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4591B1 - 벽체 타설용 거치형 가설 작업대 - Google Patents
벽체 타설용 거치형 가설 작업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24591B1 KR102524591B1 KR1020210015568A KR20210015568A KR102524591B1 KR 102524591 B1 KR102524591 B1 KR 102524591B1 KR 1020210015568 A KR1020210015568 A KR 1020210015568A KR 20210015568 A KR20210015568 A KR 20210015568A KR 102524591 B1 KR102524591 B1 KR 10252459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bar
- yoke
- support
- bar
- temporar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2—Workplatforms, railings; Arrangements for pouring concrete, attached to the form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에 작업발판이 거치되는 받침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지브래킷의 상단에 걸림부가 구비되므로, 걸림부를 이용하여 벽체 거푸집에 쉽게 고정 또는 해체할 수 있고, 작업자 통행에 지장이 없으며, 전도 또는 붕괴 사고의 우려가 없는 벽체 타설용 거치형 가설 작업대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단에는 벽체 거푸집의 멍에 상부에 걸려 거치되는 걸림부가 구비되고, 받침바가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어 상호 횡방향으로 이격되는 적어도 2 이상의 지지브래킷; 및 상기 지지브래킷의 받침바 상부에 거치되는 작업발판; 으로 구성되되, 상기 지지브래킷은 전단에 상기 걸림부가 형성되는 상기 받침바와 상기 받침바의 후단에서 벽체 거푸집 측으로 경사지게 구비되는 제1지지바와 상기 제1지지바의 하단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걸림부가 거치되는 멍에 하부에 위치하는 멍에의 전면에 하부가 지지되는 제2지지바가 하나의 파이프를 절곡하여 일체로 연속 형성되고, 상기 받침바와 제1지지바의 사이에는 제3지지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단에는 벽체 거푸집의 멍에 상부에 걸려 거치되는 걸림부가 구비되고, 받침바가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어 상호 횡방향으로 이격되는 적어도 2 이상의 지지브래킷; 및 상기 지지브래킷의 받침바 상부에 거치되는 작업발판; 으로 구성되되, 상기 지지브래킷은 전단에 상기 걸림부가 형성되는 상기 받침바와 상기 받침바의 후단에서 벽체 거푸집 측으로 경사지게 구비되는 제1지지바와 상기 제1지지바의 하단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걸림부가 거치되는 멍에 하부에 위치하는 멍에의 전면에 하부가 지지되는 제2지지바가 하나의 파이프를 절곡하여 일체로 연속 형성되고, 상기 받침바와 제1지지바의 사이에는 제3지지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상부에 작업발판이 거치되는 받침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지브래킷의 상단에 걸림부가 구비되므로, 걸림부를 이용하여 벽체 거푸집에 쉽게 고정 또는 해체할 수 있고, 작업자 통행에 지장이 없으며, 전도 또는 붕괴 사고의 우려가 없는 벽체 타설용 거치형 가설 작업대에 대한 것이다.
철근콘크리트 구조는 거푸집을 설치하고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구조물을 완성한다.
일반적으로 벽체와 같은 수직부재는 작업자가 슬래브 거푸집 상부에서 하부의 벽체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그런데 벽체의 높이가 높거나 지하 합벽과 같이 슬래브 거푸집 시공 전에 벽체 콘크리트가 타설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벽체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별도의 작업 발판이 필요하다.
이에 종래에는 벽체 거푸집 외부에 비계를 설치하고, 작업자들이 비계 위에서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 비계의 설치 및 해체 작업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비계 설치로 인해 작업자 통행에 방해가 되며, 비계 높이가 높은 경우 전도나 붕괴 위험성이 있어 안전 사고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설치 및 해체가 간단하고, 작업자 통행에 지장이 없으며, 전도 또는 붕괴 사고의 우려가 없는 벽체 타설용 거치형 가설 작업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단에는 벽체 거푸집의 멍에 상부에 걸려 거치되는 걸림부가 구비되고, 받침바가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어 상호 횡방향으로 이격되는 적어도 2 이상의 지지브래킷; 및 상기 지지브래킷의 받침바 상부에 거치되는 작업발판; 으로 구성되되, 상기 지지브래킷은 전단에 상기 걸림부가 형성되는 상기 받침바와 상기 받침바의 후단에서 벽체 거푸집 측으로 경사지게 구비되는 제1지지바와 상기 제1지지바의 하단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걸림부가 거치되는 멍에 하부에 위치하는 멍에의 전면에 하부가 지지되는 제2지지바가 하나의 파이프를 절곡하여 일체로 연속 형성되고, 상기 받침바와 제1지지바의 사이에는 제3지지바가 구비되며, 상기 제3지지바에는 제3지지바에 관통 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전후진하는 가이드볼트와 상기 가이드볼트의 전단에 구비되어 가이드볼트의 전진에 의해 멍에 전면을 가압하는 가압구와 상기 가압구의 전면에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멍에의 하부에 걸리는 걸림돌부로 구성되는 고정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타설용 거치형 가설 작업대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받침바의 단부 상면에는 결합촉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촉에는 안전난간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타설용 거치형 가설 작업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상부에 작업발판이 거치되는 받침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지브래킷의 상단에 걸림부가 구비되므로, 별도의 고정 부재 없이도 걸림부를 멍에 상부에 거치하여 가설 작업대를 벽체 거푸집에 쉽게 고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가설 작업대의 설치 및 해체가 간단하고, 작업자 통행에 지장이 없다.
둘째, 수직 방향의 메인바, 메인바에 전단에 결합되는 수평 방향의 받침바 및 메인바와 받침바를 연결하는 지지바로 지지브래킷을 구성하는 경우, 구성이 단순하고 중량이 가벼워 제작 및 취급이 용이하다.
셋째, 받침바, 받침바 후단에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제1지지바 및 제1지지바의 하단에서 연장되어 하부 멍에에 지지되는 제2지지바로 지지브래킷을 구성하는 경우, 하나의 파이프를 절곡하여 지지브래킷을 제작할 수 있어 용접 공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넷째, 메인바와 걸림부의 하부를 관통하는 걸림핀이 구비되거나 제3지지바와 고정구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가설 작업대를 벽체 거푸집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설 작업대의 전도 또는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벽체 타설용 거치형 가설 작업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지지브래킷과 작업발판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트러스 거더가 구비된 벽체 거푸집에 가설 작업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 부분을 도시하는 확대도.
도 5는 걸림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6은 지지브래킷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고정구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8은 안전난간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지지브래킷과 작업발판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트러스 거더가 구비된 벽체 거푸집에 가설 작업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 부분을 도시하는 확대도.
도 5는 걸림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6은 지지브래킷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고정구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8은 안전난간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벽체 타설용 거치형 가설 작업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지지브래킷과 작업발판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트러스 거더가 구비된 벽체 거푸집에 가설 작업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 부분을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4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벽체 타설용 거치형 가설 작업대는 상단에는 벽체 거푸집(1)의 멍에(10) 상부에 걸려 거치되는 걸림부(31)가 구비되고, 받침바(32)가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어 상호 횡방향으로 이격되는 적어도 2 이상의 지지브래킷(3); 및 상기 지지브래킷(3)의 받침바(32) 상부에 거치되는 작업발판(4);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철근콘크리트 구조 등 시공시, 설치 및 해체가 간단하고 작업자 통행에 지장이 없으며, 전도 또는 붕괴 사고의 우려가 없는 벽체 타설용 거치형 가설 작업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 벽체 타설용 거치형 가설 작업대(2)는 복수의 지지브래킷(3)과 지지브래킷(3)의 상부에 거치되어 지지되는 작업발판(4)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브래킷(3)은 적어도 2 이상으로 구비되어 횡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지지브래킷(3)은 벽체 거푸집(1)의 멍에(10) 상부에 거치되도록 상단에 걸림부(31)가 구비된다.
상기 걸림부(31)는 가설 작업대(2)의 자중에 의해 멍에(10)의 상면과 배면(벽체 거푸집(1) 측)에 걸려 멍에(10)에 밀착됨으로써 가설 작업대(2)를 지지한다.
상기 지지브래킷(3)에는 작업발판(4)을 지지하는 받침바(32)가 수평 방향, 벽체 거푸집(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비된다.
상기 작업발판(4)은 지지브래킷(3)의 받침바(32) 상부에 거치된다.
상기 작업발판(4)은 이웃하는 지지브래킷(3)의 받침바(32) 상부에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거치된다.
상기 작업발판(4)은 건설현장에서 많이 사용되는 유공발판을 사용 가능하다.
이 경우 유공발판의 좌우 단부에 돌출 구비된 걸침고리(41)가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받침바(32)는 원형 단면의 스틸 파이프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고정 부재 없이 가설 작업대(2)를 단순 거치하여 벽체 거푸집(1)의 멍에(10)에 고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가설 작업대(2)의 설치 및 해체를 간단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가설 작업대(2)가 작업자 통행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
상기 가설 작업대(2)는 양중장비의 양중에 의해 하강 또는 상승시킴으로써 설치 또는 해체 가능하다.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 거푸집(1)은 자체 강성을 증가시켜 소요 가설재를 최소화하고 경량화하기 위해 패널(11)과 트러스 거더(12)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트러스 거더(12)는 패널(11) 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하현재(121), 상기 하현재(121)와 일정 간격 이격되게 구비되는 상현재(122) 및 상기 하현재(121)와 상현재(122)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래티스(123)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멍에(10)는 상현재(122)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벽체 거푸집(1)의 강성이 증가되므로, 가설 작업대(2)의 하중을 멍에(10)를 통해 견고하게 지지시킬 수 있다.
도 1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브래킷(3)은 상단에 상기 걸림부(31)가 형성되는 것으로 걸림부(31)가 거치되는 멍에(10) 하부에 위치하는 멍에(10') 전면에 하부가 지지되는 메인바(33), 상기 메인바(33)의 외측에 전단이 결합되는 상기 받침바(32) 및 상기 받침바(32)와 메인바(33) 사이에 구비되어 받침바(32)를 지지하는 지지바(3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브래킷(3)은 메인바(33), 받침바(32) 및 지지바(34)를 삼각형 형상으로 조립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31)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하여 상기 메인바(33)의 상단에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부(31)는 메인바(33)의 상단을 절곡하여 일체로 형성 가능하다.
상기 메인바(33)는 연직 하부로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걸림부(31)가 걸려 거치되는 멍에(10)의 하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는 멍에(10')의 전면에 하부가 지지된다.
즉, 상기 메인바(33)는 상하로 이격 배치되는 2개의 멍에(10, 10')에 접촉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상기 메인바(33)를 충분한 길이로 형성하면, 상하로 이격되는 멍에(10, 10')의 수직 간격에 상관없이 메인바(33)를 지지시킬 수 있다.
상기 받침바(32)는 메인바(33)의 외측에 전단이 결합된다.
상기 받침바(32)는 메인바(33)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메인바(33)에 고정된다.
상기 지지바(34)는 받침바(32)와 메인바(33) 사이에 구비되어 받침바(32)를 지지한다.
상기 지지바(34)는 메인바(33)에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받침바(32)를 지지하도록 받침바(32)와 메인바(33)를 연결한다.
상기 지지바(34)는 상단이 받침바(32)의 후단 또는 후단에서 벽체 거푸집(1) 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는 임의의 지점에 결합되고, 하단이 메인바(3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34)는 받침바(32)의 후단을 절곡하여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브래킷(3)을 메인바(33), 받침바(32) 및 지지바(34)로 구성하는 경우, 구성이 단순하고 중량이 가벼워 제작 및 취급이 용이하다.
도 5는 걸림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멍에(10)의 하부에서 메인바(33)와 걸림부(31)의 하부를 관통하는 걸림핀(3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설 작업대(2)의 작업발판(4) 일측에 편심 하중이 걸릴 경우, 타측의 지지브래킷(3)이 들리면서 가설 작업대(2)가 멍에(10)에서 이탈되어 추락할 가능성이 있다.
이에 외력에 의해 가설 작업대(2)가 멍에(10)에서 분리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메인바(33)와 걸림부(31)를 관통하는 걸림핀(35)을 착탈 가능하게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걸림핀(35)은 멍에(10)의 하부에 걸리도록 배치하여 걸림부(31)가 멍에(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걸림핀(35)의 관통을 위하여 메인바(33)와 걸림부(31)에는 각각 관통공(311, 331)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31)를 멍에(10)에 거치하여 가설 작업대(2)를 설치한 후, 메인바(33)와 걸림부(31)의 관통공(311, 331)을 관통하도록 걸림핀(35)을 체결하여 외력이나 편심 등에 의한 가설 작업대(2)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가설 작업대(2)의 해체시에는 걸림핀(35)을 해체한 후 가설 작업대(2)를 인양할 수 있다.
상기 멍에(10)가 상하부 파이프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경우, 걸림핀(35)은 상하부 파이프 사이를 지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걸림핀(35)은 작업발판(4)의 상부 위치에서 메인바(33)와 걸림부(31)에 체결 가능하다. 그러므로 작업자는 걸림핀(35)을 손쉽게 설치 또는 해체할 수 있다.
상기 걸림핀(35)은 와이어(W)에 의해 지지브래킷(3)의 일측에 연결함으로써, 걸림핀(35)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지지브래킷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브래킷(3)은 전단에 상기 걸림부(31)가 형성되는 상기 받침바(32), 상기 받침바(32)의 후단에서 벽체 거푸집(1) 측으로 경사지게 구비되는 제1지지바(34a) 및 상기 제1지지바(34a)의 하단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걸림부(31)가 거치되는 멍에(10) 하부에 위치하는 멍에(10')의 전면에 하부가 지지되는 제2지지바(34b)가 하나의 파이프를 절곡하여 일체로 연속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브래킷(3)은 걸림부(31), 받침바(32), 제1지지바(34a) 및 제2지지바(34b)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파이프를 절곡하여 걸림부(31), 받침바(32), 제1지지바(34a) 및 제2지지바(34b)를 연속으로 형성 가능하다. 이에 지지브래킷(3) 제작시 용접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받침바(32)는 전단이 멍에(10)의 상부에 걸쳐지고, 걸림부(31)는 받침바(32)의 전단에서 하부로 절곡 형성되어 멍에(10)의 배면에 걸려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바(34a)는 받침바(32)의 후단에서 벽체 거푸집(1) 측으로 하향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바(34b)는 제1지지바(34a)의 하단에서 연직 하향으로 절곡 형성된다.
상기 제2지지바(34b)는 걸림부(31)가 걸쳐지는 멍에(10)에서 하부로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하부 멍에(10')의 전면에 밀착되어 가설 작업대(2)의 하중을 지지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바(32)와 제1지지바(34a)의 사이에는 제3지지바(34c)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브래킷(3)을 구성하는 파이프의 규격에 비해 가설 작업대(2)에 작용하는 작업 하중이 큰 경우, 받침바(32)와 제1지지바(34a) 사이에 제3지지바(34c)를 설치하여 지지브래킷(3)을 보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받침바(32)에 하중 작용시, 제3지지바(34c)에 의해 받침바(32)와 제1지지바(34a) 사이 간격이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고정구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지지바(34c)에 관통 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전후진하는 가이드볼트(361) 및 상기 가이드볼트(361)의 전단에 구비되어 가이드볼트(361)의 전진에 의해 멍에(10) 전면을 가압하는 가압구(362)로 구성되는 고정구(3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지지바(34c)를 이용하여 지지브래킷(3)을 멍에(10)에 고정하는 고정구(36)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고정구(36)는 가이드볼트(361)와 가압구(362)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볼트(361)는 제3지지바(34c)를 관통하여 회전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 가능하다.
상기 가압구(362)는 가이드볼트(361)의 전단에 구비되어 멍에(10)의 전면을 가압한다.
상기 멍에(10)는 배면의 걸림부(31)와 전면의 가압구(362)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외력에 의해 가설 작업대(2)가 멍에(10)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견고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의 (a)와 같이 상기 지지브래킷(3)을 멍에(10)의 상부에서 하강시킨 다음, 도 7의 (b)와 같이 가이드볼트(361)를 전진시켜 가압구(362)가 멍에(10)에 밀착된 상태에서 고정구(36)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3지지바(34c)에는 가이드볼트(361)의 관통을 위해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지지바(34c)의 관통공 일측에는 가이드볼트(361)가 나사 결합되는 가이드너트(341)가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압구(362)의 전면에는 멍에(10)의 하부에 걸리는 걸림돌부(36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돌부(363)는 멍에(10)의 하부를 지지하여, 상향의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걸림부(31)가 멍에(10)에서 빠지지 않고 고정이 유지되도록 한다.
도 8은 안전난간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바(32)의 단부 상면에는 결합촉(37)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촉(37)에는 안전난간(5)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받침바(32)의 외측 단부 상면에는 안전난간(5)의 설치를 위한 결합촉(37)이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촉(37)을 이용하여 안전난간(5)을 쉽게 설치 또는 해체할 수 있다.
도 8에는 결합촉(37)이 파이프 형태의 안전난간(5) 하단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실시예가 도시된다. 반대로 상기 결합촉(37)의 내경을 안전난간(5)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하여, 안전난간(5)의 하단이 결합촉(37)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1: 벽체 거푸집 10: 멍에
11: 패널 12: 트러스 거더
121: 하현재 122: 상현재
123: 래티스 2: 가설 작업대
3: 지지브래킷 31: 걸림부
311: 관통공 32: 받침바
33: 메인바 331: 관통공
34: 지지바 34a: 제1지지바
34b: 제2지지바 34c: 제3지지바
341: 가이드너트 35: 걸림핀
36: 고정구 361: 가이드볼트
362: 가압구 363: 걸림돌부
37: 결합촉 4: 작업발판
41: 걸침고리 5: 안전난간
W: 와이어
11: 패널 12: 트러스 거더
121: 하현재 122: 상현재
123: 래티스 2: 가설 작업대
3: 지지브래킷 31: 걸림부
311: 관통공 32: 받침바
33: 메인바 331: 관통공
34: 지지바 34a: 제1지지바
34b: 제2지지바 34c: 제3지지바
341: 가이드너트 35: 걸림핀
36: 고정구 361: 가이드볼트
362: 가압구 363: 걸림돌부
37: 결합촉 4: 작업발판
41: 걸침고리 5: 안전난간
W: 와이어
Claims (7)
- 상단에는 벽체 거푸집(1)의 멍에(10) 상부에 걸려 거치되는 걸림부(31)가 구비되고, 받침바(32)가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어 상호 횡방향으로 이격되는 적어도 2 이상의 지지브래킷(3); 및
상기 지지브래킷(3)의 받침바(32) 상부에 거치되는 작업발판(4); 으로 구성되되,
상기 지지브래킷(3)은 전단에 상기 걸림부(31)가 형성되는 상기 받침바(32)와 상기 받침바(32)의 후단에서 벽체 거푸집(1) 측으로 경사지게 구비되는 제1지지바(34a)와 상기 제1지지바(34a)의 하단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걸림부(31)가 거치되는 멍에(10) 하부에 위치하는 멍에(10')의 전면에 하부가 지지되는 제2지지바(34b)가 하나의 파이프를 절곡하여 일체로 연속 형성되고,
상기 받침바(32)와 제1지지바(34a)의 사이에는 제3지지바(34c)가 구비되며,
상기 제3지지바(34c)에는 제3지지바(34c)에 관통 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전후진하는 가이드볼트(361)와 상기 가이드볼트(361)의 전단에 구비되어 가이드볼트(361)의 전진에 의해 멍에(10) 전면을 가압하는 가압구(362)와 상기 가압구(362)의 전면에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멍에(10)의 하부에 걸리는 걸림돌부(363)로 구성되는 고정구(3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타설용 거치형 가설 작업대.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서,
상기 받침바(32)의 단부 상면에는 결합촉(37)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촉(37)에는 안전난간(5)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타설용 거치형 가설 작업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15568A KR102524591B1 (ko) | 2021-02-03 | 2021-02-03 | 벽체 타설용 거치형 가설 작업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15568A KR102524591B1 (ko) | 2021-02-03 | 2021-02-03 | 벽체 타설용 거치형 가설 작업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12055A KR20220112055A (ko) | 2022-08-10 |
KR102524591B1 true KR102524591B1 (ko) | 2023-04-21 |
Family
ID=82846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15568A KR102524591B1 (ko) | 2021-02-03 | 2021-02-03 | 벽체 타설용 거치형 가설 작업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24591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540483Y2 (ja) * | 1990-05-23 | 1997-07-02 | 株式会社大竹ボードセンター | コンクリート型枠組立・解体用足場支持金具 |
KR200381397Y1 (ko) * | 2005-01-27 | 2005-04-11 | 용덕재 | 거푸집의 발판 안전 난간 장치 |
KR101978804B1 (ko) * | 2018-11-08 | 2019-05-15 | 김태순 | 안전난간대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07026B1 (ko) | 2012-08-31 | 2013-09-11 | 서보산업 주식회사 | 갱폼 멍에재에 이용되는 작업발판용 브라켓 |
-
2021
- 2021-02-03 KR KR1020210015568A patent/KR10252459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540483Y2 (ja) * | 1990-05-23 | 1997-07-02 | 株式会社大竹ボードセンター | コンクリート型枠組立・解体用足場支持金具 |
KR200381397Y1 (ko) * | 2005-01-27 | 2005-04-11 | 용덕재 | 거푸집의 발판 안전 난간 장치 |
KR101978804B1 (ko) * | 2018-11-08 | 2019-05-15 | 김태순 | 안전난간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12055A (ko) | 2022-08-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290576A (en) | Climbing scaffolding | |
KR101941885B1 (ko) | 철골 구조물 | |
CN102912996B (zh) | 一种钢管混凝土柱高空施工安全防护体系 | |
KR200476828Y1 (ko) | 합벽 지지 장치 및 합벽 지지 장치의 발판 지지용 브라켓 | |
JP3181041U (ja) | 橋梁用足場取付け部材 | |
JP6498075B2 (ja) | 鉄骨構造物の張出通路 | |
JPH1171897A (ja) | コンクリート打設用足場板支持装置 | |
KR102524591B1 (ko) | 벽체 타설용 거치형 가설 작업대 | |
KR100373783B1 (ko) | 피시빔교용 가설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피시빔교 가설방법 | |
KR102102214B1 (ko) | 보 테이블폼 안전난간대 | |
KR200413590Y1 (ko) | 고하중 비계 및 이의 조립구조 | |
CN114382170B (zh) | 一种上层预制竖向构件施工方法 | |
CN216196475U (zh) | 一种适用于装配式现浇连廊施工的外挂式防护式脚手架 | |
KR102361789B1 (ko) | 시스템동바리용 수평재 가설 지지구 | |
JP6661142B1 (ja) | 吊り足場 | |
KR200213539Y1 (ko) | 안전 작업대의 프레임 | |
KR100840279B1 (ko) | 슬래브거푸집 현수용 행거장치 | |
KR102207334B1 (ko) | 유로폼의 타이 홀 고정용 브라켓 | |
KR100883186B1 (ko) | 교량의 거더용 철재빔 사이에 설치되는 발판 | |
KR200294830Y1 (ko) | 거푸집용 비계의 지지구조 | |
JP6495846B2 (ja) | 法面のアンカー工事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レールユニットセット | |
KR100570261B1 (ko) | 강교용 가설브래킷 및 그 시공방법 | |
KR100278830B1 (ko) | 교각두부 시설용 안전작업대 | |
JPH116285A (ja) | 床版鉄筋組立用の移動足場 | |
CN221761289U (zh) | 室外连廊悬挑支撑架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