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4440Y1 - 연약지반 도로의 아스팔트 침하 방지시설 - Google Patents

연약지반 도로의 아스팔트 침하 방지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4440Y1
KR200354440Y1 KR20-2004-0004172U KR20040004172U KR200354440Y1 KR 200354440 Y1 KR200354440 Y1 KR 200354440Y1 KR 20040004172 U KR20040004172 U KR 20040004172U KR 200354440 Y1 KR200354440 Y1 KR 2003544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bsidence prevention
asphalt
subsidence
shaped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41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해경
Original Assignee
(주)다산컨설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산컨설턴트 filed Critical (주)다산컨설턴트
Priority to KR20-2004-00041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44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44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44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16Reinforcements
    • E01C11/165Reinforcements particularly for bituminous or rubber- or plastic-bound pav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3/00Foundations for pavings
    • E01C3/02Concrete base for bituminous pav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3/00Foundations for pavings
    • E01C3/06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otecting foundations from destructive influences of moisture, frost or vib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약지반 도로의 아스팔트 침하 방지시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엘형 측구틀에 측면부 침하 방지틀과 일반부 침하 방지틀이 체결되고, 그 엘형 측구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엘형 측구가 형성되고, 그 측면부 침하 방지틀과 일반부 침하 방지틀에 아스팔트가 포설되어 침하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연약지반 도로의 아스팔트 침하 방지시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연약지반 도로의 아스팔트 침하 방지시설에 있어서, 차도와 보도를 구분하는 엘형 측구의 위치에 엘형 측구틀이 설치되고, 그 엘형 측구틀에 연접되게 측면부 침하 방지틀과 일반부 침하 방지틀이 설치되어 콘크리트가 타설되고 아스팔트가 포설되어 차도를 구성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측면부 침하 방지틀과 일반부 침하 방지틀의 내측으로 차도에서 발생되는 우수가 처리될 수 있는 구조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도로의 아스팔트 침하 방지시설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연약지반 도로의 아스팔트 침하 방지시설{ASPHALT SINKING PREVENTION APPARATUS OF SMOOTH GROUND'S ROAD}
본 고안은 연약지반 도로의 아스팔트 침하 방지시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엘형 측구틀에 측면부 침하 방지틀과 일반부 침하 방지틀이 체결되고, 그 엘형 측구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엘형 측구가 형성되고, 그 측면부 침하 방지틀과 일반부 침하 방지틀에 아스팔트가 포설되어 침하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연약지반 도로의 아스팔트 침하 방지시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약지반 상에 도로가 시공되는 경우, 도 1과 같이, 엘형 측구(30)를 기준으로 차도(50)와 보도(70)가 형성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차량의 잦은 통행으로 인해 화살표와 같이 상부 하중이 발생되면 엘형 측구(30)와 연접한 차도와 보도가 침하되는 경우 빈번하게 발생된다.
이러한 경우는, 대부분 차도와 보도를 시공시, 연약 지반에 전해지는 상부 하중에 따른 별도의 부재가 설치되지 않는 경우에 많이 발생된다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고안은, 엘형 측구틀에 측면부 침하 방지틀과 일반부 침하 방지틀이 체결되고, 그 엘형 측구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엘형 측구가 형성되고, 그 측면부 침하 방지틀과 일반부 침하 방지틀에 아스팔트가 포설되어 침하를 예방할 수 있게 되고, 한편 엘형 측구틀, 측면부 침하 방지틀과 일반부 침하 방지틀이 하부 고정대에 의하여 지지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연약 지반상에 차도를 손쉽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연약지반 도로의 아스팔트 침하 방지시설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연약지반 상에 도로가 형성된 경우 발생되는 문제점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아스팔트 침하 방지시설의 단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아스팔트 침하 방지시설의 분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엘형 측구틀 220: 차도
250: 보도 300: 엘형 측구틀
400,400': 침하 방지틀
본 고안은 상술한 목적 달성을 위해, 본 고안은, 연약지반 도로의 아스팔트 침하 방지시설에 있어서, 차도와 보도를 구분하는 엘형 측구의 위치에 엘형 측구틀이 설치되고, 그 엘형 측구틀에 연접되게 측면부 침하 방지틀과 일반부 침하 방지틀이 설치되어 콘크리트가 타설되고 아스팔트가 포설되어 차도를 구성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측면부 침하 방지틀과 일반부 침하 방지틀의 내측으로 차도에서 발생되는 우수가 처리될 수 있는 구조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도로의 아스팔트 침하 방지시설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아스팔트 침하 방지시설의 단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아스팔트 침하 방지시설의 분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아스팔트 침하 방지시설(800)은, 엘형 측구틀(100), 하부 고정대(300),측면부 침하 방지틀(400)과 일반부 침하 방지틀(400')가 조립식으로 설치되고, 엘형 측구틀(100)에 콘크리트가 타설되고, 측면부 침하 방지틀(400)과 일반부 침하 방지틀(400')에 아스팔트를 포설하여 차도(220)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엘형 측구틀(100)은, 'ㄴ'자 형태로, 콘크리트가 타설되면 경계석과 엘형 측구가 동시에 형성되도록 설치구조를 가지는 한편, 연결재(105)에 의해 수직판(110)이 연결되어 콘크리트가 타설되면 경계석이 형성되고, 중앙에 요철부(115)가 수직하게 입설되며, 몸체 하단부에 다수개의 내부 보강앵커(130)가 설치되고, 길이방향 콘크리트 하부 보강대 양측에 단턱부(120)가 형성되며, 몸체의 측면에 체결 볼트홀(117)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 고정대(300)는, 'ㅗ'자형 형태로 단면 구조가 형성되며, 엘형 측구틀(100), 측면부 및 일반부 침하 방지틀(400)(400')을 폭 방향으로 지지하는 부재이다.
상기 측면부 침하 방지틀(400)은, 상단면이 요철 형태의 덱크(DECK)로 형성되는 한편, 엘형 측구틀(100)과 접하는 위치에 수직판부(404)가 형성되고, 그 수직판부(404)에 체결 볼트홀이 형성되어 엘형 측구틀(100)과 연결 플레이트(140)와 체결 볼트(150)로 체결된다.
또한, 상기 측면부 침하 방지틀(400)은, 덱크의 하단부에 다수개의 내부 보강앵커(430)가 형성되며, 길이방향 콘크리트 하부 보강대 양측에 각각 단턱부(420)가 형성되고, 일반부 침하 방지틀(400')과 접하는 위치에 체결핀(435)이 형성되어 연결 플레이트(440)에 의해 체결 고정된다.
상기 일반부 침하 방지틀(400')은, 상단면이 요철 형태의 덱크로 형성되는 한편, 폭 방향 양측에 각각 체결핀(435)이 형성되고, 하단부에 다수개의 내부 보강앵커(430)가 형성되며,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단턱부(420)가 형성된다.
상기 측면부 및 일반부 침하 방지틀(400)(400')은, 덱크 형상의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는 배수홀(460)이 형성되어 아스팔트(A)가 포설된 후 차도 상에서 발생되는 우수를 배수처리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된다.
상술한 아스팔트 침하방지시설은, 그 구조상, 조립식 형태로 형성된 틀재들을 지반 다짐한 차도상에 적치한 후 콘크리트(C)와 아스팔트(A)를 각각 타설하고 포설하여 차도를 시공하는 관계로, 시공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상술한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한 효과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아스팔트 침하 방지시설은, 아스팔트 포장층의 침하를 예방할 수 있도록 측면부 침하 방지틀과 일반부 침하 방지틀이 차도 상에 설치되어 상부에서전해지는 과다 하중에 적절하게 대응하므로 아스팔트 포장층의 침하가 예방되고, 엘형 측구틀, 측면부 침하 방지틀과 일반부 침하 방지틀로 구성되는 관계로 차도를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연약지반 도로의 아스팔트 침하 방지시설에 있어서,
    차도와 보도를 구분하는 엘형 측구의 위치에 엘형 측구틀이 설치되고, 그 엘형 측구틀에 연접되게 측면부 침하 방지틀과 일반부 침하 방지틀이 설치되어 콘크리트가 타설되고 아스팔트가 포설되어 차도를 구성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측면부 침하 방지틀과 일반부 침하 방지틀의 내측으로 차도에서 발생되는 우수가 처리될 수 있는 구조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도로의 아스팔트 침하 방지시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엘형 측구틀(100)은, 'ㄴ'자 형태로, 연결재(105)에 의해 수직판(110)이 연결되고, 중앙에 요철부(115)가 수직하게 입설되며, 몸체 하단부에 다수개의 내부 보강앵커(130)가 설치되고, 길이방향 콘크리트 하부 보강대 양측에 단턱부(120)가 형성되며, 몸체의 측면에 체결 볼트홀(117)이 형성되며,
    상기 엘형 측구틀(100)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하부 고정대(300)는, 'ㅗ'자형 형태로 단면 구조가 형성되고, 엘형 측구틀(100), 측면부 및 일반부 침하 방지틀(400)(400')을 폭 방향으로 지지하는 한편,
    상기 측면부 침하 방지틀(400)은, 상단면이 요철 형태의 덱크(DECK)로 형성되고, 엘형 측구틀(100)과 접하는 위치에 수직판부(404)가 형성되며, 그 수직판부(404)에 체결 볼트홀이 형성되어 엘형 측구틀(100)과 연결 플레이트(140)와 체결 볼트(150)로 체결되고,
    덱크의 하단부에 다수개의 내부 보강앵커(430)가 형성되며,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단턱부(420)가 형성되고, 일반부 침하 방지틀(400')과 접하는 위치에 체결핀(435)이 형성되어 연결 플레이트(440)에 의해 체결 고정되며,
    상기 일반부 침하 방지틀(400')은, 상단면이 요철 형태의 덱크로 형성되고,폭 방향 양측에 각각 체결핀(435)이 형성되고, 하단부에 다수개의 내부 보강앵커(430)가 형성되며, 길이방향 콘크리트 하부 보강대 양측에 각각 단턱부(4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도로의 아스팔트 침하 방지시설.
KR20-2004-0004172U 2004-02-18 2004-02-18 연약지반 도로의 아스팔트 침하 방지시설 KR2003544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172U KR200354440Y1 (ko) 2004-02-18 2004-02-18 연약지반 도로의 아스팔트 침하 방지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172U KR200354440Y1 (ko) 2004-02-18 2004-02-18 연약지반 도로의 아스팔트 침하 방지시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0629A Division KR100580614B1 (ko) 2004-02-18 2004-02-18 연약지반 도로의 아스팔트 침하 방지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4440Y1 true KR200354440Y1 (ko) 2004-06-25

Family

ID=49347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4172U KR200354440Y1 (ko) 2004-02-18 2004-02-18 연약지반 도로의 아스팔트 침하 방지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444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2923B1 (ko) * 2004-03-02 2005-04-22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연약지반 아스팔트 도로의 침하방지시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2923B1 (ko) * 2004-03-02 2005-04-22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연약지반 아스팔트 도로의 침하방지시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4170B1 (ko) 도로경계석 시공장치
KR100935790B1 (ko) 매립형 가로등기초대 및 이를 이용한 가로등 설치방법
KR200354440Y1 (ko) 연약지반 도로의 아스팔트 침하 방지시설
KR100580614B1 (ko) 연약지반 도로의 아스팔트 침하 방지시설
US10794034B2 (en) Adapter frame
KR200437489Y1 (ko) 보차도 경계블록용 설치구
JP2518390Y2 (ja) 張出歩道ブロック及びそれを用いた張出歩道構造
KR20050100131A (ko) 보도가 확보되지 않은 협소한 도로에서 콘크리트옹벽블록과 트러스형 받침대를 이용한 보도확보 및차도확폭 시공방법
KR101973983B1 (ko) 트렌치뚜껑과 이것이 구비된 l형 콘크리트 블럭 그리고 l형 콘크리트 블럭의 시공방법
JP2012012827A (ja) 側溝蓋及びその設置方法並びに側溝
KR101153717B1 (ko) 다웰바를 구비하고 배수홈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받침슬래브를 이용한 콘크리트 슬래브의 이음구조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슬래브 이음시공방법
KR101037594B1 (ko) 날개형 블록
KR100475329B1 (ko) 기능성 경계석을 가지는 엘형 측구 및 그 시공 방법
KR200348534Y1 (ko) 날개형 보도 블록
JP7200429B1 (ja) 縁石一体型排水ブロック
KR20050021422A (ko) 도로의 조립식 보도시설물
KR200357080Y1 (ko) 경사면 도로 이탈방지용 앵커보도 블럭의 설치구조
KR100274747B1 (ko) 전주의 설치공법 및 그 지지구
CN218597322U (zh) 一种防沉降进水井
KR200351432Y1 (ko) 날개형 보도 블록
KR20110006423A (ko) 도로 경계용 측구 시공방법
JPS59114301A (ja) 組立歩道
CN219011411U (zh) 一种组合进水式路面排水结构
KR200348536Y1 (ko) 에프.알.피 패널을 이용한 도로 엘형 측구 아스팔트접속부 침하방지 시설
JPH0718723A (ja) 自在勾配道路側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10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