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3539Y1 - 안전 작업대의 프레임 - Google Patents

안전 작업대의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3539Y1
KR200213539Y1 KR2019980014252U KR19980014252U KR200213539Y1 KR 200213539 Y1 KR200213539 Y1 KR 200213539Y1 KR 2019980014252 U KR2019980014252 U KR 2019980014252U KR 19980014252 U KR19980014252 U KR 19980014252U KR 200213539 Y1 KR200213539 Y1 KR 2002135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ormwork
safety
horizontal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42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3913U (ko
Inventor
이덕희
Original Assignee
고복희
주식회사평산기계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복희, 주식회사평산기계공업 filed Critical 고복희
Priority to KR20199800142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3539Y1/ko
Publication of KR200000039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39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35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3539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 현장 등에서 사용되는 안전 작업대의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사다리 모양으로 수직봉과 수평봉이 상호 결합되어 거푸집의 외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고, 양쪽의 수평봉에 발판을 설치하여 작업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안전 작업대의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거푸집의 외벽에 고정되는 상틀과, 상기 상틀의 하측에 연결 부재 및 체결 수단을 통해 결합되는 하틀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틀 및 하틀은 그 수직봉 및 수평봉이 'T'형 이음 부재나 'L'형 이음 부재 중 어느 하나로 맞대어져 체결 수단으로 상호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본 고안은 작업대의 설치 및 분해 작업이 용이해지고, 연결부에 균열이 발생되지 않아 안전성 향상에 기여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안전 작업대의 프레임
본 고안은 건축 현장 등에서 사용되는 안전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거푸집의 외벽에 설치하여 콘크리트 타설, 양생 등의 작업에 사용되는 안전 작업대의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이나 교각 등의 외벽을 형성시킬 때 주로 거푸집(10)을 이용하여 콘크리트(1)를 타설한 후, 양생하면서 구조물을 세우게 된다.
이와 같은 거푸집(10)은 나무로 된 목형 거푸집과 철판으로 된 스틸형 거푸집이 있는 바, 모두 판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외측면에는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보강재(11)가 격자형 구조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거푸집(10)을 이용하여 콘크리트(1)를 양생하는 방법은 먼저, 수직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갖도록 두 개의 거푸집(10)을 세우고, 거푸집(10)의 간격이 유지되게 볼트(15) 및 너트로 조립한 다음, 상기 거푸집(10) 사이에 콘크리트(1)를 부어 넣는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1)를 양생하여 외벽이 세워지면, 거푸집(10)을 고정하고 있는 볼트(15) 및 너트를 해체한 뒤 거푸집(10)을 분리하고, 상측으로 거푸집(10)을 이동시켜 상기한 작업을 반복하면서 구조물을 높이 세우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거푸집(10)이 분리된 콘크리트(1) 외벽에는 시멘트 등으로 미장을 실시하여 외벽의 미려하게 꾸미게 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작업을 실시하기 위해서 거푸집(10)의 외측면에 안전 작업대(20)를 설치하고 그 위에 사람이 올라가서 작업하게 되는데, 이 안전 작업대(20)는 거푸집(10)의 외측면에 사다리 모양의 프레임(21) 두 개 이상을 수직으로 세우고, 양측 프레임(21)에 긴 판형의 발판(25)을 연결하여 그 위에서 작업자가 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안전 작업대(20)의 프레임(21)은 도 2에서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위치된 두 개의 수직봉(22)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수평봉(23)이 고정되어 있고, 이와 같은 프레임(21)의 수평봉(23)에 긴 판형의 발판(25)을 연결하여 그 위에서 상기한 볼트(15) 체결 작업 및 해체 작업, 그리고 미장 작업등을 실시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안전 작업대의 프레임은 수직봉(22)과 수평봉(23)이 모두 용접(W) 방식으로 상호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오랜 시간 사용하게 되면 용접부(W)에 균열이 발생하여 작업대의 안전성이 현저히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 기술은 프레임(21)의 일부분이 손상될 경우 용접 방식으로 상호 고정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프레임 전체를 교체해야 되고, 재 사용하거나 운반,보관하는 데도 부피가 커 상당한 불편이 따르게 되는 문제점도 발생되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1)의 외측에 수평으로 연결되어 작업자가 추락하지 않도록 안전봉(27)이 설치되는데, 이 안전봉(27)을 고정하는 클램프(28)도 프레임(21)에 용접 방식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 등으로 인한 용접부(W')의 크랙 등으로 인하여 안전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용접하여 연결하지 않고 이음 부재를 이용하여 조립함으로써 작업대의 설치 및 분해가 용이하고, 안전성이 향상되도록 한 안전 작업대의 프레임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안전 작업대의 프레임은, 사다리 모양으로 수직봉과 수평봉이 상호 결합되어 거푸집의 외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고, 양쪽의 수평봉에 발판을 설치하여 작업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안전 작업대의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거푸집의 외벽에 고정되는 상틀과, 상기 상틀의 하측에 연결 부재 및 체결 수단을 통해 결합되는 하틀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틀 및 하틀은 그 수직봉 및 수평봉이 'T'형 이음 부재나 'L'형 이음 부재 중 어느 하나로 맞대어져 체결 수단으로 상호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서 안전 작업대의 프레임이 사용된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서 안전 작업대의 프레임이 도시된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이 사용된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이 도시된 일 실시예의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이 사용된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이 도시된 일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거푸집 51 : 보강재 52 : 볼트 52' : 볼트 구멍 60 : 안전 작업대 61 : 프레임 62 : 상틀 63 : 하틀 62a, 63a : 수직봉 62b, 63b : 수평봉 65 : 안전봉 67 : 'U'자형 고정구 70 : 볼트 71 : 걸이 부재 72 : 'L'형 이음 부재 73 : 'T'형 이음 부재 74 : 지지 부재 74' : 이음 부재 75 : 고정 부재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콘크리트 양생에 사용되는 거푸집은 크게 나무로 된 목형 거푸집과 철판으로 된 금속형 거푸집으로 나눌 수 있는 바,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도면으로서, 목형 거푸집에 사용되는 안전 작업대의 프레임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도면으로서, 금속형 거푸집에 사용되는 안전 작업대의 프레임이 도시된 도면이다.
먼저, 도 3과 도 4를 참고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목형 거푸집(50)은 나무판의 외면에 격자형으로 된 보강재(51)가 설치되어 있고, 이 보강재(51)에 본 고안에 따른 안전 작업대(60)의 프레임(61)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안전 작업대(60)의 프레임(61)은 아연재의 금속으로 된 사다리 모양으로 수직봉(62a)(63a)과 수평봉(62b)(63a)이 상호 결합되어 상기 거푸집(50)의 외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고, 양쪽의 수평봉(62b)(63b)에 발판(65)을 설치하여 그 위에서 사람이 작업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프레임(61)은 상기 거푸집(50)의 외벽에 직접 고정되어 거푸집의 볼트(52) 체결 작업이나 콘크리트 타설 작업등이 실시될 수 있도록 하는 상틀(62)과, 상기 상틀(62)의 하측에 'T'형 이음 부재(73)와 볼트(70) 및 너트를 통해 고정 연결되어 콘크리트 양생된 외벽에 나있는 볼트 구멍(52')을 메우고, 미장 작업등이 실시 될 수 있도록 하는 하틀(63)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61)에는 거푸집(50)의 외측면에 두 개 이상이 수직으로 세워져 상기 발판(65)이 설치되는 동시에 이 발판(65)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수평 방향으로 작업자가 추락하지 않도록 안전봉(66)이 설치되는 바, 상기 안전봉(66)은 상틀(62)과 하틀(63)의 수직봉(62a)(63a)에 한쪽이 상대적으로 긴 'U'자형 고정구(67)에 삽입되어 반대편에서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고정된다.
특히, 상기 상틀(62) 및 하틀(63)은 그 수직봉(62a)(63a) 및 수평봉(62b) (63b)이 상호 용접되는 방식으로 결합되지 않고, 'T'형 이음 부재(73)나 'L'형 이음 부재(72)로 맞대어져 볼트(70) 등으로 상호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T'형 이음 부재(73)는 도 4에서와 같이 두 개가 한 쌍을 이루며, 상틀(62)의 하측 위치에서 수직봉(62a)과 수평봉(62b)을 상호 결합시키는 동시에 하틀(63)과도 볼트(70)를 체결하여 상호 연결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L'형 이음 부재(72)는 상기 'T'형 이음 부재(73)가 적용되지 않은 부분에 사용되면서 상틀(62) 및 하틀(63)의 수직봉(62a)(63a)과 수평봉(62b)(63b)을 결합시키도록 되어 있고, 한 쌍이 연결부(72a)를 통해 상호 연결되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상틀(62)은 상측에 위치되는 자신의 수평봉(62b)에 상기 거푸집(50)의 상단에 걸리도록 걸이 부재(71)가 설치되고, 상기 걸이부재(71)는 거푸집(50)의 두께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긴 구멍(71a)이 형성되어 볼트 및 너트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틀(62)의 수직봉(62a) 상에는 판형의 고정 부재(75)가 설치되어 있는데, 거푸집(50)의 격자형 보강재(51)에 못 등을 이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상틀(62)의 하측 부분이 거푸집(50)의 외측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하틀(63)은 하측에 위치되는 자신의 수평봉(63b)에 콘크리트가 양생된 벽면에 지지되도록 지지 부재(74)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 부재(74)는 벽면과의 유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긴 구멍(74a)이 형성되어 볼트 및 너트로 고정되어 있다.
다음,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면, 금속형 거푸집(50')은 아연판의 외면에 격자형으로 된 보강재(51')가 설치되어 있고, 이 보강재(51')에 본 고안에 따른 안전 작업대(60')의 프레임(61')이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61')은 아연으로 된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프레임(61)과 하틀(63')은 동일하나 상틀(62')은 하나의 수직봉(62a')에 다수의 수평봉(62b')이 결합되어 이 수평봉(62b')의 끝단이 바로 거푸집(590')의 보강재(51')에 볼트 및 너트로 조립되어 고정된다.
즉, 상기 프레임(61')의 상틀(62')은 하나의 수직봉(62a')에 3개의 수평봉(62b')이 일정 간격으로 'L'형 이음 부재(72') 및 'T'형 이음 부재(73')로 상호 고정되어 있고, 수평봉(62b')의 끝단에는 도 6에서와 같이 거푸집(50')의 보강재(51')에 끼워져 볼트로 조립되도록 구멍(h)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상틀(62')의 하측에는 'T'형 이음 부재(73')가 설치되어 수직봉(62a')과 수평봉(62b')을 상호 결합시키는 동시에 하틀(63')과도 볼트를 체결하여 상호 연결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고, 하측 수평봉(62b')의 끝단에는 하틀(63)과 연결되도록 'ㄷ'자형 이음 부재(7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 작업대의 프레임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안전 작업대의 프레임(61)은 긴 수직봉(62a)(63a)에 수평봉(62b)(63b)을 일정 간격으로 위치시켜 놓고, 'L'형 이음 부재(72)나 'T'형 이음 부재(73)를 맞대고 볼트 및 너트를 체결하여 상호 고정하여 상틀(62) 및 하틀(63)의 구조물을 각각 완성한다.
상기와 같은 완성된 프레임(61)의 상틀(62)을 거푸집(50)의 외측에 두 개 이상 설치한 다음, 상틀(62)의 수평봉(62b)과 수평봉(62b) 사이에 발판(65)을 설치한다.
여기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경우는 거푸집(50)이 목형이므로 거푸집(50)의 상단에 상틀(62)의 걸이 부재(71)를 걸고, 길이를 조절한 다음 볼트 및 너트를 조여 고정하고, 하측은 고정 부재(75)를 거푸집(50)의 보강재(51)에 못 등을 박아 고정시킨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경우는 거푸집(50')이 금속재이므로 보강재(51') 사이에 수평봉(62b')의 끝단을 삽입시켜 볼트 및 너트를 조립하여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거푸집(50)에 안전 작업대의 상틀(62)이 고정되면 두 개의 거푸집(50)을 고정하는 볼트(52) 조립 작업외에 콘크리트 타설 작업, 볼트 해체 작업등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거푸집(50) 사이에서 콘크리트를 양생하여 외벽이 세워지면, 거푸집(50)을 고정하고 있는 볼트(52) 및 너트를 해체한 뒤 거푸집(50)을 분리하고, 위쪽으로 거푸집(50)을 이동시켜 상기한 작업을 반복하면서 계속해서 구조물을 세우게 된다.
이렇게 구조물의 외벽을 높이게 되면 거푸집(50)을 분리한 콘크리트 외벽에 볼트 구멍(52')이 그대로 형성되어 있고, 외벽의 표면도 거칠게 되어 있으므로 미장을 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거푸집(50)에 고정된 상틀(62)의 하측에 하틀(63)을 연결하고, 발판(65)을 설치하여 볼트 구멍(52')을 메우는 작업과 미장 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안전봉(66)은 'U'자형 고정구(67)를 이용하여 고정되어 있으므로 설치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분해 작업도 쉬워지고, 특히 용접하지 않으므로 쉽게 균열되지 않아 안전성이 좋아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고안의 안전 작업대의 프레임은 이음 부재를 통해 수직봉 및 수평봉이 상호 조립,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대의 설치 및 분해 작업이 용이해지고, 특히 연결부에 균열이 발생하지 않아 안전성이 향상되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본 고안의 안전 작업대의 프레임은 수평봉 및 수직봉이 아연재로 된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쉽게 녹슬지 않아 프레임의 수명이 길어지는 이점도 제공하게 된다.

Claims (3)

  1. 사다리 모양으로 수직봉과 수평봉이 상호 결합되어 거푸집의 외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고, 양쪽의 수평봉에 발판을 설치하여 작업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안전 작업대의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거푸집의 외벽에 고정되는 상틀과, 상기 상틀의 하측에 연결 부재 및 체결 수단을 통해 결합되는 하틀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틀 및 하틀은 그 수직봉 및 수평봉이 'T'형 이음 부재나 'L'형 이음 부재 중 어느 하나로 맞대어져 체결 수단으로 상호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작업대의 프레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틀은 상측에 위치되는 자신의 수평봉에 상기 거푸집의 상단에 걸리도록 걸이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걸이부재는 거푸집의 두께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긴 구멍이 형성되어 체결 수단으로 고정되며;
    상기 하틀은 하측에 위치되는 자신의 수평봉에 벽면에 지지되도록 지지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 부재는 벽면과의 유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긴 구멍이 형성되어 체결 수단으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작업대의 프레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작업대의 프레임에는 거푸집과 벽면에 두 개 이상이 수직으로 세워지고, 수평 방향으로 작업자가 추락하지 않도록 안전봉이 설치되되;
    상기 안전봉은 상틀과 하측의 수직봉에 한쪽이 상대적으로 긴 'U'자형 고정구 및 너트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작업대의 프레임.
KR2019980014252U 1998-07-30 1998-07-30 안전 작업대의 프레임 KR2002135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4252U KR200213539Y1 (ko) 1998-07-30 1998-07-30 안전 작업대의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4252U KR200213539Y1 (ko) 1998-07-30 1998-07-30 안전 작업대의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3913U KR20000003913U (ko) 2000-02-25
KR200213539Y1 true KR200213539Y1 (ko) 2001-03-02

Family

ID=69519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4252U KR200213539Y1 (ko) 1998-07-30 1998-07-30 안전 작업대의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353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346B1 (ko) 2007-02-14 2007-09-14 주식회사 거성산업 거푸집용 조립식 작업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619B1 (ko) * 2000-04-10 2003-11-21 주식회사 나우동인건축사사무소 슬라이드갱폼
KR100433150B1 (ko) * 2001-05-31 2004-05-31 주식회사 형제케이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갱폼의 작업대 조립구조
KR101314862B1 (ko) * 2012-08-10 2013-10-04 해강산업주식회사 거푸집장치
KR102283268B1 (ko) * 2020-06-02 2021-07-29 구동호 갱폼의 작업대 조립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346B1 (ko) 2007-02-14 2007-09-14 주식회사 거성산업 거푸집용 조립식 작업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3913U (ko) 2000-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11889A2 (en) Form panel
US5207931A (en) Brace for concrete form
KR101941942B1 (ko) 교량의 캔틸레버 슬래브와 방호벽 시공을 위한 일체형 거푸집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캔틸레버 슬래브와 방호벽 시공방법
KR200213539Y1 (ko) 안전 작업대의 프레임
KR100373783B1 (ko) 피시빔교용 가설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피시빔교 가설방법
JP2913436B2 (ja) 移動式型枠工法とその工法に用いる装置
KR100812248B1 (ko) 선 조립철근 배근구조
JP6910101B1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用型枠装置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型枠工法
JP3945668B2 (ja) コンクリート橋脚の構築方法
JP3386785B2 (ja) 橋梁構造物における足場支持装置及び足場装置
JP2931761B2 (ja) 外壁材取付用固定装置及び同固定装置を用いた中・高層建築物の積層工法
KR100433150B1 (ko) 건축용 갱폼의 작업대 조립구조
JP3830934B2 (ja) コンクリート打設用仮設足場
JP2003056186A5 (ko)
JP4067091B2 (ja) 型枠用残存多孔枠、コンクリート躯体およびコンクリート躯体の施工方法
CN218893957U (zh) 一种钢梁对接临时支撑固定装置
KR20040028221A (ko) 피.에스.씨-빔 교량의 상판 슬래브 지지용 가시설 구조물
KR200307607Y1 (ko) 거푸집공사의 슬래브 양생용 가설재 설치구조
JPH0115799Y2 (ko)
JP3104755B2 (ja) バルコニー等の張り出し部分の先行構築工法及び構築具
JPH0254065A (ja) リブ付きスラブの施工法及びリブ補強筋用スペーサー
KR20100057991A (ko) 슬래브 거푸집 조립체 및 슬래브 시공 방법
JP3102734U (ja) ゴンドラ式仮設足場
JPS6322269Y2 (ko)
JPS613317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