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0963B1 - 고소 작업차량의 가변형 탑승함 - Google Patents

고소 작업차량의 가변형 탑승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0963B1
KR102230963B1 KR1020190118087A KR20190118087A KR102230963B1 KR 102230963 B1 KR102230963 B1 KR 102230963B1 KR 1020190118087 A KR1020190118087 A KR 1020190118087A KR 20190118087 A KR20190118087 A KR 20190118087A KR 102230963 B1 KR102230963 B1 KR 102230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ing
frame
fixing
variable
hand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8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장현
박환성
김영식
김진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호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호룡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호룡
Priority to KR1020190118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09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소 작업차량의 가변형 탑승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 환경의 조건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가변시킬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사각 틀체형상의 바닥프레임(110)과, 상기 바닥프레임(110)의 배면에 세워지는 배면고정난간(120)과, 상기 바닥프레임(110)의 전방을 향해 연결되어 펼침상태에서 상부를 향해서 절첩되는 전면확장프레임(130)과, 상기 바닥프레임(110)의 양쪽 측면을 향해 연결되어 펼침상태에서 상부를 향해서 절첩되는 측면확장프레임(140)들과, 상기 전면확장프레임(130)의 양쪽 측면으로 각각 상부를 향해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는 코너확장프레임(150)들과, 상기 측면확장프레임(140)들의 배면으로 세워지는 제1난간(101)과, 상기 측면확장프레임(140)들의 양쪽 측면으로 세워지는 제2난간(102)과, 상기 코너확장프레임(150)들의 양쪽 측면으로 세워지는 제3난간(103)과, 상기 코너확장프레임(150)들의 전면으로 세워지며 제3난간(103)과 힌지로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난간(104)과, 상기 전면확장프레임(130)의 전면으로 세워지며, 상기 제4난간(104)과 힌지로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5난간(105)들과, 상기 각 난간들이 적어도 2개 이상 중첩될 때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시키는 난간고정클램핑수단(200)와, 상기 측면확장프레임(140) 및 코너확장프레임(150)이 난간으로 이용되기 위해 세워지는 방향으로는 스프링(330)의 탄력으로 잠금바(320)가 후퇴되며 고정구멍(301)에 걸려지게 하여 잠금상태를 유지시키고, 해제보턴(340)의 조작으로 걸림을 해제토록 하는 일방향로크수단(300)과, 상기 전면확장프레임(130)과 코너확장프레임(150)의 경계 위치로 직선 펼침상태 및 직각 절첩상태를 각각 위치고정시키기 위한 가변로크수단(400)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소 작업차량의 가변형 탑승함{Variable Type boarding box of high place works car}
본 발명은 고소 작업차량의 가변형 탑승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 환경의 조건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가변시킬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가 고층화를 이루면서 고소작업을 위한 특수 장비들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다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 일 예로서 붐이 설치되고 이동성을 갖춘 고소 작업차가 있다.
고소 작업차는 붐의 선단에 적재대를 겸한 탑승함 설치되어 고층 아파트나 빌딩에 물품 운송 작업용으로 이용되며, 경우에 따라 작업자를 탑승시켜서 가로수나 가로등 및 신호등을 보수하거나 정비하기 위한 정비용으로 사용된다.
또한, 고층 건물 외벽 설치 및 보수 작업 등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고소 작업차의 구성은 도 1에서와 같이 다수의 붐들이 내장되어 접첩식으로 조립된 붐(2)이 하단부에 링기어를 이용한 회전수단을 갖춘 붐지지대(4)와 힌지 결합에 의해 일체를 이루고, 붐지지대(4)는 차량의 차대(1)에 회전가능 하도록 설치된다.
이 붐 어세이(10)는 다수개의 붐이 안테나식으로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고, 최상단의 붐 선단에는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는 탑승함(100)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힌지 결합을 이루고 있는 붐 어세이(10)와 붐지지대(4)간에는 붐의 각도를 조종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한 유압장치와, 안테나 식으로 중첩되어 있는 붐들을 늘어나게 하거나 줄어들게 하기 위해 붐 내부에는 신축용 유압실린더나 윈치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탑승함(100)에 작업자를 탑승시킨 상태에서 붐을 신축 작동시켜 고층 건물에서 고소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고소 작업차에 설치되는 붐(boom)은 길이를 신축하기 위해서 다수개 붐이 슬라이딩하도록 안테나식으로 형성되어 다단의 붐을 인출하는 붐 인출수단과, 붐대에 각도 및 회전 변경이 가능하게 탑승함을 연결하는 탑승함 회전 연결장치와, 상기 탑승함 연결장치를 구동시키는 유압 구동부를 포함하여 고소 작업차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탑승함의 하부에는 과적재를 방지하기 위해 작업자 및 탑재물이 탑재된 탑승함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로드셀과, 탑승함의 수평을 유지하기 위한 센서와 수평 유지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최종 붐의 선단에 설치되는 통상의 탑승함은, 소정의 크기를 갖는 사각플레이트형상의 바닥판과, 이 바닥판의 후단으로부터 세워지는 후면난간과, 바닥판의 좌우 양측면에 세워지는 좌측난간 및 우측난간과, 상기 바닥판의 선단에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힌지 결합되는 전면난간으로 이루어진다.
바닥판의 둘레에 세워지는 난간들이 모두 고정 설치되는 경우 탑재되는 화물의 부피가 큰 경우에는 수용이 곤란하기 때문에 여러번에 걸쳐 작업을 해야됨에 따라 작업효율이 현저히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종래, 국내 등록 실용신안 제20-0315891호에서와 같이 탑승함의 내부공간의 크기를 작업높이 또는 화물의 부피에 따라 변화시켜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고소 작업차의 탑승함 구조가 제안된바 있었다.
즉, 바닥판의 각 둘레에 안전난간들이 모두 세워지는 기본형 탑승함과, 안전난간 없이 펼쳐지는 형태, 그리고 안전난간이 설치된 상태에서 펼쳐지는 형태로만 변형이 가능하게 되었다.
따라서, 바닥판의 크기 변형이 다양하지 못하고, 화물의 부피와 작업장의 각종 조건에 따른 형태 변형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 바닥판의 형태를 변화하게 되면, 양쪽 측면과 전면에 안전 난간이 설치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되어 부주의로 작업자 또는 탑재된 물건 추락에 의해 사망재해가 발생되는 등 작업자로 하여금 심한 불안감을 느끼게 하여, 작업을 기피하는 원인이 되었다.
또, 탑승함에는 고소 작업을 위한 각종 물건들이 탑재되어 있는 경우 탑승함의 공간이 협소해지게 되어 작업자의 이동과 작업 활동에 많은 불편함을 주는 단점도 있었다.
국내 등록 특허 제10-1615107호(등록일자 2016년04월19일) 국내 등록 실용신안 제20-0315891호(등록일자 2003년05월29일)
본 발명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작업환경과 탑재되는 화물의 부피 등을 감안하여 형태를 다양하게 가변시켜 최적의 조건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고소 작업차량의 가변형 탑승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물을 적재한 상태에서도 충분한 활동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고소 작업차량의 가변형 탑승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전난간 해체로 인한 각종 재해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고소 작업차량의 가변형 탑승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작업의 편리성과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고소 작업차량의 가변형 탑승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구성은, 사각 틀체형상의 바닥프레임(110)과,
상기 바닥프레임(110)의 배면에 세워지는 배면고정난간(120)과,
상기 바닥프레임(110)의 전방을 향해 연결되어 펼침상태에서 상부를 향해서 절첩되는 전면확장프레임(130)과,
상기 바닥프레임(110)의 양쪽 측면을 향해 연결되어 펼침상태에서 상부를 향해서 절첩되는 측면확장프레임(140)들과,
상기 전면확장프레임(130)의 양쪽 측면으로 각각 상부를 향해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는 코너확장프레임(150)들과,
상기 측면확장프레임(140)들의 배면으로 세워지는 제1난간(101)과,
상기 측면확장프레임(140)들의 양쪽 측면으로 세워지는 제2난간(102)과,
상기 코너확장프레임(150)들의 양쪽 측면으로 세워지는 제3난간(103)과,
상기 코너확장프레임(150)들의 전면으로 세워지며 제3난간(103)과 힌지로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난간(104)과,
상기 전면확장프레임(130)의 전면으로 세워지며, 상기 제4난간(104)과 힌지로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5난간(105)들과,
상기 각 난간들이 적어도 2개 이상 중첩될 때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시키는 난간고정클램핑수단(200)과,
상기 측면확장프레임(140) 및 코너확장프레임(150)이 난간으로 이용되기 위해 세워지는 방향으로는 스프링(330)의 탄력으로 잠금바(320)가 후퇴되며 고정구멍(301)에 걸려지게 하여 잠금상태를 유지시키고, 해제보턴(340)의 조작으로 걸림을 해제토록 하는 일방향로크수단(300)과,
상기 전면확장프레임(130)과 코너확장프레임(150)의 경계 위치로 직선 펼침상태 및 직각 절첩상태를 각각 위치고정시키기 위한 가변로크수단(400)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변로크수단(400)은 전면확장프레임(130)과 코너확장프레임(150)의 어느 일측으로는 2개의 고정구멍(411)(412)이 뚫어지는 고정브라켓트(410)을 고정시키고, 타측으로는 고정브라켓트(410)와 가동브라켓트(420)가 서로 일직선 상태 및 수직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가동브라켓트(420)의 하우징(430)에서 출몰되는 로크핀(440)이 고정구멍(411)(412)에 선택적으로 끼워 고정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로크핀(440)은 로크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우징(430) 내부로 압축스프링(450)이 탄력 설치되고, 로크핀(440)의 하단부에는 로크 해제조작을 위해 손잡이(460)이 부착된다.
상기 난간고정클램핑수단(200)은 연결부재(210)가 장볼트(220)와 고정핀(230)을 연결한 상태에서 상하 슬라이드 가능하게 조립하고, 가장 내측과 가장 외측에 위치되는 난간에 뚫어지는 고정홀(201)의 위치로 장볼트(220)와 고정핀(230)을 각각 끼워 설치하는 것에 의해 유동과 펼쳐짐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코너확장프레임(150)의 끝단 기둥에는 장홀(151)을 뚫고 제3난간(103)으로 볼트(152)를 체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제3난간(103)과 제4난간(104) 사이에는 설치 간격을 보상하기 위한 연결판(160)이 각각 유동가능하게 힌지 설치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본 탑재함 구조로부터 대략 5가지의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쉽게 변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조건의 작업 환경에 맞추어 최적의 탑재함 형태를 갖출 수 있으므로 작업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 필요에 따라 화물을 탑재한 상태에서도 작업자의 활동 공간이 넓어지게 되어 작업 편의성이 대폭 향상되고 탑재함 확장을 위해 안전난간을 제거할 이유가 없어 작업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가 있게 된다.
그러므로, 고소작업이 가능한 선택의 폭이 다양해지고, 안정성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고소 작업차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기본형 탑승함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도 2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2실시예에 따른 탑승함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3실시예에 따른 탑승함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4실시예에 따른 탑승함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평면도.
도 11은 도 9의 A부분 확대도.
도 12는 도 9의 B부분 확대도.
도 13는 도 9의 정면 방향에서 일방향로크수단의 설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방향로크수단 구성을 보인 확대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5실시예에 따른 탑승함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평면도.
도 17은 도 15의 C-C선 종단면도.
도 18은 도 16의 D부분 확대도.
도 19는 도 16의 E부분 확대도.
도 20은 난간고정클램핑수단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1은 가변로크수단이 수직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구성을 일부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 22는 가변로크수단이 수평 직선 펼침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구성을 일부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 23은 도 21의 F-F선 단면도.
도 24는 도 22의 G-G선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의 차대(1)에 붐지지대(4)가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붐지지대(4)는 다수의 붐들이 내장되어 접첩식으로 조립되는 붐 어세이(10)가 힌지 결합된다.
붐 에세이(10)는 수개의 붐들이 안테나식으로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도록 신축 작용이 가능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붐 어세이(10)와 붐지지대(4) 사이에는 각도를 조종하는 메인실린더(6)를 포함한 유압장치와, 붐들의 신축 작용을 위하여 메인붐 어세이(10)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신축용 유압실린더나 윈치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붐 어세이(10)의 단부에는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적재기능과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는 탑승함(100)이 후레임(11)의 상부에 안착되어 있다.
후레임(11)의 내부에는 구동모터(12)에 의해 링기어를 구동시켜 탑승함을 선회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회전수단을 포함하여 과중량 탑재 감지용 로드셀과 수평유지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수평유지장치는 붐 어세이(10)가 경사진 상태로 펼쳐질 때 작업자 및 적재물의 안전을 위해 항상 지면과 수평상태를 자동으로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기도 하는데, 이는 통상적이다.
본 발명의 탑승함(100) 구성은, 사각 틀체형상으로 바닥면을 이루고 있는 바닥프레임과(110)의 후면(배면)에는 배면고정난간(120)이 세워지게 된다.
바닥프레임과(110)의 후면에는 배면고정난간(120)의 하단 외측부에 밀착, 지지하기 위한 지지살(111)이 대략 수직방향으로 일체로 성형되어 배면고정난간(120)이 절첩되거나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도 18)
이 바닥프레임(110)의 전방으로는 전면확장프레임(130)이 바닥면 확장을 위해 펼쳐진 상태에서 상부로 대략 수직하게 절첩이 가능하도록 힌지 연결된다.
바닥프레임(110)와 전면확장프레임(130)은 도 19에서와 같이 각각 속이 빈 사각 단면형상으로 그 수직 경계부가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상단에 힌지핀(170)으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수평으로 펼쳐진 상태에서는 상부 방향으로 절첩되는 것은 가능한 반면, 어느 한쪽이 하부로 젖쳐지는 것은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프레임(110)의 양쪽 측면에는 측면확장프레임(140)이 바닥면 확장을 위해 펼쳐진 상태에서 상부로 대략 수직하게 절첩이 가능하도록 힌지 연결된다.
또, 상기 전면확장프레임(130)의 양쪽 측면에는 코너확장프레임(150)들이 확장을 위해 펼쳐진 상태에서 상부로 대략 수직하게 절첩이 가능하도록 힌지 연결된다.
여기서, 바닥프레임(110)과 측면확장프레임(140) 및 전면확장프레임(130)과 코너확장프레임(150)은 각각 속이 빈 사각 단면형상으로 그 수직 경계부가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상단에 힌지 결합되어 있으므로, 수평으로 펼쳐진 상태에서는 상부 방향으로 절첩되는 것은 가능한 반면, 어느 한쪽이 하부로 젖쳐지는 것은 방지된다.
상기 측면확장프레임(140)들의 배면으로 제1난간(101)이 세워지고, 상기 측면확장프레임(140)들의 양쪽 측면으로는 제2난간(102)이 세워 설치된다.
또, 상기 코너확장프레임(150)들의 양쪽 측면으로는 제3난간(103)이 세워지고, 상기 코너확장프레임(150)들의 전면으로 세워지며 제3난간(103)에는 제4난간(104)이 힌지로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확장프레임(130)의 전면으로 제5난간(105)들이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4난간(104)과 힌지로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들 각 난간들은 후술하는 기본형 탑승함 형태에서 각 둘레를 따라 모두 세워 설치된 상태에서 탑승자 또는 적재된 화물 등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역할을 갖는다.
또한, 탑승함의 형태가 변형되어 상기한 각 난간들이 적어도 2개 이상 중첩될 때는 난간고정클램핑수단(200)을 이용해 유동되거나 임의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난간고정클램핑수단(200)으로 배면고정난간(120)의 후면으로 제1난간(101)으로부터 제5난간(105)가 모두 중첩되는 위치로는 막대형상의 연결부재(210)를 통해 클램핑하게 된다.
연결부재(210)는 막대형상으로 장볼트(220)와 고정핀(230) 사이를 연결한 상태에서 상하 슬라이드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다.(도 20)
그리고, 가장 내측의 배면고정난간(120)과 가장 외측에 위치되는 제4난간(104)들의 상단부 대략 중앙 위치에 미리 고정홀(201)들을 뚫어, 이 고정용 구멍들의 위치로 장볼트(220)와 고정핀(230)을 각각 끼워지게 하는 것에 의해 연결부재(210)가 각 난간들이 유동되거나 임의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탑승함의 형태를 변형하고자 할 때는 연결부재(210)를 상부로 들어서 이동하게 되면 난간 고정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게 되며, 고정핀(230)의 상단에 뚫어진 홀을 통해 R핀을 끼워서 연결부재(210)의 이탈을 방지할 수도 있다.
난간고정클램핑수단(200) 역할을 수행하는 연결부재(210)의 역할이 불필요 하는 경우에는 배면고정난간(120)에 장볼트(220) 일측으로 마련된 위치고정핀을 이용해 유동되지 못하도록 한다.
상기한 난간고정클램핑수단(200)은 난간이 2개 또는 3개가 중첩되는 경우는 돈사고리(240)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것이 좋다.
즉,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제5난간(105)과 힌지 연결된 제4난간(104)에는 돈사고리(240)를 고정부착하고, 제1난간(101)에는 핀(242)을 고정시켜 절첩되는 과정에서 돈사고리(240) 내부에 진입되면 로크되고, 와이어(241)를 당기면 로크 해제되는 방법으로 간단하게 로킹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돈사고리(240)의 구조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부품을 선택하여 적용하는 것으로, 상세한 구조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측면확장프레임(140) 및 코너확장프레임(150)에는 탑승함의 형태를 가변시켜 난간으로 이용될 때 주변에 세워서 설치되는 난간과의 로킹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일방향로크수단(300) 마련되어 있다.
즉, 일방향로크수단(300)은 장방형의 하우징 내부로 스프링(330)에 의해 잠금바(320)를 탄력 설치하고, 잠금바(320)에는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는 해제보턴(340)이 결합되어 있다.(도 14)
잠금바(320)는 일면은 직선으로 타측면은 둥근 호형으로 이루어져 주변에 세워 설치되는 난간에 결착하기 위해 마련되어 있던 고정구멍(301)을 향해 잠금바(320)의 동근부분이 접촉될 때는 스프링(330)의 탄력으로 후퇴된 후 다시 전진되어 직선면이 고정구멍(301)에 끼워지면 완전한 결착이 이루어질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탑승함 형태 변형을 위해 잠금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해제보턴(340)을 이용해 잠금바(320)를 후퇴시키면 걸림이 해제된다.
또한, 상기 전면확장프레임(130)과 코너확장프레임(150)의 경계 위치로는 직선 펼침상태 및 직각 절첩상태를 각각 위치고정시키기 위한 가변로크수단(400)이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가변로크수단(400)은 전면확장프레임(130)과 코너확장프레임(150)의 경계부 저면에 어느 일측으로는 2개의 고정구멍(411)(412)이 뚫어지는 고정브라켓트(410)을 고정시키게 된다.
또, 전면확장프레임(130)과 코너확장프레임(150)의 경계부 저면에 고정브라켓트(410)와 일직선 상태 및 직각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가동브라켓트(420)가 고정된다.
가동브라켓트(420)는 저면으로 하우징(430)이 고정 부착된 상태에서 그 내부로 압축스프링(450)에 의해 로크핀(440)이 상하 출몰 가능하게 탄력 설치되어 있다.
이 로크핀(440)의 하단부에는 로크 해제조작을 위해 손잡이(460)이 부착된다.
도 21 및 도 23은 전면확장프레임(130)과 코너확장프레임(150)이 직각을 유지하도록 고정브라켓트(410)와 가동브라켓트(420)도 서로 직각상태로 로크핀(440)이 고정브라켓트(410)에 뚫어진 일측 고정구멍(411)에 끼워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힌지축(170)을 중심으로 힌지 연결된 전면확장프레임(130)과 코너확장프레임(150)은 직각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도 22 및 도 24와 같이 전면확장프레임(130)과 코너확장프레임(150)이 일직선으로 펼쳐지기 위해서는 손잡이(460)를 하부로 당겨서 로크핀(440)을 일측 고정구멍(411)으로부터 걸림 해제한 후 고정브라켓트(410)와 가동브라켓트(420)가 일직선 상태로 회동시킨 후 다시 로크핀(440)을 타측의 고정구멍(412)에 끼워 결합시키게 된다.
따라서, 힌지축(170)을 중심으로 힌지 연결된 전면확장프레임(130)과 코너확장프레임(150)은 이들에 각각 고정 부착된 고정브라켓트(410)와 가동브라켓트(420)가 일직선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 고정브라켓트(410)에 뚫어지는 고정구멍(411)(412)은 가동브라켓트(420)가 직선 및 직각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위치를 감안하여 가공되어 있다.
또한, 탑승함의 변형을 위해 상기 코너확장프레임(150)의 끝단 기둥에는 장홀(151)을 뚫어 볼트(152)를 이용해 제3난간(103)의 측면과 체결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3난간(103)과 제4난간(104) 사이에는 설치상태 연결되는 거리가 다소 부족하거나, 탑승함 형태 변형을 위해 절첩될때 그 사이로 또 다른 난간이 설치될 수 있도록 간격을 보상하기 위한 연결판(160)이 각각 유동가능하게 힌지 설치된다.
한편, 측면확장프레임(140)과 코너확장프레임(150)의 측변에는 두개의 근접되는 부재를 서로 클램핑 또는 클램핑 해제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클램프(180)가 부착되어 있다.(도 3)
따라서 주로 측면확장프레임(140)과 코너확장프레임(150)이 수평하게 펼쳐져 탑승함의 바닥면으로 적용될 때 서로 결착되도록 하거나 둘레로 세워지는 제1난간(101)과 결착되어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 클램프(180)의 구조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부품을 선택하여 적용하는 것으로, 상세한 구조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구조로 된 본 발명의 탑승함은 크기와 형태를 가변시켜 5개의 모델로 변경시킬 수 있게 된다.
실시예 1.(탑승함 기본형)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탑승함이 기본형으로 사용되는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도면에서와 같이 바닥면에는 바닥프레임(110)의 양쪽으로 측면확장프레임(140)이 펼쳐지고, 전면확장프레임(130)과 코너확장프레임(150)이 각각 모두 펼쳐져 있고, 그 둘레를 따라 각 난간들이 모두 세워 설치되어 가장 바닥면이 넓은 형태로 고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전면 중앙으로 양쪽에서부터 서로 연결되는 제5난간(105)들을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 복수의 볼트(106)들을 너트에 체결하는 것이 좋다.(도 4)
실시예 2.
도 5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기본형에서 바닥면을 이루는 전면확장프레임(130)과 양쪽의 코너확장프레임(150) 전면에 세워져 있던 제4난간(104)과 제5난간(105)들을 양쪽 측면의 제2난간(102) 및 제3난간(103)과 중첩되도록 회전시켜 전방으로는 난간이 설치되지 않은 탑승함 형태이다.
이 실시예 2의 형태는 건물의 외벽이나 유리 작업할 때 주로 사용된다.
실시예 3.
도 7 및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탑승함 형태에서 전면확장프레임(130)과 양쪽의 코너확장프레임(150)을 모두 세워 난간 기능을 갖도록 한 것으로 깊이는 좁고 좌우 폭이 긴 탑승함 형태이다.
이 실시예의, 탑승함 형태에서 상기 코너확장프레임(150)의 끝단 기둥에는 장홀(151)을 뚫어 볼트(152)를 이용해 제3난간(103)의 측면과 체결 고정시켜 견고하게 난간들을 모두 연결하게 된다.
이 실시예의 탑승함은 좁은 공간을 활용하여 건물 사이에서 작업할 때 주로 사용된다.
실시예 4.
도 9 및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면은 바닥프레임(110)에 의해서만 이루어지고, 전면은 확장바닥프레임(110)에 세워져 난간 역할을 하게 된다.
바닥면의 양쪽 측면은 측면확장프레임(140)과 코너확장프레임(150)이 중첩되어 2중으로 난간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일방향로크수단(300)에 의해 측면확장프레임(140)은 배면고정난간(120)에 결착되고, 코너확장프레임(150)은 측면확장프레임(140)에 견고하게 결착상태를 갖게 된다.
그리고, 배면고정난간(120)의 후면으로 중첩되는 다수의 제1난간(101) 내지 제5난간(105)들은 난간고정클램핑수단(200)에 의해 유동 방지되도록 고정시키게 된다.
이 실시예의 탑승함은 바닥면의 폭과 깊이가 가장 작은 상태이므로 좁은 작업 공간에 적합하다.
실시예 5.
도 15 내지 도 1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 4의 형태에서 전면확장프레임(130)이 펼쳐져 바닥면이 더 확장되고, 좌우로 코너확장프레임(150)이 세워져 난간 역할을 갖는 탑승함 형태이다.
전면확장프레임(130)의 저면 끝단과 수직하게 세워지는 코너확장프레임(150)의 코너 연결부는 가변로크수단(400)에 의해 직각 연결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게 된다.
이 실시예의 탑승함은 공간이 좁은 건물 사이에서 외벽이나 유리 작업할 때 주로 사용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어 있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 - 차대 4 - 붐지지대
6 - 메인실린더 10 - 붐 어세이
100 - 탑승함 101 - 제1난간
102 - 제2난간 103 - 제3난간
104 - 제4난간 105 - 제5난간
110 - 바닥프레임 120 - 배면고정난간
130 - 전면확장프레임 140 - 측면확장프레임
150 - 코너확장프레임 160 - 연결판
170 - 힌지핀 180 - 클램프
200 - 난간고정클램핑수단 240 - 돈사고리
300 - 일방향로크수단 400 - 가변로크수단

Claims (6)

  1. 사각 틀체형상의 바닥프레임(110)과,
    상기 바닥프레임(110)의 배면에 세워지는 배면고정난간(120)과,
    상기 바닥프레임(110)의 전방을 향해 연결되어 펼침상태에서 상부를 향해서 절첩되는 전면확장프레임(130)과,
    상기 바닥프레임(110)의 양쪽 측면을 향해 연결되어 펼침상태에서 상부를 향해서 절첩되는 측면확장프레임(140)들과,
    상기 전면확장프레임(130)의 양쪽 측면으로 각각 상부를 향해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는 코너확장프레임(150)들과,
    상기 측면확장프레임(140)들의 배면으로 세워지는 제1난간(101)과,
    상기 측면확장프레임(140)들의 양쪽 측면으로 세워지는 제2난간(102)과,
    상기 코너확장프레임(150)들의 양쪽 측면으로 세워지는 제3난간(103)과,
    상기 코너확장프레임(150)들의 전면으로 세워지며 제3난간(103)과 힌지로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난간(104)과,
    상기 전면확장프레임(130)의 전면으로 세워지며, 상기 제4난간(104)과 힌지로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5난간(105)들과,
    상기 각 난간들이 적어도 2개 이상 중첩될 때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시키는 난간고정클램핑수단(200)와,
    상기 측면확장프레임(140) 및 코너확장프레임(150)이 난간으로 이용되기 위해 세워지는 방향으로는 스프링(330)의 탄력으로 잠금바(320)가 후퇴되며 고정구멍(301)에 걸려지게 하여 잠금상태를 유지시키고, 해제보턴(340)의 조작으로 걸림을 해제토록 하는 일방향로크수단(300)과,
    상기 전면확장프레임(130)과 코너확장프레임(150)의 경계 위치로 직선 펼침상태 및 직각 절첩상태를 각각 위치고정시키기 위한 가변로크수단(400)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차량의 가변형 탑승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변로크수단(400)은 전면확장프레임(130)과 코너확장프레임(150)의 어느 일측으로는 2개의 고정구멍(411)(412)이 뚫어지는 고정브라켓트(410)을 고정시키고, 타측으로는 고정브라켓트(410)와 가동브라켓트(420)가 서로 일직선 상태 및 수직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가동브라켓트(420)의 하우징(430)에서 출몰되는 로크핀(440)이 고정구멍(411)(412)에 선택적으로 끼워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차량의 가변형 탑승함.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로크핀(440)은 로크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우징(430) 내부로 압축스프링(450)이 탄력 설치되고, 로크핀(440)의 하단부에는 로크 해제조작을 위해 손잡이(460)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차량의 가변형 탑승함.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난간고정클램핑수단(200)는 연결부재(210)가 장볼트(220)와 고정핀(230)을 연결한 상태에서 상하 슬라이드 가능하게 조립하고, 가장 내측과 가장 외측에 위치되는 난간에 뚫어지는 고정홀(201)의 위치로 장볼트(220)와 고정핀(230)을 각각 끼워 설치하는 것에 의해 유동과 펼쳐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차량의 가변형 탑승함.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너확장프레임(150)의 끝단 기둥에는 장홀(151)을 뚫고 제3난간(103)으로 볼트(152)를 체결하여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차량의 가변형 탑승함.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난간(103)과 제4난간(104) 사이에는 설치 간격을 보상하기 위한 연결판(160)이 각각 유동가능하게 힌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차량의 가변형 탑승함.
KR1020190118087A 2019-09-25 2019-09-25 고소 작업차량의 가변형 탑승함 KR102230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087A KR102230963B1 (ko) 2019-09-25 2019-09-25 고소 작업차량의 가변형 탑승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087A KR102230963B1 (ko) 2019-09-25 2019-09-25 고소 작업차량의 가변형 탑승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0963B1 true KR102230963B1 (ko) 2021-03-23

Family

ID=75223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8087A KR102230963B1 (ko) 2019-09-25 2019-09-25 고소 작업차량의 가변형 탑승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096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5891Y1 (ko) 2003-01-30 2003-06-11 이준호 고소작업장치의 탑승함구조
KR20160024044A (ko) * 2014-08-22 2016-03-04 주식회사 호룡 사다리차용 운반카
KR101615107B1 (ko) 2015-10-16 2016-04-25 주식회사 금명특장 탑승함 구조
KR20180111720A (ko) * 2018-09-18 2018-10-11 송복석 고소작업차량 탑재 확장형 버켓 안전난간 구조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5891Y1 (ko) 2003-01-30 2003-06-11 이준호 고소작업장치의 탑승함구조
KR20160024044A (ko) * 2014-08-22 2016-03-04 주식회사 호룡 사다리차용 운반카
KR101615107B1 (ko) 2015-10-16 2016-04-25 주식회사 금명특장 탑승함 구조
KR20180111720A (ko) * 2018-09-18 2018-10-11 송복석 고소작업차량 탑재 확장형 버켓 안전난간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71408B2 (en) Stairtower and method for erecting the same
US5127492A (en) Scaffolding
EP1846631B1 (en) Apparatus for use in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CN107013045B (zh) 装载平台
WO2003095350A1 (en) Safety fence at upper part of cab
US20050230194A1 (en) Safety fence at upper part of cab
KR102230963B1 (ko) 고소 작업차량의 가변형 탑승함
JP2019188009A (ja) 墜落防止器具
KR102022044B1 (ko) 고소작업차량의 전복방지장치
KR102050843B1 (ko) 이동식 족장 프레임
KR102147264B1 (ko) 고소 작업차량의 탑승함
KR102178186B1 (ko) 접이식 구조를 갖는 확장형 스카이 버켓 안전난간구조체
AU2013219223A1 (en) A collapsible safety barrier system for a container
KR102027845B1 (ko) 접철식 족장 프레임
KR102236750B1 (ko) 호환가능한 구조를 포함하는 1인 창호 작업대
AU2013203442B2 (en) Screen Module
JP3899298B2 (ja) 仮設階段用踊り場
KR200493313Y1 (ko) 전동식 타입의 리프트 장치
KR102084127B1 (ko) 인명구조 사다리차용 확장형 접근계단
KR102219660B1 (ko) 사장교 주탑부 케이블 설치를 위한 승강 작업대 및 이를 이용한 사장교 주탑부의 케이블 시공방법
JP7318882B2 (ja) テーブルリフト
JP2886507B2 (ja) 折畳み式階段ユニットボックス
JP5305432B2 (ja) 移動足場
AU2006201974A1 (en) Edge safety barrier for double story structures
JPS5914472Y2 (ja) 長尺荷台を備えた昇降機の荷台手摺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