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1118Y1 - 고정용 날개가 장착된 지수판 - Google Patents

고정용 날개가 장착된 지수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1118Y1
KR200291118Y1 KR2020020019351U KR20020019351U KR200291118Y1 KR 200291118 Y1 KR200291118 Y1 KR 200291118Y1 KR 2020020019351 U KR2020020019351 U KR 2020020019351U KR 20020019351 U KR20020019351 U KR 20020019351U KR 200291118 Y1 KR200291118 Y1 KR 2002911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ex plate
fixed
construction
concrete
fixed 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93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성도
Original Assignee
배성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성도 filed Critical 배성도
Priority to KR20200200193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11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11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1118Y1/ko

Links

Landscapes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이음부의 정확한 위치에 쉽고, 정밀하게 지수판을 설치하여 지수성을 높이는 고정용 날개가 장착된 지수판(100)에 관한 것으로, 상기 지수판(100)의 중심 양측면에 고정날개부(110)가 지수판(100)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되고 그 종단에 수직으로 지지돌기(110b)가 더 형성된 고정용 날개가 장착된 지수판(100)을 제공함으로써 수직 시공이음작업에서 마감거푸집(130a, 130b) 시공 시, 상기 고정날개부(110)에 못을 박아 시공이음부(x)의 정중앙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고정 날개부(110)의 지지돌기는(110b)는 스프링 와셔의 역할을 함으로써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수평시공이음 작업에서 상기 고정날개부(110)는 콘크리트 속으로의 침식 방지와 지수판(100)의 수직도를 유지하게 하며, 고정 날개부(110)에 못(205)을 박아 전도되지 않도록 정위치에 고정시켜 줌과 동시에 철사(미도시)를 이용하여 양측면에 있는 수직 철근(201)에 결속시켜 줌으로써 완전 고정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정용 날개가 장착된 지수판 {Water-Stops with Wings of fix}
본 고안은 지하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 이음부에 방수를 위해 콘크리트 타설 시, 시공하는 지수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수판에 고정 날개부를 장착하여 콘크리트 타설 전에 지수판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지수판을 수평, 수직으로 정밀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지수성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고정용 날개가 장착된 지수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시, 구조물이 길거나 높으면 한 번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없으므로 불연속적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게 되는데, 좀 더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길이가 길고 높이가 높은 지하 콘크리트 구조물의 경우 몇 단계로 나누어서 기준부터 일정 높이 또는 길이 방향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킨 후, 이어서 다시 콘크리트를 타설하므로 시공 이음부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를 다단으로 나누어서 타설할 경우 발생되는 시공 이음부에는 지하수 등의 누수를 막기 위해 콘크리트 타설 전에 거푸집에 지수판을 고정 설치하여 콘크리트와 같이 양생시키는 데, 상기 지수판의 구성 및 사용예를 하기에서 도 1에서 도 6까지를 참조하여 살펴 본다.
도 1은 종래의 콘크리트용 지수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지수판 사용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종래 기술의 수직 시공 이음 시, 지수판 사용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 도 5, 도 6은 종래 지수판이 편심 시공된실제예이다.
도 1은 종래 지수판의 일례로서, 가운데 원통형 수축 팽창 신축부(1a)가 있고, 이것의 상하부에 날개부(1b)가 연결되고, 이 날개부(1b)의 양면에 각진 돌기부(1c)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지수판은 도 2의 불연속 경계면 즉 시공 이음부(x)에 발생되는 지하수 등의 누수를 막기 위해 도 3처럼 지수판(1)을 콘크리트 타설 전에 거푸집(3)에 고정하여 콘크리트와 같이 양생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지수판의 돌기부(1c)와 날개부(1b)를 통해 누수를 차단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지수판(1)은 고정 장치가 없어 마감 거푸집(3a,3b) 조립 시, 지수판(1)을 정확한 위치에 설치하기가 매우 어려워 도 3, 도 5처럼 기능공들이 지수판 본체에 못을 박아 고정시키므로 지수판(1)에 구멍이 생겨서 제기능을 상실하게 되고 누수의 원인이 되어 부실 시공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지수판(1)을 마감 거푸집(3a, 3b) 사이 정중앙에 위치시키더라도 콘크리트 타설 시, 콘크리트 유동 또는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탈락 되거나 흐트러지는 경우가 허다하며 이로 인해, 원통형 수축 팽창 신축부(1a)가 시공 이음부(x)의 중앙에 시공되지 않고 편심되는 현상이 도 4, 도 5, 도 6처럼 발생되며, 이 경우 구조물의 수축 팽창의 반복으로 지수판(1)이 손상될 수 있으며 이것은 누수의 직접적인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의 수축 팽창을 수용하는 본래의 완충 역할을 상실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코자, 지수판의 날개부와 직각되도록 중심 양측면에 고정 날개부를 장착하여 이 고정 날개부에 못을 박아 거푸집에 고정함으로 기존의 고정 방법처럼 지수판의 아무곳에 못을 박거나 천공함으로 야기되는 누수의 문제점을 방지하고, 고정 날개부를 'ㄱ'자형으로 성형함으로써 수직 이음 시공 시, 스프링 와셔의 역할을 하게 하여 못이 견고히 박히게 할 뿐만 아니라 수평 시공 이음 시에는 지수판을 수직으로 설치하는데 용이하게 하고자 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콘크리트용 지수판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일반적인 콘크리트용 지수판의 사용 예시도.
도 3은 종래 기술의 수직 시공 이음 시, 지수판 사용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종래 지수판이 부실 시공으로 편심 시공된 예시도.
도 5는 종래 지수판이 편심 시공되고 못으로 고정된 실례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종래 지수판의 편심 시공된 실례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용 지수판의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용 일자형 지수판의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수직 시공 이음 시, 지수판 고정 예시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수직 시공 이음부의 지수판 분해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수평 시공 이음부의 지수판 분해도.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수평 시공의 지수판 고정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고정용 날개가 장착된 지수판 100a: 원통형 수축 팽창 신축부
100b: 날개부 100c: 돌기부
110: 고정 날개부 110b: 지지 돌기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지수판(100)의 중심 양측면에 지수판(100)과 수직으로 고정 날개부(110)가 장착되고, 이 고정 날개부(110)의 종단에는 고정 날개부(110)와 수직으로 지지 돌기(110b)를 더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하기에서 설명한다. 그리고 덧붙여서 본 고안은 도 7과 같은 형상의 지수판(100)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고 모든 형상의 지수판에 응용되며 하기의 내용은 도 7에 예시한 지수판(100)을 예로 든 것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용 지수판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사시도로서 원통형 수축 팽창 신축부(100a) 상하로 날개부(100b)가 형성되고, 이 날개부(100b)의 외주로는 다수개의 돌기부(100c)가 수평으로 배열, 형성되며 돌기부(100c) 사이로는 지수성 개선을 위한 수팽창성 고무(미도시)가 첨입되는 지수판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100b)와 직각되게 고정 날개부(110)가 길이 방향으로 원통형 수축 팽창 신축부(100a)에 장착되며 부가적으로 상기 날개부(110)의 종단에는 수직으로 지지 돌기(110b)를 더 형성한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수판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일자형 지수판(50)의 중심 양측부에 고정 날개부(110)를 장착하고, 상기 고정 날개부(110)의 종단에는 수직으로 지지 돌기(110b)를 더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수직 이음 시공과 수평 이음 시공으로 나누어 하기에서 설명하되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수축 팽창 신축부(100a)와 날개부(100b) 그리고 돌기부(100c)를 갖는 지수판(100)을 예로서 살펴 본다.
도 9와 도 10은 수직 이음 시공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먼저 거푸집(103)과 철근(137)을 양생된 콘크리트 시공 이음부(x)에 이어서 시공하고 마감 거푸집(130a, 130b)을 이분해서 시공하되 한쪽 마감 거푸집(130a)을 먼저 시공한다.
그리고 지수판(100)의 한 쪽 고정 날개부(110)를 상기 마감 거푸집(130a)에 대고 못(139)을 박는다. 이 때, 상기 고정 날개부(110)에 형성된 지지 돌기(110b)에 의하여 고정 날개부(110)에 탄성이 생겨서 스프링 와셔의 역할을 하므로 못이 견고히 박히게 된다. 그리고 나서, 다른 쪽 마감 거푸집(130b)을 설치하고 지수판의 다른 쪽 고정 날개부(110)를 상기 마감 거푸집(130b)에 대고 못(139)을 박음으로써 지수판(100) 설치 시공을 끝낸다. 그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게 된다.
상기의 시공에 의하면 종래의 지수판(1)처럼 고정을 위해 지수판(1)의 원통형 수축 팽창 신축부(1a)나 날개부(1b)에 못을 박거나 철사로 주위 철근에 고정하기 위해 구멍 뚫던 작업이 필요 없으므로 지수판(100)의 손상없이 수직, 수평으로 지수판(100)을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9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 수축 팽창 신축부(100a)에 장착된 고정 날개부(110)의 지지 돌기(110b)가 스프링 와셔의 역할을 하므로 마감 거푸집(130a, 130b)에 지수판(100)을 못으로 견고히 부착할 수 있어 콘크리트 타설 시, 진동과 콘크리트 유동에 의한 지수판(100)의 이탈을 막을 수 있다. 그리고 원통형 수축 팽창 신축부(100a)를 시공 이음부의 정중앙에 정확하게 시공할 수 있어 지수판(100) 사용으로 인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온도 변화에 의한 구조물의 수축 팽창 시에도 지수판(1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한 누수 현상을 막을 수 있고 완충 역할을 제대로 감당하게 한다.
다음 수평 이음 시공에서는 도 11, 도 12에 예시한 바와 같이 먼저 거푸집(200)과 철근(201) 시공 후, 콘크리트(203)를 타설한다. 그 다음 고정 날개부(110)에 구멍(110c)을 뚫어 긴 못(205)을 박아 지수판(100)을 마그마 처럼 유동성이 있는 콘크리트(203) 위에 그대로 심음과 동시에 철사(미도시)를 고정 날개부(110)를 통해 양옆에 위치한 철근(201)에 묶는다. 이 때 도 12에서 처럼 고정 날개부(110)의 지지 돌기(110b)에 의해 지수판(100)이 수직으로 지지되고 긴 못(205)과 철사(미도시)에 의해 이러한 상태는 더욱 보강된다. 그리고 나서 양생 후 상부로 다시 이어치기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지수판은 고정 날개부가 장착됨으로써못을 박을 수 있는 구성 요소가 확보된다. 그래서 설치 시공이 더욱 용이할 뿐만 아니라 종전의 지수판처럼 고정 요소의 결여로 조잡한 시공과 지수판의 아무곳에나 못을 박고 구멍 뚫던 종래의 시공을 개선할 수 있어 지수판을 손상없이 원하는 위치에 반듯하게 설치할 수 있어서 시공 상태가 월등히 개선되고, 지수 효과도 100% 만족 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종래 시공 방법에 의한 지수판 손상에서 비롯되는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 요소인 고정 날개 장착으로 지수판의 원통형 수축 팽창 신축부를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 이음부의 중앙에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어 구조물의 팽창, 수축을 수용하는 완충 기능을 원활히할 수 있고, 콘크리트의 수축, 팽창으로 인한 지수판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 정밀 시공과 지수판의 지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Claims (2)

  1. 콘크리트 시공 이음부 누수 방지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지수판에 있어서,
    상기 지수판(100)의 중심 양측부에 지수판(100)과 수직으로 고정 날개부(11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용 날개가 장착된 지수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날개부(110)의 종단에는 고정 날개부(110)와 수직으로 지지 돌기(110b)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용 날개가 장착된 지수판.
KR2020020019351U 2002-06-26 2002-06-26 고정용 날개가 장착된 지수판 KR2002911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9351U KR200291118Y1 (ko) 2002-06-26 2002-06-26 고정용 날개가 장착된 지수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9351U KR200291118Y1 (ko) 2002-06-26 2002-06-26 고정용 날개가 장착된 지수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1118Y1 true KR200291118Y1 (ko) 2002-10-09

Family

ID=73125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9351U KR200291118Y1 (ko) 2002-06-26 2002-06-26 고정용 날개가 장착된 지수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111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649B1 (ko) * 2009-11-24 2010-08-17 권종현 건축용 층간 방수용 조인트 장치
KR101788309B1 (ko) * 2015-10-07 2017-10-20 대룡공업주식회사 건축용 콘크리트벽 층간 지수판
KR20180045168A (ko) 2016-10-25 2018-05-04 윤희정 콘크리트 접합형 지수판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649B1 (ko) * 2009-11-24 2010-08-17 권종현 건축용 층간 방수용 조인트 장치
KR101788309B1 (ko) * 2015-10-07 2017-10-20 대룡공업주식회사 건축용 콘크리트벽 층간 지수판
KR20180045168A (ko) 2016-10-25 2018-05-04 윤희정 콘크리트 접합형 지수판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7158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stalling expansion joints in poured slabs of concrete
RU2293162C1 (ru) Блок для несъемной опалубки
KR200291118Y1 (ko) 고정용 날개가 장착된 지수판
KR100535157B1 (ko) 프리캐스트 바닥판과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와의연결구조 및 그 연결시공방법
KR100374538B1 (ko) 스페이서 및 사용방법
KR102098106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조인트 필러 및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KR20040105940A (ko) 프리캐스트 바닥판과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와의연결구조 및 그 연결시공방법
JP4713175B2 (ja) 土台パッキンの敷設方法
KR100390059B1 (ko) 미장용 레벨
KR200394420Y1 (ko)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 및 그 지수판 고정구
JP3392132B1 (ja) 型枠用セパレータ、型枠パネル及びコンクリート打設用型枠システム並びにコンクリートの打設方法
KR200246507Y1 (ko) 콘크리트구조물용 매립식 앵커
JP6232190B2 (ja) 目地構成部材、コンクリート打設方法、コンクリート構造物
KR100344689B1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코너성형부재
KR100421730B1 (ko) 파형강판 구조물의 시공방법
KR200201271Y1 (ko) 미장용 레벨
KR20240021353A (ko) 거푸집
KR200422740Y1 (ko)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 및 그 지수판 고정구
JP2002242430A (ja) 型枠用幅止め具
KR200321417Y1 (ko) 거푸집 고정구
KR200234131Y1 (ko) 프리패브 철근콘크리트 계단블록
KR0157086B1 (ko) 탑다운 공법의 하부구조체 시공방법
KR100569723B1 (ko) 콘크리트 주형의 전단연결재 설치구조
KR200285325Y1 (ko) 토목 기초공사용 거푸집
KR200256804Y1 (ko) 프리캐스트형 강성 방호벽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