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1511B1 - 교량용 점검대 - Google Patents

교량용 점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1511B1
KR102261511B1 KR1020190030538A KR20190030538A KR102261511B1 KR 102261511 B1 KR102261511 B1 KR 102261511B1 KR 1020190030538 A KR1020190030538 A KR 1020190030538A KR 20190030538 A KR20190030538 A KR 20190030538A KR 102261511 B1 KR102261511 B1 KR 102261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bracket
pier
main post
coupling bolt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0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0967A (ko
Inventor
강형숙
안병원
Original Assignee
삼우엠텍(주)
삼우기연 주식회사
강형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우엠텍(주), 삼우기연 주식회사, 강형숙 filed Critical 삼우엠텍(주)
Priority to KR1020190030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1511B1/ko
Publication of KR20200110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0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1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1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6Movable inspection or maintenance platforms, e.g. travelling scaffolding or vehicles specially designed to provide access to the undersides of bridge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점검대는, 교각의 상부 일측에 소정 거리를 두고 구비되고, 상기 교각에 앵커볼트로 결합되는 상부 걸이바; 상기 교각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상기 상부 걸이바와 소정 거리를 두고 구비되는 메인 포스트; 상기 메인 포스트의 상부에 구비되는 연결 브라켓; 상기 메인 포스트의 일측에서 상부로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는 난간 지주; 및 상기 상부 걸이바와 상기 연결 브라켓을 결합하는 결합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걸이바와 상기 연결 브라켓 사이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메인 포스트의 위치를 고정하는 교량용 점검대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교량용 점검대{INSPECTION EQUIPMENT OF BRIDGE}
본 발명은 교량용 점검대에 관한 것으로서, 교각 상면의 형태와 관계없이 수평을 이루며 설치되는 교량용 점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을 구성하는 교각 상부에는 교량의 각종 결합요소, 이음매 요소를 관리자가 수시로 점검할 수 있도록 점검대가 설치된다. 이러한 교량용 점검대는 교각의 상부에서 난간 형태를 이루며, 작업자 또는 점검자가 통행할 수 있도록 통로를 제공함과 동시에 추락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종래의 교량용 점검대는 교각에 설치되는 방식에 따라 크게 천공형(앵커식)과 거치형(걸이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천공형 교량용 점검대에 관한 특허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0711976호(이하, '종래기술 1'이라 한다)에 기재된 것이 공지되어 있다.
종래기술 1의 교량용 점검대는 하나 이상의 고정 리브가 장착되는 수직 프레임(메인 포스트)과, 수직 프레임의 상부에 연결되는 보강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고정 리브에 앵커볼트가 제공됨으로써 교각에 고정된다. 이때, 작업자는 수직 프레임과 연결된 바닥판을 이동하며 교량을 점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 1의 교량용 점검대는 교각의 측면에만 수직 프레임이 고정됨으로써, 작업자의 하중으로 인하여 앵커에 반복적으로 힘이 가해져 앵커볼트가 풀릴 수 있다. 이로 인해, 교량용 점검대가 추락하게 되고, 이는 작업자의 추락 사고를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걸이식 교량용 점검대에 관한 특허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09977호(이하, '종래기술 2'라 한다)에 기재된 것이 공지되어 있다.
종래기술 2의 교량용 점검대는 교각의 전체 둘레에 연결 설치되는 둘레고정대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교각의 상부에 걸치는 구조로 제공된다. 그러나, 교각의 상부 콘크리트면이 평평하지 않을 경우, 둘레고정대가 일측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제공되게 되고, 이에 따라, 작업자가 이동하는 발판 역시 수평하지 않도록 제공될 수 있다. 즉, 교각 상부의 콘크리트 면을 평평하게 하기 위한 작업이 더 필요하게 되므로, 교량용 점검대의 설치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11976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09977호
이에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교각 상면의 형태와 관계없이 수평을 이루며 설치되는 교량용 점검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설치 비용이 감소하는 교량용 점검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점검대는, 교각의 상부 일측에 소정 거리를 두고 구비되고, 상기 교각에 앵커볼트로 결합되는 상부 걸이바; 상기 교각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상기 상부 걸이바와 소정 거리를 두고 구비되는 메인 포스트; 상기 메인 포스트의 상부에 구비되는 연결 브라켓; 상기 메인 포스트의 일측에서 상부로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는 난간 지주; 및 상기 상부 걸이바와 상기 연결 브라켓을 결합하는 결합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걸이바와 상기 연결 브라켓 사이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메인 포스트의 위치를 고정하는 교량용 점검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포스트는, 상기 교각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제1 서브 프레임; 및 상기 제1 서브 프레임의 하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서브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난간 지주는 상기 제2 서브 프레임의 일측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제1 서브 프레임의 양측에 고정 브라켓이 복수개 구비되고,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교각의 외주면에 앵커볼트로 고정되는 교량용 점검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걸이바의 측면에 장공을 포함하는 보강 플레이트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보강 플레이트는 상기 연결 브라켓의 측면 및 상기 메인 포스트의 일부 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장공의 길이는 상기 연결 브라켓의 길이에 대응하는 교량용 점검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볼트는 상기 상부 걸이바와 상기 연결 브라켓을 관통하고, 4개의 너트와 결합되는 교량용 점검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걸이바는, 상기 교각의 상면과 맞닿는 형태로 제공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양측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볼트는 상기 바닥부를 관통하고, 2개의 상기 너트는 각각 상기 바닥부의 상부 및 하부에 제공되어 상기 결합볼트와 결합되는 교량용 점검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부의 상부 및 하부에 제공되는 상기 너트를 조절하여 상기 상부 걸이바와 상기 연결 브라켓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교량용 점검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브라켓은, 상기 교각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수직부; 상기 수직부의 상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수평부; 및 상기 수직부의 하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수평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볼트는 상기 제1 수평부 및 상기 제2 수평부를 순차적으로 관통하고, 2개의 상기 너트는 상기 제1 수평부의 상부 및 하부에 제공되어 상기 결합볼트와 결합되는 교량용 점검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수평부의 상부 및 하부에 제공되는 상기 너트를 조절하여 상기 상부 걸이바와 상기 연결 브라켓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교량용 점검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수평부와 상기 제2 수평부 사이에 개방부가 구비되고, 상기 개방부를 통해 상기 너트의 결합 상태가 노출되는 교량용 점검대가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교량용 점검대는, 교각 상면의 형태에 관계없이 수평을 이루며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설치 비용이 감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점검대의 사시도.
도 2는 발판을 제외한 도 1의 교량용 점검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교량용 점검대에서 보강 플레이트를 제외한 측면도.
도 4는 도 1의 교량용 점검대의 측면도.
도 5은 도 1의 교량용 점검대의 정면도.
이하의 내용은 단지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점검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발판을 제외한 도 1의 교량용 점검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교량용 점검대(1)는 교각(2)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교각(2)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는 상부 걸이바(10)와, 교각(2)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메인 포스트(20)와, 메인 포스트(20)의 상부에 구비되는 연결 브라켓(30)과, 메인 포스트(30)의 일측에서 상부로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는 난간 지주(40)와, 상부 걸이바(10) 및 연결 브라켓(30)을 결합하는 결합볼트(50)를 포함한다.
상부 걸이바(10)는 교각(2)의 상부 일측에 앵커볼트(미도시)로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부 걸이바(10)는 교각(2)의 상면과 맞닿는 형태로 제공되는 바닥부(110)와, 바닥부(110)의 양측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연장부(120)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ㄷ'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앵커볼트는 바닥부(110)를 관통한 후 교각(2)에 결합될 수 있다.
상부 걸이바(10)의 일부는 교각(2)의 상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교각(2)의 상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부 걸이바(10)의 일측은 메인 포스트(20) 및 연결 브라켓(30)의 크기에 대응될 수 있다.
상부 걸이바(10)는 교각(2)의 상면에 소정 거리를 두고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상부 걸이바(10)는 겹치지 않는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 2개의 상부 걸이바(10)가 교각(2)에 결합되는 것을 예로 도시하였으나, 하나의 교각(1)에 수십개의 상부 걸이바(10)가 결합될 수 있다.
상부 걸이바(10)와 소정 거리를 두고 메인 포스트(20)가 구비된다. 메인 포스트(20)는 교각(2)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것으로서, 상부 걸이바(10)와 같은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메인 포스트(20)는 교각(2) 상면의 외부로 돌출된 상부 걸이바(10)의 일측과 동일 수직 선상에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메인 포스트(20)는 교각(2)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제1 서브 프레임(210)과, 제1 서브 프레임(210)의 하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서브 프레임(220)을 포함한다. 이때, 제1 서브 프레임(210)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이며, 제2 서브 프레임(220)은 제1 서브 프레임(210)의 하부에서 전방으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이다.
제1 서브 프레임(210)의 양측에는 고정 브라켓(211)이 복수개 구비된다. 고정 브라켓(211)은 'ㄴ'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측은 제1 서브 프레임(210)의 측면에 결합되고, 타측은 교각(2)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고정 브라켓(211)은 제1 서브 프레임(210)과 용접되어 결합되고, 교각(2)과 앵커볼트(212)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 서브 프레임(210)과 용접 결합된 고정 브라켓(211)이 교각(2)과 앵커볼트(212)를 통해 결합됨으로써, 메인 포스트(20)와 교각(2)이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서브 프레임(210)에 4개의 고정 브라켓(211)이 구비되는 것을 예로 도시하였으나, 고정 브라켓(211)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서브 프레임(220)의 일측에는 끼움부(221)가 형성될 수 있다. 끼움부(221)는 난간 지주(40)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난간 지주(40)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난간 지주(40)가 끼움부(221)에 결합된 후, 결합볼트(222)가 제2 서브 프레임(220) 및 난간 지주(40)를 관통할 수 있다. 즉, 제2 서브 프레임(220)과 난간 지주(40)가 더욱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메인 포스트(20)의 상부에는 연결 브라켓(30)이 구비된다. 연결 브라켓(30)은 제1 서브 프레임(210)의 상부에 용접 결합되는 것으로서, 교각(2)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수직부(310)와, 수직부(310)의 상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수평부(320)와, 수직부(310)의 하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수평부(330)와, 제1 수평부(320)와 제2 수평부(330) 사이에 구비되는 개방부(340)를 포함한다. 즉, 연결 브라켓(30)은 'ㄷ'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 브라켓(30)은 교각(2)의 외주면에 수직부(310)가 밀착되고, 제2 수평부(320)가 메인 포스트(20)의 상부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수평부(310)는 상부 걸이바(10)의 바닥부(110)와 소정 거리를 두고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메인 포스트(20)의 일측에는 난간 지주(40)가 구비된다. 난간 지주(40)는 제2 서브 프레임(220)의 끼움부(221)에 끼움 결합될 수 있으며, 연결 파이프(410)가 복수개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난간 지주(40)는 각각의 메인 포스트(20)에 결합되어 복수개 구비되고, 각각의 난간 지주(40)는 연결 파이프(410)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난간 지주(40) 사이에 3개의 연결 파이프(410)가 구비되는 것을 예로 도시하였으나, 연결 파이프(410)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2개의 난간 지주(40) 사이에 4개 이상의 연결 파이프(4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부 걸이바(10)와 연결 브라켓(30)은 결합볼트(50)를 통해 결합된다. 결합볼트(50)는 상부 걸이바(10) 및 연결 브라켓(30)을 관통하는 것으로서, 복수개의 너트(60)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볼트(50)는 교각(2) 상면 외부로 돌출되는 상부 걸이바(10)의 바닥부(110)를 관통한 후, 연결 브라켓(30)의 제1 수평부(320)를 관통할 수 있다.
결합볼트(50)는 적어도 4개의 너트(60)와 결합된다. 너트(60)는 상부 걸이바(10)를 고정하는 제1 너트(610) 및 제2 너트(620)와, 연결 브라켓(30)을 고정하는 제3 너트(630) 및 제4 너트(64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너트(610)가 상부 걸이바(10)의 바닥부(110)의 상측에 구비되고, 제2 너트(620)가 바닥부(110)의 하측에 구비된다. 또한, 제3 너트(630)가 연결 브라켓(30)의 제1 수평부(320)의 상측에 구비되고, 제4 너트(640)가 제1 수평부(320)의 하측에 구비된다.
상부 걸이바(10)의 바닥부(110)를 사이에 두고 구비되는 제1 너트(610) 및 제2 너트(620)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 걸이바(10)를 일정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서, 제1 너트(610)는 결합볼트(50)에서 하방 이동되고, 제2 너트(620)는 결합볼트(50)에서 상방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너트(610)와 제2 너트(620)가 바닥부(110)를 상측 및 하측에서 조이게 되고, 바닥부(110)가 결합볼트(50)의 일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상부 걸이바(10)가 결합볼트(50) 및 제1,2 너트(610, 620)를 통해 소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연결 브라켓(30)의 제1 수평부(320)를 사이에 두고 구비되는 제3 너트(630) 및 제4 너트(640)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 브라켓(30)을 일정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서, 제3 너트(630)는 결합볼트(50)에서 하방 이동되고, 제4 너트(640)는 결합볼트(50)에서 상방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너트(630)와 제4 너트(640)가 제1 수평부(320)를 상측 및 하측에서 조이게 되고, 제1 수평부(320)가 결합볼트(50)의 일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연결 브라켓(30)이 결합볼트(50) 및 제3,4 너트(630, 640)를 통해 소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결합볼트(50)는 연결 브라켓(30)의 개방부(340)의 수직 길이만큼 수직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즉, 연결 브라켓(30)의 수직 길이가 결합볼트(50)의 이동 가능한 길이에 대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볼트(50)가 관통하는 상부 걸이바(10)와 연결 브라켓(30)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여 메인 포스트(2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포스트(20)의 위치를 상방 이동하고자 할 경우, 제3 너트(630)와 제4 너트(640)를 결합볼트(50)에서 상방 이동하여 메인 포스트(20)와 연결된 연결 브라켓(30)의 위치를 상방 이동시킬 수 있다. 또는, 제1 너트(610)와 제2 너트(620)를 조절하여 결합볼트(50)를 상방 이동시킴으로써, 연결 브라켓(30)의 위치를 상방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상부 걸이바(10)와 연결 브라켓(30)의 사이 간격을 좁힘에 따라 메인 포스트(2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반대로, 메인 포스트(20)의 위치를 하방 이동하고자 할 경우, 제3 너트(630)와 제4 너트(640)를 결합볼트(50)에서 하방 이동하여 메인 포스트(20)와 연결된 연결 브라켓(30)의 위치를 하방 이동시킬 수 있다. 또는, 제1 너트(610)와 제2 너트(620)를 조절하여 결합볼트(50)를 하방 이동시킴으로써, 연결 브라켓(30)의 위치를 하방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상부 걸이바(10)와 연결 브라켓(30)의 사이 간격을 넓힘에 따라 메인 포스트(2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부 걸이바(10)의 측면에는 보강 플레이트(70)가 구비된다. 보강 플레이트(70)는 교각(2) 상면 외부로 돌출된 상부 걸이바(10)의 양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장공(7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걸이바(10)의 측면에 구비된 보강 플레이트(70)는 하방으로 연장된 플레이트로서, 연결 브라켓(30)의 측면 및 메인 포스트(20)의 일부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보강 플레이트(70)의 적어도 일부는 상부 걸이바(10)와 연결 브라켓(30) 및 메인 포스트(20)와 겹쳐질 수 있다.
장공(710)은 메인 포스트(20)와의 결합을 위한 보강 결합볼트(720)의 일부가 관통하는 홀이며, 연결 브라켓(30)의 길이에 대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강 플레이트(70)의 상부는 상부 걸이바(10)의 상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부 걸이바(10)의 측면에 용접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부 걸이바(10)의 양측에 보강 플레이트(70)가 구비됨으로써, 2개의 보강 플레이트(70) 사이에는 상부 걸이바(10)의 바닥부(110)의 수평 길이에 대응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2개의 보강 플레이트(70) 사이에는 연결 브라켓(30) 및 메인 포스트(20)가 구비될 수 있다. 결합볼트(50) 및 너트(60)의 조절을 통해 상부 걸이바(10)와 연결 브라켓(30) 사이 간격이 정해지면, 보강 결합볼트(720)가 보강 플레이트(70)의 장공(710)을 관통한 후, 메인 포스트(20)의 결합홀(210a)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상부 걸이바(10)와 연결 브라켓(30) 및 메인 포스트(20)의 양측이 보강 플레이트(70)를 통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메인 포스트(20)의 일측에는 발판(80)이 구비된다. 발판(80)은 작업자의 이동 통로로서, 메인 포스트(20)의 제2 서브 프레임(220)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판(80)은 복수의 제2 서브 프레임(220)의 상부에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발판(80)이 수평을 이루도록, 메인 포스트(20)는 동일한 수평 선상에 위치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즉, 상부 걸이바(10)와 연결 브라켓(30)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여 복수의 메인 포스트(20)가 동일 수평 선상에 위치한 후, 발판(80)이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교량용 점검대에서 보강 플레이트를 제외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교량용 점검대의 측면도이며, 도 5은 도 1의 교량용 점검대의 정면도이다. 이때, 도 3의 (a)와 도 4의 (a)는 교각(2)의 상면 높이가 높게 형성된 구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의 (b)와 도 4의 (b)는 교각(2)의 상면 높이가 낮게 형성된 구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교량용 점검대(1)는 결합볼트(50)와 너트(60)를 조절하여 메인 포스트(2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교량용 점검대(1)가 설치되는 교각(2)의 상면은 평평하지 않게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교각(2)의 상면에 고정되는 상부 걸이바(10)의 수평 위치 또한 모두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교각(2)의 일측 상면이 높게 형성되고, 타측 상면이 일측 상면보다 a만큼 낮게 형성될 경우, 상부 걸이바(10)의 위치 또한 a만큼 차이가 생길 수 있다. 복수의 메인 포스트(20)를 연결하는 발판(80)이 수평을 이루기 위해서는 복수의 메인 포스트(20) 및 연결 브라켓(30)은 동일 수평 선상에 위치해야 한다. 즉, 상부 걸이바(10)의 위치는 서로 상이하여도, 메인 포스트(20) 및 연결 브라켓(30)의 위치는 서로 동일해야 한다. 이를 위해, 상부 걸이바(10)와 연결 브라켓(30)의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 포스트(20)의 위치를 동일하게 하기 위하여, 상부 걸이바(10)가 상대적으로 더 높은 위치에 구비될 경우, 결합볼트(50)에 결합된 너트(60)를 조절하여 상부 걸이바(10)와 연결 브라켓(30) 사이 간격을 넓힐 수 있고(도 3(a) 참조), 상부 걸이바(10)가 상대적으로 더 낮은 위치에 구비될 경우, 결합볼트(50)에 결합된 너트(60)를 조절하여 상부 걸이바(10)와 연결 브라켓(30) 사이 간격을 좁힐 수 있다(도 3(b) 참조). 이때, 상부 걸이바(10)와 연결 브라켓(30)이 'ㄷ'자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결합볼트(50)에 결합된 너트(60)의 상태를 더욱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의 (b)와 같이 상부 걸이바(10)와 연결 브라켓(30)의 사이 간격을 좁히기 위하여, 제3 너트(630) 및 제4 너트(640)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제3 너트(630)는 상부 걸이바(10)와 연결 브라켓(30)의 사이 공간을 통해 조절이 가능하고, 제4 너트(640)는 연결 브라켓(30)의 개방부(340)를 통해 조절이 가능하다. 반대로, 제1 너트(610) 및 제2 너트(620)를 조절하여 상부 걸이바(10)와 연결 브라켓(30)의 사이 간격을 좁힐 경우에는, 상부 걸이바(10)의 개방된 상측을 통해 제1 너트(610)의 조절이 가능하고, 상부 걸이바(10)와 연결 브라켓(30)의 사이 공간을 통해 제2 너트(620)의 조절이 가능하다. 즉, 상부 걸이바(10)와 연결 브라켓(30)이 'ㄷ'자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너트(60)의 조절이 용이할 수 있다.
상부 걸이바(10)와 연결 브라켓(30)의 사이 간격에 따라, 보강 플레이트(70)와 메인 포스트(20)의 결합 위치 또한 상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 걸이바(10)가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구비된 측에는 보강 결합볼트(710)가 관통하는 결합홀(210a)이 장공(710)의 중간측에 위치할 수 있고(도 4(a) 참조), 상부 걸이바(10)가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구비된 측에는 보강 결합볼트(710)가 관통하는 결합홀(210a)이 장공(71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도 4(b) 참조). 즉, 보강 플레이트(70)의 장공(710)이 결합볼트(50)의 이동 가능 거리에 대응하도록 형성됨에 따라, 보강 플레이트(70)와 메인 포스트(20)의 결합이 용이할 수 있다.
교량용 점검대(1)가 교각(2)에 설치되는 것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우선, 교각(2)의 상면에 복수의 상부 걸이바(10)가 소정 거리를 두고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교각(2)의 상면이 평평하지 않음에 따라, 복수의 상부 걸이바(10)는 동일한 수평 선상에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상부 걸이바(10)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부 걸이바(10)와 일정 거리를 두고 메인 포스트(20) 및 연결 브라켓(30)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메인 포스트(20)와 연결 브라켓(30)은 용접 결합될 수 있고, 상부 걸이바(10)와 연결 브라켓(30)은 결합볼트(50) 및 4개의 너트(60)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메인 포스트(20)와 결합된 상부 걸이바(10)를 제외한 다른 상부 걸이바(10)에도 메인 포스트(20) 및 연결 브라켓(30)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메인 포스트(20)는 모두 동일한 수평 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포스트(20)의 설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상부 걸이바(10)와 연결 브라켓(30)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각(2)의 상면이 높게 형성된 측은 상부 걸이바(10)와 연결 브라켓(30) 사이 간격이 넓게 조절되고, 교각(2)의 상면이 낮게 형성된 측은 상부 걸이바(10)와 연결 브라켓(30) 사이 간격이 좁게 조절될 수 있다.
동일 수평 선상에 구비된 복수의 메인 포스트(20)에는 발판(8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메인 포스트(20)가 동일 수평 선상에 위치됨에 따라, 발판(80)은 수평을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별도로 교각(2)의 상면을 평평하게 하는 작업을 실시하지 않아도, 상부 걸이바(10)와 연결 브라켓(30)의 사이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손쉽게 발판(80)의 수평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교각(2)의 상면을 평평하게 하는 작업을 실시하지 않으므로, 설치 비용이 감소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발판(80)의 설치 후에 수평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 특정 상부 걸이바(10)와 연결 브라켓(30) 사이 간격만을 조절하여 다시 수평을 맞출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특정 메인 포스트(20)를 이동시킬 경우, 사용자는 상부 걸이바(10)와 연결 브라켓(30)의 사이 공간 및 연결 브라켓(30)의 개방부(340)를 통해 제3 너트(630)와 제4 너트(640)를 조절할 수 있다. 또는, 제1 너트(610)와 제2 너트(620)를 조절하여 메인 포스트(20)를 상방 또는 하방 이동시킬 수 있다. 즉, 4개의 너트(60)가 모두 노출됨에 따라, 결합볼트(50)와 너트(60)의 조절이 용이하고, 이에 따라, 메인 포스트(20)의 높이 조절이 용이할 수 있다.
메인 포스트(20)의 위치가 결정되면, 상부 걸이바(10)와 메인 포스트(20) 및 연결 브라켓(30)의 양측에는 보강 플레이트(70)가 구비된다. 즉, 소정 거리를 두고 구비되는 상부 걸이바(10)와 연결 브라켓(30)이 동일 수직 선상을 유지하도록, 보강 플레이트(70)가 상부 걸이바(10) 및 연결 브라켓(30)을 지지할 수 있다.
발판(80)이 설치된 후, 메인 포스트(20)의 일측에는 난간 지주(40)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난간 지주(40)는 제2 서브 프레임(220)의 일측에 끼움 결합된 후, 볼트 결합됨으로써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점검대를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 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교량용 점검대
10: 상부 걸이바 20: 메인 포스트
30: 연결 브라켓 40: 난간 지주
50: 결합볼트 60: 너트
70: 보강 플레이트 80: 발판

Claims (9)

  1. 교각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는 상부 걸이바;
    상기 교각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상기 상부 걸이바와 소정 거리를 두고 구비되는 메인 포스트;
    상기 메인 포스트의 상부에 구비되는 연결 브라켓;
    상기 메인 포스트의 일측에서 상부로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는 난간 지주;
    상기 상부 걸이바와 상기 연결 브라켓을 결합하는 결합볼트; 및
    상기 교각 상면 외부로 돌출된 상기 상부 걸이바의 양측에 구비되어 용접 결합되는 보강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 플레이트 사이에 상기 상부 걸이바의 바닥부의 수평 길이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공간에 상기 연결 브라켓 및 상기 메인 포스트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 걸이바와 상기 연결 브라켓 사이의 상기 결합볼트 길이 방향 내의 변화가 상기 결합 볼트의 이동 가능 거리가 되며,
    상기 상부 걸이바와 상기 연결 브라켓 사이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메인 포스트의 위치가 결정되면, 상기 결합볼트의 이동 가능 거리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상기 보강 플레이트의 장공에 보강 결합볼트가 관통하여 상기 보강 플레이트와 상기 메인 포스트가 결합되어 상기 보강 플레이트가 상기 상부 걸이바와, 상기 연결 브라켓 및 상기 메인 포스트의 양측을 지지하는 교량용 점검대.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포스트는,
    상기 교각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제1 서브 프레임; 및
    상기 제1 서브 프레임의 하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서브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난간 지주는 상기 제2 서브 프레임의 일측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제1 서브 프레임의 양측에 고정 브라켓이 복수개 구비되고,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교각의 외주면에 앵커볼트로 고정되는 교량용 점검대.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걸이바의 측면에 장공을 포함하는 보강 플레이트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보강 플레이트는 상기 연결 브라켓의 측면 및 상기 메인 포스트의 일부 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장공의 길이는 상기 연결 브라켓의 길이에 대응하는 교량용 점검대.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볼트는 상기 상부 걸이바와 상기 연결 브라켓을 관통하고, 4개의 너트와 결합되는 교량용 점검대.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걸이바는,
    상기 교각의 상면과 맞닿는 형태로 제공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양측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볼트는 상기 바닥부를 관통하고, 2개의 상기 너트는 각각 상기 바닥부의 상부 및 하부에 제공되어 상기 결합볼트와 결합되는 교량용 점검대.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의 상부 및 하부에 제공되는 상기 너트를 조절하여 상기 상부 걸이바와 상기 연결 브라켓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교량용 점검대.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브라켓은,
    상기 교각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수직부;
    상기 수직부의 상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수평부; 및
    상기 수직부의 하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수평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볼트는 상기 제1 수평부 및 상기 제2 수평부를 순차적으로 관통하고, 2개의 상기 너트는 상기 제1 수평부의 상부 및 하부에 제공되어 상기 결합볼트와 결합되는 교량용 점검대.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부의 상부 및 하부에 제공되는 상기 너트를 조절하여 상기 상부 걸이바와 상기 연결 브라켓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교량용 점검대.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부와 상기 제2 수평부 사이에 개방부가 구비되고,
    상기 개방부를 통해 상기 너트의 결합 상태가 노출되는 교량용 점검대.
KR1020190030538A 2019-03-18 2019-03-18 교량용 점검대 KR102261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538A KR102261511B1 (ko) 2019-03-18 2019-03-18 교량용 점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538A KR102261511B1 (ko) 2019-03-18 2019-03-18 교량용 점검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0967A KR20200110967A (ko) 2020-09-28
KR102261511B1 true KR102261511B1 (ko) 2021-06-07

Family

ID=72800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0538A KR102261511B1 (ko) 2019-03-18 2019-03-18 교량용 점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15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0930B1 (ko) * 2020-12-17 2021-07-22 유영홍 교량 슬래브용 브래킷
KR102379541B1 (ko) 2021-03-22 2022-03-28 (주)이알코리아 매립 앵커의 위치에 따라 가변 설치되는 교량 점검시설 결속 시스템
KR102466281B1 (ko) 2021-03-22 2022-11-11 (주)이알코리아 시공작업이 용이한 교량 점검시설용 점검발판
KR102464479B1 (ko) 2021-03-22 2022-11-07 (주)이알코리아 걸이식 교량 점검시설용 단일 결속수단의 사방결속브래킷
KR102401684B1 (ko) 2021-06-29 2022-05-25 (주)이알코리아 수직 및 수평으로 강도 보상이 발휘되는 교량 점검시설 설치용 복합 이종소재 난간지지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0774B1 (ko) * 2006-12-16 2007-06-20 주식회사하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천장 이동식 행거구조
KR100779059B1 (ko) * 2006-12-21 2007-11-27 김원주 거치식 교량점검 시설물 및 그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976B1 (ko) 2004-01-02 2007-05-02 (주)에스오씨건설엔지니어링 교량점검통로 및 설치방법
KR200409977Y1 (ko) 2005-12-12 2006-03-03 (주)대원시스템 걸이식 교량 점검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0774B1 (ko) * 2006-12-16 2007-06-20 주식회사하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천장 이동식 행거구조
KR100779059B1 (ko) * 2006-12-21 2007-11-27 김원주 거치식 교량점검 시설물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0967A (ko) 2020-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1511B1 (ko) 교량용 점검대
AU2019100993A4 (en) Height-Adjustable Jack and Vertical Modular Component Support using the same
KR100779059B1 (ko) 거치식 교량점검 시설물 및 그 시공방법
KR200490153Y1 (ko) 교량용 거치식 점검설비
KR102172875B1 (ko) 수평조절 및 처짐방지가 가능한 교량 점검로
JP2016023410A (ja) 構台
US9841140B2 (en) Door lintel lift apparatus and method
JP2018087450A (ja) 支柱装置
KR101151963B1 (ko) 사장교 주탑용 가이드 튜브 지지대
CN104947868B (zh) 一种悬挑片装式栏杆立柱的底座
KR100476659B1 (ko) 안전작업대 조립체의 시공방법
JP6562859B2 (ja) 乗客コンベアの据え付け方法
KR20090128115A (ko) 교각용 지그 시스템
JP5807883B1 (ja) 吊足場
KR20020049414A (ko) 교각 점검대
KR101341864B1 (ko) 슬래브 거푸집 거더 빔 체결장치
KR20210133741A (ko) 보강 용이성과 수평조정 및 가변높이 구조를 갖는 크린룸용 조립식 시스템 천장
KR101883355B1 (ko) 조립식 발판 난간대
CN111706060A (zh) 一种钢丝绳斜拉式吊篮装置
CN205530776U (zh) 一种橡胶支座可拆换式减震装置
KR102149464B1 (ko) 지점 변경이 가능한 곤도라 고정장치
JP6624812B2 (ja) パネルユニット取付け方法
KR102610538B1 (ko) 추락방지용 안전고리 고정장치
KR102529490B1 (ko) 난간 높이 조절이 용이한 휀스 조립장치
KR20140000553U (ko) 사다리 설치용 위치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