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3983B1 - 트렌치뚜껑과 이것이 구비된 l형 콘크리트 블럭 그리고 l형 콘크리트 블럭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트렌치뚜껑과 이것이 구비된 l형 콘크리트 블럭 그리고 l형 콘크리트 블럭의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73983B1 KR101973983B1 KR1020180119959A KR20180119959A KR101973983B1 KR 101973983 B1 KR101973983 B1 KR 101973983B1 KR 1020180119959 A KR1020180119959 A KR 1020180119959A KR 20180119959 A KR20180119959 A KR 20180119959A KR 101973983 B1 KR101973983 B1 KR 10197398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undary
- lid
- block
- trench
- lid bod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와 보행로의 경계에 구비되는 측구 또는 집수정을 개폐하되, 트렌치뚜껑의 막힘 현상을 최소화하는 한편 측구 또는 집수정으로의 물 유입을 원활하게 하고, 측구 또는 집수정을 통해 물이 빠르게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트트렌치뚜껑과 이것이 구비된 L형 콘크리트 블럭 그리고 L형 콘크리트 블럭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트렌치뚜껑은 측구 또는 집수정의 개구부를 폐쇄하기 위한 뚜껑바디를 포함하되, 뚜껑바디에는 뚜껑바디의 중앙 부분을 기준으로 도로 쪽 가장자리로부터 뚜껑바디의 중앙 부분을 향해 경사를 이루는 방향을 따라 뚜껑바디에 함몰 형성되는 경사유도부와, 경사유도부의 일부 또는 전체가 포함되도록 뚜껑바디에 관통 형성되는 제1배수구멍과, 뚜껑바디의 중앙 부분을 기준으로 경계석 쪽에서 도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뚜껑바디에 함몰 형성되는 수평유도부와, 뚜껑바디의 중앙 부분을 기준으로 경계석 쪽에서 수평유도부와 교차되는 방향을 따라 뚜껑바디에 관통 형성되는 제2배수구멍 및 뚜껑바디의 가장자리로부터 수평유도부를 향해 함몰되어 경계석 쪽이 개구되도록 뚜껑바디에 관통 형성되는 제3배수구멍이 포함된다.
이를 위해 트렌치뚜껑은 측구 또는 집수정의 개구부를 폐쇄하기 위한 뚜껑바디를 포함하되, 뚜껑바디에는 뚜껑바디의 중앙 부분을 기준으로 도로 쪽 가장자리로부터 뚜껑바디의 중앙 부분을 향해 경사를 이루는 방향을 따라 뚜껑바디에 함몰 형성되는 경사유도부와, 경사유도부의 일부 또는 전체가 포함되도록 뚜껑바디에 관통 형성되는 제1배수구멍과, 뚜껑바디의 중앙 부분을 기준으로 경계석 쪽에서 도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뚜껑바디에 함몰 형성되는 수평유도부와, 뚜껑바디의 중앙 부분을 기준으로 경계석 쪽에서 수평유도부와 교차되는 방향을 따라 뚜껑바디에 관통 형성되는 제2배수구멍 및 뚜껑바디의 가장자리로부터 수평유도부를 향해 함몰되어 경계석 쪽이 개구되도록 뚜껑바디에 관통 형성되는 제3배수구멍이 포함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트렌치뚜껑과 이것이 구비된 L형 콘크리트 블럭 그리고 L형 콘크리트 블럭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로와 보행로의 경계에 구비되는 측구 또는 집수정을 개폐하되, 트렌치뚜껑의 막힘 현상을 최소화하는 한편 측구 또는 집수정으로의 물 유입을 원활하게 하고, 측구 또는 집수정을 통해 물이 빠르게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트렌치뚜껑과 이것이 구비된 L형 콘크리트 블럭 그리고 L형 콘크리트 블럭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변에는 차량이 운행되는 도로와 보행자가 통행하는 보행로를 구획하고자 도로와 보행로 사이의 경계에 정렬 배치되는 경계블럭이 설치되어 구획되며, 경계블럭에 접한 도로 측에는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배수구 등이 설치되는 측구가 시공된다. 특히, 측구는 비나 눈에 의해 생긴 도로면의 물을 배수하기 위하여 도로 양쪽 또는 한쪽 도로에 평행하게 만든 배수구로서, 하수구가 완비된 시가지에서는 도로의 양쪽을 낮게 포장한다거나 낮은 L자형의 측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측구를 설치하는 것은 자동차 주행 상의 안정성과 주차 등의 편리성을 고려한 것이다. 이러한 측구에 유입된 물은 일정한 간격마다 설치된 집수 유입구에 떨어져 하수도로 흘러든다.
상기와 같이 도로와 보행로 사이를 구획하고자 설치되는 종래의 경계블럭과 측구는, 먼저 경계석을 일정한 크기를 갖도록 통상적인 제조방식에 의해 별도로 제작한 다음, 시공하고자 하는 지역으로 운반하여 시공하거나, 측구와 함께 시공하는 것이며, 측구는 지면에 일정 폭을 가지면서 평탄성을 갖도록 거푸집 등을 이용하여 통상적인 방식에 의해 시공이 이루어졌다.
이렇게, 도로변에 설치되는 종래의 경계블럭과 측구는 별도의 제작 과정과 각각의 시공 작업을 통하여 시공됨으로써, 즉 경계블럭을 시공하기 위한 작업과 측구를 시공하기 위한 작업이 각각 개별적으로 이루어져 작업의 효율성이 상당히 저하됨은 물론 경제적인 손실 또한 상당히 큰 문제점이 초래되었다. 또한, 경계블럭을 제작하기 위한 별도의 시설물에서 제작부터 운반 및 시공이 각각 별개로 이루어짐으로써, 경계블럭 제작 및 시공에 따른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 게릴라성 호우나 태풍의 증가 또는 폭설와 함께 국지적, 집중적인 비나 눈의 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도로나 보행로의 물을 배수하지 못하여 도로나 보행로의 침수 또는 도로나 보행로의 결빙 피해가 많다. 또한, 비나 눈에 의해 낙엽, 쓰레기 등의 배수를 저해하는 이물질이 트렌치뚜껑에 퇴적됨에 따라 트렌치뚜껑의 막힘 현상이 발생되어 도로나 보행로의 물의 배수를 저해시키는 문제가 가중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로와 보행로의 경계에 구비되는 측구 또는 집수정을 개폐하되, 트렌치뚜껑의 막힘 현상을 최소화하는 한편 측구 또는 집수정으로의 물 유입을 원활하게 하고, 측구 또는 집수정을 통해 물이 빠르게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트렌치뚜껑과 이것이 구비된 L형 콘크리트 블럭 그리고 L형 콘크리트 블럭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뚜껑은 측구 또는 집수정의 개구부를 폐쇄하기 위한 뚜껑바디; 상기 뚜껑바디의 상부면보다 돌출되도록 상기 뚜껑바디의 가장자리 중 경계석 쪽 가장자리를 제외한 나머지 가장자리에 일체로 형성되는 유도경사블럭;을 포함하되, 상기 뚜껑바디에는, 상기 뚜껑바디의 중앙 부분을 기준으로 도로 쪽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뚜껑바디의 중앙 부분을 향해 경사를 이루는 방향을 따라 상기 뚜껑바디에 함몰 형성되는 경사유도부; 상기 경사유도부의 일부 또는 전체가 포함되도록 상기 뚜껑바디에 관통 형성되는 제1배수구멍; 상기 뚜껑바디의 중앙 부분을 기준으로 상기 경계석 쪽에서 상기 도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뚜껑바디에 함몰 형성되는 수평유도부; 상기 뚜껑바디의 중앙 부분을 기준으로 상기 경계석 쪽에서 상기 수평유도부와 교차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뚜껑바디에 관통 형성되는 제2배수구멍; 및 상기 뚜껑바디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수평유도부를 향해 함몰되어 상기 경계석 쪽이 개구되도록 상기 뚜껑바디에 관통 형성되는 제3배수구멍;이 포함되며, 상기 제1배수구멍의 폭은 상기 제2배수구멍의 폭보다 작고, 상기 제2배수구멍의 폭은 상기 제3배수구멍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유도경사블럭에는, 상기 뚜껑바디의 상부면을 향해 하향 경사를 이루는 하향경사면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뚜껑바디에는, 상기 뚜껑바디의 상부면에 상호 이격된 상태로 돌출 형성되는 다수 개의 논슬립돌기; 및 상기 도로 쪽이 개구되도록 상기 뚜껑바디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경사유도부를 향해 함몰 형성되는 제4배수구멍;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더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L형 콘크리트 블럭은 측구 또는 집수정의 개구부에 안착 지지되되, 상기 개구부와 연통되는 투수홀이 관통 형성된 베이스블럭과, 경계석의 배치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블럭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되 상기 투수홀과 연통되도록 도로 쪽으로부터 보행로 쪽을 향해 배수홈이 함몰 형성된 경계블럭이 일체로 형성되는 측구블럭; 상기 투수홀이 폐쇄되도록 상기 투수홀에 탈부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트렌치뚜껑; 상기 배수홈이 폐쇄되도록 상기 경계블럭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되, 도로 또는 보행로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통과되는 배수홀이 관통 형성되는 경계뚜껑; 및 상기 경계뚜껑을 상기 경계블럭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투수홀에는, 상기 트렌치뚜껑의 가장자리가 걸림 지지되는 트렌치지지돌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트렌치뚜껑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뚜껑;을 포함한다.
삭제
삭제
여기서, 상기 경계뚜껑은, 상기 배수홈이 폐쇄되도록 상기 배수홈에 끼움 결합되되 상기 배수홀이 구비되는 경계바디; 및 상기 배수홈의 바닥에 지지되도록 상기 경계바디에서 돌출 형성되되 상기 결합부재의 일부가 통과하는 결합홀이 관통 형성된 결합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배수홈에는, 상기 경계바디의 가장자리가 지지되는 경계지지돌부;가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수홈의 바닥에는, 상기 결합홀에 대응하여 상기 결합부재가 결합 고정되는 고정홈;이 함몰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L형 콘크리트 블럭의 시공방법은 상기 측구블럭의 폭에 대응하여 상기 개구부와 상기 경계석의 배치영역이 형성되도록 상기 측구의 마감부 또는 상기 집수정의 상부와 상기 경계석을 잘라내어 끼워맞춤부를 형성하는 절개단계; 상기 측구 또는 집수정의 개구부에 상기 베이스블럭이 안착 지지되고, 상기 경계석의 배치영역에 상기 경계블럭이 안착 지지되도록 상기 절개단계를 거쳐 형성된 상기 끼워맞춤부에 상기 측구블럭을 끼움 결합하는 끼워맞춤단계; 및 상기 측구 또는 집수정과 상기 베이스블럭 사이의 이격공간 및 상기 경계석과 상기 경계블럭 사이의 이격공간을 밀폐시키는 타설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L형 콘크리트 블럭의 시공방법은 시공하고자 하는 측구 또는 집수정의 개구부에 상기 베이스블럭이 배치되고, 시공하고자 하는 경계석의 배치영역에 상기 경계블럭이 배치되도록 상기 도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상기 측구의 배수로 상부 또는 상기 집수정의 상부에 상기 측구블럭을 배치하는 블록설치단계; 상기 측구의 개구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마감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배수로의 상부를 밀폐시키거나, 상기 집수정의 상부에서 상기 측구블럭을 고정시키는 배수로마감단계; 및 상기 경계석의 배치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상기 경계석이 설치되도록 상기 도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경계블럭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상기 경계석을 설치하는 경계석설치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L형 콘크리트 블럭의 시공방법은 상기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경계블럭에 상기 경계뚜껑을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1뚜껑결합단계; 및 상기 베이스블럭에 트렌치뚜껑을 탈부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시키는 제2뚜껑결합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뚜껑과 이것이 구비된 L형 콘크리트 블럭 그리고 L형 콘크리트 블럭의 시공방법에 따르면, 도로와 보행로의 경계에 구비되는 측구 또는 집수정을 개폐하되, 트렌치뚜껑의 막힘 현상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하는 한편 측구 또는 집수정으로의 물 유입을 원활하게 하고, 측구 또는 집수정을 통해 물이 빠르게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트렌치뚜껑의 구조를 통해 물과 이물질이 흐르는 경로를 특정시켜 최적의 형상을 구현할 수 있고, 이물질의 퇴적에 따라 배수 능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물질의 퇴적에도 불구하고 트렌치뚜껑에서 월류하지 않고 기설정된 배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트렌치뚜껑의 구조를 통해 물과 이물질의 꾸준한 흐름을 유도하는 한편 뛰어난 집수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트렌치뚜껑의 구조를 통해 물과 이물질의 흐름을 트렌치뚜껑의 중앙부와 경계석 쪽으로 안정되게 유도할 수 있고, 트렌치뚜껑의 중앙부에서 이물질의 퇴적을 유도하는 한편, 트렌치뚜껑 상부의 이물질이 측구 또는 집수정으로 안정되게 유입됨으로써, 트렌치뚜껑의 청소를 최소화하고 트렌치뚜껑에서 90% 이상의 배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트렌치뚜껑의 구조를 통해 자전거나 보행기 등 측구 또는 집수정의 상측에서 이동되는 이동체의 바퀴 빠짐 및 이동체와 보행자가 트렌치뚜껑을 지나갈 때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고, 이동체와 보행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트렌치뚜껑의 경사유도부 및 제1배수구멍을 통해 도로 쪽에서 유입되는 물과 이물질을 경계석 쪽으로 빠르게 유도하는 한편, 이물질을 거른 상태에서 물이 측구 또는 집수정으로 안정되게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트렌치뚜껑의 수평유도부 및 제2배수구멍을 통해 도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흐르는 물과 이물질이 트렌치뚜껑을 통과할 때, 물과 이물질을 제2배수구멍으로 빠르게 유도하는 한편, 이물질과 물이 측구 또는 집수정으로 안정되게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트렌치뚜껑의 제3배수구멍을 통해 도로 쪽에서 유입되는 물과 이물질 및 도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흐르는 물과 이물질이 측구 또는 집수정으로 안정되게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트렌치뚜껑의 논슬립돌기를 통해 이물질이 트렌치뚜껑의 중앙부에서 안정되게 퇴적되도록 하는 한편, 이동체 및 보행자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트렌치뚜껑의 유도경사블럭을 통해 트렌치뚜껑으로 유입되는 물과 이물질의 이동을 가속화시키고, 물과 이물질을 제1배수구멍 내지 제3배수구멍으로 안정되게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경계뚜껑을 통해 트렌치뚜껑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거르는 한편, 물이 측구 또는 집수정으로 안정되게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결합부재를 통해 측구블럭에서 경계뚜껑의 탈부착을 간편하게 하고, 경계뚜껑의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체화된 측구블럭을 통해 기존 측구 또는 집수정에서의 설치 및 유지보수를 간편하게 할 수 있고, 트렌치뚜껑 및 경계뚜껑의 탈부착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트렌치뚜껑과 경계뚜껑으로 유입되는 물이 배수로로 안정되게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 측구 또는 집수정은 물론 측구 또는 집수정의 신축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렌치뚜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형 콘크리트 블럭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형 콘크리트 블럭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분해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형 콘크리트 블럭이 측구에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형 콘크리트 블럭이 집수정에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형 콘크리트블럭의 시공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L형 콘크리트 블럭의 시공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형 콘크리트 블럭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형 콘크리트 블럭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분해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형 콘크리트 블럭이 측구에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형 콘크리트 블럭이 집수정에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형 콘크리트블럭의 시공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L형 콘크리트 블럭의 시공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뚜껑과 이것이 구비된 L형 콘크리트 블럭 그리고 L형 콘크리트 블럭의 시공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렌치뚜껑(20)은 뚜껑바디(21)를 포함하고, 유도경사블럭(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뚜껑바디(21)는 측구 또는 집수정(CW)의 개구부를 폐쇄하기 위한 부재이다. 여기서, 집수정(CW)에는 도수관(CP)이 연결된다. 뚜껑바디(21)는 측구 또는 집수정(CW)의 개구부 또는 후술하는 측구블럭(10)의 투수홀(111)에 대응하여 사각 평면을 형성하는 판 형상을 나타낼 수 있으며, 그 형상은 측구 또는 집수정(CW)의 개구부 또는 후술하는 측구블럭(10)의 투수홀(111) 형상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나타낼 수 있다. 뚜껑바디(21)는 구상흑연주철(일명, 닥타일주철 또는 덕타일주철이라고도 함) 재질을 포함함으로써, 일반 주철에 비해 강도와 내열성과 내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뚜껑바디(21)는 측구 또는 집수정(CW)의 개구부를 폐쇄시킬 수 있다. 일예로, 뚜껑바디(21)는 측구 또는 집수정(CW)의 개구부에 형성된 돌출지지부(미도시)에 걸림 지지되도록 측구 또는 집수정(CW)의 개구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측구 또는 집수정(CW)의 개구부에 측구블럭(10)이 결합되고, 뚜껑바디(21)는 측구블럭(10)의 투수홀(111)에 형성된 트렌치지지돌부(112)에 걸림 지지되도록 측구블럭(10)의 투수홀(111)에 탈부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뚜껑바디(21)에는 경사유도부(211)와, 제1배수구멍(212)과, 수평유도부(213)와, 제2배수구멍(214)과, 제3배수구멍(216)을 포함하고, 논슬립돌기(217)와, 제4배수구멍(218)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경사유도부(211)는 뚜껑바디(21)의 중앙 부분을 기준으로 도로(R) 쪽 가장자리로부터 뚜껑바디(21)의 중앙 부분을 향해 경사를 이룬다. 경사유도부(211)는 경사 방향을 따라 뚜껑바디(21)에 함몰 형성된다. 경사유도부(211)는 둘 이상이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한다. 경사유도부(211)는 뚜껑바디(21)의 중앙 부분을 기준으로 선대칭을 이룰 수 있다.
제1배수구멍(212)은 경사유도부(211)의 일부 또는 전체가 포함되도록 한다. 제1배수구멍(212)은 뚜껑바디(21)의 경사유도부(211)에 관통 형성된다. 제1배수구멍(212)은 경사유도부(2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배수구멍(212)은 둘 이상이 경사유도부(2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수평유도부(213)는 뚜껑바디(21)의 중앙 부분을 기준으로 경계석(B) 쪽에서 도로(R)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수평유도부(213)는 경사유도부(211)에서 이격되어 뚜껑바디(21)에 함몰 형성된다. 수평유도부(213)는 하나이거나 둘 이상이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한다. 수평유도부(213)의 폭은 경사유도부(211)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배수구멍(214)은 뚜껑바디(21)의 중앙 부분을 기준으로 경계석(B) 쪽에서 수평유도부(213)와 교차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제2배수구멍(214)은 경사유도부(211)와 경계석(B) 사이에서 수평유도부(213)를 가로지르도록 뚜껑바디(21)에 관통 형성된다. 제2배수구멍(214)은 하나이거나 둘 이상이 수평유도부(213)를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2배수구멍(214)은 뚜껑바디(21)의 중앙 부분을 기준으로 선대칭을 이룰 수 있다.
제3배수구멍(216)은 뚜껑바디(21)의 가장자리로부터 수평유도부(213)를 향해 함몰 형성된다. 제3배수구멍(216)은 경계석(B) 쪽이 개구되도록 뚜껑바디(21)에 관통 형성된다. 제3배수구멍(216)은 수평유도부(213)와 경계석(B) 사이에서 뚜껑바디(21)에 관통 형성된다. 제3배수구멍(216)은 하나이거나 둘 이상이 수평유도부(213)를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3배수구멍(216)은 뚜껑바디(21)의 중앙 부분을 기준으로 선대칭을 이룰 수 있다.
논슬립돌기(217)는 뚜껑바디(21)의 상부면에 돌출 형성된다. 논슬립돌기(217)는 다수 개가 뚜껑바디(21)의 상부면에 상호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좀더 자세하게, 다수 개의 논슬립돌기(217)는 뚜껑바디(21)의 상부면에서 경사유도부(211)가 형성된 부분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수 개의 논슬립돌기(217)는 뚜껑바디(21)의 상부면에서 수평유도부(213)가 형성된 부분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다수 개의 논슬립돌기(217)는 뚜껑바디(21)의 상부면에서 경사유도부(211)가 형성된 부분과 수평유도부(213)가 형성된 부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4배수구멍(218)은 뚜껑바디(21)의 가장자리로부터 경사유도부(211)를 향해 함몰 형성된다. 제4배수구멍(218)은 도로(R) 쪽이 개구되도록 뚜껑바디(21)에 관통 형성된다. 제4배수구멍(218)은 하나이거나 둘 이상이 수평유도부(213)를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4배수구멍(218)은 뚜껑바디(21)의 중앙 부분을 기준으로 선대칭을 이룰 수 있다.
유도경사블럭(22)은 뚜껑바디(21)의 상부면보다 돌출되도록 뚜껑바디(21)의 가장자리 중 경계석(B) 쪽 가장자리를 제외한 나머지 가장자리에 일체로 형성된다. 유도경사블럭(22)의 돌출 높이는 논슬립돌기(217)의 돌출 높이와 같거나 높게 형성되어 단차를 형성하고, 이동체 또는 보행자에게 햅틱 효과를 주고, 이동체 또는 보행자가 주의할 수 있도록 한다.
유도경사블럭(22)에는 뚜껑바디(21)의 상부면을 향해 하향 경사를 이루는 하향경사면(221)이 구비되어 뚜껑바디(21)로 유입되는 물을 뚜껑바디(21)의 중앙 부분으로 빠르게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배수구멍(212)에서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하고, 제2배수구멍(214)과 제3배수구멍(216)에서는 이물질이 물과 함께 통과되도록 한다. 좀더 자세하게, 제1배수구멍(212)의 폭(a, 길게 형성되는 제1배수구멍(212)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폭 방향에서 제1배수구멍의 길이)은 제2배수구멍(214)의 폭(b, 도로(R)의 길이 방향에서 제2배수구멍(214)의 길이)보다 작고, 제2배수구멍(214)의 폭(b)은 제3배수구멍(216)의 폭(c, 도로(R)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폭 방향에서 제3배수구멍(216)의 길이)과 같거나 작게 형성됨으로써, 뚜껑바디(21)의 중앙 부분으로 이물질을 유도하는 한편, 제2배수구멍(214)과 제3배수구멍(216)에서 이물질의 통과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하지만, 상술한 크기 조건을 벗어나는 경우, 배수구멍들(212, 214, 216)의 막힘 현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렌치뚜껑(20)에서 물이 월류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형 콘크리트 블럭은 측구 또는 집수정(CW)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한편, 경계석(B)의 일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형 콘크리트 블럭은 측구블럭(10)과, 경계뚜껑(30)과, 결합부재(40)를 포함하고, 트렌치뚜껑(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측구블럭(10)은 끼워맞춤부(측구 또는 집수정(CW)의 개구부와 여기에 연통된 경계석(B)의 배치영역)에 끼움 결합된다. 측구블럭(10)은 베이스블럭(11)과 베이스블럭(11)에 일체로 형성된 경계블럭(12)을 포함한다.
베이스블럭(11)은 측구 또는 집수정(CW)의 개구부에 안착 지지된다. 베이스블럭(11)에는 측구 또는 집수정(CW)의 개구부와 연통되는 투수홀(111)이 관통 형성된다. 투수홀(111)에는 트렌치뚜껑(20)의 가장자리가 걸림 지지되는 트렌치지지돌부(112)가 돌출 형성된다. 트렌치지지돌부(112)는 투수홀(111)의 내측면 중 경계석(B) 쪽을 제외한 나머지 내측면에서 돌출되거나 투수홀(111)의 내측면 중 도로(R) 쪽과 경계석(B) 쪽을 제외한 나머지 내측면에서 상호 마주보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트렌치지지돌부(112)에 걸림 지지되는 트렌치뚜껑(20)의 상단은 측구의 마감부(C) 상단과 실질적으로 일치되어 이동체 또는 보행자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고, 이동체 또는 보행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경계블럭(12)은 경계석(B)의 배치영역에 대응하여 베이스블럭(11)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다. 경계블럭(12)에는 투수홀(111)과 연통되도록 도로(R) 쪽으로부터 보행로(W) 쪽을 향해 배수홈(121)이 함몰 형성된다. 배수홈(121)에는 경계뚜껑(30)의 경계바디(31)의 가장자리가 지지되는 경계지지돌부가 돌출 형성된다. 다른 표현으로, 배수홈(121)은 경계바디(31)의 폭 방향 양측단부에서 각각 베이스블럭(11)의 상측을 향해 돌출된 경계날개부 사이의 공간을 지시할 수 있다.
경계지지돌부에는 경계바디(31)의 폭 방향에 따른 양측단부와 경계바디(31)의 상부가 지지되도록 한다. 경계지지돌부는 경계바디(31)의 폭 방향에 따른 양측단부가 지지되는 측부지지돌부(122)와, 경계바디(31)의 상부가 지지되는 상부지지돌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측부지지돌부(122)는 경계날개부에서 돌출되고, 상부지지돌부(124)는 배수홈(121)의 바닥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때, 경계지지돌부에는 경계뚜껑(30)에 구비된 체결홀에 대응하여 체결부재(50)가 결합 고정되는 지지홈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체결부재(50)의 종류에 따라 지지홈에는 너트가 삽입 고정되거나, 앵커볼트가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좀더 자세하게, 지지홈은 측부지지돌부(122)에 함몰 형성되는 측부지지홈(1221)과, 상부지지돌부(124)의 상부면에 함몰 형성되는 상부지지홈(1241)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측부지지돌부(122)에는 경계뚜껑(30)에 구비된 체결홀 중 제1체결홀(312)에 대응하여 체결부재(50)가 결합 고정되는 측부지지홈(1221)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지지돌부(124)에는 경계뚜껑(30)에 구비된 체결홀 중 제2체결홀(314)에 대응하여 체결부재(50)가 결합 고정되는 상부지지홈(1241)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경계바디(31)의 폭 방향은 도로(R)의 길이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평행한 방향을 의미한다. 이때, 배수홈(121)의 바닥은 경계날개부 사이에서 경계바디(31)의 측면부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배수홈(121)의 바닥(경계날개부 사이에서 도로(D) 쪽을 바라보는 면)에는 경계뚜껑(30)에 구비된 결합홀(321)에 대응하여 결합부재(40)가 결합 고정되는 고정홈(123)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결합부재(40)의 종류에 따라 고정홈(123)에는 너트가 삽입 고정되거나, 앵커볼트가 삽입 고정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부지지돌부(124)에는 경계뚜껑(30)에 구비된 결합브라켓이 삽입 안착되는 브라켓안착홈(미도시)이 함몰 형성되고, 브라켓안착홈(미도시)의 바닥에 고정홈(123)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트렌치뚜껑(20)은 투수홀(111)이 폐쇄되도록 투수홀(111)에 탈부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된다. 이때, 투수홀(111)에는 트렌치지지돌부(112)가 돌출 형성되므로, 트렌치뚜껑(20)의 가장자리가 걸림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트렌치뚜껑(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렌치뚜껑(20)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경계뚜껑(30)은 경계블럭(12)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경계뚜껑(30)은 배수홈(121)의 전방(배수홈(121)의 바닥과 마주보는 부분)과 상측을 폐쇄한다. 경계뚜껑(30)에는 도로(R) 또는 보행로(W)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통과되는 배수홀(311)이 관통 형성된다.
경계뚜껑(30)은 배수홈(121)이 폐쇄되도록 배수홈(121)에 끼움 결합되되 배수홀(311)이 구비되는 경계바디(31)와, 배수홈(121)의 바닥에 지지되도록 경계바디(31)에서 돌출 형성되되 결합부재(40)의 일부가 통과하는 결합홀(321)이 관통 형성된 결합브라켓(32)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경계바디(31)의 가장자리는 경계블럭(12)에 구비된 경계지지돌부에 걸림 지지되므로, 배수홈(121)의 바닥과 경계바디(31)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물이 배수홈(121)을 거쳐 투수홀(111)로 안정되게 유입되도록 한다. 경계바디(31)의 가장자리에는 체결부재(50)의 일부가 통과하는 체결홀이 관통 형성된다. 체결홀은 경계블럭(12)에 구비된 지지홈에 1:1 대응되도록 한다.
체결홀은 경계바디(31)의 폭 방향에 따른 양측단부에 관통 형성되는 제1체결홀(312)과, 경계바디(31)의 상부에 관통 형성되는 제2체결홀(314)을 포함할 수 있다.
경계바디(31)는 배수홈(121)의 바닥과 마주보는 수직바디부와, 수직바디부에서 경계석(B)의 모서리에 대응하여 둥글게 구부러지는 경사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재(40)는 경계뚜껑(30)을 경계블럭(12)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일예로, 결합부재(40)는 고정홈(123)에 삽입 고정되는 너트와, 결합브라켓(32)에 지지되되 결합홀(321)을 통과하여 너트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결합부재(40)는 배수홈(121)의 바닥에서 돌출된 선단부가 결합홀(321)을 통과하도록 고정홈(123)에 삽입 고정되는 앵커볼트와, 결합브라켓(32)을 지지하도록 앵커볼트에 나사 결합되는 앵커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형 콘크리트 블럭의 시공방법은 종래의 측구 또는 집수정(CW)에 형성된 개구부를 개량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형 콘크리트 블럭을 시공하는 방법으로, 절개단계(S1)와, 끼워맞춤단계(S2)와, 타설단계(S3)를 포함하고, 제1뚜껑결합단계(S4)와, 제2뚜껑결합단계(S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절개단계(S1)는 측구의 마감부(C) 또는 집수정(CW)의 상부와 경계석(B)을 잘라낸다. 절개단계(S1)는 커팅기(미도시)를 이용하여 측구의 마감부(C) 또는 집수정(CW)의 상부와 경계석(B)을 잘라낼 수 있다. 그러면, 절개단계(S1)를 거침에 따라 측구블럭(10)의 폭(측구의 길이 방향에 따른 측구블럭(10)의 길이)에 대응하여 측구 또는 집수정(CW)의 개구부와 경계석(B)의 배치영역이 형성된다. 다른 표현으로, 절개단계(S1)를 거침에 따라 측구에 끼워맞춤부를 형성할 수 있다.
끼워맞춤단계(S2)는 절개단계(S1)를 거쳐 형성된 끼워맞춤부에 측구블럭(10)을 끼움 결합한다. 그러면, 끼워맞춤단계(S2)를 거침에 따라 측구 또는 집수정(CW)의 개구부에 베이스블럭(11)이 안착 지지되고, 경계석(B)의 배치영역에 경계블럭(12)이 안착 지지된다. 다른 표현으로, 끼워맞춤부에 측구블럭(10)이 안착 지지될 수 있다.
타설단계(S3)는 측구 또는 집수정(CW)과 베이스블럭(11) 사이의 이격공간 및 경계석(B)과 경계블럭(12) 사이의 이격공간을 밀폐시킨다. 타설단계(S3)는 시멘트몰탈을 측구 또는 집수정(CW)과 베이스블럭(11) 사이의 이격공간 및 경계석(B)과 경계블럭(12) 사이의 이격공간에 주입하여 양생함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
제1뚜껑결합단계(S4)는 결합부재(40)를 이용하여 경계블럭(12)에 경계뚜껑(30)을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제1뚜껑결합단계(S4)는 경계블럭(12)에 경계뚜껑(30)을 배치한 상태에서 결합부재(40)가 결합브라켓(32)을 배수홈(121)의 바닥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시킴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
제2뚜껑결합단계(S5)는 베이스블럭(11)에 트렌치뚜껑(20)을 탈부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시킨다. 제2뚜껑결합단계(S5)는 베이스블럭(11)에 구비된 투수홀(111)에 트렌치뚜껑(20)을 탈부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시킴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L형 콘크리트 블럭의 시공방법은 측구 또는 집수정(CW)을 신축함에 있어서, 형성하고자 하는 측구 또는 집수정(CW)의 개구부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형 콘크리트 블럭을 정위치 시공하는 방법으로, 블럭설치단계(S12)와, 배수로마감단계(S14)와, 경계석설치단계(S16)를 포함하고, 배수로공사단계(S11)를 더 포함하며, 제1뚜껑결합단계(S13)와, 제2뚜껑결합단계(S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블럭설치단계(S12)는 도로(R)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측구의 배수로(D) 상부 또는 집수정(CW)의 상부에 측구블럭(10)을 배치한다. 블럭설치단계(S12)는 측구의 배수로(D) 상부에 측구블럭(10)을 순차적으로 배열하거나 기설정된 간격으로 측구블럭(10)을 배치할 수 있다. 블럭설치단계(S12)를 거침에 따라 시공하고자 하는 측구 또는 집수정(CW)의 개구부에 베이스블럭(11)이 배치되고, 시공하고자 하는 경계석(B)의 배치영역에 경계블럭(12)이 배치된다.
배수로마감단계(S14)는 배수로(D)의 상부를 밀폐시킨다. 그러면, 배수로마감단계(S14)를 거침에 따라 측구의 개구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마감부(C)가 형성된다. 배수로마감단계(S14)는 집수정(CW)의 상부에서 측구블럭(10)을 고정시킬 수 있다.
경계석설치단계(S16)는 도로(R)의 길이 방향을 따라 경계블럭(12)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경계석(B)을 설치한다. 그러면, 경계석설치단계(S16)를 거침에 따라 경계석(B)의 배치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경계석(B)이 설치된다.
배수로공사단계(S11)는 도로(R)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수로(D)를 형성한다. 배수로공사단계(S11)는 시공 위치에 거푸집을 설치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시킴으로써, 배수로(D)를 형성할 수 있다. 배수로공사단계(S11)는 기설정된 위치에 집수정(CW)을 설치할 수 있다.
제1뚜껑결합단계(S13)는 결합부재(40)를 이용하여 경계블럭(12)에 경계뚜껑(30)을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제1뚜껑결합단계(S13)는 경계블럭(12)에 경계뚜껑(30)을 배치한 상태에서 결합부재(40)가 결합브라켓(32)을 배수홈(121)의 바닥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시킴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
제2뚜껑결합단계(S15)는 베이스블럭(11)에 트렌치뚜껑(20)을 탈부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시킨다. 제2뚜껑결합단계(S15)는 베이스블럭(11)에 구비된 투수홀(111)에 트렌치뚜껑(20)을 탈부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시킴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트렌치뚜껑과 이것이 구비된 L형 콘크리트 블럭 그리고 L형 콘크리트 블럭의 시공방법에 따르면, 도로(R)와 보행로(W)의 경계에 구비되는 측구 또는 집수정(CW)을 개폐하되, 트렌치뚜껑(20)의 막힘 현상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하는 한편 측구 또는 집수정(CW)으로의 물 유입을 원활하게 하고, 측구 또는 집수정(CW)을 통해 물이 빠르게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트렌치뚜껑(20)의 구조를 통해 물과 이물질이 흐르는 경로를 특정시켜 최적의 형상을 구현할 수 있고, 이물질의 퇴적에 따라 배수 능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물질의 퇴적에도 불구하고 트렌치뚜껑(20)에서 월류하지 않고 기설정된 배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트렌치뚜껑(20)의 구조를 통해 물과 이물질의 꾸준한 흐름을 유도하는 한편 뛰어난 집수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트렌치뚜껑(20)의 구조를 통해 물과 이물질의 흐름을 트렌치뚜껑(20)의 중앙부와 경계석(B) 쪽으로 안정되게 유도할 수 있고, 트렌치뚜껑(20)의 중앙부에서 이물질의 퇴적을 유도하는 한편, 트렌치뚜껑(20) 상부의 이물질이 측구로 안정되게 유입됨으로써, 트렌치뚜껑(20)의 청소를 최소화하고 트렌치뚜껑(20)에서 90% 이상의 배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트렌치뚜껑(20)의 구조를 통해 자전거나 보행기 등 측구 또는 집수정(CW)의 상측에서 이동되는 이동체의 바퀴 빠짐 및 이동체와 보행자가 트렌치뚜껑(20)을 지나갈 때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고, 이동체와 보행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트렌치뚜껑(20)의 경사유도부(211) 및 제1배수구멍(212)을 통해 도로(R) 쪽에서 유입되는 물과 이물질을 경계석(B) 쪽으로 빠르게 유도하는 한편, 이물질을 거른 상태에서 물이 측구 또는 집수정(CW)으로 안정되게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트렌치뚜껑(20)의 수평유도부(213) 및 제2배수구멍(214)을 통해 도로(R)의 길이 방향을 따라 흐르는 물과 이물질이 트렌치뚜껑(20)을 통과할 때, 물과 이물질을 제2배수구멍(214)으로 빠르게 유도하는 한편, 이물질과 물이 측구 또는 집수정(CW)으로 안정되게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트렌치뚜껑(20)의 제3배수구멍(216)을 통해 도로(R) 쪽에서 유입되는 물과 이물질 및 측구의 길이 방향을 따라 흐르는 물과 이물질 그리고 보행로(W) 쪽에서 유입되는 물과 이물질이 측구 또는 집수정(CW)으로 안정되게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트렌치뚜껑(20)의 논슬립돌기(217)를 통해 이물질이 트렌치뚜껑(20)의 중앙부에서 안정되게 퇴적되도록 하는 한편, 이동체 및 보행자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트렌치뚜껑(20)의 유도경사블럭(22)을 통해 트렌치뚜껑(20)으로 유입되는 물과 이물질의 이동을 가속화시키고, 물과 이물질을 제1배수구멍(212) 내지 제3배수구멍(216)으로 안정되게 유도할 수 있다.
또한, 경계뚜껑(30)을 통해 트렌치뚜껑(20)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거르는 한편, 물이 측구 또는 집수정(CW)으로 안정되게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재(40)를 통해 측구블럭(10)에서 경계뚜껑(30)의 탈부착을 간편하게 하고, 경계뚜껑(30)의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일체화된 측구블럭(10)을 통해 기존 측구 또는 집수정(CW)에서의 설치 및 유지보수를 간편하게 할 수 있고, 트렌치뚜껑(20) 및 경계뚜껑(30)의 탈부착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트렌치뚜껑(20)과 경계뚜껑(30)으로 유입되는 물이 측구 또는 집수정(CW)으로 안정되게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기존 측구 또는 집수정(CW)은 물론 측구 또는 집수정(CW)의 신축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 측구블럭 11: 베이스블럭 111: 투수홀
112: 트렌치지지돌부 12: 경계블럭 121: 배수홈
122: 측부지지돌부 1221: 측부지지홈 123: 고정홈
124: 상부지지돌부 1241: 상부지지홈 20: 트렌치뚜껑
21: 뚜껑바디 211: 경사유도부 212: 제1배수구멍
213: 수평유도부 214: 제2배수구멍 216: 제3배수구멍
217: 논슬립돌기 218: 제4배수구멍 22: 유도경사블럭
221: 하향경사면 30: 경계뚜껑 31: 경계바디
311: 배수홀 312: 제1체결홀 314: 제2체결홀
32: 결합브라켓 321: 결합홀 40: 결합부재
50: 체결부재 R: 도로 W: 보행로
B: 경계석 D: 배수로 C: 마감부
112: 트렌치지지돌부 12: 경계블럭 121: 배수홈
122: 측부지지돌부 1221: 측부지지홈 123: 고정홈
124: 상부지지돌부 1241: 상부지지홈 20: 트렌치뚜껑
21: 뚜껑바디 211: 경사유도부 212: 제1배수구멍
213: 수평유도부 214: 제2배수구멍 216: 제3배수구멍
217: 논슬립돌기 218: 제4배수구멍 22: 유도경사블럭
221: 하향경사면 30: 경계뚜껑 31: 경계바디
311: 배수홀 312: 제1체결홀 314: 제2체결홀
32: 결합브라켓 321: 결합홀 40: 결합부재
50: 체결부재 R: 도로 W: 보행로
B: 경계석 D: 배수로 C: 마감부
Claims (10)
- 측구 또는 집수정의 개구부를 폐쇄하기 위한 뚜껑바디; 및
상기 뚜껑바디의 상부면보다 돌출되도록 상기 뚜껑바디의 가장자리 중 경계석 쪽 가장자리를 제외한 나머지 가장자리에 일체로 형성되는 유도경사블럭;을 포함하되,
상기 뚜껑바디에는,
상기 뚜껑바디의 중앙 부분을 기준으로 도로 쪽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뚜껑바디의 중앙 부분을 향해 경사를 이루는 방향을 따라 상기 뚜껑바디에 함몰 형성되는 경사유도부;
상기 경사유도부의 일부 또는 전체가 포함되도록 상기 뚜껑바디에 관통 형성되는 제1배수구멍;
상기 뚜껑바디의 중앙 부분을 기준으로 경계석 쪽에서 상기 도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뚜껑바디에 함몰 형성되는 수평유도부;
상기 뚜껑바디의 중앙 부분을 기준으로 상기 경계석 쪽에서 상기 수평유도부와 교차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뚜껑바디에 관통 형성되는 제2배수구멍; 및
상기 뚜껑바디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수평유도부를 향해 함몰되어 상기 경계석 쪽이 개구되도록 상기 뚜껑바디에 관통 형성되는 제3배수구멍;이 포함되며,
상기 제1배수구멍의 폭은 상기 제2배수구멍의 폭보다 작고,
상기 제2배수구멍의 폭은 상기 제3배수구멍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유도경사블럭에는, 상기 뚜껑바디의 상부면을 향해 하향 경사를 이루는 하향경사면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렌치뚜껑.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바디에는,
상기 뚜껑바디의 상부면에 상호 이격된 상태로 돌출 형성되는 다수 개의 논슬립돌기; 및
상기 도로 쪽이 개구되도록 상기 뚜껑바디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경사유도부를 향해 함몰 형성되는 제4배수구멍;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렌치뚜껑.
- 측구 또는 집수정의 개구부에 안착 지지되되 측구 또는 집수정의 개구부와 연통되는 투수홀이 관통 형성된 베이스블럭과, 경계석의 배치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블럭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되 상기 투수홀과 연통되도록 도로 쪽으로부터 보행로 쪽을 향해 배수홈이 함몰 형성된 경계블럭이 일체로 형성되는 측구블럭;
상기 투수홀이 폐쇄되도록 상기 투수홀에 탈부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트렌치뚜껑;
상기 배수홈이 폐쇄되도록 상기 경계블럭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되, 도로 또는 보행로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통과되는 배수홀이 관통 형성되는 경계뚜껑; 및
상기 경계뚜껑을 상기 경계블럭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투수홀에는,
상기 트렌치뚜껑의 가장자리가 걸림 지지되는 트렌치지지돌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트렌치뚜껑은, 제1항 또는 제3항에 기재된 트렌치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형 콘크리트 블럭.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뚜껑은,
상기 배수홈이 폐쇄되도록 상기 배수홈에 끼움 결합되되 상기 배수홀이 구비되는 경계바디; 및
상기 배수홈의 바닥에 지지되도록 상기 경계바디에서 돌출 형성되되 상기 결합부재의 일부가 통과하는 결합홀이 관통 형성된 결합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배수홈에는,
상기 경계바디의 가장자리가 지지되는 경계지지돌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형 콘크리트 블럭.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홈의 바닥에는,
상기 결합홀에 대응하여 상기 결합부재가 결합 고정되는 고정홈;이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형 콘크리트 블럭.
- 제4항에 기재된 L형 콘크리트 블럭의 시공방법이고,
상기 측구블럭의 폭에 대응하여 상기 개구부와 상기 경계석의 배치영역이 형성되도록 상기 측구의 마감부 또는 상기 집수정의 상부와 상기 경계석을 잘라내어 끼워맞춤부를 형성하는 절개단계;
상기 측구 또는 집수정의 개구부에 상기 베이스블럭이 안착 지지되고, 상기 경계석의 배치영역에 상기 경계블럭이 안착 지지되도록 상기 절개단계를 거쳐 형성된 상기 끼워맞춤부에 상기 측구블럭을 끼움 결합하는 끼워맞춤단계; 및
상기 측구 또는 집수정과 상기 베이스블럭 사이의 이격공간 및 상기 경계석과 상기 경계블럭 사이의 이격공간을 밀폐시키는 타설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형 콘크리트 블럭의 시공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경계블럭에 상기 경계뚜껑을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1뚜껑결합단계; 및
상기 베이스블럭에 트렌치뚜껑을 탈부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시키는 제2뚜껑결합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형 콘크리트 블럭의 시공방법.
- 제4항에 기재된 L형 콘크리트 블럭의 시공방법이고,
시공하고자 하는 측구 또는 집수정의 개구부에 상기 베이스블럭이 배치되고, 시공하고자 하는 경계석의 배치영역에 상기 경계블럭이 배치되도록 상기 도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상기 측구의 배수로 상부 또는 상기 집수정의 상부에 상기 측구블럭을 배치하는 블럭설치단계;
상기 측구의 개구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마감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배수로의 상부를 밀폐시키거나, 상기 집수정의 상부에서 상기 측구블럭을 고정시키는 배수로마감단계; 및
상기 경계석의 배치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상기 경계석이 설치되도록 상기 도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경계블럭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상기 경계석을 설치하는 경계석설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형 콘크리트 블럭의 시공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경계블럭에 상기 경계뚜껑을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1뚜껑결합단계; 및
상기 베이스블럭에 트렌치뚜껑을 탈부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시키는 제2뚜껑결합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형 콘크리트 블럭의 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19959A KR101973983B1 (ko) | 2018-10-08 | 2018-10-08 | 트렌치뚜껑과 이것이 구비된 l형 콘크리트 블럭 그리고 l형 콘크리트 블럭의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19959A KR101973983B1 (ko) | 2018-10-08 | 2018-10-08 | 트렌치뚜껑과 이것이 구비된 l형 콘크리트 블럭 그리고 l형 콘크리트 블럭의 시공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73983B1 true KR101973983B1 (ko) | 2019-04-30 |
Family
ID=66285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19959A KR101973983B1 (ko) | 2018-10-08 | 2018-10-08 | 트렌치뚜껑과 이것이 구비된 l형 콘크리트 블럭 그리고 l형 콘크리트 블럭의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73983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250847A (zh) * | 2021-12-28 | 2022-03-29 | 广东恒辉建设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用于市政工程的雨污分流排水渠及其施工方法 |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183979U (ja) * | 1983-05-25 | 1984-12-07 |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 泥土止め側溝 |
JPH05148814A (ja) * | 1991-12-02 | 1993-06-15 | Ikeguchi Kogyo Kk | 歩 道 |
JP3118236U (ja) * | 2005-11-02 | 2006-01-26 | 虹技株式会社 | 雨水枡蓋 |
JP2008240358A (ja) * | 2007-03-27 | 2008-10-09 | Takahashi Doken Kk | L型側溝施工方法 |
KR20140013601A (ko) | 2012-07-25 | 2014-02-05 | 오권엽 | 측구가 일체로 결합 된 경계블록 |
JP2014125742A (ja) * | 2012-12-25 | 2014-07-07 | Hinode Ltd | 雨水桝蓋 |
KR101781334B1 (ko) * | 2016-12-02 | 2017-09-27 | (주)한길종합엔지니어링 | L형 측구를 활용한 다기능 배수관 |
JP2018112025A (ja) * | 2017-01-13 | 2018-07-19 | 株式会社オーイケ | 蓋および蓋アセンブリ |
JP2018145725A (ja) * | 2017-03-07 | 2018-09-20 | 株式会社カワグレ | 道路縁石排水構造 |
-
2018
- 2018-10-08 KR KR1020180119959A patent/KR10197398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183979U (ja) * | 1983-05-25 | 1984-12-07 |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 泥土止め側溝 |
JPH05148814A (ja) * | 1991-12-02 | 1993-06-15 | Ikeguchi Kogyo Kk | 歩 道 |
JP3118236U (ja) * | 2005-11-02 | 2006-01-26 | 虹技株式会社 | 雨水枡蓋 |
JP2008240358A (ja) * | 2007-03-27 | 2008-10-09 | Takahashi Doken Kk | L型側溝施工方法 |
KR20140013601A (ko) | 2012-07-25 | 2014-02-05 | 오권엽 | 측구가 일체로 결합 된 경계블록 |
JP2014125742A (ja) * | 2012-12-25 | 2014-07-07 | Hinode Ltd | 雨水桝蓋 |
KR101781334B1 (ko) * | 2016-12-02 | 2017-09-27 | (주)한길종합엔지니어링 | L형 측구를 활용한 다기능 배수관 |
JP2018112025A (ja) * | 2017-01-13 | 2018-07-19 | 株式会社オーイケ | 蓋および蓋アセンブリ |
JP2018145725A (ja) * | 2017-03-07 | 2018-09-20 | 株式会社カワグレ | 道路縁石排水構造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250847A (zh) * | 2021-12-28 | 2022-03-29 | 广东恒辉建设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用于市政工程的雨污分流排水渠及其施工方法 |
CN114250847B (zh) * | 2021-12-28 | 2022-10-18 | 广东恒辉建设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用于市政工程的雨污分流排水渠及其施工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157213B2 (en) | Eccentric frame for an inlet of a catch basin or manhole | |
EP3786376B1 (en) | Road gutter having dust collection function | |
KR101963429B1 (ko) | 측구 구조체 | |
KR101776805B1 (ko) | 조립식 교량 배수장치 | |
KR101429147B1 (ko) | 연속배수시설이 구비된 도로 및 이의 시공방법 | |
EP2268866B1 (en) | Drainage system, apparatus, and method | |
US20140227030A1 (en) | Frame for an inlet of a catch basin or manhole | |
US8292541B2 (en) | Trench grate assembly with debris chute | |
KR101973983B1 (ko) | 트렌치뚜껑과 이것이 구비된 l형 콘크리트 블럭 그리고 l형 콘크리트 블럭의 시공방법 | |
KR101141000B1 (ko) | 배수로 일체형 측구 | |
KR100892419B1 (ko) | 투수성 도로 경계용 측구 | |
US7670080B2 (en) | Catch basin system | |
KR100899680B1 (ko) | 일체형 구조를 갖는 배수블럭 | |
KR101197670B1 (ko) | 교량용 집수구 및 그 시공방법 | |
KR200311993Y1 (ko) | 우,오수 받이 연결뚜껑 | |
JP2007107234A (ja) | 排水用側溝装置 | |
KR101156980B1 (ko) | 미관 개선형 교면 배수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 |
JP2000129767A (ja) | 側溝、側溝用ブロックおよび蓋 | |
US20070214732A1 (en) | Catch Basin System | |
CA2843934C (en) | Eccentric frame for an inlet of a catch basin or manhole | |
KR101233695B1 (ko) | 우수 유도패널을 구비한 도로의 집수구조물 | |
JP2007063887A (ja) | 全延長に亘って排水機能を有する頂版蓋を載置してなる掃流性を高めた函渠型側溝 | |
US20240287783A1 (en) | Drainage apparatus with locking mechanism | |
KR101029134B1 (ko) | 수퍼 그레이팅 | |
KR100778154B1 (ko) | 노면의 우수 배수용 구조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