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2983B1 - 매립형 트렌치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바닥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매립형 트렌치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바닥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2983B1
KR100642983B1 KR1020040102974A KR20040102974A KR100642983B1 KR 100642983 B1 KR100642983 B1 KR 100642983B1 KR 1020040102974 A KR1020040102974 A KR 1020040102974A KR 20040102974 A KR20040102974 A KR 20040102974A KR 100642983 B1 KR100642983 B1 KR 100642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nch
wall
plate
inlet
top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2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4228A (ko
Inventor
최대성
Original Assignee
덕창건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창건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덕창건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2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2983B1/ko
Publication of KR20060064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4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2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2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007Base structures; Cella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04B1/6803Joint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04B1/7023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by collecting water in bas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5Shapes polygonal
    • E02D2200/1657Shapes polygonal made from single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450/00Gas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450/00Gaskets
    • E02D2450/10Membranes
    • E02D2450/105Membranes impermeable
    • E02D2450/106Membranes impermeable for liqui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립형 트렌치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바닥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며, 그 목적은 합성수지로서 별도의 공정을 거쳐 제작되며, 무근 콘크리트의 바닥에 매립 설치되어 트렌치의 기능과 방수턱의 기능을 겸비토록 함으로써 시공이 용이하고,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매립형 트렌치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바닥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수구가 형성된 상판과, 상기 상판의 양측단에서 하향으로 연장되도록 상판과 일체형으로 형성된 좌/우측판과, 상기 상판과 좌/우측판을 연결 지지하도록 형성된 다수의 리브와, 상기 입수구에 설치되고 상단부가 무근 콘크리트의 상단부로 연장되어 오수가 유입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배수관과, 상기 좌/우측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판 하단부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날개부로 구성된 매립형 트렌치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바닥 시공방법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매립형, 트렌치, 지하구조물, 방수턱, 배수관

Description

매립형 트렌치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바닥 시공방법{Reclamation Type Trench and Execution Method for Under Ground Structure Using The Same}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의 또 다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연장부가 일체로 형성된 트렌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a,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간의 상호 연결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바닥 시공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 은 종래의 지하구조물 바닥 시공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 : 트렌치 (11) : 상판
(12) : 좌측판 (13) : 우측판
(14) : 날개부 (15) : 리브
(16) : 입수구 (17) : 유입구
(18) : 연장부 (19a) : 홈
(19b) : 돌기 (20) : 배수관
(21) : 걸림턱 (22) : 거름망
(30) : 바닥 (40) : 내벽
(50) : 외벽 (60) : 콘크리트
(100) : 트렌치 (101) : 앵글
(102) : 앙카 (103) : 지지대
(104) : 구배몰탈 (110) : 외벽
(120) : 내벽 (130) : 바닥
(140) : 방수턱 (150) : 단열재
본 발명은 매립형 트렌치 및 이를 이용한 트렌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 지하외벽의 결로수 및 침투수를 처리하기 위한 방수턱과 건축물 내부의 오수를 처리하기 위한 트렌치를 하나의 기성품으로 대체하여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매립형 트렌치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바닥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지하공간은 주차장 또는 창고 또는 거주공간 등의 용도 로 사용되고 있으며, 지중에 설치되는 특성 상 온도차에 의한 결로 방지 및 유입되는 침투수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즉, 도 6과 같이 외벽(110)을 구성하는 콘크리트의 내측면에 단열재(150)가 설치되고, 이 단열재(150)의 실내측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별도의 내벽(120)이 축조되어 내벽(120)과 외벽(110)사이에 온도차를 완화시킬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된 이중벽 구조로 형성되며, 이 공간부의 하부에는 벽면을 타고 유입되는 침투수를 집수정으로 유도하기 위한 배수용 트렌치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배수용 트렌치의 측면에는 배수되는 물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방수턱(140)이 형성되고, 이 방수턱(140)의 상부에 다수의 블록이 축조되어 상술한 내벽(120)을 구성하게 되며, 지하공간의 실내에서 발생되는 오수를 집수정으로 유도하기 위한 별도의 트렌치(100)가 지하공간 실내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방수턱(140)은 바닥(130) 콘크리트의 타설 시 바닥 콘크리트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철근을 배근하고, 이렇게 돌출된 철근의 양측에 거푸집을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시킴으로써 방수턱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트렌치(100)는 바닥 콘크리트에 고정앙카(102)를 설치하여 지지대(103)를 고정시키고, 이 지지대(103)에 앵글(101)을 용접으로 고정시킨 다음 벽돌 및 합판을 이용해 콘크리트가 타설될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후 콘크리트 및 구배몰탈(104)을 타설하고, 표면에 액체방수처리를 함으로써 트렌치를 시공하여 지하공간의 실내에서 발생되는 오수를 처리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방수턱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바닥 콘크리트의 타설 시 방수턱을 지지하기 위한 철근을 미리 배근해 놓아야만 하고, 트렌치를 설치하기 위한 지지대 및 앵글을 사전에 설치해야 하는 등 많은 사전작업을 요하게 되며, 시공절차가 복잡함과 동시에 시공기간 및 시공비를 증가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되는 것으로, 그 목적은 합성수지로서 별도의 공정을 거쳐 제작되며, 무근 콘크리트의 바닥에 매립 설치되어 트렌치의 기능과 방수턱의 기능을 겸비토록 함으로써 시공이 용이하고,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매립형 트렌치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바닥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수구가 형성된 상판과, 상기 상판의 양측단에서 하향으로 연장되도록 상판과 일체형으로 형성된 좌/우측판과, 상기 상판과 좌/우측판을 연결 지지하도록 형성된 다수의 리브와, 상기 입수구에 설치되고 상단부가 무근 콘크리트의 상단부로 연장되어 오수가 유입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배수관과, 상기 좌/우측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판 하단 부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날개부로 구성되어 오수가 유입되는 배수관의 입구만이 노출되도록 무근 콘크리트리에 매립설치되는 트렌치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측판 또는 우측판 중 선택된 하나의 측판의 상단부로부터 상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연장부가 측판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내벽 축조를 위해 상판의 상부에 축조되는 블록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우측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판 하단부에 유입구가 형성되어 인접하게 설치된 배수판 및 외벽으로부터 발생되는 하수 및 결로수를 유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판과 좌/우측판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판과 좌/우측판의 타측에 상기 홈에 대응하는 돌기가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열되는 트렌치가 상호 암수 물림구조로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하구조물의 외벽과 내부공간 중 배수처리가 요구되는 구간에 이물질이나 돌기 등을 제거하는 준비단계와, 상기 준비단계 후, 지하구조물의 내부 바닥에 제 3 항의 트렌치를 배열하여 배수로를 형성하되, 외벽에 가장 인접한 위치에는 연장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트렌치를 배치하는 배치단계와, 상기 배치단계 후, 못을 이용해 트렌치를 바닥에 고정하는 고정단계와, 상기 배치단계 후, 트렌치간의 이음부위를 코킹하는 코킹처리단계와, 상기 고킹처리단계 후, 연장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트렌치의 상부에 블록을 축조하여 내벽을 형성하는 내벽형성단 계와, 상기 내벽형성단계 후, 트렌치의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입수구에 배수관을 설치하는 설치단계와, 상기 설치단계 후, 배열된 트렌치가 매립되며 배수관의 상단부가 표면으로 노출되도록 무근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콘크리트 타설단계로 구성된 지하구조물 바닥 시공방법에 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치단계시 아스팔트시트 또는 고무테이프 또는 벤토나이트시트 또는 방수성능을 갖는 접착제 중 선택된 하나를 트렌치의 날개부 저면에 부착하여 방수처리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를,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의 또 다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를,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연장부가 일체로 형성된 트렌치를 나타낸 사시도를, 도 4a,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간의 상호 연결상태를 나타낸 예시도를,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바닥 시공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트렌치(10)는 상판(11)의 양측단에서 좌/우측판(12,13)이 하향 연장된 "ㄷ"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합성수지를 원료로 성형되어 무근 콘크리트(60)에 매립 설치되며, 지하외벽(50)의 결로수 및 침투수를 처리하기 위한 방수턱의 기능과 내부 오수를 집수정으로 유도하는 트렌치의 기능을 겸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트렌치(10)는 도 1과 같이 일정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평판형의 상판 (11)과, 상기 상판(11)의 양측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좌/우측판(12,13)과, 상기 좌/우측판(12,1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판 하단부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되어 바닥(30)에 밀착되는 날개부(14)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판(11)과 좌/우측판(12,13)을 연결하여 상판(11)을 지지하는 다수의 리브(15)가 구비된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상판(11)에는 오수가 유입되는 입수구(16)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무근 콘크리트(60)의 표면으로 노출되어 오수를 유입하기 위한 배수관(20)이 상기 입수구(16)에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배수관(20)은 도 1과 같이 상기 입수구(16)에 삽입 가능한 직경을 갖는 원통관으로서 중앙부 소정위치에 걸림턱(2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입수구(16)에 삽입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좌/우측판(12,13)의 하단부에는 도 2와 같이 유입구(17)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유입구(17)는 지하외벽(50) 및 바닥(30)으로부터 발생되는 결로수 및 침투수가 트렌치(10)의 내부로 유입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유입구(17)는 트렌치(10)가 외벽(50)에 인접한 곳에 설치되거나, 또는 트렌치(10)의 인접한 곳에 미도시된 배수판이 시공되어 트렌치(10)내로 오수의 유입이 요구될 경우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트렌치(10)의 좌측판(12) 또는 우측판(13) 중 한쪽 측판에는 도 3과 같이 상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연장부(18)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이때 상기 연장부(18)는 트렌치(10`)가 배열된 위치를 기준하여 외벽(50)측에 위치한 측판에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연장부(18)는 내벽(40)을 구성하도록 트렌치 (10`)의 상부에 축조되는 블록을 측면에서 지지해주거나, 블록이 아닌 판넬에 의해 내벽(40)이 구성될 경우, 무근 콘크리트(60)가 타설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거푸집 역할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트렌치(10,10`)의 시공시 길이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열되는 트렌치가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도 4a 및 도 4b와 같이 트렌치(10,10`)의 상판(11)과 좌/우측판(12,13)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19a)이 형성되고, 이 홈(19a)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돌기(19b)가 상판(11)과 좌/우측판(12,13)의 타측 소정위치에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열되는 트렌치가 홈(19a)과 돌기(19b)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트렌치(10,10`)를 이용한 지하구조물의 바닥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트렌치(10,10`)를 지하구조물의 바닥(30)에 설치하기에 앞서 지하구조물의 외벽(50)과 내부공간 중 배수처리가 요구되는 구간에 수직, 수평레벨을 고려하여 이물질이나 돌기 등을 제거한다.
이후, 지하구조물의 내부 구조에 맞추어 다수의 트렌치(10,10`)를 배열하되, 외벽(50)에 가장 인접한 위치에 배열되는 트렌치는 연장부(18)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트렌치(10`)를 배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트렌치(10,10`)를 지하구조물의 바닥(30)에 배열할 때 길이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열되는 트렌치는 트렌치의 양단에 형성된 홈(19a)과 돌기(19b)를 이용하여 상호 암수 물림구조를 취하도록 하여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는 한편, 트렌치(10,10`)와 지하구조물 바닥(30) 사이의 방수처리를 위해 아스팔트시트 또는 고무테이프 또는 벤토나이트시트 또는 방수성능을 갖는 접착제 중 선택된 하나를 트렌치(10,10`)의 날개부(14) 저면에 부착하여 트렌치(10,10`)와 바닥(30)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트렌치(10,10`)가 콘크리트(60)의 타설 시 움직이게 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날개부(14)의 바닥접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미도시된 못을 이용하여 날개부(14)를 지하구조물의 바닥(30)에 고정시키고, 배열된 트렌치(10,10`)간의 이음부위 틈새를 통한 누수 및 결함을 방지하기 위해 이음부위를 코킹처리한다.
상기와 같이 트렌치(10,10`)의 배열이 완료되면, 트렌치(10,10`)의 상판(11)에 구비된 입수구(16)에 배수관(20)을 삽입하여 설치하고, 외벽(50)에 인접한 곳에 위치한 트렌치(10,10`)의 상부에는 블록 또는 판넬을 시공하여 내벽(40)을 형성하게 된다.
이후 트렌치(10,10`)가 매립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배수관(20)이 이물질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수관(20)의 상부에 거름망(22)을 설치하는 것으로 지하구조물의 바닥 시공을 완료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 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합성수지를 원료한 성형품으로 지하구조물의 바닥층을 구성하는 무근콘크리트에 매립설치되어 트렌치의 기능과 방수턱의 기능을 겸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트렌치의 형성을 위한 앵커 및 지지대와 같이 별도의 장비가 필요없으며, 지하구조물의 바닥시공시 요구되는 방수턱과 트렌치의 설치를 위한 준비공정을 감소시켜 시공이 용이하고 시공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수구(16)가 형성된 상판(11)과,
    상기 상판(11)의 양측단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도록 상판(11)과 일체형으로 형성된 좌/우측판(12,13)과,
    상기 상판(11)과 좌/우측판(12,13)을 연결 지지하도록 형성된 다수의 리브(15)와,
    상기 입수구(16)에 삽입 고정되고, 상단부가 무근 콘크리트의 상단부로 연장되어 오수가 유입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배수관(20)과,
    상기 좌/우측판(12,1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판 하단부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날개부(14)로 구성되어 오수가 유입되는 배수관의 입구만이 노출되도록 무근 콘크리트리에 매립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트렌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판(12) 또는 우측판(13) 중 선택된 하나의 측판의 상단부로부터 상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연장부(18)가 측판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내벽 축조를 위해 상판(11)의 상부에 축조되는 블록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 는 매립형 트렌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판(12,1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판 하단부에 유입구(17)가 형성되어 인접하게 설치되는 배수판 및 외벽(50)으로부터 발생되는 하수 및 결로수를 유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트렌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11)과 좌/우측판(12,13)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19a)이 형성되고, 상기 상판(11)과 좌/우측판(12,13)의 타측에 상기 홈(19a)에 대응하는 돌기(19b)가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열되는 트렌치가 상호 암수 물림구조로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트렌치.
  5. 지하구조물의 외벽(50)과 내부공간 중 배수처리가 요구되는 구간에 이물질이나 돌기 등을 제거하는 준비단계와,
    상기 준비단계 후, 지하구조물의 내부 바닥(30)에 제 3 항의 트렌치(10,10`)를 배열하여 배수로를 형성하되, 외벽(50)에 가장 인접한 위치에는 연장부(18)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트렌치(10`)를 배치하는 배치단계와,
    상기 배치단계 후, 못을 이용해 트렌치(10,10`)를 바닥(30)에 고정하는 고정단계와,
    상기 배치단계 후, 트렌치(10,10`)간의 이음부위를 코킹하는 코킹처리단계와,
    상기 고킹처리단계 후, 연장부(18)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트렌치(10`)의 상부에 블록을 축조하여 내벽(40)을 형성하는 내벽형성단계와,
    상기 내벽형성단계 후, 트렌치(10,10`)의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입수구(16)에 배수관(20)을 설치하는 설치단계와,
    상기 설치단계 후, 배열된 트렌치(10,10`)가 매립되며 배수관(20)의 상단부가 표면으로 노출되도록 무근 콘크리트(60)를 타설하는 콘크리트 타설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트렌치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바닥 시공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단계시 아스팔트시트 또는 고무테이프 또는 벤토나이트시트 또는 방수성능를 갖는 접착제 중 선택된 하나를 트렌치(10,10`)의 날개부(14) 저면에 부착하여 방수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트렌치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바닥 시공방법.
KR1020040102974A 2004-12-08 2004-12-08 매립형 트렌치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바닥 시공방법 KR100642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2974A KR100642983B1 (ko) 2004-12-08 2004-12-08 매립형 트렌치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바닥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2974A KR100642983B1 (ko) 2004-12-08 2004-12-08 매립형 트렌치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바닥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4228A KR20060064228A (ko) 2006-06-13
KR100642983B1 true KR100642983B1 (ko) 2006-11-10

Family

ID=37159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2974A KR100642983B1 (ko) 2004-12-08 2004-12-08 매립형 트렌치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바닥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29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082B1 (ko) * 2017-12-20 2019-04-05 주식회사 지에스코 방수 보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 방법
KR102149649B1 (ko) * 2019-03-28 2020-08-31 주식회사 지에스코 방수 보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 방법
KR102598717B1 (ko) * 2022-06-10 2023-11-06 주식회사 지에스코 방수턱 시공부재 및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11202U (ja) 1983-01-19 1984-07-27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物置の壁パネルと床桟との当接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11202U (ja) 1983-01-19 1984-07-27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物置の壁パネルと床桟との当接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4228A (ko) 2006-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85429A (en) Apparatus for waterproofing a basement or similar structure
KR20100025172A (ko) 건물 바닥용 배수트랩
KR101170103B1 (ko) 조립식 트렌치 및 이를 이용한 트렌치 구조
KR20100038949A (ko) 매립형 배수 트렌치 유닛 및 그 설치방법
KR101634561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수턱 및 그 시공 방법
KR100642983B1 (ko) 매립형 트렌치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바닥 시공방법
KR101419449B1 (ko) 트렌치 누수방지용 보강재 및 그 시공방법
KR100882320B1 (ko) 결로방지용 배수판
KR200449740Y1 (ko) 건물 옥상의 편심 루프 드레인
KR102422253B1 (ko) 건물의 위생 배관 시공방법
KR101774865B1 (ko) 누수방지 및 단열 성능이 개선된 피씨 더블 월
FI89295B (fi) Golvbrunn med genomfoeringsutrustning samt foerfarande foer installation av golvbrunnen
KR200380424Y1 (ko) 지하 바닥층 시공용 배수판
JP4672444B2 (ja) 改装用防水パン
KR20100002206U (ko) 다중식 루프드레인 장치
KR100821742B1 (ko) 측벽 보강형 집수정 구조체
KR100823033B1 (ko) 강도 보강형 집수정 구조체
KR200394420Y1 (ko)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 및 그 지수판 고정구
KR100581015B1 (ko) 발코니 배수시설
KR200346948Y1 (ko) 배수관 고정슬리브
KR100367108B1 (ko) 배수판 및 이를 이용한 배수공법
KR101252808B1 (ko) 방수 시스템
KR102337379B1 (ko) 지하 주차장용 배수설비 시공방법
KR20000052020A (ko) 건축물 외벽의 치장벽돌 조적시공방법 및 그 조적구조
KR200373290Y1 (ko) 지하실 이중벽용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