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4420Y1 -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 및 그 지수판 고정구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 및 그 지수판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4420Y1
KR200394420Y1 KR20-2005-0017928U KR20050017928U KR200394420Y1 KR 200394420 Y1 KR200394420 Y1 KR 200394420Y1 KR 20050017928 U KR20050017928 U KR 20050017928U KR 200394420 Y1 KR200394420 Y1 KR 2003944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plate
index plate
sides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79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해권
Original Assignee
최해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해권 filed Critical 최해권
Priority to KR20-2005-00179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44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44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44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04B1/6806Water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토목 건축용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시차를 두고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경계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콘크리트 지수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차를 두고 타설되는 바닥면과 벽면 연결부분에 설치되며, 철근에 고정하기 용이하고, 상기 연결부분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역 T자 형태의 지수판과, 그 지수판을 바닥면에 설치되는 철근에 고정하는 지수판 고정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 및 그 지수판 고정구{Water-Proofing Plate for Concrete and Fixing Device of The Same}
본 고안은 토목 건축용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시차를 두고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경계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콘크리트 지수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차를 두고 타설되는 바닥면과 벽면 연결부분에 설치되며, 철근에 고정하기 용이하고, 상기 연결부분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역 T자 형태의 지수판과, 그 지수판을 바닥면에 설치되는 철근에 고정하는 지수판 고정구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사무용 또는 주거용 다층 구조의 건물을 시공할 경우 바닥면을 시공하고, 상층 바닥면과 하층의 측벽을 동시에 올리는 방식으로 다층의 건물을 시공한다. 상기 바닥면과 측벽을 시공하는 방법은 거푸집을 설치하고, 그 거푸집 상부에 각종 배관 자제와 철근을 설치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켜 바닥면을 형성한다.
다음에, 바닥면을 형성하는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다시 측벽과 상측 바닥면을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을 설치하고, 배관 자제와 철근을 설치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키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건물을 시공하였다.
그러나, 콘크리트를 시차를 두고 타설할 경우, 먼저 타설되어 양생된 콘크리트와 차후 타설되어 양생되는 콘크리트의 이음부에서 모세관 현상에 의해 누수가 발생하여 나중 양생되는 콘크리트 표면에 백화현상이 발생하고, 그 부분으로 다시 빗물 등의 누수가 발생할 수 있어 차후 방수작업을 다시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콘크리트가 시차를 두고 타설되는 부분에 지수판을 설치하여 누수와 백화현상 등을 방지하였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10)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질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일정한 단면모양으로 연속해서 압출성형되는 것으로서, 그 중앙에는 콘크리트 양생시 수축에 의한 인장력에 따라 지수판(10)의 신장성을 더하기 위하여 파이프 형태의 신축부(11)가 형성되어 있었으며, 이 신축부(11)를 기준으로 상하단에는 이 지수판(10)의 두께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지는 상부걸림부(12)와 하부걸림부(13)가 각각 형성되어 있었고, 그 지수판(10)의 양면에는 콘크리트와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한 다수의 장방형 리브(14)가 지수판(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판형태의 지수판은 상하부 걸림부(12,13) 안쪽에 구멍(14)들을 형성한 다음, 상기 구멍(14)들에 철사(15)를 이용하여 철근에 일일이 고정하거나, 못 등을 이용하여 거푸집에 고정하기 때문에 지수판을 고정하기 위한 작업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철사나 못 등으로 지수판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지수판에 구멍을 천공하여야 하기 때문에 차후 거푸집 제거시 그 고정된 못이나 철사가 제거되는 경우, 또는 제거되지 않더라도 그 구멍의 틈으로 누수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종부재와 횡부재를 갖도록 역T자형으로 형성된 콘크리트 지수판을 제공하고, 일체로 타설되는 부분의 횡부재상에 철사나 못 등을 이용하여 고정함으로써 차후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부분인 종부재상에 구멍등을 형성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철근이나 거푸집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의 횡부재에 체결되어 그 지수판을 철근에 고정시키기 위한 지수판 고정구를 제공함으로써 바닥에 설치된 철근에 고정용 구멍을 형성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고정 설치하여 구멍을 천공하는 공정을 줄이고 누수를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구의 양 측면에 철근 사이의 간격보다 큰 날개를 형성하여 철근에 고정된 지수판이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직하게 형성된 종부재와, 상기 종부재 하단에 수평되게 일체로 형성된 횡부재를 갖도록 역T자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의 횡부재에 체결되고 밑면에 철근 삽입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 고정구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20)의 한 실시예를 타나낸 것으로, 수직으로 설치되는 종부재(21)와, 상기 종부재(21) 하단에 양측이 대칭되도록 수평하게 형성되는 횡부재(22)로 구성되며, 상기 종부재(21)의 일부에는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양생과정에서 발생하는 인장력에 따라 수축 또는 팽창할 수 있도록 타원 중공체 형상의 신축부(23)가 형성되며, 상단에는 폭이 큰 상부 걸림부(2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종부재(21)와 수직으로 형성되는 횡부재(22)의 양측단에는 가운데 부분보다 높게 형성된 양측단 걸림부(25,25')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종부재(21)와 횡부재(22) 양면에는 콘크리트와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한 다수의 리브(26,27)가 지수판 몸체(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종부재와 횡부재 양면 모두에 리브가 형성된 역T자형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20)은 횡부재 양측단에 구멍을 천공하고 철사 등을 이용하여 철근에 고정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종부재(31), 횡부재(32), 신축부(33), 상부걸림턱(34), 리브(36,37)등의 구성은 도2와 동일하나, 횡부재(32)의 밑면을 평평하게 형성하고, 양측단에 상부로만 돌출된 고정구 삽입돌기(35,35')를 형성함으로써 후술하는 고정구에 체결하기 용이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신축부(33)는 종부재(31)와 횡부재(32)가 연결되는 부분에 밑면이 평평한 반원형 중공체 형태로 형성한다.
다음에,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도3의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30)의 횡부재에 체결되는 지수판 고정구(40)를 나타낸 것으로, 일정한 폭을 갖도록 평평하게 형성된 고정구 몸체(41)와, 상기 고정구 몸체(41)의 양 측단에 형성되어 상기 지수판(30)의 횡부재(32) 양측단에 형성된 고정구 삽입돌기(35,35')를 삽입 체결하는 지수판 체결부(42,42')와, 상기 고정구 몸체(41) 밑면 중앙에 일체로 형성되어 철근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리 형태로 형성된 철근 삽입부(43)로 구성된다.
상기 지수판 고정구(40)는 강화 프라스틱 등을 이용하여 일체로 형성하거나, 고정구 몸체(41)와 지수판 몸체 체결부(42,42')는 강화 프라스틱으로 제조하고 철근 삽입부(43)는 탄성을 갖도록 금속으로 별도로 제조한 다음, 고정구 몸체(41) 밑면 중앙에 고정부착하는 방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고정구(40)들을 콘크리트 지수판(30)의 횡부재(32)에 일정한 간격으로 체결한 다음, 그 고정구(40)들을 지수판 설치 위치의 철근(50)에 강제 삽입하여 고정시킴으로써 도5와 같이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을 설치하게 된다.
다음에,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지수판 고정구(4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고정구(40')의 지수판 몸체 체결부(42,42') 양측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고정구 몸체의 두께와 동일한 날개(44)를 형성한다. 상기 날개(44)의 길이는 거푸집 상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철근(50)들의 간격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고정구(40')가 철근(50)에 체결된 이후에 양측단이 상하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지수판은 종부재와 횡부재로 형성된 지수판 몸체와, 상기 지수판 몸체의 횡부재에 체결되어 지수판 몸체를 철근에 고정시키는 다수개의 고정구로 구성되어서 콘크리트 지수판을 매설되는 위치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고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권리 범위는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역 T자형의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과, 상기 지수판을 체결하여 철근에 고정시키기 위한 지수판 고정구를 제공함으로써 지수판에 구멍을 천공할 필요없이 간단하게 고정구를 밀어 넣는 것만으로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을 철근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지수판을 천공하기 위한 구멍을 형성하지 않으므로써 그 구멍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누수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지수판 고정구 양측단에 설치된 철근의 간격보다 큰 날개를 형성함으로써 지수판이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역T자형의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만을 철근에 고정할 경우 횡부재의 양측단에만 고정용 철사를 관통시키기 위한 구멍을 천공하고, 종부재 상에는 천공이 필요치 않으므로 종부재상에서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도1은 종래의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을 철근에 고정시키기 위한 지수판 고정구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을 지수판 고정구를 이용하여 철근에 고정한 형태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 고정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0,30 :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 11,23,33 : 신축부
12,24,34 : 상부 걸림부 13 : 하부 걸림부
14,26,27,36,37 : 리브 15 : 철사
21, 31 : 종부재 22,32 : 횡부재
25,25': 양측단 걸림부 35,35': 고정구 삽입돌기
40 : 지수판 고정구 41 : 고정구 몸체
42,42' : 지수판 체결부 43,43' : 철근 고정부
44,44' : 날개 50 : 철근

Claims (8)

  1. 연질의 소재로 형성된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에 있어서,
    양면에 다수개의 리브를 갖는 종부재와;
    상기 종부재 하단 양측에 수평하게 일체로 형성된 횡부재를 포함하여 역T자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부재는 상단에 폭이 넓게 형성된 상부 걸림부와, 중간 일부분에 타원형의 중공체 형상의 신축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횡부재 양단에는 상하로 폭이 넓게 형성된 양측단 걸림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횡부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리브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부재와 횡부재의 연결부분에 지수판의 길이방향으로 밑면이 평평한 반원 중공체 형상의 신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
  5. 연질의 소재로 형성된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에 있어서,
    양면에 다수개의 리브를 갖는 종부재와;
    상기 종부재 하단 양측에 수평하게 일체로 밑면이 평평하게 형성되며, 양측단에는 상부로 돌출된 고정구 삽입돌기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
  6. 제 1 항 또는 제 5 항의 지수판을 체결하도록,
    일정한 폭을 갖는 판 형상의 고정구 몸체와;
    상기 고정구 몸체 양측단에 형성되고 상기 지수판의 횡부재를 체결하는 지수판 몸체 체결부와;
    상기 고정구 몸체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고리 형태의 철근 삽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 고정구.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수판 고정구는,
    상기 지수판 몸체 체결부 양측으로 철근의 간격보다 큰 날개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
  8. 양면에 다수개의 리브를 갖는 종부재와, 상기 종부재 하단 양측에 수평하게 일체로 밑면이 평평하게 형성되며, 양측단에는 상부로 돌출된 고정구 삽입돌기가 더 형성된 지수판과;
    일정한 폭을 갖는 판 형상의 고정구 몸체와, 상기 고정구 몸체 양측단에 형성되고 상기 지수판의 횡부재를 체결하는 지수판 몸체 체결부와, 상기 고정구 몸체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고리 형태의 철근 삽입부로 형성된 지수판 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 고정구.
KR20-2005-0017928U 2005-06-21 2005-06-21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 및 그 지수판 고정구 KR2003944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928U KR200394420Y1 (ko) 2005-06-21 2005-06-21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 및 그 지수판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928U KR200394420Y1 (ko) 2005-06-21 2005-06-21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 및 그 지수판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4420Y1 true KR200394420Y1 (ko) 2005-08-31

Family

ID=43695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7928U KR200394420Y1 (ko) 2005-06-21 2005-06-21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 및 그 지수판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442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7094B1 (ko) 2010-11-02 2012-08-30 (주)보령건설 콘크리트 벽체 지수판 불량 시공 점검 장치 및 점검 방법
CN108867898A (zh) * 2018-09-03 2018-11-23 江苏核电有限公司 一种外贴式橡胶止水带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7094B1 (ko) 2010-11-02 2012-08-30 (주)보령건설 콘크리트 벽체 지수판 불량 시공 점검 장치 및 점검 방법
CN108867898A (zh) * 2018-09-03 2018-11-23 江苏核电有限公司 一种外贴式橡胶止水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5278245B2 (en) Formwork
US20110099932A1 (en) Panel interlocking system
KR101478611B1 (ko) 기둥 주체 조립식 풀 피씨 계단실의 시공방법
KR200394420Y1 (ko)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 및 그 지수판 고정구
JP3785134B2 (ja) 外断熱工法
US20040216414A1 (en) Cladding member and/or a cladding system and/or a method of cladding
RU2253719C1 (ru) Блок несъемной опалубк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и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стены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несъемной опалубки
KR200422740Y1 (ko)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 및 그 지수판 고정구
KR100722237B1 (ko) 구조물 외벽체의 방수층 방수턱과 그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KR200443097Y1 (ko)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구
JP4968972B2 (ja) 水平スリット材を用いた外壁の施工方法および外壁構造
JP5378137B2 (ja) 既存布基礎および土台の補強構造
RU2270302C1 (ru) Комплект несъемной опалубки и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стен здания сооружения
KR100311724B1 (ko) 건축물 외벽의 치장벽돌 조적시공방법 및 그 조적구조
KR100642983B1 (ko) 매립형 트렌치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바닥 시공방법
KR100614839B1 (ko) 알루미늄거푸집에 설치되는 단열재 또는 건설자재 고정장치
KR100371580B1 (ko) 표면처리한 경량기포블록과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 방법
KR200432330Y1 (ko) 구조물 외벽체의 방수층 방수턱
KR100657205B1 (ko) 와이어로프 체결용 박판스프링
KR200286055Y1 (ko) 건축물의 철근 배치용 스페이서 겸 앵커 볼트 고정구
KR100389535B1 (ko) 지하철 지하구조물 방수 시공 공법 및 그 패널
KR200226684Y1 (ko) 지하철 지하구조물 방수 시공 공법의 패널
KR200265957Y1 (ko) 벽돌
KR200178400Y1 (ko) 콘크리트 지수판
CN113914487A (zh) 淋浴间现浇钢筋混凝土挡水条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