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3268B1 - 갱폼의 작업대 조립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갱폼의 작업대 조립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3268B1
KR102283268B1 KR1020200066492A KR20200066492A KR102283268B1 KR 102283268 B1 KR102283268 B1 KR 102283268B1 KR 1020200066492 A KR1020200066492 A KR 1020200066492A KR 20200066492 A KR20200066492 A KR 20200066492A KR 102283268 B1 KR102283268 B1 KR 102283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bench
horizontal
vertical
worktable
horizontal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6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동호
Original Assignee
구동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동호 filed Critical 구동호
Priority to KR1020200066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32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3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32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upported by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 E04G5/141Railings with an access door or the like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4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with coupling elements using positive engagement, e.g. hooks or 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향된 상태로 배치된 상부 수직부와, 상기 상부 수직부의 대향면에 발판이 고정되도록 배치된 상부 수평부를 포함하는 상부 작업대; 상기 상부 작업대의 하부에 연결되며, 대향된 상태로 배치된 하부 수직부와, 상기 하부 수직부의 대향면에 발판이 고정되도록 배치된 하부 수평부를 포함하는 하부 작업대; 상기 상부 수직부와 상기 상부 수평부의 연결 지점마다 연결되는 제1 연결부; 상기 하부 수직부와 상기 하부 수평부의 연결 지점마다 연결되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상부 작업대의 최하측 상부 수평부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 작업대를 갱폼에 선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하부 작업대를 상기 상부 작업대에 체결시키기 위해 상기 하부 작업대의 최상측에 위치된 상기 하부 수평부를 결합시키는 걸림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 수직부와 상부 수평부가 만나는 부위를 제1 연결부로 연결한 상부 작업대와, 하부 수직부와 하부 수평부가 만나는 부위를 제2 연결부로 연결한 하부 작업대가 각각 조립식으로 구비되어 현장서 조립 가능하고, 재사용이 가능하며, 운반비(물류비)가 감소되는 이점과, 상부 작업대를 갱폼에 선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부 작업대의 하부에 구비된 걸림부에 하부 작업대의 최상측에 위치된 하부 수평부를 결합시킨 후 하부 수평부를 상부 작업대에 체결시켜 용이하게 작업대 조립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갱폼의 작업대 조립방법 및 그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WORKTABLE OF GANG FORM}
본 발명은 갱폼의 작업대 조립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갱폼의 작업대를 조립식으로 구비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 콘크리트 건물을 신축하기 위해서는 철근을 배근하여 골격을 형성하고, 상기 골격의 외측에 다수의 거푸집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일정기간 동안 양생시킴으로서 건물의 골조를 시공한다.
이와 같은 거푸집은 다수개의 목재 패널로 이루어져 있어 제작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양생이 끝나고 거푸집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대부분이 파손되어 재사용이 불가능하였고, 철근의 배근공사 및 건물 외장공사를 위해 별도의 비계를 설치하고, 이는 한번 사용하고 난 후에는 재활용이 불가능하였다.
그래서, 최근에는 콘크리트 타설시 건물의 외측으로 설치되는 대형 거푸집, 소위 갱폼 케이지(gang form cage)가 개발되어 고층건물을 신축하는데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갱폼 케이지는 콘크리트 타설면을 제공하는 갱폼 및 상기 갱폼에 연결되어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작업대로 이루어진다.
갱폼 케이지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하부층을 시작으로 상부층의 외부 벽체를 순차적으로 시공할 수 있도록 타워 크레인에 의해 일정 높이로 옮겨지면서 각 층과 대응하는 외벽부 지점에 임시 고정(체결 볼트)되는 방식으로 셋팅된다.
이러한, 갱폼 케이지와 관련된 기술이 한국등록특허 제1641340호에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상부 작업대와 하부 작업대 각각이 서로 용접에 의해 접합되므로 공장에서 조립되고, 재사용이 불가하며, 운반비(물류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641340호(2016.07.1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상부 작업대와 하부 작업대 각각이 브래킷인 제1, 2 연결부에 의해 조립방식으로 제작 가능한 갱폼의 작업대 조립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갱폼의 작업대 조립장치는, 대향된 상태로 배치된 상부 수직부와, 상기 상부 수직부의 대향면에 발판이 고정되도록 배치된 상부 수평부를 포함하는 상부 작업대; 상기 상부 작업대의 하부에 연결되며, 대향된 상태로 배치된 하부 수직부와, 상기 하부 수직부의 대향면에 발판이 고정되도록 배치된 하부 수평부를 포함하는 하부 작업대; 상기 상부 수직부와 상기 상부 수평부의 연결 지점마다 연결되는 제1 연결부; 상기 하부 수직부와 상기 하부 수평부의 연결 지점마다 연결되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상부 작업대의 최하측 상부 수평부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 작업대를 갱폼에 선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하부 작업대를 상기 상부 작업대에 체결시키기 위해 상기 하부 작업대의 최상측에 위치된 상기 하부 수평부를 결합시키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수직부 및 상기 상부 수직부에 구비되어 핸드레일을 고정시키는 레일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일 연결부는 환봉을 "ㄷ"자 형상으로 절곡시킨 상태에서 단부에 형성된 나선에 너트 체결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갱폼의 작업대 조립방법은, 대향된 상태로 상부 수직부를 배치하고, 상기 상부 수직부의 대향면에 발판이 고정되도록 상부 수평부를 배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상부 수직부와 상기 상부 수평부의 연결 지점마다 제1 연결부를 통해 연결하는 제1 단계; 상기 상부 수직부 및 상부 수평부에 의해 조립된 상부 작업대의 하부에 하부 작업대의 상부를 가고정시킬 수 있도록 걸림부를 설치하는 제2 단계; 상기 하부 작업대의 조립을 위해 대향된 상태로 하부 수직부를 배치하고, 상기 하부 수직부의 대향면에 발판이 고정되도록 하부 수평부를 배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하부 수직부와 상기 하부 수평부의 연결 지점마다 제2 연결부를 통해 연결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상부 작업대를 갱폼에 선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에 상기 하부 작업대의 최상측에 위치된 상기 하부 수평부를 결합시킨 후 상기 하부 수평부를 상기 상부 작업대에 체결시키는 제4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계 및 상기 제3 단계 수행 후에, 상기 하부 수직부 및 상기 상부 수직부에 상, 하부 핸드레일을 볼트 및 너트 구조의 상, 하부 레일 연결부에 의해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갱폼의 작업대 조립장치는 대향된 상태로 배치된 상부 수직부(110)와, 상기 상부 수직부(110)의 대향면에 발판이 고정되도록 배치된 상부 수평부(120)를 포함하는 상부 작업대(100); 상기 상부 작업대(100)의 하부에 연결되며, 대향된 상태로 배치된 하부 수직부(210)와, 상기 하부 수직부(210)의 대향면에 발판이 고정되도록 배치된 하부 수평부(220)를 포함하는 하부 작업대(200); 상기 상부 수직부(110)와 상기 상부 수평부(120)가 상부 작업대(100)의 상하 양 끝단에서 각각 연결되는 지점을 연결하는 제1-1연결부(130); 및 상기 상부 작업대(100)의 최하측 상부 수평부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 작업대(100)를 갱폼에 선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하부 작업대(200)를 상기 상부 작업대(100)에 체결시키기 위해 상기 하부 작업대(200)의 최상측에 위치된 상기 하부 수평부를 결합시키는 걸림부(170);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170)는 최상측에 위치된 하부 수평부(220)를 측면방향에서 결합시킬 수 있도록 측면이 개방된 "ㄷ"자 형상이며, 그 내부의 세로폭은 하부 작업대(200)의 최상측에 위치된 하부 수평부(220)의 세로폭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170)에 걸려 고정된 하부 수평부(220)는 상기 걸림부(170)에 면접촉되어 걸림고정되며, 상기 제1-1연결부(130)는 한 개의 판 형상으로 형성된 측면지지부(1301)와 상기 측면지지부(1301)로부터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어 상부 수평부(120)의 상하면을 지지할 수 있는 제1-1 절곡부재(134)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1 절곡부재(134)의 끝단은 수평방향으로 개방노출된 상태이며, 상기 걸림부(170)는 수직부재; 상기 수직부재의 상부 끝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상부 수평부재; 및 상기 수직부재의 하부 끝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된 하부 수평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수평부재의 길이는 상기 상부 수평부재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 수평부재 및 하부 수평부재의 각 끝단에는 탄성지지체에 의하여 탄성지지되며 양단에 경사면을 갖는 가압고정부가 형성되고, 하부 수평부(220)가 상기 수직부재와 접촉될 때까지 삽입되면, 하부 수평부(220)의 가로방향 끝단이 상부 수평부재의 끝단에 형성된 가압고정부에 의하여 완전히 밀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 수직부와 상부 수평부가 만나는 부위를 제1 연결부로 연결한 상부 작업대와, 하부 수직부와 하부 수평부가 만나는 부위를 제2 연결부로 연결한 하부 작업대가 각각 조립식으로 구비되어 현장서 조립 가능하고, 재사용이 가능하며, 운반비(물류비)가 감소되는 이점과, 상부 작업대를 갱폼에 선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부 작업대의 하부에 구비된 걸림부에 하부 작업대의 최상측에 위치된 하부 수평부를 결합시킨 후 하부 수평부를 상부 작업대에 체결시켜 용이하게 작업대 조립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갱폼의 작업대 조립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갱폼의 작업대 조립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갱폼의 작업대 조립장치에서 제1-1 및 제1-2 연결부재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갱폼의 작업대 조립장치에서 제2-1 및 제2-2 연결부재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갱폼의 작업대 조립장치에서 상부 작업대에 하부 작업대를 걸림부재에 의해 연결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갱폼의 작업대 조립장치에서 걸림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갱폼의 작업대 조립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갱폼의 작업대 조립방법 및 그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갱폼의 작업대 조립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갱폼의 작업대 조립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갱폼의 작업대 조립장치에서 제1-1 및 제1-2 연결부재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갱폼의 작업대 조립장치에서 제2-1 및 제2-2 연결부재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갱폼의 작업대 조립장치에서 상부 작업대에 하부 작업대를 걸림부재에 의해 연결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갱폼의 작업대 조립장치에서 걸림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갱폼의 작업대 조립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갱폼의 작업대 조립장치(10)는 거푸집인 갱폼(G)의 설치 및 해체 작업용으로 상부에 있는 상부 작업대(100)와, 외부벽체(W)의 미장 및 견출 작업용으로 상부 작업대(100)의 하부에 연결되는 하부 작업대(200)로 구성된다.
상부 작업대(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수직부(110), 상부 수평부(120), 제1-1 연결부(130), 제1-2 연결부(140), 상부 핸드레일(150), 상부 레일 연결부(160) 및 걸림부(170)를 포함한다.
상부 수직부(110)는 갱폼(G)과 평행하도록 직립된 복수개로 설치되는 수직 프레임이다.
상부 수평부(120)는 상부 수직부(110)의 내벽면 및 상부 수직부(110)들의 대향면 상하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 프레임이다.
제1-1 연결부(130)는 상부 수직부(110)와 상부 수평부(120)의 연결 지점 상하단에 각각 연결되는 연결 브래킷이다.
이때, 제1-1 연결부(130)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부 수직부(110)에 볼트(B) 체결되도록 복수의 제1-1 종 체결공(132a)이 종방향으로 형성되고, 상부 수평부(120)에 볼트(B) 체결되도록 복수의 제1-1 횡 체결공(132b)이 횡방향으로 형성되며, 상부 수직부(110)와 상부 수평부(120)에 밀착되도록 단부에 제1-1 절곡부재(134)가 절곡 형성된다.
제1-2 연결부(140)는 상부 수직부(110)와 상부 수평부(120)의 연결 지점 상하단 사이에 각각 연결되는 연결 브래킷이다.
여기서, 제1-2 연결부(140)는 직삼각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부 수직부(110)에 볼트(B) 체결되도록 복수의 제1-2 종 체결공(142a)이 종방향으로 형성되고, 상부 수평부(120)에 볼트(B) 체결되도록 복수의 제1-3 횡 체결공(142b)이 횡방향으로 형성되고, 상부 수직부(110)의 외벽면에 밀착되도록 일단부에 제1-2 절곡부재(144a)가 절곡 형성되며, 상부 수평부(120)에 외벽면에 밀착되도록 타단부에 제1-3 절곡부재(144b)가 절곡 형성된다.
이때, 제1-3 절곡부재(144b)는 상부 수직부(110)가 위치되도록 상부 수직부(110)의 너비만큼 제1-2 절곡부재(144a)와 간격이 형성된다.
상부 핸드레일(150)은 상부 수직부(110)에 횡방향으로 다수 설치되어, 작업자가 추락하지 않도록 하는 난간대이다.
상부 레일 연결부(160)는 상부 핸드레일(150)을 상부 수직부(110)에 고정시키며, 상부 핸드레일(150)이 내부에 위치되도록 환봉을 "ㄷ"자 형상으로 절곡시킨 상태에서 단부에 나선(164)을 형성하고, 상부 수직부(110)를 관통한 나선(164)에 체결되는 너트(166)를 포함한다.
걸림부(17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상부 작업대(100)의 최하측 상부 수평부재(120) 저면에 일체 또는 분할된 상태로 구비되어, 상부 작업대(100)를 갱폼(G)에 선 고정시킨 상태에서 하부 작업대(200)를 상부 작업대(100)의 하부에 체결시키기 위해 하부 작업대(200)의 최상측에 위치된 하부 수평부(220)를 결합시킨다.
따라서, 걸림부(170)에 의해 하부 작업대(200)의 최상측에 위치된 하부 수평부(220)를 가고정한 상태에서 볼트 등으로 상부 작업대(100)와 연결시키므로 기존 방식에서와 같이 하부 수직부(210)를 계속 하부에서 안정적으로 받치고 있어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 가능하다.
이때, 걸림부(170)의 다른 실시예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부에 상단에 연결된 상부 수평부의 길이가 수직부의 하단에 연결된 하부 수평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 상태에서, 하부 수평부의 단부와 상부 수평부의 단부와 제1, 2 홈(172a, 172b)이 각각 형성되고, 제1, 2 홈(172a, 172b) 내에 산형 형상을 갖는 제1, 2 가압부(174a, 174b)가 제1, 2 탄성부(176a, 176b)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따라서, 하부 작업대(200)가 상부 작업대(100)의 걸림부(170)에 진입하는 경우 하부 작업대(200)의 최상측에 위치된 하부 수평부(220)가 하부 수평부에 먼저 안착되어 하부 작업대(200)가 걸림부(170)에서 이탈됨을 방지하면서 하부 수평부(220)의 저면 모서리 부분이 제1 가압부(174a)를 가압한 상태로 먼저 진입하고, 하부 수평부(220)의 상면 모서리 부분이 제2 가압부(174b)를 가압한 상태로 그 후에 진입하며, 하부 수평부(220)가 제1, 2 가압부(174a, 174b)에서 이격되면 제1, 2 탄성부(176a, 176b)의 탄성력에 의해 제1, 2 가압부(174a, 174b)를 원위치시켜 하부 작업대(200)의 분리를 방지하게 된다.
하부 작업대(200)는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수직부(210), 하부 수평부(220), 제2-1 연결부(230), 제2-2 연결부(240), 하부 핸드레일(250) 및 하부 레일 연결부(260)를 포함한다.
하부 수직부(210)는 외부벽체(W)와 평행하도록 직립된 복수개로 설치되는 수직 프레임이다.
하부 수평부(220)는 하부 수직부(210)들의 대향면 상하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 프레임이다.
제2-1 연결부(230)는 하부 수직부(210)와 하부 수평부(220)의 연결 지점 상하단에 각각 연결되는 연결 브래킷이다.
이때, 제2-1 연결부(230)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부 수직부(210)에 볼트(B) 체결되도록 복수의 제2-1 종 체결공(232a)이 종방향으로 형성되고, 하부 수평부(220)에 볼트(B) 체결되도록 복수의 제2-1 횡 체결공(232b)이 횡방향으로 형성되며, 하부 수직부(210)와 하부 수평부(220)에 밀착되도록 단부에 제2-1 절곡부재(234)가 절곡 형성된다.
제2-2 연결부(240)는 하부 수직부(210)와 하부 수평부(220)의 연결 지점 상하단 사이에 각각 연결되는 연결 브래킷이다.
여기서, 제2-2 연결부(240)는 직삼각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부 수직부(210)에 볼트(B) 체결되도록 복수의 제2-2 종 체결공(242a)이 종방향으로 형성되고, 하부 수평부(220)에 볼트(B) 체결되도록 복수의 제2-3 횡 체결공(242b)이 횡방향으로 형성되고, 하부 수직부(210)의 외벽면에 밀착되도록 일단부에 제2-2 절곡부재(244a)가 절곡 형성되며, 하부 수평부(220)에 외벽면에 밀착되도록 타단부에 제2-3 절곡부재(244b)가 절곡 형성된다.
이때, 제2-3 절곡부재(244b)는 하부 수직부(210)가 위치되도록 하부 수직부(210)의 너비만큼 제2-2 절곡부재(244a)와 간격이 형성된다.
하부 핸드레일(250)은 일측 하부 수직부(210)에 횡방향으로 다수 설치되어, 작업자가 추락하지 않도록 하는 난간대이다.
하부 레일 연결부(260)는 하부 핸드레일(250)을 하부 수직부(210)에 고정시키며, 하부 핸드레일(250)이 내부에 위치되도록 환봉을 "ㄷ"자 형상으로 절곡시킨 상태에서 단부에 나선(264)을 형성하고, 하부 수직부(210)를 관통한 나선(264)에 체결되는 너트(266)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갱폼의 작업대 조립방법은, 상부 수직부 및 상부 수평부 배치 단계(S100), 제1 연결부에 의한 상부 수직부 및 상부 수평부 연결 단계(S200), 걸림부 고정 단계(S300), 상부 핸드레일 설치 단계(S400), 하부 수직부 및 하부 수평부 배치 단계(S500), 제2 연결부에 의한 하부 수직부 및 하부 수평부 연결 단계(S600), 하부 핸드레일 설치 단계(S700) 및 상, 하부 작업대 조립 단계(S800)를 포함한다.
상부 수직부 및 상부 수평부 배치 단계(S100)는 일측 상부 수직부(110) 및 타측 상부 수직부(110)의 사이 그리고 일측 상부 수직부(110)의 단부에 설정 간격마다 상부 수평부(120)를 각각 배치하는 단계이다.
제1 연결부에 의한 상부 수직부 및 상부 수평부 연결 단계(S200)는 상부 수직부(110)와 상부 수평부(120)의 연결 지점 상하단에 제1-1 연결부(130) 및 제1-2 연결부(140)를 통해 상부 수직부(110)와 상부 수평부(120)가 틀 형태를 갖도록 연결하는 단계이다.
이때, 제1-1 연결부(130)는 상부 작업대(100)의 상하 모서리 부분마다 설치되고, 제1-2 연결부(140)는 상부 작업대(100)의 상하 모서리 부분을 제외한 연결 지점마다 설치된다.
이렇게, 제1-1 연결부(130)의 단부에 형성된 제1-1 절곡부재(134)를 상부 작업대(100)의 상하 모서리 부분에서의 상부 수직부(110)와 상부 수평부(120)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복수의 제1-1 종 체결공(132a)을 통해 상부 수직부(110)에 볼트(B) 체결되고, 복수의 제1-1 횡 체결공(132b)을 통해 상부 수평부(120)에 볼트(B) 체결된다.
그리고 제1-2 연결부(140)의 단부에 형성된 제1-2 절곡부재(144a)를 상부 수직부(110)의 외벽면에 밀착시키고, 제1-3 절곡부재(144b)를 상부 수평부(120)에 외벽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복수의 제1-2 종 체결공(142a)을 통해 상부 수직부(110)에 볼트(B) 체결되고, 복수의 제1-3 횡 체결공(142b)을 통해 상부 수평부(120)에 볼트(B) 체결된다.
걸림부 고정 단계(S300)는 상부 작업대(100)의 최하측 상부 수평부재(120) 저면에 걸림부(170)가 고정되는 단계이다.
상부 핸드레일 설치 단계(S400)는 상부 핸드레일(150)을 상부 레일 연결부(160)에 의해 상부 수직부(110)에 고정시키는 단계이다.
즉, 상부 핸드레일 설치 단계(S400)는 상부 레일 연결부(160)의 절곡된 안쪽에 상부 핸드레일(150)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부 수직부(110)에 관통시킨 후 나선(164)에 너트(166)를 체결시킨다.
하부 수직부 및 하부 수평부 배치 단계(S500)는 일측 하부 수직부(210) 및 타측 하부 수직부(210)에 설정 간격마다 하부 수평부(220)를 각각 배치하는 단계이다.
제2 연결부에 의한 하부 수직부 및 하부 수평부 연결 단계(S600)는 하부 수직부(210)와 하부 수평부(220)의 연결 지점 상하단에 제2-1 연결부(230) 및 제2-2 연결부(240)를 통해 하부 수직부(210)와 하부 수평부(220)가 틀 형태를 갖도록 연결하는 단계이다.
이때, 제2-1 연결부(230)는 하부 작업대(200)의 상하 모서리 부분마다 설치되고, 제2-2 연결부(240)는 하부 작업대(200)의 상하 모서리 부분을 제외한 연결 지점마다 설치된다.
이렇게, 제2-1 연결부(230)의 단부에 형성된 제2-1 절곡부재(234)를 하부 작업대(200)의 상하 모서리 부분에서의 하부 수직부(210)와 하부 수평부(220)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복수의 제2-1 종 체결공(232a)을 통해 하부 수직부(210)에 볼트(B) 체결되고, 복수의 제2-1 횡 체결공(232b)을 통해 하부 수평부(220)에 볼트(B) 체결된다.
그리고 제2-2 연결부(240)의 단부에 형성된 제2-2 절곡부재(244a)를 하부 수직부(210)의 외벽면에 밀착시키고, 제2-3 절곡부재(244b)를 하부 수평부(220)에 외벽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복수의 제2-2 종 체결공(242a)을 통해 하부 수직부(210)에 볼트(B) 체결되고, 복수의 제2-3 횡 체결공(242b)을 통해 하부 수평부(220)에 볼트(B) 체결된다.
하부 핸드레일 설치 단계(S700)는 하부 핸드레일(250)을 하부 레일 연결부(260)에 의해 하부 수직부(210)에 고정시키는 단계이다.
즉, 하부 핸드레일 설치 단계(S700)는 하부 레일 연결부(260)의 절곡된 안쪽에 하부 핸드레일(250)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하부 수직부(210)에 관통시킨 후 나선(264)에 너트(266)를 체결시킨다.
상, 하부 작업대 조립 단계(S800)는 상부 수직부(110) 및 상부 수평부(120)에 의해 조립된 상부 작업대(100)와, 하부 수직부(210) 및 하부 수평부(220)에 의해 조립된 하부 작업대(200)를 서로 조립하는 단계이다.
즉, 상, 하부 작업대 조립 단계(S800)는 갱폼(G)에 고정된 상부 작업대(100)의 하부에 구비된 걸림부(170)에 하부 작업대(200)의 최상측에 위치된 하부 수평부(220)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볼트 등으로 상부 작업대(100)의 최하측에 구비된 상부 수평부(120)와 하부 작업대(200)의 최상측에 구비된 하부 수평부(220)를 서로 연결하는 단계이다.
이렇게, 하부 작업대(200)를 상부 작업대(100)에 결합시킬 때 하부 작업대(200)가 걸림부(170)에 의해 상부 작업대(100)의 하부에 걸림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작업자가 하부 작업대(200)의 하부 수직부(210)를 받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갱폼의 작업대 조립장치 100: 상부 작업대
110: 상부 수직부 120: 상부 수평부
130: 제1-1 연결부 140: 제1-2 연결부
150: 상부 핸드레일 160: 상부 레일 연결부
170: 걸림부 200: 하부 작업대
210: 하부 수직부 220: 하부 수평부
230: 제2-1 연결부 240: 제2-2 연결부
250: 하부 핸드레일 260: 하부 레일 연결부
G: 갱폼 W: 외부벽체

Claims (4)

  1. 대향된 상태로 배치된 상부 수직부(110)와, 상기 상부 수직부(110)의 대향면에 발판이 고정되도록 배치된 상부 수평부(120)를 포함하는 상부 작업대(100);
    상기 상부 작업대(100)의 하부에 연결되며, 대향된 상태로 배치된 하부 수직부(210)와, 상기 하부 수직부(210)의 대향면에 발판이 고정되도록 배치된 하부 수평부(220)를 포함하는 하부 작업대(200);
    상기 상부 수직부(110)와 상기 상부 수평부(120)가 상부 작업대(100)의 상하 양 끝단에서 각각 연결되는 지점을 연결하는 제1-1연결부(130); 및
    상기 상부 작업대(100)의 최하측 상부 수평부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 작업대(100)를 갱폼에 선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하부 작업대(200)를 상기 상부 작업대(100)에 체결시키기 위해 상기 하부 작업대(200)의 최상측에 위치된 상기 하부 수평부를 결합시키는 걸림부(170);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170)는 최상측에 위치된 하부 수평부(220)를 측면방향에서 결합시킬 수 있도록 측면이 개방된 "ㄷ"자 형상이며, 그 내부의 세로폭은 하부 작업대(200)의 최상측에 위치된 하부 수평부(220)의 세로폭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170)에 걸려 고정된 하부 수평부(220)는 상기 걸림부(170)에 면접촉되어 걸림고정되며,
    상기 제1-1연결부(130)는 한 개의 판 형상으로 형성된 측면지지부(1301)와 상기 측면지지부(1301)로부터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어 상부 수평부(120)의 상하면을 지지할 수 있는 제1-1 절곡부재(134)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1 절곡부재(134)의 끝단은 수평방향으로 개방노출된 상태이며,
    상기 걸림부(170)는
    수직부재; 상기 수직부재의 상부 끝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상부 수평부재; 및 상기 수직부재의 하부 끝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된 하부 수평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수평부재의 길이는 상기 상부 수평부재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 수평부재 및 하부 수평부재의 각 끝단에는 탄성지지체에 의하여 탄성지지되며 양단에 경사면을 갖는 가압고정부가 형성되고,
    하부 수평부(220)가 상기 수직부재와 접촉될 때까지 삽입되면, 하부 수평부(220)의 가로방향 끝단이 상부 수평부재의 끝단에 형성된 가압고정부에 의하여 완전히 밀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의 작업대 조립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수직부 및 상기 상부 수직부에 구비되어 핸드레일을 고정시키는 레일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일 연결부는 환봉을 "ㄷ"자 형상으로 절곡시킨 상태에서 단부에 형성된 나선에 너트 체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의 작업대 조립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200066492A 2020-06-02 2020-06-02 갱폼의 작업대 조립방법 및 그 장치 KR102283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492A KR102283268B1 (ko) 2020-06-02 2020-06-02 갱폼의 작업대 조립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492A KR102283268B1 (ko) 2020-06-02 2020-06-02 갱폼의 작업대 조립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3268B1 true KR102283268B1 (ko) 2021-07-29

Family

ID=77127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6492A KR102283268B1 (ko) 2020-06-02 2020-06-02 갱폼의 작업대 조립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326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3913U (ko) * 1998-07-30 2000-02-25 이덕희 안전 작업대의 프레임
KR101641340B1 (ko) 2015-03-05 2016-07-20 서보산업 주식회사 상하부 작업대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갱폼 케이지
KR20170109973A (ko) * 2016-03-22 2017-10-10 삼목에스폼 주식회사 거치구가 구비된 갱폼의 하부 케이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3913U (ko) * 1998-07-30 2000-02-25 이덕희 안전 작업대의 프레임
KR101641340B1 (ko) 2015-03-05 2016-07-20 서보산업 주식회사 상하부 작업대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갱폼 케이지
KR20170109973A (ko) * 2016-03-22 2017-10-10 삼목에스폼 주식회사 거치구가 구비된 갱폼의 하부 케이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12969B (fi) Rakennuksen runko
US8640419B2 (en) Method of constructing prefabricated steel reinforced concrete (PSRC) column using angle steels and PSRC column using angle steels
US20130047539A1 (en) Building Structure
KR101289048B1 (ko) 가설벤트를 이용한 조립식 고하중 안전계단
US7775500B1 (en) Concrete forming system with interacting brackets connecting stacked form panels
KR20100123012A (ko) 건축용 비계
KR102283268B1 (ko) 갱폼의 작업대 조립방법 및 그 장치
JP6590512B2 (ja) 階段仮設足場
KR102102214B1 (ko) 보 테이블폼 안전난간대
KR100676193B1 (ko) 철골 계단 구조
JP5756000B2 (ja) 螺旋階段の取付構造
JPH0593448A (ja) 標準化したステツプモジユール
KR102296982B1 (ko)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를 이용한 트랜스퍼층 시공방법
JP2002167901A (ja) トラス梁とその構築方法
JP5180499B2 (ja) 床付き布枠及び枠組足場
JP5322216B2 (ja) 鉄骨鉄筋コンクリート造の躯体施工法
KR100452977B1 (ko) 슬림플로어 공법을 위한 철근콘크리트보와 바닥판의 결합구조 및 시공방법
KR100653226B1 (ko) 슬래브 거푸집용 가설빔
KR200146508Y1 (ko) 건축용 갱폼의 작업용 발판
KR102397960B1 (ko)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슬래브용 패널 및 그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한 슬래브용 패널의 제작방법
JPH0755237Y2 (ja) 開口部用安全手摺り装置
JP7278131B2 (ja) 外壁パネル取り付け方法
CN217439479U (zh) 一种可移动立柱脚手架
KR20220061609A (ko) 갱폼의 작업대 및 그 제조방법
KR100683506B1 (ko) 계단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