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0538B1 - 추락방지용 안전고리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추락방지용 안전고리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0538B1
KR102610538B1 KR1020230112596A KR20230112596A KR102610538B1 KR 102610538 B1 KR102610538 B1 KR 102610538B1 KR 1020230112596 A KR1020230112596 A KR 1020230112596A KR 20230112596 A KR20230112596 A KR 20230112596A KR 102610538 B1 KR102610538 B1 KR 102610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plate
auxiliary
plate
safety ring
cla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12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선화
최미영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아가페테크
박선화
최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아가페테크, 박선화, 최미영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아가페테크
Priority to KR1020230112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05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0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05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62B35/0068Ancho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62B35/0056Horizontal lifeli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 등 다양한 종류의 고가구조물의 구조에 맞게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하면서 추락사고를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충분한 인장력을 발휘할 수 있어 작업자의 추락예방효율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추락방지용 안전고리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수직판과, 상기 수직판의 측면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각각 수평형성되는 상부수평판 및 하부수평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수평판과 상기 하부수평판 사이에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고정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추락방지용 안전고리 고정장치{FALL PREVENTION SAFETY RING FIXTURE}
본 발명은 교량 등 다양한 종류의 고가구조물의 구조에 맞게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하면서 추락사고를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충분한 인장력을 발휘할 수 있어 작업자의 추락예방효율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추락방지용 안전고리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상에 건설한 교량 등의 고가구조물의 외벽 도색작업, 청소, 보수, 검사 등과 같이 공중 작업을 할 경우에는 추락에 대한 위험성이 더욱 높아지게 된다.
이러한 공중 작업에 사용되는 안전작업복은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 구조물에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와 작업복을 연결하여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안전작업복과 관련하여 착용의 불편함과 이로 인한 추락사고 방지와 같은 본래의 역할 수행에 미흡한 점을 해소하기 위한 안전조끼가 착탈 가능한 추락방지용 안전벨트 구조가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288774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288774호의 경우, 안전작업복을 착용한 작업자가 이동을 위해 매번 걸림쇠를 와이어에 걸었다 풀었다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작업자의 자유로운 이동에 제한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288774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교량 등 다양한 종류의 고가구조물의 구조에 맞게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하면서 추락사고를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충분한 인장력을 발휘할 수 있어 작업자의 추락예방효율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추락방지용 안전고리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직판과, 상기 수직판의 측면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각각 수평형성되는 상부수평판 및 하부수평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수평판과 상기 하부수평판 사이에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고정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안전고리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수평판의 하부 전측과 상기 수직판의 하부 전측 사이 및 상기 하부수평판의 하부 후측과 상기 수직판의 하부 후측 사이에 각각 보강리브가 수직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직판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부고정공 및 하부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수평판에 상부보조고정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직판의 하부고정공은 상기 수직판의 하부에 상기 수직판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 1하부고정공과; 상기 복수의 제 1하부고정공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직판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 2하부고정공;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수평판의 상부보조고정공은 상기 상부수평판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상부수평판의 상부보조고정공에 상하이동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상부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상부수평판의 상부보조고정공에 수용된 상태로 용접부위가 상기 상부수평판의 상부방향으로 노출되도록 용접고정되는 상부너트와; 상기 상부너트에 상하이동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상부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어느 하나의 상기 고정대의 수직판의 하부에 일측이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는 턴버클과; 상기 턴버클의 타측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다른 상기 고정대의 하부에 연결되며, 안전상의의 후크와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와이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어느 하나의 상기 고정대의 삽입공간에 교량의 하부구조물의 복수의 상부보강판 중 어느 하나의 상부보강판의 단부가 삽입고정되고, 다른 상기 고정대의 삽입공간에 교량의 하부구조물의 복수의 상부보강판 중 다른 상부보강판의 단부가 삽입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하부수평판의 일측에서 타측까지의 좌우길이는 상기 상부수평판의 일측에서 타측까지의 좌우길이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어느 하나의 상기 고정대와 다른 상기 고정대 사이에 위치한 상기 와이어를 안착지지하는 보조고정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보조고정대는 보조수직판과; 상기 보조수직판의 측면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각각 수평형성되는 상부보조수평판 및 하부보조수평판과; 상기 하부보조수평판의 하부에 형성되는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에 상부가 연결되는 하부받침프레임과; 상기 하부받침프레임의 상부 내측에 축결합되어 상기 와이어를 안착지지하는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보조수평판과 상기 하부보조수평판 사이에 삽입공간이 형성되며, 교량의 하부구조물의 복수의 상부보강판 중 어느 하나의 상부보강판과 다른 상기 상부보강판 사이에 위치하는 또 다른 상부보강판의 단부가 상기 상부보조수평판과 상기 하부보조수평판 사이에 형성된 삽입공간에 삽입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보조수평판의 일측에서 타측까지의 좌우길이는 상기 상부보조수평판의 일측에서 타측까지의 좌우길이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상부보조수평판에 일정간격으로 고정되는 상부보조너트와; 상기 상부보조너트와 상기 상부보조수평판을 순차적으로 수직관통한 상태로 상기 상부보조수평판의 상하방향으로 상하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상부보조너트에 나사결합되는 상부보조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부수평판에 하부보조고정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하부수평판의 하부보조고정공에 상하이동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하부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하부수평판의 하부보조고정공에 수용된 상태로 용접부위가 상기 하부수평판의 하부방향으로 노출되도록 용접고정되는 하부너트와; 상기 하부너트에 상하이동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하부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수직판이 교량의 하부에 수평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교량의 하부에 구비된 앵커볼트가 상기 수직판의 상부고정공과 하부고정공을 각각 수직관통한 상태로 너트와 나사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교량 등 다양한 종류의 고가구조물의 구조에 맞게 고정대를 일정간격으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후크를 매번 와이어에 걸었다 풀었다 할 필요없이 상기 고정대 사이에 설치되는 와이어를 따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음은 물론 추락사고 또한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와이어의 중간부위에 설치될 수 있는 보조고정대를 통해 상기 와이어가 상기 와이어의 하부방향으로 처짐현상 없이 충분한 인장력을 발휘할 수 있어 작업자의 추락예방효율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추락방지용 안전고리 고정장치의 고정대로부터 상부너트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분리사시도이다.
도 2는 고정대에 상부너트가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4는 고정대로부터 상부볼트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도 5는 고정대에 상부볼트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안전상의의 후크가 와이어에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교량으로부터 고정대가 분리된 상태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정면도이다.
도 8은 교량에 고정대가 설치된 상태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보조고정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교량으로부터 보조고정대가 분리된 상태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정면도이다.
도 13은 교량에 보조고정대가 설치된 상태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4는 안전상의의 후크가 보조고정대의 롤러를 통과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5는 고정대로부터 하부너트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도 16은 고정대로부터 하부볼트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도 17은 고정대에 하부볼트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8은 하부볼트가 각각 교량의 상부보강판에 밀착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9는 교량으로부터 고정대가 분리된 상태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정면도이다.
도 20은 교량에 고정대가 설치된 상태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1은 교량으로부터 보조고정대가 분리된 상태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정면도이다.
도 22는 교량에 보조고정대가 설치된 상태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추락방지용 안전고리 고정장치의 고정대로부터 상부너트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고정대에 상부너트가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추락방지용 안전고리 고정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고정대(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고정대(10)는 지상에 건설한 교량 등 다양한 종류의 고가구조물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대(10)는 크게, 수직판(110), 상부수평판(120) 및 하부수평판(1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판(110)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에 상기 상부수평판(120) 및 상기 하부수평판(130)이 상기 수직판(11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각각 수평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수평판(120)과 상기 하부수평판(130) 사이에 삽입공간(140)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대(10)의 내구성 향상을 위해, 상기 하부수평판(130)의 하부 전측과 상기 수직판(110)의 하부 전측 사이 및 상기 하부수평판의 하부 후측과 상기 수직판의 하부 후측 사이에 보강리브(150)가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수평판(120)의 상부방향에 위치한 상기 수직판(110)의 상부 중간부위에 앵커볼트가 통과가능한 상부고정공(111)이 드릴링 가공형성 등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수평판(13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보강리브(150) 사이의 상기 수직판(110)의 하부 부위에 하부고정공(112)이 드릴링 가공형성 등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고정공(112)은 일예로, 크게, 앵커볼트가 통과가능한 복수의 제 1하부고정공(112a)와, 턴버클 볼트가 통과가능한 제 2하부고정공(112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 1하부고정공(112a)은 상기 수직판(11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하부고정공(112b)은 상기 복수의 제 1하부고정공(112a) 사이의 하부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수평판(120)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에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보조고정공(1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보조고정공(121)은 일예로, 상기 상부수평판(12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개로 탭가공형성 등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상부수평판(120)의 상부보조고정공(121)에는 일예로, 상부볼트가 수직으로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작업자에 의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상부수평판(12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는, 다른예로서,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수평판(120)의 상부보조고정공(121)에 웰딩너트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부너트(11)가 수용된 상태로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부너트(11)의 상하폭은 상기 상부수평판(120)의 상하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대(10)의 삽입공간(140)에 후술할 교량의 하부구조물의 상부보강판의 단부가 삽입되는 과정 중에 상기 상부너트(11)에 발생된 용접부위(P1)가 방해요소로 작용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상부너트(11)의 용접부위(P1)는 상기 상부수평판(12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높이로 노출되는 상기 상부너트(11)의 상부 측면 외주면과 상기 상부너트(11)와 인접한 상기 상부수평판(120)의 상부면 사이에 형성된 상태로 상기 상부수평판(120)의 상부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
도 4는 고정대로부터 상부볼트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고정대에 상부볼트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상부볼트(12)는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너트(11)에 상기 상부수평판(12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직으로 나사결합될 수 있다.
도 6은 안전상의의 후크가 와이어에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턴버클(13)과 와이어(1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턴버클(13)은 상기 와이어(14)의 인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턴버클(13)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는 턴버클 볼트(131)는 어느 하나의 고정대(10)의 수직판(110)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고정공(112) 중 제 2하부고정공(112b)을 수평관통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14)는 지상에 건설한 교량 등 다양한 종류의 고가구조물의 외벽 도색작업, 청소, 보수, 검사 등과 같이 공중 작업을 하는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와이어(14)의 일측은 상기 턴버클(13)의 타측에 구비될 수 있는 다른 턴버클 볼트(132)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에 형성된 링형 체결고리(132a)의 내측을 관통한 상태로 U볼트(5) 등의 연결수단을 통해 풀리지 않도록 연결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14)의 타측은 다른 상기 고정대(10)의 수직판(110)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고정공(112) 중 제 2하부고정공(112b)을 수평관통하는 볼트(15)의 일측에 형성된 링형 체결고리(151)의 내측을 관통한 상태로 U볼트(5) 등의 연결수단을 통해 풀리지 않도록 연결고정될 수 있다.
작업자가 추락방지를 위해 착용할 수 있는 안전상의(7)의 후크(72)는 상기 와이어(14)에 분리가능하게 연결 및 연결해제될 수 있다.
상기 안전상의(7)와 후크(72)는 안전로프(71) 등 다양한 종류의 연결라인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도 7은 교량으로부터 고정대가 분리된 상태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정면도이고, 도 8은 교량에 고정대가 설치된 상태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상기 고정대(10)의 삽입공간(140)에는 일예로, 고가구조물 중 교량(3)의 하부구조물(31)의 신설받침(33)의 상부에 수평형성된 복수의 상부보강판(32) 중 상기 하부구조물(31)의 상부 일측 방향에 위치한 어느 하나의 상부보강판(32a)의 일단부가 삽입고정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상기 고정대(10)가 어느 하나의 상부보강판(32a)의 일단부에 보다 안정적으로 위치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어느 하나의 상기 고정대(10)의 상부수평판(120)에 구비된 상기 상부볼트(12)가 어느 하나의 상부보강판(32a)의 일단부 상부에 밀착 및 밀착해제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상기 고정대(10)의 삽입공간(140)에는 교량(3)의 하부구조물(31)의 복수의 상부보강판(32) 중 상기 하부구조물(31)의 상부 타측 방향에 위치한 다른 상부보강판(32b)의 타단부가 삽입고정될 수 있다.
다른 상기 고정대(10)가 다른 상부보강판(32b)의 타단부에 보다 안정적으로 위치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른 상기 고정대(10)의 상부수평판(120)에 구비된 상기 상부볼트(12)가 다른 상부보강판(32b)의 타단부 상부에 밀착 및 밀착해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대(10)의 수직판(110)의 상부가 교량(3)의 하부구조물(31)의 상부보강판(32)의 일단부 하부방향 또는 타단부 하부방향으로 회전이동된 상태로 치우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수평판(130)의 일측에서 타측까지의 좌우길이(L2)는 상기 상부수평판(120)의 일측에서 타측까지의 좌우길이(L1)보다 큰 것이 좋다.
도 9는 보조고정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9의 정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와이어(14)가 상기 와이어(14)의 하부방향으로 볼록하게 처짐현상 없이 충분한 인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와이어(14)를 안착지지하는 보조고정대(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고정대(20)는 일예로, 도 9 내지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보조수직판(210), 상부보조수평판(220), 하부보조수평판(230), 연결바(240), 하부받침프레임(250) 및 롤러(2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수직판(210)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에 상기 상부보조수평판(220)과 상기 하부보조수평판(230)이 상기 보조수직판(21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각각 수평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바(240)의 상부가 상기 하부보조수평판(230)의 하부 중간부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된 상태로 상기 연결바(240)는 상기 하부조보수평판(230)의 하부에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받침프레임(250)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 상부는 상기 연결바(240)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특히, 교량(3)의 하부구조물(31)과 상부보강판(32) 사이의 상하간격에 따라 상기 하부받침프레임(250)이 상기 연결바(24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체결수단에 의해 위치조절된 상태로 위치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연결바(240)에 복수의 높이조절공(241)이 상기 연결바(24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수단은 볼트(2)와 너트(4)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체결수단의 볼트(2)는 상기 하부받침프레임(250)의 후측 상부와 상기 연결바(240)의 복수의 높이조절공(241) 중 어느 하나의 높이조절공(241)을 수평관통할 수 있다.
상기 체결수단의 너트(4)는 어느 하나의 높이조절공(241)을 관통한 상태인 상기 볼트(2)의 후측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롤러(260)는 상기 하부받침프레임(25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하부받침프레임(250)의 상부 내측에 수평상태로 축결합되어 상기 와이어(14)를 안착지지할 수 있다.
도 12는 교량으로부터 보조고정대가 분리된 상태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정면도이고, 도 13은 교량에 보조고정대가 설치된 상태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상기 보조고정대(20)의 하부받침프레임(250)의 하부는 어느 하나의 고정대(10)와 다른 고정대(10) 사이에 위치한 교량(3)의 하부구조물(31)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고정대(20)의 롤러(260)는 어느 하나의 고정대(10)와 다른 고정대(10) 사이에 위치한 와이어(14)의 중간부위를 안착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와이어(14)의 중간부위에 설치될 수 있는 상기 보조고정대(20)를 통해 상기 와이어(14)가 상기 와이어(14)의 하부방향으로 처짐현상 없이 충분한 인장력을 발휘할 수 있어 작업자의 추락예방효율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9 내지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보조수평판(220)과 상기 하부보조수평판(230) 사이에 삽입공간(27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교량(3)의 하부구조물(31)의 복수의 상부보강판(32) 중 어느 하나의 상부보강판(32a)과 다른 상기 상부보강판(32b) 사이에 위치하는 또 다른 상부보강판(32c)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가 상기 상부보조수평판(220)과 상기 하부보조수평판(230) 사이에 형성된 상기 삽입공간(270)에 삽입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보조고정대(20)의 보조수직판(210)의 상부가 교량(3)의 하부구조물(31)의 상부보강판(32)의 일단부 하부방향 또는 타단부 하부방향으로 회전이동된 상태로 치우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보조수평판(230)의 일측에서 타측까지의 좌우길이(L3)는 상기 상부보조수평판(220)의 일측에서 타측까지의 좌우길이(L4)보다 큰 것이 좋다.
다음으로, 일예로, 상부보조볼트(22)가 상기 상부보조수평판(220)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상부보조수평판(22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상부보조수평판(220)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9 내지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보조수평판(22)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 상부에 웰딩너트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부보조너트(21)가 상기 상부보조수평판(22)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안착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보조볼트(22)가 상기 상부보조너트(21)와 상기 상부보조수평판(22)을 순차적으로 수직관통한 상태로 상기 상부보조수평판(22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상부보조너트(21)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보조고정대(20)가 또 다른 상부보강판(32c)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에 보다 안정적으로 위치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보조볼트(22)는 또 다른 상부보강판(32c)의 일단부 상부 또는 타단부 상부에 밀착 및 밀착해제될 수 있다.
도 14는 안전상의의 후크가 보조고정대의 롤러를 통과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조고정대(20)의 롤러(260)의 상부로 상기 안전상의(7)의 후크(72)가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기 때문에 교량(3)의 점검난간(9)에 위치한 작업자가 안전상의(7)의 후크(72) 매번 상기 와이어(14)에 걸었다 풀었다 할 필요없이 상기 고정대(10) 사이에 설치되는 상기 와이어(14)를 따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음은 물론 추락사고 또한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5는 고정대로부터 하부너트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6은 고정대로부터 하부볼트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7은 고정대에 하부볼트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대(10)의 하부수평판(130)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 중간부에 하부보조고정공(131)이 탭가공형성 등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수평판(130)의 하부보조고정공(131)에는 일예로, 하부볼트(14)가 수직으로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작업자에 의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하부수평판(13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는, 다른예로서, 도 15 내지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보조고정공(131)에 웰딩너트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하부너트(13)가 수용된 상태로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부너트(13)의 상하폭은 상기 하부수평판(130)의 상하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대(10)의 삽입공간(140)에 교량의 하부구조물(3)의 상부보강판(32)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가 삽입되는 과정 중에 상기 하부너트(13)에 발생된 용접부위(P2)가 방해요소로 작용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하부너트(13)의 용접부위(P2)는 상기 하부수평판(130)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노출되는 상기 하부너트(13)의 하부 측면 외주면과 상기 하부너트(13)와 인접한 상기 하부수평판(130)의 하부면 사이에 형성된 상태로 상기 하부수평판(130)의 하부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
도 18은 하부볼트가 각각 교량의 상부보강판에 밀착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상기 고정대(10)가 보다 더욱 안정적으로 위치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볼트(14)는 어느 하나의 상부보강판(32a)의 일단부 하부와 다른 상부보강판(32b)의 타단부 하부에 밀착 및 밀착해제될 수 있다.
도 19는 교량으로부터 고정대가 분리된 상태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정면도이고, 도 20은 교량에 고정대가 설치된 상태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교량(3)의 콘크리트 재질의 슬래브(3)의 하부에는 복수의 앵커볼트(33)가 교량(3)의 슬래브(3)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수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19 및 도 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교량(3)의 슬래브(3)의 하부 일측과 하부 타측에 각각 어느 하나의 고정대(10)의 수직판(110)과 다른 고정대(10)의 수직판(110)이 각각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교량(3)의 슬래브(3)의 하부 일측과 하부 타측에 각각 구비된 복수의 앵커볼트(33)는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인 상기 수직판(110)의 상부고정공(111)과 하부고정공(112) 중 복수의 제 1하부고정공(112a)을 각각 수직관통한 상태로 너트(34)와 분리가능하게 나사결합될 수 있다.
도 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턴버클(13)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는 턴버클 볼트(131)는 어느 하나의 고정대(10)의 수평상태로 눕혀진 상기 수직판(110)의 하부방향에 위치한 하부수평판(130)의 하부보조고정공(131)을 수평관통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14)의 타측은 다른 상기 고정대(10)의 수평상태로 눕혀진 수직판(110)의 하부방향에 위치한 하부수평판(130)의 하부보조고정공(131)을 수평관통한 볼트(15)의 일측에 형성된 링형 체결고리(151)의 내측을 관통한 상태로 연결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교량(3) 등 다양한 종류의 고가구조물의 구조에 맞게 상기 고정대(10)를 일정간격으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도 21은 교량으로부터 보조고정대가 분리된 상태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정면도이고, 도 22는 교량에 보조고정대가 설치된 상태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보조고정대(20)의 보조수직판(210)의 상부 중간에 상부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보조수직판(210)의 하부에 하부관통공이 상기 보조수직판(21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관통공과 상기 하부관통공 사이에 상기 상부보조수평판(220) 및 상기 하부보조수평판(23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1 및 도 2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교량(3)의 슬래브(3)의 하부 중간에 상기 보조고정대(20)의 보조수직판(210)이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교량(3)의 슬래브(3)의 하부 중간에 구비된 복수의 앵커볼트(33)는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인 상기 보조수직판(210)의 상부관통공과 하부관통공을 각각 수직관통한 상태로 너트(34)와 분리가능하게 나사결합될 수 있다.
10; 고정대, 110; 수직판,
120; 상부수평판, 130; 하부수평판,
140; 삽입공간.

Claims (18)

  1. 수직판과, 상기 수직판의 측면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각각 수평형성되는 상부수평판 및 하부수평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수평판과 상기 하부수평판 사이에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고정대와
    어느 하나의 상기 고정대의 수직판의 하부에 일측이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는 턴버클과;
    상기 턴버클의 타측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다른 상기 고정대의 하부에 연결되며, 안전상의의 후크와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와이어와;
    보조수직판과, 상기 보조수직판의 측면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각각 수평형성되는 상부보조수평판 및 하부보조수평판과, 상기 하부보조수평판의 하부에 형성되는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에 상부가 연결되는 하부받침프레임과, 상기 하부받침프레임의 상부 내측에 축결합되어 상기 와이어를 안착지지하는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어느 하나의 상기 고정대와 다른 상기 고정대 사이에 위치한 상기 와이어를 안착지지하는 보조고정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안전고리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수평판의 하부 전측과 상기 수직판의 하부 전측 사이 및 상기 하부수평판의 하부 후측과 상기 수직판의 하부 후측 사이에 각각 보강리브가 수직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안전고리 고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판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부고정공 및 하부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수평판에 상부보조고정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안전고리 고정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판의 하부고정공은 상기 수직판의 하부에 상기 수직판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 1하부고정공과;
    상기 복수의 제 1하부고정공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직판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 2하부고정공;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수평판의 상부보조고정공은 상기 상부수평판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안전고리 고정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수평판의 상부보조고정공에 상하이동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상부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안전고리 고정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수평판의 상부보조고정공에 수용된 상태로 용접부위가 상기 상부수평판의 상부방향으로 노출되도록 용접고정되는 상부너트와;
    상기 상부너트에 상하이동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상부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안전고리 고정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상기 고정대의 삽입공간에 교량의 하부구조물의 복수의 상부보강판 중 어느 하나의 상부보강판의 단부가 삽입고정되고,
    다른 상기 고정대의 삽입공간에 교량의 하부구조물의 복수의 상부보강판 중 다른 상부보강판의 단부가 삽입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안전고리 고정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수평판의 일측에서 타측까지의 좌우길이는 상기 상부수평판의 일측에서 타측까지의 좌우길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안전고리 고정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보조수평판과 상기 하부보조수평판 사이에 삽입공간이 형성되며,
    교량의 하부구조물의 복수의 상부보강판 중 어느 하나의 상부보강판과 다른 상기 상부보강판 사이에 위치하는 또 다른 상부보강판의 단부가 상기 상부보조수평판과 상기 하부보조수평판 사이에 형성된 삽입공간에 삽입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안전고리 고정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보조수평판의 일측에서 타측까지의 좌우길이는 상기 상부보조수평판의 일측에서 타측까지의 좌우길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안전고리 고정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보조수평판에 일정간격으로 고정되는 상부보조너트와;
    상기 상부보조너트와 상기 상부보조수평판을 순차적으로 수직관통한 상태로 상기 상부보조수평판의 상하방향으로 상하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상부보조너트에 나사결합되는 상부보조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안전고리 고정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수평판에 하부보조고정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안전고리 고정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수평판의 하부보조고정공에 상하이동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하부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안전고리 고정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수평판의 하부보조고정공에 수용된 상태로 용접부위가 상기 하부수평판의 하부방향으로 노출되도록 용접고정되는 하부너트와;
    상기 하부너트에 상하이동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하부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안전고리 고정장치.
  1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판이 교량의 하부에 수평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교량의 하부에 구비된 앵커볼트가 상기 수직판의 상부고정공과 하부고정공을 각각 수직관통한 상태로 너트와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방지용 안전고리 고정장치.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230112596A 2023-08-28 2023-08-28 추락방지용 안전고리 고정장치 KR102610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2596A KR102610538B1 (ko) 2023-08-28 2023-08-28 추락방지용 안전고리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2596A KR102610538B1 (ko) 2023-08-28 2023-08-28 추락방지용 안전고리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0538B1 true KR102610538B1 (ko) 2023-12-06

Family

ID=89163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2596A KR102610538B1 (ko) 2023-08-28 2023-08-28 추락방지용 안전고리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0538B1 (ko)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774B1 (ko) 2013-03-07 2013-07-22 김성탄 안전조끼가 착탈 가능한 추락방지용 안전벨트 구조
KR101435948B1 (ko) * 2013-06-30 2014-11-03 김경필 철골 빔 설치용 안전 난간대
KR101459343B1 (ko) * 2013-11-19 2014-11-07 주식회사 챌린지코리아 연속 빌레이에 사용되는 와이어 고정브라켓
CN104288935A (zh) * 2014-09-12 2015-01-21 浙江百安固金属屋面有限公司 一种钢索防坠落系统及其安装方法
WO2019133401A1 (en) * 2017-12-28 2019-07-04 Crown Castle USA, Inc. Safety climb attenuation apparatus
WO2020170009A1 (en) * 2019-02-19 2020-08-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the condition of a fall-protection safety system
CN213285435U (zh) * 2020-08-19 2021-05-28 上海恒颂安全科技有限公司 垂直生命线
KR102261202B1 (ko) * 2020-10-05 2021-06-07 주식회사 제이케이시스 갠트리 타워 빔용 추락 방지 안전 장치
KR102459431B1 (ko) * 2022-02-21 2022-10-27 주식회사 이에스시스템 사다리용 추락방지장치 고정부재
KR20220149959A (ko) * 2021-05-03 2022-11-10 김희숙 추락방지를 위한 와이어로프 안전장치
KR102532648B1 (ko) * 2022-10-26 2023-05-15 주식회사 이에스시스템 수평 추락방지장치
KR102532649B1 (ko) * 2022-10-31 2023-05-16 주식회사 이에스시스템 사다리 추락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774B1 (ko) 2013-03-07 2013-07-22 김성탄 안전조끼가 착탈 가능한 추락방지용 안전벨트 구조
KR101435948B1 (ko) * 2013-06-30 2014-11-03 김경필 철골 빔 설치용 안전 난간대
KR101459343B1 (ko) * 2013-11-19 2014-11-07 주식회사 챌린지코리아 연속 빌레이에 사용되는 와이어 고정브라켓
CN104288935A (zh) * 2014-09-12 2015-01-21 浙江百安固金属屋面有限公司 一种钢索防坠落系统及其安装方法
WO2019133401A1 (en) * 2017-12-28 2019-07-04 Crown Castle USA, Inc. Safety climb attenuation apparatus
WO2020170009A1 (en) * 2019-02-19 2020-08-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the condition of a fall-protection safety system
CN213285435U (zh) * 2020-08-19 2021-05-28 上海恒颂安全科技有限公司 垂直生命线
KR102261202B1 (ko) * 2020-10-05 2021-06-07 주식회사 제이케이시스 갠트리 타워 빔용 추락 방지 안전 장치
KR20220149959A (ko) * 2021-05-03 2022-11-10 김희숙 추락방지를 위한 와이어로프 안전장치
KR102459431B1 (ko) * 2022-02-21 2022-10-27 주식회사 이에스시스템 사다리용 추락방지장치 고정부재
KR102532648B1 (ko) * 2022-10-26 2023-05-15 주식회사 이에스시스템 수평 추락방지장치
KR102532649B1 (ko) * 2022-10-31 2023-05-16 주식회사 이에스시스템 사다리 추락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4483B1 (ko) 안전발판을 포함한 건축용 비계장치
US8245816B2 (en) Integral safety system which can be used for construction
US11851900B2 (en) Temporary safety railing system and method
JP3181041U (ja) 橋梁用足場取付け部材
KR200461101Y1 (ko) 생명줄 전용 안전 난간대
KR101076562B1 (ko) 슬래브거푸집의 지지구조
KR20110077096A (ko) 지중화 전력구 공사용 가설 계단
KR102610538B1 (ko) 추락방지용 안전고리 고정장치
KR100597783B1 (ko) 난간대용 지주대
KR200417314Y1 (ko) 낙하물 방지장치
KR200386867Y1 (ko) 안전방호망장치
EP1160395B1 (en) Assembly of guard rails
KR100476659B1 (ko) 안전작업대 조립체의 시공방법
JP5807883B1 (ja) 吊足場
JP2021075967A (ja) 吊り足場
KR20120133013A (ko) 건축물 공사용 안전 난간대
JP5812554B1 (ja) 親綱係留用支柱の取付金具及び取付構造
KR101112172B1 (ko) 피시빔 교량용 작업로 구축장치
KR101839600B1 (ko) 경강선 보강을 이용한 일체형 안전교량점검로
KR101251051B1 (ko) 철골 빔 설치용 안전난간대
RU2809450C1 (ru) Кронштейн для установки навесной площадки
KR102671364B1 (ko) 철탑용 안전발판 조립체
CN217352125U (zh) 一种贝雷桥搭建用槽钢装配式钢栈桥栏杆
CN219930741U (zh) 一种附着式通铺的吊篮施工平台
EP1876315A1 (en) Integral safety system which can be used for constr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