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8949A - 매립형 배수 트렌치 유닛 및 그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매립형 배수 트렌치 유닛 및 그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8949A
KR20100038949A KR1020080098122A KR20080098122A KR20100038949A KR 20100038949 A KR20100038949 A KR 20100038949A KR 1020080098122 A KR1020080098122 A KR 1020080098122A KR 20080098122 A KR20080098122 A KR 20080098122A KR 20100038949 A KR20100038949 A KR 20100038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nch unit
drain
base plate
drain trench
drain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8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아
박철웅
Original Assignee
김진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아 filed Critical 김진아
Priority to KR1020080098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8949A/ko
Publication of KR20100038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89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06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층 바닥의 콘크리트에 매설되는 매립형 배수 트렌치 유닛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매립형 배수 트렌치 유닛은,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양 측단부에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대해 예각으로 결합된 2개의 측면플레이트와, 상기 각 측면플레이트의 상단부의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개구부를 구비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상기 개구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다수의 배수구를 구비하는 덮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수 트렌치 유닛이 바닥콘크리트의 내부에 매립되어 설치되므로 쓰레기 투기를 방지할 수 있고, 배수로에 고인 물이나 오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깨끗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경량의 플라스틱 재질이므로 운반 및 설치 작업의 효율을 개선할 수 있고, 바닥콘크리트의 내부에 매립되기 때문에 재생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매립형, 배수 트렌치

Description

매립형 배수 트렌치 유닛 및 그 설치방법{Drainage trench unit and method of setting up the same}
본 발명은 배수 트렌치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배수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지하 주차장 등의 바닥에 설치하되, 그 내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바닥 콘크리트의 내부에 매립되는 배수 트렌치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 주차장 등의 지하층은 외부로부터 침투수가 유입되거나 습기로 인해 벽면 또는 바닥면에 결로수가 많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침투수나 결로수를 하수구로 배출하기 위해서는 지하층 공사시에 바닥콘크리트층의 주변부를 따라 배수로를 형성해 주어야 한다.
배수로를 형성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바닥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거푸집을 설치하는 공법을 적용하였으나 공정이 복잡하고 작업속도가 매우 느리기 때문에 최근에는 미리 제작한 배수 트렌치 유닛을 사용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도 1은 종래 배수 트렌치 유닛(10)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배 수 트렌치 유닛(10)을 소정 위치에 가설한 다음 기초콘크리트층(1)의 상부에 바닥콘크리트(20)를 타설함으로써 배수 트렌치 유닛(10)을 고정시킨다. 이때 바닥콘크리트(20)는 그 상면이 배수 트렌치 유닛(20)의 측벽 상단부와 동일한 높이로 타설된다.
그런데 종래의 배수 트렌치 유닛(10)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첫째, 종래의 배수 트렌치 유닛(10)은 콘크리트로 제작되므로 하중이 무거워서 작업자의 작업강도가 높고, 운반 및 설치 과정에서 파손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둘째, 배수로가 상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담배꽁초 등의 쓰레기를 투기하는 장소로 악용되는 경우가 많고, 배수로에 고인 물이나 적체된 쓰레기가 쉽게 눈에 띄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최근 플라스틱 재질의 배수 트렌치 유닛이 소개되기도 하였으나,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면 담배꽁초로 인해 탄 자국이 발생하므로 미관을 크게 해치게 된다. 또한 종래의 배수 트렌치 유닛은 그 내부가 외부로 완전히 노출되는 구조이므로 색상이 조악한 재생플라스틱을 사용하기 어려워 생산원가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수 트렌치 유닛에 대 한 쓰레기 투기를 방지하고, 배수로에 고인 물이나 오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미관을 개선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배수 트렌치 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운반 및 설치 작업의 효율을 개선하고 원가를 절감할수 있는 배수 트렌치 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양 측단부에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대해 예각으로 결합된 2개의 측면플레이트와, 상기 각 측면플레이트의 상단부의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개구부를 구비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상기 개구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다수의 배수구를 구비하는 덮개를 포함하는 매립형 트렌치 유닛을 제공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측면플레이트는 플라스틱 사출을 통해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설치시에 상기 바디를 지지하는 지지수단과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바디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지지구 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구 장착부와 상기 바디의 경계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요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매립형 트렌치유닛을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매립형 트렌치 유닛을 지하층의 바닥에 가설(假設)하는 단계; 상기 바디에 다수의 배수관의 일단을 관통시키고, 상기 다수의 배수관의 타단을 상기 지하층의 벽면에 인접하도록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지하층의 벽면을 따라 배수로 형성을 위한 막음부 재를 설치하되, 상기 막음부재가 상기 다수의 배수관의 타단에 형성된 입구를 밀폐하도록 설치하는 단계; 상기 덮개와 상기 막음부재의 상단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지하층에 바닥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상기 막음부재를 제거하여 상기 지하층의 벽면을 따라 배수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매립형 트렌치유닛의 설치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수 트렌치 유닛이 바닥콘크리트의 내부에 매립되어 설치되므로 쓰레기 투기를 방지할 수 있고, 배수로에 고인 물이나 오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깨끗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경량의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되므로 운반 및 설치 작업의 효율을 개선할 수 있고, 바닥콘크리트의 내부에 매립되기 때문에 재생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 트렌치 유닛(100)의 분해사시도와 입구쪽에서 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배수 트렌치 유닛(100)은 플라스틱 재질이며, 배수로로 사용되는 바디(110)와 상기 바디(110)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덮개(120)로 구성된 다.
바디(110)는 상부에 길이방향의 개구부(115)가 형성된 관 형태로서 양단부가 개구된 채로 제작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바디(110)는 베이스플레이트(111)와, 베이스플레이트(111)의 양 측단부에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1)에 대해 예각으로 결합된 2개의 측면플레이트(112)를 포함한다. 따라서 바디(110)는 상부의 개구부(115)의 폭이 내부공간의 최대폭보다 작은 형태가 된다.
측면플레이트(112)의 하단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측방으로 돌출된 지지구 장착부(11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1), 측면플레이트(112) 및 지지구 장착부(116)는 압출성형을 통해 일체로 제작된다.
원활한 배수와 오물의 적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베이스플레이트(111)를 그 폭방향을 기준으로 양측 주변부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형성하는 것이바람직하다. 덮개(120)도 폭방향을 기준으로 양측 주변부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개의 측면플레이트(112)는 동일한 경사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 측면플레이트(112)의 상단부의 사이에 상기 개구부(115)가 형성된다. 측면플레이트(112)는 베이스플레이트(111)에 대해 30~60도의 경사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각이 이보다 작으면 충분한 배수공간을 확보하기 어렵다. 또한 경사각이 이보다 커지면 배수 트렌치 유닛(100)의 전체 높이가 너무 높아져서 통상 100mm내외의 두께로 형성되는 바닥콘크리트의 내부에 완전히 매립되기가 어렵고, 매립을 위한 적당한 높이로 제작하면 개구부(115)의 폭이 너무 커져서 덮개(120)를 매우 두껍게 제작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각 측면플레이트(112)는 그 하단부가 베이스플레이트(111)의 양 측단부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베이스플레이트(111)의 양 측단부에 소정 높이의 제1수직부(117)를 형성한 후 상기 제1수직부(117)의 상단부에 각 측면플레이트(112)의 하단부를 연결할 수도 있다.
배수 트렌치 유닛(100)은 통상 다수 개가 일렬로 설치되므로 상기 제1수직부(117)의 높이가 각각 다른 여러 개의 배수 트렌치 유닛(100)을 연속적으로 연결하면 자연스럽게 단차시공이 이루어져 원활한 배수가 가능해진다.
또한 각 측면플레이트(112)의 상단부에도 소정 높이의 제2수직부(113)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닥 콘크리트는 측면플레이트(112)의 상단부까지 타설되므로 이와 같은 제2수직부(113)를 형성하면 측면플레이트(112)에 접하는 바닥콘크리트의 두께가 충분히 두꺼워져 경계부에서 바닥콘크리트가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각 측면플레이트(112)의 상단부에는 개구부(115)의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114)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덮개(120)는 그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갈고리 형태의 결합돌기(124)를 구비하며, 덮개(120)를 강하게 압박하여 상기 결합돌기(124)를 걸림턱(114)에 치합시킴으로써 덮개(120)를 바디(110)에 고정시킨다.
지지구 장착부(116)는 바닥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본 발명의 배수 트렌치 유닛(100)을 가설하는 높이조절용 지지구(이에 대해서는후술함)가 결합하는 부분이다. 만일 높이조절용 지지구를 이용하지 않고 몰타르를 사용하여 배수 트렌치 유닛(100)을 가설하는 경우에는 지지구 장착부(116)가 생략될 수도 있다.
지지구 장착부(116)와 측면플레이트(112) 및 제1수직부(117)의 사이에는 각각 길이방향의 요홈(118)이 형성되는데, 상기 요홈(118)에 높이조절용 지지구의 일부를 끼움으로써 높이조절용 지지구와 배수 트렌치 유닛(100)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바디(110)에 결합되는 덮개(120)는 다수의 배수구(122)를 구비하며, 배수구(122)는 원형, 타원형, 슬릿형 등 여러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나 오물 등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최소한의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4의 흐름도 및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 트렌치 유닛(100)의 설치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지하층의 주변부를 따라 적정한 개수의 배수 트렌치 유닛(100)을 가설(假設)한다. 이때 바디(110)와 덮개(120)를 먼저 결합한 후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몰타르를 이용하여 배수 트렌치 유닛(100)을 소정 높이로 가설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조절용 지지구(200)를 이용하여 배수 트렌치 유닛(100)을 가설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높이조절용 지지구(200)는 그 일부가 배수 트렌치 유닛(100)의 양 측부에 형성된 지지구 장착부(116)에 결합하며 하단부는 콘크리트못(250) 등으로 지하층 바닥에 고정된다. 배수 트렌치 유닛(100)은 대략 3000mm정도의 길이로 제작될 수 있으므로 하나의 배수 트렌치 유닛(100)을 설치하는 경우에도 양 측의 지지구 장착부(116)에 다수의 높이조절용 지지구(200)를 소정 간격으로 결합하여야 한다.
작업자는 높이조절용 지지구(200)를 조절하여 배수 트렌치 유닛(100)의 높이나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다. 높이조절용 지지구(2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작업자는 다수의 배수 트렌치 유닛(100)을 연속적으로 설치하여야 하며, 이때 인접한 배수 트렌치 유닛(100)과의 경계면에서의 누수를 방지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경계면에 대해 PVC용접을 할 수도 있고, 도 9 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결부재(270)를 이용하여 인접한 배수 트렌치 유닛(100)을 서로 연결할 수도 있다.
상기 연결부재(270)는 고무 등의 탄성재질로 제작되며, 설치시에 인접한 2개의 바디(110)를 강하게 압박하기 때문에 누수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필요에 따라서는 연결부재(270)와 바디(110)의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할 수도 있다. 바디(110)의 경계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에 상기 연결부재(270)를 장착할 수도 있다.
도 9는 인접한 2개의 바디(110)가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경우에 사용되는 연결부재(270)를 예시한 것이고, 도 10은 인접한 2개의 바디(110)가 서로 다른 높이 를 가지는 경우 - 즉, 제1수직부(117)의 높이가 다른 경우 - 에 사용되는 연결부재(270)를 예시한 것이다. (ST11)
이와 같은 방식으로 다수의 배수 트렌치 유닛(100)을 일렬로 설치한 후에 곧바로 바닥콘크리트를 타설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지하층의 벽면에서 발생하는 결로수나 침투수를 배수 트렌치 유닛(100)의 내부로 용이하게 유입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배수관(300)을 준비한 후에 배수관(300)의 일단(301)은 측면플레이트(112)를 관통하여 바디(110)의 내부공간에 위치시키고, 그 타단(302)은 입구가 상부를 향하도록 하여 지하층의 벽면에 인접하도록 설치한다. 이때 바디(110)에서 배수관(300)이 관통하는 부분은 방수제를 도포하여 누수를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수관(300)은 그 타단(302)의 입구가 상부를 향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벽면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도 6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높이조절용 지지구(200)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배수관(300)을 설치한 후에는 지하층의 바닥모서리를 따라 배수로를 형성하기 위해 벽면을 따라 막음부재(400)를 설치하되, 막음부재(400)가 각 배수관(300)의 입구를 가리도록 설치함으로써 바닥콘크리트가 배수관(300)으로 유입되는 것을방지한다. (ST12, ST13)
배수관(300)과 막음부재(400)를 설치한 후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콘크리트(10)를 타설한다. 이때 배수 트렌치 유닛(100)의 덮개(120)와 막음부 재(400)의 상부면이 노출되도록 바닥콘크리트(10)를 타설한다. 이때 배수 트렌치 유닛(100)에서 막음부재(400)쪽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바닥콘크리트(10)를 타설하면 배수 트렌치 유닛(100) 주변의 물이 배수구(122)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배수로(500)를 통해 배수 트렌치 유닛(1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ST14)
바닥콘크리트(10)가 양생된 이후에 막음부재(400)를 제거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의 하단부를 따라 배수로(500)가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벽면을 타고 내려온 결로수나 침투수는 배수로(500)를 따라 흐르다 배수관(300)의 입구를 통해 배수 트렌치 유닛(100)의 내부로 유입된다. (ST15)
한편 배수 트렌치 유닛(100)을 횡단하는 차량이나 사람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서는 출입구 부근에 설치되는 배수트렌치 유닛(100)의 상부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SUS재질의 그레이팅(600)을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그레이팅(600)은 덮개(120)의 상면과 바디(110)의 제2수직부(113)를 감싸도록 대략 'ㄷ' 형태의 단면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덮개(120)의 배수구(122)와 대응하는 다수의 관통홀(600)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 트렌치 유닛(100)을 지지하는 높이조절용 지지구(200)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높이조절용 지지구(200)는 고정부재(210)와 이동부재(220)를 포함하며, 고정부재(210)는 그 하단부가 기초콘크리트층(1)에 고정되고 일면에 제1톱니부(212)를 구비한다. 또한 이동부재(220)는 제1톱니부(212)에 치합하는 제2톱니부(222)와 배수트렌치유닛(100)의 지지구 장착부(116)에 결합하는 바이트부(224)를 구비한다.
이동부재(220)의 바이트부(224)는 지지구 장착부(116)의 외주면을 커버하도록 대략 "ㄷ"형태의 단면구조를 가지며 마주보는 상하면의 각 단부에는 배수트렌치 유닛(100)의 요홈(118)에 결합되는 걸림돌기(226)가 서로 대향하여 형성된다.
이동부재(220)는 고정부재(210)쪽으로 돌출된 볼트부(228)를 구비하며, 상기 볼트부(228)의 일단을 고정부재(210)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관통부(214)를 통해 관통시킨 후에 반대편에서 너트(229)와 결합시킴으로써 이동부재(220)를 고정부재(2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높이조절이 필요한 경우에는 너트(229)를 풀어서 이동부재(220)의 높이를 변경한 후에 다시 너트(229)를 조이면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 또는 수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예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한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 배수 트렌치 유닛의 설치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배수트렌치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배수트렌치유닛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배수트렌치 유닛의 설치순서를 나타낸 흐름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배수트렌치 유닛의 설치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단면도
도 9 및 도 10은 각각 매립형 배수트렌치 유닛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그레이팅이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도면
도 12는 매립형 트렌치 유닛에 장착되는 높이조절용 지지구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배수 트렌치 유닛 110: 바디
111: 베이스플레이트 112: 측면플레이트
114: 걸림턱 115: 개구부
116: 지지구 장착부 118: 요홈
120: 덮개 122: 배수구
124: 결합돌기 200:높이 조절용 지지구
300: 배수관 400: 막음부재
500: 배수로 600: 그레이팅

Claims (12)

  1.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양 측단부에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대해 예각으로 결합된 2개의 측면플레이트와, 상기 각 측면플레이트의 상단부의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개구부를 구비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상기 개구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다수의 배수구를 구비하는 덮개;
    를 포함하는 매립형 배수 트렌치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측면플레이트는 플라스틱 사출을 통해 일체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매립형 배수 트렌치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설치시에 상기 바디를 지지하는 지지수단과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바디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지지구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배수 트렌치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 장착부와 상기 바디의 경계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요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배수 트렌치 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측면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대하여 30~60도의 각도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매립형 배수 트렌치 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측면플레이트의 상단부에는 외부에 타설되는 바닥 콘크리트가 소정 두께를 가지도록 수직부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배수 트렌치 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측면플레이트의 하단부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사이에 수직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배수 트렌치 유닛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측면플레이트의 상단부에는 상기 개구부를 향해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덮개의 하부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에 상기 결합돌기를 치합시킴으로써 상기 바디와 상기 덮개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배수 트렌치 유닛
  9. 제1항에 있어서,
    사람이나 차량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상기 덮개의 상부에 금속 재질의 그레이팅을 장착하되, 상기 그레이팅에는 상기 덮개의 상기 다수의 배수구와 연통하는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배수 트렌치 유닛
  10. 지하층의 바닥콘크리트의 내부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배수 트렌치 유닛에 있어서,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개구부를 구비하며, 상기 개구부의 폭이 내부공간의 최대폭보다 작은 바디;
    상기 바디의 상기 개구부에 결합되며 다수의 배수구를 가지는 덮개;
    를 포함하는 매립형 배수 트렌치 유닛
  11.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된 배수로를 구비하는 바디;
    설치시에 상기 바디를 지지하는 지지구와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바디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지지구 장착부;
    를 포함하는 매립형 배수 트렌치 유닛
  12.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양 측단부에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대해 예각으로 결합된 2개의 측면플레이트와, 상기 각 측면플레이트의 상단부의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개구부를 구비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상기 개구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덮개를 포함하는 매립형 배수 트렌치 유닛을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매립형 배수 트렌치 유닛을 지하층의 바닥에 가설(假設)하는 단계;
    상기 바디에 다수의 배수관의 일단을 관통시키고, 상기 다수의 배수관의 타단을 상기 지하층의 벽면에 인접하도록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지하층의 벽면을 따라 배수로 형성을 위한 막음부재를 설치하되, 상기 막음부재가 상기 다수의 배수관의 타단에 형성된 입구를 밀폐하도록 설치하는 단계;
    상기 덮개와 상기 막음부재의 상부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지하층에 바닥콘크 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상기 막음부재를 제거하여 상기 지하층의 벽면을 따라 배수로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매립형 배수 트렌치 유닛의 설치 방법
KR1020080098122A 2008-10-07 2008-10-07 매립형 배수 트렌치 유닛 및 그 설치방법 KR201000389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8122A KR20100038949A (ko) 2008-10-07 2008-10-07 매립형 배수 트렌치 유닛 및 그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8122A KR20100038949A (ko) 2008-10-07 2008-10-07 매립형 배수 트렌치 유닛 및 그 설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8949A true KR20100038949A (ko) 2010-04-15

Family

ID=42215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8122A KR20100038949A (ko) 2008-10-07 2008-10-07 매립형 배수 트렌치 유닛 및 그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38949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626B1 (ko) * 2012-06-22 2013-08-29 (주)에스앤케이산업 배수트렌치
KR101599329B1 (ko) 2015-10-26 2016-03-03 지산투수개발(주) 덮개 기능을 구비한 일체형 배수 트렌치
KR20180026300A (ko) 2016-09-02 2018-03-12 류민수 바닥배수용 트렌치
KR102052909B1 (ko) 2019-01-17 2019-12-11 태산인더스 주식회사 배수트렌치 및 배수트렌치 세트
KR20200009620A (ko) * 2018-07-19 2020-01-30 박미정 식생블록 시공용 결속배수판조립체
KR102244149B1 (ko) 2020-03-24 2021-04-30 박덕수 Pc트렌치 높이조절 받침데크
KR102373589B1 (ko) * 2021-09-13 2022-03-14 주식회사 플러스원 누수 방지용 배수관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배수관 보수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626B1 (ko) * 2012-06-22 2013-08-29 (주)에스앤케이산업 배수트렌치
KR101599329B1 (ko) 2015-10-26 2016-03-03 지산투수개발(주) 덮개 기능을 구비한 일체형 배수 트렌치
KR20180026300A (ko) 2016-09-02 2018-03-12 류민수 바닥배수용 트렌치
KR20200009620A (ko) * 2018-07-19 2020-01-30 박미정 식생블록 시공용 결속배수판조립체
KR102052909B1 (ko) 2019-01-17 2019-12-11 태산인더스 주식회사 배수트렌치 및 배수트렌치 세트
KR102244149B1 (ko) 2020-03-24 2021-04-30 박덕수 Pc트렌치 높이조절 받침데크
KR102373589B1 (ko) * 2021-09-13 2022-03-14 주식회사 플러스원 누수 방지용 배수관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배수관 보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38949A (ko) 매립형 배수 트렌치 유닛 및 그 설치방법
KR101489877B1 (ko) 교각 슬래브 유간용 물받이의 누수방지 실링 조립체, 이를 이용한 시공공법 및 보수공법
KR20100025172A (ko) 건물 바닥용 배수트랩
JP2010090700A (ja) 路上排水溝装置
JP4823082B2 (ja) 更生パネル、それを用いた更生方法、および更生された構造物
KR100906762B1 (ko) 배관 연결용 슬리브조립체
KR101965801B1 (ko) 흄관 연결용 조립식 맨홀장치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756664B1 (ko) 터널배수공법
JP4567564B2 (ja) 暗渠の耐水圧可撓継手
US20210363742A1 (en) Drain Assembly And Method Of Installation
KR200449740Y1 (ko) 건물 옥상의 편심 루프 드레인
KR20050082143A (ko) 수밀형 맨홀
KR100642983B1 (ko) 매립형 트렌치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바닥 시공방법
KR101049046B1 (ko) 편심부재를 갖는 층상 배관용 배수관 장치
KR100617522B1 (ko) 수밀형 맨홀의 접속관 결합구조 및 시공방법
KR200480115Y1 (ko) 양변기의 층상배관용 플랜지, 연결소켓 및 배수관의 조립체
DK178315B1 (en) Base Rendering
KR200390739Y1 (ko) 터널배수공법용 거푸집
KR102605459B1 (ko) 이중 배수시스템
KR20230168239A (ko) 도막방수 부착 개선형 드레인
US20230366198A1 (en) Drainage device
KR101089087B1 (ko) 층상 배관용 방수판
JP4411311B2 (ja) ルーフドレイン
KR200371585Y1 (ko) 욕실용 매립트랩의 개량구조
KR20080030812A (ko) 맨홀용 고무 커넥터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