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6750B1 - 호환가능한 구조를 포함하는 1인 창호 작업대 - Google Patents

호환가능한 구조를 포함하는 1인 창호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6750B1
KR102236750B1 KR1020200057350A KR20200057350A KR102236750B1 KR 102236750 B1 KR102236750 B1 KR 102236750B1 KR 1020200057350 A KR1020200057350 A KR 1020200057350A KR 20200057350 A KR20200057350 A KR 20200057350A KR 102236750 B1 KR102236750 B1 KR 102236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ixing bracket
extension support
vertical railing
workbe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7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인호
Original Assignee
황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인호 filed Critical 황인호
Priority to KR1020200057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67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6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6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18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upported by cantilevers or other provisions mounted in openings in the building, e.g. window op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호환가능한 구조를 포함하는 1인 창호 작업대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1인 창호 작업대는, 건물 창호에 고정되어 작업자가 직립할 수 있는 지지구조를 제공하는 창호 작업대로서, 창호의 건물벽 내측면과 외측면을 잡아 고정되고, 상부면에 연장지지대가 결속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 고정브라켓트; 상기 고정브라켓트의 상부에 장착되고, 창호의 건물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이고, 평면상 다각형 형상의 프레임 구조를 형성하며 일측에 수직난간이 결속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 연장지지대; 및 상기 연장지지대의 상부에 장착되고, 연장지지대의 상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연장된 구조이고, 작업자의 측방 난간 구조를 형성하는 수직난간;을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물 창호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작업자가 직립할 수 있는 지지구조를 형성하여 안전한 작업 공간을 마련하고,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며, 해체한 경우 운반이 용이한 구조를 포함하는 1인 창호 작업대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호환가능한 구조를 포함하는 1인 창호 작업대 {Window Workbench For One man Having Compatible Structure}
본 발명은 1인 창호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 창호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작업자가 직립할 수 있는 지지구조를 형성하여 안전한 작업 공간을 마련하는 1인 창호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높은 위치에서의 공사 또는 시공 작업을 수행할 경우, 높은 위치에 손쉽게 도달하기 위해 특수장비들이 다양하게 개발되었다.
특히 건물의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창호를 설치할 경우, 고소작업차를 이용하여 해당 작업을 수행한다.
고소작업차(高所作業車)는 고소에서 공사, 점검, 보수 등의 작업에 사용되는 기계이며, 작업상, 승강 장치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작업발판이 상승, 하강 등을 하는 설비 중에서 동력을 이용하고 불특정한 장소에 자주(自走)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고소작업차를 주행장치에 의해 분류하면 트럭 식, 크롤러 식, 휠 식이 있으며, 작업장치에 의해 분류하면 신축 붐 형, 굴절 붐 형, 수직 승강 형 등이 있다. 작업상의 높이가 2m 이상의 고소작업차는 노동부장관이 정한 구조 규격을 구비함과 동시에 작업계획, 작업지휘자, 신호, 사용제한, 붐 등의 강하에 의한 위험방지, 안전대의 사용, 자체검사 등에 대한 조치가 정해져 있다
상기와 같은 고소작업차는 이동성을 갖추고 있으면서 다단 붐(boom)의 선단에 고소작업대(당업계에서는 '바스켓'이라 하기도 함)가 설치되어 고층아파트나 빌딩에 물품 운송용으로 이용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고소작업대에 작업자를 탑승시켜서 가로수나 가로등 및 신호등, 건물을 보수하거나 정비하기 위한 정비용, 또한 전신주의 보수작업용 등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상기 고소작업차는 고소작업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와, 고소작업대를 운전하는 운전자가 서로 일체가 되어 작업을 하게 되는데 서로 신호가 맞지 않을 경우 고소작업대에 작업을 하는 작업자의 낙하사고가 발생될 여지가 높으며, 실제 그러한 사고가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당 업계에서 제시하고 있는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소작업대에 안전 기구를 설치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따르면, 고소작업대용 안전 기구(S)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이면서 하나 또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 개로 구성될 경우 다수 개의 수평바(18)에 의해 지지고정되는 지주(10), 안전 연결고리(31)가 걸림 고정이 용이한 형태로 형성되는 고정고리(20), 고정고리(30)와 걸림 고정됨과 동시에 그 타측은 작업자의 엑스 반도(60)에 걸림 고정되고, 고소작업대(50)의 발판(51) 내에서만 제한적으로 길이가 가변 되는 안전로프(30), 고소작업대(5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고소작업대(50)의 일측에 설치 고정되는 고정수단(40)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고소작업대는 고소작업차에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작업을 위해서 필연적으로 고소작업차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고소작업차가 진입할 수 없는 환경에서는 해당 고소 작업을 수행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종래 기술에 따른 고소작업대의 경우, 자체 중량 및 부피가 비교적 크며, 이로 인해 설치, 해체 및 운반에 있어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고소작업차나 리프트가 들어갈 수 없는 협소 공간에 창호를 시공함에 있어, 작업자가 직접 창호에 걸터 앉아 시공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이때, 창호 시공 작업, 방수용 실링 처리 작업에 있어 안전사고 위험이 매우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창호가 하이샤시 구조로 시공될 경우, 하이샤시 구조의 상단부는 작업자의 육안으로 확인하기 곤란하여, 시공이 제대로 이뤄지기 어렵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창호 시공 마감의 품질은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달라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16170호 (공개일자: 2018년 10월 24일)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 창호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작업자가 직립할 수 있는 지지구조를 형성하여 안전한 작업 공간을 마련하고,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며, 해체한 경우 운반이 용이한 구조를 포함하는 1인 창호 작업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1인 창호 작업대는, 건물 창호에 고정되어 작업자가 직립할 수 있는 지지구조를 제공하는 창호 작업대로서, 창호의 건물벽 내측면과 외측면을 잡아 고정되고, 상부면에 연장지지대가 결속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 고정브라켓트; 상기 고정브라켓트의 상부에 장착되고, 창호의 건물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이고, 평면상 다각형 형상의 프레임 구조를 형성하며 일측에 수직난간이 결속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 연장지지대; 및 상기 연장지지대의 상부에 장착되고, 연장지지대의 상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연장된 구조이고, 작업자의 측방 난간 구조를 형성하는 수직난간;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트는, 창호의 건물벽 내측면과 인접하여 장착되고, 평면상 다각형 형상의 프레임 구조이며, 상부에 연장지지대와 결속되는 구조가 형성된 제1 고정브라켓트; 및 창호의 건물벽 외측면과 인접하여 장착되고, 평면상 다각형 형상의 프레임 구조이며, 상부에 연장지지대와 결속되는 구조가 형성된 제2 고정브라켓트;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장지지대에는 창호의 건물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다수의 고정브라켓트 결속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고정브라켓트와 제2 고정브라켓트의 상부에 형성된 결속구조는, 상기 연장지지대에 형성된 고정브라켓트 결속홈에 결속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고정브라켓트의 하부에는, 제1 고정브라켓트와 건물벽 내측면과의 이격거리를 변경하는 제1 이격거리 조절부재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고정브라켓트의 일측면에는, 제2 고정브라켓트와 건물벽 외측면과의 이격거리를 변경하는 제2 이격거리 조절부재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고정브라켓트의 하방 연장 길이는, 제1 고정브라켓트의 하방 연장 길이 대비 110 내지 200 %의 길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장지지대는, 창호의 건물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고, 평면상 다각형 형상의 프레임 구조이며, 창호의 건물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다수의 고정브라켓트 결속홈이 형성된 제1 연장지지대; 및 창호의 건물 외측에 위치하는 제1 연장지지대의 일측에 장착되고, 제1 연장지지대의 연장방향과 평면상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이며, 평면상 다각형 형상의 프레임구조이고, 상부에 수직난간이 결속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 제2 연장지지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연장지지대는 제1 연장지지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직난간은, 상기 연장지지대의 일단부의 양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되도록 장착되고, 상부 연장부가 서로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파이프 구조의 제1 수직난간; 및 상기 연장지지대의 상부에 소정 높이만큼 연장되도록 장착되고, 상부 연장부가 제1 수직난간과 힌지구조에 의해 결속되며, 평면상 제1 수직난간과 직각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수직난간;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힌지구조는, 제1 수직난간의 외주면을 감싸는 구조의 제1 장착 힌지부; 제2 수직난간이 소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도록, 제2 수직난간의 외주면을 감싸는 구조의 외주면을 감싸는 구조의 제2 장착 힌지부; 및 상기 제1 장착 힌지부와 제2 장착 힌지부를 일체화 시키는 힌지 본체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수직난간은, 연장지지대의 일단부의 양측에 한 쌍으로 장착되고, 상기 한 쌍의 제2 수직난간을 힌지구조에 의해 펼칠 경우, 제1 수직난간과 함께 이뤄지는 소정 크기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직난간 또는 제2 수직난간의 하부에는, 측방 개방 공간을 차단하는 판상형 빠짐 방지판이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직난간과 제2 수직난간은 하방으로 양단부가 연장되는 "ㄷ"자형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직난간과 제2 수직난간은 상방 연장길이를 변경할 수 있는 길이변경구조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직난간은, 상기 제1 수직난간 및 제2 수직난간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다수의 보강 결속홈; 및 상기 보강 결속홈에 장착되어 제1 수직난간, 제2 수직난간과 함께 조립되어 하나의 결속구조 또는 트러스 구조를 형성하는 보강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보강 연결부재는 환봉 구조, 파이프 구조, 로프 구조 또는 와이어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1인 창호 작업대는, 창호의 건물벽 내측면과 외측면을 잡아 고정되고, 연장지지대 또는 수직난간 또는 보강 연결부재와 연결되는 추가 고정브라켓트;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추가 고정브라켓트는, 연장지지대 또는 수직난간 또는 보강 연결부재와 추가 연결 와이어에 의해 서로 결속되고, 상기 추가 연결 와이어는 길이를 변경하여 추가 연결 와이어에 인가되는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길이변경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1인 창호 작업대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고정브라켓트, 연장지지대 및 수직난간을 구비함으로써, 건물 창호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작업자가 직립할 수 있는 지지구조를 형성하여 안전한 작업 공간을 마련하고,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며, 해체한 경우 운반이 용이한 구조를 포함하는 1인 창호 작업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1인 창호 작업대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제1 고정브라켓트 및 제2 고정브라켓트를 구비하고, 연장지지대에 의해 제1 고정브라켓트와 제2 고정브라켓트의 위치를 손쉽게 변경하여 고정할 수 있어, 건물벽의 두께에 따라 적절히 고정브라켓트의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다양한 건물벽에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는 1인 창호 작업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1인 창호 작업대에 따르면, 제1 고정브라켓트의 하부에 제1 이격거리 조절부재를 장착하고, 제2 고정브라켓트 일측면에 제2 이격거리 조절부재를 장착함으로써, 창호의 건물벽에 밀착하여 고정될 수 있어, 고정브라켓트의 더욱 안정적인 고정구조를 구현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작업자에게 안전한 작업 공간을 마련하는 1인 창호 작업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1인 창호 작업대에 따르면, 제2 고정브라켓트의 하방 연장 길이를, 제1 고정브라켓트의 하방 연장 길이 대비 110 내지 200 %의 길이로 한정함으로써, 구조적으로 고정브라켓트의 더욱 안정적인 고정구조를 구현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작업자에게 안전한 작업 공간을 마련하는 1인 창호 작업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1인 창호 작업대에 따르면, 창호의 건물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다수의 고정브라켓트 결속홈이 형성된 제1 연장지지대, 및 상부에 수직난간이 결속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 제2 연장지지대를 구비함으로써, 창호를 통해 건물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연장지지대의 구조를 안정적인 구조를 형성할 수 있고, 건물 외측에 수직난간이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작업자에게 안전한 작업 공간을 마련하는 1인 창호 작업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1인 창호 작업대에 따르면, 제1 연장지지대를 제1 연장지지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장착하고, 제1 수직난간과 제2 수직난간을 연장지지대에 탁부착 가능하도록 장착하며, 제1 수직난간과 제2 수직난간을 접거나 펼칠 수 있는 힌지구조로 결속시킴으로써,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며, 해체한 경우 운반이 용이한 구조를 포함하는 1인 창호 작업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1인 창호 작업대에 따르면, 제1 수직난간 또는 제2 수직난간의 하부에, 측방 개방 공간을 차단하는 판상형 빠짐 방지판을 장착함으로써, 제1 수직난간과 제2 수직난간에 의해 형성되는 작업공간에서 측방 개방 공간의 일부를 차단함으로써,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는 1인 창호 작업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1인 창호 작업대에 따르면, 제1 수직난간과 제2 수직난간은 상방 연장길이를 변경할 수 있는 길이변경구조를 구비함으로써, 설치 환경 및 작업자의 의도에 따라 적절히 구조 및 크기를 손쉽게 변경함으로써, 작업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1인 창호 작업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1인 창호 작업대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보강 결속홈을 제1 수직난간 및 제2 수직 난간에 형성하고, 이와 결속되어 하나의 결속구조 또는 트러스 구조를 형성하는 보강 연결부재를 구비함으로써, 구조적으로 더욱 안정적인 수직난간 결속구조를 구현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작업자에게 안전한 작업 공간을 마련하는 1인 창호 작업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1인 창호 작업대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추가 고정브라켓트, 추가 연결 와이어 및 길이변경부재를 구비함으로써, 구조적으로 더욱 안정적인 1인 창호 작업대 결속구조를 구현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작업자에게 안전한 작업 공간을 마련하는 1인 창호 작업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고소작업대를 나타내는 정면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인 창호 작업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1인 창호 작업대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1인 창호 작업대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1인 창호 작업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고정브라켓트의 제1 고정브라켓트 및 제2 고정브라켓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장지지대, 고정브라켓트 결속홈, 결속구조, 제1 고정브라켓트, 제1 이격거리 조절부재, 제2 고정브라켓트 및 제2 이격거리 조절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수직난간, 제2 수직난간 및 힌지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A-A'선 절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수직난간, 제2 수직난간 및 길이 변경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수직난간, 제2 수직난간, 보강 결속홈, 보강 연결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추가 고정브라켓트, 추가 연결 와이어 및 길이변경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인 창호 작업대를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1인 창호 작업대를 나타내는 우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2에 도시된 1인 창호 작업대를 나타내는 좌측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도 2에 도시된 1인 창호 작업대를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6에는 도 2에 도시된 고정브라켓트의 제1 고정브라켓트 및 제2 고정브라켓트를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1인 창호 작업대(100)는 건물 창호에 고정되어 작업자가 직립할 수 있는 지지구조를 제공하는 바, 특정 구조의 고정브라켓트(110), 연장지지대(120) 및 수직난간(130)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1인 창호 작업대(100)는, 건물 창호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작업자가 직립할 수 있는 지지구조를 형성하여 안전한 작업 공간을 마련하고,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며, 해체한 경우 운반이 용이한 구조를 포함하는 1인 창호 작업대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1인 창호 작업대(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브라켓트(110)는 창호의 건물벽 내측면과 외측면을 잡아 고정되는 구성으로서, 상부면에 연장지지대(120)가 결속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브라켓트(110)는, 특정 구조의 제1 고정브라켓트(111) 및 제2 고정브라켓트(112)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고정브라켓트(111)는, 창호의 건물벽 내측면과 인접하여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평면상 다각형 형상의 프레임 구조이며, 상부에 연장지지대(120)와 결속되는 구조(111j)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고정브라켓트(112)는, 창호의 건물벽 외측면과 인접하여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평면상 다각형 형상의 프레임 구조이며, 상부에 연장지지대(120)와 결속되는 구조(112j)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고정브라켓트(112)의 하방 연장 길이는, 제1 고정브라켓트(111)의 하방 연장 길이 대비 110 내지 200 %의 길이임이 바람직하다. 제2 고정브라켓트(112)와 인접하는 제2 연장지지대(122)에 작업자가 올라서게 되므로, 제2 고정브라켓트(112)의 하방 연장 길이를 제1 고정브라켓트(111) 보다 더 길게 형성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고정브라켓트(112)의 하방 연장 길이를, 제1 고정브라켓트(111)의 하방 연장 길이 대비 110 내지 200 %의 길이로 한정함으로써, 구조적으로 고정브라켓트(110)의 더욱 안정적인 고정구조를 구현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작업자에게 안전한 작업 공간을 마련하는 1인 창호 작업대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연장지지대(120)는 고정브라켓트(110)의 상부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창호의 건물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이다. 이때, 연장지지대(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상 다각형 형상의 프레임 구조를 형성하며 일측에 수직난간(130)이 결속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지지대(120)에는 창호의 건물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다수의 고정브라켓트 결속홈(120j)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고정브라켓트(111)와 제2 고정브라켓트(112)의 상부에 형성된 결속구조는, 연장지지대(120)에 형성된 고정브라켓트 결속홈(120j)에 결속되어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특정 구조의 제1 고정브라켓트(111) 및 제2 고정브라켓트(112)를 구비하고, 연장지지대(120)에 의해 제1 고정브라켓트(111)와 제2 고정브라켓트(112)의 위치를 손쉽게 변경하여 고정할 수 있어, 건물벽의 두께에 따라 적절히 고정브라켓트(110)의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다양한 건물벽에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는 1인 창호 작업대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1인 창호 작업대(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브라켓트(111)의 하부에, 제1 고정브라켓트(111)와 건물벽 내측면과의 이격거리를 변경하는 제1 이격거리 조절부재(113)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제2 고정브라켓트(112)의 일측면에는, 제2 고정브라켓트(112)와 건물벽 외측면과의 이격거리를 변경하는 제2 이격거리 조절부재(114)가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고정브라켓트(111)와 제2 고정브라켓트(112)는 건물벽(10)의 내측면과 외측면을 동시에 잡아 가압하는 형태로 고정되게 된다. 이때, 제1 이격거리 조절부재(113)를 이용하여 건물벽(10)을 더욱 가압하여 더욱 안정적인 고정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6 및 도 7에는 제1 이격거리 조절부재(113)와 제2 이격거리 조절부재(114)가 특정 위치에만 장착되어 있으나, 설계자의 의도 및 설치 환경에 따라 적절히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고정브라켓트(111)의 하부에 제1 이격거리 조절부재(113)를 장착하고, 제2 고정브라켓트(112) 일측면에 제2 이격거리 조절부재(114)를 장착함으로써, 창호의 건물벽에 밀착하여 고정될 수 있어, 고정브라켓트(110)의 더욱 안정적인 고정구조를 구현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작업자에게 안전한 작업 공간을 마련하는 1인 창호 작업대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장지지대(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장지지대(121) 및 제2 연장지지대(122)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제1 연장지지대(121)는,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호의 건물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는 구성으로서, 평면상 다각형 형상의 프레임 구조이다.
제2 연장지지대(122)는,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호의 건물 외측에 위치하는 제1 연장지지대(121)의 일측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제1 연장지지대(121)의 연장방향과 평면상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이며, 평면상 다각형 형상의 프레임구조이고, 상부에 수직난간(130)이 결속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연장지지대(122)는 제1 연장지지대(121)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창호의 건물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다수의 고정브라켓트 결속홈(120j)이 형성된 제1 연장지지대(121), 및 상부에 수직난간(130)이 결속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 제2 연장지지대(122)를 구비함으로써, 창호를 통해 건물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연장지지대(120)의 구조를 안정적인 구조를 형성할 수 있고, 건물 외측에 수직난간(130)이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작업자에게 안전한 작업 공간을 마련하는 1인 창호 작업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수직난간, 제2 수직난간 및 힌지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도 8의 A-A'선 절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도 2 내지 도 5와 함께 참조하면, 수직난간(130)은 연장지지대(120)의 상부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연장지지대(120)의 상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연장된 구조이고, 작업자의 측방 난간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수직난간(131)은, 연장지지대(120)의 일단부의 양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되도록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상부 연장부가 서로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파이프 구조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수직난간(132)은, 연장지지대(120)의 상부에 소정 높이만큼 연장되도록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상부 연장부가 제1 수직난간(131)과 힌지구조(140)에 의해 결속되며, 평면상 제1 수직난간(131)과 직각 방향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도 2, 도 3 및 도 8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수직난간(131)과 제2 수직난간(132)은 하방으로 양단부가 연장되는 "ㄷ"자형 구조일 수 있다.
한편, 위 언급한 힌지구조(14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구조의 제1 장착 힌지부(141), 제2 장착 힌지부(142) 및 힌지 본체부(143)를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장착 힌지부(141)는 제1 수직난간(131)의 외주면을 감싸는 구조이다. 또한, 제2 장착 힌지부(142)는, 제2 수직난간(132)이 소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도록 제2 수직난간(132)의 외주면을 감싸는 구조임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서 제1 장착 힌지부(141) 역시 제1 수직난간(131)이 소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수직난간(132)은, 연장지지대(120)의 일단부의 양측에 한 쌍으로 장착되어, 한 쌍의 제2 수직난간(132)을 힌지구조(140)에 의해 펼칠 경우, 제1 수직난간(131)과 함께 이뤄지는 소정 크기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후, 형성된 소정 크기의 공간에 발판을 설치하여 작업자가 올라설 수 있는 작업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연장지지대(121)를 제1 연장지지대(121)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장착하고, 제1 수직난간(131)과 제2 수직난간(132)을 연장지지대(120)에 탁부착 가능하도록 장착하며, 제1 수직난간(131)과 제2 수직난간(132)을 접거나 펼칠 수 있는 힌지구조(140)로 결속시킴으로써,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며, 해체한 경우 운반이 용이한 구조를 포함하는 1인 창호 작업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2 내지 도 4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직난간(131) 또는 제2 수직난간(132)의 하부에는, 측방 개방 공간을 차단하는 판상형 빠짐 방지판(150)이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수직난간(131) 또는 제2 수직난간(132)의 하부에, 측방 개방 공간을 차단하는 판상형 빠짐 방지판(150)을 장착함으로써, 제1 수직난간(131)과 제2 수직난간(132)에 의해 형성되는 작업공간에서 측방 개방 공간의 일부를 차단함으로써,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는 1인 창호 작업대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수직난간(131)과 제2 수직난간(132)은 상방 연장길이를 변경할 수 있는 길이변경구조(133)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수직난간(131)과 제2 수직난간(132)은 상방 연장길이를 변경할 수 있는 길이변경구조(133)를 구비함으로써, 설치 환경 및 작업자의 의도에 따라 적절히 구조 및 크기를 손쉽게 변경함으로써, 작업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1인 창호 작업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1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수직난간, 제2 수직난간, 보강 결속홈, 보강 연결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2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추가 고정브라켓트, 추가 연결 와이어 및 길이변경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우선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수직난간(130)은, 특정 위치에 형성되는 보강 결속홈(134) 및 이에 결속되는 보강 연결부재(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 결속홈(134)은, 제1 수직난간(131) 또는 제2 수직난간(132)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형성될 수 있다.
보강 연결부재(135)는, 보강 결속홈(134)에 장착되어 제1 수직난간(131), 제2 수직난간(132)과 함께 조립되어 하나의 결속구조 또는 트러스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보강 연결부재(135)는, 환봉 구조, 파이프 구조, 로프 구조 또는 와이어 구조일 수 있다.
도 11에는 하나의 예시를 도시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설계자의 의도 및 시공 환경에 따라 적절히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보강 결속홈(134)을 제1 수직난간(131) 및 제2 수직 난간에 형성하고, 이와 결속되어 하나의 결속구조 또는 트러스 구조를 형성하는 보강 연결부재(135)를 구비함으로써, 구조적으로 더욱 안정적인 수직난간(130) 결속구조를 구현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작업자에게 안전한 작업 공간을 마련하는 1인 창호 작업대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1인 창호 작업대(100)는, 창호의 건물벽 내측면과 외측면을 잡아 고정되는 추가 고정브라켓트(16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추가 고정브라켓트(160)는 연장지지대(120) 또는 수직난간(130) 또는 보강 연결부재(135)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추가 고정브라켓트(160)는, 연장지지대(120) 또는 수직난간(130) 또는 보강 연결부재(135)와 추가 연결 와이어(161)에 의해 서로 결속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 연결 와이어(161)는 길이를 변경하여 추가 연결 와이어(161)에 인가되는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길이변경부재(16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추가 고정브라켓트(160), 추가 연결 와이어(161) 및 길이변경부재(162)를 구비함으로써, 구조적으로 더욱 안정적인 1인 창호 작업대 결속구조를 구현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작업자에게 안전한 작업 공간을 마련하는 1인 창호 작업대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견물벽
11: 창호
100: 1인 창호 작업대
110: 고정브라켓트
111: 제1 고정브라켓트
111j: 결속구조
112: 제2 고정브라켓트
112j: 결속구조
113: 제1 이격거리 조절부재
114: 제2 이격거리 조절부재
120: 연장지지대
120j: 고정브라켓트 결속홈
121: 제1 연장지지대
122: 제2 연장지지대
130: 수직난간
131: 제1 수직난간
132: 제2 수직난간
133: 길이변경구조
134: 보강 결속홈
135: 보강 연결부재
136: 길이변경부재
140: 힌지구조
141: 제1 장착 힌지부
142: 제2 장착 힌지부
143: 힌지 본체부
150: 판상형 빠짐 방지판
160: 추가 고정브라켓트
161: 추가 연결 와이어
162: 길이변경부재
163: 회전축
164: 회전드럼
165: 라쳇휠(ratchet wheel)
166: 라킹폴(locking pawl)

Claims (5)

  1. 건물 창호에 고정되어 작업자가 직립할 수 있는 지지구조를 제공하는 창호 작업대(100)로서,
    창호의 건물벽 내측면과 외측면을 잡아 고정되고, 상부면에 연장지지대(120)가 결속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 고정브라켓트(110);
    상기 고정브라켓트(110)의 상부에 장착되고, 창호의 건물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이고, 평면상 다각형 형상의 프레임 구조를 형성하며 일측에 수직난간(130)이 결속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 연장지지대(120); 및
    상기 연장지지대(120)의 상부에 장착되고, 연장지지대(120)의 상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연장된 구조이고, 작업자의 측방 난간 구조를 형성하는 수직난간(130);
    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난간(130)은,
    상기 연장지지대(120)의 일단부의 양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되도록 장착되고, 상부 연장부가 서로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파이프 구조의 제1 수직난간(131); 및
    상기 연장지지대(120)의 상부에 소정 높이만큼 연장되도록 장착되고, 상부 연장부가 제1 수직난간(131)과 힌지구조(140)에 의해 결속되며, 평면상 제1 수직난간(131)과 직각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수직난간(132);
    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구조(140)는,
    제1 수직난간(131)의 외주면을 감싸는 구조의 제1 장착 힌지부(141);
    제2 수직난간(132)이 소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도록 제2 수직난간(132)의 외주면을 감싸는 구조의 제2 장착 힌지부(142); 및
    상기 제1 장착 힌지부(141)와 제2 장착 힌지부(142)를 일체화 시키는 힌지 본체부(143);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수직난간(132)은, 연장지지대(120)의 일단부의 양측에 한 쌍으로 장착되고,
    상기 한 쌍의 제2 수직난간(132)을 힌지구조(140)에 의해 펼칠 경우, 제1 수직난간(131)과 함께 이뤄지는 소정 크기의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인 창호 작업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트(110)는,
    창호의 건물벽 내측면과 인접하여 장착되고, 평면상 다각형 형상의 프레임 구조이며, 상부에 연장지지대(120)와 결속되는 구조(111j)가 형성된 제1 고정브라켓트(111); 및
    창호의 건물벽 외측면과 인접하여 장착되고, 평면상 다각형 형상의 프레임 구조이며, 상부에 연장지지대(120)와 결속되는 구조(112j)가 형성된 제2 고정브라켓트(11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인 창호 작업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지지대(120)에는 창호의 건물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다수의 고정브라켓트 결속홈(120j)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고정브라켓트(111)와 제2 고정브라켓트(112)의 상부에 형성된 결속구조는, 상기 연장지지대(120)에 형성된 고정브라켓트 결속홈(120j)에 결속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인 창호 작업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지지대(120)는,
    창호의 건물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고, 평면상 다각형 형상의 프레임 구조이며, 창호의 건물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다수의 고정브라켓트 결속홈(120j)이 형성된 제1 연장지지대(121); 및
    창호의 건물 외측에 위치하는 제1 연장지지대(121)의 일측에 장착되고, 제1 연장지지대(121)의 연장방향과 평면상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이며, 평면상 다각형 형상의 프레임구조이고, 상부에 수직난간(130)이 결속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 제2 연장지지대(12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인 창호 작업대.
  5. 삭제
KR1020200057350A 2020-05-13 2020-05-13 호환가능한 구조를 포함하는 1인 창호 작업대 KR102236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350A KR102236750B1 (ko) 2020-05-13 2020-05-13 호환가능한 구조를 포함하는 1인 창호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350A KR102236750B1 (ko) 2020-05-13 2020-05-13 호환가능한 구조를 포함하는 1인 창호 작업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6750B1 true KR102236750B1 (ko) 2021-04-06

Family

ID=75472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7350A KR102236750B1 (ko) 2020-05-13 2020-05-13 호환가능한 구조를 포함하는 1인 창호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675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5979A (ja) * 1997-03-03 1998-09-14 Nihon Bisoh Co Ltd 壁面作業用ロープの支持装置
KR20000012050U (ko) * 1998-12-14 2000-07-05 최규두 건축공사용 작업대
KR100559118B1 (ko) * 2005-06-22 2006-03-15 대건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고소 작업대
KR200424319Y1 (ko) * 2006-03-16 2006-08-18 남준식 높낮이 조절용 이동식 작업대
KR20180116170A (ko) 2018-10-05 2018-10-24 유지씨 주식회사 고소작업대용 안전 기구 및 그 안전 기구가 설치된 고소작업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5979A (ja) * 1997-03-03 1998-09-14 Nihon Bisoh Co Ltd 壁面作業用ロープの支持装置
KR20000012050U (ko) * 1998-12-14 2000-07-05 최규두 건축공사용 작업대
KR100559118B1 (ko) * 2005-06-22 2006-03-15 대건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고소 작업대
KR200424319Y1 (ko) * 2006-03-16 2006-08-18 남준식 높낮이 조절용 이동식 작업대
KR20180116170A (ko) 2018-10-05 2018-10-24 유지씨 주식회사 고소작업대용 안전 기구 및 그 안전 기구가 설치된 고소작업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9781B2 (en) Safety barrier netting system
US9528285B2 (en) Safety barrier netting system with rigid panel net supports and stopper mechanisms
US7971408B2 (en) Stairtower and method for erecting the same
RU2400609C2 (ru) Комплексная система обеспечения техники безопасности в строительстве
KR100260648B1 (ko) 건축 공사용 안전 펜스
AU2021107613A4 (en) A perimeter safety screen assembly
CA2143813A1 (en) Lifting scaffold
US20080264725A1 (en) Hook-On Scaffold
JP2000282691A (ja) 塔状高層構造物内壁への部材取付け施工法及び足場装置
KR102236750B1 (ko) 호환가능한 구조를 포함하는 1인 창호 작업대
KR20090099182A (ko) 조립식틀비계의 일체형 안전난간대
KR20120057363A (ko) 터널형 구조물 작업용 사다리 조립체
KR100828576B1 (ko) 이동식 틀비계용 난간대
JP6520533B2 (ja) 天井クレーン支持装置及び荷重受け部材
JP5356091B2 (ja) クレーンガーダー交換方法およびクレーンガーダー交換装置
KR200480362Y1 (ko) 갱 폼의 낙하방지망
CN211229470U (zh) 一种多点悬挂脚手架
KR101912178B1 (ko) 접이식 2단구조를 갖는 안전난간
KR102178186B1 (ko) 접이식 구조를 갖는 확장형 스카이 버켓 안전난간구조체
KR102230963B1 (ko) 고소 작업차량의 가변형 탑승함
JP2004232366A (ja) つり足場
KR102219660B1 (ko) 사장교 주탑부 케이블 설치를 위한 승강 작업대 및 이를 이용한 사장교 주탑부의 케이블 시공방법
KR20200069533A (ko) 발전소 보일러 연소실 내부 코너부 작업대 및 시공방법
EP1876315A1 (en) Integral safety system which can be used for construction
KR102410377B1 (ko) 모듈형 작업대 및 모듈형 작업대 설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