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4149B1 - Pc트렌치 높이조절 받침데크 - Google Patents

Pc트렌치 높이조절 받침데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4149B1
KR102244149B1 KR1020200035936A KR20200035936A KR102244149B1 KR 102244149 B1 KR102244149 B1 KR 102244149B1 KR 1020200035936 A KR1020200035936 A KR 1020200035936A KR 20200035936 A KR20200035936 A KR 20200035936A KR 102244149 B1 KR102244149 B1 KR 102244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trench
upper sid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5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덕수
Original Assignee
박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덕수 filed Critical 박덕수
Priority to KR1020200035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41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4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4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2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ir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urrounding surface
    • E03F2005/0413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ir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urrounding surface for height adjus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시 트렌치가 유동되는 방지하기 위해 트렌치를 안정적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구현한 PC트렌치 높이조절 받침데크에 관한 것으로, 트렌치를 체결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는 받침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PC트렌치 높이조절 받침데크{PC TRENCH HEIGHT ADJUSTMENT DECK}
본 발명은 PC트렌치 높이조절 받침데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트렌치에 콘크리트 타설시 트렌치가 유동되는 방지하기 위해 트렌치를 안정적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구현한 PC트렌치 높이조절 받침데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차장의 출입구나 가장자리를 비롯하여 도로변이나 각종 건축물 등의 옥외 가장자리에는 빗물이나 오수를 배수 및 집수하기 위해 땅바닥을 파서 배수로나 집수로와 같은 도랑(trench)을 만들고, 그 도랑 안에 금속 트렌치(트렌치 커버를 받쳐주는 받침대 및 배수로 기능을 함)를 매립 설치하며, 이를 별도의 트렌치 커버로 덮어 보행자의 발이나 차량의 바퀴 또는 기타 오물이 내부로 빠지거나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기존의 거푸집 방식에서 최근에는 PC(Precast Concrete) 방식으로 규격화된 성형틀(몰드)을 제작하여 시멘트, 세골재, 혼화재를 믹스(mix)한 재료를 성형틀(몰드)에 부어 진동다짐 후 스팀 양생으로 생산한다. 이 PC(Precast Concrete) 방식에 의해 생상된 트렌치는 기존의 거푸집 방식에 의해 생산된 트렌치에 비해 제품의 생산 및 품질관리가 용이하고, 제품 강도가 좋아 지하주차장 배수로 공사에 최적이다.
한편, 기존에는 이렇게 생산된 트렌치를 지면에 바로 매설하였는데, 이 경우 지면의 높이 차나 기울기 등 설치 장소의 여건에 따라 평행하게 연결할 수 없는 경우 또는 설치가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트렌치의 높이 및 폭에 관계없이 즉, 다양한 높이의 트렌치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받침대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58560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38949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트렌치의 높이에 따라 높이를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높이의 트렌치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현한 PC트렌치 높이조절 받침데크를 제공한다.
또한, 지지부가 받침 기둥의 내측 공간에 삽입됨에 따라 체결홈에 체결부가 딸깍하고 체결되어 고정부와 지지부가 보다 안정적으로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현한 PC트렌치 높이조절 받침데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C트렌치 높이조절 받침데크는, 트렌치를 체결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는 받침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는, 트렌치가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트렌치의 형태에 대응하여 상측이 개방된 "
Figure 112020031002552-pat00001
"형태로 형성되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에 고정된 트렌치의 상부 양측을 체결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프레임의 상부 양측에 형성되는 체결 고리; 트렌치가 고정된 상태의 상기 고정 프레임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프레임의 외측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지지 프레임; 및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 프레임을 지지하며, 상기 지지부의 상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측이 개방 형성되는 받침 기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 프레임은, 트렌치가 안착될 수 있도록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 프레임; 상기 수평 프레임의 일측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1 수직 프레임; 상기 수평 프레임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2 수직 프레임; 트렌치의 상부 일측을 체결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수직 프레임의 상측으로부터 트렌치의 상부 일측면을 따라 경사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1 경사 프레임; 및 트렌치의 상부 다른 일측을 체결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수직 프레임의 상측으로부터 트렌치의 상부 일측면을 따라 경사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2 경사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 고리는, 상기 제1 경사 프레임 및 상기 제2 경사 프레임의 상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 경사 프레임 및 상기 제2 경사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경사 프레임 및 상기 제2 경사 프레임과 대향하는 면을 따라 컷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받침 기둥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받침 기둥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의 원통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 원통; 및 상기 지지 원통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내부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받침부는, 평면 형태로 형성되어 바닥면에 설치되는 받침 플레이트; 및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 원통의 하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내부 나사산 체결될 수 있도록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는 체결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지지 원통에 삽입되는 상기 체결 볼트의 삽입 정도에 대응하여 트렌치를 지지하는 높이가 결정되고, 상기 수평 프레임의 상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지지 원통에 삽입된 상기 체결 볼트에 체결되는 체결 수단에 의하여 상기 지지부의 상측에 체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평 프레임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일측 및 다른 일측에 상기 제1 수직 프레임 및 상기 제2 수직 프레임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내측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홈이 연장 형성되는 프레임 본체; 트렌치가 안착됨에 따라 하측 방향으로 압착되면서 하부 일측 및 다른 일측이 상기 슬라이딩 홈을 따라 상기 제1 수직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수직 프레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받침대; 및 상기 슬라이딩 홈의 일측 및 다른 일측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 본체의 상측에 안착된 트렌치를 체결할 수 있도록 상기 받침대의 하부가 상기 슬라이딩 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기 프레임 본체의 외측 방향으로 밀려 이동하면서 상기 제1 수직 프레임 및 상기 제2 수직 프레임을 회동시켜 주는 구동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받침대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일측에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슬라이딩 홈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 홈을 따라 상기 제1 수직 프레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2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의 다른 일측에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슬라이딩 홈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 홈을 따라 상기 제2 수직 프레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3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3 플레이트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3 플레이트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 본체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일측 및 다른 일측의 각 전단 및 후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안착 돌기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안착 돌기와 대향하는 상측에 안착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 플레이트는, 상기 프레임 본체에 연결 설치되는 상기 제1 수직 프레임 및 상기 제2 수직 프레임의 각 하측의 회동축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에 맞물리기 위한 렉기어가 상측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 플레이트는, 상기 프레임 본체의 외측으로 이동되어 상부가 외부로 노출되면 상측을 따라 형성되는 홈으로부터 지지대가 회동되어 트렌치를 지지하고 있는 상기 제1 수직 프레임 및 상기 제2 수직 프레임의 외측면을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트렌치의 높이에 따라 높이를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높이의 트렌치를 지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가 받침 기둥의 내측 공간에 삽입됨에 따라 체결홈에 체결부가 딸깍하고 체결되어 고정부와 지지부가 보다 안정적으로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C트렌치 높이조절 받침데크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고정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지지부 및 받침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C트렌치 높이조절 받침데크의 각 구성들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PC트렌치 높이조절 받침데크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3의 수평 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구동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1은 도 7의 받침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C트렌치 높이조절 받침데크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C트렌치 높이조절 받침데크(10)는, 고정부(100), 지지부(200) 및 받침부(300)를 포함한다.
고정부(100)는, 트렌치를 체결하여 고정시키며, 지지부(200)에 의하여 지지된다.
지지부(200)는, 고정부(100)의 하측에 설치되어 고정부(100)를 지지하며, 받침부(300)의 상측에 연결 설치된다.
받침부(300)는, 바닥면에 설치되며, 지지부(200)의 하측에 연결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C트렌치 높이조절 받침데크(10)는, 트렌치의 높이에 따라 높이를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높이의 트렌치를 지지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고정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고정부(100)는, 고정 프레임(110), 체결 고리(120), 지지 프레임(130) 및 받침 기둥(140)을 포함한다.
고정 프레임(110)은, 트렌치가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트렌치의 형태에 대응하여 상측이 개방된 "
Figure 112020031002552-pat00002
"형태로 형성되며, 하측에 받침 기둥(140)이 형성되며, 외주면을 따라 지지 프레임(130)이 형성되어 지지된다.
일 실시예에서, 고정 프레임(110)은, 수평 프레임(111), 제1 수직 프레임(112), 제2 수직 프레임(113), 제1 경사 프레임(114) 및 제2 경사 프레임(115)을 포함할 수 있다.
수평 프레임(111)은, 트렌치가 상측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받침 기둥(140)에 의하여 지지된다.
제1 수직 프레임(112)은, 수평 프레임(111)의 일측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며, 상측에 제1 경사 프레임(114)이 형성된다.
제2 수직 프레임(113)은, 수평 프레임(111)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며, 상측에 제2 경사 프레임(115)이 형성된다.
제1 경사 프레임(114)은, 트렌치의 상부 일측을 체결할 수 있도록 제1 수직 프레임(112)의 상측으로부터 트렌치의 상부 일측면을 따라 경사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며, 상측에 체결 고리(120a)가 형성된다.
제2 경사 프레임(115)은, 트렌치의 상부 다른 일측을 체결할 수 있도록 제1 수직 프레임(112)의 상측으로부터 트렌치의 상부 일측면을 따라 경사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며, 상측에 체결 고리(120b)가 형성된다.
체결 고리(120)는, 고정 프레임(110)에 고정된 트렌치의 상부 양측을 체결할 수 있도록 고정 프레임(110)의 상부 양측에 형성된다.
이때, 체결 고리(120a, 120b)는, 트렌치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컷팅홈(121)을 이용하여 각 경사 프레임(114, 115)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체결 고리(120)는, 제1 경사 프레임(114) 및 제2 경사 프레임(115)의 상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제1 경사 프레임(114) 및 제2 경사 프레임(115)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제1 경사 프레임(114) 및 제2 경사 프레임(115)과 대향하는 면을 따라 컷팅홈(12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컷팅홈(121)은, 수평을 위해 설치되는 먹줄이 안착되도록 하여 본 발명이 먹줄 라인을 따라 수평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30)은, 트렌치가 고정된 상태의 고정 프레임(110)을 지지할 수 있도록 고정 프레임(110)의 외측면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받침 기둥(140)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고정 프레임(110)의 하측에 설치되어 고정 프레임(110)을 지지하며, 지지부(200)의 상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측이 개방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받침 기둥(140)은,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외측면에 지지 프레임(141)을 역시 구비하고, 지지부(200)가 삽입되기 위한 개구부(142)를 형성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지지부 및 받침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지지부(200)는, 지지 원통(210) 및 내부 나사산(220)을 포함한다.
지지 원통(210)은, 받침 기둥(140)에 삽입될 수 있도록 받침 기둥(140)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의 원통 형태로 형성하며, 체결 볼트(320)가 삽입되기 위한 내부 공간(211)을 형성한다.
내부 나사산(220)은, 체결 볼트(320)가 지지 원통(210)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지지 원통(21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받침부(300)는, 받침 플레이트(310) 및 체결 볼트(320)를 포함한다.
받침 플레이트(310)는, 평면 형태로 형성되어 바닥면에 설치되며, 양측에 볼트 등의 체결수단(B2, B3)에 의해 바닥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체결수단이 안착되기 위한 안착홈(311)을 형성한다.
체결 볼트(320)는, 받침 플레이트(310)의 상측에 형성되며, 지지 원통(210)의 하측으로부터 삽입되어 내부 나사산(220) 체결될 수 있도록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C트렌치 높이조절 받침데크의 각 구성들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고정부(100)는, 지지 원통(210)에 삽입되는 체결 볼트(320)의 삽입 정도에 대응하여 트렌치를 지지하는 높이가 결정되고, 수평 프레임(111)의 상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지지 원통(210)에 삽입된 체결 볼트(320)에 체결되는 체결 수단(B1)에 의하여 지지부(200)의 상측에 체결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PC트렌치 높이조절 받침데크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C트렌치 높이조절 받침데크(20)는, 고정부(100), 지지부(200) 및 받침부(300)를 포함한다.
고정부(100)는, 고정 프레임(110), 체결 고리(120), 지지 프레임(130) 및 받침 기둥(140) 이외에 받침 기둥(140)의 전단 및 후단 벽체를 "
Figure 112020031002552-pat00003
" 형태로 절개하여 형성되는 체결부(150)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체결부(150)는, 지지부(200)와 대향하는 내측면에 지지부(200)에 삽입되어 체결하기 위한 돌기(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200)는, 지지 원통(210) 및 내부 나사산(220) 이외에 체결부(150)와 대향하는 전단 및 후단에 체결부(150)가 체결되기 위한 체결홈(230)을 더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C트렌치 높이조절 받침데크(20)는, 지지부(200)가 받침 기둥(140)의 내측 공간에 삽입됨에 따라 체결홈(230)에 체결부(150)가 딸깍하고 체결되어 고정부(100)와 지지부(200)가 보다 안정적으로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도 3의 수평 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평 프레임(400)은, 프레임 본체(410), 받침대(420) 및 구동 플레이트(430)를 포함한다.
프레임 본체(410)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일측 및 다른 일측에 제1 수직 프레임(112) 및 제2 수직 프레임(113)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내측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홈(411)이 연장 형성된다.
받침대(420)는, 트렌치가 안착됨에 따라 하측 방향으로 압착되면서 하부 일측 및 다른 일측이 슬라이딩 홈(411)을 따라 제1 수직 프레임(112) 또는 제2 수직 프레임(113)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구동 플레이트(430)를 이동시켜 준다.
구동 플레이트(430)는, 슬라이딩 홈(411)의 일측 및 다른 일측에 연결 설치(즉, 2 개가 설치)되며, 프레임 본체(410)의 상측에 안착된 트렌치를 체결할 수 있도록 받침대(420)의 하부가 슬라이딩 홈(41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프레임 본체(410)의 외측 방향으로 밀려 이동하면서 제1 수직 프레임(112) 및 제2 수직 프레임(113)을 회동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 플레이트(430)는, 프레임 본체(410)에 연결 설치되는 제1 수직 프레임(112) 및 제2 수직 프레임(113)의 각 하측의 회동축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에 맞물리기 위한 렉기어가 상측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 플레이트(430)는, 프레임 본체(410)의 외측으로 이동되어 상부가 외부로 노출되면 상측을 따라 형성되는 홈(431)으로부터 지지대(432)가 회동되어 트렌치를 지지하고 있는 제1 수직 프레임(112) 및 제2 수직 프레임(113)의 외측면을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대(432)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바아(432b)와 하부 바아(432a)가 절첩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접힌 상태로 홈(431)에 안착되었다가, 구동 플레이트(430)가 이동하여 외부로 노출되면 펴지면서 전체 길이 증가되면서 1 수직 프레임(112) 및 제2 수직 프레임(113)의 외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도 11은 도 7의 받침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받침대(420)는, 제1 플레이트(421), 제2 플레이트(422), 제3 플레이트(423) 및 지지 스프링(424)을 포함한다.
제1 플레이트(421)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일측 및 다른 일측에 제2 플레이트(422) 및 제3 플레이트(423)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플레이트(421)는, 슬라이딩 홈(411)에 안착된 뒤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전단 양측과 후단 양측에 안착 돌기(B)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레임 본체(410)는, 제1 플레이트(421)의 일측 및 다른 일측의 각 전단 및 후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안착 돌기(B)가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 돌기(B)와 대향하는 상측에 안착 홈(A)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422)는, 제1 플레이트(421)의 일측에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슬라이딩 홈(411)에 연결 설치되어 슬라이딩 홈(411)을 따라 제1 수직 프레임(112)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구동 플레이트(430)를 이동시켜 준다.
제3 플레이트(423)는, 제1 플레이트(421)의 다른 일측에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슬라이딩 홈(411)에 연결 설치되어 슬라이딩 홈(411)을 따라 제2 수직 프레임(113)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구동 플레이트(430)를 이동시켜 준다.
지지 스프링(424)은, 제2 플레이트(422)와 제3 플레이트(423)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2 플레이트(422)와 제3 플레이트(423) 사이를 지지하여, 제1 플레이트(421)에 트렌치가 안착되기 전에는 제2 플레이트(422)와 제3 플레이트(423) 사이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잡아당겨 받침대(420)가 자립하도록 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PC트렌치 높이조절 받침데크
100: 고정부
200: 지지부
300: 받침부
400: 수평 프레임

Claims (2)

  1. 트렌치를 체결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는 받침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는,
    트렌치가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트렌치의 형태에 대응하여 상측이 개방된 "
    Figure 112020063570951-pat00004
    "형태로 형성되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에 고정된 트렌치의 상부 양측을 체결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프레임의 상부 양측에 형성되는 체결 고리;
    트렌치가 고정된 상태의 상기 고정 프레임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프레임의 외측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지지 프레임; 및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 프레임을 지지하며, 상기 지지부의 상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측이 개방 형성되는 받침 기둥;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프레임은,
    트렌치가 안착될 수 있도록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 프레임;
    상기 수평 프레임의 일측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1 수직 프레임;
    상기 수평 프레임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2 수직 프레임;
    트렌치의 상부 일측을 체결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수직 프레임의 상측으로부터 트렌치의 상부 일측면을 따라 경사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1 경사 프레임; 및
    트렌치의 상부 다른 일측을 체결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수직 프레임의 상측으로부터 트렌치의 상부 일측면을 따라 경사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2 경사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 고리는,
    상기 제1 경사 프레임 및 상기 제2 경사 프레임의 상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 경사 프레임 및 상기 제2 경사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경사 프레임 및 상기 제2 경사 프레임과 대향하는 면을 따라 컷팅홈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받침 기둥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받침 기둥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의 원통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 원통; 및
    상기 지지 원통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내부 나사산;을 포함하며,
    상기 받침부는,
    평면 형태로 형성되어 바닥면에 설치되는 받침 플레이트; 및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 원통의 하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내부 나사산 체결될 수 있도록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는 체결 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지지 원통에 삽입되는 상기 체결 볼트의 삽입 정도에 대응하여 트렌치를 지지하는 높이가 결정되고, 상기 수평 프레임의 상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지지 원통에 삽입된 상기 체결 볼트에 체결되는 체결 수단에 의하여 상기 지지부의 상측에 체결되는, PC트렌치 높이조절 받침데크.
  2. 삭제
KR1020200035936A 2020-03-24 2020-03-24 Pc트렌치 높이조절 받침데크 KR102244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936A KR102244149B1 (ko) 2020-03-24 2020-03-24 Pc트렌치 높이조절 받침데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936A KR102244149B1 (ko) 2020-03-24 2020-03-24 Pc트렌치 높이조절 받침데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4149B1 true KR102244149B1 (ko) 2021-04-30

Family

ID=75740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5936A KR102244149B1 (ko) 2020-03-24 2020-03-24 Pc트렌치 높이조절 받침데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414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560B1 (ko) 2006-08-17 2007-09-13 주식회사 계림폴리콘 구배 프리캐스트 트렌치 구조
JP2009161961A (ja) * 2007-12-28 2009-07-23 Puranteku Kk 側溝及び側溝施工方法
KR20100038949A (ko) 2008-10-07 2010-04-15 김진아 매립형 배수 트렌치 유닛 및 그 설치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560B1 (ko) 2006-08-17 2007-09-13 주식회사 계림폴리콘 구배 프리캐스트 트렌치 구조
JP2009161961A (ja) * 2007-12-28 2009-07-23 Puranteku Kk 側溝及び側溝施工方法
KR20100038949A (ko) 2008-10-07 2010-04-15 김진아 매립형 배수 트렌치 유닛 및 그 설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86496B2 (en) Portable post support
US8920072B2 (en) Drainage channels and methods for making drainage channels
US20160108601A1 (en) Method and device for installing or renovating a basin
KR102148661B1 (ko) 맨홀뚜껑 조립체
KR102244149B1 (ko) Pc트렌치 높이조절 받침데크
US20080193217A1 (en) Trench grate assembly with debris chute
KR102078815B1 (ko) 경사조절 가능한 배수로
EP2268866B1 (en) Drainage system, apparatus, and method
US7165911B2 (en) Manhole cover riser assembly
KR100899680B1 (ko) 일체형 구조를 갖는 배수블럭
JP2002097709A (ja) 排水溝構造
EP1148177A1 (en) Road gully or inspection cover assembly
JPS6235734Y2 (ko)
JP3310431B2 (ja) 小型マンホールの蓋装置
US1944257A (en) Adjustable curb face
CA2840696C (en) Frame for an inlet of a catch basin or manhole
JPH0718723A (ja) 自在勾配道路側溝
JP3236933U (ja) 水路用ブロック
EP0715028B1 (en) Road gully or inspection cover assembly
KR102445309B1 (ko) 배수기능 강화로 안정성이 향상된 배수형 블록
JP3073346U (ja) コンクリート製排水溝ブロック
JP6212170B1 (ja) 可変勾配型側溝の造成方法と側溝造成ブロック
JP2004293187A (ja) 側溝付き擁壁
JPS6042130Y2 (ja) 法止側溝ブロツク
KR200354440Y1 (ko) 연약지반 도로의 아스팔트 침하 방지시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