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4778B1 - 접이식 안전발판 - Google Patents

접이식 안전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4778B1
KR100804778B1 KR1020070025385A KR20070025385A KR100804778B1 KR 100804778 B1 KR100804778 B1 KR 100804778B1 KR 1020070025385 A KR1020070025385 A KR 1020070025385A KR 20070025385 A KR20070025385 A KR 20070025385A KR 100804778 B1 KR100804778 B1 KR 100804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scaffolding
scaffold
support body
foot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5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혁두
이정엽
정강
Original Assignee
서울특별시시설관리공단
리드세이프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특별시시설관리공단, 리드세이프티(주) filed Critical 서울특별시시설관리공단
Priority to KR1020070025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47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4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4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접이식 안전발판은, 간선도로에서 상하수도 공사시 웅덩이에 걸쳐져 보행자 통행을 안내하는 안전발판에 있어서, 발판부(10)의 길이변 양측단에 각각 설치되는 좌우 한쌍의 핸드레일부(20)와, 상기 좌우 한쌍의 핸드레일부(20)가 비사용될 때 발판부(10)의 상면에 순차적으로 포개어지도록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접철수단(30)으로 구성하며, 상기 다수의 접철수단(30)은, 상기 발판부(10)의 사각 코너에 각각 용착되도록 서로 대향되는 양측면 상단에 관통홀(32a)이 형성된 지지몸체(32)와, 상기 수직레일(22)의 하단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장홀(22a)과, 상기 장홀(22a)과 관통홀(32a)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수직레일(22)과 지지몸체(32)를 연결함과 동시에 장홀(22a)의 안내를 받으면서 지지몸체(32)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판(32b) 보다 상향되는 높이로 수직레일(22)이 상승될 때 핸드레일부(20)가 직각으로 접철되도록 단속하는 연결핀(34)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제품을 경량화시키면서 강도를 높일 수 있고, 설치,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며, 시인성 및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것임.
접이식, 안전발판, 상하수도, 통행도로, 핸드레일, 펜스, 보조발판

Description

접이식 안전발판{A FOLDING TYPE SAFETY SCAFFOLD}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면으로서,
도 1은 접이식 안전발판의 펼친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접이식 안전발판의 접힌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접철수단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A부분에 대한 접철수단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 5는 도 2의 B부분에 대한 접철수단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 6은 접이식 안전발판의 사용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따른 접이식 안전발판의 길이조절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발판부 12 : 제1 프레임
14 : 제2 프레임 14a : 돌기부
14b : 슬릿 16 : 받침턱
20 : 핸드레일부 22 : 수직레일
22a : 장홀 24 : 수평레일
26 : 펜스 28 : 조명수단
30 : 접철수단 32 : 지지몸체
32a : 관통홀 32b : 걸림판
34 : 연결핀 40 : 보조발판부
42 : 경첩부 44 : 걸이수단
44a : 연결고리 44b : 체인
본 발명은 간선도로 상수도 및 하수도 등의 공사시 보행자통행을 위해 임시 설치되는 접이식 안전발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인성 및 안정성을 높이면서 설치,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경량화시킨 접이식 안전발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가 또는 간선도로에서 상수도 및 하수도 등의 공사시 보행자 통행을 확보하기 위한 안전발판은 합판이나 철판 등을 깔아서 건너갈 수 있는 역활로만 설치되어 왔었다. 즉, 합판재질의 안전발판은 강도가 약하여 보행자의 몸무게를 지탱하지 못하고 처지거나 파손되어 장기간 사용이 불가능함과 동시에 재사용이 불가능하였고, 철판재질의 안전발판은 강도는 높으나 자체중량이 높기 때문에 설치,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지 못하였으며, 또한 합판 및 철판재질의 안전발판은 안전펜스 및 핸드레일의 설치가 불가능하여 시인성 및 안전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안전사고의 염려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품을 경량화시키면서 강도는 높이고, 설치,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며, 시인성 및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접이식 안전발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안전발판은, 간선도로에서 상하수도 공사시 웅덩이에 걸쳐져 보행자 통행을 안내하는 안전발판에 있어서, 발판부의 길이변 양측단에 각각 설치되는 좌우 한쌍의 핸드레일부와, 상기 좌우 한쌍의 핸드레일부가 비사용될 때 발판부의 상면에 순차적으로 포개어지도록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접철수단으로 구성하며, 상기 다수의 접철수단은, 상기 발판부의 사각 코너에 각각 용착되도록 서로 대향되는 양측면 상단에 관통홀이 형성된 지지몸체와, 상기 수직레일의 하단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장홀과, 상기 장홀과 관통홀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수직레일과 지지몸체를 연결함과 동시에 장홀의 안내를 받으면서 지지몸체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판 보다 상향되는 높이로 수직레일이 상승될 때 핸드레일부가 직각으로 접철되도록 단속하는 연결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발판부는, 하부에 격자모양으로 배치되는 철제의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면에 고정되어 발판부의 전체무게를 경량화시키도록 사출성성된 합성수지제의 제2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 프레임은, 그 상면에 논슬립 역활을 수행하도록 형성된 돌기부와, 그 중앙에 배수로기능을 하도록 형성된 다수의 슬릿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좌우 한쌍의 핸드레일부는, 상기 접철수단을 매개로 상기 발판부의 길이변 사각 코너에 각각 회동자유롭게 힌지된 다수의 수직레일과, 상기 다수의 수직레일의 상단에 대하여 상기 발판부의 길이변과 대응하는 방향을 따라 좌우측에 각각 일체로 고정되는 복수의 수평레일과, 상기 수직레일의 외주에 대하여 상기 발판부의 길이변과 대응하는 방향을 따라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는 펜스와, 상기 수평레일의 상면에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발광되는 조명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지지몸체는 상부가 개구된 사각평면의 캡형상으로서, 그 관통홀은 지지몸체에 대하여 서로 대향하는 양측면 중앙 상단에 형성되고, 그 걸림판은 지지몸체에 대하여 상기 관통홀과 교차되는 양측면 상단에 일체로 돌설되면서 그 상단높이가 관통홀보다 하향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발판부의 전후단에는 경첩부를 매개로 각각 설치되어 사용시 발판부와 동일한 수평으로 펼쳐지거나 비사용시 경첩부를 회전중심으로 180°로 회전되어 발판부의 하면에 각각 밀착되는 보조발판부와, 상기 보조발판부와 핸드레일부를 연결하는 걸이수단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발판부의 전후측 단부 상단에는 상기 보조발판부가 바깥으로 회동된 후 수평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받침턱이 일체로 돌설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걸이수단은, 상기 핸드레일부의 상부 끝단에 용착된 연결고리와, 상기 보조발판부의 외부 끝단 모서리에 일측단이 고정되고 타측 단이 상기 연결고리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체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 도면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안전발판은, 간선도로에서 상하수도 공사시 웅덩이에 걸쳐져 보행자 통행을 안내하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는 발판부(10)와, 상기 발판부(10)의 길이변 양측단에 각각 설치되는 좌우 한쌍의 핸드레일부(20)와, 상기 좌우 한쌍의 핸드레일부(20)가 비사용될 때 발판부(10)의 상면에 순차적으로 포개어지도록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접철수단(30)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발판부(10)는, 하부에 격자모양으로 배치되는 철제의 제1 프레임(12)과, 상기 제1 프레임(12)의 상면에 고정되어 발판부(10)의 전체무게를 경량화시키도록 사출성성된 합성수지제의 제2 프레임(14)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2 프레임(14)은 그 상면에 엠보싱(Embossing)형상에 의해 논슬립(Nonslip) 역활을 수행하도록 돌기부(14a)가 형성되고, 그 중앙에 우천시 빗물이 고이지않도록 배수로기능을 하는 다수의 슬릿(14b)(Slit)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좌우 한쌍의 핸드레일부(20)는, 상기 접철수단(30)을 매개로 상기 발판부(10)의 길이변 사각 코너에 각각 회동자유롭게 힌지된 다수의 수직레일(22)과, 상기 다수의 수직레일(22)의 상단에 대하여 상기 발판부(10)의 길이변과 대응하는 방향을 따라 좌우측에 각각 일체로 고정되는 복수의 수평레일(24)과, 상기 수직레 일(22)의 외주에 대하여 상기 발판부(10)의 길이변과 대응하는 방향을 따라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는 펜스(26)(Fence)와, 상기 수평레일(24)의 상면에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발광되는 조명수단(28)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수직레일(22)과 수평레일(24)은 상기 펜스(26)과 조명수단(28)의 설치가 용이하면서 경량화되도록 사각 중공 파이프의 철제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수직레일(22)과 수평레일(24)의 길이는 발판부(10)의 크기 보다 작게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펜스(26)와 조명수단(28)은 시인성과 안전성을 높이도록 상기 핸드레일부(2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펜스(26)는 외부면에 공사개요 등을 인쇄한 광고물로 활용할 수 있고, 상기 조명수단(28)은 통상의 배터리나 솔라셀(Solar Cell)을 이용한 축광특성을 갖는 발광반사판에 의해 보행자 통행을 안내하도록 활용된다.
상기 다수의 접철수단(3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발판부(10)의 사각 코너에 각각 용착되도록 서로 대향되는 양측면 상단에 관통홀(32a)이 형성된 지지몸체(32)와, 상기 수직레일(22)의 하단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장홀(22a)과, 상기 장홀(22a)과 관통홀(32a)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수직레일(22)과 지지몸체(32)를 연결함과 동시에 장홀(22a)의 안내를 받으면서 지지몸체(32)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판(32b) 보다 상향되는 높이로 수직레일(22)이 상승될 때 핸드레일부(20)가 직각으로 접철되도록 단속하는 연결핀(34)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지지몸체(32)는 상부가 개구된 사각평면의 캡형상으로서, 그 관 통홀(32a)은 지지몸체(32)에 대하여 서로 대향하는 양측면 중앙 상단에 형성되고, 그 걸림판(32b)은 지지몸체(32)에 대하여 상기 관통홀(32a)과 교차되는 양측면 상단에 일체로 돌설되면서 그 상단높이가 관통홀(32a)보다 하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안전발판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도 1과 같이 핸드레일부(20)가 펼쳐진 설치상태의 접이식 안전발판을 도 2와 같이 핸드레일부(20)를 접어서 운반 및 보관하기 위해서는, 먼저 수직상태로 설치된 핸드레일부(20)를 상부로 들어 올림과 동시에 발판부(10)의 상면을 향해 접어서 안착시킨다.
즉, 핸드레일부(20)는 도 4과 같은 상태에서 수직레일(22)이 상부로 이동되면, 수직레일(22)의 하단측 장홀(22a)과 접철수단(30)의 지지몸체(32)에 형성된 관통홀(32a)을 연결하는 연결핀(34)을 회전 중심점으로 장홀(22a)의 길이폭 만큼 핸드레일부(20)가 수직 상승되면서 그 수직레일(22)의 하단 높이가 지지몸체(32)의 걸림판(32b)의 높이보다 상향되게 위치됨으로써 회전이 자유롭게 된다.
이때, 핸드레일부(20)를 안쪽으로 젖히면 도 5와 같이 수직레일(22)의 하단이 지지몸체(32)의 걸림판(32b)으로부터 간섭을 받지 않게 되고, 이 수직레일(22)은 연결핀(34)을 회전중심으로 자유롭게 직각으로 회동되면서 발판부(10)의 상면에 자연스럽게 포개어진다.
따라서, 안전발판은 도 2와 같이 좌우 한쌍의 핸드레일부(20)가 발판부(10) 의 상부에 순차적으로 포개어져 높이가 낮아지고, 발판부(10)가 철제의 제1 프레임(12)과 합성수지제의 제2 프레임(14)의 결합에 의해 구성되기 때문에 경량화를 실현하면서 강도는 높일 수 있고,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다.
한편, 도 2와 같이 핸드레일부(20)가 접혀진 비사용상태의 접이식 안전발판을 도 1과 같이 핸드레일부(20)를 세워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수평상태로 놓인 핸드레일부(20)를 상부로 들어 올리면, 이 핸드레일부(20)는 그 수직레일(22)의 장홀(22a)과 지지몸체(32)의 관통홀(32a)을 연결하는 연결핀(34)을 회전중심으로 바깥으로 회동됨과 동시에 수직으로 세워지게 된다.
이때, 수직레일(22)은 그 하단에 형성된 장홀(22a)의 방향성과 핸드레일부(20)의 무게에 의해 하강할려는 작용에 따라 장홀(22a)의 길이 폭만큼 하강됨으로써 도 5와 같이 수직레일(22)의 하단부가 지지몸체(32)의 하부에 마련된 사각홈으로 삽입되어 걸림판(32b)의 높이보다 낮게 안착되는 높이변화에 따라 걸림판(32b)에 걸려 수직상태로 정지된다.
이러한 상태의 안전발판은 도 6과 같이 간선도로에서 상하수도 공사시 발생되는 웅덩이를 통해 보행자가 자유롭게 통행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진다. 즉, 발판부(10)는 웅덩이를 가로질러 안착되고, 발판부(10)의 좌우에 수직으로 펼쳐진 핸드레일부(20)는 시인성 및 안전성을 높여 보행자가 통행시 웅덩이로 낙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준다. 특히 핸드레일부(20)에 설치된 펜스(26)는 공사개요 등을 인쇄한 광고물로 활용되고, 조명수단(28)은 통상의 배터리나 솔라셀을 이용한 축광특성을 갖는 발광반사판이기 때문에 야간에 보다 시인성 및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 도면 도 7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면 도 7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명칭 및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안전발판은, 간선도로에서 상하수도 공사시 웅덩이에 걸쳐져 보행자 통행을 안내하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는 발판부(10)와, 상기 발판부(10)의 길이변 양측단에 각각 설치되는 좌우 한쌍의 핸드레일부(20)와, 상기 좌우 한쌍의 핸드레일부(20)가 비사용될 때 발판부(10)의 상면에 순차적으로 포개어지도록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접철수단(30)과, 상기 발판부(10)의 전후단에 경첩부(42)를 매개로 각각 설치되어 사용시 발판부(10)와 동일한 수평으로 펼쳐지거나 비사용시 경첩부(42)를 회전중심으로 180°로 회전되어 발판부(10)의 하면에 각각 밀착되는 보조발판부(40)와, 상기 보조발판부(40)와 핸드레일부(20)를 연결하는 걸이수단(44)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발판부(10)의 전후측 단부 상단에는 상기 보조발판부(40)가 바깥으로 회동된 후 수평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받침턱(16)이 일체로 돌설되어 있다.
상기 보조발판부(40)는 보통 상기 발판부(10)의 폭과 대응되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외부 끝단은 휠체어나 유모차 등의 통행이 용이하도록 경사지 게 제작하여 단턱을 없애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이수단(44)은, 상기 핸드레일부(20)의 상부 끝단에 용착된 연결고리(44a)와, 상기 보조발판부(40)의 외부 끝단 모서리에 일측단이 고정되고 타측단이 상기 연결고리(44a)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체인(44b)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안전발판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조발판부(40)는 도 7에서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발판부(10)의 길이를 더 연장하고자 할 경우 펼쳐서 사용되는 것이다. 즉, 발판부(10)의 전후측에 설치된 보조발판부(40)를 경첩부(42)를 회전중심으로 수평되게 펼치면, 보조발판부(40)가 경첩부(42)의 회전 반경에 따른 회전억제력과 발판부(10)의 전후측 단부 상측에 일체로 돌설된 받침턱(16)에 걸려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하고 발판부(10)의 수평과 동일한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러한 보조발판부(40)의 수평상태에서 보조발판부(40)에 고정된 체인(44b)을 핸드레일부(20)의 전후측 상단에 고정된 연결고리(44a)에 걸어줌으로써 더욱 안정된 수평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발판부(10)와 보조발판부(40)의 경계부분에 가해지는 하중을 충분히 견디게 됨은 물론, 꺽임 처짐현상을 방지하여 주게 된다.
따라서, 좌우측 보조발판부(40)는 상하수도 공사시 발생되는 웅덩이의 폭이 클 경우 발판부(10)의 전후측에 연장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하수도 공사시 발생되는 웅덩이의 폭이 작거나 안전발판을 운반 및 보관시에는 보조발판부(40)를 도 7에서 이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발판부 (10)의 하면에 접을 수 있다. 즉, 핸드레일부(20)에 고정된 연결고리(44a)로부터 체인(44b)을 분리한 후 보조발판부(40)을 하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 보조발판부(40)는 발판부(10)와 보조발판부(40)을 연결하는 경첩부(42)를 회전중심으로 180°로 회전되면서 발판부(10)의 하면에 밀착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안전발판은, 철제의 프레임과 합성수지제의 프레임을 합치시킨 발판부에 핸드레일부과 보조발판부를 접첩가능토록 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품을 경량화시키면서 강도를 높일 수 있고, 설치,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며, 시인성 및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Claims (7)

  1. 간선도로에서 상하수도 공사시 웅덩이에 걸쳐져 보행자 통행을 안내하는 안전발판에 있어서,
    발판부(10)의 길이변 양측단에 각각 설치되는 좌우 한쌍의 핸드레일부(20)와, 상기 좌우 한쌍의 핸드레일부(20)가 비사용될 때 발판부(10)의 상면에 순차적으로 포개어지도록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접철수단(30)으로 구성하며,
    상기 다수의 접철수단(30)은, 상기 발판부(10)의 사각 코너에 각각 용착되도록 서로 대향되는 양측면 상단에 관통홀(32a)이 형성된 지지몸체(32)와, 수직레일(22)의 하단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장홀(22a)과, 상기 장홀(22a)과 관통홀(32a)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수직레일(22)과 지지몸체(32)를 연결함과 동시에 장홀(22a)의 안내를 받으면서 지지몸체(32)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판(32b) 보다 상향되는 높이로 수직레일(22)이 상승될 때 핸드레일부(20)가 직각으로 접철되도록 단속하는 연결핀(3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안전발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10)는, 하부에 격자모양으로 배치되는 철제의 제1 프레임(12)과, 상기 제1 프레임(12)의 상면에 고정되어 발판부(10)의 전체무게를 경량화시키도록 사출성성된 합성수지제의 제2 프레임(14)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 프레임(14)은, 그 상면에 논슬립 역활을 수행하도록 형성된 돌기부 (14a)와, 그 중앙에 배수로기능을 하도록 형성된 다수의 슬릿(14b)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안전발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우 한쌍의 핸드레일부(20)는, 상기 접철수단(30)을 매개로 상기 발판부(10)의 길이변 사각 코너에 각각 회동자유롭게 힌지된 다수의 수직레일(22)과, 상기 다수의 수직레일(22)의 상단에 대하여 상기 발판부(10)의 길이변과 대응하는 방향을 따라 좌우측에 각각 일체로 고정되는 복수의 수평레일(24)과, 상기 수직레일(22)의 외주에 대하여 상기 발판부(10)의 길이변과 대응하는 방향을 따라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는 펜스(26)와, 상기 수평레일(24)의 상면에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발광되는 조명수단(28)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안전발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몸체(32)는 상부가 개구된 사각평면의 캡형상으로서, 그 관통홀(32a)은 지지몸체(32)에 대하여 서로 대향하는 양측면 중앙 상단에 형성되고, 그 걸림판(32b)은 지지몸체(32)에 대하여 상기 관통홀(32a)과 교차되는 양측면 상단에 일체로 돌설되면서 그 상단높이가 관통홀(32a)보다 하향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안전발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10)의 전후단에는 경첩부(42)를 매개로 각각 설치되어 사용시 발판부(10)와 동일한 수평으로 펼쳐지거나 비사용시 경첩부(42)를 회전중심으로 180°로 회전되어 발판부(10)의 하면에 각각 밀착되는 보조발판부(40)와, 상기 보조발판부(40)와 핸드레일부(20)를 연결하는 걸이수단(44)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안전발판.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10)의 전후측 단부 상단에는 상기 보조발판부(40)가 바깥으로 회동된 후 수평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받침턱(16)이 일체로 돌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안전발판.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걸이수단(44)은, 상기 핸드레일부(20)의 상부 끝단에 용착된 연결고리(44a)와, 상기 보조발판부(40)의 외부 끝단 모서리에 일측단이 고정되고 타측단이 상기 연결고리(44a)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체인(44b)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안전발판.
KR1020070025385A 2007-03-15 2007-03-15 접이식 안전발판 KR100804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5385A KR100804778B1 (ko) 2007-03-15 2007-03-15 접이식 안전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5385A KR100804778B1 (ko) 2007-03-15 2007-03-15 접이식 안전발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4778B1 true KR100804778B1 (ko) 2008-02-19

Family

ID=39382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5385A KR100804778B1 (ko) 2007-03-15 2007-03-15 접이식 안전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4778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34908A (zh) * 2011-01-13 2011-07-27 中建钢构有限公司 水平通道设备及其安装方法
KR101460160B1 (ko) * 2013-01-14 2014-11-20 (주)썬테크 접이식 고소작업대
KR101620867B1 (ko) 2015-01-20 2016-05-13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바닥 매립형 접철식 발판
KR101694696B1 (ko) * 2016-05-23 2017-01-10 자료원주식회사 접이식 허들
CN106703386A (zh) * 2016-12-13 2017-05-24 王明川 折叠式自行走简易施工车
WO2018225918A1 (ko) * 2017-06-09 2018-12-13 홍진산업 (주) 건축용 안전발판
KR102057244B1 (ko) * 2018-04-30 2019-12-18 주식회사 뉴텍엠 내측 접이식 안전 난간대
KR102250762B1 (ko) 2020-02-06 2021-05-10 윤남호 자동힌지구조를 구비한 접이식 구조물
KR102282354B1 (ko) * 2020-11-09 2021-07-28 삼진공작 (주) 내측벽과 외측벽 사이에 설치되는 작업 발판
CN113958113A (zh) * 2021-11-29 2022-01-21 中冶建工集团有限公司 踏板能够周转使用的脚手架
KR20230118229A (ko) * 2022-02-04 2023-08-11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비계용 접이식 안전발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9703A (ko) * 1998-02-16 1998-04-30 한동희 고정홈틀 및 고정홈에 거치되는 접이식 작업대
KR200267867Y1 (ko) 2001-12-11 2002-03-12 주식회사 남원건설엔지니어링 접이식 비계
KR200424319Y1 (ko) 2006-03-16 2006-08-18 남준식 높낮이 조절용 이동식 작업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9703A (ko) * 1998-02-16 1998-04-30 한동희 고정홈틀 및 고정홈에 거치되는 접이식 작업대
KR200267867Y1 (ko) 2001-12-11 2002-03-12 주식회사 남원건설엔지니어링 접이식 비계
KR200424319Y1 (ko) 2006-03-16 2006-08-18 남준식 높낮이 조절용 이동식 작업대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34908A (zh) * 2011-01-13 2011-07-27 中建钢构有限公司 水平通道设备及其安装方法
KR101460160B1 (ko) * 2013-01-14 2014-11-20 (주)썬테크 접이식 고소작업대
KR101620867B1 (ko) 2015-01-20 2016-05-13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바닥 매립형 접철식 발판
KR101694696B1 (ko) * 2016-05-23 2017-01-10 자료원주식회사 접이식 허들
CN106703386B (zh) * 2016-12-13 2023-09-19 王明川 折叠式自行走简易施工车
CN106703386A (zh) * 2016-12-13 2017-05-24 王明川 折叠式自行走简易施工车
WO2018225918A1 (ko) * 2017-06-09 2018-12-13 홍진산업 (주) 건축용 안전발판
KR102057244B1 (ko) * 2018-04-30 2019-12-18 주식회사 뉴텍엠 내측 접이식 안전 난간대
KR102250762B1 (ko) 2020-02-06 2021-05-10 윤남호 자동힌지구조를 구비한 접이식 구조물
KR102282354B1 (ko) * 2020-11-09 2021-07-28 삼진공작 (주) 내측벽과 외측벽 사이에 설치되는 작업 발판
CN113958113A (zh) * 2021-11-29 2022-01-21 中冶建工集团有限公司 踏板能够周转使用的脚手架
KR20230118229A (ko) * 2022-02-04 2023-08-11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비계용 접이식 안전발판
KR102659887B1 (ko) * 2022-02-04 2024-04-22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비계용 접이식 안전발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4778B1 (ko) 접이식 안전발판
KR20100084719A (ko) 신호등 지지용 지주장치
KR101651876B1 (ko) 맨홀 뚜껑 지지틀 조립체
KR101271446B1 (ko) 교량용 가설 인도교 설치에서의 신축력 흡수와 접합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와셔 플레이트 구조물
US20100301295A1 (en) Crowd barrier
KR101116740B1 (ko) 공동구를 구비한 교측보도교
KR101664990B1 (ko) 모듈로 조립되는 복합 터널 방식 교량
US9260829B1 (en) Pedestrian barricade
KR101804986B1 (ko) 상하 케이블에 의해 지지되는 보도 현수교
KR102558279B1 (ko) 지주식 인도교 및 데크로드 시공용 안전 작업구조물
KR101203083B1 (ko) 조립식 펜스
DK3130706T3 (en) Barriers to crowd control.
CN215887883U (zh) 一种组合式人行避障梯桥
KR20100034374A (ko) 절첩 구조를 가진 교량난간지주
CN210976855U (zh) 伸缩式井盖围栏
CN211815844U (zh) 一种市政公路工程用移动式防穿护栏
KR101299481B1 (ko) 부유식 교량
EP2872694B1 (en) Mobile bridge and method for erecting such a mobile bridge
KR101131933B1 (ko) 높이조절용 주차장 진출입 조절장치
KR101008975B1 (ko) 가설인도
CN219386003U (zh) 一种具有拱形栏杆的桥梁
KR200475551Y1 (ko) 맨홀 커버
US6474617B1 (en) Apparatus to support a light post and such a lamp post
CN212958043U (zh) 一种市政一体式装配型围挡
CN211691792U (zh) 一种建筑用围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