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6181Y1 - 탈착식 난간의 결합부재 - Google Patents

탈착식 난간의 결합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6181Y1
KR200466181Y1 KR2020110002892U KR20110002892U KR200466181Y1 KR 200466181 Y1 KR200466181 Y1 KR 200466181Y1 KR 2020110002892 U KR2020110002892 U KR 2020110002892U KR 20110002892 U KR20110002892 U KR 20110002892U KR 200466181 Y1 KR200466181 Y1 KR 2004661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fastening
gear
coupling member
fasten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28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7103U (ko
Inventor
김만섭
Original Assignee
김만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만섭 filed Critical 김만섭
Priority to KR20201100028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6181Y1/ko
Publication of KR201200071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1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1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18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38Special constructions of ladders, e.g. ladders with more or less than two longitudinal members, ladders with movable rungs or other treads, longitudinally-foldable ladders
    • E06C1/39Ladders having platforms; Ladders changeable into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18Devices for preventing persons from falling
    • E06C7/181Additional gripping devices, e.g. hand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50Joints or other connect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탈착식 난간의 결합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탈착식 난간이 장착되는 작업대의 지지대 두께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한 탈착식 난간의 결합부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일측에는 복수의 제1치차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제1체결공이 형성된 제1브라켓;일측에는 상기 제1치차에 맞물리는 제2치차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제1체결공에 대응된 제2체결공이 형성된 제2브라켓;제1체결공 및 제2체결공을 통과하여 제1브라켓 및 제2브라켓을 서로 체결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탈착식 난간의 결합부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탈착식 난간의 결합부재{Combination member of detachable railing}
본 고안은 탈착식 난간의 결합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탈착식 난간이 작업대 지지대의 두께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한 탈착식 난간의 결합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높은 곳의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작업 위치에 다다를 수 있도록, 별도의 장비가 요구된다.
이때, 비교적 높은 위치에서 작업이 요구되는 환경에서는, 크레인과 같은 중장비가 제공되지만, 건물내 또는 비교적 높지 않은 위치에서는 크레인과 같은 중장비는 여러 가지 면에서 효율적이지 못한 단점이 있다.
즉, 건물 내의 작업장 또는 야외 작업장이라 하더라도, 비교적 높이가 높지 않은 위치에서는 상기 크레인과 같은 자동식 작업대가 아닌 사다리가 사용되는 실정이다.
이때, 사다리는 통상, 건물에 지지된 상태로 사용되는 일반 사다리와, 두 개의 일반 사다리가 서로 지지되면서 사용되는 "A"형 사다리로 구분된다.
이때, "A"형 사다리는 기대고자 하는 별도의 구조물이 필요 없고, 한 쌍의 일반 사다리가 마주하여 설치되기 때문에,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어 많은 작업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상기한 "A"형 사다리는 난간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 작업자의 심리적인 안정감을 위축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즉, "A"형 사다리의 맨 상단에 올라서서 작업을 진행할 경우, 손을 파지할 수 있거나 몸을 의지할 수 있는 구조물이 없으므로, 작업자의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할 수 없었던 것이다.
게다가, 사다리의 디딤대만을 딛고 작업을 수행해야하기 때문에, 발을 딛을 수 있는 공간이 협소하여 균형을 잃을 경우 사다리로부터 추락하는 안전사고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사다리 또는 작업대에 탈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접이식 난간 및 접이식 난간이 설치된 사다리(출원번호 20-2010-11354호)에 대하여 출원한바 있다.
접이식 난간은 사다리의 지지대에 장착함으로써, 안전바 및 발판이 제공되기 때문에, 작업자는 발판을 딛고 안전바에 의지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심리적으로 안정감 있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별도의 발판이 제공되어 균형을 유지한 상태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의 지지대(미도시)에 탈부착되는 접이식 난간의 결합부재(10)는 안전바(20)의 하단에 설치된다.
상기 결합부재(10)는 안전바(20)의 양측면에 각각 브라켓이 고정되고, 이 브라켓 사이에 사다리의 지지대를 배치한 후, 고정볼트(11)를 통해 체결시킴으로써 사다리의 지지대에 접이식 난간이 장착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접이식 난간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결합부재(10)를 구성하는 브라켓 사이의 공간이 가변되지 않고 정해져 있으므로, 탈착식 난간이 작업대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작업대의 크기에 제약을 받을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었다.
상세하게는, 사다리를 비롯한 작업대의 지지대 즉, 접이식 난간이 장착되는 부위의 두께가 표준화되어 있지 않고 작업대의 크기마다 각각 다르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접이식 난간을 자유롭게 장착하는 것에 있어서 다소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작업대의 크기에 따라, 이에 상응하는 접이식 난간을 별도로 제작해야 함으로써, 제작비용이 증가하여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작업대의 크기에 관계없이 탈착식 난간에 대한 장착이 자유롭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지대의 두께에 따라 결합 공간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한 탈착식 난간의 결합부재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측에는 복수의 제1치차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제1체결공이 형성된 제1브라켓;일측에는 상기 제1치차에 맞물리는 제2치차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제1체결공에 대응된 제2체결공이 형성된 제2브라켓;제1체결공 및 제2체결공을 통과하여 제1브라켓 및 제2브라켓을 서로 체결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탈착식 난간의 결합부재를 제공한다.
이때, 제1브라켓은 제1체결공이 형성된 제1밀착면과, 제1밀착면의 단부로부터 절곡되되 내면에는 제1치차가 형성된 제1절곡면으로 이루어지지고,제2브라켓은 제2체결공이 형성된 제2밀착면과, 제2밀착면의 단부로부터 제1절곡면을 향해 절곡되되 외면에는 제2치차가 형성된 제2절곡면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수단은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된 고정너트와,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을 통과하여 고정너트에 체결된 체결볼트로 이루어지되,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 사이 중, 체결볼트에는 스프링이 더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브라켓은 제2브라켓에 비해 더 길게 형성된 연장부를 형성하고, 상기 연장부에는 결합공이 더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치차 및 제2치차는 서로 경사지게 형성된 상태로 맞물린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탈착식 난간의 결합부재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제1브라켓 및 제2브라켓 각각 개별체로 제공되기 때문에,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 사이에 형성하는 이격 공간 즉, 작업대의 지지대가 배치되는 공간은 그 너비가 단계적으로 가변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작업대의 크기, 정확하게는 결합부재와 결합되는 부위인 작업대 지지대의 두께에 관계없이, 상기 지지대에 결합부재가 결합될 수 있으므로 작업대의 크기에 제약들 받지 않아 경제성이 높은 효과가 있다.
둘째,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 각각의 일측에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치차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호 간에 견고한 결합력이 제공될 수 있으며,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이 형성하는 이격 공간에 대한 크기는 단계적으로 조절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고정너트가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 중, 어느 하나의 브라켓에 고정된 상태에서 체결볼트는 제1브라켓 및 제2브라켓을 통과하여 고정너트에 체결됨으로써, 체결볼트를 조이거나 해제하는 간편한 작업을 통해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의 간격 조절에 대한 작업이 간편해지는 효과각 있다.
도 1은 종래의 접이식 난간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난간의 결합부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난간의 결합부재가 탈착식 난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난간의 결합부재에 두께가 각각 다른 지지대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난간의 결합부재(이하 '결합부재'라 함)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결합부재는 탈착식 난간의 안전바(20) 하단부에 결합되며, 탈착식 난간이 사다리를 비롯한 작업대의 지지대에 탈부착 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결합부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브라켓(100)과, 제2브라켓(200)과, 체결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브라켓(100)은 결합부재의 일측을 구성하며, 제1밀착면(110)과 제1절곡면(120)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제1밀착면(110)은 작업대의 지지대 일측이 밀착되는 부위이며, 제1밀착면(110)에는 제1체결공(111)이 형성된다.
제1체결공(111)은 후술하는 체결볼트(310)가 통과되는 부위이며, 제1밀착면(110)의 대략 중앙에 형성이 된다.
그리고, 제1절곡면(120)은 제1밀착면(110)의 단부로부터 일측을 향해 절곡되며, 지지대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이때, 제1절곡면(120)은 제1밀착면(110)의 단부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됨이 바람직하며, 제1절곡면(120)의 내면에는 복수의 제1치차(齒車)(130)가 형성된다.
제1치차(130)는 제1브라켓(100)과 제2브라켓(100) 사이의 간격 즉, 지지대가 배치되는 공간의 크기가 단계적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과 더불어 후술하는 제2치차(230)와 함께 제1브라켓(100)과 제2브라켓(200) 간의 견고한 결합력을 제공하기 위한 부위이다.
이때, 제1치차(130)는 제2치차(230)와의 결합력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제1밀착면(110)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2브라켓(200)은 결합부재의 타측을 구성하며, 제2밀착면(210)과 제2절곡면(220)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제2밀착면(210)은 작업대의 지지대 타측이 밀착되는 부위이며, 제1밀착면(110)에 대향된다.
이때, 제2밀착면(210)에는 후술하는 체결볼트(310)가 통과되는 제2체결공(221)이 형성되며, 제2체결공(221)의 위치는 제1체결공(111)에 대응된다.
그리고, 제2절곡면(220)은 제2밀착면(210)의 단부로부터 제1브라켓(100)을 향해 절곡되며, 제1절곡면(110)과 함께 지지대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이때, 제2절곡면(220) 역시 제2밀착면(210)의 단부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됨이 바람직하며, 제2절곡면(220)의 외면에는 복수의 제2치차(230)가 형성된다.
제2치차(230)는 제1브라켓(100)과 제2브라켓(100) 사이의 간격 즉, 지지대가 배치되는 공간의 크기가 단계적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과 더불어 상기 제1치차(130)와 함께 제1브라켓(100)과 제2브라켓(200) 간의 견고한 결합력을 제공하기 위한 부위이다.
이때, 제2치차(230)는 제1치차(230)와의 결합력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제1치차(130)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경사진 구성에 의해, 제1치차(130)와 제2치차(230)가 맞물린 상태에서는 상호 간에 결합력이 극대화될 수 있다.
한편, 제1브라켓(100)의 제1밀착면(110)은 제2밀착면(210)에 비해 길게 형성된 연장부(112)를 형성한다.
상기 연장부(112)는 탈착식 난간의 안전바(20)에 결합되는 부위이며, 안전바와(20)의 결합을 위한 결합공(112a)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체결수단(300)은 제1브라켓(100)과 제2브라켓(200)을 서로 체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체결수단(300)은 체결볼트(310)와 고정너트(320)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체결볼트(310)는 제1밀착면(110) 및 제2밀착면(210)에 형성된 제1체결공(111) 및 제2체결공(211)을 통과하여, 고정너트(320)와 체결됨으로써 제1브라켓(100)과 제2브라켓(200) 사이에 배치된 지지대를 압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너트(320)는 제2브라켓(200)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즉,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체결볼트(310)와 고정너트(320)가 체결된 상태에서, 체결볼트(310)만 조여주거나 해제하면 제1브라켓(100)과 제2브라켓(200) 사이의 간격은 줄어들거나 넓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1브라켓(100)과 제2브라켓(200) 사이에는 스프링(400)이 더 개재됨이 바람직하다.
스프링(400)은 제1브라켓(100)과 제2브라켓(200) 사이에서 탄성력을 제공하여, 체결볼트(310)의 체결 또는 해제에 의해 제1브라켓(100)과 제2브라켓(200) 사이가 좁아지거나 넓어질 때, 그에 대한 작용을 유연하게 하기 위함이다.
즉, 제1브라켓(100)과 제2브라켓(200)이 서로 벌어지는 과정에서 스프링(400)의 탄성력에 의해 유연하게 벌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스프링(400)은 체결볼트(310)의 나사부에 끼워진 상태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스프링(400)의 개재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스프링(400)이 설치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결합부재에 지지대가 결합되는 것에 대하여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a는 두께가 비교적 작은 형태의 지지대에 결합부재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4b는 두께가 비교적 큰 형태의 지지대에 결합부재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체결볼트(310)를 풀어 제1브라켓(100)과 제2브라켓(200) 간에 간격을 충분히 확보시킨다.
이때, 체결볼트(310)를 완전히 풀어 제1브라켓(100)과 제2브라켓(200)을 완전히 분리할 수도 있다.
이후, 제1브라켓(100)과 제2브라켓(20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지지대를 배치시킨다.
이후, 체결볼트(310)를 조여 제1브라켓(100)과 제2브라켓(200) 사이의 간격을 서서히 좁힌다.
이때, 스프링(400)은 수축이되며, 결국 지지대의 양측면은 제1밀착면(110)과 제2밀착면(120)에 압착이 된다.
이때, 제1치차(130)와 제2치차(230)는 서로 경사면을 따라 원활하게 가이드되면서 견고하게 맞물린 상태가 된다.
한편, 도 4b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두께가 비교적 큰 형태의 지지대로 인해, 제1브라켓(100)과 제2브라켓(200) 사이의 간격은 도 4a에 비해 넓어진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4a의 상태에서 체결볼트(310)를 풀면 제1브라켓(100)과 제2브라켓(200) 사이의 간격은 점점 벌어지며, 스프링(400)의 탄성력에 의해 유연하게 벌어질 수 있게 된다.
이후, 두께가 큰 지지대를 제1브라켓(100)과 제2브라켓(200) 사이에 배치한 후, 다시 체결볼트(310)를 조임으로써, 제1브라켓(100)과 제2브라켓(200)은 서로 근접되면서 상기 지지대를 압착하게 된다.
이로써, 지지대에 대한 결합부재의 장착이 완료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탈착식 난간의 결합부재는 제1브라켓(100)과 제2브라켓(200)이 각각 개별체로 제공되기 때문에, 지지대의 두께에 따라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 간에 거리를 자유롭게 가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지지대의 두께에 제약을 받지 않기 때문에, 작업대의 크기에 관계없이 탈착식 난간을 자유롭게 장착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100 : 제1브라켓 110 : 제1밀착면
111 : 제1체결공 112 : 연장부
112a : 결합공 120 : 제1절곡면
130 : 제1치차 200 : 제2브라켓
210 : 제2밀착면 220 : 제2절곡면
221 : 제2체결공 230 : 제2치차
300 : 체결수단 310 : 체결볼트
320 : 고정너트 400 : 스프링

Claims (5)

  1. 제1체결공이 형성된 제1밀착면과, 제1밀착면의 단부로부터 절곡되되 내면에는 복수의 제1치차가 형성된 제1절곡면으로 이루어진 제1브라켓;
    제1체결공에 대응된 제2체결공이 형성된 제2밀착면과, 제2밀착면의 단부로부터 제1절곡면을 향해 절곡되되 외면에는 상기 제1치차에 맞물리는 제2치차가 형성된 제2절곡면으로 이루어진 제2브라켓;
    제1체결공 및 제2체결공을 통과하여 제1브라켓 및 제2브라켓을 서로 체결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탈착식 난간의 결합부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된 고정너트와,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을 통과하여 고정너트에 체결된 체결볼트로 이루어지되,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 사이 중, 체결볼트에는 스프링이 더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난간의 결합부재.
  4. 제 1항에 있어서,
    제1브라켓은 제2브라켓에 비해 더 길게 형성된 연장부를 형성하고, 상기 연장부에는 결합공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난간의 결합부재.
  5. 제 1항에 있어서,
    제1치차 및 제2치차는 서로 경사지게 형성된 상태로 맞물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난간의 결합부재.
KR2020110002892U 2011-04-06 2011-04-06 탈착식 난간의 결합부재 KR2004661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892U KR200466181Y1 (ko) 2011-04-06 2011-04-06 탈착식 난간의 결합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892U KR200466181Y1 (ko) 2011-04-06 2011-04-06 탈착식 난간의 결합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103U KR20120007103U (ko) 2012-10-16
KR200466181Y1 true KR200466181Y1 (ko) 2013-04-03

Family

ID=47504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2892U KR200466181Y1 (ko) 2011-04-06 2011-04-06 탈착식 난간의 결합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618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7301B1 (ko) * 2019-06-25 2020-11-11 황성규 사다리용 보강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2552Y1 (ko) 2000-03-03 2000-08-16 송진해 사다리
JP2004143738A (ja) 2002-10-23 2004-05-20 Yoshiharu Miyoshi 枠組足場の先行手摺
KR100871394B1 (ko) 2008-04-04 2008-12-02 김만섭 안전바가 구비된 사다리
KR200444935Y1 (ko) 2008-11-21 2009-06-17 이영학 접철식 작업사다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2552Y1 (ko) 2000-03-03 2000-08-16 송진해 사다리
JP2004143738A (ja) 2002-10-23 2004-05-20 Yoshiharu Miyoshi 枠組足場の先行手摺
KR100871394B1 (ko) 2008-04-04 2008-12-02 김만섭 안전바가 구비된 사다리
KR200444935Y1 (ko) 2008-11-21 2009-06-17 이영학 접철식 작업사다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7301B1 (ko) * 2019-06-25 2020-11-11 황성규 사다리용 보강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103U (ko) 2012-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58199B1 (ja) 吊りボルト用振れ止め金具
JP6210453B2 (ja) アングル鉄塔用の支線取付金具
KR200486927Y1 (ko) 그레이팅 결합 고정구
KR200466181Y1 (ko) 탈착식 난간의 결합부재
KR200436779Y1 (ko) 난간살 지지대
KR101285949B1 (ko) 알루미늄 프로파일용 연결구
KR101588984B1 (ko) 발판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가설체
KR102461818B1 (ko) 구조물에 안전 와이어 로프를 고정하는 장치
JP2013005506A (ja) ステップボルト機構
JP6213892B2 (ja) 天井材落下防止構造
JP2011195230A (ja) エレベータのガイドレール
JP3180696U (ja) 手摺取付金具
KR101136755B1 (ko) 아크릴판 고정부가 결합된 프로파일
JP2010190001A (ja) 手摺り筋交い
KR101386371B1 (ko) 발판 연결장치와, 발판 연결장치가 구비된 발판 및 발판구조체
DE202012009700U1 (de) Dachhaken
US20080256864A1 (en) Skylight Protector
KR20110131336A (ko) 안전 작업대유닛
JP2020165261A (ja) 取付金具、フェンス、及びフェンスの取付方法
JP2020174909A (ja) 墜落防止構造
KR200477314Y1 (ko) 작업용 발판 및 이의 연결 구조
KR101459343B1 (ko) 연속 빌레이에 사용되는 와이어 고정브라켓
KR101425925B1 (ko) 점검용 안전난간 및 그 설치방법
US20170268241A1 (en) Scaffolding accessory
EP3739138B1 (en) A playgrou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