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4538B1 - 스페이서 및 사용방법 - Google Patents

스페이서 및 사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4538B1
KR100374538B1 KR10-2000-0038282A KR20000038282A KR100374538B1 KR 100374538 B1 KR100374538 B1 KR 100374538B1 KR 20000038282 A KR20000038282 A KR 20000038282A KR 100374538 B1 KR100374538 B1 KR 100374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spacer
concrete
binding means
adjusting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8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4412A (ko
Inventor
이규복
Original Assignee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물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38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4538B1/ko
Publication of KR20020004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4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4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45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8Spacers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and spacing the reinforcements from th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6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different dir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10Devices for levelling, e.g. templates or bo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1Devices or auxiliary means for setting-out or checking the configuration of new surfacing, e.g. templates, screed or reference line supports; Applications of apparatus for measuring, indicating, or recording the surface configuration of existing surfacing, e.g. profilograph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20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of material other than metal or with only additional metal parts, e.g. concrete or plastics spacers with metal binding wires
    • E04C5/201Spacer blocks with embedded separate holding wire or cli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02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applying plasticised masses to surfaces, e.g. plastering walls
    • E04F21/04Patterns or templates; Jointing rulers
    • E04F21/05Supports for jointing ru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시 변형되거나 손상되지 않는 내구성을 가지며, 철근이 정확한 위치와 높이에 배근될 수 있도록 결속해 주는 기능을 하고, 높낮이가 조절되는 스페이서 및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 및 하부 모서리 살부(11), 철근 결속 수단(21), 레벨조정볼트(15)를 포함하는 스페이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 거푸집면(50)에 스페이서(1)를 놓고 타설하고자 하는 콘크리트의 두께에 따라 상부면(10) 또는 하부면(30)의 레벨조정볼트(15)를 어느 한편만 또는 양편 모두 조정하는 1단계, 철근 결속 수단(21)에 배근하고자 하는 철근(40)을 끼워넣는 2단계, 상기 철근 위에 배근되는 다른 철근을 결속하는 3단계, 배근되는 철근에 따라 2단계와 3단계를 반복하는 단계, 상기 상부면(10)의 레벨조정볼트(15)위로 상기 콘크리트 거푸집면(50)과 반대편 거푸집면(51)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페이서 사용방법이다.

Description

스페이서 및 사용방법 {Spacer and the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설공사의 철근콘크리트에서 사용되는 스페이서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부 및 하부 모서리 살부(11), 철근 결속 수단(21), 레벨조정볼트(15)를 포함하는 스페이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을 축조하는 경우에 콘크리트 타설 후 콘크리트가 굳으면서 양생되는 동안에 원하는 형태를 갖도록 하기 위해 거푸집이 사용된다. 또한 콘크리트 속에는 철근이 배근되는데, 스페이서는 거푸집과 철근 또는 철근 끼리의 간격을 정확히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품(제품)이다. 콘크리트가 굳은 후 대체로 거푸집은 제거되는데 비해 스페이서는 콘크리트 속에 남는다.
거푸집널 위에 철근이 배근되고 콘크리트가 타설되기 전에는 스페이서가 거푸집과 철근 또는 철근 끼리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작용을 하는데 무리가 없다. 그러나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시작하거나 타설하면서 진동다짐을 하는 경우에 콘크리트의 무게나 진동에 의해 스페이서가 변형되거나 손상이 되면서 제기능을 못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콘크리트속의 철근이 제 자리를 못잡을 경우 철근 피복두께가 지나치게 얇아지거나 철근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강도가 떨어지는 등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이 제구실을 못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 타설시 변형되거나 손상되지 않는 내구성을 가진 스페이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철근이 정확한 위치와 높이에 배근될 수 있도록 결속해 주는 기능을 하는 스페이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높낮이가 조절되는 스페이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구체예로서 스페이서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구체예로서 스페이서와 철근의 결합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로서 스페이서의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로서 스페이서의 철근콘크리트내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페이서 10 : 상부면
11 : 모서리 살부 12 : 부분 원형홈
15 : 레벨조정볼트 16 : 암나사부
20 : 몸통부 21 : 철근 결속 수단
30 : 하부면 40 : 철근
50 : 거푸집면
첨부한 구체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와 같이, 본 발명은 상부 및 하부 모서리 살부(11), 철근 결속 수단(21), 레벨조정볼트(15)를 포함하는 스페이서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육면체 블록형상으로, 상부면(10)의 네 모서리 부분은 모서리 끝으로부터 같은 길이로 연장된 얇은 두께의 살을 가지되 상기 살의 중앙은 필요시 철근이 놓여질 수 있는 부분 원형홈(12)을 가진 상부 모서리 살부(11), 상기 육면체 블록의 몸통부(20)의 안쪽으로 깊숙하게 철근이 설치되어 안착될 수 있는 한 개 또는 다수 개의 홈을 가진 철근 결속 수단(21), 상기 육면체 블록의 하부면(30)의 네 모서리 부분은 모서리 끝으로부터 같은 길이로 연장된 얇은 두께의 살을 가지되 상기 살의 중앙은 필요시 철근이 놓여질 수 있는 부분 원형홈(12)을 가진 하부 모서리 살부(11)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면(10)과 하부면(30)과 모서리 살부(11)는 한 몸체가 되어 오목한凹부의 형상을 가지게 되어 콘크리트 속에서 골재들과의 결합 또는 접합을 좋게 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부면(10)과 하부면(30)의 중앙에 상기 몸통부(20)속으로 암나사부(16)가 더 형성되고, 상기 암나사부(16)와 체결되며 그 체결되는 정도에 따라 전체 높이가 조절되는 레벨조정볼트(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벨조정볼트(15)는 상기 상부면(10)과 하부면(30)의 중앙에 위치하면서
한 몸체가 되어 볼록한 凸부의 형상을 가지게 되어 콘크리트 속에서 골재들과의 결합 또는 접합을 좋게 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상기 레벨조절볼트(15)는 스페이서의 높낮이 조절 기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한 가지 크기의 스페이서로 어느 정도 콘크리트 두께 범위 내에서는 골고루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작용을 한다.
상기 철근 결속 수단(21)은 상기 몸통부(20)의 외주면으로부터 움푹파인 홈이 상기 육면체 블록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홈의 단면은 윗면은 직선부로 형성되고 중간부에서는 철근의 형상에 따라 원형부로 형성되고 아랫면은 중간부에 맞닿은 쪽은 원형부로 외주면에 가까운 쪽은 직선부로 형성되며 윗면과 아랫면이 외주면과 만나는 부분은 돌출부가 형성되되 돌출부의 끝면은 홈으로부터 외주면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외주면측이 약간 좁은 목을 이루는 부위가 한 개 형성된 것 또는 다수 개가 형성되되 인접하는 부위끼리 서로 수직하게 형성된 것 중 하나이다.
상기 철근 결속 수단(21)은 콘크리트 속에 배근되는 철근이 정확한 위치와 높이에 배근되도록 결속해 주는 작용을 한다. 사용자는 철근배근 설계에 맞는 상기 철근 결속 수단(21)을 가진 상기 스페이서(1)를 선택하여 작업할 수 있다.
제4도와 같이, 본 발명은 콘크리트 거푸집면(50)에 스페이서(1)를 놓고 타설하고자 하는 콘크리트의 두께에 따라 상부면(10) 또는 하부면(30)의 레벨조정볼트(15)를 어느 한편만 또는 양편 모두 조정하는 1단계, 철근 결속 수단(21)에 배근하고자 하는 철근(40)을 끼워넣는 2단계, 상기 철근 위에 배근되는 다른 철근을 결속하는 3단계, 배근되는 철근에 따라 2단계와 3단계를 반복하는 단계, 상기 상부면(10)의 레벨조정볼트(15)위로 상기 콘크리트 거푸집면(50)과 반대편 거푸집면(51)을 설치하는 단계로 설치한다.
상기 스페이서(1)는 블록형이고 또한 상기 철근 결속 수단(21)속으로 철근이 맞물리게 되어 철근과 한 몸체가 되므로 강한 내구성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으로 콘크리트 타설시 변형되거나 손상되지 않는 내구성을 가지며, 철근이 정확한 위치와 높이에 배근될 수 있도록 결속해 주는 기능을 하고, 높낮이가 조절되는 스페이서를 제공하게 되었다.

Claims (4)

  1. 전체적으로 육면체 블록형상으로, 상부면(10)의 네 모서리 부분은 모서리 끝이로부터 같은 길이로 연장된 얇은 두께의 살을 가지되 상기 살의 중앙은 필요시 철근이 놓여질 수 있는 부분 원형홈(12)을 가진 상부 모서리 살부(11)가 형성된 몸통부(20);
    상기 몸통부(20)의 안쪽으로 깊숙하게 철근이 설치되어 안착될 수 있는 한 개 또는 다수개의 홈을 가진 철근 결속 수단(21); 및,
    상기 몸통부(20)의 하부면(30)의 네 모서리 끝으로부터 같은 길이로 연장된 얇은 두께의 살을 가지되 상기 살의 중앙은 필요시 철근이 놓여질 수 있는 부분 원형홈(12)을 가진 하부 모서리 살부(11);를 포함하며,
    상기 철근 결속 수단(21)은 상기 몸통부(20)의 외주면으로부터 움푹파인 홈이 상기 몸통부(2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홈의 단면은, 윗면은 직선부로 형성되고 중간부에서는 철근의 형상에 따라 원형부로 형성되고 아랫면은 상기 중간부에 맞닿은 쪽은 원형부로, 외주면에 가까운 쪽은 직선부로 형성되며 윗면과 아랫면이 외주면과 만나는 부분은 돌출부가 형성되되 돌출부의 끝면은 홈으로부터 외주면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외주면측이 약간 좁은 목을 이루는 부위가 한 개 형성된 것 또는 다수개가 형성되되 인접하는 부위끼리 서로 수직하게 형성된 것 중 하나인 철근 결속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
  2. 제1항에서, 상기 상부면(10)과 하부면(30)의 중앙에 상기 몸통부(20)속으로 암나사부(16)가 더 형성되고, 상기 암나사부(16)와 체결되며 그 체결되는 정도에 따라 전체 높이가 조절되는 레벨조정볼트(1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
  3. 삭제
  4. 콘크리트 거푸집면(50)에 제1항의 스페이서(1)를 놓고 타설하고자 하는 콘크리트의 두께에 따라 상부면(10) 또는 하부면(30)의 레벨조정볼트(15)를 어느 한편만 또는 양편 모두 조정하는 제1단계;
    제1항의 철근 결속 수단(21)에 배근하고자 하는 철근(40)을 끼워넣는 제2단계;
    상기 철근 위에 배근되는 다른 철근을 결속하는 제3단계;
    배근되는 철근에 따라 제2단계와 제3단계를 반복하는 제4단계;
    상기 상부면(10)의 레벨조정볼트(15)위로 상기 콘크리트 거푸집면(50)과 반대편 거푸집면(51)을 설치하는 제5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이서 사용방법.
KR10-2000-0038282A 2000-07-05 2000-07-05 스페이서 및 사용방법 KR100374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8282A KR100374538B1 (ko) 2000-07-05 2000-07-05 스페이서 및 사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8282A KR100374538B1 (ko) 2000-07-05 2000-07-05 스페이서 및 사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4412A KR20020004412A (ko) 2002-01-16
KR100374538B1 true KR100374538B1 (ko) 2003-03-03

Family

ID=19676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8282A KR100374538B1 (ko) 2000-07-05 2000-07-05 스페이서 및 사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45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831B1 (ko) * 2007-03-30 2008-06-13 박무용 지하구축용 무지보 역타설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8707B1 (ko) * 2000-09-29 2003-09-22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반석 건물용 철근 배근체와 이를 이용한 건물 시공방법
KR100512696B1 (ko) * 2002-11-20 2005-09-07 나만용 철도궤도 콘크리트 도상용 절연간격재
KR100721801B1 (ko) * 2007-02-06 2007-05-25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건축물의 전단철근용 스페이서
CN104818853B (zh) * 2014-08-26 2017-03-22 中国建筑第四工程局有限公司 一种楼板负弯矩钢筋回调方法
CN107165342A (zh) * 2017-07-18 2017-09-15 云南建投第五建设有限公司 带有相互平行的上下斜卡口的钢筋限位卡
KR101990217B1 (ko) * 2017-12-13 2019-06-17 정진 중단열벽체 시공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5824A (en) * 1974-07-03 1976-01-19 Kunimoto Shokai Harikatakoheno kanzashikintoritsukesochi
JPH07217080A (ja) * 1994-02-07 1995-08-15 Teibiyou:Kk 二層形鉄筋金網
KR960007962A (ko) * 1994-08-20 1996-03-22 최훈 철근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5824A (en) * 1974-07-03 1976-01-19 Kunimoto Shokai Harikatakoheno kanzashikintoritsukesochi
JPH07217080A (ja) * 1994-02-07 1995-08-15 Teibiyou:Kk 二層形鉄筋金網
KR960007962A (ko) * 1994-08-20 1996-03-22 최훈 철근 지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831B1 (ko) * 2007-03-30 2008-06-13 박무용 지하구축용 무지보 역타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4412A (ko) 2002-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4538B1 (ko) 스페이서 및 사용방법
US6443418B1 (en) Ultra thin-type form panel, a form employing the same,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a foundation
KR101756466B1 (ko) 경계석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계석 시공방법
JP2004017645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基礎ブロックの型枠装置、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基礎ブロック及び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基礎ブロックを用いた基礎工法
KR200262326Y1 (ko) 철근 결속용 스페이서
JP3626750B1 (ja) 側溝ブロック
KR200224301Y1 (ko) 건물용 판재 앵커
KR200291118Y1 (ko) 고정용 날개가 장착된 지수판
JPH0315605Y2 (ko)
KR102622097B1 (ko) 영구 거푸집용 프레임 및 영구 거푸집
KR200281866Y1 (ko) 철근골조용 스페이서
JP2001073552A (ja) コンクリート型枠用ノロ止め材
WO2003095764A1 (en) Spacer for concrete blocks
KR101915181B1 (ko)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JPH0227000Y2 (ko)
JP2004027506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床版の継ぎ手構造
KR0127135Y1 (ko) 콘크리트몰탈타설기준대를 가진 철근받침대
KR20020016480A (ko) 건물용 판재 앵커
KR200210972Y1 (ko) 철근 받침대
JPS63247426A (ja) 法枠の施工法
KR100467656B1 (ko) 자연석을 이용한 코너형 블록 조립체
KR0152584B1 (ko) 경량 단열블록의 제조방법 및 경량 단열블록
KR20240021353A (ko) 거푸집
KR200249931Y1 (ko) 스페이서를 구비한 세퍼레이터
KR200142048Y1 (ko) 콘크리트제 상하단근 동시지지 철근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