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6845B1 - 강관거더 교량의 캔틸레버부 거푸집 지지구조체 - Google Patents

강관거더 교량의 캔틸레버부 거푸집 지지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6845B1
KR101436845B1 KR1020140042465A KR20140042465A KR101436845B1 KR 101436845 B1 KR101436845 B1 KR 101436845B1 KR 1020140042465 A KR1020140042465 A KR 1020140042465A KR 20140042465 A KR20140042465 A KR 20140042465A KR 101436845 B1 KR101436845 B1 KR 101436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support
vertical member
support beam
pipe gi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2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연
이병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감
이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감, 이우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감
Priority to KR1020140042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68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6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6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01D21/10Cantilevered er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8Composite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캔틸레버의 구조로 형성되는 교량의 폭방향 단부의 슬래브 등의 캔틸레버부에 대한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의 지지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거푸집의 하부에 위치하고 장선과 다수의 동바리로 구성되는 거푸집 지지틀과; 상기 거푸집 지지틀 및 강관거더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상부플랜지, 하부플랜지 및 웨브로 구성되는 지지보와; 강관거더의 상부에 설치되는 전단연결재와 상기 지지보의 사이를 연결하는 당김부재와; 상기 지지보의 상부플랜지를 걸어주는 하부걸림부재와, 강관거더들 사이에 설치되는 가로보에 걸쳐지는 상부걸림부재로 구성되면서 상기 지지보와 가로보 사이에 현수구조를 형성시키는 행거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강관거더 교량의 캔틸레버부 거푸집 지지구조체{Form supporting structure for the cantilever part of the steel pipe girder bridge}
본 발명은 캔틸레버의 구조로 형성되는 교량의 폭방향 단부의 슬래브 등의 캔틸레버부에 대한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의 지지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동바리의 설치가 어려운 원형의 강관거더 구조를 가지는 교량의 캔틸레버부 거푸집의 지지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강관은 단면에 대한 구조적인 우수성과 더불어 공장제작된 부재를 현장에서 그대로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내부에 콘크리트를 충진시켜 콘크리트의 구속효과를 발휘하게 함으로써 부재의 강성을 한층 높일 수 있고, 응력의 작용상태에 따라 콘크리트의 충진 범위를 설정하여 효율적인 단면을 가질 수 있게 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최근에는 강관거더를 이용한 교량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상기 강관거더를 이용한 교량은, 거더를 형성하는 강관이 원형이라는 단면형상을 가지고 있어 미려한 외관을 가질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다른 한편으로 이러한 단면형상의 특징은 교량의 폭방향 단부, 즉 강관거더의 외측에 위치하는 캔틸레버부에 대한 현장시공을 번잡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강관거더 교량의 캔틸레버부 구축 과정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a)는 콘크리트가 타설된 거푸집의 지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b)는 상기 거푸집의 지지구조를 제거한 후 강관거더의 외측에 캔틸레버부가 시공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한 종래기술에서는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거더(20)에 다수의 지지브라켓(310)을 용접으로 부착시키고, 장선 및 동바리로 구성되는 거푸집 지지틀(10)을 지지하는 지지대(320)를 어느 하나의 지지브라켓(310)에 연결시킨 후, 상기 지지대(320)를 지지하여 하면서 거푸집의 측판을 지지하는 버팀대(340)를 또 다른 지지브라켓(310)에 연결시켜 거푸집 및 거푸집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하중을 지지하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거푸집의 지지구조는, 강관에 지지브라켓(310)을 용접시켜야 하기 때문에 용접작업의 번잡함과 아울러 강관에 대한 열변형을 일으킬 수 있으며, 더욱이 캔틸레버부의 콘크리트 양생이 완료되어 제거되면 강관에는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된 지지브라켓(310)이 존치되어 있어 이를 다시 제거하고 재도장을 하여야 하는 부가적인 공정이 발생되고, 캔틸버부의 돌출길이가 1미터 이상 길어지게 되면 처짐 등의 문제로 지지구조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없고, 거더로 사용되는 강관의 직경이 0.8미터 이하인 경우에는 강관의 표면적이 작아 상기한 지지구조의 설치 자체가 어렵다는 점에서 적용상의 한계가 있다. 또 상기한 지지구조가 강관거더와 일체화되는 구조여서 반복사용이 어려워 과다한 가설비용을 초래하게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 2는 공개번호 10-2009-0011362호로 제안된 또 다른 강관거더 교량의 캔틸레버부 거푸집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단부의 거푸집 시스템은 횡방향 지지대(150)에 결합되는 복수의 수직달대(220)와, 상기 수직달대(220)들의 하단에 결합되는 동바리 지지대(230)와, 상기 충전강관 거더중 단부측 충전강관 거더의 상하부 받침대(120)(130) 사이에 일단부가 삽입되는 복수의 단부 거푸집 판(240)과, 상기 동바리 지지대(230) 상에 설치되는 복수의 동바리(250)와, 상기 동바리(250) 상부에 상기 충전강관 거더의 길이방향에 직각으로 경사지게 놓여지는 경사 지지대(260)와, 상기 경사 지지대(260) 상부에 상기 충전강관 거더의 길이방향으로 놓여져 상기 단부 거푸집 판(240)을 지지하는 복수의 종방향 지지대(160)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공개번호 10-2009-0011362호의 거푸집 시스템 역시, 강관거더(20)에 상하부 받침대(120)(130)를 용접하고 사후 제거하여야 하는 문제점, 캔틸레버부의 돌출길이가 긴 경우의 구조적 안정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 등 첫 번째 종래기술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거의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들의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강관거더와 분리된 구조를 가지면서, 강관거더의 모든 규격에 대하여도 적용이 가능하고, 캔틸레버부의 돌출길이에 제한 없이 구조적 안정성을 가질 수 있으며, 설치 및 제거가 매우 용이한 강관거더 교량의 캔틸레버부 거푸집 지지구조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거푸집의 하부에 위치하고 장선과 다수의 동바리로 구성되는 거푸집 지지틀과; 상기 거푸집 지지틀 및 강관거더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상부플랜지, 하부플랜지 및 웨브로 구성되는 지지보와; 강관거더의 상부에 설치되는 전단연결재와 상기 지지보의 사이를 연결하는 당김부재와; 상기 지지보의 상부플랜지를 걸어주는 하부걸림부재와, 강관거더들 사이에 설치되는 가로보에 걸쳐지는 상부걸림부재로 구성되면서 상기 지지보와 가로보 사이에 현수구조를 형성시키는 행거부재로 이루어지는 강관거더 교량의 캔틸레버부 거푸집 지지구조체가 제공된다.
이때, 지지보의 웨브에는 다수 개의 위치조절공이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고, 당김부재와 행거부재는 하부에 지지보의 좌우로 이동될 수 있으면서 상기 위치조절공에 핀결합되어 고정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체가 각각 구비되며, 행거부재에는 가로보와 지지보의 사이 간격에 따라 하부걸림부재와 상부걸림부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수단과 상부걸림부재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의 간격을 미세하게 맞추는 미세간격조절수단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행거부재는 가로보와 지지보의 외측에 위치하면서 한 쌍의 수직부재로 구성되는 외측수직재와, 가로보와 지지보의 내측에 위치하면서 한 쌍의 수직부재로 구성되는 내측수직재와, 상기 외측수직재와 내측수직재의 하부에 하부걸림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외측수직재와 내측수직재의 상부에 상부걸림부재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외측수직재와 내측수직재는 연결재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는 강관거더 교량의 캔틸레버부 거푸집 지지구조체가 제공된다.
상기한 간격조절수단은, 외측수직재와 내측수직재에 각각 대향되도록 구비되는 다수 개의 간격조절공과, 상기 간격조절공에 체결되면서 상부걸림부재를 고정시키는 체결볼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상기 상부걸림부재는, 외측수직재와 내측수직재에 각각 대향되게 설치 고정되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에 나사체결되어 회전에 따라 단부가 상하 이동되는 조정나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조정나사의 단부에는 상부걸림판이 더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연결재는 외측수직재와 내측수직재에 각각 대향되게 설치 고정되는 연결브라켓과, 상기 대향되는 연결브라켓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끼리를 연결하는 커플러로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대와 커플러는 나사체결되어 커플러의 회전에 따라 외측수직재와 내측수직재의 간격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거더 교량의 캔틸레버 거푸집 지지구조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한 지지보에는 강관거더의 하부 전면에 위치하면서 지지보가 후방으로 밀려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밀림방지재가 더 설치되되, 상기 밀림방지재는 쐐기의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ㄴ자 형상의 안착대와, 상기 안착대가 지지보의 좌우로 이동되면서 상기 위치조절공에 핀결합되어 고정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거더 교량의 캔틸레버부 거푸집 지지구조체가 더 제공된다. 상기의 안착대는 인접하는 지지보까지 연장되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한 지지보에는 거푸집의 측판을 수평으로 지지하기 위한 측판지지재가 더 설치되며, 상기 측판지지재는, 상기 거푸집의 측판을 직접 지지하는 측판지지부재와, 상기 측판지지부재가 지지보의 좌우로 이동되면서 상기 위치조절공에 핀결합되어 고정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거더 교량의 캔틸레버부 거푸집 지지구조체가 제공된다. 이때 측판지지재에는 측판지지부재가 전방으로 밀려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부재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설부재인 거푸집 지지구조체의 고정설치를 강관거더에 의존하지 아니하고, 이와는 분리된 상태에서 독립적으로 설치하고 제거할 수 있게 하기 때문에, 강관거더를 재도장하는 등의 작업상의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 있어 공사진행이 원활해지고 공기가 단축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강관거더의 규모, 형식 등에 구애됨 없이 범용적으로 반복 재사용될 수 있어 자재비가 절감되고, 설치 및 제거가 매우 용이하여 공사비용이 절감되므로, 매우 경제적인 시공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강관거더 교량의 캔틸레버부 구축과정 및 거푸집의 지지구조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2는 또 다른 종래기술에 의한 강관거더 교량의 캔틸레버부 거푸집 지지구조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강관거더 교량의 캔틸레버부 지지구조체의 다양한 실시상태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행거부재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밀림방지재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흐리게 하거나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에는 위 공지의 구성에 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거푸집 지지구조체를 다양한 강관거더 구조의 형상에 따라 적용시킨 것으로서, 그 중 (a)와 (b)는 외측 강관거더의 규모와 내측 강관거더의 규모와 동일한 경우로 (a)는 캔틸레버부의 돌출길이가 긴 경우이고 (b)는 캔틸레버부의 돌출길이가 짧은 경우에 적용된 각 단면도이며, (c)는 외측 강관거더의 규모가 내측 강관거더에 비해 작은 경우에 적용된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거푸집 지지구조체는, 거푸집 지지틀(10)과 이를 지지하는 지지보(40)와, 지지보(40)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당김부재(50)와, 강관거더(20)들의 사이에 설치되는 가로보(30)에 상기 지지보(40)를 연결시키는 행거부재(60)로 이루어진다.
거푸집 지지틀(10)은 거푸집(F)의 하면에 위치하여 거푸집(F)에 타설된 콘크리트(C)의 하중을 분산시키는 장선(11)과, 상기 장선(11)을 지지하는 동바리(12)로 이루어지며, 필요에 따라 가새 등의 보조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거푸집 지지틀(10)의 하부에는 이를 지지하는 지지보(40)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지지보(40)는 다양한 단면을 가질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 및 이들 사이를 연결하는 웨브로 이루어지는
Figure 112014033990531-pat00001
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Figure 112014033990531-pat00002
형상의 단면은 타설된 콘크리트(C) 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휨변형을 효율적으로 억제시킬 수 있어 단면의 효율을 극대화시킨다는 점에서 다른 형상의 단면이 비해 매우 유리할 뿐 아니라, 후술하는 행거부재(60)의 하부걸림부재(61)가 지지보(40)를 효율적으로 걸어줄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지지보(40)에는 다수 개의 위치조절공(44)이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는데, 상기 위치조절공(44)을 웨브에 형성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후술하는 고정체(52,62,82,92)들 과의 체결 고정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상기 지지보(40)는 행거부재(60)를 지점부로 하여 캔틸레버 구조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행거부재(60)로부터 단부까지의 길이(즉, 자유단까지의 길이)가 길수록 상기 행거부재(60)가 위치하는 지점부에서는 큰 휨모멘트가 발생하게 되는 바, 이를 상쇄시켜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당김부재(50)가 지지보(40)와 강관거더(20) 사이에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당김부재(50)는, 일단이 강관거더(20)의 상부에서 바닥판 콘크리트(C)와의 합성을 위해 설치되는 전단연결재(21)에 연결되고, 타단이 지지보(40)에 연결되어 거푸집에 타설되는 콘크리트(C) 등의 상부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부모멘트에 대응하는 정모멘트를 발생시킴과 아울러 수직분력으로 지지보(40)와 함께 상기 상부하중을 지지한다.
이러한 당김부재(50)는 철근이나 강선 또는 강봉 등의 선재(51)로 이루어지며, 바닥콘크리트(C)에 매립되는 부분과의 경계부분에는 체결너트 등의 연결수단을 개입시킨 이음구조로 형성시켜 향후 상기 매립부분을 제외한 노출부분을 쉽게 제거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할 수도 있으나, 상기와 같은 이음구조 없이 일체로 된 하나의 선재(51)로 구성시켜도 무방하다.
당김부재(50)는 거푸집 지지틀(10)의 외측에만 설치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거푸집 지지틀(10)의 내외측에 대칭이 되도록 설치한다. 거푸집 지지틀(10)의 내측에 당김부재(50)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거푸집 지지틀(10)의 상부에 놓여지는 거푸집에 대하여 당김부재(50)가 간섭될 수 있으나, 그 간섭되는 폭이 그리 크지 않기 때문에 상기 거푸집의 일측면에 당김부재(50)가 삽입될 수 있는 약간의 홈을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간섭문제는 간단히 해결된다.
상기 당김부재(50)의 하부에는 지지보(40)의 좌우로 이동될 수 있으면서 지지보(40)에 구비된 위치조절공(44)에 핀결합되는 고정체(52)가 더 구비된다. 이러한 당김부재(50)의 고정체(52)는 요구되는 위치의 위치조절공(44)에 고정될 수 있으므로, 캔틸레버부의 돌출길이 내지는 행거부재(60)의 하단 지점부로부터 지지보(40)가 돌출되는 길이의 변화에 모두 대응시킬 수 있다는 범용성의 효과를 가지게 한다.
도 4는 행거부재(6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a)는 가로보(30)와 지지보(40) 사이에 설치된 행거부재(60)의 단면도이고, (b)는 상기 행거부재(60)의 종단면 사시도이며, (c)는 상기 행거부재(60)의 횡단면 사시도이다.
행거부재(60)는 당김부재(50)가 설치되는 강관거더(20)를 기준으로 하여 당김부재(50)의 반대편에 위치하면서, 강관거더(20)들 사이에 설치되는 가로보(30)와 지지보(40) 사이를 연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보(40)의 지점부를 이루게 한다.
이러한 행거부재(60)는 하부에서 지지보(40)를 상향으로 걸어주는 하부걸림부재(61)와, 상부에서 가로보(30)에 하향으로 걸쳐지는 상부걸침부재(6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지보(40)에 상부 플랜지가 구비된 경우에는 상기 상부 플랜지를 하부걸림부재(61)가 걸어주고, 가로보(30)를 H형강으로 구성시킨 경우에 상부걸침부재(63)는 상기 H형강의 하부 플랜지에 걸쳐짐으로써, 상기 지지보(40)는 행거부재(60)를 매개로 하여 가로보(30)에 메달리는 현수구조를 가지게 된다.
상기 하부걸림부재(61)의 단면형상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보(40)의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 사이에 끼워지는 각관의 단면을 가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걸림부재(61)가 이러한 끼움구조를 가지는 경우 걸림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응력을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가 함께 분담하게 되므로 보다 안정된 걸림구조를 가지게 한다.
상기 하부걸림부재(61)의 내측 단부에는 지지보(40)의 웨브에 면접하면서 위치조절공(44)에 핀결합되는 고정체(62)가 더 구비된다. 하부걸림부재(61)의 내측 단부, 즉 행거부재(60)의 하부에 구비된 상기 고정체(62)는 지지보(40)의 좌우로 이동될 수 있으면서 요구되는 곳의 위치조절공(44)에 핀결합 고정된다.
상기 행거부재(60)에는 상부걸침부재(63)와 하부걸림부재(61)를 연결시켜주는 수직재(66,67)가 더 구비된다. 상기 수직재(66,67)는 가로보(30)와 지지보(40)의 외측과 내측에 각각 위치하는 외측수직재(66)와 내측수직재(67)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부걸침부재(63)는 외측수직재(66)와 내측수직재(67)의 상부에 각각 고정 설치되고, 하부걸림부재(61)는 외측수직재(66)와 내측수직재(67)의 하부에 각각 고정 설치된다.
상기 수직재(66,67)는 단일부재로 구성시킬 수도 있으나, 한 쌍의 수직부재(66a,67a)가 서로 대칭이 되도록 배치시키고, 상부걸침부재(63)와 후술하는 연결재(68)를 통해 상기 한 쌍의 수직부재(66a,67a)가 단일부재화되도록 구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수직재(66,67)를 한 쌍의 수직부재(66a,67a)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규격품으로 생산되는 앵글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보다 경제적인 이점을 가지게 한다.
외측수직재(66)와 내측수직재(67)는 연결재(68)에 의해 일체로 고정된다.
상기 연결재(68)는 외측수직재(66)와 내측수직재(67)에 각각 대향되게 설치되는 연결브라켓(68a)과, 상기 대향하고 있는 연결브라켓(68a)에 양 단부가 각각 고정되는 연결대(68b)로 이루어진다.
한편 외측수직재(66)와 내측수직재(67)의 상부에 고정 설치된 상부걸침부재(63)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이들은 가로보(30)의 내외측을 함께 걸어주게 되는 바, 가로보(30)의 폭 크기는 외측수직재(66)와 내측수직재(67)의 간격을 한정한다.
따라서 외측수직재(66)와 내측수직재(67)를 연결하는 상기의 연결재(68)는 그 길이가 고정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그 길이가 조절되는 구성을 가지게 한다. 길이가 조절되는 구성의 연결재(68)는, 두 개로 나뉘어져 각각의 일단이 상기 대향되는 연결브라켓(68a)에 고정설치되고, 각각의 타단은 커플러(68c)에 의해 나사체결되면서 이들이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커플러(68c)에 의해 연결된 연결대(68b)는 커플러(68c)의 회전에 따라 그 길이가 조절될 수 있으므로, 외측수직재(66)와 내측수직재(67)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규격의 가로보(30)에 대하여도 범용적으로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행거부재(60)에는 가로보(30)와 지지보(40)의 사이 간격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상부걸침부재(63)와 하부걸림부재(61)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수단이 더 구비된다.
상기의 간격조절수단은 외측수직재(66)와 내측수직재(67)에 각각 대향되도록 구비되는 다수 개의 간격조절공(64)과, 상기 간격조절공(64)에 체결되면서 상부걸침부재(63)를 고정시키는 체결볼트(65)로 이루어진다.
이와 더불어 상기 상부걸침부재(63)에는 미세간격조절수단이 함께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부걸침부재(63)는 외측수직재(66)와 내측수직재(67)에 각각 대향되게 설치 고정되는 지지브라켓(63a)과, 상기 지지브라켓(63a)에 나사체결되어 회전에 따라 단부가 상하 이동되는 조정나사(63b)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상기 조정나사(63b)는 상부걸침부재(63)와 하부걸림부재(61) 사이의 간격을 미세하게 맞추는 미세간격조절수단의 기능을 한다.
따라서 가로보(30)와 지지보(40) 사이의 간격이 정해지면 이에 대응되도록 상부걸침부재(63)와 하부걸림부재(61)의 간격은 대략적으로 간격조절수단에 의해 조절되고 최종적으로 미세간격조절수단에 의해 정확하게 맞추어진다.
상기 조정나사(63b)의 단부에는 상부걸침판(63c)이 더 부착될 수 있다. 상기의 상부걸침판(63c)은 조정나사(63b)를 통해 전달되는 집중하중을 가로보(30)의 넓은 면적으로 분산시키면서, 가로보(30)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작업중 불측의 충격이 가해져도 행거부재(60)가 가로보(30)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인접하는 강관거더(20)와의 규격차이로 인해 가로보(30)의 하부플랜지는 길이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이때는 도 3의 (c)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걸침판(63c) 하면에 가로보(30)의 경사에 맞추어 쐐기부재를 삽입시킴으로써 가로보(30)가 평행한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가지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조정나사(63b)와 상부걸침판(63c)의 결합을 달리 구성시킴으로써 경사진 가로보(30)에 대하여도 상기와 같이 쐐기부재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상부걸침부재(63)가 충분한 걸림기능와 안정성을 확보하게 할 수도 있다.
도시하고 있지는 아니하나, 예컨대 가로보(3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하나의 조정나사(63b)가 구비되도록 하고, 상기 조정나사(63b)의 단부와 상부걸침판(63c)이 핀결합되도 하거나,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보(3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두 개의 조정나사(63b)가 구비되더라도, 이들의 조정나사(63b)의 단부에 부착된 상부걸침판(63c)이 분리되어 핀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두 개의 상부걸침판(63c)이 가로보(30)의 경사에 따라 자유롭게 독립적으로 회전되면서 면접촉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거푸집의 지지 구조체는 기본적으로 거푸집 지지틀(10)과, 지지보(40)와, 당김부재(50) 및 행거부재(60)로 이루어지나, 상기 지지보(40)에는 밀림방지재(8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도 5는 상기한 밀림방지재(80)의 각 실시예에 대한 상세 사시도로서, (a)는 밀림방지재(80)를 지지보(40)의 폭에 맞는 규모로 설치한 경우이고, (b)는 그 규모를 인접하는 지지보(40)까지 연장하도록 그 규모를 확대하여 설치한 경우이다.
앞서 본 바와 같이 상기한 당김부재(50)의 선재(51)는 강관거더(20) 상부에 위치한 전단연결재(21)와 지지보(40)를 연결하게 되는데, 상기 전단연결재(21)의 위치에 의해 상기 선재(51)는 경사지게 설치될 수 밖에 없으며, 이러한 선재(51)의 경사진 구조는 후방으로의 수평분력을 발생시켜 지지보(40)가 강관거더(20)의 후방으로 밀려나가는 문제가 발생할 여지가 있다. 상기 밀림방지재(80)는 이와 같이 지지보(40)가 강관거더(20)의 후방으로 밀려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밀림방지재(80)는 쐐기의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ㄴ자 형상의 안착대(81)와, 상기 안착대(81)가 좌우로 이동되면서 지지보(40)에 구비되어 있는 위치조절공(44)에 핀결합되어 안착대(81)의 고정위치를 조절하면서 지지보(40)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체(82)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조를 가지는 밀림방지재(80)의 안착대(81)에 쐐기를 삽입시킨 후, 고정체(82)를 이용하여 강관거더(20)의 하부 전면에서 지지보(40)에 고정시키게 되면, 당김재에 의해 후방으로의 수평분력이 발생된다고 하더라도 상기 지지보(40)는 강관거더(20)의 후방으로 밀려나가는 것이 방지되어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하게 된다.
상기의 안착대(81)는 도 5의 (a)에서와 같이 지지보(40)의 상면에만 설치될 수 있는 규모로 구성시킬 수도 있으나, 도 5의 (b)에서와 같이 인접되는 지지보(40)까지 그 길이가 연장되어 설치시키면, 상기 안착대(81)는 지지보(40)가 수평방향에 대한 흔들림까지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강관거더(20)의 저면과 지지보(40)의 상면 사이에는 미끄럼방지패드(7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거푸집 지지구조체에는 거푸집의 측판을 수평으로 지지하기 위한 측판지지재(9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측판지지재(90)는 거푸집의 측판을 직접 지지하는 측판지지부재(91)와, 상기 측판지지부재(91)를 지지보(40)에 고정시키는 고정체(92)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체(92)는 지지보(40)의 좌우로 이동되면서 지지보(40)의 위치조절공(44)에 핀결합되는 구조를 가지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측판지지재(90)에는 측판지지부재(91)가 캔틸레버부 콘크리트(C)의 측압에 의해 전방으로 밀려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부재(93)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의 측판지지부재(91)는 고정체(92)를 통해 지지보(40)에 고정되는 것이나, 이와는 달리 상기 측판지지부재(91)를 거푸집 지지틀(10)에 고정 설치하고, 상기 측판지지부재(91)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재(93)만을 고정체(92)에 결합시켜 보강부재(93)의 위치조절만을 가능하도록 변형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 예들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거푸집 지지틀 11: 장선
12: 동바리 20: 강관거더
21: 전단연결재 30: 가로보
40: 지지보 44: 위치조절공
50: 당김부재 51: 선재
52,62,82,92: 고정체 60: 행거부재
61: 하부걸림부재 63: 상부걸침부재
63a: 지지브라켓 63b: 조정나사
63c: 상부걸침판 64: 간격조절공
65: 체결볼트 66: 외측수직재
66a,67a: 수직부재 67: 내측수직재
68: 연결재 68a: 연결브라켓
68b: 연결대 68c: 커플러
70: 미끄럼방지패드 80: 밀림방지재
81: 안착대 90: 측판지지재
91: 측판지지부재 93: 보강부재

Claims (11)

  1. 강관거더 교량의 캔틸레버부에 대한 콘크리트의 타설을 위한 거푸집의 지지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의 하부에 위치하고 장선(11)과 다수의 동바리(12)로 구성되는 거푸집 지지틀(10)과; 상기 거푸집 지지틀(10) 및 강관거더(20)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상부플랜지, 하부플랜지 및 웨브로 구성되는 지지보(40)와; 강관거더(20)의 상부에 설치되는 전단연결재(21)와 상기 지지보(40)의 사이를 연결하는 당김부재(50)와; 상기 지지보(40)의 상부플랜지를 걸어주는 하부걸림부재(61)와, 강관거더(20)들 사이에 설치되는 가로보(30)에 걸쳐지는 상부걸침부재(63)로 구성되면서 상기 지지보(40)와 가로보(30) 사이에 현수구조를 형성시키는 행거부재(60)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보(40)의 웨브에는 다수 개의 위치조절공(44)이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고,
    상기 당김부재(50)와 행거부재(60)는 하부에 지지보(40)의 좌우로 이동될 수 있으면서 상기 위치조절공(44)에 핀결합되어 고정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체(52,62)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행거부재(60)에는 가로보(30)와 지지보(40)의 사이 간격에 따라 하부걸림부재(61)와 상부걸침부재(63)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수단과 상부걸침부재(63)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의 간격을 미세하게 맞추는 미세간격조절수단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거더 교량의 캔틸레버부 거푸집 지지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부재(60)는, 가로보(30)와 지지보(40)의 외측에 위치하면서 한 쌍의 수직부재(66a)로 구성되는 외측수직재(66)와, 가로보(30)보의 내측에 위치하면서 한 쌍의 수직부재(67a)로 구성되는 내측수직재(67)와, 상기 외측수직재(66)와 내측수직재(67)의 하부에 하부걸림부재(61)가 설치되고, 상기 외측수직재(66)와 내측수직재(67)의 상부에 상부걸침부재(63)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외측수직재(66)와 내측수직재(67)는 연결재(68)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거더 교량의 캔틸레버부 거푸집 지지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외측수직재(66)와 내측수직재(67)에 각각 대향되도록 구비되는 다수 개의 간격조절공(64)과, 상기 간격조절공(64)에 체결되면서 상부걸침부재(63)를 고정시키는 체결볼트(6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거더 교량의 캔틸레버부 거푸집 지지구조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걸침부재(63)는, 외측수직재(66)와 내측수직재(67)에 각각 대향되게 설치 고정되는 지지브라켓(63a)과, 상기 지지브라켓(63a)에 나사체결되어 회전에 따라 단부가 상하 이동되는 조정나사(63b)로 이루어지며, 미세간격조절수단은 상기 조정나사(63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거더 교량의 캔틸러버부 거푸집 지지구조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나사(63b)의 단부에는 상부걸침판(63c)이 더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거더 교량의 캔틸레버부 거푸집 지지구조체.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재(68)는, 외측수직재(66)와 내측수직재(67)에 각각 대향되게 설치 고정되는 연결브라켓(68a)과, 상기 대향되는 연결브라켓(68a)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연결대(68b)와, 상기 연결대(68b)끼리를 연결하는 커플러(68c)로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대(68b)와 커플러(68c)는 나사체결되어 커플러(68c)의 회전에 따라 외측수직재(66)와 내측수직재(67)의 간격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거더 교량의 캔틸레버 거푸집 지지구조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거더(20)의 저면과 지지보(40)의 상면 사이에는 미끄럼방지패드(70)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거더 교량의 캔틸레버부 거푸집 지지구조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보(40)에는 강관거더(20)의 하부 전면에 위치하면서 지지보(40)가 후방으로 밀려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밀림방지재(80)가 더 설치되되, 상기 밀림방지재(80)는 쐐기의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ㄴ자 형상의 안착대(81)와, 상기 안착대(81)가 지지보(40)의 좌우로 이동되면서 상기 위치조절공(44)에 핀결합되어 고정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체(8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거더 교량의 캔틸레버부 거푸집 지지구조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대(81)는 인접하는 지지보(40)까지 연장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거더 교량의 캔틸레버부 거푸집 지지구조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보(40)에는 거푸집의 측판을 수평으로 지지하기 위한 측판지지재(90)가 더 설치되며, 상기 측판지지재(90)는, 상기 거푸집의 측판을 직접 지지하는 측판지지부재(91)와, 상기 측판지지부재(91)가 지지보(40)의 좌우로 이동되면서 상기 위치조절공(44)에 핀결합되어 고정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체(9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거더 교량의 캔틸레버부 거푸집 지지구조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지지재(90)에는 측판지지부재(91)가 전방으로 밀려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부재(93)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거더 교량의 캔틸레버부 거푸집 지지구조체.
KR1020140042465A 2014-04-09 2014-04-09 강관거더 교량의 캔틸레버부 거푸집 지지구조체 KR101436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465A KR101436845B1 (ko) 2014-04-09 2014-04-09 강관거더 교량의 캔틸레버부 거푸집 지지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465A KR101436845B1 (ko) 2014-04-09 2014-04-09 강관거더 교량의 캔틸레버부 거푸집 지지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6845B1 true KR101436845B1 (ko) 2014-09-02

Family

ID=51759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2465A KR101436845B1 (ko) 2014-04-09 2014-04-09 강관거더 교량의 캔틸레버부 거푸집 지지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68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50177A (zh) * 2014-03-30 2014-06-11 长安大学 一种天桥梯口梁与主梁之间的连接构造
CN114922072A (zh) * 2022-05-16 2022-08-19 中铁十一局集团有限公司 一种薄壁塔肢大跨度横梁支架及其安装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921A (ja) * 1995-07-24 1997-02-04 Kawada Kensetsu Kk 床板コンクリート打設用型枠の移動装置
JP2000129633A (ja) 1998-10-29 2000-05-09 Hazama Gumi Ltd 橋梁床版の架設工法
JP2001146718A (ja) 1999-11-22 2001-05-29 Kawaju Koji Kk 橋梁床版張出部移動支保工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921A (ja) * 1995-07-24 1997-02-04 Kawada Kensetsu Kk 床板コンクリート打設用型枠の移動装置
JP2000129633A (ja) 1998-10-29 2000-05-09 Hazama Gumi Ltd 橋梁床版の架設工法
JP2001146718A (ja) 1999-11-22 2001-05-29 Kawaju Koji Kk 橋梁床版張出部移動支保工構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50177A (zh) * 2014-03-30 2014-06-11 长安大学 一种天桥梯口梁与主梁之间的连接构造
CN114922072A (zh) * 2022-05-16 2022-08-19 中铁十一局集团有限公司 一种薄壁塔肢大跨度横梁支架及其安装方法
CN114922072B (zh) * 2022-05-16 2024-05-14 中铁十一局集团有限公司 一种薄壁塔肢大跨度横梁支架及其安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65179B2 (ja) 型枠装置
KR20190056120A (ko) 교량용 캔틸레버 브라켓
JP6752160B2 (ja) 移動作業車
JP6379045B2 (ja) 梁底型枠用支持金具とPCa梁ジョイント部の構造とその構築方法
KR101436845B1 (ko) 강관거더 교량의 캔틸레버부 거푸집 지지구조체
JP5020162B2 (ja) 張り出し床版用支保工
JPS59501465A (ja) 片持ばり工法による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ト橋の分割注型装置
JP2020183678A (ja) 箱桁の施工方法および施工システム
JP6821853B1 (ja) 型枠支保工構造
JP2004218316A (ja) 柱頭部の構築方法及び架設作業車
KR101063846B1 (ko) 교량의 캔틸레버부 시공용 거푸집 지지장치 및 거푸집 지지구조
JPH1171897A (ja) コンクリート打設用足場板支持装置
JP2004360378A (ja) 型枠支持機構及び打設方法
JP2014190116A (ja) コンクリートスラブの構築方法
JP2001115422A (ja) コンクリート床版固定型枠用支保工の解体方法
JP6549499B2 (ja) 移動作業車および構造物の施工方法
JP2018168599A (ja) 型枠の設置方法及び型枠用吊り具
JP2004225428A (ja) 鉄筋コンクリート壁用スペーサ
JP2009179999A (ja) 柱頭部施工用架設装置およびその一部を利用した移動作業車の構築方法ならびに橋梁の張出し施工方法
KR102035996B1 (ko) 데크패널을 이용한 천장 거푸집 시공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하중에도 처짐을 방지하는 결속지지구
JP3197234B2 (ja) 床版鉄筋組立用の移動足場
KR101341864B1 (ko) 슬래브 거푸집 거더 빔 체결장치
KR102280930B1 (ko) 교량 슬래브용 브래킷
KR100840279B1 (ko) 슬래브거푸집 현수용 행거장치
KR102524591B1 (ko) 벽체 타설용 거치형 가설 작업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