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2044B1 - 고소작업차량의 전복방지장치 - Google Patents
고소작업차량의 전복방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22044B1 KR102022044B1 KR1020170176529A KR20170176529A KR102022044B1 KR 102022044 B1 KR102022044 B1 KR 102022044B1 KR 1020170176529 A KR1020170176529 A KR 1020170176529A KR 20170176529 A KR20170176529 A KR 20170176529A KR 102022044 B1 KR102022044 B1 KR 10202204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 coupling means
- support
- work
- coupl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 B60D7/00—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소작업차량의 전복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차량; 상기 작업차량을 지지하기 위한 지원차량; 상기 작업차량에 장착되는 제1 결합수단; 및 상기 지원차량에 장착되고, 상기 제1 결합수단과 연결되는 제2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은 고소에서 작업하는 펌프카, 소방차, 크레인, 사다리차 및 바스켓차량 등 고소작업차량의 전복을 방지하기 위해 작업차량과 지원차량의 각 결합수단을 연결하고, 특히 작업차량과 2개소의 지원차량 즉, 3대의 차량을 하나로 연결하여 연결 지점이 삼각편대 형상의 구조를 가지게 함으로써, 고소작업차량이 강풍이나 기타 차량을 전복시키려고 하는 외력에 저항하는 지지면적이 넓어져셔, 차량의 전복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며, 작업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그렇게 안정성이 확보되어 필요한 경우 일반적인 고소작업차량에 비하여 더 높은 곳까지 작업을 할 수 있는 고소작업차량의 전복방지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즉 본 발명은 고소에서 작업하는 펌프카, 소방차, 크레인, 사다리차 및 바스켓차량 등 고소작업차량의 전복을 방지하기 위해 작업차량과 지원차량의 각 결합수단을 연결하고, 특히 작업차량과 2개소의 지원차량 즉, 3대의 차량을 하나로 연결하여 연결 지점이 삼각편대 형상의 구조를 가지게 함으로써, 고소작업차량이 강풍이나 기타 차량을 전복시키려고 하는 외력에 저항하는 지지면적이 넓어져셔, 차량의 전복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며, 작업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그렇게 안정성이 확보되어 필요한 경우 일반적인 고소작업차량에 비하여 더 높은 곳까지 작업을 할 수 있는 고소작업차량의 전복방지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소에서 작업을 위한 펌프카, 소방차, 크레인, 사다리차 및 바스켓차량 등 고소작업차량의 전복을 방지하기 위해 작업차량과 지원차량의 각 결합수단을 연결하고, 특히 작업차량과 2개소의 지원차량 즉, 3대의 차량을 하나로 연결하여 연결 지점이 삼각편대 형상의 구조를 가지게 함으로써, 고소작업차량이 강풍이나 기타 차량을 전복시키려고 하는 외력에 저항하는 지지면적이 넓어져셔, 차량의 전복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며, 작업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그렇게 안정성이 확보되어 필요한 경우 일반적인 고소작업차량에 비하여 더 높은 곳까지 작업을 할 수 있는 고소작업차량의 전복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소작업차량는 고층건물과 같은 구조물에 하중이 많이 나가는 중량물을 올리거나 내리기 위하여 사용되는 차량이며, 최근에는 작업자를 탑승시키고 설치하려는 구조물을 함께 적재하여 고공에서 작업하거나, 공사현장에서 고층으로 레미콘을 올리는 펌프카, 고층건물에서 이사짐을 올리고 내리는 사다리차, 고층건물 화재현장의 고가소방차 등에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고소작업차량은 작업의 안정성과 기동성을 확보하여야 함은 물론,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차량에 그 길이가 신축되는 붐대를 설치하고, 사용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하고 있으며, 현재 작업 현장에서 효율적으로 폭 넓게 사용되고 있다.
상기 고소작업차량의 작업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전복방지장치인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그 길이가 신축되는 아웃트리거가 적재대의 각 모서리부분, 즉 차체의 리어프레임 양단에 설치되어, 작업 시 아웃트리거의 작동으로 차체의 하중을 아웃트리거가 지지해 주게 됨으로써, 차체의 전복을 방지하며 작업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고소작업차량의 전복방지장치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바(5)와 수평바(6) 및 수직바(7)로 이루어진 아웃트리거(4)로서, 상기 아웃트리거(4)는 차체의 골격을 이루는 사이드프레임과 크로스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메인프레임(1)에 설치되어지되, 상기 메인프레임(1)은 프런트프레임(2)과 리어프레임 (3)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프런트프레임(2)에는 도면상 미도시 되었으나 엔진이 탑재되는 엔진룸과 운전석을 포함한 탑이 설치되고, 리어프레임(3)에는 고소작업을 위한 붐대의 베이스(8)가 설치되며, 리어프레임(3)의 크로스프레임과 동일한 방향으로 아웃트리거가 설치된다.
상기 아웃트리거(4)의 수평바(6)는 내부에 설치된 실린더(도면상 미도시 되었음)에 의해 크로스바(5)를 따라 슬라이드 되며, 수직바(7)는 이중구조로 되고 그 내부에 실린더(도면상 미도시되었음)가 설치되어 있어 수직방향으로 신축 가변되며, 상기 실린더의 작동은 주지된 바와 같은 유압펌프에서 발생되는 유압에 의해 작동된다.
상기와 같은 전복방지장치인 아웃트리거(4)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면 리어프레임(3)의 선단과 후단에 설치된 크로스바(5)로부터 인출되는 수평바(6)의 일단과, 그 길이가 수직방향으로 신축 가변되는 수직바(7)의 일단은 일체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수평바(6)를 인출된 상태에서 수직바(7)를 신축가변시킴으로서 리어프레임(3)을 포함한 차체는 지면으로부터 들어 올려지게 되어 고소작업시 차체는 안정된 상태를 이루게 됨으로 작업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고소작업차량의 전복방지장치인 아웃트리커(4)를 작동시키고 중량물을 적재한 상태에서 붐대가 회전되면 차체의 무게 중심이 붐대가 회전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어느 일측의 아웃트리거(4)가 지면으로부터 들리게 되면서 순간적으로 흔들리게 되어 안전성에 문제가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차체가 전복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소작업차량이 강풍이나 기타 차량을 전복시키려고 하는 외력에 대항하는 아웃트리거의 지지면적이 협소하여 고소작업을 하는 높이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펌프카, 소방차, 크레인, 사다리차 및 바스켓차량 등 고소작업을 위한 작업차량과 지원차량의 각 결합수단을 연결하고, 특히 작업차량과 2개소의 지원차량 즉, 3대의 차량을 하나로 연결하여 연결 지점이 삼각편대 형상의 구조를 가지게 함으로써, 고소작업차량이 강풍이나 기타 차량을 전복시키려고 하는 외력에 저항하는 지지면적이 넓어져셔, 차량의 전복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며, 작업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그렇게 안정성이 확보되어 필요한 경우 일반적인 고소작업차량에 비하여 더 높은 곳까지 작업을 가능하게 하고자 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차량 및 지원차량의 각 결합수단이 각 차량으로부터 자동으로 인입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수작업을 통하여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차량의 구조, 설치 장소, 작업 하중 등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한 설계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 고소작업차량의 전복방지장치는 작업차량; 상기 작업차량을 지지하기 위한 지원차량; 상기 작업차량에 장착되는 제1 결합수단; 및 상기 지원차량에 장착되고, 상기 제1 결합수단과 연결되는 제2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지원차량은 복수로 구성되고, 상기 작업차량 및 상기 각 지원차량은 각 결합수단의 상호 결합을 통하여 0도 내지 360도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 결합수단 및 제2 결합수단은 상기 각 차량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 지지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재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 결합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해 체결구에 의하여 연결되는 제1 및 제2 체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 결합수단 또는 상기 제2 결합수단, 또는 이들 모든 결합수단은 상기 작업차량 및 상기 지원차량으로부터 인입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 결합수단 또는 상기 제2 결합수단, 또는 이들 모든 결합수단은 상기 작업차량 및 상기 지원차량에 수작업을 통하여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 및 제2 결합수단 중 어느 하나의 결합수단이 상기 작업차량 및 상기 지원차량으로부터 인입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또 다른 결합수단은 상기 작업차량 및 상기 지원차량에 수작업을 통하여 체결 및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 및 제2 결합수단와 결합되는 연결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차량의 전복방지장치는 펌프카, 소방차, 크레인, 사다리차 및 바스켓차량 등 고소작업을 위한 작업차량이 강풍이나 기타 차량을 전복시키려고 하는 외력에 저항하는 지지면적이 넓어짐으로써, 차량이 전복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작업의 안정성이 확보되며, 일반적인 고소작업차량에 비하여 더 높은 곳까지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차량 및 지원차량의 각 결합수단이 각 차량으로부터 자동으로 인입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수작업을 통하여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차량의 구조, 설치 장소, 작업 하중 등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한 설계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장치의 설계 및 운용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종래 고소작업자량 아웃트리거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차량의 전복방지장치의 전체 개략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차량의 전복방지장치의 제1 결합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차량의 전복방지장치의 제2 결합수단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 결합수단의 다양한 실시례를 나태는 개념도,
도 10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과 결합수단과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차량의 전복방지장치의 전체 개략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차량의 전복방지장치의 제1 결합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차량의 전복방지장치의 제2 결합수단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 결합수단의 다양한 실시례를 나태는 개념도,
도 10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과 결합수단과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차량의 전복방지장치는 작업차량(100)과, 작업차량을 지지하기 위한 지원차량(200)(300)이 구비되고, 각 차량에는 아웃트리거(11)가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작업차량(100)은 고소작업을 위한 차량으로 즉, 고층건물과 같은 구조물에 하중이 많이 나가는 중량물을 올리거나 내리기 위하여 사용되는 차량이며, 최근에는 작업자를 탑승시키고 설치하려는 구조물을 함께 적재하여 고공에서 작업하거나, 공사현장에서 고층으로 레미콘을 올리는 펌프카, 고층건물에서 이사짐을 올리고 내리는 사다리차, 고층건물 화재현장의 고가소방차 등에 사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펌프카, 사다리차, 고가소방차 등은 크레인차와 같이 붐대를 높이 승강시켜 고공에서 중량물을 처리하고, 이러한 작업 시, 붐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필요가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작업챠량은 펌프카, 소방차, 크레인, 사다리차 및 바스켓차량 등을 의미하며, 이러한 고소작업차량은 일정한 높이에서 중량물을 다루거나, 작업자를 위한 작업차량 등도 포함되는 개념이다.
이하에서는 고소작업차량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한 지지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를 위해 작업차량(100)에는 제1 결합수단(CM1)이 구비되고, 지원차량(200)(300)에는 제2 결합수단(CM2)이 구비되어 각 결합수단(CM1)(CM2)이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의 연결 지점(支點)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연결 지점이란, 작업차량과 하나의 지원차량이 각 결합수단이 장착되는 연결부위를 의미하므로 작업차량과 하나의 지원차량이 각 결합수단에 의하여 장착되는 경우 하나의 연결 지점을 형성하게 된다.
다만 중량물과 차량 자체의 하중이 큰 작업차량에 대하여 하나의 지원차량으로 하나의 연결 지점은 일직선 형태로 배열되기 때문에 중량물이 좌우측방향으로 받게되는 외력에 대해 안정적인 지지가 다소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입 차량의 크기 작업 장소 뿐만 아니라,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작업차량과, 2개의 지원차량을 도입하여 각 결합수단에 의한 연결로 각 차량이 삼각대형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장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각 차량에 장착되는 결합수단은 120도 각도로 배치되어 삼각대형을 이루게 되고, 이 경우 각 결합수단은 3개의 연결 지점을 형성하여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도입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하에서는 작업차량의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2개의 지원차량이 도입된 것을 전제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러한 전제가 다양하게 도입 및 채용될 수 있는 지지구조를 한정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차량(100)의 제1 결합수단(CM1)과 각 지원차량(200)(300)의 제2 결합수단(CM2)은 각 차량으로부터 인입출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결합수단(CM1) 또는 제2 결합수단(CM2) 중 어느 하나만이 작업차량(100) 또는 각 지원차량(200)(300)으로부터 인입출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차량의 제1 결합수단(CM1)과 각 지원차량의 제2 결합수단(CM2)은 각 차량에 체결 및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결합수단(CM1) 또는 제2 결합수단(CM2) 중 어느 하나만이 작업차량 또는 각 지원차량에 체결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첨부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각 결합수단 중 일부 결합수단이 차량으로부터 인입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동시에 나머지 결합수단은 차량에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도 가능할 뿐만 아니라, 역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먼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각 차량에 구비된 결합수단은 각 차량으로부터 인입출이 가능하도록 한 구성은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차량(100) 및 2개의 지원차량, 즉 제1 및 제2 지원차량(200)(300)이 서로 연결되어 삼각대형 구조를 하고 있어, 고소작업시 차량이 안정된 상태를 이루게 됨으로써, 작업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작업차량(100) 및 제1 및 제2 지원차량(200)(300)에 아웃트리거(11)가 구비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차량의 제1 결합수단(CM1)은 작업차량(100)의 전후 좌우에 아웃트리거(11)가 형성되어 있고, 작업차량(100)의 하부의 프레임에는 가이드레일(12)이 형성되어 고정판의 제1 플레이트(13)가 가이드레일(12)을 따라 슬라이드되도록 조립된다.
또한 제1 플레이트(13)는 작업차량(100)의 하면에 고정되어 있는 유압실린더(14)의 작동로드(15)에 의하여 작업차량(100)의 하면에서 인출되거나 삽입된다. 유압실린더(14)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펌프 등은 차량의 엔진 룸 등에 설치되어 그 배관이 연결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플레이트(13)의 출몰단부는 삼각형 형상을 하고 있고, 삼각형상의 양면에는 원통형고정부(16)가 형성되어, 제1 및 제2 지원차량(200)(300)에 고정되어서 삼각대형을 형성함으로써, 강풍 등 기타 차량을 전복시키려고 하는 외력에 저항하여 차량의 전복을 효과적으로 방지되어, 고소작업의 안정성이 확보되므로, 일반적인 고소작업차량에 비하여 더 높은 곳까지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지원차량(200(300)에 구비된 제2 결합수단(CM2)은 제1 및 제2 지원차량(200)의 전후 좌우에 아웃트리거(11)가 형성되어 있고, 제1 및 제2 지원차량(200)(300)의 하부의 프레임에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되어 제1 플레이트(23)가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되도록 조립된다.
또한 제2 플레이트(23)는 제1 및 제2 지원차량(200)(300)의 하면에 고정되어 있는 유압실린더의 작동로드에 의하여 제1 및 제2 지원차량(200)(300)의 하면에서 인출되거나 삽입된다.
상기의 구성은 작업차량(100)의 플레이트 인출장치와 구성이 동일하다.
유압실린더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펌프 등은 차량의 엔진 룸 등에 설치되어 그 배관이 연결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특히 제2 결합수단(CM2)의 제2 플레이트(23)에는 고정집게 구동용 유압실린더(26)가 형성되어 있고, 제2 플레이트(23)의 끝단부 상하에는 집게발(27)이 제2 플레이트(23)와 힌지축(22)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유압실린더(26)의 내부에는 유압에 의하여 작동하는 피스톤(28)에 고정된 피스톤로드(29)가 구비되고, 피스톤로드(29)는 승강부재(30)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2 플레이트(23)의 끝단에는 가이드축(31)이 돌출되어 집게발(27)에 형성된 장공(32)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작동을 살펴보면, 피스톤로드(29)가 인출되거나 삽입되면, 피스톤로드(29)와 고정된 승강부재(30)도 인출 또는 삽입되면서, 집게발(27)을 힌지축(22)을 중심으로 히전시켜, 집게발(27)이 오므라지거나 벌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고소작업차량의 전복방지장치는 고소작업이 필요한 현장에서의 작업차량(100)이 아웃트리거(11)에 의하여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작업차량(100)의 차체 하부에서 제1 플레이트(13)를 외부로 인출시키는데, 이때 제1 지원차량(200)(300)의 차체 하부에서 제2 플레이트(23)를 인출시키고, 제2 플레이트(23)에 구비되어 있는 집게발(27)을 유압실린더(26)로 구동하여 작업차량(100)의 원통형고정부(16)를 집게발(27)로 고정하여 연결한다.
또한 제2 지원차량(300)도 동일한 작업을 실행하여 작업차량(100)의 원통형고정부(16)와 고정하여 연결된다.
이와 같이 고정된 작업차량(100)과 제1 및 2지원차량(200)(300)은 각 결합수단(CM1)(CM2)에 의하여 연결되어 삼각대형을 형성하여 차량이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면적을 현저하게 넓히는 것이므로, 작업차량(100)에서 고소작업의 안정성이 확보되어, 일반적인 고소작업차량에 비하여 더 높은 곳까지 작업을 할 수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차량의 결합수단(CM1)(CM2)은 각 차량의 하부 프레임(미도시)에 볼트체결 방식을 통하여 작업자의 의한 수작업을 통하여 결합되는데, 이 체결 구조는 공지의 체결구조를 채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이렇게 각 결합수단을 각 차량에 수작업을 통하여 연결하는 것은 차량의 구조, 설치 장소, 작업 하중 등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한 설계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장치의 설계 및 운용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함이다.
이하에서는 각 차량에 설치되는 각 결합수단(CM1)(CM2)에 대한 다양한 실시례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 결합수단(CM1)은 작업차량의 하부 프레임에 일단부가 볼트 체결되는 제1 지지부재(40)가 구비되고, 제1 지지부재(40) 타단부에는 삼각형 형태의 제1 결합부재(41)가 구비된다.
또한 제1 결합부재(41)에서 삼각형의 일면 중심에는 제1 지지부재(40)의 타단부가 연결되고, 나머지 두 면 즉, 결합면 각각에는 복수의 제1 체결부(43)가 형성된다. 이 경우 제1 체결부(43)는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 체결홈들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작업차량의 제1 결합수단(CM1)에 대응하는 각 지원차량의 제2 결합수단(CM2)은 각 지원차량의 하부 프레임에 일단부가 볼트 체결되는 제2 지지부재(50)가 구비되고, 제2 지지부재(50) 타단부에는 판상 형태의 제2 결합부재(51)가 구비된다.
또한 제2 결합부재(51)에는 제1 결합수단의 제1 체결부(43)에 대응하는 제2 체결부(53)가 구비되고, 이 경우 제2 체결부(53)는 체결공들로 이루어진다.
즉 제1 및 제2 결합수단(CM1)(CM2)의 결합은 제1 결합부재(41)의 각 결합면에 제2 결합부재(51)를 맞대면, 제2 체결부(53)인 체결공과 제1 체결부(42)의 체결홈이 대응 배치되어 체결구인 체결볼트(60)를 체결홈들에 체결함으로써 각 결합수단을 상호 결합 고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결합수단(CM1)(CM2)은 도 5의 도시와 같이 각 지지부재(40)(50)는 동일한 구조로 작업차량 및 각 지원차량에 연결된다.
또한 도 5의 도시와 달리 제1 결합수단(CM1)의 제1 결합부재(51)는 판상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제1 체결부(43)는 복수의 체결공이 구비된다. 제2 결합수단(CM2)은 도 5의 도시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경우 각 결합수단의 제1 및 제2 결합부재(41)(51)를 상호 고정 결합하기 위해서는 육각형 블록 형태의 고정블록(70)이 구비되는데, 이 고정블록(70)의 이격된 각 측면에는 그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복수의 볼트홈(71)들이 구비된다.
즉 각 결합수단의 각 체결공(43)(53)들과 고정블록의 볼트홈(71)들을 맞댄 후, 각 체결공과 볼트홈에 체결볼트(60)를 체결하여 각 결합수단을 상호 결합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합수단(CM1)과 제2 결합수단(CM2)은 각 지지부재(40)(50)에 타단부에 120도 방향으로 분기되는 제1 및 제2 분기부재(45)(55)가 구비되고, 제1 및 제2 분기부재(45)(55)의 각 단부에는 판상의 제1 및 제2 결합부재(41)(51)가 구비된다. 이 경우 제1 및 제2 결합부재(41)(51)에는 복수의 제1 및 제2 체결부(43)(53)가 형성되고, 각 체결부는 서로 대응되는 체결공들로 구성된다.
즉 제1 결합부재(41)와 제2 결합부재(51)는 맞댄 상태에서 각 체결공을 통하여 체결구인 체결볼트(60)를 삽입하고, 체결볼트(60)에 체결너트(61)를 체결함으로써 제1 및 제2 결합수단을 상호 결합 고정할 수 있다.
나아가 도 8은 제1 결합수단(CM1)과 제2 결합수단(CM2) 자체가 일체로 형성되는데, 즉 각 지지부재(40)(50)가 하나의 중심에 연결되어 외측방향으로 120도 간격으로 배치되고, 각 지지부재의 단부에는 각각 결합부재(41)(51)가 구비된다. 이 경우 각 결합부재(41)(51)는 각각 차량의 프레임에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8의 도시는 일체로 형성된 결합수단을 각각의 차량에 연결하는 구조로 제5 내지 도 7의 도시와 같이 결합수단이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이들 결합수단을 결합 고정하는 구조와는 다른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도 9는 제1 결합수단(CM1)과 제2 결합수단(CM1)을 연결하기 위해 연결체(57)가 도입된 경우로서, 연결체(57)는 바디(57a)와 바디(57a)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회전부재(57b)로 구성된다.
먼저 바디(57a)는 블록 형태로 이루어지고, 회전부재(57b)는 대략 'ㄷ'자 형태로 이루어져 자유단의 두 단부가 바디(57a)의 중심부에 연결된다. 이 경우 첨부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바디와 회전부재는 회전중심을 형성하기 위한 축 결합을 통하여 결합된다.
회전부재(57b)의 외측단부에는 각 결합수단의 제1 및 제2 지지부재(40)(50) 또는 제1 및 제2 연결부재(41)(51)와의 장착을 위해 결합부(57c)가 구비된다. 이 경우 제1 및 제2 지지부재의 단부에는 회전부재와 연결을 위해 'ㄷ'자 형태의 대응결합부가 구비되거나, 제1 및 제2 연결부재가 대응결합부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ㄷ'자 형태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한데, 본 명세서상에서는 각 결합수단의 제1 및 제2 연결부재가 대응결합부의 기능을 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 및 제2 연결부재에 형성된 체결부와 각 회전부재의 결합부는 체결볼트(60)와 체결너트(61)에 의하여 체결되어 고정된다.
즉 도 5 내지 도 8의 결합구조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의 구조, 설치 장소, 작업 하중 등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한 설계가 가능하도록 다양한 실시례를 제시하고, 이를 통해 전복방지장치의 설계 및 운용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함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결합수단에 의하여 형성되는 연결 지점은 도 5의 도시와 같이 삼각형 형태, 도 6 및 도 7의 도시와 같이 6각형 형태와 같이 다각형 형태로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원형 내지 일자형으로 구성이 가능하다.
나아가 도 9의 도시와 같이 제1 및 제2 결합수단을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연결체를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연결체의 형상도 전술한 바와 같이 다각형, 원형 및 일자형 등으로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한 대의 작업차량과 두 대의 지원차량이 배치되는 경우 각 차량의 배치각도는 120도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러한 배치각도는 설치장소 내지 작업장의 환경, 작업면적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구성이 가능하다.
아울러 지원차량은 1대 또는 2대 이상으로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배치각도는 최대 0도 내지 360도 범위 내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10의 도시와 같이 각 차량과 결합수단과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도 10의 도시는 작업차량(100)과 제1 결합수단(CM1)과의 연결구조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지원차량과 제2 결합수단과의 연결구조에도 그대로 적용이 가능하다.
먼저 작업챠량(100)의 후방, 즉 뒷 범퍼나 프레임, 견인 등을 위한 구조물(F)에 제1 결합수단의 제1 지지부재(40)의 단부에 설치된 고정용 브래킷(80)을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용 브래킷(80)은 도 9의 도시와 같이 'ㄱ'자 형태나, 'ㄷ'자 형태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작업차량의 뒷 범퍼나 프레임, 견인 등을 위한 구조물(F)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고정용 브래킷(80)의 도입 가능하다.
다음으로 작업차량(100)의 범퍼나 프레임, 견인 등을 위한 구조물(F)과 고정용 브래킷(80)을 체결볼트(60)을 통하여 체결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각 차량과 결합수단의 분리 작업이 편의성을 위한 것으로, 용접 등의 접합방식은 이러한 분리 작업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 결합수단의 제2 지지부재 단부에도 고정용 브래킷이 구비되고, 고정용 브래킷과 각 지원차량의 후방 범퍼나 프레임, 견인 등을 위한 구조물과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은 도 10의 도시와 동일하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CM1 : 제1 결합수단 CM2 : 제2 결합수단
F : 구조물
100; 작업차량 200; 제1지원차량
300; 제2지원차량
12; 가이드레일 13; 플레이트
14; 유압실린더 15; 작동로드
16; 원통형고정부 22; 힌지축
23; 플레이트 26; 유압실린더
27; 집게발 28; 피스톤
29; 피스톤로드 30; 승강부재
31; 가이드축 32; 장공
40 : 제1 지지부재 41 : 제1 결합부재
43 : 제1 체결부 45 : 제1 분기부재
50 : 제2 지지부재 51 : 제2 결합부재
53 : 제2 체결부 55 : 제2 분기부재
57 : 연결체 57a : 바디
57b : 회전부재 57c : 결합부
60 : 체결볼트 61 : 체결너트
70 : 고정블록 71 : 볼트홈
80 : 고정용 브래킷
F : 구조물
100; 작업차량 200; 제1지원차량
300; 제2지원차량
12; 가이드레일 13; 플레이트
14; 유압실린더 15; 작동로드
16; 원통형고정부 22; 힌지축
23; 플레이트 26; 유압실린더
27; 집게발 28; 피스톤
29; 피스톤로드 30; 승강부재
31; 가이드축 32; 장공
40 : 제1 지지부재 41 : 제1 결합부재
43 : 제1 체결부 45 : 제1 분기부재
50 : 제2 지지부재 51 : 제2 결합부재
53 : 제2 체결부 55 : 제2 분기부재
57 : 연결체 57a : 바디
57b : 회전부재 57c : 결합부
60 : 체결볼트 61 : 체결너트
70 : 고정블록 71 : 볼트홈
80 : 고정용 브래킷
Claims (7)
- 작업차량(100);
상기 작업차량을 지지하기 위한 지원차량(200)(300);
상기 작업차량(100)에 장착되는 제1 결합수단(CM1); 및
상기 지원차량(200)(300)에 장착되고, 상기 제1 결합수단(CM1)과 연결되는 제2 결합수단(CM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지원차량(200)(300)은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작업차량(100) 및 상기 각 지원차량(200)(300)은 각 결합수단의 상호 결합을 통하여 0도 내지 360도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결합수단(CM1) 및 제2 결합수단(CM2)은
상기 작업차량(100) 및 상기 각 지원차량(200)(300)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 지지부재(40)(50)와,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재(40)(50)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 결합부재(41)(51)와,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재(41)(51)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 체결부(43)(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재(41)(51)를 상호 연결하기 위해 다각형 형태의 고정블록(70)이 더 구비되고,
상기 고정블록(70)의 측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 체결부(43)(53)와 체결볼트(60)에 의하여 체결되는 볼트홈(7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차량의 전복방지장치.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수단(CM1) 또는 상기 제2 결합수단(CM2), 또는 이들 모든 결합수단은 상기 작업차량(100) 및 상기 지원차량(200)(300)으로부터 인입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차량의 전복방지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수단(CM1) 또는 상기 제2 결합수단(CM2), 또는 이들 모든 결합수단은 상기 작업차량(100) 및 상기 지원차량(200)(300)에 수작업을 통하여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차량의 전복방지장치.
-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결합수단(CM1)(CM2) 중 어느 하나의 결합수단이 상기 작업차량(100) 및 상기 지원차량(200)(300)으로부터 인입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또 다른 결합수단은 상기 작업차량(100) 및 상기 지원차량(200)(300)에 수작업을 통하여 체결 및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차량의 전복방지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76529A KR102022044B1 (ko) | 2017-12-20 | 2017-12-20 | 고소작업차량의 전복방지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76529A KR102022044B1 (ko) | 2017-12-20 | 2017-12-20 | 고소작업차량의 전복방지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74853A KR20190074853A (ko) | 2019-06-28 |
KR102022044B1 true KR102022044B1 (ko) | 2019-10-18 |
Family
ID=67066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76529A KR102022044B1 (ko) | 2017-12-20 | 2017-12-20 | 고소작업차량의 전복방지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2204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697574B (zh) * | 2019-09-25 | 2020-10-30 | 华能伊敏煤电有限责任公司 | 矿用自卸卡车箱斗翻转装置 |
CN118174190B (zh) * | 2024-05-16 | 2024-07-26 | 国网山东省电力公司烟台市牟平区供电公司 | 一种电缆安装托举装置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80116657A1 (en) * | 2006-10-26 | 2008-05-22 | Deere & Company | Hitch assembly with a guide element |
JP2012035924A (ja) * | 2010-08-03 | 2012-02-23 | Aichi Corp | 軌道走行車両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6657Y1 (ko) | 2002-11-01 | 2003-03-11 | 주식회사 호룡 | 고소작업차의 전복방지장치 |
-
2017
- 2017-12-20 KR KR1020170176529A patent/KR10202204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80116657A1 (en) * | 2006-10-26 | 2008-05-22 | Deere & Company | Hitch assembly with a guide element |
JP2012035924A (ja) * | 2010-08-03 | 2012-02-23 | Aichi Corp | 軌道走行車両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74853A (ko) | 2019-06-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371215B2 (en) | Method for erecting a crane boom | |
EP1846631B1 (en) | Apparatus for use in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
US9744386B2 (en) | Self-standing fall arrest system | |
US9322187B1 (en) | Sherpa—a supporting and lifting apparatus and method | |
KR102022044B1 (ko) | 고소작업차량의 전복방지장치 | |
DE3839858C2 (ko) | ||
JP2002104776A (ja) | 輸送車両からの墜落防止用自動車 | |
US20160332850A1 (en) | Method of operating a crane, and crane | |
KR101817338B1 (ko) | 고소작업차량의 전복방지장치 | |
CN110526141A (zh) | 一种快速架设塔式起重机的起重臂翻折装置 | |
KR102147264B1 (ko) | 고소 작업차량의 탑승함 | |
GB2552222B (en) | Mobile suspended platform apparatus | |
CN207361687U (zh) | 一种便于施工的举升车 | |
KR200306657Y1 (ko) | 고소작업차의 전복방지장치 | |
KR102230963B1 (ko) | 고소 작업차량의 가변형 탑승함 | |
CN105752177A (zh) | 一种运输预制墙板的专用挂车 | |
KR102321937B1 (ko) | 고소 작업차량의 실린더로드 휨 방지장치 | |
CN220666914U (zh) | 斜撑式爬模 | |
CN212507521U (zh) | 一种伸缩式电梯井防护装置 | |
CN105174091B (zh) | 伸缩式悬臂和起重机 | |
CN107522130A (zh) | 一种便于施工的举升车 | |
JP2007326712A (ja) | トラック用簡易型クレーン | |
KR101564995B1 (ko) | 시스템 동바리 이동용 리프트 기구 | |
CN214195462U (zh) | 一种建筑用防倾倒的脚手架 | |
US20230250657A1 (en) | Mobile stage system and method of us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