를 포함하는 1인 창호 작업대
KR20230039917A (ko) * 2021-09-15 2023-03-22 김동철 변형이 가능한 맞춤형 말비계
KR102621977B1 (ko) * 2021-09-15 2024-01-05 김동철 변형이 가능한 맞춤형 말비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10558B2 (en) Scaffold having detachable ladder assembly
US11643828B2 (en) Support apparatus
GB2431427A (en) Scaffolding guard rail
KR200424319Y1 (ko) 높낮이 조절용 이동식 작업대
WO2016131839A1 (en) Collapsible elevated platforms
CA2834094C (en) Self-contained, portable and self-supporting scaffolding kit
US5862881A (en) Safety scaffold and platform ladders
KR102180064B1 (ko) 작업대로 조립 가능한 접이식 사다리
WO2016151307A1 (en) Adjustable scaffold
KR101478964B1 (ko) 갱폼용 사다리
GB2486015A (en) Folding platform safety unit
KR102280085B1 (ko) 접이식 작업용 사다리
KR20060028464A (ko) 높낮이 조절용 이동식 작업대
KR200163251Y1 (ko) 건설현장용작업대
JP3004217U (ja) 手摺付脚立
KR20170086352A (ko) 갱폼
JP2021055501A (ja) 仮設足場用階段
JP2003247338A (ja) 作業台
KR20210015011A (ko) 사다리
JP5305432B2 (ja) 移動足場
CN220769345U (zh) 可伸缩及折叠护栏梯
CN220791116U (zh) 可自动调节伸缩及折叠护栏梯
KR102219439B1 (ko) 발판 사다리
JP2005105553A (ja) 可搬式階段用作業足場台
KR200408504Y1 (ko) 이동식 작업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