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6982B1 -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를 이용한 트랜스퍼층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를 이용한 트랜스퍼층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6982B1
KR102296982B1 KR1020190080498A KR20190080498A KR102296982B1 KR 102296982 B1 KR102296982 B1 KR 102296982B1 KR 1020190080498 A KR1020190080498 A KR 1020190080498A KR 20190080498 A KR20190080498 A KR 20190080498A KR 102296982 B1 KR102296982 B1 KR 102296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olgolbo
transfer
transfer beam
pouring
form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0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4289A (ko
Inventor
김성배
이원록
유중모
Original Assignee
(주)더나은구조엔지니어링
(주)엔아이스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더나은구조엔지니어링, (주)엔아이스틸 filed Critical (주)더나은구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90080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6982B1/ko
Publication of KR20210004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4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6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69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5Extraordinary methods of construction, e.g. lift-slab, jack-block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4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lintels, beams, or transoms to be encased separately;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랜스퍼층 시공을 위하여 철골보를 설치하고 철골보의 상부에 트랜스퍼보를 분리타설하여 시공하도록 하여, 철골보는 트랜스퍼보와 상부 슬래브 타설시까지 시공하중을 지지하도록 하고, 트랜스퍼보가 영구하중을 지지하도록 하는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 이용한 트랜스퍼층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a) 트랜스퍼보 하부층 슬래브를 타설하는 단계; (b) 트랜스퍼보 하부층 슬래브의 상부에 철골 기둥을 세우는 단계; (c) 철골 기둥에 지상층 철골을 조립하는 단계; (d) 철골 기둥의 상단부에 U형 단면을 갖는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를 설치하고,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와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를 연결하는 가설작업용 철골보를 설치하는 단계; (e) 지상층 바닥 및 기둥 시공하는 단계; (f)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g)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 및 가설작업용 철골보의 상부에 각각 거푸집 을 설치하는 단계; (h)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 상부의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트랜스퍼보를 형성하고, 트랜스퍼보의 상부에 상부 슬래브를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를 이용한 트랜스퍼층 시공방법{Transfer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U-shaped Steel Girder}
본 발명은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를 이용한 트랜스퍼층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트랜스퍼층 시공을 위하여 철골보를 설치하고 철골보의 상부에 트랜스퍼보를 분리타설하여 시공하도록 하여, 철골보는 트랜스퍼보와 상부 슬래브 타설시까지 시공하중을 지지하도록 하고, 트랜스퍼보가 영구하중을 지지하도록 하는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를 이용한 트랜스퍼층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랜스퍼층 시공시에는 도 4에서와 같이, 트랜스퍼보 하부층 슬래브(81)의 상부에 서포트(82)를 설치하고, 지상층 슬래브(83)를 시공하고 다시 트랜스퍼보(84)와 트랜스퍼층 슬래브(85)를 시공하도록 하는 것으로, 트랜스퍼보(84) 및 트랜스퍼보 상부에 시공되는 슬래브(85)를 포함하여 모두 RC구조로 시공하는 일반적인 RC공법으로 시공함으로써, 트랜스퍼층 시공을 위하여 매우 많은 양의 서포트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RC공법으로 인하여 순차적인 시공으로 공사기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특허등록 제0544368호 "프리캐스트 트랜스퍼 거더 및 이를 이용하여 구조물을시공하는 방법"(특허문헌 1)이 있다.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일체로 형성된 전방부(1)와 후방부(2) 및 하부(3)로 형성되어 있는 몸체(a)와; 상기 몸체(a)의 상측과 양측부가 개방되어 있으면서 내측이 공간부로 형성된 콘크리트 충전부(b)와; 상기 몸체(a)의 전방부(1), 후방부(2) 및 하부(3)의 내부에 매설되어 있는 스터럽철근(6)과; 상기 전방부(1), 후방부(2) 및 하부(3)의 내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각각 매설된 수평철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프리캐스트 트랜스퍼 거더'를 제안한다.
상기 배경기술은 중간부위에 현장에서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공간부인 콘크리트 충전부(b)가 형성되도록 사전 제작한 트랜스퍼거더(A) 또는 트랜스퍼 거더의 하부만을 피씨부재로 사전 제작한 트랜스퍼거더(D)로 형성되어 트랜스퍼거더(A)(D)의 중량을 감소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트랜스퍼거더의 경우에는 일부만을 프리캐스트화 하였다고 하더라도 대형이기 때문에 양중장비 및 이송의 문제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등록 제0544368호 "프리캐스트 트랜스퍼 거더 및 이를 이용하여 구조물을시공하는 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트랜스퍼층 시공을 위하여 철골보를 설치하고 철골보의 상부에 트랜스퍼보를 분리타설하여 시공하도록 하여, 철골보는 트랜스퍼보와 상부 슬래브 타설시까지 시공하중을 지지하도록 하고, 트랜스퍼보가 영구하중을 지지하도록 하여, 트랜스퍼층 시공을 위한 서포트를 줄일 수 있으며,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를 이용한 트랜스퍼층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a) 트랜스퍼보 하부층 슬래브를 타설하는 단계; (b) 트랜스퍼보 하부층 슬래브의 상부에 철골 기둥을 세우는 단계; (c) 철골 기둥에 지상층 철골을 조립하는 단계; (d) 철골 기둥의 상단부에 U형 단면을 갖는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를 설치하고,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와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를 연결하는 가설작업용 철골보를 설치하는 단계; (e) 지상층 바닥 및 기둥 시공하는 단계; (f)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g)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 및 가설작업용 철골보의 상부에 각각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 (h)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 상부의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트랜스퍼보를 형성하고, 트랜스퍼보의 상부에 상부 슬래브를 시공하는 단계 및 가설작업용 철골보 및 거푸집을 해체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를 이용한 트랜스퍼층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삭제
또한, (d) 단계에서,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는, 수평방향의 바닥판과, 바닥판의 상부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일정거리 이격되어 평행하게 한 쌍이 구성되는 측면판과, 측면판의 상단부에서 각각 수평하게 형성되는 연결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를 이용한 트랜스퍼층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d) 단계에서, 측면판의 외측면에 결합 플레이트가 접합되며 결합 플레이트에 가설작업용 철골보를 체결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를 이용한 트랜스퍼층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d) 단계에서,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는 바닥판의 폭방향 양단부가 측면판의 외측으로 일정거리 더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결합 플레이트가 측면판의 외측으로 돌출된 바닥판에 거치되어 측면판의 외측면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를 이용한 트랜스퍼층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d) 단계에서,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는 연결판이 측면판의 외측으로 일정거리 돌출되도록 구성되며, 측면판의 외측으로 돌출된 연결판에 거푸집을 체결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를 이용한 트랜스퍼층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g) 단계에서, 거푸집의 하단부는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결합면이 형성되어, 결합면을 연결판에 볼트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를 이용한 트랜스퍼층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g) 단계에서, 마주보는 거푸집과 거푸집을 간격을 유지하며 연결하도록 복수의 거푸집용 타이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를 이용한 트랜스퍼층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를 이용한 트랜스퍼층 시공방법은 트랜스퍼층 시공을 위하여 철골보를 설치하고 철골보의 상부에 트랜스퍼보를 분리타설하여 시공하도록 하여, 철골보는 트랜스퍼보와 상부 슬래브 타설시까지 시공하중을 지지하도록 하고, 트랜스퍼보가 영구하중을 지지하도록 하여, 트랜스퍼층 시공을 위한 서포트를 줄일 수 있으며,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를 이용한 트랜스퍼층 시공방법을 시공순서대로 도시한 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e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트랜스퍼 타설용 철골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종래의 트랜스퍼층 시공방법을 도시한 도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트랜스퍼층 시공을 위하여 철골보를 설치하고 철골보의 상부에 트랜스퍼보를 분리타설하여 시공하도록 하여, 철골보는 트랜스퍼보와 상부 슬래브 타설시까지 시공하중을 지지하도록 하고, 트랜스퍼보가 영구하중을 지지하도록 하는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를 이용한 트랜스퍼층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를 이용한 트랜스퍼층 시공방법을 시공순서대로 도시한 도이다.
본 발명의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를 이용한 트랜스퍼층 시공방법은 먼저, 도 1a 및 도 1b에서와 같이, 트랜스퍼보 하부층 슬래브(10)를 타설하도록 하고(a), 트랜스퍼보 하부층 슬래브(10)의 상부에 철골 기둥(20)을 세우도록 한다(b).
트랜스퍼보 하부층 슬래브(10)에서 트랜스퍼층이 형성되는 높이까지 철골 기둥(20)을 세워 설치하도록 하며, 철골 기둥(20)의 단면형상, 규격 등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트랜스퍼층의 하부의 기둥(21)이 철골 철근 콘크리트 구조(SRC구조; steel framed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를 형성하기 위하여 트랜스퍼보 하부층 슬래브(10)의 상부에 철골 기둥(20)을 세우도록 한다.
이후, 철골 기둥(20)에 지상층 철골(30)을 조립하도록 한다(c).
지상층 철골(30)은 철골보로 구성되며, 각 층에 해당하는 높이에 지상층 철골(30)을 각각 설치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트랜스퍼층 하부의 기둥은 SRC구조로 시공되며, 트랜스퍼층 하부의 지상층 철골(30)은 철골보 및 철골 바닥구조의 철골구조로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일반적인 RC공법에 비하여 서포트 등의 설치를 줄일 수 있으면서도 시공방법이 간단하여 공기를 대폭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이후, 도 1c에서와 같이, 철골 기둥(20)의 상단부에 U형 단면을 갖는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40)를 설치하고,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40)와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40)를 연결하는 가설작업용 철골보(50)를 설치하도록 한다(d).
도 2는 상기 도 1e의 일부 확대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트랜스퍼 타설용 철골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40)는 U형 단면을 갖도록 이루어져, 내부에 콘크리트의 타설이 가능하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수평방향의 바닥판(41)과, 바닥판(41)의 상부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일정거리 이격되어 평행하게 한 쌍이 구성되는 측면판(42)과, 측면판(42)의 상단부에서 각각 수평하게 형성되는 연결판(43)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U형 단면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40)에서 바닥판(41)은 폭방향 양단부가 측면판(42)의 외측으로 일정거리 더 돌출되도록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측면판(42)의 접합이 용이하도록 하면서도, 가설작업용 철골보(50)의 접합시에 결합 플레이트(45)가 측면판(42)의 외측으로 돌출된 바닥판(41)에 거치되어 측면판(42)의 외측면에 접합되도록 하여, 접합이 용이하도록 하면서도 결합 플레이트(45)의 하부면이 지지되도록 함으로서 접합부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측면판(42)의 상부에 수평으로 구성되는 연결판(43)은 후술하는 단계에서의 거푸집(61)의 지지 및 체결을 위한 결합면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측면판(42)의 상단부에서 연결판(43)의 폭방향 중앙부가 접합될 수도 있으며, 연결판(43)이 측면판(42)의 내측으로 편향되게 구성되거나 외측으로 편향되게 접합될 수도 있다.
도 2에서와 같이,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40)는 연결판(43)이 측면판(42)의 외측으로 일정거리 돌출되도록 구성되도록 하면, 측면판(42)의 외측으로 돌출된 연결판(43)에 후술하는 단계에서 거푸집(61)을 체결하도록 함으로써, 거푸집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가설작업용 철골보(50)는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40)와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40)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데, H형강 등 공지의 다양한 부재를 이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트랜스퍼층 시공을 위하여 서포트를 설치할때, 서포트를 하층부 바닥 슬래브에서부터 설치를 하여야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가설작업용 철골보(50)를 미리 설치하여 가설작업용 철골보(50)의 상부에 서포트(52)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서포트의 사용량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으면서도, 상부 시공을 위한 작업대로 사용되어 안전사고 방지 및 추후 시설관리가 용이하여, 작업자가 트랜스퍼층의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공사기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가설작업용 철골보(50)는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40)에 공지의 다양한 방법으로 접합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플레이트(45)를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40)의 측면판(42)의 외측면에 접합하고, 결합 플래이트(45)에 가설작업용 철골보(50)의 단부를 볼트 접합 등의 방법으로 접합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도 1d에서와 같이, 지상층 바닥 및 기둥(21) 시공하도록 한다(e).
기둥(21)은 철골 기둥(20)의 주위를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시공하여 SRC구조를 갖도록 하며, 지상층 바닥은 지상층 철물(30)을 이용하여 철골구조로 시공하도록 하여, 기존 RC구조에 비하여 시공이 매우 용이하며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다.
이후, 도 1e에서와 같이,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40)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도록 한다(f).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40)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트랜스퍼보 시공을 위한 1차 타설을 한다. 이때, 콘크리트는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40)의 높이까지 타설하게 되는데, 콘크리트 상부면은 거친면 처리 등을 하도록 할 수 있으며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40)의 내부에 철근 등을 배근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도 1e에서와 같이,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40) 및 가설작업용 철골보(50)의 상부에 각각 거푸집(61)을 설치하도록 한다(g).
거푸집(61)은 합판 거푸집, 데크 플레이트 등 공지의 다양한 거푸집을 모두 이용할 수 있으며, 도 2에서와 같이, 연결판(43)에 후술하는 단계에서 거푸집(61)을 볼트 체결 등 공지의 다양한 방법으로 체결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도 2에서와 같이, 거푸집(61)에는 연결판(43)과의 결합을 위하여 하단부가 수평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결합면(611)이 형성되도록 하여 결합면(611)을 연결판(43)에 볼트 결합하도록 할 수 있으며, 거푸집(61)의 벌어짐을 방지하고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거푸집(61)과 거푸집(61)을 연결하도록 복수의 거푸집용 타이(64)가 구성될 수도 있다.
거푸집용 타이(64)는 공지의 다양한 제품을 사용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길이의 강봉을 한 쌍의 거푸집(61)을 관통시키고 별도의 너트로 체결하여 고정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단계에서, 합판 거푸집을 거푸집(61)으로 사용시에는 별도의 서포트(62)를 설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도 1f에서와 같이,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40) 상부의 거푸집(61)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트랜스퍼보(4)를 형성하고, 트랜스퍼보(40)의 상부에 상부 슬래브(70)를 시공하도록 한다(g).
이와 같이, 상기 (f) 단계에서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40)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1차 타설하여, 시공중 하중을 부담하도록 하고, 이후, 본 단계에서와 같이,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40) 상부의 거푸집(61)에 콘크리트를 2차 타설하여 트랜스퍼보(4)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부 슬래브(70)는 RC 슬래브나 또는 데크 슬래브 등 다양한 방법으로로 시공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h) 단계 이후에, 도 1g에서와 같이, 가설작업용 철골보(50), 거푸집(61)을 해체하는 단계가 추가되도록 하여, 거푸집(61) 뿐만 아니라 서포트(62)를 설치한 경우에는 서포트(62)와 가설작업에 사용되었던 가설작업용 철골보(50)를 해체하도록 하여 트랜스퍼층의 시공을 완료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를 이용한 트랜스퍼층 시공방법은 트랜스퍼층 시공을 위하여 철골보를 설치하고 철골보의 상부에 트랜스퍼보를 분리타설하여 시공하도록 하여, 철골보는 트랜스퍼보와 상부 슬래브 타설시까지 시공하중을 지지하도록 하고, 트랜스퍼보가 영구하중을 지지하도록 하여, 트랜스퍼층 시공을 위한 서포트를 줄일 수 있으며,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4 : 트랜스퍼보
10 : 트랜스퍼보 하부층 슬래브
20 : 철골 기둥
30 : 지상층 철골
40 :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
41 : 바닥판
42 : 측면판
43 : 연결판
50 : 가설작업용 철골보
61 : 거푸집
611 : 결합면
64 : 거푸집용 타이
62 : 서포트
70 : 상부 슬래브

Claims (8)

  1. (a) 트랜스퍼보 하부층 슬래브(10)를 타설하는 단계;
    (b) 트랜스퍼보 하부층 슬래브(10)의 상부에 철골 기둥(20)을 세우는 단계;
    (c) 철골 기둥(20)에 지상층 철골(30)을 조립하는 단계;
    (d) 철골 기둥(20)의 상단부에 U형 단면을 갖는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40)를 설치하고,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40)와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40)를 연결하는 가설작업용 철골보(50)를 설치하는 단계;
    (e) 지상층 바닥 및 기둥(21) 시공하는 단계;
    (f)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40)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g)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40) 및 가설작업용 철골보(50)의 상부에 각각 거푸집(61)을 설치하는 단계;
    (h)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40) 상부의 거푸집(61)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트랜스퍼보(4)를 형성하고, 트랜스퍼보(4)의 상부에 상부 슬래브(70)를 시공하는 단계; 및
    (i) 가설작업용 철골보(50) 및 거푸집(61)을 해체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를 이용한 트랜스퍼층 시공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d) 단계에서,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40)는, 수평방향의 바닥판(41)과, 바닥판(41)의 상부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일정거리 이격되어 평행하게 한 쌍이 구성되는 측면판(42)과, 측면판(42)의 상단부에서 각각 수평하게 형성되는 연결판(4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를 이용한 트랜스퍼층 시공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d) 단계에서,
    측면판(42)의 외측면에 결합 플레이트(45)가 접합되며 결합 플레이트(45)에 가설작업용 철골보(50)를 체결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를 이용한 트랜스퍼층 시공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d) 단계에서,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40)는 바닥판(41)의 폭방향 양단부가 측면판(42)의 외측으로 일정거리 더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결합 플레이트(45)가 측면판(42)의 외측으로 돌출된 바닥판(41)에 거치되어 측면판(42)의 외측면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를 이용한 트랜스퍼층 시공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d) 단계에서,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40)는 연결판(43)이 측면판(42)의 외측으로 일정거리 돌출되도록 구성되며,
    측면판(42)의 외측으로 돌출된 연결판(43)에 거푸집(61)을 체결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를 이용한 트랜스퍼층 시공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g) 단계에서,
    거푸집(61)의 하단부는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결합면(611)이 형성되어, 결합면(611)을 연결판(43)에 볼트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를 이용한 트랜스퍼층 시공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g) 단계에서,
    마주보는 거푸집(61)과 거푸집(61)을 간격을 유지하며 연결하도록 복수의 거푸집용 타이(64)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를 이용한 트랜스퍼층 시공방법.
KR1020190080498A 2019-07-04 2019-07-04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를 이용한 트랜스퍼층 시공방법 KR102296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498A KR102296982B1 (ko) 2019-07-04 2019-07-04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를 이용한 트랜스퍼층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498A KR102296982B1 (ko) 2019-07-04 2019-07-04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를 이용한 트랜스퍼층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4289A KR20210004289A (ko) 2021-01-13
KR102296982B1 true KR102296982B1 (ko) 2021-09-01

Family

ID=74142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0498A KR102296982B1 (ko) 2019-07-04 2019-07-04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를 이용한 트랜스퍼층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69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92389B (zh) * 2022-10-25 2023-12-19 中铁广州工程局集团有限公司 一种大截面超高转换梁施工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06563B2 (ja) * 2009-03-03 2014-02-05 株式会社竹中工務店 合成梁、建築物、及び合成梁の施工方法
KR101658648B1 (ko) * 2015-04-21 2016-09-22 (주)센벡스 보 관통형 기둥접합부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상하부 병행 구축 공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4368B1 (ko) 2004-01-16 2006-01-23 삼성물산 주식회사 프리캐스트 트랜스퍼 거더 및 이를 이용하여 구조물을시공하는 방법
KR20090007085A (ko) * 2007-07-13 2009-01-16 김범준 철근조립거푸집, 이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철근콘크리트공사방법
KR20160049928A (ko) * 2014-10-28 2016-05-10 이병희 가설 철골 기둥을 이용한 합성보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06563B2 (ja) * 2009-03-03 2014-02-05 株式会社竹中工務店 合成梁、建築物、及び合成梁の施工方法
KR101658648B1 (ko) * 2015-04-21 2016-09-22 (주)센벡스 보 관통형 기둥접합부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상하부 병행 구축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4289A (ko) 2021-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7052B1 (ko) 단부보강된 하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의 시공 방법
KR200417438Y1 (ko) 보 및 슬래브 구축을 위한 지지 브라켓
KR101658648B1 (ko) 보 관통형 기둥접합부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상하부 병행 구축 공법
KR101962853B1 (ko)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보와 기둥을 연결하는 공법
KR101011252B1 (ko) 부모멘트부 보강 라멘 구조물의 골조 및 이를 갖는 라멘 구조물
JP2010242390A (ja) 鉄骨ブレースを有する柱・梁の接合部の接合方法とその構造
KR200414349Y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연결구조
JP3333786B2 (ja) 橋脚のプレハブ工法及び橋脚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102296982B1 (ko)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를 이용한 트랜스퍼층 시공방법
KR101427208B1 (ko) 모듈러 거푸집이 구비된 선조립 골조
JP3737475B2 (ja) 箱桁橋構造およびその構築方法
JP3752999B2 (ja) 上下部一体構造の橋梁及びその施工方法
KR200450609Y1 (ko) 콘크리트 충전강관기둥용 브라켓 고정 장치
KR102429105B1 (ko) 응력흐름을 보강한 코핑부를 갖는 교각
KR101576215B1 (ko) 건축물 시공용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
KR101482523B1 (ko) 안전휀스 설치 구성을 가지는 조립식 노듈러 거더, 이를 이용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JP5872332B2 (ja) 建物の耐震補強方法
KR100837831B1 (ko) 지하구축용 무지보 역타설 시스템
KR20170139873A (ko) 보춤을 줄일 수 있는 기둥과 보의 이중 결합 구조
JP3878546B2 (ja) 横桁一体型コンクリート床版の施工方法
KR100557334B1 (ko) 무해체 계단 거푸집
KR102604117B1 (ko) 교량의 거더 지지부에서의 응력흐름을 보강한 거더 지지부 보강부재
JPH09111721A (ja) 橋脚の施工方法及び、橋脚の構造
JP2000160687A (ja) 混合構造の構築方法および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柱
KR100561081B1 (ko) 무해체 계단 거푸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