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6055Y1 - 건축물의 철근 배치용 스페이서 겸 앵커 볼트 고정구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철근 배치용 스페이서 겸 앵커 볼트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6055Y1
KR200286055Y1 KR2020020015079U KR20020015079U KR200286055Y1 KR 200286055 Y1 KR200286055 Y1 KR 200286055Y1 KR 2020020015079 U KR2020020015079 U KR 2020020015079U KR 20020015079 U KR20020015079 U KR 20020015079U KR 200286055 Y1 KR200286055 Y1 KR 2002860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anchor bolt
spacer
nut
spac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50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해철
유남종
Original Assignee
정해철
유남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해철, 유남종 filed Critical 정해철
Priority to KR20200200150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60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60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6055Y1/ko

Links

Landscapes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의 철근 배치용 스페이서 겸 앵커 볼트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원가를 절감하고,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콘크리트 또는 합성수지제 철근 배치용 스페이서 본체(10)에 앵커 볼트 고정구(20)인 금속 또는 경질 합성수지제 너트를 매설하고, 상기 너트의 암나사 대응위치의 스페이서 본체(10)의 지지부에 통공(11)을 형성한 것이다.
상기한 스페이서 본체(10)는 직육면체 스페이서 본체(10)의 각 대향 3면에 각각 길이(폭)가 다른 지지부(12)(13)(14)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대향각 3면중 어느 1면의 지지부(12)(13)(14)의 중앙에 지지홈(12')(13')(14')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부중 1면의 지지부(14)의 일측에 그 지지부(14)보다 길이가 긴 돌기 지지부(15)를 일체로 형성하여 제 2 지지홈(15')을 형성하며, 상기 지지부(14)의 지지홈(14') 설치 반대측 지지부의 너트의 암나사 대응위치에 통공(11)을 형성한 것이거나 직육면체 스페이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축물의 철근 배치용 스페이서 겸 앵커 볼트 고정구 {ANCHOR BOLT FASTENER AND SPACER FOR REINFORCEMENT BAR ARRANGEMENT OF BUILDING}
본 고안은 건축물의 슬래브 철근 배치용 스페이서 겸 앵커 볼트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건축물의 슬래브를 철골 콘크리트 또는 철근 콘크리트로 형성할 경우 콘크리트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내부에 철근을 격자상으로 배치할 때 슬래브의 상하면과 철근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야 강도 보강기능을 양호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콘크리트의 취약점인 인장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슬래브의 하방에 격자상으로 배치되는 철근은 슬래브의 저면과 철근 사이에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게 배치되어야 인장강도 보강기능을 양호하게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철근의 배치위치 즉 슬래브의 하면과 철근의 하방 사이의 간격은 스팬의 길이, 슬래브의 두께, 철근의 직경 등에 따라 상이하며, 통상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하여 거푸집 패널을 설치한 후 그 위에 철근을 격자상으로 1줄 이상 배치하고 거푸집 패널과 철근의 하면 사이에 스페이서를 삽입하여서 철근이 소정위치에 유지(설계간격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건축물의 슬래브 즉 천정의 하부에는 공기조화 덕트, 전선, 위생 설비용 파이프 등이 부설됨으로 이들을 은폐함과 동시에 외관을 양호하게 하기 위한 목적 등으로 내장재를 부설하고 있으며, 상기 덕트 등을 지지하기 위하여서는 슬래브에 앵커 볼트를 설치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한 스페이서와 앵커 볼트는 슬래브에 설치되지만 그 기능이 다른 것임으로 슬래브의 각각 다른 위치에 설치되고 있는 바, 스페이서는 통상 콘크리트 또는 경질 합성수지로 형성한 직육면체 스페이서 본체의 각 대향 3면에 각각 길이가 다른 지지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대향 3면 중 어느 1면의 지지부의 중앙에 지지홈을 형성하여 슬래브의 하면과 철근 하방위치의 설계 간격에 부합되는 길이의 어느 일면의 지지부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지지부에 형성한 지지홈에 철근의 하방을 지지함과 동시에 지지홈 형성 반대 지지부를 거푸집 패널 또는 덱크 플레이트에 지지하여 철근을 소정위치에 유지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앵커 볼트는 거푸집 패널을 사용하는 철근 콘크리트일 경우에는 앵커 볼트를 거푸집 패널을 관통하여 거푸집 패널의 상면에 위치시킨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덱크 플레이트를 부설하는 철골 콘크리트일 경우에는 슬래브에서 덱크 플레이트를 분리하지 않음으로 덱크 플레이트의 상부에 철근 콘크리트 또는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덱크 플레이트의 저면에 앵커 볼트의 상부에 형성한 고정부를 용접 결합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철근 배치용 스페이서와 앵커 볼트는 건축물의 기능요소임으로 반드시 설치하여야 하지만 이들을 각각 설치함으로써 그들의 제조비용과 작업 공정이 많이 소요되어 원가가 상승되고 시공기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시정하여, 원가를 절감하고,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건축물의 철근 배치용 스페이서 겸 앵커 볼트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철근 배치용 스페이서 본체에 앵커 볼트 고정구를 매설하여 일체화함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 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B-B 선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철근 배치용 스페이서 본체 20, 30 : 앵커 볼트 고정구
도 1은 본 고안을 거푸집 패널을 사용한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에 실시하기위한 제 1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선 단면도로서, 콘크리트 또는 경질 합성수지제 철근 배치용 스페이서 본체(10)에 앵커 볼트 고정구(20)인 금속 또는 경질 합성수지제 너트를 매설하고, 상기 너트의 암나사 대응위치의 스페이서 본체(10)의 지지부에 통공(11)을 형성한 것이다.
상기한 스페이서 본체(10)는 도 1과 같이 콘크리트, 경질 합성수지제 직육면체 스페이서 본체(10)의 각 대향 3면에 각각 길이(폭)가 다른 지지부(12)(13)(14)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대향각 3면중 어느 1면의 지지부(12)(13)(14)의 중앙에 지지홈(12')(13')(14')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부중 1면의 지지부(14)의 일측에 그 지지부(14)보다 길이가 긴 돌기 지지부(15)를 일체로 형성하여 제 2 지지홈(15')을 형성하며, 상기 지지부(14)의 지지홈(14') 설치 반대측 지지부의 너트의 암나사 대응위치에 통공(11)을 형성한 것이거나, 직육면체 스페이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제 1 실시예는 거푸집 패널에 철근을 격자상으로 배치한 후 각 철근(B)의 교차부(결합부) 또는 교차부 사이의 철근의 가로부분 또는 세로부분에 설치하는 바, 앵커 볼트를 설치하지 않는 위치의 경우에는 지지홈(12')(13')(14') (15') 중 1개 또는 2개에 철근을 삽입 지지함과 동시에 철근이 삽입된 반대측 지지부를 거푸집 패널에 지지하고, 앵커 볼트를 설치하는 위치의 경우에는 지지홈(14')이 형성된 지지부(14)의 반대측 지지부를 거푸집 패널에 지지되도록 즉 통공(11) 설치 지지부가 거푸집 패널에 면접촉되도록 함과 동시에 지지홈(14')(15')에 철근(B)의 교차부 하방을 삽입하거나 교차부 사이의 철근의 가로부분 또는 세로부분을 지지홈(14')(15')에 선택적으로 삽입하여 철근의 설계간격을 유지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철근 배치용 스페이서 본체(10)가 콘크리트에 매설되게 슬래브(S)를 형성하고, 철근 콘크리트의 양생이 끝난 후 거푸집 패널을 분리하면 앵커 볼트를 설치하지 않는 위치의 경우에는 통공(11)이 개방되거나 폐쇄되고, 앵커 볼트를 설치하는 위치의 경우에는 통공(11)은 반드시 개방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개방된 통공(11)을 통하여 앵커 볼트(AB)를 너트(20)의 암나사에 체결하면 앵커 볼트가 체결되는 것이다(도 3 참조).
도 4는 본 고안을 금속제 덱크 플레이트 부설 철골 콘크리트 슬래브에 실시하기 위한 제 2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 선 단면도로서, 철근 배치용 스페이서 본체(10)는 제 1 실시에와 동일하고, 앵커 볼트 고정구(30)는 금속 또는 경질 합성수지 파이프 상으로 된 고정구 본체(31)의 상부는 폐쇄하고 내부에 암나사(32)를 형성함과 동시에 고정구 본체(31)의 외주에 지지턱(33)을 형성하여서 고정구 본체(31)를 지지홈이 형성되지 않은 지지부에 지지턱(33)이 지지부와 동일면이 되게 매설하여 일체화하고, 고정구 본체(31)의 암나사 설치 개방부는 일정 길이로 돌출되게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는 도 6과 같이 덱크 플레이트(DP)에 소정간격의 구멍을 뚫고 앵커 볼트를 설치하지 않는 위치의 경우에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같이 철근(B)의 설계간격을 유지하고〔이 경우에는 고정구 본체를 덱크 플레이트(DP)에 뚫은 구멍에 삽입하지 않고 지지부로 폐쇄하는 것이 바람직함〕, 앵커 볼트 설치 위치의 경우에는 고정구 본체(31)를 덱크 플레이트(DP)에 뚫는 구멍에 삽입하여 암나사(32) 형성부분의 개방부를 덱크 플레이트(DP)의 저면에 돌출시킨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S)를 형성하고, 콘크리트 양생이 끝난 후 암나사(32)에 앵커 볼트(AB)를 체결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철근 배치용 스페이서 본체에 앵커 볼트 고정구를 매설하여 일체화하여서 철근의 설계간격을 유지함과 동시에 앵커 볼트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품관리가 간편하고, 원가를 절감하며, 작업 공정이 단순화되어 시공기간을 단축함과 동시에 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철근 배치용 스페이서 본체에 앵커 볼트 고정구를 매설하여 일체화함을 특징으로 한 철근 배치용 스페이서 겸 앵커 볼트 고정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앵커 볼트 고정구는 너트이고, 지지홈 설치 반대측 지지부의 너트의 암나사 대응위치에 통공을 형성한 건축물의 철근 배치용 스페이서 겸 앵커 볼트 고정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앵커 볼트 고정구는 고정구 본체의 상부는 폐쇄하고 내부에 암나사를 형성함과 동시에 고정구 본체의 외주에 지지턱을 형성하여 그 지지턱을 스페이서 본체의 지지홈이 형성되지 않는 지지부와 동일면이 형성되도록 매설하여 고정구 본체의 암나사 형성 개방부는 돌출되도록 한 건축물의 철근 배치용 스페이서 겸 앵커 볼트 고정구.
KR2020020015079U 2002-05-17 2002-05-17 건축물의 철근 배치용 스페이서 겸 앵커 볼트 고정구 KR2002860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079U KR200286055Y1 (ko) 2002-05-17 2002-05-17 건축물의 철근 배치용 스페이서 겸 앵커 볼트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079U KR200286055Y1 (ko) 2002-05-17 2002-05-17 건축물의 철근 배치용 스페이서 겸 앵커 볼트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6055Y1 true KR200286055Y1 (ko) 2002-08-21

Family

ID=73123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5079U KR200286055Y1 (ko) 2002-05-17 2002-05-17 건축물의 철근 배치용 스페이서 겸 앵커 볼트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605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2696B1 (ko) * 2002-11-20 2005-09-07 나만용 철도궤도 콘크리트 도상용 절연간격재
KR20200070812A (ko) 2018-12-10 2020-06-18 프로텍코리아 주식회사 건축 단열재용 경량 앵커홀더
KR20210073278A (ko) 2019-12-10 2021-06-18 프로텍코리아 주식회사 모재 일체형 건축 단열재용 경량 앵커홀더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2696B1 (ko) * 2002-11-20 2005-09-07 나만용 철도궤도 콘크리트 도상용 절연간격재
KR20200070812A (ko) 2018-12-10 2020-06-18 프로텍코리아 주식회사 건축 단열재용 경량 앵커홀더
KR20210073278A (ko) 2019-12-10 2021-06-18 프로텍코리아 주식회사 모재 일체형 건축 단열재용 경량 앵커홀더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5278245B2 (en) Formwork
CN104863290A (zh) 一种单一预制墙段的组合墙体及施工方法
KR100685862B1 (ko) 강관 말뚝머리 보강구조
KR100775350B1 (ko) 필러패널프레임
KR200286055Y1 (ko) 건축물의 철근 배치용 스페이서 겸 앵커 볼트 고정구
KR20100066661A (ko) 중공슬래브용 부력방지장치
CN111021593A (zh) 装配式剪力墙板连接装置及剪力墙板装配方法
JP2005133360A (ja) ジベル後入れ型埋込金物
KR101272061B1 (ko) 층간소음방지 천장패널
KR200443097Y1 (ko)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구
KR960004044B1 (ko) 방수턱거푸집
KR100722237B1 (ko) 구조물 외벽체의 방수층 방수턱과 그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KR20060127631A (ko) 리브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지하외벽 구조
KR200289587Y1 (ko) 건축물의 슬래브용 앵커 볼트 고정구
KR200142434Y1 (ko) 건축용 앵글의 고정설치구조
JP4958801B2 (ja) 地下構造物の分岐部構造体
JPS60129326A (ja) コンクリ−ト壁体の構築用連結金具
CN204753895U (zh) 一种单一预制墙段的组合墙体
JP2004003168A (ja) コンクリート型枠の固定金具
CN220150552U (zh) 新型槽式预埋件
KR20030034379A (ko) 벽체용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
KR200422740Y1 (ko)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 및 그 지수판 고정구
KR0115315Y1 (ko) 건축물 천정시설 배관을 위한 앵글지지대 고정구
KR100389535B1 (ko) 지하철 지하구조물 방수 시공 공법 및 그 패널
KR200432330Y1 (ko) 구조물 외벽체의 방수층 방수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2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