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7831B1 - 지하구축용 무지보 역타설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하구축용 무지보 역타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7831B1
KR100837831B1 KR1020070031195A KR20070031195A KR100837831B1 KR 100837831 B1 KR100837831 B1 KR 100837831B1 KR 1020070031195 A KR1020070031195 A KR 1020070031195A KR 20070031195 A KR20070031195 A KR 20070031195A KR 100837831 B1 KR100837831 B1 KR 100837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rod
support
formwork
suppor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1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무용
황기수
정영기
Original Assignee
박무용
황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무용, 황기수 filed Critical 박무용
Priority to KR1020070031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78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7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7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8Spacers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and spacing the reinforcements from th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50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4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lintels, beams, or transoms to be encased separately;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스팬 데크를 추가로 지지하는 보 거푸집의 데크받침구조체를 이용한 지하구축용 무지보 역타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 거푸집의 최하측에 배열된 장선들을 보 거푸집 양측방으로 길게 연장시켜 상기 장선들의 연장부위에 보 길이방향을 따라 장스팬 데크의 하부철판을 추가로 지지하는 데크받침구조체를 설치한 지하구축용 무지보 역타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지하구축용 무지보 역타설 시스템에 의하면, 장스팬 데크를 지지하기 위한 종래의 데크받침보 및 이 데크받침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거더를 삭제할 수 있게 되면서 철골물량을 크게 줄일 수 있고, 지지틀 시스템이 보다 단순화되면서 시공성 및 경제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지하구조물, 무지보, 역타, 보 거푸집, 데크받침구조체, 스페이서

Description

지하구축용 무지보 역타설 시스템{Underground downward construction system}
도 1과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지하구축용 역타설 시스템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종래의 지하구축용 무지보 역타설 시스템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3의 선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보 거푸집에 트러스데크를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구축용 무지보 역타설 시스템을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도 5의 선 'C-C'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7은 도 5의 선 'D-D'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의 가장 기본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9a ~ 9c는 도 8에 도시된 스페이서의 설치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의 또 다른 사용상태도,
도 11a ~ 도 11c는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11a에 도시된 스페이서의 설치상태도,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 면,
도 14, 도 15, 도 16a, 도 16b는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7은 도 14에 도시된 스페이서의 설치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둥 11 : 지지브라켓
12 : 지지거더 20 : 보 거푸집
21 : 장선 25 : 데크받침구조체
26 : 받침각재 31 : 데크
32 : 상부철근 35 : 하부철근
50 : 스페이서 51 : 하부플레이트
52 : 본체로드
본 발명은 지하구축용 무지보 역타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 거푸집의 최하측에 배열된 장선들을 보 거푸집 양측방으로 길게 연장시켜 상기 장선들의 연장부위에 보 길이방향을 따라 장스팬 데크의 하부철판을 추가로 지지하는 데크받침구조체를 설치한 지하구축용 무지보 역타설 시스템에 관한 것이 다.
일반적으로 지하구조물을 구축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 지하구조물이 축조되는 지반에 흙막이 공사를 한 다음 지반을 굴착하면서 흙막이를 지지할 수 있는 가시설물을 설치하고, 토사를 전부 반출한 뒤 맨 아래층부터 구조물을 축조해 올라가는 순타설공법과, 흙막이를 시공하고 1층 구조물을 축조한 다음, 그 구조물을 흙막이용 버팀부재로 이용하여 상부에서 하부로 지반을 굴착하면서 구조물을 축조해 내려가는 역타설공법이 그것이다.
최근 토지이용의 극대화 차원에서 지하공사가 점차 고심도화되고 있고, 특히 순타설공법에 의한 시공시에 흙막이 붕괴의 위험이나 주변 건물들 침하 등으로 인한 균열발생은 물론, 시각적으로도 불안할 뿐만 아니라 공사기간이 길어지는 등 여러 문제가 있어서, 근래에는 역타설공법이 널리 적용되고 있다.
이 역타설공법은 지하구조물 축조시에 지상 1층부터 단계적으로 시공해 내려가는 방식이므로, 지하구조물과 지상구조물의 시공이 동시에 진행 가능하고, 지상 1층의 바닥을 작업장으로 활용할 수 있어 별도의 복공판이 필요하지 않은 장점이 있다.
역타설공법으로는 지반을 정지한 상태에서 지반 위에 콘크리트 슬래브와 보를 타설하는 방법(concrete on grade)과, 지반을 어느 정도 굴착하고 지반을 고른 뒤 동바리를 세우고 거푸집을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form on supporting)과, 거푸집 지지를 위한 동바리를 세우지 않는 대신에 선(先) 시공한 상층의 콘크리트 슬래브에 거푸집 지지를 위한 거푸집 지지거더를 현수시켜 콘크리 트를 타설하는 방법(무지보 역타설 현수 거푸집 공법) 등이 있다.
최근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법으로는, 흙막이벽 시공 후 설치한 각 골조용 기둥에 해체 가능한 조립식 지지브라켓을 설치하고, 거푸집 지지거더(H-형강 철골보임, 이하 지지거더로 약칭함)를 상기 지지브라켓을 이용하여 골조용 기둥에 지지시킨 뒤, 상기 지지거더에 보 거푸집 및 슬래브 거푸집(일반 데크 플레이트나 딥데크, 트러스데크 등)을 지지시켜 설치하고, 이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식이 있다.
이때, 각 골조용 기둥의 해당 층 높이에 지지브라켓을 설치하고, 이웃한 두 골조용 기둥의 지지브라켓 위에 단부를 거치하는 형태로 지지거더를 지지시킨 다음, 지지거더에 보 거푸집 및 슬래브 거푸집을 지지시키게 된다.
상기 지지브라켓은 기둥상에 쉽게 장착 및 해체가 가능하므로, 해당 층에 대해 보 및 슬래브의 콘크리트 시공작업이 모두 완료되면, 각 지지브라켓을 해체 후 기둥 상의 아래층 높이로 내려 재설치한 뒤 동일 목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지지브라켓을 이용한 지하구축용 무지보 역타설 시스템은, 슬래브 및 보 시공을 위한 구조물을, 선시공한 상층 슬래브에 현수재를 이용하여 현수 및 지지시키는 방법이 아닌, 지지브라켓을 이용하여 골조용 기둥에 직접 지지시키는 방법으로서, 기존 동바리나 현수재 지지방식의 여러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지지브라켓을 이용한 역타설공법에 대해서는 특허등록번호 제605514호(2006.7.20)에 개시되어 있으며, 지하구조물을 역타설 시공하는데 이용되는 지지브라켓에 대해서는 실용신안등록번호 제372315호(2004.12.29), 실용신안등록번호 제398231호(2005.10.5), 실용신안등록번호 제417438호(2006.5.22)에 그 다양한 형 태가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특허등록번호 제605514호와 실용신안등록번호 제372315호에는 가로, 세로 2방향 보 및 데크 슬래브의 시공을 위한 지지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역타설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며, 실용신안등록번호 제398231호와 실용신안등록번호 제417438호에는 1방향 보 및 데크 슬래브의 시공시에 사용되는 지지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역타설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바와 같이, 가로, 세로 2방향의 보 및 데크 슬래브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흙막이벽 및 골조용 기둥이 시공된 상태에서 각 골조용 기둥에 해당 층 높이의 지지브라켓을 설치하고, 이어 상기 지지브라켓을 이용하여 각 골조용 기둥을 중심으로 총 4개 방향의 지지거더 및 보 거푸집을 설치하며, 이후 보 거푸집과 보 거푸집 사이에 슬래브 거푸집(일반 데크 플레이트나 딥데크, 트러스데크 등)을 지지시켜 설치한 뒤, 슬래브 및 보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된다.
또한 1방향의 보 및 데크 슬래브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각 골조용 기둥에 해당 층 높이의 지지브라켓을 설치하고, 이어 상기 지지브라켓을 이용하여 각 골조용 기둥을 중심으로 총 2개 방향, 즉 전체 평면상에서 가로 또는 세로의 1방향으로 지지거더 및 보 거푸집을 설치하며, 보 거푸집과 보 거푸집 사이에 슬래브 거푸집을 지지시켜 설치한 뒤, 슬래브 및 보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된다.
이러한 1방향의 보 및 데크 슬래브를 시공하는 과정에서는 지지브라켓을 사용함에 있어서 제작비용 등을 고려하여 실용신안등록번호 제398231호 및 제417438호에서 개시하고 있는 바와 같은 간단한 구조의 1방향 전용 지지브라켓이 널리 사 용되고 있다.
한편, 첨부한 도 1과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지하구축용 역타설 시스템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는 지하 각 층의 보(G) 및 슬래브(S)를 시공하기 위해 보 거푸집(20) 및 슬래브 거푸집(30)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래브 구축을 위한 거푸집 구조체로서 트러스데크(31)를 사용한다고 할 때, 대략 4m 이상의 장스팬인 경우에는 트러스데크(31) 중앙에 받침재(각재 등)(42)를 설치하고 동바리(41)로 지지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장스팬용 트러스데크(31)를 사용할 때는 동바리(41) 및 받침재(42)가 트러스데크(31)를 지지하는 위치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즉, 트러스데크(31)의 트러스철근(33)과 하부철판(35)이 용접된 위치(대략 200mm 간격으로 용접됨)를 받침재(42)가 정확히 지지할 필요가 있으며, 받침재(42)가 정확히 용접점 위치(트러스철근과 하부철판이 용접된 위치)에서 하부철판(35)을 지지하지 않을 경우에는 지지점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다.
특히, 시공 여건상 용접점 위치 사이에 받침재(42)가 위치할 경우에는 받침재가 지지하는 트러스데크(31)의 하부철판(35)이 구부러지면서 힘을 받을 수 없고, 결국 시공성 및 안전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점은 브라켓 지지에 의한 무지보 공법 적용시에도 동일하게 발생한다.
첨부한 도 3은 종래의 지하구축용 무지보 역타설 시스템을 도시한 평면도로 서, 이는 H-형강 기둥(10), 지지브라켓(11), 지지거더(12), 데크받침보(14), 보 거푸집(20)만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또한 첨부한 도 4는 도 3의 선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이는 H-형강 기둥(10)에 지지브라켓(11)을 설치한 뒤 지지거더(12), 데크받침보(14), 보 거푸집(20), 트러스데크(31)를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 각 층의 보(G) 및 슬래브(S)의 시공을 위한 무지보 역타설 시스템에서는 기본적으로 골조용 기둥으로 시공된 H-형강 기둥(10)에 해당 층 높이에 맞추어 지지브라켓(11)을 설치하고, 이어 상기 지지브라켓(11)에 단부를 지지시키는 방식으로 지지거더(H-형강 사용)(12)를 설치하며, 이후 별도의 데크받침보(14) 및 보 거푸집(20), 트러스데크(31)를 설치하여 콘크리트 시공을 한다.
그리고, 해당 층에서 보 및 슬래브의 시공이 완료되면, 지지브라켓과 지지거더, 데크받침보 및 보 거푸집 등을 하층 높이로 내려 재설치한 뒤 트러스데크를 설치하고 콘크리트 시공을 하는 바, 이러한 시공과정을 최하층까지 반복하여 실시한다.
참고로, 무지보 역타설 시스템에서, 보 거푸집(20)은, 일정 간격으로 나란히 배열되는 소정 길이의 장선(주로 사각각관 사용)(21)들, 상기 장선(21)들 위에 설치되어 보 하면을 성형하기 위한 거푸집 하판(22), 보 영역의 양 측면을 따라 길게 설치되는 측면각재(23), 상기 측면각재 내측으로 설치되어 보 측면을 성형하기 위한 거푸집 측판(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트러스데크(31)를 이용한 무지보 공법 적용시에는 장스팬일 경 우에 트러스데크 중앙에 데크 지지용 받침보(H-형강 사용)(14)를 추가로 설치해야 하며, 또한 상기한 받침보(14)를 지지시키기 위하여 지지거더(13)가 추가로 필요하다. 결국, 전체적으로 지지틀 시스템의 구성이 복잡하고 사용 물량이 많아 비경제적이면서 시공성 또한 좋지 못하다.
특히, 상기 받침보(14)는 트러스데크(31)의 트러스철근(33)과 하부철판(35)이 용접된 위치를 지지해야 하나, 시공 여건상 받침보가 정확히 용접점 위치에서 하부철판을 지지하지 않을 경우에 지지점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다.
만약, 용접점 위치 사이에 받침보(14)가 위치할 경우는 받침보가 지지하는 트러스데크(31)의 하부철판(35)이 구부러지면서 힘을 받을 수 없게 되며, 결국 시공성 및 안전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트러스데크나 딥데크 등의 장스팬 데크를 지지하기 위한 종래의 데크받침보 및 이 데크받침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거더를 삭제하여 철골물량을 크게 줄일 수 있고, 지지틀 시스템이 보다 단순화되면서 시공성 및 경제성이 향상되는 지하구축용 무지보 역타설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데크를 지지하는 구조체가 트러스데크의 트러스철근과 하부철판이 용접된 위치를 정확히 지지하지 않더라도 하부철판의 구부러짐을 방지할 수 있고, 결국 종래에 비해 시공성과 안전성이 향상되는 지하구축용 무지보 역타설 시 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골조용 기둥에 브라켓 지지되어 설치되는 지지거더와, 상기 지지거더에 지지되어 설치되는 보 거푸집과, 상기 보 거푸집에 지지되어 설치되는 바닥 슬래브 시공을 위한 데크를 포함하는 지하구축용 무지보 역타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보 거푸집의 최하측에 배열된 장선들이 보 거푸집 양측방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장선들의 연장부위에는 보 길이방향을 따르는 데크받침구조체가 설치되어, 상기 데크받침구조체가 보거푸집 양측부에서 데크의 하부철판을 추가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축용 무지보 역타설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크받침구조체는 상기 장선들의 양단부 위로 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받침각재를 상기 데크가 지지될 수 있는 높이로 적층시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데크 내부에서 상기 데크받침구조체의 지지점 위치에는 데크의 상부철근과 하부철판 사이에 하중 지지 및 간격 유지를 위한 스페이서가 설치되고, 상기 스페이서는 데크의 하부철판 위에 밀착 지지되는 부분인 하부플레이트와, 하단부가 상기 하부플레이트와 일체로 되어 있으면서 상단부에 데크의 상부철근이 안착 지지될 수 있는 안착홈이 형성된 봉형의 본체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로드는 상단부에 안착홈이 형성된 상부로드와, 하단부가 하부플레이트와 일체로 된 하부로드로 분리 구성되고, 상기 상부로드의 하단부에 형성된 길이조절나사가 상기 하부로드의 상단부에 형성된 나사홀에 체결되어 조립됨으로써 본체로드의 전체 길이가 조절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로드는 상단부에 안착홈이 형성된 상부로드와, 하단부가 하부플레이트와 일체로 된 하부로드로 분리 구성되고, 상기 상부로드의 하단부와 상기 하부로드의 상단부 사이에 길이조절용 필러가 개재되며, 상기 필러를 포함한 상부로드와 하부로드 간 연결부의 외측으로는 측방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커버가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다음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명세서에서 상세한 설명 및 특허청구범위 등에 기재된 데크(31)라 함은 데크 슬래브를 구축하기 위한 거푸집 구조체로서, 장스팬 데크로 사용할 수 있는 트러스데크와 딥데크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구축용 무지보 역타설 시스템을 도시한 평면도로서, 이는 H-형강 기둥, 지지브라켓, 지지거더, 보 거푸집만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또한 첨부한 도 6은 도 5의 선 'C-C'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선 'D-D'를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보 및 슬래브의 시공상태를 보여주기 위해 골조용 기둥에 지지브라켓을 설치한 뒤 지지거더, 보 거푸집, 트러스데크를 설치하 여 콘크리트를 타설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도면부호 10은 골조용 기둥으로 시공된 H-형강 기둥을, 도면부호 11은 1방향 지지브라켓을, 도면부호 12는 H-형강 기둥(10)에 브라켓 지지되는 지지거더를 각각 나타내며, 도면부호 20은 보 영역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보 거푸집을 나타낸다.
종래에는 트러스데크나 딥데크 등의 장스팬 데크를 이용한 무지보 공법 적용시에 데크 중앙에 데크 추가 지지를 위한 데크받침보(H-형강 사용)를 추가로 설치해야 했으며, 상기 데크받침보를 지지시키기 위한 지지거더(H-형강 사용)를 추가로 설치해야 했다.
본 발명에서는, 장스팬일 경우에 추가로 사용되는 데크받침보 및 데크받침보 지지를 위한 지지거더를 삭제하는 대신에, 장스팬 데크(31)를 지지하기 위한 별도 데크받침구조체(25)를 보 거푸집(20)에 추가로 구비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장스팬 데크를 사용하면서도 동바리 지지 없이 무지보 시공이 가능한 장점 외에, 종래의 데크받침보 및 이 데크받침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거더를 삭제할 수 있게 되면서 철골물량을 크게 줄일 수 있고, 지지틀 시스템이 보다 단순화되면서 시공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추가적인 장점이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보 거푸집(20)의 구조를 설명하면, 데크(31)를 추가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데크받침구조체(25)가 설치될 수 있도록 보 거푸집(20)의 최하측에 배열된 장선(21)들이 보 거푸집 측방으로 종래에 비해 길게 연장된 구조로 구비된다.
즉, 종래에 비해 길이가 긴 장선(예, □-125×75×3.2t)들이 사용되며, 이러한 장선(21)들을 일정 간격으로 나란히 배열한 뒤 그 위에 보 하면을 성형하기 위한 거푸집 하판(22)을 고정 설치하고, 거푸집 하판(22) 위에 보 측면 성형을 위한 측면각재(23) 및 거푸집 측판(24)을 보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한다.
그리고, 장선(21)에서 길이가 연장된 부분, 즉 길이가 연장된 구조의 장선들 양단부 위로 보의 길이방향(지지거더의 길이방향임)을 따라 길게 배치되어 데크(31)를 보 거푸집(20) 양측방에서 지지할 수 있는 데크받침구조체(25)를 설치한다.
상기 데크받침구조체(25)는 보 측면 성형을 위한 측면각재(23)와 동일한 형태로 설치할 수 있는데, 예컨대 사각각재로 제작된 받침각재(26)를 이중으로 적층한 구조로 설치할 수 있으며, 이때 받침각재(26)는 장선(21)들의 양단부 위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보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속되게 설치된다.
물론, 데크받침구조체(25)의 높이가 보 측면 성형을 위한 측면각재(23)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설치함이 마땅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길이가 긴 장선들을 사용하여 보 거푸집(20)의 장선(21)들 위에 보 영역 양측방에서 데크(31)를 별도 지지할 수 있는 데크받침구조체(25)를 설치하고, 이 데크받침구조체(25)가 보 폭보다 넓은 폭의 측방 라인을 따라 데크(31)를 추가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데크받침보와 이 데크받침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거더의 생략이 가능해진다.
한편,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을 위하여 데크(31)를 보 거푸집(20) 위에 지지 시킬 때, 보 거푸집(20)의 데크받침구조체(25)가 데크(31)의 트러스철근(33)과 하부철판(35)이 용접된 위치를 지지하도록 해야 하나, 시공 여건상 데크받침구조체(25)가 정확히 용접점 위치에서 하부철판(35)을 지지하도록 하는 것에는 많은 제약이 있다.
따라서, 데크 슬래브(S)의 구축을 위한 거푸집 구조체로서 트러스데크(31)를 사용한 경우에는 그 내부에 스페이서(50)를 설치하며, 이 스페이서(50)는 보 거푸집(20)의 데크받침구조체(25)가 지지하는 위치에서 트러스데크(31) 내부에 설치되되, 트러스철근(33)의 하단부가 용접된 하부철판(35)과 트러스철근(33)의 상단부가 용접된 상부철근(32) 사이에 하중 지지 및 간격 유지를 위하여 수직 설치된다.
첨부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의 가장 기본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9a ~ 9c는 도 8에 도시된 스페이서의 설치상태도로서, 도 9a는 스페이서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9b는 스페이서가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 도 9c는 도 9b의 선 'E-E'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참고로, 트러스데크(31)의 기본 구성을 살펴보면, 도 9a에서 도면부호 35는 하부철판을, 도면부호 32는 상부철근을, 도면부호 34는 하부철근을, 도면부호 33은 트러스철근을 나타내며,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예의 트러스데크(31)에서, 하나의 상부철근(32)에 좌우 양측으로 두 개의 트러스철근(33)이 고정되어 있고, 각 트러스철근(33)에 하나씩의 하부철근(34)이 고정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하부철판(35) 위에 각 트러스철근(33)의 하단굴곡부가 용접되어 있고, 각 트러스철근(33)의 상단굴곡부(꼭지점부)가 상부철근(32)에 용접되어 있으 며, 또한 각 트러스철근(33)의 하부에는 하부철근(34)이 용접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50)는, 길게 형성되어 트러스데크(31)의 하부철판(35)과 상부철근(32) 사이에 수직 설치되어 하중 지지 및 간격 유지를 하도록 된 것으로서, 트러스데크(31)의 하부철판(35) 위에 밀착 지지되는 부분인 하부플레이트(51)와, 상단부가 트러스데크(31)의 상부철근(32)을 지지하는 부분이면서 하단부가 상기 하부플레이트(51)와 일체로 되어 있고 상단부에 상부철근(32)이 안착 지지될 수 있도록 안착홈(53)이 형성된 봉형(棒形)의 본체로드(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로드(52)는 하부에 고정바(61)가 삽입 관통하는 관통홀(54)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홀(54)에는 고정바(61)가 관통 삽입된 후 트러스데크(31)의 하부철근(34)에 와이어(62)로 결속된다.
즉, 도 9a와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 거푸집(20)에 설치된 데크받침구조체(25)의 받침각재(26)가 트러스데크(31)의 하부철판(35)을 지지한 상태에서, 받침각재(26)에 의해 지지된 위치의 트러스데크 하부철판(35) 위로는 스페이서(50)가 트러스데크의 상부철근(32)을 지지하도록 수직 설치되며, 관통홀(54)에는 고정바(61)가 관통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바가 트러스데크의 하부철근(34)에 와이어(62)로 결속되는 것이다.
이는 스페이서가 설치된 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트러스데크(31)의 상부철근(32)과 하부철판(35) 사이에서 스페이서(50)가 옆으로 쓰러지지 않고 견고하게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50)에서 상기 관통홀(54)은 트러스데크(31)의 하부철근(34) 높이에 따라 고정바(61)의 높이가 조정될 수 있도록 상하로 길게 형성된 슬롯홀 구조로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시에는 스페이서(50)의 하부플레이트(51) 위치가 데크받침구조체(25)의 받침각재(26)에 의해 지지된 하부철판(35) 영역과 정확히 일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것이 여의치 않을 경우에는 하부플레이트(51)의 일부라도 받침각재(26)에 의해 지지된 하부철판(35) 영역에 걸쳐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스페이서(50)는 보 거푸집(20)에 설치된 데크받침구조체(25)의 받침각재(26)가 지지하는 영역을 따라 트러스데크(31) 내측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스페이서는 트러스데크의 중앙을 지지하기 위하여 종래와 같이 동바리를 적용할 때에도 사용이 가능한데, 첨부한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의 또 다른 사용상태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트러스데크(31)의 중앙을 지지하도록 동바리(41)와 받침재(42)를 설치하되, 상기 받침재(42)에 의해 지지되는 트러스데크 하부철판(35) 영역에 동일한 방법으로 본 발명의 스페이서(50)를 설치하며, 이때 스페이서(50)는 전술한 무지보 시스템에서와 마찬가지로 트러스데크(31)의 하부철판(35)과 상부철근(32) 사이에서 하부철판(35)이 구부러지지 않도록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스페이서는 전체 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는데, 스페이서의 높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할 경우에 다양한 규격의 트러스 데크에 대응이 가능해지며, 트러스데크마다 상부철근의 높이에 차이가 있더라도 공용화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스페이서를 트러스데크의 상부철근과 하부철판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고정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첨부한 도 11a ~ 도 11c는 길이조절(높이조절)이 가능한 스페이서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1a는 사시도, 도 11b는 정면도, 도 11c는 측면도이며, 도 11c에는 하부로드의 상부를 일부 절개하여 도시하였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스페이서의 설치상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조절이 가능한 스페이서(50)는, 본체로드(52)가 상부로드(52a)와 하부로드(52b)로 분리 구성되되, 전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상부로드(52a)의 하단부에는 길이조절나사(55)가 일체 형성되고, 하부로드(52b)의 상단부에는 상기 상부로드(52a)의 길이조절나사(55)가 체결되는 나사홀(56)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트러스데크(31)의 하부철판(35)에 밀착 지지되는 하부플레이트(51)는 하부로드(52b)의 하단부와 일체로 되어 있고, 하부로드(52b)의 중간부에는 방사상으로 조임용 날개(57)가 일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로드(52b)의 하부에는 고정바(61)가 관통 삽입되는 관통홀(54)이 상하로 길게 형성된 슬롯홀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결국, 도시한 실시예의 스페이서(50)는 하부로드(52b)를 조임용 날개(57)를 이용하여 회전시키게 될 경우 상부로드(52a)와 하부로드(52b)의 전체 길이, 즉 본체로드(52)의 전체 길이가 조절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사용시에는 스페이서(50)를 트러스데크(31) 내측에 수직으로 세워 설치하되, 스페이서의 하부플레이트(51)가 보 거푸집(20)의 데크받침구조체(25)가 지지하는 트러스데크 하부철판(35) 영역 위에 지지되도록 하고, 스페이서(50)의 하부로드(52b)를 조임용 날개(57)를 이용해 회전시키면서 전체 높이를 조절하여 상부로드(52a)의 안착홈(53)에 상부철근(32)이 안착 지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전체 높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스페이서(50)에 의해 상부철근(32)이 견고히 지지되면 관통홀(54)에 고정바(61)를 관통 삽입 후 고정바(61)를 와이어(62)로 트러스데크(31)의 하부철근(34)에 결속하게 된다.
첨부한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3a는 사시도, 도 13b는 종단면도이고, 길이조절이 가능한 스페이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로드(52)와 하부플레이트(51)가 분리형으로 구성되고,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본체로드(52)와 하부플레이트(51)가 나사체결 방식으로 조립된다.
즉, 상기 하부플레이트(51)의 상면에 길이조절나사(51a)가 일체 형성되고, 상기 본체로드(52)의 하단부에는 하부플레이트(51)의 길이조절나사(51a)가 체결되는 나사홀(58)이 형성되어, 하부플레이트(51)의 길이조절나사(51a)가 본체로드(52)의 나사홀(58)에 체결된 상태에서 하부플레이트(51)를 회전시켜줄 경우 스페이서(50)의 전체 길이가 조절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본체로드(52)에 관통홀(54)이 형성되는 점, 상기 관통홀(54) 에 고정바를 삽입한 뒤 트러스데크의 하부철근과 와이어로 결속하는 점, 그리고 그 밖의 설치상태 및 설치방법, 사용방법 등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한편, 첨부한 도 14는 높이조절(길이조절)이 가능한 스페이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스페이서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첨부한 도 16a는 스페이서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6b는 스페이서의 종단면도이며, 도 17은 설치상태도이다.
도시한 실시예의 스페이서(50)는, 트러스데크(31)의 하부철판(35)과 상부철근(32) 사이에 수직 설치되어 하중 지지 및 간격 유지를 하도록 된 것으로서, 트러스데크(31)의 하부철판(35) 위에 밀착 지지되는 부분인 하부플레이트(51)와, 상단부가 트러스데크(31)의 상부철근(32)을 지지하는 부분이면서 하단부가 상기 하부플레이트(51)와 일체로 되어 있고 상단부에 상부철근(32)이 안착 지지될 수 있는 안착홈(53)이 형성된 봉형의 본체로드(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본체로드(52)는 상부로드(52a)와 하부로드(52b)로 분리 구성되고, 본체로드(52)의 전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상부로드(52a)와 하부로드(52b) 사이에 길이조절용 필러(filler)(63)가 개재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필러(63)의 두께에 따라 본체로드(52)의 전체 길이(상부로드와 하부로드가 조립된 상태의 전체 길이)가 조절되도록 되어 있으며, 따라서 본체로드(52)의 길이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다양한 두께의 필러(63)들이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필러(63)는 원판 형상으로 제작되며, 상부로드(52a)와 하부로드(52b) 사이에서 필러(63)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러(63)와 하부로드(52b)가 걸림턱-홈 결합구조로 조립될 수 있게 구성된다.
즉, 필러(63)의 하면에는 걸림턱(63a)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필러(63)의 하면이 접하는 하부로드(52b)의 상단부 면에는 상기 걸림턱(63a)이 끼워져 삽입되는 홈(52c)이 형성되어, 필러(63)의 걸림턱(63a)이 하부로드(52b)의 홈(52c)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으며, 이러한 걸림턱-홈 결합구조에 의해 필러(63)의 측방 이탈이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로드(52a)와 하부로드(52b)가 서로 측방향 이탈되지 않도록 필러(63)를 포함한 두 로드 간 연결부의 외측으로 고정커버(64)가 설치되며, 이 고정커버(64)는 대략 원통형으로 제작되어 상부로드(52a)와는 핀(65) 결합 또는 나사 결합에 의해 고정되게 된다.
핀 결합의 경우, 상기 상부로드(52a)의 일측 및 고정커버(64)의 대응된 위치에 고정핀(65)이 끼워질 수 있는 핀홀(64a,52d)이 형성되어, 고정핀(65)이 핀홀(64a,52d)에 관통 삽입됨으로써 고정커버(64)가 상부로드(52a)에 고정될 수 있게 구성된다.
나사 결합의 경우, 상기 상부로드의 일측 및 고정커버의 대응된 위치에 고정나사가 끼워져 체결될 수 있는 나사홀이 형성되어, 고정나사가 나사홀에 관통 체결됨으로써 고정커버가 상부로드에 고정될 수 있게 구성된다.
도면부호 59는 본체로드(52), 명확히는 하부로드(52b)와 하부플레이트(51) 사이에 설치되는 보강판(59)으로, 다수개의 보강판(59)이 하부로드(52b)의 하단부에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본체로드(52), 보다 명확히는 하부로드(52b)에 관통홀(54)이 형성되는 점, 상기 관통홀(54)에 고정바(61)를 삽입한 뒤 트러스데크(31)의 하부철근(34)과 와이어(62)로 결속하는 점, 그리고 그 밖의 설치상태 및 설치방법, 사용방법 등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높이조절을 위해 요구되는 두께의 필러(63)를 선택하여 사용해야 하며, 상부로드(52a)와 하부로드(52b)를 조립한 상태에서 트러스데크(31)의 상부철근(32)과 하부철판(35)에 스페이서(50)를 넣어 설치한 뒤, 고정커버(64)를 위로 올려 두 로드 사이에 필요한 두께의 필러(63)를 밀어 넣어주고, 이후 고정커버(64)를 내려 고정핀(65)으로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도 8 내지 도 17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스페이서(50)를 트러스데크(31)에서 데크받침구조체(25)가 지지하는 하부철판(35) 위치에 설치하게 되면, 상기 스페이서(50)가 트러스데크(31)의 상부철근(32)과 하부철판(35) 사이에서 하중을 지지하게 되면서 트러스데크(31)의 하부철판(35)이 데크받침구조체(25)에 의해 구부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의 스페이서는 제작 및 조립설치가 용이하도록 경량의 강화플라스틱 계열을 재질로 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보 거푸집에 데크받침구조체를 설치한 본 발명의 무지보 역타설 시스템뿐만 아니라 트러스데크를 지지하기 위한 별도 데크받침보가 설치되는 기존의 무지보 역타설 시스템 및 동바리로 지지 시키는 역타설 시스템에서도 널리 사용될 수 있다.
데크받침보가 설치되는 기존의 무지보 역타설 시스템에서 사용할 경우에는 스페이서를 트러스데크에서 데크받침보가 지지하는 하부철판 위치에 설치하면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하구축용 무지보 역타설 시스템에 의하면, 장스팬 데크를 지지하기 위한 종래의 데크받침보 및 이 데크받침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거더를 삭제할 수 있게 되면서 철골물량을 크게 줄일 수 있고, 지지틀 시스템이 보다 단순화되면서 시공성 및 경제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스페이서를 사용할 경우에 데크를 지지하는 구조체가 데크의 트러스철근과 하부철판이 용접된 위치를 정확히 지지하지 않더라도 하부철판의 구부러짐을 방지할 수 있고, 시공성과 안전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게 된다.

Claims (5)

  1. 골조용 기둥에 브라켓 지지되어 설치되는 지지거더와, 상기 지지거더에 지지되어 설치되는 보 거푸집과, 상기 보 거푸집에 지지되어 설치되는 바닥 슬래브 시공을 위한 데크를 포함하는 지하구축용 무지보 역타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보 거푸집의 최하측에 배열된 장선들이 보 거푸집 양측방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장선들의 연장부위에는 보 길이방향을 따르는 데크받침구조체가 설치되어, 상기 데크받침구조체가 보거푸집 양측부에서 데크의 하부철판을 추가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축용 무지보 역타설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크받침구조체는 상기 장선들의 양단부 위로 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받침각재를 상기 데크가 지지될 수 있는 높이로 적층시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축용 무지보 역타설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크 내부에서 상기 데크받침구조체의 지지점 위치에는 데크의 상부철근과 하부철판 사이에 하중 지지 및 간격 유지를 위한 스페이서가 설치되고, 상기 스페이서는 데크의 하부철판 위에 밀착 지지되는 부분인 하부플레이트와, 하단부가 상기 하부플레이트와 일체로 되어 있으면서 상단부에 데크의 상부철근이 안착 지지될 수 있는 안착홈이 형성된 봉형의 본체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축용 무지보 역타설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본체로드는 상단부에 안착홈이 형성된 상부로드와, 하단부가 하부플레이트와 일체로 된 하부로드로 분리 구성되고, 상기 상부로드의 하단부에 형성된 길이조절나사가 상기 하부로드의 상단부에 형성된 나사홀에 체결되어 조립됨으로써 본체로드의 전체 길이가 조절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축용 무지보 역타설 시스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본체로드는 상단부에 안착홈이 형성된 상부로드와, 하단부가 하부플레이트와 일체로 된 하부로드로 분리 구성되고, 상기 상부로드의 하단부와 상기 하부로드의 상단부 사이에 길이조절용 필러가 개재되며, 상기 필러를 포함한 상부로드와 하부로드 간 연결부의 외측으로는 측방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커버가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축용 무지보 역타설 시스템.
KR1020070031195A 2007-03-30 2007-03-30 지하구축용 무지보 역타설 시스템 KR100837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1195A KR100837831B1 (ko) 2007-03-30 2007-03-30 지하구축용 무지보 역타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1195A KR100837831B1 (ko) 2007-03-30 2007-03-30 지하구축용 무지보 역타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7831B1 true KR100837831B1 (ko) 2008-06-13

Family

ID=39771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1195A KR100837831B1 (ko) 2007-03-30 2007-03-30 지하구축용 무지보 역타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78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25629A (zh) * 2016-01-20 2016-04-27 中铁上海工程局集团有限公司 地铁车站施工方法及装置
JP2017096061A (ja) * 2015-11-27 2017-06-01 株式会社大林組 鉄筋コンクリート梁の施工方法、スペーサ兼捨て型枠、及び鉄筋コンクリート梁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5039A (en) * 1995-12-18 1997-01-21 Lowery; John L. Chairs of adjustable height for use in concrete constructions
KR100374538B1 (ko) * 2000-07-05 2003-03-03 삼성물산 주식회사 스페이서 및 사용방법
KR200398231Y1 (ko) * 2005-06-10 2005-10-12 박무용 보 및 슬래브 구축을 위한 일방향 지지 브라켓
KR200417438Y1 (ko) * 2006-03-14 2006-05-26 박무용 보 및 슬래브 구축을 위한 지지 브라켓
KR20060112504A (ko) * 2005-04-27 2006-11-01 (주)한국건설공법 지하층의 1방향 보 및 데크 슬래브 시공을 위한 하향 골조타설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5039A (en) * 1995-12-18 1997-01-21 Lowery; John L. Chairs of adjustable height for use in concrete constructions
KR100374538B1 (ko) * 2000-07-05 2003-03-03 삼성물산 주식회사 스페이서 및 사용방법
KR20060112504A (ko) * 2005-04-27 2006-11-01 (주)한국건설공법 지하층의 1방향 보 및 데크 슬래브 시공을 위한 하향 골조타설 시스템 및 방법
KR200398231Y1 (ko) * 2005-06-10 2005-10-12 박무용 보 및 슬래브 구축을 위한 일방향 지지 브라켓
KR200417438Y1 (ko) * 2006-03-14 2006-05-26 박무용 보 및 슬래브 구축을 위한 지지 브라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96061A (ja) * 2015-11-27 2017-06-01 株式会社大林組 鉄筋コンクリート梁の施工方法、スペーサ兼捨て型枠、及び鉄筋コンクリート梁
CN105525629A (zh) * 2016-01-20 2016-04-27 中铁上海工程局集团有限公司 地铁车站施工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2176B1 (ko) 분리형 거푸집이 선조립된 기둥구조체
KR102187993B1 (ko) 조립식 교각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196472B1 (ko) 티형 철골-철근 콘크리트 복합보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 방법
US8631628B1 (en) Tilt-up concrete spandrel assemblies and methods
KR100993777B1 (ko) 프리캐스트 세그먼트를 이용한 라멘 구조물 시공방법
KR101840763B1 (ko) T형 고정브라켓을 구비한 캔틸레버교량 시공방법
KR102072685B1 (ko) 접속부재를 이용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20120096605A (ko) 브라켓 지지 타입의 역타설 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169460B1 (ko) 방음벽 기초부가 내부에 형성된 콘크리트 박스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구조물 시공방법
KR102029301B1 (ko) 기초보강부 일체형 선조립 기둥 조립체
KR101263370B1 (ko) 거더연결재가 형성된 프리캐스트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20170032826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이중벽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694493B1 (ko) 브라켓 지지되는 가설구조체를 작업대로 활용할 수 있는역타설 공법
KR102216256B1 (ko) 방호벽일체형 프리캐스트 캔틸레버슬래브로 제작된 교량슬래브 및 그 시공방법
CN111206768A (zh) 一种轻型梁板结构平台及其施工方法
KR100923564B1 (ko) 스틸 플레이트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교량 바닥판과 그 시공방법 및 구조
KR102254227B1 (ko) Pc 말뚝캡이 구비된 고강도 콘크리트 말뚝 구조체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0856723B1 (ko) 캔틸레버형 지지거더를 이용한 철골조 역타설 시스템 및방법
KR100837831B1 (ko) 지하구축용 무지보 역타설 시스템
EP1561874A1 (en) Connecting device and node for buildings with prefabricated elements
KR200450609Y1 (ko) 콘크리트 충전강관기둥용 브라켓 고정 장치
KR102296982B1 (ko)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를 이용한 트랜스퍼층 시공방법
KR20100121865A (ko) 피알씨 복합화 공법을 이용한 건축 구조물의 시공방법
KR20100113940A (ko) 조립식 라멘 구조물 시공방법
KR100588193B1 (ko) 슬림형 바닥 시스템을 위한 철골 및 철근콘크리트 복합구조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