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0930B1 - 교량 슬래브용 브래킷 - Google Patents

교량 슬래브용 브래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0930B1
KR102280930B1 KR1020200177170A KR20200177170A KR102280930B1 KR 102280930 B1 KR102280930 B1 KR 102280930B1 KR 1020200177170 A KR1020200177170 A KR 1020200177170A KR 20200177170 A KR20200177170 A KR 20200177170A KR 102280930 B1 KR102280930 B1 KR 102280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adjustment
bracket
vertical bar
bar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7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영홍
Original Assignee
유영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영홍 filed Critical 유영홍
Priority to KR1020200177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09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0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0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 슬래브용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 교량 슬래브의 최외측 구간인 캔틸레버부를 시공할 때 높이조절공과 높이조절장공을 사용하여 브래킷의 높이를 원하는 대로 쉽게 조절하고 구조적으로 튼튼하며 탈거하기 쉬운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교량 슬래브용 브래킷 {BRACKET FOR BRIDGE SLAB}
본 발명은 교량 슬래브용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I'형강이 매설되게 콘크리트빔을 설치한 후 교량의 슬래브를 타설하기 위해 설치되는 거푸집을 지지하는 교량 슬래브용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교량의 슬래브를 콘크리트로 시공하기 위해서는 거푸집을 설치하였는데, 이러한 슬래브의 최외측은 외팔보형태이므로 일반적인 지지대로는 거푸집을 지지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에는 교량용 동바리구조(등록실용신안 제20-0188218호)가 제안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교량용 동바리구조는 수평대와 수직바를 지지대로 받치는 삼각형 구조의 브래킷으로 외팔보형태의 거푸집을 지지하는 것인데, 설계상 요구되는 슬래브의 높이가 교량의 구간별로 다르기 때문에 필요한 치수로 브래킷을 만들어서 설치한 후 설계가 변경되면 다시 새로운 브래킷을 만들어야 하므로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들고 시공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높이 조절이 가능한 홀더를 사용하였으나, 상기 홀더는 가늘고 긴 형태의 나사봉을 사용하기 때문에 휘어지거나 부러질 염려가 있다.
따라서, 원하는 대로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면서도 구조적으로 튼튼한 브래킷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188218호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원하는 대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면서도 거푸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되는 교량 슬래브용 브래킷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슬래브용 브래킷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슬래브용 브래킷은, '
Figure 112021081354525-pat00009
'자 형태로 고정하는 가로바 및 세로바와, 상기 가로바 및 세로바를 지지하는 지지바와, 상기 세로바에 고정볼트로 고정하는 '
Figure 112021081354525-pat00010
'자 형태의 거치대와, 상기 세로바에 수평으로 관통하게 결합하는 세파볼트와, 상기 세파볼트에 체결하는 나비와셔 및 주물너트와, 상기 세파볼트의 내단을 체결하는 D콘과, 상기 D콘이 외단에 고정되고 내단은 'I'형강의 측면에 용접 고정하는 세파타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슬래브용 브래킷은 세로바에 세파볼트를 관통하게 결합하는 높이조절장공과, 거치대를 체결하는 다수의 높이조절공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발명에 따른 교량 슬래브용 브래킷은, 높이조절공과 높이조절장공을 이용하여 브래킷의 높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콘크리트의 양생 후 세파볼트를 분리하는 것만으로 브래킷을 쉽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을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브래킷을 조립하여 보인 측면도
도 3은 도 1의 브래킷을 설치하기 전의 콘크리트빔을 보인 정면도
도 4는 도 1의 브래킷을 콘크리트빔에 설치한 상태의 일부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1의 브래킷을 사용하여 거푸집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상태 일부를 발췌 절취하여 보인 정면도
도 6은 도 1의 브래킷을 높이 조절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일부 절취하여 보인 정면도
도 7은 도 5에서 브래킷을 제거한 상태를 일부 절취하여 보인 정면도
도 8은 도 1의 브래킷을 사용하여 시공된 교량을 개략적으로 보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슬래브용 브래킷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삭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을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브래킷을 조립하여 보인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은, 일단에 안전바설치구(11)가 부착된 가로바(10)와, 상기 가로바의 타단부 하면에 직각삼각형태로 고정되는 세로바(20)와 지지바(30) 및 평단면이 '
Figure 112021081354525-pat00011
'자형태로 되어 상기 세로바에 수직으로 결합하는 거치대(40)와, 상기 세로바에 수평으로 관통하게 결합하는 세파볼트(55)와, 상기 세파볼트에 체결하는 나비와셔(53)와 주물너트(54) 및 D콘(52)과, 세파타이(5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로바(10)와 세로바(20) 및 지지바(30)는 속이 빈 금속제 사각바로 되며, 상기 세로바는 좌·우면 상측부에 수직으로 관통형성되는 높이조절장공(22)과 전·후면에 상기 높이조절장공의 하단 직하부 위치로부터 하단 사이에 상하 일정간격으로 관통형성되는 다수의 제1높이조절공(21)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세로바에 결합하는 거치대(40)는 전·후면에 제1높이조절공에 대응하여 간격이 제1높이조절공의 배로 되게 상하 일정간격으로 관통형성되는 다수의 제2높이조절공(43)과 우면의 상단에 콘크리트빔(60)의 모서리 상면에 거치하게 형성되는 연장편(41) 및 상·하부의 간격이 상기 제2높이조절공 2개의 간격으로 되게 '
Figure 112021081354525-pat00012
'자 형태로 형성되는 고정볼트(44)와 상기 고정볼트의 각 상·하부 외단에 체결하는 너트(45)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거치대(40)를 세로바(20)에 결합하여 고정할 때에는, 일 예로 상기 거치대의 제2높이조절공(43)들 중 상단의 제2높이조절공을 상기 세로바의 제1높이조절공(21)들 중 상단의 제1높이조절공에 맞추면 상기 거치대의 상단에 위치하는 제2높이조절공의 직하부에 위치하는 2번째의 제2높이조절공이 세로바의 상단에 위치하는 제1높이조절공으로부터 3번째에 위치하는 제1높이조절공에 맞춰지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서로 맞춰진 상기 상하 2개의 제2높이조절공과 제1높이조절공을 관통하게 고정볼트(44)의 상·하부를 각각 결합하여 후방으로 노출되는 상기 상·하부들 각 외단에 각각 너트(45)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방식으로 거푸집의 높이에 따라 상기 거치대를 세로바에 결합하면 된다.
한편, 세파타이(51)의 외단에는 D콘(52)을 고정하며, 상기 D콘에는 세파볼트(55)의 내단를 체결한 후 높이조절장공(22)을 관통하게 결합하고 주물너트(54)와 나비와셔(53)를 체결한다.
이러한 높이조절장공(22)은, 제1,2높이조절공(21)(43)이 일정간격으로 천공되어 있어 세로바(20)의 높이를 미세조절을 할 수 없으므로 더 미세한 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도 1의 브래킷을 설치하기 전의 콘크리트빔을 보인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브래킷을 콘크리트빔에 설치한 상태의 일부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을 사용할 때에는, 먼저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I'형강(61)이 매설된 콘크리트빔(60)의 일 모서리 상면에 거치대(40)의 연장편(41)을 거치한 후 세파타이(51)의 내단을 상기 'I'형강의 측면에 용접하여 고정하고, 안전바설치구(11)에는 안전바(70)를 삽입고정하여 낙하물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망(71)을 설치한다.
도 5는 도 1의 브래킷을 사용하여 거푸집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상태 일부를 발췌 절취하여 보인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브래킷을 높이 조절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일부 절취하여 보인 정면도이며, 도 7은 도 5에서 브래킷을 제거한 상태를 일부 절취하여 보인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1의 브래킷을 사용하여 시공된 교량을 개략적으로 보인 정면도이다.
도 5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으로 지지되게 거푸집(62)을 콘크리트빔(60)에 설치한 후 콘크리트(63)를 타설하여 양생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거푸집(62)의 높이가 다른 교량구간에서는, 도 6에서와 같이 브래킷의 높이를 더 높거나 낮게 조절할 수 있어서 편리하다.
그리고, 콘크리트(63) 양생이 끝나면 D콘(52)에서 세파볼트(55)를 풀어서 브래킷을 탈거하면, 도 7에서와 같이 세파타이(51)와 D콘(52)은 콘크리트(63)의 안에 남아 외부에서는 안 보이므로 별다른 흔적없이 브래킷을 깔끔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브래킷을 탈거한 후 거푸집(62)을 제거하면 도 8에서와 같이 교량 슬래브의 좌우측 외곽을 이루는 캔틸레버부(A)가 완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브래킷의 높이를 쉽게 조절하고 콘크리트 양생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교량 슬래브용 브래킷을 제공한다.
10: 가로바 11: 안전바설치구 20: 세로바
21: 제1높이조절공 22: 높이조절장공 30: 지지바
40: 거치대 41: 연장편 43: 제2높이조절공
44: 고정볼트 45: 너트 51: 세파타이
52: D콘 53: 나비와셔 54: 주물너트
55: 세파볼트 60: 콘크리트빔

Claims (2)

  1. 거푸집을 지지하도록 '
    Figure 112021081354525-pat00013
    '자 형태로 고정하는 가로바(10) 및 세로바(20)와, 상기 가로바(10)와 세로바(20)를 지탱하게 고정하는 지지바(30)와, 평단면이 '
    Figure 112021081354525-pat00014
    '자 형태로 되며 상기 세로바(20)에 수직으로 결합하는 거치대(40)와, 상기 세로바(20)의 상측부를 수평으로 관통하게 결합하는 세파볼트(55)와, 상기 세파볼트(55)에 체결하는 나비와셔(53) 및 주물너트(54)와, 상기 세파볼트(55)의 내단을 체결하는 D콘(52)과, 상기 D콘(52)이 외단에 고정되고 내단은 'I'형강의 측면에 용접 고정하는 세파타이(5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교량 슬래브용 브래킷에 있어서,
    상기 세로바(20)는, 좌·우면 상측부에 수직으로 관통형성되어 상기 세파볼트(55)가 수평으로 관통하게 결합되는 높이조절장공(22)과, 전·후면에 상기 높이조절장공(22)의 하단 직하부 위치로부터 하단 사이에 상하 일정간격으로 관통형성되는 다수의 제1높이조절공(21)을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거치대(40)는, 상기 제1높이조절공(21)들에 대응하여 전·후면에 상하 일정간격으로 관통형성되는 다수의 제2높이조절공(43)과, 콘크리트빔(60)의 일 모서리 상면에 거치하게 우면의 상단에 형성되는 연장편(41)과, 상·하부의 간격이 상기 제2높이조절공(43) 2개의 간격으로 되며 제2높이조절공(43)의 2개와 제1높이조절공(21)의 2개를 맞춰서 관통하게 결합하는 '
    Figure 112021081354525-pat00015
    '자 형태의 고정볼트(44)와, 상기 고정볼트(44)의 상·하부 외단에 각각 체결하여 세로바(20)와 거치대(40)를 고정하는 너트(45)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슬래브용 브래킷.
  2. 삭제
KR1020200177170A 2020-12-17 2020-12-17 교량 슬래브용 브래킷 KR102280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170A KR102280930B1 (ko) 2020-12-17 2020-12-17 교량 슬래브용 브래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170A KR102280930B1 (ko) 2020-12-17 2020-12-17 교량 슬래브용 브래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0930B1 true KR102280930B1 (ko) 2021-07-22

Family

ID=77157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7170A KR102280930B1 (ko) 2020-12-17 2020-12-17 교량 슬래브용 브래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093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185U (ko) * 1993-08-20 1995-03-21 브이 씨 알의 언더슈트 제거장치
KR200188218Y1 (ko) 2000-01-29 2000-07-15 주식회사동진이십일세기 교량용 동바리구조
KR200420504Y1 (ko) * 2006-04-21 2006-07-04 최순기 거푸집 지지장치
KR100978502B1 (ko) * 2009-02-16 2010-08-27 김홍언 교량의 슬래브 거푸집용 지지장치
KR20100102992A (ko) * 2009-03-12 2010-09-27 김은진 교량의 외장재 고정장치
KR101031466B1 (ko) * 2009-03-04 2011-04-26 주식회사 공간이동 비계 일체형 브라켓
KR20200110967A (ko) * 2019-03-18 2020-09-28 삼우엠텍(주) 교량용 점검대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185U (ko) * 1993-08-20 1995-03-21 브이 씨 알의 언더슈트 제거장치
KR200188218Y1 (ko) 2000-01-29 2000-07-15 주식회사동진이십일세기 교량용 동바리구조
KR200420504Y1 (ko) * 2006-04-21 2006-07-04 최순기 거푸집 지지장치
KR100978502B1 (ko) * 2009-02-16 2010-08-27 김홍언 교량의 슬래브 거푸집용 지지장치
KR101031466B1 (ko) * 2009-03-04 2011-04-26 주식회사 공간이동 비계 일체형 브라켓
KR20100102992A (ko) * 2009-03-12 2010-09-27 김은진 교량의 외장재 고정장치
KR20200110967A (ko) * 2019-03-18 2020-09-28 삼우엠텍(주) 교량용 점검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759457A (zh) 悬臂结构高精度预埋件的安装方法
KR102280930B1 (ko) 교량 슬래브용 브래킷
KR101777746B1 (ko) 지주받침대
CN213572989U (zh) 可调节型钢结构楼板支撑装置
CN212002270U (zh) 看台斜梁底模板的加固装置
KR100373783B1 (ko) 피시빔교용 가설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피시빔교 가설방법
KR102198889B1 (ko) 가변형 보 거푸집
CN217353535U (zh) 一种楼板结构降板部位吊模加固装置
CN206859684U (zh) 一种加固模板连接的支撑架结构
KR101909178B1 (ko) 앵커볼트 설치용 받침대
KR20030000991A (ko) 교량 시공을 위한 까치발 설치장치
KR100778139B1 (ko) 거푸집 수평 받침대 길이조절 프레임
CN211473081U (zh) 控制边坡格构梁钢筋保护层厚度装置
KR100933047B1 (ko) 충전강관 거더교의 바닥판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시스템
KR101436845B1 (ko) 강관거더 교량의 캔틸레버부 거푸집 지지구조체
CN211873818U (zh) 临空超厚混凝土楼板的模板封边结构
CN218029082U (zh) 一种结构梁钢筋快速安装辅助装置
CN114341449A (zh) 用于模板支护的支柱头及其使用方法
KR100933045B1 (ko) 충전강관 거더교의 바닥판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시스템
KR20020053795A (ko) 지붕슬래브의 거푸집 받침장치
KR102402326B1 (ko) 캔틸레버 교량의 착탈식 지지브라켓 및 그를 이용한 캔틸레버 교량의 시공방법
JP2001140221A (ja) 張出床版の補修工法及び型枠の支持構造
CN219773622U (zh) 一种可调式吊模降板内支撑结构
CN214163407U (zh) 倒t形预制梁定型装置
CN219434072U (zh) 一种测量设备固定安装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