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9343B1 - 연속 빌레이에 사용되는 와이어 고정브라켓 - Google Patents

연속 빌레이에 사용되는 와이어 고정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9343B1
KR101459343B1 KR1020130140421A KR20130140421A KR101459343B1 KR 101459343 B1 KR101459343 B1 KR 101459343B1 KR 1020130140421 A KR1020130140421 A KR 1020130140421A KR 20130140421 A KR20130140421 A KR 20130140421A KR 101459343 B1 KR101459343 B1 KR 101459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hole
fixing
bracket
screw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0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챌린지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챌린지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챌린지코리아
Priority to KR1020130140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93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9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9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62B35/0056Horizontal lifelin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4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incorporating energy 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9/00Apparatus for mountaineering
    • A63B29/02Mountain guy-ropes or accessories, e.g. avalanche ropes; Means for indicating the location of accidentally buried, e.g. snow-buried, pers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 빌레이에 사용되는 와이어 고정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빌레이 라인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곡선구간이나 빌레이 라인을 중간에 고정하는 와이어 고정브라켓이 셔틀 및 탑승자의 몸무게 및 장비에 의한 하중과 셔틀이 통과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견딜 수 있도록 내구성을 가지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지면에 수직으로 입설되는 다수의 지지기둥과, 상기 지지기둥의 상단에 장착되어 수평으로 연장된 후 끝단에 와이어를 연결 고정하는 연결브라켓을 구비하여 상기 연결브라켓에 연결되어 연속된 경로를 가지도록 하는 와이어가 장착되어 셔틀이 와이어를 따라 강하하도록 하는 연속 빌레이에 사용되는 와이어 고정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둥의 정면에 밀착하는 사각의 판형을 가지고 양측에는 3개 이상의 제1 관통홀을 구비하여 제1 고정볼트가 관통하고, 수평으로 길게 연장되어 관통되는 상하 두 개의 지지바 삽입장홀과, 배면에 상기 지지바 삽입장홀의 하부로 동일한 폭으로 하부로 함몰되는 두 개의 안착홈과, 정면에서 상기 안착홈이 형성된 배면을 각각 두 개 씩 관통하는 네 개의 제2 관통홀을 구비하는 제1 고정판넬과;
상기 지지기둥의 배면에 밀착하는 사각의 판형을 가지고 양측에는 3개 이상의 제6 관통홀을 구비하여 지지기둥을 관통한 제1 고정볼트의 끝단이 삽입된 후 고정너트에 의하고 고정되는 제2 고정판넬과;
후방 끝단에 지지바 삽입장홀에 삽입된 후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도록 하는 수직 절곡부와, 상기 수직 절곡부의 제2 관통홀에 상응하는 위치에 관통되어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 나사홀과, 상기 제2 관통홀에 삽입된 후 제1 나사홀과 결합하여 고정하는 제2 고정볼트를 구비하고 전방으로 연장되는 지지바와;
수평방향으로 관통되어 와이어가 관통하도록 하는 홀을 구비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양측에 내경이 단턱지게 확장되어 내주면에 나사산을 구비하는 결합부와, 상부에서 하부로 그리고 하부에서 상부로 각각 두 개씩 내부의 홀로 관통 형성되어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 나사홀과, 상기 제2 나사홀에 장착되어 장착된 와이어를 가압하는 탭볼트와, 상기 와이어가 관통하도록 하는 홀을 구비하고 일측은 외경이 단턱지게 축소되어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에 결합하며 수직 이등분되어 두 개 이상의 제3 고정볼트에 의하여 경합하는 두 쌍의 마감소켓과, 상기 와이어와 하부 내경면 사이에 삽입되는 고무패드을 구비하는 연결브라켓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빌레이에 사용되는 와이어 고정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연속 빌레이에 사용되는 와이어 고정브라켓{The wire fixing braket for a belay}
본 발명은 연속 빌레이에 사용되는 와이어 고정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빌레이 라인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곡선구간이나 빌레이 라인을 중간에 고정하는 와이어 고정브라켓이 셔틀 및 탑승자의 몸무게 및 장비에 의한 하중과 셔틀이 통과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견딜 수 있도록 내구성을 가지도록 하는 연속 빌레이에 사용되는 와이어 고정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빌레이(Belay)는 등산에서 위험한 구간을 통과할 때 등반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일을 통과시키거나 고정하여 자신 또는 다른 등반자가 이동할 수 있는 구간을 확보하는 것을 뜻한다.
최근에는 고층 건축물의 외벽 청소 또는 지붕 수리와 같은 작업을 하는 경우의 안전장치로 이용되거나, 야외에 일정 거리 떨어진 지주 사이에 와이어를 연결하고 이들 지주 사이에서 밧줄을 타고 가는데 있어서 추락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도 빌레이라 칭하고 있다.
빌레이의 또 다른 형태로 밧줄타기의 경우 복수의 지지기둥 사이에 안전장치용의 빌레이 라인을 최대한 처지지 않도록 설치하고 셔틀을 걸어서 이용하는 것이 있으며 이때 셔틀에는 이용자의 신체에 착용한 안전케이블을 연결하여 이용자가 추락시 셔틀에 의해 추락하지 않게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이용자의 이동시 움직임에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셔틀에는 로울러가 장착된다.
하지만 과거에는 빌레이 라인 중간에 지지기둥이 있는 경우에는 셔틀을 분리한 후 지지기둥을 넘어 다시 빌레이 라인에 걸어서 사용하였으나 이 과정에서 추락 사고의 위험성이 높아 최근에는 빌레이 라인에서 셔틀을 분리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연속 빌레이용 셔틀이 개발되었다.
하지만 지지기둥에 장착되어 빌레이 라인을 고정하는 와이어 고정브라켓을 통과할 때 충격이 발생하여 셔틀 및 와이어 고정브라켓에 전달되는 경우가 많으며 셔틀에 미칠 경우 셔틀의 파손과 매달린 사람에게 충격을 주어 사고의 위험이 있으며, 와이어 고정브라켓에 미치는 충격은 와이어를 고정한 부분이 파손 와이어가 분리되거나 와이어 고정브라켓이 기둥에서 분리되는 사고의 위험이 있다.
또 이러한 우려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한 유지 보수 및 점검에 소모되는 인력 및 비용의 소모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 문헌 1)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234089-0000호 (2013년02월12일) (특허 문헌 2)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453068-0000호 (2011년03월29일) (특허 문헌 3)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3-0057429호 (2013년05월31일) (특허 문헌 4)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283056-0000호 (2013년07월01일) (특허 문헌 5)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0-0038371호 (2010년04월14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빌레이에서 라인을 형성하는 와이어를 고정하는 와이어 고정브라켓이 셔틀 및 탑승자의 하중과 고정브라켓을 통과할 때의 충격에도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을 가진 연속 빌레이에 사용되는 와이어 고정브라켓을 개발하는 것에 있다.
또한, 와이어에 강한 충격이나 힘이 작용하였을 때 와이어가 과도하게 늘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연속 빌레이에 사용되는 와이어 고정브라켓을 개발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면에 수직으로 입설되는 다수의 지지기둥과, 상기 지지기둥의 상단에 장착되어 수평으로 연장된 후 끝단에 와이어를 연결 고정하는 연결브라켓을 구비하여 상기 연결브라켓에 연결되어 연속된 경로를 가지도록 하는 와이어가 장착되어 셔틀이 와이어를 따라 강하하도록 하는 연속 빌레이에 사용되는 와이어 고정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둥의 정면에 밀착하는 사각의 판형을 가지고 양측에는 3개 이상의 제1 관통홀을 구비하여 제1 고정볼트가 관통하고, 수평으로 길게 연장되어 관통되는 상하 두 개의 지지바 삽입장홀과, 배면에 상기 지지바 삽입장홀의 하부로 동일한 폭으로 하부로 함몰되는 두 개의 안착홈과, 정면에서 상기 안착홈이 형성된 배면을 각각 두 개 씩 관통하는 네 개의 제2 관통홀을 구비하는 제1 고정판넬과;
상기 지지기둥의 배면에 밀착하는 사각의 판형을 가지고 양측에는 3개 이상의 제6 관통홀을 구비하여 지지기둥을 관통한 제1 고정볼트의 끝단이 삽입된 후 고정너트에 의하고 고정되는 제2 고정판넬과;
후방 끝단에 지지바 삽입장홀에 삽입된 후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도록 하는 수직 절곡부와, 상기 수직 절곡부의 제2 관통홀에 상응하는 위치에 관통되어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 나사홀과, 상기 제2 관통홀에 삽입된 후 제1 나사홀과 결합하여 고정하는 제2 고정볼트를 구비하고 전방으로 연장되는 지지바와;
수평방향으로 관통되어 와이어가 관통하도록 하는 홀을 구비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양측에 내경이 단턱지게 확장되어 내주면에 나사산을 구비하는 결합부와, 상부에서 하부로 그리고 하부에서 상부로 각각 두 개씩 내부의 홀로 관통 형성되어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 나사홀과, 상기 제2 나사홀에 장착되어 장착된 와이어를 가압하는 탭볼트와, 상기 와이어가 관통하도록 하는 홀을 구비하고 일측은 외경이 단턱지게 축소되어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에 결합하며 수직 이등분되어 두 개 이상의 제3 고정볼트에 의하여 경합하는 두 쌍의 마감소켓과, 상기 와이어와 하부 내경면 사이에 삽입되는 고무패드을 구비하는 연결브라켓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연결브라켓의 저면에는 수평으로 길게 연장되어 상부로 연장되면서 양측 폭이 단턱지게 축소되어 축소된 저면에는 제3 나사홀이 형성되어 내경면을 관통하는 하부 장착홀과, 상기 하부 장착홀에 상응하여 삽입하며 상기 제3 나사홀에 상응하는 제3 관통홀을 구비하여 상면에 고무패트가 올려진 후 제4 고정볼트에 의하여 상기 고무패트가 와이어를 가압하도록 결합되는 마감캡을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브라켓은 상하로 이등분되어 하부는 지지바에 고정되고, 4 개 이상의 제5 고정볼트에 의하여 결합 고정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2 관통홀에 상응하는 제4 관통홀을 구비하여 제2 고정볼트에 의하여 고정판넬의 정면에 밀착 장착되고, 일측이 전방으로 수직 절곡되어 연장된 후 끝단은 상단이 수평절곡되어 상면에 상기 지지바의 저면에 밀착하도록 하며, 밀착된 부분을 수직 관통하는 두 개 이상의 제5 관통홀 및 지지바에 추가로 형성되는 제4 나사홀에 결합 고정되는 제6 고정볼트에 의하여 고정되는 보조브라켓을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기둥이 원형 단면을 가질 때 상기 제1 고정판넬의 배면은 밀착하는 지지기둥의 곡률반경에 상응하여 밀착하도록 원호형으로 함몰 형성되고,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 연결되는 두 개 이상의 밴드 삽입홀 및 상기 밴드 삽입홀을 관통한 후 지지기둥을 감아 고정되는 두 개 이상의 고정밴드를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지기둥에 장착 고정되는 지지판넬과 와이어가 고정되는 지지바가 일체로 형성되지 않고 조립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와이어 고정브라켓에 셔틀이 통과할 때 발생하는 충격이 지지판넬로 직접 전달되어 지지기둥과의 고정이 약해지는 것을 줄이고 지지바가 수직하중에 잘 견딜 수 있도록 하여 내구성이 우수하여 유지 보수에 소모되는 인력과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무패드를 장착하여 와이어에 강한 충격이나 힘이 작용하였을 때 와이어가 과도하게 늘어지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이고 안전하게 빌레이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공된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저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확대 실시 예에 따른 부분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확대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저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확대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이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공된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단면도로서, 지면에 수직으로 입설되는 다수의 지지기둥(1)과, 상기 지지기둥(1)의 상단에 장착되어 수평으로 연장된 후 끝단에 와이어(3)를 연결 고정하는 연결브라켓(23)을 구비하여 상기 연결브라켓(23)에 연결되어 연속된 경로를 가지도록 하는 와이어(3)가 장착되어 셔틀(4)이 와이어(3)를 따라 강하하도록 하는 연속 빌레이에 사용되는 와이어 고정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둥(1)의 정면에 밀착하는 사각의 판형을 가지고 양측에는 3개 이상의 제1 관통홀(211)을 구비하여 제1 고정볼트(212)가 관통하고, 수평으로 길게 연장되어 관통되는 상하 두 개의 지지바 삽입장홀(213)과, 배면에 상기 지지바 삽입장홀(213)의 하부로 동일한 폭으로 하부로 함몰되는 두 개의 안착홈(214)과, 정면에서 상기 안착홈(214)이 형성된 배면을 각각 두 개 씩 관통하는 네 개의 제2 관통홀(215)을 구비하는 제1 고정판넬(21)과;
상기 지지기둥(1)의 배면에 밀착하는 사각의 판형을 가지고 양측에는 3개 이상의 제6 관통홀(261)을 구비하여 지지기둥(1)을 관통한 제1 고정볼트(212)의 끝단이 삽입된 후 고정너트(262)에 의하고 고정되는 제2 고정판넬(26)과;
후방 끝단에 지지바 삽입장홀(213)에 삽입된 후 상기 안착홈(214)에 안착되도록 하는 수직 절곡부(221)와, 상기 수직 절곡부(221)의 제2 관통홀(215)에 상응하는 위치에 관통되어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 나사홀(222)과, 상기 제2 관통홀(215)에 삽입된 후 제1 나사홀(222)과 결합하여 고정하는 제2 고정볼트(223)를 구비하고 전방으로 연장되는 지지바(22)와;
수평방향으로 관통되어 와이어(3)가 관통하도록 하는 홀을 구비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양측에 내경이 단턱지게 확장되어 내주면에 나사산을 구비하는 결합부(231)와, 상부에서 하부로 그리고 하부에서 상부로 각각 두 개씩 내부의 홀로 관통 형성되어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 나사홀(232)과, 상기 제2 나사홀(232)에 장착되어 장착된 와이어(3)를 가압하는 탭볼트(233)와, 상기 와이어(3)가 관통하도록 하는 홀을 구비하고 일측은 외경이 단턱지게 축소되어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231)에 결합하며 수직 이등분되어 두 개 이상의 제3 고정볼트(234)에 의하여 경합하는 두 쌍의 마감소켓(235)과, 상기 와이어(3)와 하부 내경면 사이에 삽입되는 고무패드(236)을 구비하는 연결브라켓(23)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빌레이에 사용되는 와이어 고정브라켓을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 예는 먼저 종래에는 와이어 고정브라켓을 단지 지지기둥(1)의 일면에 앙카볼트 등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충격이 누적되면 결합이 약해지는 경우가 발생하였으나 본원은 제1 고정판넬(21)과 제2 고정판넬(26)이 제1 고정볼트(212)에 의하여 정면과 배면을 가압 고정하는 구조로 견고함을 유지할 수 있는 구조이다.
또한 지지바(22)가 고정판넬과 일체로 연결되어 있을 경우 지지바(22)로 전달되는 충격이 그대로 제1 고정판넬(21)로 전달되지만 본원과 같이 결합 구조로 할 경우에는 지지바(22)의 유동과 제2 고정볼트(223) 등으로 분산되어 가장 약할 수 있는 지지기둥(1)과의 연결부에 직접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보다 내구성을 가지게 된다.
또한 분리된 구조로 인하여 제작이 용이하며 운송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지지바(22)의 전방 끝단에는 와이어(3)가 고정될 수 있는 연결브라켓(23)을 구비하게 되며, 상기 연결브라켓(23)에는 고무패드(236)를 장착하여 와이어(3)에 강한 충격이나 힘이 작용하였을 때 와이어(3)가 과도하게 늘어지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이고 안전하게 빌레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 셔틀(4)이 와이어(3)을 따라 이동하다가 연결브라켓(23)을 통과하게 되며 이때 조금더 부드럽게 통과할 수 있도록 마감소켓(235)을 연결브라켓(23)의 양측에 장착하며 외경면은 테이퍼 형상을 가지도록 하여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을 최소화함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저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확대 실시 예에 따른 부분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1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정단면도로서, 상기 연결브라켓(23)의 저면에는 수평으로 길게 연장되어 상부로 연장되면서 양측 폭이 단턱지게 축소되어 축소된 저면에는 제3 나사홀(237)이 형성되어 내경면을 관통하는 하부 장착홀(238)과, 상기 하부 장착홀(238)에 상응하여 삽입하며 상기 제3 나사홀(237)에 상응하는 제3 관통홀(239)을 구비하여 상면에 고무패트(236)가 올려진 후 제4 고정볼트(240)에 의하여 상기 고무패트(236)가 와이어(3)를 가압하도록 결합되는 마감캡(241)을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
상기 실시 예는 고무패드(236)를 연결브라켓(23)에 삽입하여 정확한 위치에 장착하는 작업이 불편하며, 특히 고무패드(236)가 와이어(3)를 가압하는 상태가 되기 위해서는 단순한 홀을 와이어(3)가 완통하였을 때 고무패드(236)를 삽입하는 작업은 상당히 어려운 작업이라고 할 것이다.
이에 본원은 하부에 마감캡(241)을 형성하여 고무패드(236)를 하부로부터 내측으로 장착할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하여 고무패드(236)의 장착이 용이하도록 하였으며, 또한 제4 고정볼트(240)를 조이는 정도에 따라 상기 고무패드(236)가 와이어(3)를 가압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확대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로서, 상기 연결브라켓(23)은 상하로 이등분되어 하부는 지지바(22)에 고정되고, 4 개 이상의 제5 고정볼트(242)에 의하여 결합 고정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
상기 실시 예는 와이어(3)와 연결하는 작업이 와이어(3)의 일측 끝단에서 부터 삽입하여 관통하는 방법은 최초 설치시에만 가능한 작업이며 작업도 어려우며 이후 유지 보수 작업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상기 실시 예와 같이 연결브라켓(23)이 상하로 수평분리된 구조일 경우에는 상부의 연결브라켓(23)을 분리한 후 와이어(3) 및 고무패드(236)를 장착한 후 다시 조립하면 간단하게 조립이 이루어지며 전술한 고무패드(236)를 장착하는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방법은 유지 보수시에도 용이하게 와이어를 분리하고 손상된 부분을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저면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확대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측단면도로서, 상기 제2 관통홀(215)에 상응하는 제4 관통홀(251)을 구비하여 제2 고정볼트(223)에 의하여 고정판넬(21)의 정면에 밀착 장착되고, 일측이 전방으로 수직 절곡되어 연장된 후 끝단은 상단이 수평절곡되어 상면에 상기 지지바(22)의 저면에 밀착하도록 하며, 밀착된 부분을 수직 관통하는 두 개 이상의 제5 관통홀(252) 및 지지바(22)에 추가로 형성되는 제4 나사홀(224)에 결합 고정되는 제6 고정볼트(253)에 의하여 고정되는 보조브라켓(25)을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
상기 실시 예는 수직적인 하중이나 충격이 발생할 경우 지지바(22)가 휘어질 우려가 상당히 많으며 이를 보강하기 위하여 하부에 보조브라켓(25)을 장착하여 이러한 수직 방향의 힘에도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실시 예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로서, 상기 지지기둥(1)이 원형 단면을 가질 때 상기 제1 고정판넬(21)의 배면은 밀착하는 지지기둥(1)의 곡률반경에 상응하여 밀착하도록 원호형으로 함몰 형성되고,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 연결되는 두 개 이상의 밴드 삽입홀(216) 및 상기 밴드 삽입홀(216)을 관통한 후 지지기둥(1)을 감아 고정되는 두 개 이상의 고정밴드(217)를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
상기 실시 예는 지지기둥(1)이 원기둥의 형상으로 이루어졌을 때에는 볼트에 의한 고정은 위치에 따라 지지기둥(1)을 가로지르는 두께가 가변하게 되므로 견고한 소재로 이루어진 고정밴드(217)를 감은 후 강하게 조여 고정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일 수 있기 때문에 제안된 실시 예이다.
1 : 지지기둘
2 : 와이어 고정브라켓
21 : 제1 고정판넬
211 : 제1 관통홀 212 : 제1 고정볼트
213 : 지지바 삽입장홀 214 : 안착홈
215 : : 제2 관통홀 216 : 밴드 삽입홀
217 : 고정밴드
22 : 지지바
221 : 수직 절곡부 222 : 제1 나사홀
223 : 제2 고정볼트 224 : 제4 나사홀
23 : 연결브라켓
231 : 결합부 232 : 제2 나사홀
233 : 탭볼트 234 : 제3 고정볼트
235 : 마감소켓 236 : 고무패드
237 : 제3 나사홀 238 : 하부 장착홀
239 : 제 관통홀 240 : 제4 고정볼트
241 : 마감캡 242 : 제5 고정볼트
25 : 보조브라켓
251 : 제4 관통홀 252 : 제5 관통홀
253 : 제6 고정볼트
26 : 제2 고정판넬
261 : 제6 관통홀 262 : 고정너트
3 : 와이어
4 : 셔틀

Claims (5)

  1. 지면에 수직으로 입설되는 다수의 지지기둥(1)과, 상기 지지기둥(1)의 상단에 장착되어 수평으로 연장된 후 끝단에 와이어(3)를 연결 고정하는 연결브라켓(23)을 구비하여 상기 연결브라켓(23)에 연결되어 연속된 경로를 가지도록 하는 와이어(3)가 장착되어 셔틀(4)이 와이어(3)를 따라 강하하도록 하는 연속 빌레이에 사용되는 와이어 고정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둥(1)의 정면에 밀착하는 사각의 판형을 가지고 양측에는 3개 이상의 제1 관통홀(211)을 구비하여 제1 고정볼트(212)가 관통하고, 수평으로 길게 연장되어 관통되는 상하 두 개의 지지바 삽입장홀(213)과, 배면에 상기 지지바 삽입장홀(213)의 하부로 동일한 폭으로 하부로 함몰되는 두 개의 안착홈(214)과, 정면에서 상기 안착홈(214)이 형성된 배면을 각각 두 개 씩 관통하는 네 개의 제2 관통홀(215)을 구비하는 제1 고정판넬(21)과;
    상기 지지기둥(1)의 배면에 밀착하는 사각의 판형을 가지고 양측에는 3개 이상의 제6 관통홀(261)을 구비하여 지지기둥(1)을 관통한 제1 고정볼트(212)의 끝단이 삽입된 후 고정너트(262)에 의하고 고정되는 제2 고정판넬(26)과;
    후방 끝단에 지지바 삽입장홀(213)에 삽입된 후 상기 안착홈(214)에 안착되도록 하는 수직 절곡부(221)와, 상기 수직 절곡부(221)의 제2 관통홀(215)에 상응하는 위치에 관통되어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 나사홀(222)과, 상기 제2 관통홀(215)에 삽입된 후 제1 나사홀(222)과 결합하여 고정하는 제2 고정볼트(223)를 구비하고 전방으로 연장되는 지지바(22)와;
    수평방향으로 관통되어 와이어(3)가 관통하도록 하는 홀을 구비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양측에 내경이 단턱지게 확장되어 내주면에 나사산을 구비하는 결합부(231)와, 상부에서 하부로 그리고 하부에서 상부로 각각 두 개씩 내부의 홀로 관통 형성되어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 나사홀(232)과, 상기 제2 나사홀(232)에 장착되어 장착된 와이어(3)를 가압하는 탭볼트(233)와, 상기 와이어(3)가 관통하도록 하는 홀을 구비하고 일측은 외경이 단턱지게 축소되어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231)에 결합하며 수직 이등분되어 두 개 이상의 제3 고정볼트(234)에 의하여 경합하는 두 쌍의 마감소켓(235)과, 상기 와이어(3)와 하부 내경면 사이에 삽입되는 고무패드(236)을 구비하는 연결브라켓(23)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빌레이에 사용되는 와이어 고정브라켓.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브라켓(23)의 저면에는 수평으로 길게 연장되어 상부로 연장되면서 양측 폭이 단턱지게 축소되어 축소된 저면에는 제3 나사홀(237)이 형성되어 내경면을 관통하는 하부 장착홀(238)과, 상기 하부 장착홀(238)에 상응하여 삽입하며 상기 제3 나사홀(237)에 상응하는 제3 관통홀(239)을 구비하여 상면에 고무패트(236)가 올려진 후 제4 고정볼트(240)에 의하여 상기 고무패트(236)가 와이어(3)를 가압하도록 결합되는 마감캡(241)을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빌레이에 사용되는 와이어 고정브라켓.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브라켓(23)은 상하로 이등분되어 하부는 지지바(22)에 고정되고, 4 개 이상의 제5 고정볼트(242)에 의하여 결합 고정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빌레이에 사용되는 와이어 고정브라켓.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관통홀(215)에 상응하는 제4 관통홀(251)을 구비하여 제2 고정볼트(223)에 의하여 고정판넬(21)의 정면에 밀착 장착되고, 일측이 전방으로 수직 절곡되어 연장된 후 끝단은 상단이 수평절곡되어 상면에 상기 지지바(22)의 저면에 밀착하도록 하며, 밀착된 부분을 수직 관통하는 두 개 이상의 제5 관통홀(252) 및 지지바(22)에 추가로 형성되는 제4 나사홀(224)에 결합 고정되는 제6 고정볼트(253)에 의하여 고정되는 보조브라켓(25)을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빌레이에 사용되는 와이어 고정브라켓.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둥(1)이 원형 단면을 가질 때 상기 제1 고정판넬(21)의 배면은 밀착하는 지지기둥(1)의 곡률반경에 상응하여 밀착하도록 원호형으로 함몰 형성되고,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 연결되는 두 개 이상의 밴드 삽입홀(216) 및 상기 밴드 삽입홀(216)을 관통한 후 지지기둥(1)을 감아 고정되는 두 개 이상의 고정밴드(217)를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빌레이에 사용되는 와이어 고정브라켓.
KR1020130140421A 2013-11-19 2013-11-19 연속 빌레이에 사용되는 와이어 고정브라켓 KR101459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0421A KR101459343B1 (ko) 2013-11-19 2013-11-19 연속 빌레이에 사용되는 와이어 고정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0421A KR101459343B1 (ko) 2013-11-19 2013-11-19 연속 빌레이에 사용되는 와이어 고정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9343B1 true KR101459343B1 (ko) 2014-11-07

Family

ID=52287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0421A KR101459343B1 (ko) 2013-11-19 2013-11-19 연속 빌레이에 사용되는 와이어 고정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93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0538B1 (ko) * 2023-08-28 2023-12-06 유한회사 아가페테크 추락방지용 안전고리 고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4427A (en) * 1990-05-22 1993-07-06 Barrow Hepburn Sala Ltd. Fall-arrest systems with yielding mounting bracket for inspection purposes
WO1998026842A1 (en) * 1996-12-17 1998-06-25 Noles Larry J Track transport system with support bracket and track-traveling apparatus
KR20100038371A (ko) * 2007-06-13 2010-04-14 익스포넌트 챌린지 테크놀러지, 쿠퍼러티브 벤누츠샵 메트 베퍼크테 안스프라켈리지크하이드 추락 방지 조립체
JP2012219523A (ja) * 2011-04-08 2012-11-12 Katsumata Kinzoku Kogyo Kk 下地固定用ブラケッ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4427A (en) * 1990-05-22 1993-07-06 Barrow Hepburn Sala Ltd. Fall-arrest systems with yielding mounting bracket for inspection purposes
WO1998026842A1 (en) * 1996-12-17 1998-06-25 Noles Larry J Track transport system with support bracket and track-traveling apparatus
KR20100038371A (ko) * 2007-06-13 2010-04-14 익스포넌트 챌린지 테크놀러지, 쿠퍼러티브 벤누츠샵 메트 베퍼크테 안스프라켈리지크하이드 추락 방지 조립체
JP2012219523A (ja) * 2011-04-08 2012-11-12 Katsumata Kinzoku Kogyo Kk 下地固定用ブラケッ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0538B1 (ko) * 2023-08-28 2023-12-06 유한회사 아가페테크 추락방지용 안전고리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2866B1 (ko) 산형강 철탑용 추락방지 와이어 클램프
EP2317029A2 (en) Anchorage device for fall protection
US10047775B2 (en) Attachment element
CN110475935A (zh) 用于连接两个竖直部件的装置
KR200461101Y1 (ko) 생명줄 전용 안전 난간대
KR102021359B1 (ko)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KR101049437B1 (ko) 당김구가 설치되는 도로용 안전구조물
KR20170042982A (ko) 로프 난간대
KR100972729B1 (ko)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KR101459343B1 (ko) 연속 빌레이에 사용되는 와이어 고정브라켓
KR20130021228A (ko) 비닐하우스 구조보강 장치
KR101409637B1 (ko) 안전난간용 철골고정 클램프
KR101818073B1 (ko) 커버 고정 장치가 구비된 케이블 트레이
JP4592609B2 (ja) 通信ケーブル固定具
ITPD20110333A1 (it) Dissipatore di energia per linee vita e linee vita con tale dispositivo dissipatore
KR101005071B1 (ko) 생명줄 전용 안전 난간대
KR102461818B1 (ko) 구조물에 안전 와이어 로프를 고정하는 장치
KR200479787Y1 (ko) 시스템 동바리 유헤드 고정 장치
KR101897766B1 (ko) 원형 강관형 송전철탑용 추락 및 낙하물 방지장치
KR20110003503U (ko) 케이블 포설기구
KR20200000026A (ko) 건축설비용 행거의 내진 장치
KR200466401Y1 (ko) 길이조절기능을 구비한 지지와이어
JP2018186440A (ja) アンテナ設置用の支持金具
UA27956U (uk) Механічний з`єднувач для профілів віконних рам
KR101894169B1 (ko) 건축용 서포트의 클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